KR101038326B1 - 통행료 결제카드 및 이를 위한 차량단말기 - Google Patents

통행료 결제카드 및 이를 위한 차량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8326B1
KR101038326B1 KR1020090112595A KR20090112595A KR101038326B1 KR 101038326 B1 KR101038326 B1 KR 101038326B1 KR 1020090112595 A KR1020090112595 A KR 1020090112595A KR 20090112595 A KR20090112595 A KR 20090112595A KR 101038326 B1 KR101038326 B1 KR 101038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memory pack
terminal
toll payment
in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5958A (ko
Inventor
최경수
조범연
Original Assignee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2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8326B1/ko
Publication of KR20110055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행료 결제카드 및 이를 위한 차량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통행료 결제카드(HC)는, 일면 및 이면에 입력단자(54) 및 출력단자(56)가 제각기 마련된 카드본체(50); 상기 카드본체(50)에 인서트되는 안테나(70); 상기 카드본체(5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메모리팩(40) 및; 상기 메모리팩(40)을 카드본체(5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소켓;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단말기는, 전술한 통행료 결제카드(HC) 및 소켓(60)이 투입되는 카드투입구(82) 및 소켓투입구(82a)가 형성된 케이스(80) 및; 상기 케이스(80)의 내부에 고정되는 카드홀더(84b)가 장착된 회로기판(84a);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통행료 결제카드(HC)는 메모리팩(40)을 통해 대량의 정보저장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메모리팩(40)을 탈거하여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차량단말기는 전술한 통행료 결제카드(HC)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일면, 이면, 입력, 출력, 단자

Description

통행료 결제카드 및 이를 위한 차량단말기 { TOLL-PAYMENTING CARD AND VEHICLES DATA-TERMINAL APPARATUS THEREFOR }
본 발명은 통행료 결제카드 및 이를 위한 차량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다기능을 갖는 통행료 결제카드 및 이에 적합하게 설계된 통행료 결제카드용 차량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이패스(Hi-pass)는 고속도로의 통행료를 무선 통신으로 지불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의 총칭이다. 하이패스의 구성은 송수신 기능을 갖춘 차량단말기(OBU: On Board Unit)와 전자카드의 일종인 하이패스 카드(Hi-pass card)로 구성되어 있다. 하이패스는 요금정산소에 설치된 겐트리(Gantry)와 송수신이 가능하게 구성된 차량단말기(OBU)에 통행료 결제카드로 사용되는 하이패스 카드를 삽입하여 이용한다. 차량단말기는 한국도로공사 영업소, 고속도로 휴게소,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판매하며, 하이패스 카드는 하이패스 플러스카드(주)에서 판매하는 선불식 하이패스 카드와 신용카드회사에서 신용카드 형식으로 제조한 후불식 하이패스 카드가 있다. 하이패스 카드는 차량 단말기 없이도 고속도로 요금소에서 직원에게 카드를 전달하여 통행료를 결제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카드인식기에 터치하여 통행료 를 결제할 수도 있다.
도 1은 이러한 일반적인 하이패스 카드(20) 및 차량단말기(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하이패스 카드(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단말기(10)의 투입구(12)로 삽입되어 패턴형태로 형성된 일면의 출력단자(22)를 통해 기 저장된 정보를 차량단말기(10)에 전송한다. 그리고, 차량단말기(10)는 하이패스 카드(2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미도시된 겐트리와 송수신하면서 통행료를 결제한다.
한편, 최근에는 USIM카드(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나 샌디스크(San Disk)와 같은 소형화된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가 정보 저장장치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메모리 카드는 손톱 보다 작은 크기부터 동전 만한 크기까지 다양하게 제조되어 시판되며, 몇 기가바이트에서부터 수십 기가바이트까지의 저장용량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인증과 글로벌 로밍, 전자상거래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러한 메모리 카드는 다양한 편의성으로 인해 각종 전자기기에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하이패스 카드(20)는 전자결제와 신용카드 기능 등과 같이 다기능화가 요구되고 있으나, 정보저장의 한계로 인하여 보다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하이패스 카드(20)는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일반적인 하이패스 카드(20)는 일괄적으로 양산되는 차량단말기의 구조에 적합하게 박판형태로 설계되어야 하므로 사실상 더 이상의 구조변경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즉, 일반적인 하이패스 카드(20)는 차량단말기의 구조로 인하여 박판 형태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현재의 기술로는 정보저장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어렵다.
