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7199B1 -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7199B1
KR100807199B1 KR1020070100005A KR20070100005A KR100807199B1 KR 100807199 B1 KR100807199 B1 KR 100807199B1 KR 1020070100005 A KR1020070100005 A KR 1020070100005A KR 20070100005 A KR20070100005 A KR 20070100005A KR 100807199 B1 KR100807199 B1 KR 100807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entrifugal force
exhaust gas
semi
centrifug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진
Original Assignee
동원이앤텍 주식회사
최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원이앤텍 주식회사, 최광진 filed Critical 동원이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0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71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01D45/1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generated by rotating vanes, discs, drums or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346Controlling the proc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0Devices for simultaneous control of gas and combustion air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물을 소각할 때 발생된 배출가스에 포함된 산성가스를 반건식으로 정화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폐기물을 소각하는 설비와 연결되어 소각시 발생된 배출가스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스이동관과, 상기 가스이동관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배출가스가 원심력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회전유도부가 설치되는 가스원심부와, 상기 가스원심부와 연통되어 상기 배출가스를 정화시키는 반응챔버, 및 상기 반응챔버 내부로 액상의 반응약제를 공급하는 약제투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각설비에서 발생된 배출가스를 원심력이 발생되도록 반응챔버에 공급하게 된다. 즉, 소각설비에서 발생된 배출가스가 반응챔버로 유입될 때 일측으로 편류되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출가스의 전체적인 면적에 걸쳐서 반응약제를 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배출가스의 정화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소각, 폐기물, 배출가스, 배기가스, 산성가스, 원심력, 정화, 정화, 반건식

Description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Spray-Dry purification device using centrifugal force}
본 발명은 소각설비에서 폐기물을 소각할 때 발생된 배출가스를 정화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출가스에 내포된 산성가스(HCI, SO2, HF, H2S)를 반건식으로 정화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와 같은 폐기물을 소각할 때 소각설비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에는 산성가스, 비산재, 질소산화물, 중금속, 다이옥신류, 휘발성 유기가스 등과 같은 유해 대기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오염물질은 대기중으로 배출되기 전에 반드시 법적 기준치 이내로 처리해야 하며 그 중 염화수소(HCI), 황산화물(SO2), 불화수소(HF) 및 황화수소(H2S)와 같은 산성가스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수산화칼륨(Ca2), 수산화나트륨(NaOH), 탄산칼슘(CaCO3)와 같은 액상의 반응약제 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한 액상의 반응약제들을 배출가스에 접촉시키는 방법과 방식에 따라 그 반응효율이 달라지게 된다.
첨부된 도 1은 종래의 반건식 정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반건식 정화장치는 소각설비(10)와 덕트(20)로 연결되는 처리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처리부(30)는 수직으로 설치되며 내부는 외부와 격리되는 밀폐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처리부(30)의 내부 상측에는 상기 반응약제가 분사되는 분사노즐(31)이 설치되고, 상기 처리부(30)의 하측에는 배출구(3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덕트(20)는 상기 처리부(30)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소각설비(10)에서 발생된 배출가스가 상기 덕트(20)를 통해 상기 처리부(30)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배출가스는 하나의 덕트(20)를 통해 상기 처리부(30) 내부로 공급되는데, 이때, 상기 덕트(20)로 이동되는 상기 배출가스는 대략 15~20m/s의 유속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처리부(30) 내부의 가스체류 유속은 대략 1~1.5m/s로서, 상기 덕트(20)에서 상기 처리부(30) 내부로 인입되는 순간 상기 배출가스가 순간적으로 확산되면서 공급된다.
