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1600A - 폐가스 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가스 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1600A
KR20230121600A KR1020237019527A KR20237019527A KR20230121600A KR 20230121600 A KR20230121600 A KR 20230121600A KR 1020237019527 A KR1020237019527 A KR 1020237019527A KR 20237019527 A KR20237019527 A KR 20237019527A KR 20230121600 A KR20230121600 A KR 20230121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waste gas
air quality
purification system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9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중-쑹 웨이
Original Assignee
중-쑹 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쑹 웨이 filed Critical 중-쑹 웨이
Publication of KR20230121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160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346Controlling the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impinging the gas to be cleaned essentially in a perpendicular direction onto the liquid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9/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other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0Controlling by gas-analysis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6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measuring method or the display, e.g. intermittent measurement or digital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47/00Details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2247/08Means for controlling the separation proc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Abstract

폐가스 정화 시스템은, 가스 용기(1), 폐가스를 가스 용기(1)로 간헐적으로 유입시키는 가스 투입부(13), 폐가스를 정화시킨 후 가스 용기(1) 밖으로 배출시키는 가스 토출부(14), 및 가스 용기(1) 내에 배치되고 폐가스 내의 미립자 물질을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폐가스를 정화하는 포집 디바이스(21)를 구비하는 오염물질 포집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 투입부(13)가 상기 가스 용기(1)로의 폐가스의 유입을 허용하는 활성 시간의 길이는 60초를 초과하지 않으며, 상기 가스 투입부(13)가 상기 가스 용기(1)로의 폐가스의 유입을 허용하지 않는 정지 시간의 길이는 30분을 초과하지 않는다.

Description

폐가스 정화 시스템
본 개시는 폐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가스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많은 공장에서 연료를 태우는 장치를 설치하여, 고온 처리를 위한 고온 환경을 만든다. 이러한 장치는 통상적으로 석탄이나 화석 연료를 사용하여 다량의 폐가스가 발생할 것이다. 폐가스에는 통반적으로 입상 오염물질, 황산화물, 수산화물 등과 같은 유해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공장에서 사용되는 것 외에도 운송 차량과 같은 다른 기계도 작동 중에 폐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 또는 기계의 작동 중에 발생하는 폐가스가 대기로 직접 배출되어 오염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환경 보호 규정에서는 이러한 장치 또는 기계에서 발생하는 폐가스 또는 연기에 대한 배출 기준을 규정하고 있으므로, 산업계에서는 통반적으로 장치 또는 기계에 폐가스 정화 시스템을 설치하여 폐가스를 정화한다.
중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103212257호는 종래의 폐가스 정화 시스템을 개시한다. 종래의 폐가스 정화 시스템은 케이싱과 케이싱에 배치된 점액 벽을 포함한다.
케이싱에는 두 개의 개구가 형성되는데, 그 중 하나는 폐가스가 케이싱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폐가스가 정화된 후 케이싱 밖으로 폐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점액 벽은, 실리카계 고분자 점액이 유동 상태로 분포하여, 폐가스 내 미립자 물질을 부착하는 것에 의해 폐가스를 정화하는 표면을 갖는다. 그러나 기존의 폐가스 정화 시스템은 정화 효과가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완화할 수 있는 폐가스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르면, 폐가스 정화 시스템은 가스 용기, 가스 투입부, 가스 토출부 및 오염물질 포집 장치를 포함한다. 가스 투입부는 폐가스를 가스 용기에 간헐적으로 진입시키기 위한 것이다. 가스 투입부가 가스 용기로 폐가스의 유입을 허용하는 활성 시간의 길이는 60초를 초과하지 않는다. 가스 투입부가 가스 용기로 폐가스의 유입을 허용하지 않는 정지 시간의 길이는 30분을 초과하지 않는다. 가스 토출부는 폐가스가 정화된 후 가스 용기로부터 폐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오염물질 포집 장치는 가스 용기 내에 배치되며, 폐가스 내의 미립자 물질을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폐가스를 정화하는 포집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폐가스 정화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예시하는 부분 개략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를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폐가스 정화 시스템의 제 2 실시예를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폐가스 정화 시스템의 제3 실시예를 예시하는 부분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폐가스 정화 시스템의 제4 실시예를 예시하는 부분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폐가스 정화 시스템의 제5 실시예를 예시하는 부분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폐가스 정화 시스템의 제6 실시예를 예시하는 부분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폐가스 정화 시스템의 제7 실시예를 예시하는 부분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폐가스 정화 시스템의 제8 실시예를 예시하는 부분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폐가스 정화 시스템의 제9 실시예를 예시하는 부분 부분 개략도이다.
