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934B1 -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통에 사용되는 브이엠이버스 기반의디지털 신호 입력장치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통에 사용되는 브이엠이버스 기반의디지털 신호 입력장치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934B1
KR100806934B1 KR1020060069593A KR20060069593A KR100806934B1 KR 100806934 B1 KR100806934 B1 KR 100806934B1 KR 1020060069593 A KR1020060069593 A KR 1020060069593A KR 20060069593 A KR20060069593 A KR 20060069593A KR 100806934 B1 KR100806934 B1 KR 100806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gital signal
signal
signal input
v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9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9863A (ko
Inventor
손창호
김중선
김봉석
김성종
김영춘
박근옥
Original Assignee
삼창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창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창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9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6934B1/ko
Publication of KR20080009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9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01Computer implemented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채널을 통해 입력된 신호가 포토커플러를 통해 격리된 후 VME 버스에 전달되거나 외부에 표시되게 디스플레이부에 전달되도록 하는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통에 사용되는 VME 버스 기반의 디지털 신호 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직류, 교류 또는 드라이 컨택(dry contact) 신호가 전송되도록 외부와 연결되는 컨넥터부와; 상기 컨넥터부로부터 전달되는 디지털 신호가 다수의 채널을 통해 입력되도록 조절하는 디지털 신호 입력부와; 상기 디지털 신호 입력부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VME 논리회로부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VME 버스부에 전송하도록 하는 버퍼부와; 상기 버퍼부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출력하는 VME버스부와; 상기 VME 버스부로부터 VME버스 컨넥터를 경유하여 제어신호, 어드레스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전송받아 타이밍을 체크하고 상기 버퍼부를 제어하는 VME 논리회로부; 및 상기 디지털 신호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외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VME, 포토커플러, 버퍼, PLD, 원자력, 발전소

Description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통에 사용되는 브이엠이버스 기반의 디지털 신호 입력장치및 방법{Apparatus for inputting digital signal based on VME bus used in nuclear plant safety system and method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안전계통에 사용되는 VME버스 기반의 디지털 신호 입력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신호 입력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안전계통에 사용되는 VME버스 기반의 디지털 신호 입력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컨넥터부 20 : 디지털 신호 입력부
30 : 버퍼부 40 : VME 버스부
50 : VME 논리회로부 60 :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통에 사용되는 VME(Versa Module Eurocard)버스 기반의 디지털 신호 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채널을 통해 입력된 신호가 포토커플러를 통해 격리된 후 VME 버스에 전달되거나 외부에 표시되게 디스플레이부에 전달되도록 하는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통에 사용되는 VME 버스 기반의 디지털 신호 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급증하는 에너지 수요에 대처하기 위해 원자력 발전소가 많이 건설되고 있으나, 이러한 원자력 발전소를 유지 관리하는데에는 많은 비용과 기술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대규모의 안전사고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는 위험성이 항상 내포되고 있다.
즉, 원자력 발전소에서는 핵연료를 사용하는 관계로 다른 일반 공장이나 발전소에 비하여 매우 안정되고 확실하게 동작되는 제어시스템이 구비되어야하며, 이러한 제어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전자 제어모듈은 진동이 심한 발전소의 환경에서도 오동작이 없도록 높은 신뢰성을 필요로 한다.
