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846B1 - 연속 사용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용 필터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연속 사용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용 필터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846B1
KR102056846B1 KR1020160154362A KR20160154362A KR102056846B1 KR 102056846 B1 KR102056846 B1 KR 102056846B1 KR 1020160154362 A KR1020160154362 A KR 1020160154362A KR 20160154362 A KR20160154362 A KR 20160154362A KR 102056846 B1 KR102056846 B1 KR 102056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m member
filter
reel
ai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6280A (ko
Inventor
유다은
유장호
Original Assignee
유다은
유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다은, 유장호 filed Critical 유다은
Priority to KR1020160154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846B1/ko
Publication of KR20180056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8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woun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Abstract

본 발명은 송풍되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분리할 수 있고, 연속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장시간 필터부재의 교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공기정화기용 필터의 제공 및 그 필터를 사용한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권취 릴과; 상기 권취 릴과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공급 릴과; 상기 공급 릴에 일단이 고정되어 소정 두께를 이루도록 감겨져 인출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권취 릴에 고정되어 있어 권취 릴의 감김 회전에 의해 상기 공급 릴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권취 릴에 감겨지게 되는 박막이며 장척의 길이 및 소정 폭을 가진 필름부재와; 상기 필름부재의 적어도 송풍되는 공기가 부딪히는 표면에 도포 형성되어, 공기 속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달라붙게 하는 점착성을 가진 오염물질흡착제층;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Description

연속 사용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용 필터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AIR CLEANING FILTER THAT CAN BE USED CONTINUOUSLY AND AIR CLEANER PROVIDED WITH SAME}
본 발명은 공기 청정 기능을 갖는 각종 기기에 설치함으로써 공기 중의 먼지를 효과적으로 포집해서 공기를 정화할 수 있고, 특히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소위 PM2.5를 대표로 하는 미립자 분리 처리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공기 청정용 필터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주택, 사무소, 차량 등에 있어 외부와의 열전달에 의한 열손실을 차단하고 외부로부터 먼지의 실내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기밀성을 가진 창문 설치의 일반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실내공기의 자연환기를 위해서는 수시로 창문을 개방시켜 환기를 시켜주어야 하나, 창문 개방이 불편하고, 또 개방할 수 있는 창문의 크기도 매우 작아져 환기성이 좋지 않은 등에 의해, 건물의 내장재를 구성하는 합판, 바닥장판, 벽지를 벽면에 도포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 실내 벽면에 바르는 도료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포름알데히드나 톨루엔 등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이나 실내에서 발생하는 먼지, 곰팡이, 하우스 더스트, 진드기, 애완동물의 털, 담배의 연기 등이 실내에 계속해서 체류하거나, 분진이나 꽃가루 등의 각종 입자상 물질 등이 인체나 의복 등에 부착되어서 옥외로부터 실내로 유입되거나 해서 인체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하고, 건강 피해를 야기할 경우가 있다.
특히 최근 편서풍을 타고 중국에서 유입되는 각종 이물질 등 중 각종 중금속 등의 유해성분뿐만 아니라 미세 먼지는 창문 틈 사이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방지할 수 없을 정도로 크기가 작아 건강에 매우 나쁜 영향을 미치고 있어 미세먼지의 여과처리가 중요한 화두가 되어 가정이나 사무소 등에 공기 정화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공기 중을 부유하는 먼지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미세먼지(微細-, Particulate Matter, PM) 또는 분진(粉塵)이란 아황산가스, 질소 산화물, 납, 오존, 일산화탄소 등과 함께 수많은 대기오염물질을 포함하는 대기오염 물질로 자동차, 공장 등에서 발생하여 대기 중 장기간 떠다니는 입경 10㎛ 이하의 미세한 먼지로 PM10이라 하고, 그중 입자가 2.5㎛ 이하인 경우는 PM 2.5라고 쓰고 초미세먼지(超微細 먼지, Ultra-Particulate Matter)라고 부르며, 학술적으로는 총칭해서 에어로졸(aerosol)이라고 부른다. 미세먼지(fine particles) 는 부유 분진(Suspended particles), 입자상 물질(Particulate matter) 등으로도 불리며 명칭에 따라 약간씩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입자상 물질은 공기역학적 입경(지름)이 10nm에서 100㎛ 정도이며, 이보다 입경이 큰 경우는 중력에 의한 침강 효과로 대기중 체류시간이 아주 짧기 때문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으나, 미세 먼지, 특히 초미세 먼지는 대기 중에 장기간 체류하면서 기류 이동에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고 입자 크기가 너무 작아 일반적인 필터를 통해서는 여과시키기가 어려워, 면역력이 약한 노인층과 임산부 및 태아에 나쁜 영향을 미치며, 그 밖에 천식이나 두통, 아토피를 유발하고, 기타 인슐린 저항성을 높여 혈당을 높여 대사증후군은 물론 심장병·당뇨병 등까지 초래할 수 있는 위험성을 가진 것으로 의학계에 보고되고 있다.