그런데, 상기 배출가스의 확산 범위가 분사노즐(31)을 통해 고압으로 분사되는 반응약제의 분사범위를 벗어나게 되어 상기 처리부(30) 내부에서 상기 배출가스가 상기 반응약제와 접촉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배출가스는 상기 반응약제의 일부와 반응하지 못한 채 처리부(30) 내부를 통과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반응약제는 상기 배출가스의 일부를 정화시키지 못한 채 처리부(30) 내부를 통과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즉 반응약제와 배출가스의 반응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상기 반응약제의 투입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그런데, 과다한 반응약제의 투입으로 인해서 유지비가 상승된다. 뿐만 아니라 처리부(30)의 하측, 즉 반응처리물 배출구(33)에 반응약제가 적층되어 시간이 경과 될수록 굳어지게 되고, 설비의 압력손실을 증가 및 이후 처리되는 후처리 설비에도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이는 처리부(30) 내부로 유입되는 배출가스가 하나의 덕트(20)로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처리부(30) 내부의 일측 방향으로 편류된 상태로 배출가스가 공급된다. 이로 인해 반응약제가 상기 배출가스와 접촉되는 면적이 달라지게 되어 상기 배출가스의 제거 효율이 저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처리부(30) 내부로 상기 배출가스가 인입될 때, 덕트(20)와 처리부(30)의 유속 차이로 인한 난류현상과 확산현상으로 인해서 분사노즐(31)을 통해 분사되는 반응약제와 배출가스와의 접촉효율이 저하되어 상기 배출가스의 제거 효율이 더욱더 저하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도시된 도면부호 32는 배출가스가 처리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덕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출가스에 원심력이 발생된 상태에서 반응약제를 투입하여 배출가스의 전체적인 공간에 걸쳐서 반응약제를 접촉시킬 수 있는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는, 폐기물을 소각하는 설비와 연결되어 소각시 발생된 배출가스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스이동관; 상기 가스이동관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배출가스가 원심력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회전유도부가 설치되는 가스원심부; 상기 가스원심부와 연통되어 상기 배출가스를 정화시키는 반응챔버; 및 상기 반응챔버 내부로 액상의 반응약제를 공급하는 약제투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원심부는 상기 배출가스 및 상기 반응약제를 상기 반응챔버로 공급하는 배출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부는 상기 가스원심부 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회전지지축; 및 상기 회전지지축의 외주면에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어 상기 배출가스를 회전시키는 회전날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원심부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가스이동관은 복수개의 상기 가스원심부에 각각 연결된다.
본 발명의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면과 하면, 그리고 외주면이 모두 밀폐된 수용부가 구비된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에 상기 가스원심부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원심부는 외주면에 개폐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원심부는 배출가스 및 반응약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부는 상기 회전지지축이 회전된다.
본 발명의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부는 상기 회전날개가 상기 회전지지축에 대하여 회전된다.
본 발명의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는, 소각설비에서 발생된 배출가스를 회전시켜 원심력을 이용하여 반응챔버에 공급하게 된다. 즉, 소각설비에서 발생된 배출가스가 반응챔버로 유입될 때 일측으로 편류되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반응챔버로 공급되는 배출가스가 중심에서부터 넓은 영역으로 분산되면서 유입되기 때문에 반응약제가 배출가스의 전체적인 면적에 걸쳐서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가스의 정화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소각설비에 복수개의 가스이동관이 연결되고, 각각의 가스이동관에 가스원심부가 연결되어 대형의 소각설비에서 발생된 다량의 배출가스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도 2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100)는 가스이동관(110), 가스원심부(120), 약제투입부(130), 회전유도부(140), 및 반응챔버(15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가스이동관(110)은 일단이 소각설비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스원심부(120)에 연결된다. 이 가스이동관(110)은 하나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스이동관(110)은 배출가스가 이동될 수 있도록 내부에 통로가 구비된 관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스이동관(110)이 복수개로 이루어질 경우 서로 밀착된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가스이동관(110)은 목재, 금속,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내식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내주면이 코팅된다. 그러나,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니켈, 크롬 등과 같이 내식성에 강한 소재로 구비되어 별도의 코팅을 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가스원심부(120)는 내부에 공간부(121)가 구비된다. 상기 가스원심부(120)는 원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중심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기울기를 갖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원심부(120)의 외주면 일측에는 전술되어진 가스이동관(110)이 연결되어, 소각설비에서 발생된 배출가스가 상기 가스이동관(110)을 통해 상기 가스원심부(120) 내부로 공급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스원심부(120)는 그 하면에 배출구(122)가 설치되는데, 상기 배출구(122)는 상기 가스원심부(120)의 하면의 전체적인 면적에 걸쳐서 관통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원심부(120)로 공급된 배출가스는 상기 배출구(122)를 통해 후속공정인 반응챔버(150)로 인계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가스원심부(120)는 하나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복수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가스이동관(110)의 개수에 따라 상기 가스원심부(120)의 개수도 결정된다.
한편, 상기 약제투입부(130)는 상기 가스원심부(120)의 상측에 설치된다. 상기 약제투입부(130)는 반응챔버(150) 내부로 액상의 반응약제를 투입하기 위한 것이다. 이 액상의 반응약제는 상기 배출가스에 포함된 산성가스를 정화하는 투입물로서, 이러한 반응약제는 종래 기술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도록 한다.