본 개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참조 번호 또는 참조 번호의 말단 부분은 선택적으로 유사한 특성을 가질 수 있는 대응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도면들 사이에서 반복되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폐가스 정화 시스템의 제1 실시예는, 폐가스를 발생시키는 폐가스 발생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폐가스 발생 장치로부터 폐가스를 공급받아 정화한 후, 정화된 폐가스를 폐가스 정화 시스템으로부터 배출한다. 본 실시예의 폐가스 정화 시스템은 가스 흐름 제어 장치(1), 오염물질 포집 장치(2) 및 디바이스 제어 장치(3)를 포함한다.
가스 흐름 제어 장치(1)는 정화 공간(11)을 규정하는 가스 용기(12)와, 폐가스를 가스 용기(12)의 정화 공간(11)으로 간헐적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폐가스 발생 장치에 연결되어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 투입부(13), 및 폐가스가 정화된 후 가스 용기(12)의 정화 공간(11)으로부터 폐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스 토출부(1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스 흐름 제어 장치(1)는 하나의 가스 투입부(13) 및 하나의 가스 토출부(14)를 포함하지만, 본 개시가 이와 관련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스 흐름 제어 장치(1)는 정화된 폐가스를 가스 용기(12)로부터 배출하는 것을 돕기 위해 가스 토출부(14)에 장착되는 배기 팬(15)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음).
본 실시예에서, 가스 투입부(13)는, 가스 용기(12)에 장착되고, 개구(131)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131)를 통해 가스 용기(12)의 정화 공간(11)으로 폐가스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폐가스를 간헐적으로 (예컨대, 주입에 의해) 유입시키도록 구성된 노즐을 포함한다. 가스 토출부(14)는 가스 투입부(13)와 반대측에서 가스 용기(12)에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하지만[예를 들어, 도 1에서 가스 투입부(13)는 가스 용기(12)의 상부에 배치되고 가스 토출부(14)는 가스 용기(12)의 하부에 배치됨], 이 개시가 이에 대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즉, 가스 투입부(13) 및 가스 토출부(14)가 가스 용기(12)의 반대측에 배치되지 않는 것도 가능함]. 가스 투입부(13) 및 가스 토출부(14) 각각은 가스 투입부(13) 및 가스 토출부(14) 중 대응하는 것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작동 가능한 밸브(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
오염물질 포집 장치(2)가 가스 용기(12) 내에 배치되며, 포집 디바이스(21), 구동 디바이스(22) 및 접착제 공급 디바이스(23)를 포함한다. 포집 디바이스(21)는 폐가스에 미립자 물질을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폐가스를 정화하도록 구성된다. 구동 디바이스(22)는 포집 디바이스(21)를 지속적으로 움직이도록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접착제 공급 디바이스(23)는 포집 디바이스(21)에 접착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 디바이스(22)는, 가스 투입부(13) 아래쪽에 배치되는 2개의 롤러(221)와, 롤러(221)에 연결되어 롤러의 회전을 제어하는 모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며; 포집 디바이스(21)는 롤러(221) 상에서 이동하는 벨트이며, 이 벨트는 롤러(221)가 회전할 때 가스 투입부(13) 아래에서 주행한다. 포집 디바이스(21)는 본질적으로 점착성일 수도 있고 또는 본질적으로 비점착성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포집 디바이스(21)는, 하나의 롤러(221)로부터 다른 롤러(221)로 연장되고, 롤러(221)가 회전할 때 가스 투입부(13) 아래에서 주행하는 테이프(이형지 포함 또는 미포함)나, 각 롤러(221)가 부분적으로 잠기는 액체 접착제나, 또는 다른 적절한 요소일 수 있다. 포집 디바이스(21)가 본질적으로 점착성인 경우 접착제 공급 디바이스(23)를 생략할 수 있다. 