PCT 국제 공개 공보 WO96/37288호 및 일본 특개평6-7678호 공보에는 통기성 시트의 섬유형 기재에 탈취재를 담지시킨 시트형 탈취제 등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들 탈취재는 건물의 내장재 등에서 발생하는 포름알데히드나 톨루엔 등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등의 냄새성분이나 유해가스 성분의 제거에는 유용하나 공중에 부유하는 미세 입자형 물질을 제거하기는 어렵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평 11-165007호 공보에서는 환경오염 물질 제거 필터에 분진 제거제를 도포하여 공중의 분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는 통기성 시트의 섬유형 기재를 미세 기공을 가지도록 하여 작은 입자가 통과할 때 미세 기공에 의해 흡착되도록 하는 것이어서, 미세기공이 쉽게 막히게 되어 필터의 잦은 세정이나 교체가 단점이 되고 있으며, 또 기공을 공기가 통과하는 특성상 그보다 작은 초미세먼지들을 여과하는 데에는 크게 효과적이진 않다.
또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14-046552 A1 및 WO 2015/088003호에서는 각기 금속재 또는 섬유재를 사용하여 부직포 형태로 형성한 섬유 집합체와 상기 섬유 집합체의 양 평면에 복설된 복수의 구멍부분을 가진 금속제의 보형 부재와 상기 섬유 집합체 및 상기 보형 부재의 외표면에 형성되어 광촉매 기능을 가지는 금속 화합물을 포함한 용사 피막을 구비하는 필터를 제안하여, 단위 체적 당의 섬유의 표면적이 커서 공기 중의 미립자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고, 섬유 집합체의 섬유의 표면에 PM2.5와 같은 미립자가 접촉해서 부착되기 쉽고, 미립자를 흡착하는 힘이 강하기 때문에 미립자를 놓치지 않고 포집할 수 있음과 아울러 포집한 미립자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것으로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여과 방식도 섬유체의 기공성을 이용한 여과처리 방식이어서, 이들 역시 필터의 미세 기공들이 쉽게 막힐 수 있고, 통기성이 좋지 않아 저항을 유발하여 공기 유동을 나쁘게 하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자는 한국 특허출원 제10-2016-0148309호를 통해 새로운 개념의 공기 청정기용 필터를 제안한바 있다.
상기 선 출원 발명의 필터는 송풍되는 공기가 충돌을 일으켜 강제 접촉하게 되는 복수의 공기충돌판들을 공기 흐름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하고, 그 공기충돌판들의 표면에 공기 속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을 흡착하여 달라붙게 하는 점착성을 가진 오염물질흡착제층을 도포 형성하여, 공기 속에 포함된 입자상물질들이 경사판들에 충돌하면서 점착성 물질인 오염물질흡착제층에 달라붙어 분리되도록 하여 공기를 정화하고 있다.
그러나 앞선 선행 특허문헌뿐 아니라 상기 본 발명자에 의한 선출원발명 모두 필터가 이물질을 분리하여 성능이 저하되면 새것으로 교체해 주거나 탈거하여 세탁 후 다시 장착하여야 하는 데, 이 같은 교체 및 세탁 주기가 짧기 때문에 수시로 필터를 교체하거나 세탁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 대부분 필터의 교체시기를 놓친 채 공기 정화기를 사용함으로써, 정화기로서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사용해 오고 있는 일이 잦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특허문헌1] 국제 공개공보 WO 96/37288호 [특허문헌2] 일본 특허공개 평6-7678호 [특허문헌3] 일본 특허공개 평11-165007호 [특허문헌4]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046552호 [특허문헌5] 국제 공개공보 WO 2015/088003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송풍되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분리할 수 있고, 연속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장시간 필터부재의 교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공기정화기용 필터의 제공 및 그 필터를 사용한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용 필터는 권취 릴과; 상기 권취 릴과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공급 릴과; 상기 공급 릴에 일단이 고정되어 소정 두께를 이루도록 감겨져 인출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권취 릴에 고정되어 있어 권취 릴의 감김 회전에 의해 상기 공급 릴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권취 릴에 감겨지게 되는 박막이며 장척의 길이 및 소정 폭을 가진 필름부재와; 상기 필름부재의 적어도 송풍되는 공기가 부딪히는 표면에 도포 형성되어, 공기 속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달라붙게 하는 점착성을 가진 오염물질흡착제층;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필름부재 인출수단은 상기 필름부재의 타단을 고정하여 감아들일 수 있는 권취 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필름부재 인출수단은 회전하는 기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기어의 잇빨과 맞물림되는 복수의 구멍들이 상기 필름부재의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양측을 따라 전체 길이방향에 걸쳐 소정의 일정 피치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공급 릴과 권취 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권취 릴은 상기 공급 릴로부터 소정 길이의 필름부재를 인출하도록 모터에 의해 소정 기간을 두고 회전 구동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권취 릴은 동력전달수단을 개재하여 상기 모터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감속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감속기구는 상기 권취 릴에 장착된 종동기어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된 주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필름부재의 이송길이는 변위센서에 의해 