상기 약제투입부(130)는 상기 가스원심부(120)의 상면 중심부에 연결되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공급관(131)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공급관(131)의 상단부에는 상기 반응약제가 저장된 탱크와 호스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약제투입 부(130)에는 별도의 조절밸브가 설치되어 상기 반응약제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회전유도부(140)는 상기 가스원심부(12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스원심부(120)에 구비된 공간부(121)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가스원심부(120)로 유입되는 배출가스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회전유도부(140)는 회전지지축(141)과 회전날개(142)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지지축(141)은 그 상단이 상기 가스원심부(120)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날개(142)는 상기 회전지지축의 외주면에 등간격을 갖도록 고정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 회전날개(142)는 상기 회전지지축(141)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에 의해 상기 회전지지축(141)에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날개(142)는 상기 회전지지축(141)의 상단부, 중심부, 또는 하단부에 선택적으로 위치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서는 상기 회전지지축(141)의 하단부에 위치되도록 도시하였다. 즉, 상기 회전날개(142)는 상기 가스이동관(110)의 높이보다 낮게 위치된다.
상기 회전유도부(140)는 첨부된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지지축이 상기 가스원심부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날개(142)가 상기 회전지지축에 결합된다. 따라서, 배출가스가 가스이동관(110)을 통해 가스원심부(120)로 유입되면 상기 배출가스는 상기 회전날개(142)에 의해 원심력이 유지된 상태로 하측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출가스는 상기 가스이동관(110)을 통해 상기 가스원심부(120)내로 공급될 때, 그리고 상기 가스원심부(120)에서 하측 방향으로 이송될 때 원심력이 발생된 상태로 유입된다.
즉, 상기 가스이동관(110)은 상기 가스원심부(120)와 접선 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가스원심부(12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직경을 갖기 때문에 상기 배출가스는 상기 가스원심부(120)로 유입될 때 원심력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회전유도부(140)에 의해서 상기 배출가스는 원심력이 유지된 상태로 하측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유도부(140)는 첨부된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지지축(141)이 상기 가스원심부(120)의 상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가스의 유입에 의해 상기 회전날개(142)가 자유 회전될 수도 있다. 이 회전날개(142)는 상측에서 하측 방향을 갈수록 기울어지도록 하여 상기 배출가스의 유입에 따라 상기 회전날개(142)가 회전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회전유도부(140)는 첨부된 도 5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날개(142)가 상기 회전지지축(141)에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회전지지축(141)이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지지축(141)이 상단이 상기 가스원심부(120)에 베어링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상기 회전지지축(141)의 상단에 회전력전달부(미도시) 및 구동부가 연결될 수도 있다.
도 5b의 경우, 상기 회전지지축(141)은 상기 배출가스가 가스원심부(120) 내 부로 유입되는 속도에 따라 자연적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고, 도 5c의 경우는 인위적으로 상기 회전지지축(141)을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력전달부로 상기 회전지지축(141)을 회전시킬 경우, 상기 회전지지축(141)은 그 상단부가 상기 가스원심부(120)의 상면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회전지지축(141)은 상기 가스원심부(120)에 베어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지지축(141)의 상단에 풀리(Pulley), 스프로킷(Sprocket), 기어(스퍼기어[Spur gear], 베벨기어[Bevel gear], 헬리컬기어[Helical gear], 피니언기어[pinion gear] 등) 중 어느 하나의 부재가 결합되고, 이러한 부재들을 각각 구동시킬 수 있는 상기 구동부는 모터(Moter)로 구비된다. 이 모터의 회전축에는 상기한 풀리, 스프로킷, 기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일한 부재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풀리로 채용됐을 경우에는 벨트(Belt)로 연결되고, 스프로킷은 체인(Chain)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지지축(141)이 이러한 회전력전달부로 구비될 경우에는 상기 회전지지축(141) 및 상기 회전날개(142)의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전술되어진 약제투입부(130)에 구비된 공급관(131)은 상기 회전지지축(141) 내부로 관통되고, 상기 공급관(131)의 하단이 상기 가스원심부(120)의 하면보다 낮게 위치된다.