포집 디바이스(21)의 구조가 변경되면 구동 디바이스(22)의 구조가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착제 공급 디바이스(23)는 가스 투입부(13)의 개구(131)를 향하는 포집 디바이스(21)의 표면에 접착제를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분사하고, 가스 용기(12) 내부의 고정 위치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접착제 공급 디바이스(23)는 포집 디바이스(21)의 표면과 평행하게 왕복 운동하거나 순환하도록 구동되거나, 또는 포집 디바이스(21)의 표면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피벗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공급 디바이스(23)는 접착제를 포집 디바이스(21)의 표면에 확산시키거나 다른 방식으로 포집 디바이스(21)의 표면에 접착제를 공급할 수 있다. (a) 오염물질 포집 장치(2)에 포함된 포집 디바이스(21)의 개수는 1개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2개, 3개 또는 3개 초과일 수 있고; 또한 (b) 오염물질 포집 장치(2)에 포함된 접착제 공급 디바이스(23)의 개수는 1개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2개, 3개 또는 3개 초과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디바이스 제어 장치(3)는 공기질 검출기(31)(시중에서는 공기질 감시기(air quality monitor) 또는 공기질 검출 시스템이라고도 함), 제어기(32) 및 구동기(33)를 포함한다. 공기질 검출기(31)는 가스 용기(12)에 의해 규정된 정화 공간(11)에 배치되며, 정화 공간(11) 내의 폐가스의 공기질(예를 들어, 폐가스 내의 미립자 물질의 농도)을 검출하고, 이에 의해 검출된 폐가스의 공기질을 나타내는 공기질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제어기(32)는 공기질 검출기(31), 구동기(33), 가스 투입부(13), 가스 토출부(14) 및 구동 디바이스(22)와 통신으로 연결되고, 공기질 검출기(31)로부터 공기질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다. 구동기(33)는 가스 투입부(13)에 연결된다. 제어기(32)는 공기질 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폐가스의 공기질에 기초해서, 가스 투입부(13), 가스 토출부(14), 구동 디바이스(22) 및 구동기(33)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어기(32)는 가스 투입부(13)의 동작 상태(즉, 개방 또는 폐쇄) 및 가스 투입부(13) 내의 가스 흐름[가스 투입부(13) 내의 가스 유량, 가스 투입부(13)가 가스 용기(12) 내로 폐가스의 투입을 허용하는 활성 시간의 길이, 및 가스 투입부(13)가 가스 용기(12) 내로 폐가스의 투입을 허용하지 않는 정지 시간(pause time)의 길이를 포함함]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활성 시간의 길이는 60초를 초과하지 않는다. 정지 시간의 길이는 30분을 초과하지 않는다. 정지 시간에는 새로운 폐가스가 정화 공간(11)으로 유입되지 않아 정화 공간(11)에서 부유하는 미립자 물질을 교란시키지 않을 것이며, 정화 공간(11)에서 부유하는 미립자 물질이 포집 디바이스(21)의 표면에 떨어질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여, 정화 효과를 증진할 수 있다. 제어기(32)는 가스 토출부(14)의 동작 상태(즉, 개방 또는 폐쇄) 및 구동 디바이스(22)의 동작 속도[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롤러(211)의 회전 속도]를 추가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어기(32)는 구동기(33)를 추가로 제어하여 가스 투입부(13)를 움직이게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가스 투입부(13)는 이 가스 투입부로부터 포집 디바이스(21) 표면까지의 거리가 가변적인 방식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가스 투입부(13)는 포집 디바이스(21)의 표면에 평행하지 않은 직선으로 왕복운동할 수도 있고[예를 들어, 도 1에서 포집 디바이스(21)의 표면에 수직인 직선으로 왕복운동함), 포집 디바이스(21)의 표면에 평행한 평면 상이 아닌 곡선으로 왕복운동할 수도 있고, 포집 디바이스(21)의 표면에 평행한 평면 이외의 곳에서 순환할 수도 있고, 또는 포집 디바이스(21)의 표면에 수직하지 않은 축을 중심으로 피봇할 수도 있다. 구동기(33)는 이 실시예에서 가스 용기(12) 내에 배치되는 전동 슬라이드이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선형 액추에이터, 공압 실린더 또는 다른 요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32)는 추가로 접착제 공급 디바이스(23)에 통신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접착제 공급 디바이스(23)의 동작을 추가로 제어할 수 있다.