이러한, 일반적인 하이패스 카드(20)는 정보전송 및 터치식 요금결제를 위해 일면에 반드시 도시된 바와 같은 출력단자(22)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개량시 이를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함에 따른 개량상의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기 저장된 정보의 전송이 가능하면서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용량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소형화된 카드식 저장장치의 착탈식 장착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컨버젼스(Convergence)식 기능을 갖는 통행료 결제카드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 카드식 저장장치를 착탈식으로 장착하는 장착부재의 구조가 단순하게 구성된 통행료 결제카드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한, 전술한 장착부재에 의해 장착되는 카드식 저장장치를 부분적으로 지지하여 카드식 저장장치의 구속력이나 접속기능을 배가시킬 수 있는 통행료 결제카드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아울러, 카드식 저장장치의 일부분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통행료 결제카드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이에 더하여, 전술한 카드식 저장장치가 장착된 통행료 결제카드를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통행료 결제카드용 차량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더 나아가, 통행료 결제카드의 투입시 카드식 저장장치의 보다 안정적인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가 마련된 통행료 결제카드용 차량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통행료 결제카드는, 통행료를 결제하는데 사용되는 통행료 결제카드에 있어서, 일면의 일단부에 입력단자가 마련되고, 이 입력단자와 연결된 출력단자가 이면에 마련된 박판형의 카드본체; 상기 카드본체의 입력단자나 출력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통전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카드본체에 인서트되는 안테나; 상기 카드본체의 입력단자와 접속하는 접속단자가 일측에 마련되고, 카드본체의 일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접속단자를 통해 기 저장된 정보를 상기 안테나와 연결된 카드본체의 입력단자로 전송하거나 입력단자를 통해 정보를 수신하는 메모리팩 및; 상기 입력단자를 갖는 상기 카드본체의 일단부에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카드본체의 일단부에 상기 메모리팩을 이탈가능하게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여 메모리팩을 카드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소켓;을 포함한다.
상기 소켓은 예컨대, 상기 메모리팩의 폭에 대응하는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카드본체의 일단부에 제각기 고정되고, 내측면에 메모리팩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단부에 메모리팩의 단부를 지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바;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소켓에 삽입되는 상기 메모리팩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상기 카드본체는, 상기 메모리팩이 삽입되는 단부측에 손가락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차량단말기는, 일면의 단부에 입력단자가 마련되고, 이 입력단자와 연결된 출력단자가 이면에 마련된 박판형의 카드본체; 상기 카드본체의 입력단자나 출력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통전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카드본체에 인서트되는 안테나; 상기 카드본체의 입력단자와 접속하는 접속단자가 일측에 마련되고, 카드본체의 일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접속단자를 통해 기 저장된 정보를 상기 안테나와 연결된 카드본체의 입력단자로 전송하거나 입력단자를 통해 정보를 수신하는 메모리팩 및; 상기 입력단자를 갖는 상기 카드본체의 일단부에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카드본체의 일단부에 상기 메모리팩을 이탈가능하게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여 메모리팩을 카드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소켓;을 포함하는 통행료 결제카드에 이용되는 차량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통행료 결제카드가 투입되는 카드투입구 및 이 카드투입구와 연통되어 상기 소켓이 투입되는 소켓투입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통행료 결제카드의 상기 출력단자를 통해 상기 메모리팩의 정보를 수신받아서 겐트리와 송수신하거나 겐트리에서 수신되는 정보를 메모리팩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되고, 상기 통행료 결제카드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통행료 결제카드가 삽입되는 단부에 상기 소켓의 걸림을 방지하는 절개부가 형성된 포켓형태의 카드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카드홀더는, 상기 메모리팩이 삽입되는 상기 절개부의 단부가 외측으로 경사절개되어 다른 부위 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통행료 결제카드는, 카드본체에 메모리팩이 착탈식으로 장착되므로 메모리팩을 통해 종래 보다 더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특히 메모리팩을 분리하여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출력단자가 종래의 하이패스 카드와 동일한 위치에 마련되므로 단말모듈의 구성요소 중에서 카드홀더만 메모리팩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개량하면 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안테나를 통해 RFID기능을 제공하므로 터치식 요금정산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통행료 결제카드는 대용량의 지능화된 융합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소켓이 한쌍의 가이드바로 단순하게 구성되므로 소켓을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의 최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돌기가 메모리팩의 단부를 부분적으로 지지하여 메모리팩을 착탈가능하게 구속하도록 구성할 경우 메모리팩을 장기간 빈번하게 착탈하여도 메모리팩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메모리팩의 선단부측 일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할 경우 메모리팩의 접속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카드본체에 손가락 삽입홈을 마련할 경우 메모리팩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착탈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한 차량단말기는 소켓이 투입되는 소켓투입구가 케이스에 마련되고, 단말모듈의 카드홀더에 절개부가 마련되므로 전술한 메모리팩이 장착된 통행료 결제카드를 이용하여 통행료를 정산할 수 있다.