측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변위센서에 의해 측정된 필름부재의 이송길이 정보는 제어부에 전송되어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권취 릴의 회전량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필름부재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셀룰로오스 수지, 아세테이트, 비닐, 에틸렌 비닐알코올, 종이, 알루미늄, 산화 규소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 또는 2 이상 재료의 적층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필름부재에는 공기가 통과하여 지나는 원형 또는 복수의 슬릿형의 공기통과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구성에 의한 공기정화기용 필터는 권취 릴과; 상기 권취 릴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위치되는 공급 릴과; 상기 공급 릴에 일단이 고정되어 소정 두께를 이루도록 감겨져 인출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권취 릴에 고정되어 권취 릴의 감김 회전에 의해 상기 공급 릴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권취 릴에 감겨지게 되며, 송풍되는 공기가 부딪히게 될 때 공기 속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달라붙게 만드는 정전기를 발생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박막이고 장착의 길이 및 소정 폭을 가지는 필름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의 일측과 그에 대향되는 타측 또는 그에 직각 방향으로 각기 형성되는 공기 유입구 및 공기 유출구와; 상기 하우징 내로 공기 유출입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공기 유출구를 통해 하우징 밖으로 송풍하는 모터 송풍팬과; 상기 모터 송풍팬의 전방 또는 후방 또는 측방에 교체가 가능한 착탈 방식으로 장착되어 송풍되는 공기로부터 입자상 물질을 분리해 내는, 상기 선행하는 어느 하나의 기재에 의해 정의되는 구조를 가진 필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필터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부터 삽입되거나 또는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슬라이드 삽입되거나 또는 하우징의 전면이나 후면으로 공기 유입구 또는 공기 유출구를 구비한 탈거 가능한 부재를 탈거한 상태에서 그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에 사용되는 필터는 공기 중에 포함된 입자상물질을 흡착하여 분리할 수 있는 장척의 필름부재를 공급 릴에 감아 두고 소정의 설정된 기간마다 소정길이의 새 필름부재를 주기적으로 인출하여 공기 정화에 사용하고, 입자상물질이 많이 흡착되어 사용이 끝난 필름부재 부분은 권취 릴에 감아 두도록 함으로써, 종래 필터가 일회성 사용에 그쳐 자주 교체 작업을 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수명이 다한 것을 잊고 필터의 교체 없이 계속 사용하여 공기 정화 효과를 실질적으로 얻기 힘든 문제가 있었던데 비하여, 본 발명의 필터는 장기간 교체 없이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어, 필터 교체를 위해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되고, 공기 정화 기능을 장기간 향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기용 필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기용 필터의 측면도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기용 필터의 다른 실시예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기용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형상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기용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형상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필터를 장착한 공기정화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필터를 장착한 공기정화기의 변형된 다른 실시예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필터의 이송량을 제어하는 제어 블록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입자상 물질”, 또는 그와 같은 의미의 "실내공기 오염물질"은 먼지, 특히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뿐만 아니라, 중금속, 연소가스, 포름알데히드,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같은 오염물질들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그 밖에도 공기 속에 포함되어 부유하는 물질인 한 알레르기 질환의 원인으로서 화분(花粉), 진드기 및 그 사체나 배설물의 분진, 개나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의 털, 집 먼지, 음식물 분진 등을 포함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용 필터라 함은 상기한 입자상 물질(오염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공기가 모터 송풍팬에 의해 순환하는 과정 중에 공기 중에서 입자상 물질 분리 흡착하는 것을 말하며, 특히 미세먼지 등을 잘 흡착하는 성질을 가지며, 용어의 정의에 있어 공기정화기용이라 함은 전통적으로 실내의 오염 공기를 정화하여 재순환시키는 설비만이 아니라 “에어컨”등을 포함한 “공기조화설비”, “환풍설비”또는 “가습기”등 송풍되는 공기 속에서 인체에 해로운 입자상 물질을 분리할 필요가 있는 한 모든 설비들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기용 필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기용 필터의 측면도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기용 필터의 다른 실시예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기용 필터의 또 다른 실시예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형상의 도면이다.
