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9696A -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무선통신모듈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무선통신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9696A
KR20060029696A KR1020067001804A KR20067001804A KR20060029696A KR 20060029696 A KR20060029696 A KR 20060029696A KR 1020067001804 A KR1020067001804 A KR 1020067001804A KR 20067001804 A KR20067001804 A KR 20067001804A KR 20060029696 A KR20060029696 A KR 20060029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module
connector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1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1256B1 (ko
Inventor
쯔치앙 허
지앤 진
단 우
지앤광 우
쥔 쯔
위 쩡
웨이 쥬
쯔치앤 마
홍타오 마
신링 우
용롱 왕
신셩 후앙
지앙웨이 쫑
Original Assignee
레노보(베이징)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노보(베이징)리미티드 filed Critical 레노보(베이징)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29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9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25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모듈과 호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제1 인터페이스 연결기와 하나의 모듈 외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는 무선통신모듈을 삽입할 위치를 미리 남기고, 이 위치에는 무선통신모듈의 제1 인터페이스 연결기에 대응되는 제2 인터페이스 연결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제1 인터페이스 연결기와 제2 인터페이스 연결기를 통하여 호스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SIM 카드 유닛을 집적한 무선통신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발과 응용에 소비되는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동통신단말기의 개발 주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모듈의 인터페이스를 간단하게 하였으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무선통신모듈{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radio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무선통신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달은 이동통신단말기 시장에 거대한 발전공간을 제공하였다. 이동통신단말기의 실현방안은 현재 주로 아래의 두 가지 방식이 있다.
첫째 방식은 베이스 밴드(base band)와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 회로의 칩 세트(chipset)를 통합하는 방식인데, 이 방식에 따르면 표준적인 단일 또는 이중 회로판 구조를, 키보드, LCD, SIM 카드 등을 포함하는 외부 회로와 통합한다. 핸드폰이 일반적으로 이러한 방식을 채용하는데 이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무선주파수와 베이스밴드 회로의 설계가 복잡하고 전면적이고 세심한 이동통신 기능 테스팅이 필요하기에, 연구개발과 생산비용을 대폭 증가시켰고 연구개발 주기가 늘어나며 신제품의 신속한 시장투입이 불리하였다.
둘째 방식은 무선통신 회로를 모듈화하여 무선통신모듈을 설계하며 상기 모듈을 호스트(HOST)에 용접하고, 안정하고 성숙한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무선주파수의 발송과 수신, 베이스밴드의 코딩과 디코딩, 및 프로토콜 스택의 운행을 진 행하며, 키보드, LCD, SIM 카드 등을 포함하는 외부 회로는 호스트를 통하여 제어기능을 실현한다. 현재 이러한 방식을 핸드폰에 응용하는 경우는 비교적 드문데, 일반적으로는 PDA, 노트북 컴퓨터 등 개인정보제품에 응용되어 무선통신 기능을 실현한다. 예를 들어, PDA는 무선통신모듈이 일반적으로 호스트의 메인 보드에 연결된다. 또한 무선통신모듈과 호스트를 단일 인쇄 기판에 직접 설계할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 무선통신모듈과 호스트는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하여 함께 연결되고, 이러한 무선통신모듈은 전부 호스트 내부에 설치되며, 플러그 앤 플레이 방식의 꽂으면 동작하는 방식을 지지하지 않고, 각 제조자의 인터페이스는 표준화되지 못하고 있다. 그 하드웨어 구조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고,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PDA의 무선통신 기능을 실현하는 하드웨어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서 무선통신모듈(100)은 무선주파수 안테나 소켓(102), 무선주파수 처리유닛(103), 베이스밴드 처리 및 전원관리 유닛(104), 기억장치(105) 등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 및 전원관리 유닛(104)은 상기 무선주파수 처리유닛(103)과 상기 기억장치(105)를 연결하고, 무선주파수의 발송과 수신, 베이스밴드의 코딩과 디코딩, 및 프로토콜 스택을 운행하며, 무선주파수 처리유닛(103)과 베이스밴드 처리 및 전원관리 유닛(104)은 자체의 인터페이스 회로(101)를 통하여 호스트(110)의 인터페이스 회로(111)에 연결된다. 호스트(110)는 주로 무선통신모듈(100)과 호스트(110) 기타 부분에 전기를 제공하는 전지와 전원관리 유닛(112), 인터페이스 통신을 제어하여 LCD 표시, 키보드 제어, 충방전 등 기본 기능을 실현하는 마이크로제어기(MCU)(113), 맨 머신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와 PDA 사이의 정보교류와 제어 활동을 실현하는 액정표시화면(LCD)(114), 음성 신호를 입출력하는 스피커와 마이크로폰(SPK & MIC)(115), 키보드(116), SIM 카드(117), 호스트의 프로그램, 벨 소리, 메시지 및 전화번호부 등을 저장하는 기억장치(118), 무선주파수 안테나(120)를 연결하는 무선주파수 안테나 플러그(121) 등의 부분을 포함한다. 그 중, 인터페이스 회로(101), (111)사이에서 전송되는 신호는 전원신호, 제어신호, SIM 카드신호, 데이터 및 명령신호와 음성 주파수신호를 포함하고, 데이터 및 명령신호는 표준적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실현할 수 있다.