더욱이, 카드홀더에 형성된 절개부의 단부가 다른 부위 보다 넓게 형성되어 소켓이 용이하게 삽입되므로 전술한 통행료 결제카드를 매우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통행료 결제카드 및 차량단말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통행료 결제카드 및 차량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통행료 결제카드의 이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차량단말기에 내장된 단말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통행료 결제카드(HC)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박판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통행료 결제카드(HC)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박판형태의 카드본체(50); 무선통신에 사용되는 안테나(70); 다양한 정보의 저장이 가능한 메모리팩(40) 및; 카드본체(50)에 설치되는 소켓(60);을 포함한다.
카드본체(50)는 플라스틱이나 PVC로 성형된 박판재이다. 카드본체(50)는 기존의 하이패스 카드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카드본체(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의 일단부측에 입력단자(54)가 마련된다. 이러한 입력단자(54)는 카드본체(50)의 성형시 인서트되어 마련된다. 또, 카드본체(50)는 후술되는 메모리팩(40)이 삽입되는 일단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삽입홈(52)이 반원형으로 절개형성된다.
안테나(70)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본체(50)에 내장된다. 안테나(70)는 패턴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와이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테나(70)는 요구되는 주파수 대역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굴 곡을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일직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안테나(70)는 요구되는 주파수 대역에 의해 형태가 결정된다. 물론, 안테나(70)는 요구되는 주파수 대역에 의해 길이가 결정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안테나(70)는 전술한 입력단자(54)나 후술되는 출력단자(5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통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메모리팩(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샌디스크나 유심카드와 같은 소형의 플래시 메모리이며, 유심카드 처럼 저장공간과 함께 암복호화를 구현하는 요소를 갖는다. 따라서, 메모리팩(40)은 사용자인증과 글로벌로밍, 전자상거래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의 제공이 가능하다. 즉, 메모리팩(40)은 다양한 기능이 가능하게 구성된 플래시 메모리이다.
소켓(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본체(50)의 일단부에 마련된다. 이러한 소켓(60)은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팩(40)의 폭에 대응하는 거리로 이격되어 접착이나 조립에 의해 카드본체(50)의 일단부에 제각기 고정되는 한쌍의 가이드바(62)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한쌍의 가이드바(62)는 메모리팩(40)이 억지끼움되는 거리로 이격된다.
가이드바(62)는 확대도 "①"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으로 절곡된 앵글형태로 형성되어 내측면에 메모리팩(40)이 끼워지는 끼움홈(62')이 형성된다. 가이드바(62)는 확대도 "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스토퍼(62a)가 형성된다. 스토퍼(62a)는 가이드바(62)에 메모리팩(40)이 삽입될 경우 메모리팩(40)의 단부를 지지하는 요소이다. 이러한 스토퍼(62a)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형태로 형 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가이드바(62)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기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차량단말기(VT)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80)에 통행료 결제카드(HC)가 삽입되는 카드투입구(82) 및 통행료 결제카드(HC)의 소켓(60)이 투입되는 소켓투입구(82a)를 갖는다. 소켓투입구(82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투입구(82)와 연통된 상태로 형성된다.
차량단말기(VT)는 케이스(80)의 내부에 후술되는 단말모듈이 내장된다. 이러한 단말모듈은 통행료 결제카드(HC)를 착탈가능하게 수용하여 통행료 결제카드(HC)에 장착된 메모리팩(40)의 정보를 미도시된 요금정산소의 겐트리와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통행료 결제카드(HC)는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본체(50)의 이면에 패턴형태의 출력단자(56)가 마련된다. 이러한 출력단자(56)는 전술한 일면의 입력단자(54) 및 전술한 안테나(70)와 통전가능하게 연결된다.
