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564B1 -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 Google Patents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564B1
KR100806564B1 KR1020070092098A KR20070092098A KR100806564B1 KR 100806564 B1 KR100806564 B1 KR 100806564B1 KR 1020070092098 A KR1020070092098 A KR 1020070092098A KR 20070092098 A KR20070092098 A KR 20070092098A KR 100806564 B1 KR100806564 B1 KR 100806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body
needle plate
sedimentation
treatment facility
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회진
김이형
양원철
최은석
Original Assignee
김회진
김이형
최은석
주식회사 유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회진, 김이형, 최은석, 주식회사 유비이엔씨 filed Critical 김회진
Priority to KR1020070092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65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natural organic sorbent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1/007Processes including a sedimenta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기강우 유출수에 상당량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침강 및 흡착여과를 통해 처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입되는 오염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수조몸체로 이루어진 비점오염 처리시설에 있어서, 상기 수조몸체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침강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침강장치는 수조몸체의 바닥면과 이격높이를 두면서, 수직상태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침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은 특히, 건설현장에서 토사유출 저감을 위한 침사지 내에 적용할 수 있고, 전처리 공정인 침강지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침사지 및 침강지 내 시설규모에 따라 본 발명을 2개 또는 3개 나란하게 설치하여 2열 또는 3열로 다양하고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침강장치의 침사판이 커튼식으로 장착되어 강우 유출수의 미세입자 접촉면적을 넓히고 충돌기회를 높임으로써 흡착 및 침강효율 증대할 수 있다.
Figure R1020070092098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침강장치, 침사판, 흡착제.

Description

비점오염원 처리시설{A sanitation facility of non-point pollution sources}
본 발명은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기강우 유출수에 상당량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침강 및 흡착여과를 통해 처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질오염원은 방지와 관리의 편의를 목적으로 점오염원(點汚染源; Point Source Pollution)과 비점오염원(非點汚染源; Non-Point Pollution sources)으로 구분된다.
점오염원은 하수장, 폐수처리장, 발전소, 폐광, 석유탱크, 유정 등과 같이 특정지역에서 하수관이나 도랑에 오염물질이 포함된 폐수가 배출되는 오염원을 말하는 것으로 처리가 비교적 용이하고 심각성을 쉽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특정한 오염물질을 오염수로부터 분리하면 되기 때문에 그 특성에 맞는 정화시설을 설치하면 된다.
하지만, 비점오염원은 도시지역, 공사장, 주차장, 도로 등의 지역을 지나온 빗물이 지표면에 쌓여있는 오염물질과 함께 특별한 정화시설을 거치지 않고 하천이나 호수, 바다로 흘러내려가 수질을 오염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비점오염원이 유발될 수 있는 지역 곳곳에 소규모의 처리시설을 설치하여 그때그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비점오염원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는 처리시설의 필요성은 날로 증대되고 있으며, 수질오염총량관리제의 시행으로 향후 전국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예상되고 있다.
한편, 건설현장에서는 강우시 집중적인 토사유출이 발생되므로 침사지 건설이 필수적으로 되어 있으나, 침사지내의 침강효율이 낮아서 후속공정으로의 미세입자 유입으로 인해 유지관리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미세입자 및 중금속(주로 미세한 토사입자에 의하여 유출됨)이 충분한 처리없이 하천으로 유출되어 수계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초기강우시 내리는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정화함으로써 하천 등의 공공수역 등의 수질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을 제공함에 있다.