작동 중에, 제어기(32)는 구동 디바이스(22)를 제어하여 포집 디바이스(21)를 지속적으로 움직이도록 구동한다. 접착제 공급 디바이스(23)는 포집 디바이스(21)의 표면에 접착제를 분사하여, 포집 디바이스(21)의 표면에 접착제의 점착성을 유지한다. 제어기(32)는 가스 투입부(13) 및 가스 토출부(14)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여, 폐가스를 정화 공간(11)으로 유도한 후, 포집 디바이스(21)의 표면으로 유도한다. 포집 디바이스(21) 표면 상의 접착제는 폐가스에 포함된 미립자 물질을 부착하여 폐가스를 정화한다. 공기질 검출기(31)는 정화 공간(11) 내의 폐가스의 공기질을 검출하고, 이에 따라 검출된 폐가스의 공기질을 나타내는 공기질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기(32)는 공기질 검출기(31)로부터 공기질 신호를 수신하고, 공기질 신호에 기초하여 가스 투입부(13), 가스 토출부(14), 구동 디바이스(22) 및 구동기(33)의 동작을 제어한다. 공기질 신호에 의해 표시된 폐가스의 공기질이 제1 사전결정된 레벨보다 나쁘다고 판단되면, 제어기(32)는 가스 투입부(13)의 활성 시간 길이를 감소시키거나, 가스 투입부(13)의 가스 유량을 감소시키거나, 가스 투입부(13)가 즉시 폐쇄되도록 제어하거나, 포집 디바이스(21)의 표면에 더 가까이 이동하게 가스 투입부(13)를 구동하도록 구동기(33)를 제어하거나, 구동 디바이스(22)의 동작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그러면 도 1에 도시된 롤러(211)의 회전 속도가 증가할 수도 있음] 구동 디바이스(22)를 제어할 수도 있다. 공기질 신호에 의해 표시된 폐가스의 공기질이 제 1 사전결정된 레벨보다 더 나은 공기질을 나타내는 제 2 사전결정된 레벨보다도 더 좋다고 판단되면, 제어기(32)는 가스 투입부(13)의 활성 시간의 길이를 연장하거나, 가스 투입부(13)의 가스 유량을 증가시키거나, 포집 디바이스(21)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가스 투입부(13)를 구동하도록 구동기(33)를 제어하거나, 구동 디바이스(21)의 동작 속도를 감소시키도록 [그러면 도 1에 도시된 롤러(211)의 회전 속도가 감소될 수도 있음] 구동 디바이스(21)를 제어하거나, 또는 즉시 동작을 멈추도록 [그러면 도 1에 도시된 롤러(211)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음) 구동 디바이스(21)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포집 디바이스(21)의 사용으로 인한 과도한 폐기물을 발생시키지 않고 폐가스 내의 미립자 물질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 공기질 신호에 의해 표시된 폐가스의 공기질이 배출 기준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면, 제어기(32)는 가스 토출부(14)를 개방하도록 제어하여, 정화된 폐가스를 가스 용기(12)로부터 배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32)는, 폐가스가 가스 용기(12)로 처음 유입될 때의 폐가스의 공기질과, 폐가스가 가스 용기(12)로부터 배출될 때의 폐가스의 공기질에 기초하여, 오염물질 포집 장치(2)에 의한 정화 전후의 폐가스의 공기 오염 지수를 생성하고, 이러한 공기 오염 지수를 나타내는 공기 오염 지수(air pollution index: API)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제어 장치(3)는, 제어기(32)와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API 신호를 수신하고, API 신호에 따라 정화 전후의 폐가스의 공기 오염 지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폐가스의 공기질 개선에 대해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폐가스 정화 시스템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며, 폐가스 정화 시스템이 환경 파라미터 제어 장치(4)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환경 파라미터 제어 장치(4)는 온도 제어 디바이스(41) 및 습도 제어 디바이스(42)를 포함한다. 온도 제어 디바이스(41)는 폐가스가 가스 투입부(13)를 통해 가스 용기(12)로 유입되기 전에 폐가스를 사전결정된 온도를 갖도록 조정하도록 배치되며, 가스 투입부(13)의 측벽을 향해 바람을 불어 가스 투입부(13) 내의 폐가스의 온도를 낮추는 팬이나, 가스 투입부(13)의 측벽을 향해 찬 공기 또는 따뜻한 공기를 불어주는 공조기, 또는 가스 투입부(13)의 측벽에 매립되는 전기 가열관 등으로 실현될 수 있다. 습도 제어 디바이스(42)는 폐가스가 가스 투입부(13)를 통해 가스 용기(12)로 유입되기 전에 폐가스를 사전결정된 습도를 갖도록 조정하도록 배치되며, 제습기 및/또는 가습기로 구현될 수 있다. 폐가스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정함으로써, 포집 디바이스(21) 표면의 접착제의 점착성을 최적화하여, 폐가스 내의 미립자 물질을 부착하는 오염물질 포집 장치(2)의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일부 변형예에서, 환경 파라미터 제어 장치(4)는 온도 제어 디바이스(41) 및 습도 제어 디바이스(42) 중 하나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환경 파라미터를 조정할 수 있는 다른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환경 파라미터 제어를 위한 디바이스의 위치 및 구조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것이므로, 그 세부 사항은 간결성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폐가스 정화 시스템의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며, 포집 디바이스(21)의 표면 상에 가스 투입부(13)의 투영 위치가 가변적인 방식으로 가스 투입부(13)가 구동기(33)에 의해 이동되도록 구동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가스 투입부(13)는 포집 디바이스(21)의 표면에 대해 수직이 아닌 직선[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 디바이스(21)의 표면에 대해 평행한 직선]으로 또는 곡선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스 투입부(13)는, 가스 투입부(13)로부터 포집 디바이스(21)의 표면까지의 거리 및 포집 디바이스(21)의 표면 상에서의 가스 투입부(13)의 투영 위치가 모두 가변적인 방식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폐가스 정화 시스템의 제4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며, 