통행료 결제카드(HC)는 전술한 소켓(60)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팩(40)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메모리팩(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삽입홈(52)에 의해 단부가 카드본체(50)의 이면으로 노출된다.
메모리팩(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접속단자(42)를 갖는다. 이러한 접속단자(42)는 전술한 통행료 결제카드(HC)의 입력단자(54)와 접속한다. 따라서, 메모리팩(40)은 접속단자(42)를 통해 기 저장된 정보를 통행료 결제카드(HC)의 입력단자(54)로 전송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차량단말기(VT)의 케이스(80)에 내장되는 단말모듈(8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케이스(80)의 내부에 고정되는 회로기판(84a) 및 이 회로기판(84b)에 설치되는 카드홀더(84b)로 구성된다.
회로기판(84b)은 카드홀더(84b)의 내측에 위치한 부분에 통행료 결제카드(HC)의 이면측 출력단자(56)와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부(84a')가 마련된다.
카드홀더(84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포켓형태로 형성된다. 카드홀더(84b)는 도시된 바와 같이 통행료 결제카드(HC)의 수용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다. 이러한 카드홀더(84b)는 통행료 결제카드(HC)가 삽입되는 삽입구측에 절개부(84b')가 형성된다. 절개부(84b')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외측으로 경사절개되어 단부가 다른 부위 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절개부(84b')는 단부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통행료 결제카드(HC) 및 차량단말기(VT)의 작용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메모리팩(40)은 개인정보나 글로벌 로밍정보 또는 전자상거래 정보 등이 저장된 후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60)으로 삽입된다. 이때, 메모리팩(40)은 확대도 "①"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바(62)의 끼움홈(62')에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진 후, 확대도 "②"에 도시된 가이드바(62) 단부의 스토퍼(62a)에 걸려서 고정된다. 메모리팩(40)은 소켓(60)에 완전히 삽입된 후 전술한 이면의 접속단자(42)가 카드본체(50)의 입력단자(54)와 접속한다.
통행료 결제카드(HC)는 메모리팩(40)이 장착된 후 차량단말기(VT)의 카드투입구(82)로 삽입된다. 이때, 통행료 결제카드(HC)의 소켓(60)은 메모리팩(40)이 장착된 상태로 차량단말기(VT)의 소켓투입구(82a)로 삽입된다. 따라서, 통행료 결제카드(HC)는 안정적으로 차량단말기(VT)에 장착된다.
차량단말기(VT)는 케이스(80) 내부의 전술한 단말모듈(84)을 통해 메모리팩(40)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한편, 미도시된 요금정산소의 겐트리와 정보를 무선 송수신하면서 통행료를 결제한다.
한편, 통행료 결제카드(HC)는 겐트리가 없는 요금정산소에서는 차량단말기(VT)에서 인출된 후 요금정산원이나 터치식 단말기를 통해 통행료를 결제한다. 이때, 통행료 결제카드(HC)는 전술한 이면의 출력단자(56)를 통해 통행료를 결제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본체(50)에 내장된 안테나(70)를 통해 RFID 방식으로 통행료를 결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통행료 결제카드(HC)는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본체(50)의 이면에 마련된 출력단자(56)를 통해 전술한 차량단말기(VT)의 단말모듈(84)로 메모리팩(40)의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미도시된 겐트리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한다.
메모리팩(40)은 강제로 잡아 뽑을 경우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본체(50)에서 분리된다. 이때, 사용자는 엄지로 메모리팩(40)의 일측면을 파지하고, 카드본체(50)의 손가락 삽입홈(52)으로 검지를 삽입하여 메모리팩(40)을 파지한 후 메모리팩(40)을 인출한다. 따라서, 메모리팩(40)은 카드본체(50)에서 용이하게 분 리된다.
메모리팩(40)은 카드본체(50)에서 분리된 후 다른 기기에 장착되어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팩(40)은 핸드폰에 장착되어 로밍이나 전자상거래 또는 교통비용 결제에 사용될 수 있다. 즉, 메모리팩(40)은 필요시 카드본체(50)에서 분리되어 하이패스 용도 이외의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팩(40)은 카드본체(50)의 착탈식 장착구조로 인해 다양한 용도로 자유롭게 사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모듈(84)은 카드홀더(84b)로 통행료 결제카드(HC)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때, 통행료 결제카드(HC)의 메모리팩(40)은 카드홀더(84b)의 절개부(84b')로 삽입된다. 따라서, 카드홀더(84b)는 메모리팩(40)의 걸림을 방지하면서 메모리팩(40)을 수용한다.