또, 유기물이 대상이 아닌 토사 및 중금속 등과 같은 무기물을 침강 및 흡착여과를 통해 처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오염물질과 침강장치와의 접촉을 늘려서 유속을 감속시키고 결과적으로 침강, 흡착 및 여과를 통한 처리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처리시설은, 유입되는 오염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수조몸체로 이루어진 비점오염 처리시설에 있어서, 상기 수조몸체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침강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침강장치는 수조몸체의 바닥면과 이격높이를 두면서, 수직상태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침사판을 포함하며, 상기 침강장치는 침사판이 2열로 배치되어 앞에 위치하는 1열 침사판과 바로 뒤에 위치하는 2열 침사판으로 이루어지되,상기 1열 침사판 및 2열 침사판들이 각각 이루는 이격폭이 서로 엇갈리게 배열된 것을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침강장치는 수조몸체의 폭방향에 대응되는 측벽 상단부에서, 수조몸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그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켜 부착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이 양편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서 연결대가 결합되며, 각각의 침사판 상단부를 연결대에 고정수단으로 고정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침사판은 흡착제가 내재된 섬유질 망을 고정틀에 의해 외측부를 고정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침강장치는 수조몸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거리를 두고서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착제로는 갈대 또는 톱밥, 목재파쇄조각(woodchip)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비점오염원으로부터 오염된 오염수에 혼재된 다양한 종류의 오염물질을 순차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다. 특히, 초기강우에 상당량 포함된 오염물질을 정화하여 공공수역이나 지하수 등으로 흘려 보냄으로써 오염물질로 인한 수질오염의 방지를 통해 자연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침강장치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조립 및 해체가 간편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비점오염물이 함유된 초기 우수를 정화처리하여 오염물질의 농도를 저하시킨 후, 공공수역 또는 지하수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대도시의 도로나 주차장, 상업 및 공업지역 등의 비점오염원에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다.
특히, 건설현장에서 토사유출 저감을 위한 침사지 내에 적용할 수 있는 한편, 침강지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침사지 및 침강지 내에 시설의 규모에 따라 본 발명을 2개 또는 3개 나란하게 설치하여 2열 또는 3열로 다양하고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침강장치의 침사판이 커튼식으로 장착되어 강우 유출수의 미세입자 접촉면적을 넓히고 충돌기회를 높임으로써 흡착 및 침강효율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한 포집장치는 건조 및 연소를 통하여 매립장에서의 복토재로 활용 가능한 잇점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을 보인 도면으로, 도 1은 정단면도이고 도 2는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절단부 단면도로서, 침강장치에 구성된 1열 침사판의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2의 B-B선 절단부 단면도로서, 침강장치에 구성된 2열 침사판의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 이다.
본 발명은 유입되는 오염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수조몸체(1)로 이루어진 비점오염 처리시설에 관한 것으로, 상기 수조몸체(1)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침강장치(10A)(10B)(20)를 구비하되, 상기 침강장치는 수조몸체(1)의 바닥면과 일정한 이격높이(H)를 두면서, 수직상태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침사판(11a)(11b)(2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조몸체(1)는 장방형 통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수리학적 특성에 의하면 횡류형(橫流形)이면서 장방형(長方形)에 해당하고, 수조몸체(1)에서의 흐름은 평행정류(平行整流)가 일반적인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오염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아서 좌측끝에 형성된 유입부벽(2)의 상단부를 통하여 유입되고, 수조몸체(1)의 내부에서 수평으로 흘러서 침강장치(10A)(10B)(20)를 차례로 거치게 되며, 침강장치에 의해 처리된 물은 우측끝에 형성된 유출부벽(3)의 상단부를 넘어서 즉, 월류(越流)되어 유출된다.
상기 수조몸체(1)의 유출부벽(3) 내측 상부에는 유출트라프(4; trough)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유출트라프(4)는 물 표면에서 균일하게 집수할 수 있도록 수면상에 일치되게 설치되는 '홈통'으로,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삼각형 노치(4a; notch)를 거쳐서 집수 방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조몸체(1)의 재질은 금속재 강판으로 형성되어 표면에는 방수 및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타르 에폭시수지(tar epoxy resin)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조몸체(1)의 바닥면에서 일정깊이로 호퍼(5)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호퍼(5)는 침강장치에 의해 침강되는 미세입자가 침사되어 퇴적될 수 있도록 확보하기 위한 공간으로, 유입부벽(2)에서부터 가깝게 위치한 침강장치(10A)에 하부를 지나 그 뒤에 설치한 침강장치(10B)의 하부 위치까지 형성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9)는 '배수공'으로서, 수조몸체(1)에 남아있는 정체수(停滯水)를 주기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체 도면에서, 침강장치에 대한 도면부호를 각기 다르게 (10A)(10B)(20)으로 표기하고, 침사판에 대한 도면부호도 (11a)(11b)(21)로 각기 다르게 표기하였는데, 이는 본 발명에 구비된 침강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부벽(2)에서부터 수조몸체(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위치마다 설치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설명을 함에 있어서 각각의 위치를 명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유입부(2)에서 가깝게 위치한 침강장치는 1단 침강장치(10A), 그 뒤에 위치한 것은 2단 침강장치(10B), 맨뒤에서 위치한 것은 3단 침강장치(20)라고 지칭하겠으며, 상기한 1단 침강장치(10A) 및 2단 침강장치(10B)에서 각각 앞에 배치된 침사판에 대해서는 1열 침사판(11a), 뒤에 배치된 것은 2열 침사판(11b)라고 하고, 3단 침강장치(20)에 있는 것은 침사판(21)으로 지칭함을 우선 밝혀둔다.