한편, 상기한 가스원심부(120)는 외주면에 개폐부(160)가 더 구비되는데, 이 개폐부(160)는 상기 회전유도부(140)를 유지 보수하기 위해, 즉 상기 가스원심 부(120)의 내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가스원심부(120)의 상면에는 투시창(170)이 구비된다. 이 투시창(170)은 상기 가스원심부(120)로 유입되는 배출가스의 양, 또는 이 배출가스의 공급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스원심부(120)는 복수개로 구비될 경우, 그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서 내부에 수용부가 구비된 본체(180) 내부에 설치된다. 이 본체(180)는 상면과 하면, 그리고 외주면이 모두 폐쇄되고, 상기 가스원심부(120)에 구비된 배출구(122)가 상기 본체(180)의 하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원심부(120)에 구비된 투시창(170) 및 약제투입부(130)가 상기 본체(180)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위치된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100)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각설비에서 폐기물을 소각하게 되면 배출가스가 발생되는데, 이 배출가스는 가스이동관(110)을 통해 가스원심부(120)로 공급된다. 즉, 상기 소각설비와 덕트로 연결된 가스이동관(110) 내부로 상기 배출가스가 이동되어 상기 가스원심부(1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스원심부(120) 내부로 유입되는 배출가스는 대략 15~20m/s의 유속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가스가 상기 가스원심부(120) 내부로 지속적으로 공급되면 상기 배출가스는 상기 가스원심부 내에서 원심력이 발생된다. 이는 상기 가스이동관(110)이 상기 가스원심부(120)에 접선 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가 스원심부(120)는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기 때문에, 상기 배출가스는 상기 가스원심부 내에서 원심력이 발생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가스원심부(120) 내부, 즉 공간부(121)에 설치된 회전유도부(140)가 회전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유도부(140)는 가스원심부(120) 내로 유입될 때 원심력이 발생된 상기 배출가스에 회전력을 유도하여 배출을 안내한다. 또한, 상기 공간부(121) 내에서 상기 배출가스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즉, 상기 회전지지축(141)의 상단이 상기 가스원심부(120)의 상측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회전날개(142)가 상기 회전지지축(141)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으로 연결되어 배출가스가 유입되는 유속으로 인해 상기 회전날개(142)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회전날개(142)가 상기 회전지지축(141)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회전지지축(141)이 상기 공간부(121) 내에서 회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는 상기 회전날개(142)가 상기 회전지지축(141)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지지축(141)은 그 상단이 상기 가스원심부(120)에 대하여 베어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배출가스의 유속으로 인해 상기 회전지지축(141) 및 상기 회전날개(142)가 회전을 하게 된다.
또한, 별도의 구동부가 상기 회전지지축(141)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회전지지축(141) 및 상기 회전날개(142)가 회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지지축(141)과 상기 구동부는 벨트와 풀리, 체인과 스프로 킷, 다수개의 기어와 같은 회전력전달부로 인해서 상기 회전지지축(141) 및 상기 회전날개(142)를 회전시키게 된다.
즉, 상기 가스이동관(110)은 상기 가스원심부(120)에 접선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배출가스는 상기 공간부(121)에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원심력이 발생된다.
나아가 상기한 회전날개(142)가 상기 공간부(121) 내에서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배출가스는 상기 공간부(121)에서 원심력이 발생된다. 이 가스원심부(120) 내에서 회전하게 되는 배출가스는 그 하측에 설치된 배출구(122)를 통해 반응챔버(150)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배출가스는 그 중심에서 외측방향으로 넓게 퍼지면서 상기 반응챔버(150)로 유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약제투입부(130)로 액상의 반응약제가 투입되고, 상기 반응챔버(150) 내부에서 상기 배출가스의 전체적인 영역에 걸쳐서 상기 반응약제와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배출가스에 포함된 산성가스는 상기 반응약제로 인해 정화되고, 이후 상기 반응챔버(150)에 연결된 관을 통해서 후속공정으로 인계되거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반응챔버(150) 내에서 상기 배출가스를 정화될 때, 작업자는 가스원심부(120)의 상부에 설치된 투시창(170)을 통해 상기 가스원심부(120) 내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회전유도부(140)가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는지 유무, 배출가스가 정상적으로 유입되고 있는지 유무, 약제투입부(130)로 액상의 반응약제가 분사되고 있는지 유무 등을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동작 상태에 따라 회전유도부(140)의 속도를 조작하거나, 반응약제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소각설비의 대형화로 인해서 상기한 가스원심부(120)는 하나의 본체(180)에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가스원심부(120)에 각각 가스이동관(110)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가스이동관(110)은 그 일단이 하나의 소각설비에 모두 연결되고, 상기 가스이동관(110)의 타단은 복수개의 가스원심부(120)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소각설비에서 발생된 배출가스는 복수개의 가스원심부(120)를 통해 하나의 반응챔버로 이동되어 산성가스를 정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반건식 정화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원심력을 이용한 번건식 정화장치의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에 구비된 가스원심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정화장치 110 : 가스이동관