도 1 도면에 있어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용 필터는 전체를 부호 10으로 나타내었으며, 상기 필터(10)는 필름부재 인출수단으로서 속이 빈 중공 형상의 권취 릴(12)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권취 릴(12)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공급 릴(1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권취 릴(12)과 공급 릴(14)은 사각 형상의 지지프레임(16)의 미끄럼 베어링(18)(2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 소정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상기 공급 릴(14)에는 그 공급 릴(14)의 외주를 감아 돌아 소정 두께만큼 감겨져 형성되는 필름부재(22)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필름부재(22)의 타단은 상기 권취 릴(12)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권취 릴(14)이 감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필름부재(22)에 견인력이 가해지면서 공급 릴(14)에 감겨 있던 필름부재(22)가 인출되어 이송되면서 상기 권취 릴(12)에 감겨지게 구성되어 있는바, 이 같은 권취 릴(12)과 공급 릴(14)의 관계는, 예를 들면 녹음기 테이프의 감기용 릴의 구성과 같은 원리로서, 상기 필름부재(22)는 처음에는 공급 릴(14) 측에 감겨져 있다 필터 기구의 사용과 함게 점차 이속되어 권취 릴(12) 측에 감겨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필름부재(22)는 도 2의 단면 확대도에서 볼 수 있듯이, 필름부재(22)의 적어도 일 표면, 바람직하기는 공기 정화를 위해 송풍되는 공기가 부딪히게 되는 표면 측, 또는 양측 표면에 오염물질흡착제층(24)이 도포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염물질물질흡착제층(24)은 공기 속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포함한 각종 입자상물질들을 흡착하여 달라붙게 만드는 점착성을 가진 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필름부재(22)는 필터의 베이스부재를 형성하는 기초부재로서, 얇은 두께, 예를 들면 두께의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송풍되는 바람의 풍속과 풍압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진 것인 한 가능한 한 얇은 박막으로 형성하는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1mm 이하, 바람직하기는 0.01~0.3mm의 두께(가능한 얇을수록 좋다)를 가지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예를 들면 상기 필름부재(22)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셀룰로오스 수지, 아세테이트, 비닐, 에틸렌 비닐알코올, 종이, 알루미늄, 산화 규소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일 층 또는 2 이상 재료의 혼합물로 된 단일 층 또는 2 이상 재료의 박막을 적층하여 형성한 적층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름부재(22)에 도포되는 상기 오염물질흡착제층(24)은 먼지 등의 실내공기 오염물질이 잘 달라붙는 성질을 가진 것으로, 예로부터 점착성을 이용하여 옷 등의 먼지나 머리카락 등을 달라붙게 하여 제거하는 먼지제거 롤러에 흔히 사용하는 공지의 점착성 물질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베이스 오일(A), 비이온 계면활성제(B) 및 알레르겐 불활성화 성분(C) 등을 함유하는 먼지 흡착용 오일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먼지 흡착용 오일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 오일(A)로서는 광물유 및 그 정제유, 이들의 수소 첨가 및/또는 그 분해유, 실리콘유, 채종유 및 피마자유 등의 동식물유를 사용할 수 있고, 비이온 계면활성제(B)로는 지방족계 알콜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지방족계 카르복실산에스테르(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알레르겐 불활성화 성분(C)은 피레스로이드계 화합물(천연 피레트린, 페노트린, 퍼메트린 등), 유기인 화합물(페니트로티온, 말라티온, 펜티온, 다이아지논 등), 벤질알콜, 벤질벤조에이트, 살리실산페닐, 신남알데히드, 디코폴, 클로로벤질레이트, 헥시티아족스, 히솝유, 당근씨유, 탄닌산, 몰식자산, 차 추출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3가지 성분(A,B,C) 중 적어도 2가지 성분(A,B)을 적절히 혼합한 것 또는 기타 미스트 오일제재 등을 사용하여도 좋으며, 먼지 흡착용 오일제는 먼지, 특히 미세먼지 등의 흡착 성능이 좋은 제재라면 무엇이나 무방하며, 그 밖에도 정전기를 발생시켜 먼지를 포집하는 반액상의 먼지흡착제를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오염물질흡착제층(24)은 점착성을 보강하기 위한 공지의 물질들, 예를 들면 에폭시 접착제, 스티렌계 접착제, 녹말풀이나 동물성 아교 또는 수용성 합성 접착제인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 통상의 본드 및 흔히 접착테이프의 접착력 부여를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 또는 3M의 포스트잇(상표명)에 사용하는 접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보여지고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필터(10)는 공급 릴(14)의 외부에 감겨 있는 새필름(22a)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하고, 입자상물질이 다량으로 붙어 사용수명이 다한 헌필름(22b)을 권취 릴(12)에 자동으로 감아들이기 위해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모터(M)(26)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모터(26)는 동력전달수단(28), 바람직하기는 감속기구, 예를 들면 권취 릴(12)의 축 일단부에 고정 장착되는 종동기어(30)와. 모터(26)의 회전축(32)에 고정 장착되는 주동기어(34)를 포함하고 있으며, 회전 동력을 감속하여 전달하여야 되므로, 종동기어(30)의 기어 지름이 주동기어(34)의 기어지름보다 크며, 주종동기어(34, 30) 사이에 아이들 기어를 개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26)가 구동되면, 그 회전력은 모터 회전축(32)에 고정된 주동기어(34)를 통해 종동기어(30)에 전해져 권취 릴(12)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필름부재(22)를 감아들이게 되며, 권취 릴(12)로부터 가해지는 인장력에 의해 공급 릴(14)에 감겨 있는 새필름(22a)은 인출되어 권취 릴(12) 측으로 이송되어 권취 릴(12)에 감겨지게 되어 있으며, 이때 모터(26)는 권취 릴(12)과 공급 릴(14) 사이에 위치하는 필름부분이 입자상물질의 흡착으로 더 이상의 먼지 분리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시기에 먼지 분리에 사용된 길이만큼만 권취 릴(12)이 감아들이도록 제어되며, 모터(26)의 구동 제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필름부재의 이송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변위센서(36)가 구비된다.