상기 1열 침사판(11a) 및 2열 침사판(11b)은 폴리에틸렌수지(polyethylene; PE) 재질로 형성되거나, 도 7에 도시한 침사판(21)과 같이 침강 작용과 흡착여과 기능을 모두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흡착제(26)가 내재된 섬유질 망(25)을 고정틀(24)에 의해 외측부를 고정시켜 이루어진다.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침사판이 1열로 이루어진 1단 침강장치만 설치하거나, 또는 1단 침강장치 및 2단 침강장치를 설치하되, 각각 침사판이 1열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할 수도 있으며,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흡착제(26)가 내재된 침사판(21)을 갖는 3단 침강장치(20)를 도 1에 도시한 1단 침강장치(10A) 및 2단 침강장치(10B)의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강장치(10A)(10B)(20)를 3단으로 설치하고 1단 침강장치(10A) 및 2단 침강장치(10B)에는 각각 1열 침사판(11a)과 2열 침사판(11b)을 구비하고 3단 침강장치(20)는 1열을 이루는 흡착제(26)가 내재된 침사판(21)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PE 재질로 형성된 침사판(11a)(11b)은 수조몸체(1)의 폭방향을 전체적으로 가로막아 유속이 느려지도록 하여 미세입자가 침강되도록 하는 한편, 유수되는 틈새를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일정한 이격폭(D)을 두고 다수개가 일렬을 이루어서 배치되는데, 간단히 표현해서 '커튼식'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흡착제(26)가 내재된 침사판(21)의 경우에는,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조몸체(1)의 폭방향을 가로막아 유속이 느려지도록 하여 미세입자가 침강되도록 함과 동시에, 침사판(21)에 내재된 흡착제(26)를 통과하면서 흡착여과시키는 기능도 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나 있듯이, 1단 침강장치(10A) 및 2단 침강장치(10B)에는 각각 앞에 배치된 1열 침사판(11a)과 바로 뒤에 배치된 2열 침사판(11b)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1열 침사판(11a) 및 2열 침사판(11b)들이 각각 이루는 이격폭(D)이 서로 엇갈리게 배열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1열 침사판(11a)들이 이루는 이격폭(D) 위치의 바로 뒤에서 2열 침사판(11b)들이 각각 위치된다.