PDA에서 무선통신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의 구조에 관해서는 도 2를 참조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PDA로 무선통신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무선통신모듈(200)은 인터페이스 구동 프로그램(201), CSD 프로토콜(202), AT 명령 해석기(203), PPP 프로토콜(204), IP 릴레이(205), GPRS/GSM 프로토콜 스택(206), 물리층(207) 등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들은 도 1의 무선통신모듈(100) 중의 기억장치(105)에 저장되고, 무선통신모듈(100) 중의 베이스밴드 처리 및 전원관리 유닛(104)을 통하여 처리를 진행한다.
호스트(210)는 무선통신모듈(200)과 상호 대응되도록 AT 명령/데이터 처리 프로그램(211), IP 응용 프로그램(212), TCP/IP 프로토콜(213), PPP 프로토콜(214), 인터페이스 구동 프로그램(215) 등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들은 도 1의 호스트(110) 중의 기억장치(118)에 저장되고, 호스트(110) 중의 MCU(113)를 통하여 처리를 진행한다.
그 중, 무선통신모듈(200) 중의 인터페이스 구동 프로그램(201)과 호스트(210) 중의 인터페이스 구동 프로그램(215)은 동일 유형의 PDA에서 상호 대응된다. 상이한 유형의 PDA는 상이한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PDA 인터페이스 구동 프로그램도 상이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상기 소프트웨어 구조 하에서 기본 동작 절차는 아래와 같다. 명령을 전송하는 경우 호스트 측에서 응용 프로그램이 상호 네트워크가 필요하다면, 우선 AT 명령 처리 프로그램을 통하여 대응되는 메시지를 AT 명령으로 포장하고, 그 다음 인터페이스 구동 프로그램을 통하여 발송을 행한다. 무선통신모듈 측에서는 모듈이 인터페이스 구동을 통하여 AT 명령을 접수한 후 AT 명령 해석층을 통하여 실질적인 프로토콜 메시지로 전환하여 프로토콜 스택에 발송한다.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데이터 스트림은 AT 해석층의 처리를 경과하지 않고, 인터페이스 구동을 통하여 호스트 측과 무선통신모듈 측 사이에서 직접 투명 전송을 진행한다. 사용자는 CSD 또는 GPRS를 선택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한다.
(1)만약 CSD를 선택하여 외부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한다면, 호스트 측의 AT 명령/데이터 처리 프로그램은 직렬 포트(serial port)를 통하여 통신 링크를 연결할 것을 요구하는 AT 명령을 발송한다. 무선모듈 측의 AT 명령 해석기는 직렬 포트로부터 AT 명령을 수신한 후 대응되는 처리를 진행하고, 또한 CSD 프로토콜과 GPRS/GSM 프로토콜을 제어하여 데이터 통신 링크의 연결을 진행한다. 연결이 확립된 후, 무선모듈 측의 AT 명령 해석기는 다시 네트워크 정보를 호스트 측의 AT 명 령/데이터 처리 프로그램에 반송하여, AT 명령/데이터 처리 프로그램이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수 있게 한다.
(2) 만약 GPRS를 선택하여 외부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한다면, 마찬가지로 호스트 측의 AT 명령/데이터 처리 프로그램, 무선모듈 측의 AT 명령 해석기, GPRS/GSM 프로토콜이 링크의 연결을 맡는다. 연결이 성공된 후,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수 있다. 데이터의 전송은 호스트의 IP 응용 프로그램, TCP/IP 프로토콜, 무선모듈의 PPP 프로토콜, IP 릴레이를 통하여 완성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방법의 최대 장점은 호스트 부분의 설계를 변경하기만 하면 이동통신단말기 중의 무선주파수(RF)와 주요한 베이스밴드 회로의 중복설계를 피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개발 주기를 단축하고 제조 회사가 더 신속히 신제품을 시장에 시판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현재 다른 제조자의 무선통신모듈의 인터페이스는 표준화가 부족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설계시 여러 방면의 제약을 받는다.
핸드폰을 예로 들면, 핸드폰 기능은 점점 많아지고 성능도 제고되고 있다. 예로서 생생한 사운드, 컬러 스크린, 세련된 디자인, 다중 매체 응용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요인들은 핸드폰 사용자가 핸드폰을 바꾸는 최대 원인이다. 하지만 상술한 두 가지 방식의 핸드폰은 하나의 공통적인 문제점을 나타내었다. 즉 무선통신회로 또는 무선통신모듈이 전부 인쇄기판에 용접 고정되었으므로 사용자가 외관 또는 부가 기능을 위하여 핸드폰을 바꾸는 경우 반드시 핸드폰 전체를 버려야 하기 때문에 핸드폰 내의 중복사용이 가능한 무선통신모듈도 버릴 수밖에 없게 되어 큰 낭비를 초래하였다.