특히, 원자력 발전소에서는 반도체와 같은 전자회로 소자들이 방사능에 노출되어 오작동의 확률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채널을 통해 입력된 신호가 포토커플러를 통해 격리된 후 VME 버스에 전달되거나 외부에 표시되게 디스플레이부에 전달되도록 하는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통에 사용되는 VME 버스 기반의 디지털 신호 입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통에 사용되는 VME(Versa Module Eurocard)버스 기반의 디지털 신호 입력장치는, 외부로부터 직류, 교류 또는 드라이 컨택(dry contact) 신호가 전송되도록 외부와 연결되는 컨넥터부와; 상기 컨넥터부로부터 전달되는 디지털 신호가 다수의 채널을 통해 입력되도록 조절하는 디지털 신호 입력부와; 상기 디지털 신호 입력부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VME 논리회로부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VME 버스부에 전송하도록 하는 버퍼부와; 상기 버퍼부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출력하는 VME버스부와; 상기 VME 버스부로부터 VME버스 컨넥터를 경유하여 제어신호, 어드레스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전송받아 타이밍을 체크하고 상기 버퍼부를 제어하는 VME 논리회로부; 및 상기 디지털 신호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외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통에 사용되는 VME(Versa Module Eurocard)버스 기반의 디지털 신호 입력방법은, 컨넥터부를 통해 다양한 신호가 직류, 교류 또는 드라이 컨택(dry contact) 신호에 따라 다수의 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입력단계와; 상기 신호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신호를 분리하여 디스플레이부 및 버퍼부에 전송하는 신호분리단계와; VME 버스부로부터 VME버스 컨넥터를 경유하여 제어신호, 어드레스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전송받아 타이밍을 체크하고 상기 버퍼부를 제어하는 제어단계와; 상기 제어단계에서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버퍼부에 전송된 신호를 VME 버스부에 전송하도록 하는 버퍼링 단계; 및 상기 버퍼링 단계에서 전송받은 데이터를 VME버스부에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원자력 발전소 안전계통에 사용되는 VME버스 기반의 디지털 신호 입력장치(통신모듈 또는 통신카드를 포함하며, 이하, 통신장치로 칭함)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안전계통에 사용되는 VME 버스 기반의 디지털 신호 입력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신호 입력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원자력 발전소 안전계통에 사용되는 VME(Versa Module Eurocard)버스 기반의 디지털 신호 입력장치는 컨넥터부(10), 디지털 신호 입력부(20), 버프부(30), VME 버스부(40), VME 논리회로부(50) 및 디스플레이부(60)를 포함한다.
컨넥터부(10)는 외부로부터 직류, 교류 또는 드라이 컨택(dry contact) 신호 등의 다양한 신호가 입력되도록 외부와 연결된다.
이때, 디지털 입력 신호를 위하여 25핀의 컨넥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지털 신호 입력부(20)는 8채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직류(DC), 교류(AC) 또는 드라이 컨택(dry contact) 신호에 따라 컨넥터부(10)로부터 전달되는 디지털 신호가 다수의 채널을 통해 입력되도록 조절한다.
이때, 도2에 도시된 제1점퍼(J1) 및 제2점퍼(J2)에 의해 내부단자(Internal)와 공통단자(COM)가 연결되면 드라이 컨택(dry contact) 입력이 인가되며, 외부단자(External)와 공통단자(COM)가 연결되면, 직류 혹은 교류 입력이 인가된다. 또한, 제5점퍼(J5)가 연결되면 드라이 컨택 입력이 인가된다.
이어서, 제3점퍼(J3) 및 제4점퍼(J4)가 직류신호와 교류신호를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즉, 제3점퍼(J3) 및 제4점퍼(J4)에 의해 교류단자(AC)와 공통단자(COM)가 연결되면 브리지 다이오드로 구성된 정류회로를 경유하여 직류전압으로 변환되며, 직류단자(DC)와 공통단자(COM)가 연결되면 정류회로를 경유하지 않게된다.
이때, 직류 전원의 세기(예를들면, +24V, +48V, +125V)에 따라 서로 다른 직류신호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도록 저항(R2, R3)을 조정한다.
상기 저항(R2, R3)에 의해 조정된 디지털 입력 신호가 포토커플러에 의해 입력부 신호와 출력부 신호로 격리되며, 포토커플러를 통해 격리된 디지털 입력 신호가 버퍼부(30)를 통하여 VME 버스부(40)로 전송되거나 디스플레이부(50)로 출력된다.
버퍼부(30)는 3-스테이트(state) 버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디지털 신호 입력부(2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VME 논리회로부(50)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VME 버스부(40)에 전송하도록 한다.
VME 버스부(40)는 버퍼부(3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출력한다.
VME 논리회로부(50)는 VME 버스부(40)로부터 VME 버스 컨넥터(미도시)를 경 유하여 제어신호, 어드레스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전송받아 타이밍을 체크하고 버퍼부(30)를 제어한다.