도 6은 침강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일부절개 사시도이고, 도 7은 침강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보인 일부절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나타나 있듯이, 1단/2단 침강장치(10A)(10B)는 수조몸체(1)의 폭방향에 대응되는 측벽(6)(7) 상단부에서, 수조몸체(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그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켜 부착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13)이 양편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3) 사이에서 연결대(12a)(12b)가 각각 결합되며, 각각의 침사판(11a)(11b) 상단부를 연결대(12a)(12b)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시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프레임(13)은 수조몸체(1)의 측벽(6)(7) 상단부에 용접방식에 의해 고정할 수 있고, 지지프레임(13)을 측벽(6)(7) 상단부에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고정하여 그 위치를 다르게 할 경우에는 분리하여 새로운 위치에서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침사판(11a)(11b)은 PE 재질로 형성되어, 유속에 의해 어느 정도 탄력적으로 하단부가 휘어질 수 있으나, 잦은 휘어짐으로 인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대(12a)(12b)를 축으로 하여 일정각도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도 8에서 침사판을 가상선으로 표현한 부분 참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단/2단 침강장치(10A)(10B)는 수조몸체(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거리를 두고서 적어도 2개 이상 설치하여, 즉 2단 이상의 다단으로 설치되는데, 앞에 위치한 1단 침강장치(10A)를 통과한 오염수에 포함되어 있는, 즉 1단 침강장치(10A)에서 미처 처리되지 않은 미세물질을 뒤에 위치한 2단 침강장치(10B)에 의해서 다시 한번 침강 작용이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침강장치에 의한 미세물질 처리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침사판(11a)(11b)의 이격폭(D)은 10cm 정도, 1열 침사판(11a)과 2열 침사판(11b) 사이는 20cm 정도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도 1 및 도 2에서 수조몸체(1)의 중간부위에 가상선인 이점쇄선 수직선에 도면부호(8)로 표기한 것은, 수조몸체(1)를 상기한 수직선상에서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 분리형으로 제작하여 그 부위를 방수처리가 되게 이음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대용량이 요구되는 지역에 본 발명을 설치하는 경우에 수조몸체(1)를 중간 연결형으로 제작하여, 운반이 용이하게 하여 설치시에 이음결합할 수 있다. 설치시에는 맞대어진 이음부(8)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접 및 볼트에 의해 결합한 후, 타르 에폭시수지에 의해 방수처리를 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3단 침강장치(20)도 1단/2단 침강장치(10A)(10B)와 마찬가지로 수조몸체(1)의 폭방향에 대응되는 측벽(6)(7) 상단부에서, 수조몸체(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그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켜 부착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23)이 양편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23) 사이에서 연결대(22)가 결합되며, 침사판(21)은 흡착제(26)가 내재된 섬유질 망(25)을 고정틀(24)에 의해 외측부를 고정시켜 이루어진다.
상기 섬유질 망(25)은 부직포대, 코코아 섬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침사판(21)은 흡착제(26)가 내재된 섬유질 망(25)을 간편하게 설치하고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틀(24)의 상단부에는 연결대(22)에 위에서 아래로 간편하게 걸을 수 있도록 '
Figure 112007065860411-pat00001
'자형 걸림구(도면부호 미기재)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흡착제(26)가 내재된 섬유질 망(25), 즉 침사판(21)의 흡착여과 기능을 다하여 교체할 때에는 고정틀(24)을 연결대(22)에서 들어주면 상기 '
Figure 112007065860411-pat00002
'자형 걸림구에 의해 쉽게 분리되고, 고정틀(24)에 있는 섬유질 망(25)을 꺼낸 다음 새것으로 간편하게 교체하여 재결합할 수 있다.
상기 3단 침강장치(20)도 1단/2단 침강장치(10A)(10B)와 마찬가지로 지지프레임(23)을 수조몸체(1)의 측벽(6)(7) 상단부에 용접방식에 의해 고정할 수 있고,측벽(6)(7) 상단부에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그 위치를 다르게 할 경우에는 분리하여 새로운 위치에서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초기강우 유출수인 경우에는 비교적 유량이 많고, 짧은 시간에 유출되기 때문에 여과속도가 빨라야 하기 때문에, 빠른 여과속도를 가지면서도 높은 여과효율을 유지하기 위해서 입경이 어느 정도 큰 것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내부 공극이 많은 다공성 흡착제를 사용하여 내부여과를 하는 것이 좋으며, 다공성 흡착제는 미세 입자를 공극사이에서 물리적으로 포획하거나 표면이나 기공에 흡착함으로써 부유물질을 여과하며 공극율이 크기 때문에 내부여과가 일어난다. 내부여과가 되면 흡착제의 표층부터 내부까지 여과가 일어나므로 여과효율이 좋고 그 사용기간이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흡착제(26)로는 갈대, 톱밥 또는 목재파쇄조각(woodchip)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하는데, 상기한 흡착제 들은 모두 비표면적이 큰 다공성을 가지므로 미세한 토사입자 및 중금속을 흡착,여과하는데 있어 입자성 오염물질과 용존성 오염물질의 제거효율의 증대를 기대할 수 있고 비용측면에서도 매우 저렴하여 경제적인 잇점이 있다.