기타 이동단말기에 관해서도 무선통신모듈의 인터페이스는 표준화가 부족하기 때문에 각각의 이동단말기는 모두 무선통신모듈을 설치해야만 하므로 역시 낭비로 지적된다.
위의 문제에 착안하여,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개발과 응용에서의 낭비를 줄이고 이동통신단말기의 개발주기를 단축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무선통신모듈의 인터페이스를 간단하고 표준화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통신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의 제1 방면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무선통신모듈과 호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적어도 무선주파수 처리유닛, 베이스밴드 처리 및 전원관리 유닛, 기억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는 적어도 마이크로제어기 유닛, 전지 및 전원관리 유닛, 음성 주파수 입출력 유닛, LCD 표시 유닛, 키보드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제1 인터페이스 연결기와 하나의 모듈 외각(crust)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모듈 외각 내에 포장되며, 제1 인터페이스 연결기 외부와의 연결부분은 모듈 외각으로부터 노출되고,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연결기는 무선통신모듈 내부의 무선주파수 처리유닛, 베이스밴드 처리 및 전원관리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호스트는 무선통신모듈을 삽입할 위치를 미리 남기고, 이 위치에는 무선통신모듈의 제1 인터페이스 연결기에 대응되는 제2 인터페이스 연결기를 더 포함하며, 제2 인터페이스 연결기의 외부와의 연결부분은 핸드폰 호스트로부터 노출되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연결기는 호스트 내부의 마이크로제어기 유닛, 음성 주파수 입출력 유닛, 전지 및 전원관리 유닛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제1 인터페이스 연결기와 제2 인터페이스 연결기를 통하여 호스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그 중,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연결기는 명령과 데이터, 제어신호, 음성주파수 신호 및 전원신호를 전송하는 제1 전원 및 신호 연결기와, 무선주파수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무선주파수 연결기를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양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연결기는 제1 전원 및 신호 연결기와 제1 무선주파수 연결기 인터페이스에 각각 대응되는 제2 전원 및 신호 연결기와 제2 무선주파수 연결기를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상기 호스트에서 미리 남긴 위치 중의 제1 전원 및 신호 연결기와 제1 무선주파수 연결기에 대응되는 양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 및 신호 연결기와 제2 전원 및 신호 연결기는 각각 보드 투 보드(board-to-board)연결기 플러그와 보드 투 보드 연결기 소켓일 수 있다.
상기 보드 투 보드 연결기 플러그와 보드 투 보드 연결기 소켓은 각각 골드 핀(gold-pin) 플러그와 골드 핀 소켓일 수 있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호스트에 삽입하는 경우 가압 접속 방식을 통하여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원 및 신호 연결기는 무선통신모듈을 호스트에 삽입하는 경우 무선통신모듈을 로킹하는 스냅 클로즈(snap clos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무선주파수 연결기는 무선주파수 소켓일 수 있고 제2 무선주파수 연결기는 무선주파수 플러그일 수 있으며, 상기 무선주파수 플러그는 직접 상기 무선주파수 소켓에 삽입 접속되거나, 가압 접속방식으로 무선주파수 소켓에 연결되거나, 또는 무선주파수 케이블을 통하여 무선주파수 소켓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무선주파수 소켓과 무선통신모듈 중의 무선주파수 처리유닛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무선주파수 플러그와 호스트 중에 본래 설치되어 있던 무선주파수 안테나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외부 무선주파수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외부 무선주파수 안테나는 하나의 무선주파수 플러그와 연결되고, 상기 무선주파수 소켓과 무선통신모듈 중의 무선주파수 처리유닛이 연결되고, 상기 외부 무선주파수 안테나는 그에 연결된 무선주파수 플러그를 통하여 상기 무선주파수 소켓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 및 신호 연결기와 제2 전원 및 신호 연결기는 명령과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되는 표준 RS232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베이스밴드 처리 및 전원관리 유닛에 연결되는 SIM 카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외각은 차폐 외각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의 제2 방면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무선주파수 처리유닛, 베이스밴드 처리 및 전원관리 유닛, 기억장치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모듈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SIM 카드 유닛과 제1 인터페이스 연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SIM 카드 유닛은 베이스밴드 처리 및 전원관리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연결기는 무선통신모듈 내부의 무선주파수 처리유닛, 베이스밴드 처리 및 전원관리 유닛과 연결되는 무선통신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연결기는 제1 전원 및 신호 연결기, 무선주파수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무선주파수 연결기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 각각은 무선통신모듈의 양단에 위치하여 무선주파수 신호가 그에 주는 영향을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 및 신호 연결기는 적어도 전원 인터페이스, 시스템 제어 인터페이스,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 및 음성 주파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무선주파수 연결기는 무선주파수 소켓일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외부 무선주파수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외부 무선주파수 안테나는 하나의 무선주파수 플러그와 연결되고, 상기 무선주파수 소켓과 무선통신모듈 중의 무선주파수 처리유닛이 연결되고, 상기 외부 무선주파수 안테나는 그에 연결된 무선주파수 플러그를 통하여 상기 무선주파수 소켓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무선주파수 플러그는 직접 상기 무선주파수 소켓에 삽입 접속되거나, 가압 접속방식으로 무선주파수 소켓에 연결되거나, 또는 무선주파수 케이블을 통하여 무선주파수 소켓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하나의 모듈 외각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모듈 외각 내에 포장되고, 제1 인터페이스 연결기의 외부와의 연결부분은 모듈 외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외각은 차폐 외각일 수 있다.