이때, VME 논리회로부(50)에는 PLD(Programmable Logic Device)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부(60)는 LED로 이루어져 디지털 신호 입력부(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외부에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원자력 발전소 안전계통에 사용되는 VME버스 기반의 디지털 신호 입력방법을 설명하는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안전계통에 사용되는 VME버스 기반의 디지털 신호 입력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원자력 발전소 안전계통에 사용되는 VME버스 기반의 디지털 신호 입력방법은, 신호입력단계(S310), 신호분리단계(S320), 제어단계(S330), 버퍼링단계(S340) 및 출력단계(S350)를 포함한다.
신호입력단계(S310)에서는, 컨넥터부를 통해 다양한 신호가 직류, 교류 또는 드라이 컨택(dry contact) 신호에 따라 다수의 채널을 통해 입력된다.
신호분리단계(S320)에서는, 입력단계(S310)에서 입력된 신호를 포토커플러를 통해 입력신호와 출력신호로 분리하여 디스플레이부 버퍼부에 전송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분리된 신호를 외부에 출력하므로써 사용자가 실 시간으로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된다.
제어단계(S330)에서는, VME 버스부로부터 VME버스 컨넥터를 경유하여 제어신호, 어드레스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전송받아 타이밍을 체크하고 버퍼부를 제어한다.
버퍼링단계(S340)에서는, 제어단계(S330)에서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버퍼부에 전송된 신호를 VME 버스부에 전송하도록 한다.
출력단계(S350)에서는, 버퍼링 단계(S340)에서 전송받은 데이터를 VME버스부에 출력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통에 사용되는 VME 버스 기반의 통신장치는, 다수의 채널을 통해 입력된 신호가 포토커플러를 통해 격리된 후 VME 버스에 전달되거나 외부에 표시되게 디스플레이부에 전달되도록 하는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통에 사용되는 VME 버스 기반의 디지털 신호 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입력된 신호를 격리시킨 후 신호의 상태를 표시되도록 하므로써 원자력 발전소 안전계통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안전한 체계로서 검증된 VME 버스를 이용하므로써 프로세스보드와의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Claims (6)

  1.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통에 사용되는 VME(Versa Module Eurocard) 버스 기반의 디지털 신호 입력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직류, 교류 또는 드라이 컨택(dry contact) 신호가 전송되도록 외부와 연결되는 컨넥터부와;
    상기 컨넥터부로부터 전달되는 디지털 신호가 다수의 채널을 통해 입력되도록 조절하는 디지털 신호 입력부와;
    상기 디지털 신호 입력부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VME 논리회로부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VME 버스부에 전송하도록 하는 버퍼부와;
    상기 버퍼부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출력하는 VME 버스부와;
    상기 VME 버스부로부터 VME버스 컨넥터를 경유하여 제어신호, 어드레스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전송받아 타이밍을 체크하고 상기 버퍼부를 제어하는 VME 논리회로부; 및
    상기 디지털 신호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외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통에 사용되는 VME 버스 기반의 디지털 신호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입력부는 상기 컨넥터부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신호가 포토 커플러에 의해 입력부 신호와 출력부 신호로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안전계통에 사용되는 VME 버스 기반의 디지털 신호 입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커플러를 통해 격리된 디지털 입력 신호가 각각 상기 버퍼부를 통하여 VME버스부로 전송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안전계통에 사용되는 VME 버스 기반의 디지털 신호 입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입력부는 8채널로 이루어지고, 전원의 세기에 따라 서로 다른 직류 신호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도록 저항값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안전계통에 사용되는 VME 버스 기반의 디지털 신호 입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LED로 이루어져 출력신호를 외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안전계통에 사용되는 VME 버스 기반의 디지털 신호 입력장치.