카드홀더(84b)는 절개부(84b')의 단부가 도시된 바와 같이 벌어진 형태로 형성될 경우 메모리팩(40)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절개부(84b')의 벌어진 단부는 메모리팩(40)을 절개부(84b')의 내측으로 센터링시키는 것처럼 안내한다. 따라서, 카드홀더(84b)는 보다 용이하게 메모리팩(40)을 수용한다.
단말모듈(84)은 통행료 결제카드(HC)가 삽입되면 카드홀더(84b)의 내측에 마련되어 회로기판(84a)의 인터페이스부(84a')를 통해 카드본체(50)의 출력단자(56)와 인터페이싱한다. 따라서, 단말모듈(84)은 인터페이스부(84a)를 통해 메모리팩(40)과 정보를 주고 받으면서 미도시된 겐트리와 송수신한다. 이때, 메모리팩(40)은 카드본체(50)의 입력단자(54) 및 출력단자(56)가 통전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단말모듈(84)과 정보를 주고 받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통행료 결제카드(HC)는 카드본체(50)에 메모리팩(40)이 착탈식으로 장착되므로 메모리팩(40)을 통해 종래 보다 더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특히 메모리팩(40)을 분리하여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출력단자(56)가 종래의 하이패스 카드와 동일한 위치에 마련되므로 단말모듈(84)의 구성요소 중에서 카드홀더(84b)만 메모리팩(40)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개량하면 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안테나(70)를 통해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기능을 제공하므로 터치식 요금정산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통행료 결제카드(HC)는 대용량의 지능화된 융합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소켓(60)이 한쌍의 가이드바(62)로 단순하게 구성되므로 소켓(60)을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의 최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5는 도 2의 소켓에 적용되는 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소켓에 적용되는 돌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소켓의 일부분을 변형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소켓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소켓(60)은 메모리팩(40)의 단부를 착탈가능하게 구속하는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부재는 예컨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바(62)의 단부 내측에 형성되는 돌기(62b)로 구성할 수 있다. 돌기(62b)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팩(40)의 단부를 지지하여 메모리팩(40)이 가이드바(62)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돌기(62b)는 메모리팩(40)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요소이다.
돌기(62b)는 메모리팩(40)의 빈번한 착탈로 인해 가이드바(62)의 내측면이 마모될 경우 메모리팩(40)의 이탈을 방지한다. 따라서, 메모리팩(40)은 장기간 사용되어도 안정적으로 소켓(60)에 고정된다. 결론적으로, 돌기(62b)는 메모리팩(40)에 대한 소켓(60)의 구속력을 배가시킨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바(62)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형태의 돌기(62d)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돌기(62d)는 전술한 메모리팩(40)의 선단이 삽입되는 가이드바(62)의 선단측에 복수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62d)는 메모리팩(40)의 선단부를 가압하여 전술한 카드본체(50)의 입력단자(54)와 메모리팩(40)의 접속단자(42)를 안정적으로 접속시킨다. 즉, 돌기(62d)는 메모리팩(40)을 부분적으로 가압하여 메모리팩(40)의 접속성능을 향상시킨다. 돌기(62d)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바(62)의 상부 내측면에 돌출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돌기(62d)는 메모리팩(40)의 접속성능을 배가시킨다.
도 7을 참조하면, 소켓(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팩(40)이 삽입되는 단부측의 입구가 외측으로 경사(θ)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바(6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측이 외측으로 벌어져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소켓(60)은 입구가 벌어져서 형성되므로 메모리팩(40)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바(62)는 벌어진 단부를 통해 메모리팩(40)을 선단측으로 안내한다. 따라서, 소켓(60)은 메모리팩(40)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소켓(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포켓몰드(62-1)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소켓(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메모리팩(40)이 끼워지는 끼움홈(62')을 갖는다. 이러한 소켓(60)은 일측을 통해 전술한 메모리팩(40)이 삽입되며, 구조적 특성에 의해 메모리팩(40)을 차폐된 상태로 수용한다.