위의 본 발명의 기술방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통신모듈을 독립시켰기 때문에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선통신기능을 선택할 수 있고, 개발과 응용에서 낭비를 감소하였고, 이동통신단말기의 개발주기를 단축하였다. 무선통신모듈은 SIM 카드 유닛을 무선통신모듈에 집적하였기 때문에 호스트 측에서 SIM 카드 유닛을 고려할 필요가 없게 되였고, 동시에 무선통신모듈과 호스트 간에서는 단독적으로 SIM 카드 신호를 전송할 필요가 없게 되었으며, 무선통신모듈 인터페이스를 간단히 하였으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PDA의 무선통신 기능을 실현하는 하드웨어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PDA의 무선통신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실시예의 무선통신모듈과 호스트 사이의 연결을 표시한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방안 및 효과를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아래에서 실시예와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는 도 2에서 표시한 소프트웨어 구조를 응용하였다. 그 중, 무선통신모듈은 인터페이스 연결기를 포함하고, 무선통신모듈은 하나의 모듈 외각 내에 포장되며, 이동통신단말기의 호스트 중에는 무선통신모듈을 삽입할 위치를 미리 남기고, 이 위치에는 인터페이스 연결기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 연결기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모듈을 설치하고, 무선통신모듈을 독립시켜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선통신기능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무선통신모듈은 SIM 카드 유닛을 포함하여, 무선통신모듈의 인터페이스를 간단히 하여 사용자의 사용이 쉽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구조 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이동단말기는 핸드폰인데, 그 중의 무선통신모듈은 본 발명의 무선통신모듈을 사용하였고, 호스트와 무선통신모듈은 도 2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응용하였다.
그 중, 무선통신모듈(300)은 무선주파수 연결 소켓(302), 무선주파수 처리유닛(303), 베이스밴드 처리 및 전원관리 유닛(304), 기억장치(306), SIM 카드 및 SIM 카드 소켓을 포함한 SIM 카드 유닛(305), 전원 및 신호 연결기(301)를 포함한다. 무선주파수 연결 소켓(302)과 무선주파수 처리유닛(303)이 연결되고, 전원 및 신호 연결기(301)와 무선주파수 처리유닛(303)이 연결되어 핸드폰 호스트 기판(310)이 제공하는 전원을 접수한다. 전원 및 신호 연결기(301)는 동시에 베이스밴드 처리 및 전원관리 유닛(304)에 연결되고, 핸드폰 호스트 기판(310)이 발송하는 전기 연결 및 차단 신호, 무선통신모듈(300)을 리셋(reset)하는 리셋 신호, 무선통신모듈(300)과 핸드폰 호스트 기판(310) 사이에서 상호 전송되는 기상(wake-up) 신호, 명령과 데이터 신호, 음성 주파수 신호를 접수한다. SIM 카드 유닛(305)과 베이스밴드 처리 및 전원관리 유닛(304)이 상호 연결된다.
핸드폰 호스트(310)는 마이크로 제어기 유닛(313), 전지 및 전원관리 유닛(312), 음성 주파수 입출력 유닛(316), LCD표시 유닛(315), 키보드(314), 전원 및 신호 연결기(311), 무선주파수 연결 플러그(317), 및 안테나(318)를 포함한다. 무선주파수 연결 플러그(317)와 안테나(318)는 직접 연결되고, 전원 및 신호 연결기(311)는 핸드폰 호스트 내부의 마이크로 제어기 유닛(313), 음성 주파수 입출력 유닛(316), 및 전지, 전원관리 유닛(312)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무선통신모듈(300)은 전원 및 신호 연결기(301)와 전원 및 신호 연결기(311), 무선주파수 연결 소켓(302)과 무선주파수 연결 플러그(317)를 통하여 핸드폰 호스트 기판(310)에 연결되고, 전원 및 신호 연결기(301), (311)는 각각 보드 투 보드(board-to-board)의 인터페이스 연결기 소켓과 보드 투 보드의 인터페이스 연결기 플러그일 수 있다.