변위센서(displacement sensor)(36)는 물체, 본 발명에서는 필름부재가 이동한 거리 또는 위치를 계측하기 위한 것으로서, 변위를 전기량으로 변환하는 데 있어 정전용량 변화나 인덕턴스 변화, 전기저항 변화, 발생 기전력변화를 이용하는 통상의 직선 변위센서 또는 회전변위센서가 사용되며, 포텐셔미터, 차동변압기 또는 싱크로, 리졸버, 로터리 인코더, 펄스 제너레이터 등이 변위(필름부재의 이송 길이량)의 측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본 발명의 필터(10)를 도시함에 있어서는, 모터(26)와 동력전달수단(28)이 필터(10)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필터(10)에는 권취 릴(12)에 종동기어(30)만을 고정 장착하고, 주동기어(34)와 모터(26) 및 변위센서(36) 등의 구성은 후술하는 공기청정기(40) 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 필터(10a)의 다른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필름부재(42)가 그의 양면으로 정전기를 가지고 있으며, 이 정전기가 미세먼지 등을 포함한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공기로부터 분리시킨다는 점을 제외하면, 나머지 구성들은 도 1 실시예에 의한 필터(10) 구성과 같으므로, 동일한 구성들에 대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정전기 필름부재(42)는 그 자체가 공지되어 있는 ABS 재질을 포함하여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가소성 성분을 가진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등의 합성수지 재료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비극성 고분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원료로 하여 제조되는 박막의 필름으로, 고전압의 코로나 방전장치 등에 의하여 하전을 하여 양(+)극성 및 음(-)극성의 전하를 필름 표면에 부여하여 정전기를 가지도록 하여, 음이온 또는 양이온으리 전하를 가진 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공기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며, 동 실시예와 도 1 실시예에 의한 필터의 구성상 차이점은, 도 1실시예의 필터는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오염물질흡착제층이 필름 표면에 별도 도포되어 표면에 충돌하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점착제인 오염물질흡착제층이 흡착하게 되는 반면, 도 3 실시예의 필터는 필름부재 표면에 다른 물질이 도포되어 있지 아니하고, 정전기를 가지도록 표면이 전하 처리되어 있어 전기적 방식에 의해 오염물질을 분리시키게 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용 필터의 다른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동 실시예의 필터(10b)는 필름부재(22)에 공기의 통과를 허용하는 작은 원형 구멍 또는 도시한 것과 같은 슬릿 형상의 복수의 직사각형의 공기통과구멍(44)들이, 예를 들면 소정 간격을 두고 펀칭에 의해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필름부재(22)에 충돌하는 공기가 이들 공기통과구멍(44)들을 통해 필름을 통과하여 전면에서 후면 측으로 공기의 흐름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나머지 구성들은 도 1 실시예의 경우와 같으므로, 도 1 실시예를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용 필터의 다른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동 실시예의 필터(10c)는 도 1 실시예 구성과는 필름부재 인출기구의 구성이 상이한바, 필름부재(221)의 적어도 일측 또는 양측의 단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의 피치를 두고 필름이송용구멍(70)들이 일렬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급 릴(14)의 외주에 감겨져 있는 새필름부재를 인출하기 위한 필름부재 인출기구는 공급 릴(14)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필름부재 인출기구는 필름이송용구멍(70)들에 치합하는 피치의 잇빨들을 가진 인출기어(72)를 축(74)의 일단, 또는 양단에 구비하고 있으며, 공급 릴(14)과 필름부재 인출기구를 구성하는 축(74)은 지지프레임(1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고, 필름부재 인출기구의 인출기어(72)에는 감속기구를 형성하도록 그보다 작은 직경의 주동기어(34)가 기어치합되어 있어 모터(26)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동 실시예 발명이 도 1 실시예 구성과 다른 점은 필름부재 인출기구의 모터(26)가 구동되어 필름부재(221)를 공급 릴(14)로부터 인출할 때 필름부재(221)의 자유단(221a) 측은 축(74)에 감기지 않고 바닥에 그냥 늘어뜨려지게 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 및 원리는 양자가 동일하다.
도 6는 도 1 또는 도 2 실시예 구성의 필터를 사용한 공기정화기이고, 도 7은 도 4 실시예에 의한 필터를 사용한 공기정화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6의 공기정화기(40)는 일측에 공기 유입구(48)를 타측, 예를 들면 상부에 공기 유출구(50)를 가진 하우징(52)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52)의 내부에는 공기 유입구(48)에 접한 후방 위치에 하우징 밖의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모터(M) 송풍팬(54)이 설치되고, 이 모터 송풍팬(54)의 후방(도시를 기준하면 좌측)에 도 1 또는 도 3에 도시한 필터(10)(10a)가 장착되며, 모터 송풍팬(54)과 필터(10)(10a)와의 사이의 공간(56)은 상부공간(58)을 통해 공기 유출구(50)에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대로, 권취 릴(12)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26)와 주동기어(34)가 필터)10)(10a)하단에 접하여 설치되어 있고, 필터(10)(10a)는 하우징(52) 배면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60)를 떼어내고 생기는 개구부를 통해 수평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밀어 넣어져 삽입되어 필터(10)(10a)의 권취 릴(12)의 일단부에 고정 장착된 종동기어(30)가 하우징(52) 측에 마련된 주동기어(34)와 맞물리게 되어 있으며, 이 같은 결합 방식이 가지는 장점은 모터(26)와 주동기어(34) 등의 동력전달을 위한 구성요소들을 영구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도 4 실시예에 의한 필터(10b)를 사용한 공기정화기(40a)를 나타낸 도면으로, 하우징(52)의 일측,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상부에 공기 흡입구(48a)가 형성되고 하우징(52) 내에는 모터 송풍팬(54)이 설치되고, 그 모터 송풍팬(54)의 전방에 공간(56)을 두고 필름부재(22)에 공기통과구멍(44)들이 형성된 필터(10b)가 설치되며, 하우징(52)의 전면(64)에는 착탈이 가능한 덮개(66)에 공기 유출구(50a)가 마련되어 있으며, 나머지 구성들은 도 6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 필터(10)(10a)(10b)의 필름부재(10)(10a)의 이송길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블록도로서, 제어부(68)는 위치센서(36)로부터 검출한 필름부재(10)(10a)의 이송량 정보에 따라 모터(26)의 회전 구동을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의 필터(10)(10a)를 사용한 공기정화기(40)에 의한 실내 공기 정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필터(10)(10a)는 하우징(52)의 후방측 덮개(60)를 열고 개구부를 통해 상비시켜 하우징(52) 내에 장착시킨다.