이와 같은 소켓(60)은 전술한 한쌍의 가이드바(62)와 달리 포켓몰드(62-1)가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므로 가이드바(62) 보다 설치가 용이하다. 즉, 한쌍의 가이드바(62)는 하나씩 각기 설치하여야 하지만, 포켓몰드(62-1)는 한번만 설치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단말기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차량단말기에 내장된 단말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차량단말기(VT)는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룸미러로 이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80)는 전방에 거울(M)이 설치된다. 이러한 차량단말기(VT)는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80)의 측방에 카드투입구(82) 및 소켓투입구(82a)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차량단말기(VT)는 통행료 결제카드(HC)의 단말기로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룸미러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술한 룸미러식 차량단말기(VT)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모듈(84)이 세워진 상태로 내장된다. 이러한 단말모듈(84)은 전술한 도 4의 단말모듈(84)과 대동소이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하이패스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통행료 결제카드 및 차량단말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통행료 결제카드의 이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차량단말기에 내장된 단말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소켓에 적용되는 돌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2의 소켓에 적용되는 돌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소켓의 일부분을 변형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소켓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단말기의 측면도; 및
도 10은 도 9의 차량단말기에 내장된 단말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40 : 메모리팩
50 : 카드본체
60 : 소켓
70 : 안테나
80 : 케이스

Claims (6)

  1. 통행료를 결제하는데 사용되는 통행료 결제카드에 있어서,
    일면의 일단부에 입력단자(54)가 마련되고, 이 입력단자(54)와 연결된 출력단자(56)가 이면에 마련된 박판형의 카드본체(50);
    상기 카드본체(50)의 입력단자(54)나 출력단자(5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통전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카드본체(50)에 인서트되는 안테나(70);
    상기 카드본체(50)의 입력단자(54)와 접속하는 접속단자(42)가 일측에 마련되고, 카드본체(50)의 일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접속단자(42)를 통해 기 저장된 정보를 상기 안테나(70)와 연결된 카드본체(50)의 입력단자(54)로 전송하거나 입력단자(54)를 통해 정보를 수신하는 메모리팩(40); 및
    상기 입력단자(54)를 갖는 상기 카드본체(50)의 일단부에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카드본체(50)의 일단부에 상기 메모리팩(40)을 이탈가능하게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여 메모리팩(40)을 카드본체(5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소켓;을 포함하는 통행료 결제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상기 메모리팩(40)의 폭에 대응하는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카드본체(50)의 일단부에 제각기 고정되고, 내측면에 메모리팩(40)이 끼워지는 끼움홈(62')이 형성되며, 단부에 메모리팩(40)의 단부를 지지하는 스토퍼(62a)가 형성된 한쌍의 가이 드바(6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료 결제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에 삽입되는 상기 메모리팩(40)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돌기;를 더 포함하는 통행료 결제카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본체(50)는,
    상기 메모리팩(40)이 삽입되는 단부측에 손가락 삽입홈(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료 결제카드.
  5. 일면의 단부에 입력단자(54)가 마련되고, 이 입력단자(54)와 연결된 출력단자(56)가 이면에 마련된 박판형의 카드본체(50); 상기 카드본체(50)의 입력단자(54)나 출력단자(5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통전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카드본체(50)에 인서트되는 안테나(70); 상기 카드본체(50)의 입력단자(54)와 접속하는 접속단자(42)가 일측에 마련되고, 카드본체(50)의 일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접속단자(42)를 통해 기 저장된 정보를 상기 안테나(70)와 연결된 카드본체(50)의 입력단자(54)로 전송하거나 입력단자(54)를 통해 정보를 수신하는 메모리팩(40) 및; 상기 입력단자(54)를 갖는 상기 카드본체(50)의 일단부에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카드본체(50)의 일단부에 상기 메모리팩(40)을 이탈가능하게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여 메모리팩(40)을 카드본체(5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소켓;을 포함하는 통행료 결제카드(HC)에 이용되는 차량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통행료 결제카드(HC)가 투입되는 카드투입구(82) 및 이 카드투입구(82)와 연통되어 상기 소켓(60)이 투입되는 소켓투입구(82a)가 형성된 케이스(80);
    상기 케이스(80)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통행료 결제카드(HC)의 상기 출력단자(56)를 통해 상기 메모리팩(40)의 정보를 수신받아서 겐트리와 송수신하거나 겐트리에서 수신되는 정보를 메모리팩(40)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회로기판(84a); 및
    상기 회로기판(84a)에 고정되고, 상기 통행료 결제카드(HC)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통행료 결제카드(HC)가 삽입되는 단부에 상기 소켓(60)의 걸림을 방지하는 절개부(84b')가 형성된 포켓형태의 카드홀더(84b);를 포함하는 통행료 결제카드용 차량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홀더(84b)는,
    상기 메모리팩(40)이 삽입되는 상기 절개부(84b')의 단부가 외측으로 경사절개되어 다른 부위 보다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료 결제카드용 차량단말기.