그 중, 전원 및 신호 연결기(301)와 전원 및 신호 연결기(311), 무선주파수 연결 소켓(302)와 무선주파수 연결 플러그(317)는 각각 짝을 이루는 인터페이스 연결기이고, 이 두 쌍의 연결기는 한 쌍의 인터페이스 연결기로 병합할 수도 있지만, 무선주파수가 음성 신호에 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이들을 분리하였다.
도 4는 도 3에서 표시한 실시예의 무선통신모듈과 호스트 사이의 연결을 표시한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 있어서, 1은 핸드폰 호스트 인쇄회로판(PCB)을 표시하고, 2는 무선주파수 연결기를 표시하며, 3은 전원 및 신호 연결기를 표시하고, 4는 무선통신모듈 PCB판을 표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무선통신모듈 PCB판 4는 전원 및 신호 연결기 3.1과 무선주파수 연결기 2.1을 포함하고, 이들은 각각 무선통신모듈 PCB판 4의 양단에 위치한다. 물론 이들은 좌우 또는 상하 양단에 설치할 수도 있는데, 단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 무선주파수회로가 음성신호에 대한 영향을 피할 수 있기만 하면 된다.
핸드폰 호스트 PCB판 1은 전원 및 신호 연결기 3.2와 무선주파수 연결기 2.2를 포함하고, 각각 핸드폰 호스트에서 미리 남긴 위치 중의 전원 및 신호 연결기 3.1과 무선주파수 연결기 2.1에 대응하는 양단에 설치되며, 외부로 연결하는 부분은 핸드폰 호스트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원 및 신호 연결기 3.2에는 하나의 로킹 부품 3.3을 포함하여, 무선통신모듈을 로킹할 수 있기 때문에 그와 전원 및 신호 연결기 3.1이 연결하는 경우 외력이 필요없이 가압 접속 연결을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통신모듈(300)은 하나의 차폐 케이스 모듈 외각을 포함하고, 이 무선통신모듈은 모듈 외각 내에 포장되고, 전원 및 신호 연결기 3.1과 무선주파수 연결기 2.1의 외부와 연결하는 부분은 모듈 외각에서 노출되었다.
상기 전원 및 신호 연결기 3.1과 전원 및 신호 연결기 3.2는 각각 골드 핀(gold-pin)플러그와 골드 핀 소켓이고, 무선통신모듈을 핸드폰 호스트에 삽입하는 경우 가압접속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무선주파수 연결기 2.1은 무선주파수 소켓이고, 무선주파수 연결기 2.2는 무선주파수 플러그이고, 무선주파수 연결기 2.2는 직접 무선주파수 소켓 2.1에 삽입 접속되거나, 가압 접속방식으로 무선주파수 소켓 2.1에 연결되거나, 또는 무선주파수 케이블을 통하여 무선주파수 소켓 2.1에 연결된다.
무선주파수 소켓 2.1은 무선통신모듈 중의 무선주파수 처리유닛에 연결되고, 무선통신모듈을 핸드폰 호스트에 삽입하는 경우 무선주파수 플러그 2.2를 통하여 핸드폰 호스트의 안테나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및 신호 연결기 3.1과 전원 및 신호 연결기 3.2는 전원 인터페이스, 시스템 제어 인터페이스,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 및 음성 주파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는 아래의 표 1을 참조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명칭 실현 기능 신호선 명칭 표기(notations)
전원 인터페이스 전원 공급 전원 신호선
접지선
시스템 제어 인터페이스 전송 제어 명령 전기연결 신호선 전기연결 또는 차단
리셋제어 신호선 무선통신모듈을 리셋
wake-up 신호선 무선통신모듈과 단말기가 상호 wake-up
UART 인터페이스 직렬 통신 RXD0 AT명령과 표준 Modem 인터페이스로 사용
TXD0
CTS
RTS
DSR
DTR
RI
CD
RXD1 무선통신모듈의 디버깅 또는 추적 신호
TXD1
접지선(선택가능) GND
음성 주파수 인터페이스 입출력 음성 주파수 신호 SPKP 외부 마이크로폰과 스피커에 차동신호(differential signal)를 제공하는 음성 주파수 인터페이스
SPKN
GND
MICP
MICN
GND
그 중, 핸드폰 호스트 중의 전지 및 전원 관리 유닛은 전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무선통신모듈에 전기를 공급한다. 시스템 제어 인터페이스는 핸드폰 호스트의 전기연결 또는 차단 신호, 무선통신모듈을 리셋하는 리셋 신호, 무선통신모듈과 핸드폰 호스트 사이의 상호 기상(wake-up) 신호 등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는 표준 RS232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 있어, 무선통신모듈과 핸드폰 호스트 사이에서 AT Command 명령과 데이터 신호를 주고 받아 시스템 설치와 음성연결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음성 주파수 인터페이스는 핸드폰 호스트 중의 음성 주파수 입출력 유닛과 무선통신모듈 중의 베이스밴드 처리 및 전원관리 유닛 사이에서의 음성 주파수 신호 전송에 사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이동단말기는 PDA 또는 스마트 폰(Smartphone)일 수 있고, 본 실시예의 호스트와 무선통신모듈도 도 2와 같은 소프트웨어 구조를 응용하였으며, 무선통신모듈은 도 3의 실시예의 무선통신모듈과 동일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이동단말기는 노트북 컴퓨터/PC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호스트와 무선통신모듈도 도 2와 같은 소프트웨어 구조를 응용하였으며,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조에 근거하여 무선통신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을 노트북 컴퓨터/PC의 오퍼레이팅 시스템(OS)에 설치하여, OS가 모듈에 대하여 식별, 구동 및 제어 등 기능을 실현할 수 있게 한다.