한편, 상기 흡착제로 입자상 활성탄(GAC), 여과사(Sand), 페라이트, 제오라이트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일반적으로 오염물질에는 토사(모래나 흙), 철조각 등과 같은 입자상 오염물질과, 기름이나 유지류 등과 같이 물보다 비중이 작으면서 액상인 오염물질, 물에 용해되는 용존성 물질 등이 있다. 이러한 오염물질들 중에는 상기 PE 재질로 된 침사판(11a)(11b)의 침강 작용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않는 오염물질이 있을 수 있는데, 이를 상기 흡착제(26)가 내재된 침사판(21)에서 흡착여과시키게 된다.
한편, 유입부벽(16)과 1단 침강장치(10A) 및 2단 침강장치(10B) 사이는 대략 1m이고, 상기 침강장치(10A)와 유입부벽(2)와의 사이는 대략 1m 정도, 상기 3단 침강장치(20)와 유출부벽(4)과의 사이는 1.3m 정도이며, 침강장치의 하단과 바닥과의 사이는 30 ~ 40cm 정도로 하고, 상기 호퍼의 깊이는 침전조의 바닥면에서부터 60c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조몸체(1)에서의 유속이 너무 빠르면 침전을 저해하거나 침전된 슬러지를 부상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평균유속은 침강장치에 의해 침사되는 미세입자를 부상시키지 않아야 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며, 침강장치 내의 통과시간을 적절하게 선정하는 것은 효과적으로 침전 제거시키기 위하여 중요하다 하겠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의 작용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유입부벽(2)의 상단부를 통하여 오염수가 유입되면, 1단 침강장치(10A), 2단 침강장치(10B) 및 3단 침강장치(20)를 차례로 거치게 되는데, 이때 오염수는 1단 침강장치(10A)에서 엇갈리게 배열된 1열 침사판(11a) 및 2열 침사판(11b)에 부딪혀서 이동속도가 느려지게 되어 중력에 의해서 비중이 큰 입자상의 오염물질은 자연적으로 바닥으로 가라앉으며, 바닥에 형성되어 있는 호퍼(5)에 퇴적되고, 퇴적물은 인양기 또는 진공흡입펌프 등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분리수거하게 된다.
이렇게 1단 침강장치(10A)의 침사판(11a)(11b) 틈새를 통과한 물은 2단 침강장치(10B)쪽으로 흘러가며, 2단 침강장치(10B)에서 1단 침강장치(10A)에 의해 미처 처리하지 못한 미세입자가 다시 한번 침강 작용이 일어나므로, 침강장치에 의한 미세물질 처리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주기적으로 물 위에 뜬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입자상의 오염물질은 주기적으로 걷어내어 제거한다.
다음으로, 2단 침강장치(10B)를 통과한 물은 3단 침강장치(20)를 거치게 되 는데, 구체적으로는 흡착제(26)가 내재된 침사판(21)을 통과하면서 1단/2단 침강장치(10A)(10B)에 의해서 침강되징 않은 잔여 오염물질을 침강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제거되지 않은 오염물질(미처리된 중금속 또는 난분해성 물질)을 흡착시켜 여과시킨다.