포집 디바이스(21)의 표면에 대한 가스 투입부(13)의 각도가 가변적인 방식으로 이동하도록 구동기(33)에 의해 가스 투입부(13)가 구동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구동기(33)는 포집 디바이스(21)의 표면에 수직이 아닌 축[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 디바이스(21)의 표면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가스 투입부(13)가 피봇하게 하는 샤프트로 실현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스 투입부(13)는, 포집 디바이스(21)의 표면에 대한 가스 투입부(13)의 각도가 가변적이고, 가스 투입부(13)로부터 포집 디바이스(21)의 표면까지의 거리 또는 포집 디바이스(21)의 표면 상에서의 가스 투입부(13)의 투영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가변적인 방식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폐가스 정화 시스템의 제5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며, 포집 디바이스(21)의 표면을 향하는 복수의 개구(131)가 가스 투입부(13)에 형성되어, 폐가스에 노출되는 포집 디바이스(21) 표면상의 접착제의 영역 수(따라서 전체 면적)를 증가시켜, 정화 효율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폐가스 정화 시스템의 제6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가스 흐름 제어 장치(1)가 복수의 가스 투입부(13)를 포함하는 점, 및 가스 투입부(13)의 각 개구(131)가 모두 포집 디바이스(21)의 표면을 향하도록 하여, 폐가스에 노출되는 포집 디바이스(21) 표면 상의 접착제의 영역 수(따라서 전체 면적)를 증가시켜, 정화 효율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제6 실시예의 일부 변형예에서는, 각각의 가스 투입부(13)에, 복수의 개구(131)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폐가스 정화 시스템의 제7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며, 가스 흐름 제어 장치(1)가 반사체(16)를 더 포함하는 점, 접착제 공급 디바이스(23)가 움직이도록 구동되는 점, 및 오염물질 포집 장치(2)의 구조의 면에서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제7 실시예에서, 오염물 포집 장치(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동 디바이스(22)를 포함하지 않는다. 포집 디바이스(21)는 가스 투입부(13) 아래의 고정 위치에 배치되는 밴드이고, 이 밴드는 필요시 새 밴드로 교체할 수 있다. 포집 디바이스(21)는 본 실시예에서 본질적으로 비점착성이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질적으로 점착성일 수도 있다. 접착제 공급 디바이스(23)는 가스 투입부(13)의 개구(131)를 향하는 포집 디바이스(21)의 표면과 평행하게 왕복운동하거나 순환하여 포집 디바이스(21)의 표면 전체에 접착제를 분사한다. 반사체(16)는 가스 투입부(13)의 개구(131) 위쪽에서 가스 투입부(13)에 장착되고, 가스 투입부(13)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므로, 포집 디바이스(21)의 표면으로부터 튀어 올라온 폐가스 내의 미립자 물질이 반사체(16)에 의해 되돌아가게 되며, 그에 따라 폐가스 내의 미립자 물질이 포집 디바이스(21)의 표면에서 먼 정화 공간(11)에서 부유하는 시간의 길이를 감소시켜, 폐가스 내의 미립자 물질이 포집 디바이스(21) 표면 상의 접착제에 의해 포집(부착)될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포집 디바이스(21) 표면 상의 접착제에 의해 폐가스 내의 미립자 물질이 포집될 가능성은, 반사체(16)의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더욱 증가될 수 있다. 가스 흐름 제어 장치(1)에 포함되는 반사체(16)의 개수는 1개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2개, 3개 또는 3개 초과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제7 실시예의 일부 변형예에서, 오염물질 포집 장치(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또는 다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폐가스 정화 시스템의 제8 실시예는 제7 실시예와 유사하며, 반사체(16)의 표면(161)에 폐가스 내의 미립자 물질을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가 분포되어, 폐가스 내의 미립자 물질이 포집될 가능성을 높인다는 점에서 제7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폐가스 정화 시스템의 제9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며, 오염물질 포집 장치(2)의 구조 및 가스 투입부(13)의 이동 방식의 면에서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제9 실시예에서, 구동 디바이스(22)는 롤러(221) 상에서 이동하고, 롤러(221)가 회전할 때 가스 투입부(13) 아래에서 주행하는 이송 벨트(222)를 더 포함한다. 오염물질 포집 장치(2)는, 이송 벨트(222)로 순차적으로 공급되고, 롤러(221)가 회전할 때 이송 벨트(222)와 함께 이동하여 가스 투입부(13) 아래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복수의 포집 디바이스(21)를 포함한다. 각각의 포집 디바이스(21)는 폐가스 내의 미립자 물질을 부착하기 위해 접착제가 분포된 표면을 갖는 판이다. 포집 디바이스(21)는 본 실시예에서 본질적으로 점착성이고, 그 경우 접착제 공급 디바이스(23)가 생략될 수도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질적으로 비점착성일 수도 있으며, 그 경우 접착제 공급 디바이스(23)가 필요할 것이다. 포집 디바이스(21)가 본질적으로 점착성이고 접착제 공급 디바이스(23)가 생략되지 않은 경우, 접착제 공급 디바이스(23)는 포집 장치(2)의 표면에 접착제를 공급하여, 포집 디바이스(21) 표면의 접착제의 점착성을 유지한다. 가스 투입부(13)는 폐가스가 가스 용기(12)로 간헐적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포집 디바이스(21)의 표면이 폐가스에 하나씩 노출되도록 한다. 구동기(33)는 이송 벨트(222)의 표면 상의 가스 투입부(13)의 투영 위치가 가변적인 방식으로 이동되도록 가스 투입부(13)를 구동하도록 구성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식 슬라이드일 수도 있다. 폐가스 정화 시스템은 포집 디바이스(21)를 이송 벨트(222)로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장치(도시되지 않음)와, 폐가스 내의 미립자 물질로 오염된(즉, 폐가스 내의 미립자 물질이 부착된) 포집 디바이스(21)를 이송 벨트(222)로부터 순차적으로 받아 들이기 위한 수취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공급 장치 및 수취 장치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는 생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가스 투입부(들)(13)은 간헐적으로 가스 용기(12) 내로 폐가스의 유입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므로, 가스 투입부(들)(13)의 활성 및 정지 시간의 길이가 적절하게 결정될 때 폐가스가 효과적으로 정화될 수 있다 .