노트북 컴퓨터/PC에는 일반적으로 표준적인 인터페이스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기타 표준적이 아닌 하드웨어 기능 모듈을 증가하는 경우 우선 비표준 인터페이스를 표준 인터페이스로 전환해야만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전용적인 인터페이스 전환기 또는 인터페이스 전환선을 사용하였다. 무선통신모듈은 인터페이스 전환기를 통하여 노트북 컴퓨터/PC의 PCMCIA 카드에 연결되고, 인터페이스 전환기가 신호 레벨과 작업전압 등을 전환한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주파수 안테나를 무선 모듈에 설치하였다. 노트북 컴퓨터/PC에는 일반적으로 무선주파수 안테나가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안테나를 무선주파수 안테나 플러그/소켓을 통하여 모듈에 설치하여야 한다. 그리고 무선주파수 안테나 플러그와 소켓 사이에 무선주파수 케이블이 필요한가 하는 것은 안테나와 안테나 소켓 간의 거리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이동단말기는 도 6의 노트북 컴퓨터/PC의 기초에서, 노트북 컴퓨터/PC에 보드 투 보드의 연결 플러그를 전용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로 사용한다. 무선통신모듈과 무선주파수 안테나 등은 하나의 외각 내에 집적되어 외부에 인터페이스 전환이 없이도 하나의 표준적인 하드웨어 기능 모듈로서 직접 노트북 컴퓨터/PC에 삽입 연결할 수 있다.
위의 실시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는 무선통신모듈을 독립시켜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선통신 기능을 선택할 수 있게 했고, 개발과 응용 중의 낭비를 감소시켰고, 이동통신단말기의 개발 주기를 단축시켰다. 무선통신모듈은 SIM 카드 유닛을 무선통신모듈에 집적하여 무선통신모듈과 호스트 간에 SIM 카드 신호를 전송할 필요가 없게 하고 무선통신모듈 인터페이스를 간단히 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였다.
핸드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만약 단지 디자인 때문에 핸드폰을 바꾸는 경우 컴퓨터 외관만 바꾸면 되고, 만약 기능과 디자인을 바꾸려면 MCU를 부착하여 응용하는 호스트를 선택하면 되기 때문에 이동통신 부분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는 바꿀 필요가 없고 무선모듈은 플러그 앤 플레이를 실현하였다. 또한 개인적인 선택의 비용을 절감하였다.
그러므로 핸드폰 개발에서는 핸드폰 원래의 설계상 어려운 점, 즉 고주파수 설계 문제를 고려할 필요가 없고, 핸드폰의 PCB와 구조설계의 자유도가 증가되었기 때문에 핸드폰의 형식을 대폭 변경할 수 있으며, 핸드폰 설계의 개성화에 유리하며 게다가 생산과 수리비용은 줄어들었다.
통용하는 무선통신모듈은 완전한 의미에서의 플러그 앤 플레이를 실현할 수 있고, 핸드폰, PDA/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PC 등 임의의 무선통신 기능을 필요로 하는 정보장치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응용 비용도 감소하였다.