최종적으로는 유출부벽(3) 내측에 형성된 유출트라프(4)를 통하여 집수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은 특히, 건설현장에서 토사유출 저감을 위한 침사지 내에 적용할 수 있고, 전처리 공정인 침강지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침사지 및 침강지 내 시설규모에 따라 본 발명을 2개 또는 3개 나란하게 설치하여 2열 또는 3열로 다양하고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침강장치의 침사판이 커튼식으로 장착되어 강우 유출수의 미세입자 접촉면적을 넓히고 충돌기회를 높임으로써 흡착 및 침강효율 증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을 보인 도면으로, 도 1은 정단면도이고 도 2는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절단부 단면도로서, 침강장치에 구성된 1열 침사판의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2의 B-B선 절단부 단면도로서, 침강장치에 구성된 2열 침사판의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도 2의 C-C선 절단부 단면도로서, 침강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침강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일부절개 사시도,
도 7은 침강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보인 일부절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조몸체 2 : 유입부벽
3 : 유출부벽 4 : 유출트라프
5 : 호퍼 6, 7 : 측벽
10A, 10B, 20 : 침강장치 11a, 11b, 21 : 침사판
12, 22 : 연결대 13, 23 : 지지프레임
24 : 고정틀 25 : 섬유질 망
26 : 흡착제

Claims (7)

  1. 유입되는 오염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수조몸체로 이루어진 비점오염 처리시설에 있어서,
    상기 수조몸체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침강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침강장치는 수조몸체의 바닥면과 이격높이를 두면서, 수직상태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침사판을 포함하며,
    상기 침강장치는 침사판이 2열로 배치되어 앞에 위치하는 1열 침사판과 바로 뒤에 위치하는 2열 침사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1열 침사판 및 2열 침사판들이 각각 이루는 이격폭이 서로 엇갈리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강장치는 수조몸체의 폭방향에 대응되는 측벽 상단부에서, 수조몸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그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켜 부착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이 양편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서 연결대가 결합되며, 각각의 침사판 상단부를 연결대에 고정수단으로 고정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사판은 흡착제가 내재된 섬유질 망을 고정틀에 의해 외측부를 고정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비점오염 처리시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침강장치는 수조몸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거리를 두고서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로는 갈대 또는 톱밥, 목재파쇄조각(woodchip)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6. 삭제
  7. 삭제
KR1020070092098A 2007-09-11 2007-09-11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KR100806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098A KR100806564B1 (ko) 2007-09-11 2007-09-11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098A KR100806564B1 (ko) 2007-09-11 2007-09-11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6564B1 true KR100806564B1 (ko) 2008-03-03

Family

ID=39397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098A KR100806564B1 (ko) 2007-09-11 2007-09-11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656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212U (ko) * 1997-04-14 1998-11-16 김왕규 오수정화조용 접촉폭기실의 접촉부재 장착구조
JP2003340216A (ja) 2002-05-29 2003-12-02 Yoji Nagano 流体の濾過装置
KR200411348Y1 (ko) 2005-12-23 2006-03-15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간이 정수장치
KR20060050811A (ko) * 2004-08-30 2006-05-19 주식회사 젠트로 침전지의 도류벽 설치구조
KR100662483B1 (ko) 2005-10-11 2006-12-28 (주)백년기술 판형접촉모듈을 이용한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212U (ko) * 1997-04-14 1998-11-16 김왕규 오수정화조용 접촉폭기실의 접촉부재 장착구조
JP2003340216A (ja) 2002-05-29 2003-12-02 Yoji Nagano 流体の濾過装置
KR20060050811A (ko) * 2004-08-30 2006-05-19 주식회사 젠트로 침전지의 도류벽 설치구조
KR100671338B1 (ko) 2004-08-30 2007-01-19 주식회사 젠트로 침전지의 도류벽 설치구조
KR100662483B1 (ko) 2005-10-11 2006-12-28 (주)백년기술 판형접촉모듈을 이용한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
KR200411348Y1 (ko) 2005-12-23 2006-03-15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간이 정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819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0706269B1 (ko) 초기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KR100894022B1 (ko)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0987316B1 (ko) 유수분리 및 상향여과 복합방식의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및 정화 방법
KR101249741B1 (ko) 미생물 처리조를 포함한 통합 장치형 우수 처리 장치 및 우수 처리 방법
KR101235008B1 (ko) 비점 오염 저감 시설
JP3148921U (ja) 雨水濾過器
KR100991492B1 (ko) 다단처리를 통한 자연형 초기 우수 정화 장치 및 그 정화 방법
KR100891656B1 (ko) 수로형 인공습지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04081B1 (ko) 바이패스 수로가 부설된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여과형 수로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814790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여과형 수로
KR100726157B1 (ko) 매립시설 침출수 정화장치 및 방법
KR100621193B1 (ko) 오염수정화장치 및 오염수정화장치의 오염수정화방법
KR100516951B1 (ko) 건축물 우수배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0939325B1 (ko) 자연친화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143866B1 (ko)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KR101177714B1 (ko) 노면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147021B1 (ko) 비점오염수 정화장치
KR101760902B1 (ko) 블록식 결합형태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KR101249354B1 (ko) 빗물 이용수 처리 시설
KR100964596B1 (ko) 다층여재형 우수 정화처리 장치
KR200359724Y1 (ko)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 처리장치
KR100806564B1 (ko)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KR20050112629A (ko)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