KR1020090112595A 2009-11-20 2009-11-20 통행료 결제카드 및 이를 위한 차량단말기 KR101038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595A KR101038326B1 (ko) 2009-11-20 2009-11-20 통행료 결제카드 및 이를 위한 차량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595A KR101038326B1 (ko) 2009-11-20 2009-11-20 통행료 결제카드 및 이를 위한 차량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958A KR20110055958A (ko) 2011-05-26
KR101038326B1 true KR101038326B1 (ko) 2011-06-01

Family

ID=44364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595A KR101038326B1 (ko) 2009-11-20 2009-11-20 통행료 결제카드 및 이를 위한 차량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83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6688A (ja) 2002-04-01 2003-10-17 Dainippon Printing Co Ltd Icカード及びその使用方法
KR20070006745A (ko) * 2006-08-18 2007-01-11 가부시끼가이샤 르네사스 테크놀로지 Ic 카드의 제조 방법 및 ic 카드
KR100872046B1 (ko) 2008-07-31 2008-12-05 (주)이바이언 카드형 유에스비 메모리 장치
KR20090006923U (ko) * 2008-01-04 2009-07-08 이현철 이동식저장장치와 메모리카드리더기 및 교통카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멀티형 usb driv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6688A (ja) 2002-04-01 2003-10-17 Dainippon Printing Co Ltd Icカード及びその使用方法
KR20070006745A (ko) * 2006-08-18 2007-01-11 가부시끼가이샤 르네사스 테크놀로지 Ic 카드의 제조 방법 및 ic 카드
KR20090006923U (ko) * 2008-01-04 2009-07-08 이현철 이동식저장장치와 메모리카드리더기 및 교통카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멀티형 usb drive
KR100872046B1 (ko) 2008-07-31 2008-12-05 (주)이바이언 카드형 유에스비 메모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958A (ko)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5986B2 (en) Casing for electronic key and system comprising such a casing
EP1688867B1 (en) Dual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 system for a portable device
US6134114A (en) Vertically assembled chip card reader
EP0556970B1 (en) Memory module reader suitable for a radio telephone
US7374100B2 (en) Mobile terminal having smart card coupled with RFID tag and method for performing RFID function in such mobile terminal
EP1804475A2 (en) External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NFC method using the same
WO2004077345A1 (ja) Simリーダライタおよび携帯電話機
WO2007067198A2 (en) Dual integrated circuit card system
US8245944B2 (en) Assembly consisting of a micro-module and a reproducing device which is equipped with contact-free near-communication means
KR100887984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요금정산장치
WO2002103923A1 (en) Portable telephone having smartcard which non-contact interface is transferred into break contact point
KR101038326B1 (ko) 통행료 결제카드 및 이를 위한 차량단말기
KR200438503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마트 카드 어댑터
KR20000036900A (ko) 알에프(rf) 안테나를 내장한 핸드폰
US20080277483A1 (en) Contactless IC card system with partible antenna
EP1577829A1 (en) Ic chip, card and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same
KR100573284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카드장착소켓
KR101081666B1 (ko) 스마트카드
KR100969926B1 (ko) 전자 카드를 내장한 통행료 정산 단말기
KR200430239Y1 (ko) 탈착식 장식부재가 구비된 유에스비 일체형 전자화폐
KR200378095Y1 (ko) Usb 단자를 구비한 카드
KR200412806Y1 (ko) 슬라이딩 방식의 유에스비 커넥터
KR200407740Y1 (ko) Sim 카드용 컨택터를 구비한 usb 온라인 충전 카드.
KR200391839Y1 (ko) 휴대전화기 카드장착소켓의 커버구조
KR200350772Y1 (ko) 이동통신단말용 카드장착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