상기 설명에서는, 실시예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설명의 목적을 위해 수많은 구체적인 세부 사항이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당업자에게는 이러한 특정 세부 사항들 중 일부 없이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들이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일 실시예", "실시예", 서수 표시가 있는 실시예 등에 대한 언급은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개시의 실시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본 설명에서, 다양한 특징들은 때때로 본 개시의 능률화 및 다양한 발명적 측면의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단일 실시예, 도면 또는 그 설명에서 함께 그룹화되며, 한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특징 또는 특정 세부 사항은 본 개시의 실시에서 적절한 경우 다른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특징 또는 특정 세부 사항과 함께 실시될 수 있음을 더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가 예시적인 실시예로 간주되는 것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는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러한 모든 수정 및 동등한 배열을 포괄할 수 있도록 가장 넓은 해석의 정신 및 범위 내에 포함된 다양한 배열을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5)

  1. 폐가스 정화 시스템에 있어서,
    가스 용기와;
    상기 가스 용기에 폐가스를 간헐적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가스 투입부 - 상기 가스 투입부가 상기 가스 용기에 폐가스의 유입을 허용하는 활성 시간의 길이가 60초를 초과하지 않고, 상기 가스 투입부가 상기 가스 용기에 폐가스의 유입을 허용하지 않는 정지 시간의 길이가 30분을 초과하지 않음 - 와;
    상기 폐가스가 정화된 후 상기 가스 용기 밖으로 상기 폐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가스 토출부와;
    상기 가스 용기 내에 배치되고, 상기 폐가스에 미립자 물질을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폐가스를 정화하는 포집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오염물질 포집 장치를 포함하는, 폐가스 정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투입부로부터 상기 포집 디바이스의 표면까지의 거리가 가변적인 방식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가스 투입부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구동기를 더 포함하는, 폐가스 정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 디바이스의 표면 상에서의 상기 가스 투입부의 투영 위치가 가변적인 방식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가스 투입부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구동기를 더 포함하는, 폐가스 정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 디바이스의 표면에 대한 상기 가스 투입부의 각도가 가변적인 방식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가스 투입부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구동기를 더 포함하는, 폐가스 정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물질 포집 장치는 복수의 포집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포집 디바이스의 각 표면은 폐가스에 하나씩 노출되는, 폐가스 정화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토출부에 장착되는 배기 팬을 더 포함하는, 폐가스 정화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질 검출기와 제어기를 구비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질 검출기는 상기 가스 용기 내에 배치되며, 상기 가스 용기 내의 폐가스의 공기질을 검출하고, 상기 폐가스의 공기질을 나타내는 공기질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공기질 검출기와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공기질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가스 투입부와 통신적으로 추가로 연결되고, 상기 공기질 신호에 의해 표시된 폐가스의 공기질에 기초해서 상기 가스 투입부 내의 가스 유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폐가스 정화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질 검출기와 제어기를 구비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질 검출기는 상기 가스 용기 내에 배치되며, 상기 가스 용기 내의 폐가스의 공기질을 검출하고, 폐가스의 공기질을 나타내는 공기질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공기질 검출기와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공기질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가스 