Claims (19)

  1. 무선통신모듈과 호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적어도 무선주파수 처리유닛, 베이스밴드 처리 및 전원관리 유닛, 기억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는 적어도 마이크로제어기 유닛, 전지 및 전원관리 유닛, 음성 주파수 입출력 유닛, LCD 표시 유닛, 키보드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제1 인터페이스 연결기와 하나의 모듈 외각(crust)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모듈 외각 내에 포장되며, 제1 인터페이스 연결기 외부와의 연결부분은 모듈 외각으로부터 노출되고,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연결기는 무선통신모듈 내부의 무선주파수 처리유닛, 베이스밴드 처리 및 전원관리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호스트는 무선통신모듈을 삽입할 위치를 미리 남기고, 이 위치에는 무선통신모듈의 제1 인터페이스 연결기에 대응되는 제2 인터페이스 연결기를 더 포함하며, 제2 인터페이스 연결기의 외부와의 연결부분은 핸드폰 호스트로부터 노출되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연결기는 호스트 내부의 마이크로제어기 유닛, 음성 주파수 입출력 유닛, 전지 및 전원관리 유닛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제1 인터페이스 연결기와 제2 인터페이스 연결기를 통하여 호스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연결기는 명령과 데이터, 제어신호, 음성주파수 신호 및 전원신호를 전송하는 제1 전원 및 신호 연결기와, 무선주파수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무선주파수 연결기를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양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연결기는 제1 전원 및 신호 연결기와 제1 무선주파수 연결기 인터페이스에 각각 대응되는 제2 전원 및 신호 연결기와 제2 무선주파수 연결기를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상기 호스트에서 미리 남긴 위치 중의 제1 전원 및 신호 연결기와 제1 무선주파수 연결기에 대응되는 양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및 신호 연결기와 제2 전원 및 신호 연결기는 각각 보드 투 보드(board-to-board)연결기 플러그와 보드 투 보드 연결기 소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 투 보드 연결기 플러그와 보드 투 보드 연결기 소켓은 각각 골드 핀(gold-pin) 플러그와 골드 핀 소켓이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호스트에 삽입하는 경우 가압 접속 방식을 통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 및 신호 연결기는 무선통신모듈을 호스트에 삽입하는 경우 무선통신모듈을 로킹하는 스냅 클로즈(snap clos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주파수 연결기는 무선주파수 소켓이고 제2 무선주파수 연결기는 무선주파수 플러그이며, 상기 무선주파수 플러그는 직접 상기 무선주파수 소켓에 삽입 접속되거나, 가압 접속방식으로 무선주파수 소켓에 연결되거나, 또는 무선주파수 케이블을 통하여 무선주파수 소켓에 연결되는 것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주파수 소켓과 무선통신모듈 중의 무선주파수 처리유닛이 연결되고, 상기 무선주파수 플러그와 호스트 중에 본래 설치되어 있던 무선주파수 안테나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외부 무선주파수 안테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무선주파수 안테나는 하나의 무선주파수 플러그와 연결되고, 상기 무선주파수 소켓과 무선통신모듈 중의 무선주파수 처리유닛이 연결되고, 상기 외부 무선주파수 안테나는 그에 연결된 무선주파수 플러그를 통하여 상기 무선주파수 소켓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및 신호 연결기와 제2 전원 및 신호 연결기는 명령과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되는 표준 RS232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베이스밴드 처리 및 전원관리 유닛에 연결되는 SIM 카드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외각은 차폐 외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2. 적어도 무선주파수 처리유닛, 베이스밴드 처리 및 전원관리 유닛, 기억장치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모듈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SIM 카드 유닛과 제1 인터페이스 연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SIM 카드 유닛은 베이스밴드 처리 및 전원관리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연결기는 무선통신모듈 내부의 무선주파수 처리유닛, 베이스밴드 처리 및 전원관리 유닛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연결기는 제1 전원 및 신호 연결기와, 무선주파수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무선주파수 연결기를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무선통신모듈의 양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및 신호 연결기는 적어도 전원 인터페이스, 시스템 제어 인터페이스,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 및 음성 주파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모듈.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주파수 연결기는 무선주파수 소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외부 무선주파수 안테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무선주파수 안테나는 하나의 무선주파수 플러그와 연결되고, 상기 무선주파수 소켓과 무선통신모듈 중의 무선주파수 처리유닛이 연결되고, 상기 외부 무선주파수 안테나는 그에 연결된 무선주파수 플러그를 통하여 상기 무선주파수 소켓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모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주파수 플러그는 직접 상기 무선주파수 소켓에 삽입 접속되거나, 가압 접속방식으로 무선주파수 소켓에 연결되거나, 또는 무선주파수 케이블을 통하여 무선주파수 소켓에 연결되는 것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모듈.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하나의 모듈 외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모듈 외각 내에 포장되고, 제1 인터페이스 연결기의 외부와의 연결부분은 모듈 외각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모듈.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외각은 차폐 외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모듈.