  6.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통에 사용되는 VME(Versa Module Eurocard) 버스 기반의 디지털 신호 입력방법에 있어서,
    컨넥터부를 통해 다양한 신호가 직류, 교류 또는 드라이 컨택(dry contact) 신호에 따라 다수의 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입력단계와;
    상기 신호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신호를 분리하여 디스플레이부 및 버퍼부에 전송하는 신호분리단계와;
    VME 버스부로부터 VME버스 컨넥터를 경유하여 제어신호, 어드레스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전송받아 타이밍을 체크하고 상기 버퍼부를 제어하는 제어단계와;
    상기 제어단계에서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버퍼부에 전송된 신호를 VME 버스부에 전송하도록 하는 버퍼링 단계; 및
    상기 버퍼링 단계에서 전송받은 데이터를 VME버스부에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통에 사용되는 VME 버스 기반의 디지털 신호 입력방법.
KR1020060069593A 2006-07-25 2006-07-25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통에 사용되는 브이엠이버스 기반의디지털 신호 입력장치및 방법 KR100806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593A KR100806934B1 (ko) 2006-07-25 2006-07-25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통에 사용되는 브이엠이버스 기반의디지털 신호 입력장치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593A KR100806934B1 (ko) 2006-07-25 2006-07-25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통에 사용되는 브이엠이버스 기반의디지털 신호 입력장치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863A KR20080009863A (ko) 2008-01-30
KR100806934B1 true KR100806934B1 (ko) 2008-02-22

Family

ID=39222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593A KR100806934B1 (ko) 2006-07-25 2006-07-25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통에 사용되는 브이엠이버스 기반의디지털 신호 입력장치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69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497B1 (ko) * 2016-05-09 2016-12-13 (주)성진포머 튜브요크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27030A (ja) * 1988-03-07 1989-09-11 Fujitsu Ltd 抵抗温度特性の検出回路
JPH08122166A (ja) * 1994-10-24 1996-05-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温度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H10260087A (ja) 1997-03-18 1998-09-29 Chino Corp 抵抗式測温装置
JP2005321239A (ja) 2004-05-07 2005-11-17 Yokogawa Electric Corp 温度伝送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27030A (ja) * 1988-03-07 1989-09-11 Fujitsu Ltd 抵抗温度特性の検出回路
JPH08122166A (ja) * 1994-10-24 1996-05-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温度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H10260087A (ja) 1997-03-18 1998-09-29 Chino Corp 抵抗式測温装置
JP2005321239A (ja) 2004-05-07 2005-11-17 Yokogawa Electric Corp 温度伝送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863A (ko) 200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65004A1 (en) Serial connection between management controller and microcontroller
CN104813301B (zh) 用于经由中间传送的usb信令的方法和设备
CN105357070A (zh) 一种基于fpga的arinc818总线分析与测试装置
CN106081046A (zh) 一种双余度浮空器测控装置
KR100806934B1 (ko)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통에 사용되는 브이엠이버스 기반의디지털 신호 입력장치및 방법
CN104503354B (zh) 数字化控制系统
CN106527409B (zh) 一种主控机箱
CN107317737A (zh) 一种基于SMBus/I2C总线的通信系统
KR20080083591A (ko) 변환 회로
CN205318374U (zh) 一种rs-232串口的冗余电路
JP5800371B2 (ja) 接続診断装置、判定回路および接続診断方法
KR100781405B1 (ko)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통의 디지털 신호처리 장치 및 방법
CN207460184U (zh) 一种基于曝光机控制系统的光纤通信装置
CN1221079C (zh) 通用双向数字信号电气隔离装置
CN205847425U (zh) 一线通传输装置
CN101452050B (zh) 一种iob测试方法
CN206321972U (zh) 基于cpld的串口控制电路
CN209248530U (zh) 基于IIC协议的级联Arduino开发板
CN104426698B (zh) 端口配置方法及配置有多端口的组合式电路板模块
Zhou et al. Research on wireless MIL-STD-1553B bus based on infrared technology
KR101188640B1 (ko) 변전소 자동화장치용 통신 게이트 웨이 장치
CN102013231B (zh) 一种用于发送冗余容错数据的led控制装置
CN201562439U (zh) 一种编码电路
CN105975423B (zh) 点对点信号级联传输装置及方法、便携电子设备
KR20160059559A (ko) 디지털 보호 계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