투입부와 통신적으로 추가로 연결되며, 상기 공기질 신호에 의해 표시된 폐가스의 공기질에 기초하여 상기 가스 투입부의 활성 시간 및 정지 시간의 길이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폐가스 정화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투입부에는 상기 포집 디바이스의 표면을 향하는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는, 폐가스 정화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가스 정화 시스템은 복수의 상기 가스 투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 투입부 각각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를 통해 폐가스가 상기 가스 용기로 유입되며, 상기 가스 투입부의 개구는 상기 포집 디바이스의 표면을 향하는, 폐가스 정화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투입부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를 통해 폐가스가 상기 가스 용기로 유입되며, 상기 폐가스 정화 시스템은 반사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체는 상기 가스 투입부의 개구 위쪽에서 상기 가스 투입부에 장착되고 상기 가스 투입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폐가스 정화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는 폐가스 내의 미립자 물질을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가 분포된 표면을 갖는, 폐가스 정화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질 검출기와 제어기를 구비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염물질 포집 장치는, 상기 포집 디바이스를 연속적으로 움직이게 구동하도록 구성된 구동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질 검출기는 상기 가스 용기 내에 배치되며, 상기 가스 용기 내의 폐가스의 공기질을 검출하고 폐가스의 공기질을 나타내는 공기질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공기질 검출기와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공기질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구동 디바이스와 통신적으로 추가로 연결되며, 상기 공기질 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폐가스의 공기질이 제1 사전결정된 레벨보다 나쁜 경우 상기 구동 디바이스의 동작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구동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공기질 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폐가스의 공기질이 제1 사전결정된 레벨이 나타내는 것보다 좋은 공기질을 나타내는 제2 사전결정된 레벨보다 좋은 경우 상기 구동 디바이스의 동작 속도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구동 디바이스를 제어하게 구성되는, 폐가스 정화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가스가 상기 가스 투입부를 통해 상기 가스 용기로 유입되기 전에 상기 폐가스를 사전결정된 온도를 갖도록 조정하도록 배치된 온도 제어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환경 파라미터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는, 폐가스 정화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가스가 상기 가스 투입부를 통해 상기 가스 용기로 유입되기 전에 상기 폐가스를 사전결정된 습도를 갖도록 조정하게 배치된 습도 제어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환경 파라미터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는, 폐가스 정화 시스템.
KR1020237019527A 2020-12-17 2021-12-15 폐가스 정화 시스템 KR202301216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9144736A TWI768600B (zh) 2020-12-17 2020-12-17 廢氣淨化系統
TW109144736 2020-12-17
PCT/IB2021/061758 WO2022130234A1 (en) 2020-12-17 2021-12-15 Waste gas purific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600A true KR20230121600A (ko) 2023-08-18

Family

ID=78369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9527A KR20230121600A (ko) 2020-12-17 2021-12-15 폐가스 정화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826692B2 (ko)
JP (1) JP2023554018A (ko)
KR (1) KR20230121600A (ko)
CN (2) CN114642936A (ko)
TW (1) TWI768600B (ko)
WO (2) WO20221302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2753A (zh) * 2020-11-09 2022-05-10 魏荣宗 废气净化系统
TWI768600B (zh) * 2020-12-17 2022-06-21 魏榮宗 廢氣淨化系統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37021A1 (de) * 1972-07-12 1974-01-31 Grolitsch Erhard Dipl Agr Vorrichtung zum zerstaeuben von fluessigkeiten
CH685233A5 (de) * 1992-01-14 1995-05-15 Georg Schlumpf Vorrichtung zum Auffangen des Lacküberschusses bei der Spritzlackierung.
JP3136037B2 (ja) * 1993-12-24 2001-02-19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塗装機
AU4633301A (en) * 2000-03-08 2001-09-17 Kwongkeung Leung Clean equipment for collecting particles in waste gas from exhaust pipe and method thereof
BE1014468A3 (nl) * 2001-04-09 2003-11-04 Belmeko Engineering Nv Filterinrichting.