KR20067001804A 2003-09-26 2004-05-08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무선통신모듈 KR1007712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03160067.0 2003-09-26
CNB031600530A CN1302294C (zh) 2003-09-26 2003-09-26 适于雷电和近地大气电环境监测用恒速旋转倒装式电场仪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696A true KR20060029696A (ko) 2006-04-06
KR100771256B1 KR100771256B1 (ko) 2007-10-29

Family

ID=34660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7001804A KR100771256B1 (ko) 2003-09-26 2004-05-08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무선통신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71256B1 (ko)
CN (1) CN1302294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364B1 (ko) * 2006-08-14 2008-02-27 (주) 엘지텔레콤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
KR101466654B1 (ko) * 2013-04-11 2014-11-28 한빛 세마텍(주) 스마트폰용 허브 및 그 제어방법
US9806401B2 (en) 2010-11-05 2017-10-31 Apple Inc. Antenna system with antenna swapping and antenna tun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25385B (zh) * 2009-08-13 2011-08-10 浙江机电职业技术学院 防雷预警系统中的电场传感器
CN101871980B (zh) * 2010-06-02 2012-03-07 中国科学院空间科学与应用研究中心 一种组合式雷电监测与预报系统
CN102830383B (zh) * 2011-06-16 2015-02-04 中国科学院空间科学与应用研究中心 一种高精度宽量程的大气电场标定系统
CN103048552B (zh) * 2012-12-20 2015-02-25 孙海元 一种雷电预警的实现方法
WO2014101638A1 (zh) * 2012-12-31 2014-07-03 国网电力科学研究院武汉南瑞有限责任公司 倒置式低功耗恒速电场仪
CN103076508B (zh) * 2012-12-31 2015-09-02 国网电力科学研究院武汉南瑞有限责任公司 倒置式低功耗恒速电场仪
CN105116236B (zh) * 2015-09-06 2018-03-27 江苏省无线电科学研究所有限公司 适用于多领域用途的高灵敏度差分式旋转电场仪
CN105676008B (zh) * 2016-01-15 2020-04-14 中国电力科学研究院 一种数字式电场传感器
CN105954602B (zh) * 2016-05-23 2018-06-26 厦门大恒科技有限公司 一种大气电场信号跟随式测试仪及其测试方法
CN108693413B (zh) * 2018-04-25 2023-09-19 华北电力大学 旋转式光学电场传感器及其测定电场方法
CN109884411A (zh) * 2019-03-28 2019-06-14 赵青 一种mems空间电场强度传感器及测量系统及方法
CN110794225A (zh) * 2019-11-14 2020-02-14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高压直流电场检测装置及其制备方法
CN114710141B (zh) * 2022-06-07 2022-08-12 中国工程物理研究院流体物理研究所 具有多输出形态的重频高压脉冲发生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8887A (ja) * 1988-01-10 1989-07-17 Giichiro Kato 全天候型複式回転電界計
JPH0278375A (ja) * 1988-09-14 1990-03-19 Fuji Photo Film Co Ltd 電子スチル・カメラ
JPH06131040A (ja) * 1992-10-15 1994-05-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自律移動ロボット
FI110399B (fi) 1997-06-19 2003-01-15 Nokia Corp Langaton viestin
CN2311003Y (zh) * 1997-11-11 1999-03-17 中国科学院兰州高原大气物理研究所 球形空中电场仪
ES1049863Y (es) * 2001-07-12 2002-06-01 Dena Desarrollos S L Perfeccionamientos introducidos en dispositivos medidores de cargas electrostaticas.
JP3594001B2 (ja) * 2001-07-23 2004-11-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364B1 (ko) * 2006-08-14 2008-02-27 (주) 엘지텔레콤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장착용 컨테이너
US9806401B2 (en) 2010-11-05 2017-10-31 Apple Inc. Antenna system with antenna swapping and antenna tuning
KR101466654B1 (ko) * 2013-04-11 2014-11-28 한빛 세마텍(주) 스마트폰용 허브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01286A (zh) 2005-03-30
CN1302294C (zh) 2007-02-28
KR100771256B1 (ko) 2007-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256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무선통신모듈
EP1679913B1 (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radio communication module
US20140228074A1 (en) Embedded Accessory for Mobile Devices
JPH0730328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伝送システムのアセンブリ
CN102117121B (zh) 用于便携式计算设备的附件以及用于使附件工作的方法
CN102421207A (zh) 移动终端的多种移动通信制式兼容设计方法及移动终端
US8493282B2 (en) Handheld device with secondary screen for soft key descriptors
US20070103876A1 (en) Miniaturized form factor wireless communications card for generic mobile information devices
CN201323573Y (zh) 一种具有模块化电路板的移动终端
CN101997944A (zh) 便携式电子装置
CN1266970C (zh) 一种移动通信终端及其无线通信模块
CN101794205A (zh) 一种实现台式pc机无线控制的系统及设备
CN215341062U (zh) 用于配合计算设备使用的扩展装置以及计算系统
CN101409938A (zh) 无线通信模块
CN202679447U (zh) 一种蓝牙联接的手机多卡适配扩展装置
CN215934903U (zh) 一种终端设备
CN204087199U (zh) 无线传输及视频整合装置
CN218938890U (zh) 集成式4g安卓核心模块
CN201504327U (zh) 一种主从可切换多功能3g通讯模块
CN216751825U (zh) 串口服务器及监控系统
CN216670400U (zh) 一种可折叠的ar眼镜
CN214151694U (zh) 一种基于scm核心模块的低功耗小体积的手持平板主板
CN201204702Y (zh) 一种双模双待多功能手机
CN220528044U (zh) 通信设备
CN101383674B (zh) 实现移动多媒体广播接收的方法、接收卡及移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