이때 필터(10)(10a)의 종동기어(30)는 주동기어(34)와 맞물리는 결합상태가 있게 되며, 이 상태에서 필름부재(22)의 하단은 권취 릴(12)에 고정된 상태가 되어 상부의 공급 릴(14)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필름부재의 노출면이 공기 속의 분진(오염물질)들을 흡착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공기 정화를 위해 모터 송풍팬(54)의 전원스위치를 온 시키면 송풍팬(54)이 회전하여 하우징 밖의 실내의 오염공기를 공기 유입구(48)를 통해 하우징(52)의 내부로 흡입하여 필터(10)(10a)측으로 분사하듯이 송풍하게 되며, 송풍되는 공기는 필름부재(22)(42) 표면에 충돌하게 된다.
이 같은 공기와 필름부재의 물리적 접촉이 일어남에 따라 공기 속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은 필름부재(22) 표면에 도포된 점착성 물질인 오염물질흡착제층(24)에 달라붙거나, 또는 정전기가 발생하고 있는 필름부재(22) 표면에 직접 전하를 띈 오염물질들이 달라 붙게 되어 공기로부터 분리되어지게 되고, 오염물질이 분리되어 깨끗해진 공기는 공간(56)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공간(58)을 거쳐 공기 유출구(50)를 통해 다시 실내로 돌아가는 순환을 반복하게 되면서 점차 실내 공기가 깨끗해져 가는 것이다.
그런데 필터(10(10a)는 무한기간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 일정한 양의 오염물질이 필름부재(22)(42) 표면에 흡착되면, 흡착 성능이 저하되게 된다.
이 같은 흡착성능의 저하 조건은 공기의 오염 정도 및 필름부재의 표면적 등에 따라 상이한 데, 반복되는 실험을 통해 최적이라 판단되는 소정의 기간을 필림부재의 사용수명으로 보고 미리 제어부(68)의 필름 이송시기조절노브(도시 생략)를 통해 소정기간, 예를 들면 1주일이라는 기간을 입력하여 놓게 되면, 제어부(68)가 날짜를 카운팅하여 1주일의 기간이 경과하면, 현재 송풍기(54)에 대향하고 사용중에 있도록 노출된 필름부재 부분이 사용수명이 다한 것으로 판단하여, 필름부재 인출수단인 모터(26)를 회전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모터(26)가 구동되면, 감속기구(28)를 통해 그의 회전력이 권취 릴(12)에 전달되어 권취 릴(12)이 회전을 하게 되며, 이 권취 릴(12)의 회전에 의해 필름부재(22)(24)를 감아들이게 되어 타측 공급 릴(14)에 감겨져 있는 새필름(22a)이 인출되어 하강(도시 상태 기준) 이송되게 된다(도 5 실시예의 경우에는 인출기어 70이 회전하며, 사용이 끝난 필름부재는 권취되지 않고 바닥에 늘어뜨려진다).
필름부재가 이송 인출되기 시작하면 위치센서(36)가 이송 상태를 감지하게 되며, 상하 릴(14)(12) 사이의 거리를 감안하여 미리 설정된 소정 길이만큼 필름부재의 이송량을 검출하는 경우 그 이송거리 검출정보를 제어부(68)에 송신하며, 제어부(이 제어부는 입력키를 포함하여 각종 기능키 및 스위치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된다)는 설정된 소정길이의 이송을 완료하였다고 판단하여 모터(26)의 구동을 정지토록 제어하며, 이에 따라 공급 릴(14)과 권취 릴(12) 사이에는 사용된 적이 없어 깨끗한 상태의 필름부재(22a)의 일부가 위치하게 되어 새필름이 공간(56)에 노출되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모터 송풍팬(54)이 작동하여 공기를 송풍하면, 그 공기가 필름부재 표면에 충돌하여 접촉하에 되는 과정을 통해 공기 속의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필름부재 측에 흡착되어지게 되며, 정회된 공기는 공기 유출구(50)를 통해 다시 실내 측으로 순환하게 되는 것이며, 이 같이 하여 소정기간, 예를 들면 사용수명으로 설정된 1주일이 경과하면, 다시 제어부(68)가 모터(26)를 구동 제어하여 사용이 끝난 헌필름부분(22b)을 권취 릴(12)에 감아들이고, 아직 사용치 않은 새필름부분(22a)을 공급 릴(14)부터 인출하여 송풍팬(54)에 대향토록 위치시켜 계속적으로 공기 정화 작용을 자동으로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도 4 실시예 구성에 의한 필터(10b)를 사용한 공기정화기로서, 필터 구성의 차이에 기인하여 공기 유출구(50a)의 설치 위치에 있어 이전 실시예 구성과 차이점이 있고, 이 같은 차이에 기인하여 공기의 흐름이 상이하게 나타난다.