JP2004050061A (ja) * 2002-07-19 2004-02-19 Takeo Kamigaki 消臭装置および消臭方法
JP4409910B2 (ja) * 2003-10-31 2010-02-03 日本ペイント株式会社 スプレー塗装装置および塗装方法
JP4171007B2 (ja) * 2005-07-06 2008-10-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塗布ガンの洗浄方法
JP3122535U (ja) * 2006-04-04 2006-06-15 カクイ株式会社 空気清浄機
KR100724167B1 (ko) * 2006-04-27 2007-05-31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도료분사장치 및 방법
DE102008045553A1 (de) * 2008-09-03 2010-03-04 Dürr Systems GmbH Lackiereinrichtung und zugehöriges Verfahren
CN102256711B (zh) * 2008-12-19 2014-08-27 杜尔系统有限公司 涂漆设备和用于运行涂漆设备的方法
JP5645739B2 (ja) * 2011-04-11 2014-12-24 長州産業株式会社 保護フィルター装置
JP2014048100A (ja) * 2012-08-30 2014-03-17 Sharp Corp 粒子検出装置
KR20140077494A (ko) * 2012-12-14 2014-06-24 주식회사 마미아이앤지 공기 청정기
CN103212257B (zh) * 2013-03-22 2015-11-18 顾怀宇 用于清除pm2.5的气体净化装置
KR101764815B1 (ko) * 2015-11-09 2017-08-03 유니셈(주) 폐가스 처리장치용 전처리장치
CN111365806B (zh) * 2016-01-05 2022-01-14 豪威株式会社 空气净化单元和包括空气净化单元的空气清洁/通风装置
KR102056846B1 (ko) * 2016-11-18 2019-12-17 유다은 연속 사용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용 필터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102529619B1 (ko) * 2016-12-22 2023-05-04 브이브레쓰 피티와이 리미티드 공기 여과 장치 및 시스템
CN110180303A (zh) * 2019-05-23 2019-08-30 淄博棠鸣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外扩式高温废气处理装置
US20200384405A1 (en) * 2019-06-05 2020-12-10 Jung-Tsung Wei Exhaust gas purification system
CN210564713U (zh) * 2019-07-11 2020-05-19 深圳市贝斯特净化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金属dpf颗粒捕集器的废气净化系统
CN111514671B (zh) * 2020-04-20 2022-05-03 广东大福建设有限公司 一种市政环境保护用废气处理装置
TWI768600B (zh) * 2020-12-17 2022-06-21 魏榮宗 廢氣淨化系統
TWM621662U (zh) * 2020-12-17 2022-01-01 魏榮宗 廢氣淨化系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54018A (ja) 2023-12-26
US11826692B2 (en) 2023-11-28
WO2022130234A1 (en) 2022-06-23
TWI768600B (zh) 2022-06-21
US20220193595A1 (en) 2022-06-23
WO2022130231A1 (en) 2022-06-23
CN214552163U (zh) 2021-11-02
TW202224757A (zh) 2022-07-01
CN114642936A (zh) 2022-06-21
US20220193594A1 (en)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21600A (ko) 폐가스 정화 시스템
WO2004048852A8 (en) Method for treating emissions
KR101857216B1 (ko)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KR102176467B1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오염원배출 공정설비 관리시스템
KR101539346B1 (ko) 배기가스처리패키지 시스템
CN102091488B (zh) 一种转轮漆雾净化装置
KR102415773B1 (ko) 도로 지하차도 및 터널용 매연 외 포집 공기정화시스템
US11772034B2 (en) Waste gas purification system
WO2009124402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polluted gases
KR101030679B1 (ko) 유해가스 배출 장치
US201401992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zero emission combined heat and power
KR101887560B1 (ko) 소각로에 적용하여 효율적으로 배기가스를 정화할 수 있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
CN1070994C (zh) 全燃烧联合设备
JP2001503827A (ja) 粒子および有害ガスの排気を清浄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212999177U (zh) 一种有机废气处理设备
CN109894000A (zh) 双波段uv光解氧化智能循环控制复合废气处理系统
KR102186101B1 (ko) 워터 제트 서큘레이팅 스모크 리덕션 시스템
CN220152823U (zh) 油烟净化器及吸油烟机
KR102302958B1 (ko) 싱글타워 멀티 싸이클론 기반의 탈취장치
KR20140000568U (ko) 수분침입을 방지하는 수단이 구비된 집진장치
TWI787941B (zh) 廢氣淨化系統
CN116007154A (zh) 一种分布式自适应空气净化控制系统及方法
JPH116631A (ja) オイルミスト除去用空調方法及びその装置
CN210544009U (zh) 一种工业废气处理装置
CN1133481C (zh) 水幕型尘土净化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