120 : 가스원심부 121 : 공간부
122 : 배출구 130 : 약제투입부
140 : 회전유도부 141 : 회전지지축
142 : 회전날개 150 : 반응챔버
160 : 개폐부 170 : 투시창
180 : 본체

Claims (9)

  1. 폐기물을 소각하는 설비와 연결되어 소각시 발생된 배출가스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스이동관;
    상기 가스이동관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배출가스가 원심력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회전유도부가 설치되는 가스원심부;
    상기 가스원심부와 연통되어 상기 배출가스를 정화시키는 반응챔버; 및
    상기 반응챔버 내부로 액상의 반응약제를 공급하는 약제투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원심부는,
    상기 배출가스 및 상기 반응약제를 상기 반응챔버로 공급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부는,
    상기 가스원심부 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회전지지축; 및
    상기 회전지지축의 외주면에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배출가스가 상기 반응챔버로 이동될 때 회전을 유도하는 회전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원심부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가스이동관은 복수개의 상기 가스원심부에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면과 하면, 그리고 외주면이 모두 밀폐된 수용부가 구비된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에 상기 가스원심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원심부는,
    외주면에 개폐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원심부는,
    배출가스 및 반응약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부는,
    상기 회전지지축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부는,
    상기 회전날개가 상기 회전지지축에 대하여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
KR1020070100005A 2007-10-04 2007-10-04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 KR100807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005A KR100807199B1 (ko) 2007-10-04 2007-10-04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005A KR100807199B1 (ko) 2007-10-04 2007-10-04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7199B1 true KR100807199B1 (ko) 2008-02-28

Family

ID=39383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005A KR100807199B1 (ko) 2007-10-04 2007-10-04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71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311B1 (ko) * 2019-06-24 2020-10-22 이대훈 마늘용 집진시스템에 적용되는 고효율 수평필터장치
KR102398148B1 (ko) * 2021-06-28 2022-05-17 권득용 소각처리 배출가스 정화용 대기오염 방지시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311B1 (ko) * 2019-06-24 2020-10-22 이대훈 마늘용 집진시스템에 적용되는 고효율 수평필터장치
KR102398148B1 (ko) * 2021-06-28 2022-05-17 권득용 소각처리 배출가스 정화용 대기오염 방지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39856A1 (en) Fume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using ultraviolet light to degrade contaminants
CN109663487B (zh) 一种废气处理系统
KR100807199B1 (ko) 원심력을 이용한 반건식 정화장치
US201300254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gas separation
CN107998860B (zh) 一种用于处理燃煤烟气的新型废气处理系统
CN104667674B (zh) 涂装废气处理工艺及其装置
CN112604479A (zh) 一种化学加工废气净化方法
CN217795465U (zh) 一种工业有机废气净化处理设备
KR20180131723A (ko) 오염 가스 집진장치
CN107029532A (zh) 一种用于烟气的脱硫脱硝一体化装置及方法
CN107952313A (zh) 一种用于处理燃煤烟气的新型废气处理系统
KR20140107565A (ko) 황화물-함유 폐가성소다의 처리 방법
KR20230121600A (ko) 폐가스 정화 시스템
JP3136640U (ja) 工場排煙の処理装置
KR101438703B1 (ko) 초고도처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장치
KR102459540B1 (ko) 유해가스 정화가 가능한 순환식 흄후드
KR20140094976A (ko) 배가스 유입속도 조절이 가능한 선박용 습식 세정설비
CN110743356A (zh) 一种含液危化品废气净化方法
CN107952358B (zh) 一种废气处理装置
CN108579379A (zh) 一种用于实验室的气体回收净化系统
KR100917908B1 (ko) 혼합식 가스처리장치
CN210584299U (zh) 一种渗沥液收集池尾气处理装置
CN112007501A (zh) 单进双出的基于水流驱动实现摇摆喷雾的脱硫脱硝设备
CN217978852U (zh) 一种危废焚烧系统烟气管道用清理装置
CN216203350U (zh) 一种尾气处理设备用脱硫脱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