송풍팬(54)이 구동되면 공기 유입구(48a)를 통해 하우징(52) 내로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며, 유입된 공기는 송풍팬(54)의 전방에 설치된 필터(10b)의 필름부재(22)에 충돌하여 공기 속에 포함된 오염물질들이 필름부재(22) 측에 흡착되며, 정화된 공기는 필름부재(22)에 관통되게 형성된 많은 슬릿형의 공기통과구멍(44)(도 4 참조)들을 통과하여 덮개(66) 측으로 진입하게 되며, 덮개(66)의 공기 유출구(50a)를 통해 다시 실내로 유입되게 되며, 송풍되는 공기에 노출되어 공기 정화에 사용된 필름부재부분이 설정된 사용수명에 도달하면, 제어부(68)가 헌필름부재를 권취 릴(12)에 감아들이고, 새필름부재부분(22a)을 인출하여 사용하게 되는 과정은 앞선 실시예 설명과 동일하다.
이 같이 본 발명은 공급 릴(14)에 대용량으로 감겨져 있는 필름부재를 소정 기간마다 필요한 길이만큼 자동으로 인출하여 오염물질 제거에 사용할 수 있어, 주기적으로 필터를 교체해 주는 번거로운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며, 종래 필터의 교체를 잊고 사용하던 경우와 비교하여 위생적 측면에서 큰 효과가 기대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62는 필터에서 낙하되는 분진을 수용하는 오염물질수납함으로, 이 오염물질수납함(46)은 하우징(52) 측에 형성하고 있으나, 필터(10,10a,10b)의 지지프레임(16) 하단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 본 발명의 필터(10)(10a)(10b)를 하우징(52) 내에 장착함에 있어서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덮개부재(60,66)를 통해서도 가능하나, 비록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하우징(52)의 상측에 삽입구를 두어 하우징의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하는 방식도 가능하고, 또는 하우징(52)의 측면에 삽입구를 두어 측면에서 수평으로 밀어 넣어 장착하거나 빼내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필터는 공기정화기에만 한정되어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건물 벽면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팬과 에어컨(차량 또는 건물 실내용)의 냉기 배출구 등에도 당연히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10, 10a, 10b, 10c: 필터 12: 권취 릴
14: 공급 릴 16: 지지프레임
18, 20: 미끄럼 베어링 22, 42, 221: 필름부재
22a, 42a: 새필름부재부분 22b, 42b: 헌필름부재
24: 오염물질흡착제층 26: 모터
28: 동력전달수단(감속기구) 30: 종동기어
32: 회전축 34: 주동기어
36: 위치센서 40, 40a: 공기정화기
44: 공기통과구멍 48, 48a: 공기 유입구
50, 50a: 공기 유출구 52: 하우징
54: 모터 송풍팬 56, 58: 공간
60, 66: 덮개 62: 오염물질수납함
64: 하우징 전면 68: 제어부
70: 필름이송용구멍 72: 인출기어
74: 축 221a: 필름부재 자유단
12, 14, 26, 30, 34, 72, 74: 필름부재 이송수단

Claims (15)

  1. 공급 릴과; 상기 공급 릴에 일단이 고정되어 소정 두께를 이루도록 감겨져 인출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박막이며 장척의 길이 및 소정 폭을 가진 필름부재와; 상기 필름부재의 적어도 송풍되는 공기가 부딪히는 표면에 도포 형성되어, 공기 속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달라붙게 하는 점착성을 가진 오염물질흡착제층; 상기 필름부재 표면에 부딪혀 오염물질을 흡착당한 여과된 공기가 통과하여 지나도록 필름부재 전체에 걸쳐 소정의 간격으로 펀칭에 의해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원형 또는 슬릿형의 공기통과구멍들; 및 상기 필름부재를 상기 공급 릴로부터 인출하도록 상기 공급 릴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필름부재 인출수단;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용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재 인출수단은 회전하는 인출기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인출기어의 잇빨과 맞물림되는 복수의 구멍들이 상기 필름부재의 일측 또는 양측을 따라 전체 길이방향에 걸쳐 소정의 일정 피치 간격을 두고 일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용 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재 인출수단은 상기 필름부재의 타단을 고정하여 감아들일 수 있는 권취 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용 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릴과 권취 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용 필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릴은 상기 공급 릴로부터 소정 길이의 필름부재를 인출하도록 모터에 의해 소정 기간을 두고 회전 구동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용 필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릴은 동력전달수단을 개재하여 상기 모터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용 필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감속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용 필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구는 상기 권취 릴에 장착된 종동기어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된 주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용 필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재의 이송길이는 변위센서에 의해 측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용 필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센서에 의해 측정된 필름부재의 이송길이 정보는 제어부에 전송되어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권취 릴의 회전량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용 필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재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셀룰로오스 수지, 아세테이트, 비닐, 에틸렌 비닐알코올, 종이, 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 또는 2 이상 재료의 적층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용 필터.
  12. 삭제
  13. 삭제
  14. 하우징과; 그 하우징의 일측과 그에 대향되는 타측 또는 그에 직각 방향으로 각기 형성되는 공기 유입구 및 공기 유출구와; 상기 하우징 내로 공기 유출입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공기 유출구를 통해 하우징 밖으로 송풍하는 모터 송풍팬과; 상기 모터 송풍팬의 전방 또는 후방 또는 측방에 교체가 가능한 착탈 방식으로 장착되어 송풍되는 공기로부터 오염물질을 분리해 내는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되는 구조를 가진 공기정화기용 필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기용 필터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부터 삽입되거나 또는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슬라이드 삽입되거나 또는 하우징의 전면이나 후면으로 공기 유입구 또는 공기 유출구를 구비한 탈거 가능한 부재를 탈거한 상태에서 그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KR1020160154362A 2016-11-18 2016-11-18 연속 사용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용 필터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102056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362A KR102056846B1 (ko) 2016-11-18 2016-11-18 연속 사용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용 필터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362A KR102056846B1 (ko) 2016-11-18 2016-11-18 연속 사용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용 필터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280A KR20180056280A (ko) 2018-05-28
KR102056846B1 true KR102056846B1 (ko) 2019-12-17

Family

ID=62451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362A KR102056846B1 (ko) 2016-11-18 2016-11-18 연속 사용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용 필터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8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773B1 (ko) * 2021-04-28 2021-09-02 (주)서울환경 액체도료 및 분체도료 입자 여과용 스크린 타입 필터
KR102587467B1 (ko) * 2023-06-09 2023-10-12 주식회사 씨코어 3중 구조 복합 필터를 적용한 필터 연속공급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9119A (zh) * 2018-06-22 2018-12-21 明光市鸿晟机电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室内空气净化器
CN110107970A (zh) * 2019-05-28 2019-08-09 北京化工大学 一种递进式滤饼与水膜二级过滤空气净化加湿装置
CN110280057A (zh) * 2019-06-24 2019-09-27 河海大学 一种用于高藻水河网的蓝藻围隔装置
CN215462970U (zh) * 2020-11-09 2022-01-11 魏荣宗 废气净化系统
TWI768600B (zh) * 2020-12-17 2022-06-21 魏榮宗 廢氣淨化系統
KR102601301B1 (ko) * 2023-07-10 2023-11-14 주식회사대한기계 오일 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773B1 (ko) * 2021-04-28 2021-09-02 (주)서울환경 액체도료 및 분체도료 입자 여과용 스크린 타입 필터
KR102587467B1 (ko) * 2023-06-09 2023-10-12 주식회사 씨코어 3중 구조 복합 필터를 적용한 필터 연속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280A (ko) 201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6846B1 (ko) 연속 사용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용 필터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100507996B1 (ko) 분리형 공기정화장치
CN105128631B (zh) 一种用于汽车进气管道的多层空气净化装置
WO2015125942A1 (ja) エアフィルタ濾材、およびエアフィルタユニット
CN109661544A (zh) 空气净化器
KR102334094B1 (ko) 분진 및 미스트 자동 흡착 장치
KR20180099005A (ko) 액자형 공기정화기에 적합한 공기 청정기용 필터 및 그것을 구비한 액자형 공기 청정기
KR20180043561A (ko) 정전기 에어필터
KR101742738B1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
WO2015013637A1 (en) Air filter apparatus with adhesive air filter (adaf) and components for air purification, and systems using the same
CN105135530A (zh) 具有报警功能的智能空气净化器及净化方法
WO2019141971A1 (en) A fan assembly with a particulate filter, an activated carbon filter and a catalyst for oxidative decomposi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JP2011226670A (ja) 加湿機能付空気清浄装置
KR101885645B1 (ko) 연속 사용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용 필터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CN109661543A (zh) 空气净化机
JPH09308813A (ja) カセット式空気浄化フィルタ及び脱臭装置
CN109865357A (zh) 净化器轴卷循环滤芯装置及空气净化器
KR102095479B1 (ko) 공기 청정기용 필터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102039273B1 (ko) 공기청정기용 필터 조립체
CN104197426B (zh) 全触媒式空气净化器
JP2007237091A (ja) 空気清浄機
JPH10118522A (ja) 太陽光を用いる空気清浄化生活空間
JP2003275523A (ja) 自動巻取り型フィルタ装置
KR20180099004A (ko) 공기 청정기용 필터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JPH053881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