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3212U - 오수정화조용 접촉폭기실의 접촉부재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오수정화조용 접촉폭기실의 접촉부재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3212U
KR19980063212U KR2019970007687U KR19970007687U KR19980063212U KR 19980063212 U KR19980063212 U KR 19980063212U KR 2019970007687 U KR2019970007687 U KR 2019970007687U KR 19970007687 U KR19970007687 U KR 19970007687U KR 19980063212 U KR19980063212 U KR 199800632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hamber
contact member
aeration chamb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76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왕규
Original Assignee
김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왕규 filed Critical 김왕규
Priority to KR20199700076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3212U/ko
Publication of KR199800632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212U/ko

Links

Landscapes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뇨나 생활하수등의 폐수를 정화처리하는 오수정화장치에 있어서, 접촉폭기실에 설치되는 접촉부재를 분해, 결합할 수 있도록 한 오수정화조용 접촉폭기실의 접촉부재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폐수를 정화시키기 위하여, 탱크 내부에 제 1, 2 혐기성조(R)와, 접촉폭기실(B)과, 침전실(F)과, 여과분해실(P)이 구비되고 상기 접촉폭기실(B) 내부에 접촉부재(4)가 장치된 공지의 오수정화조에 있어서, 전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V형의 홈(21)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상부 고정대(22a, 22b)와, 전후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끼움공(23)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하부 고정대(24a, 24b)와, 다공질로된 판체(25)의 양측단부에 장착봉(26a, 26b)이 고정된 접촉판(27)으로 접촉부재(4)를 구성하며, 장착봉(26a, 26b)의 상, 하부를 상부 고정대(22a, 22b)의 홈(21)과 하부 고정대(24a, 24b)의 끼움공(23)에 각각 결합 분해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접촉판을 간편하게 분해, 결합하므로서 미생물의 활성화를 촉진시켜 정화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오수정화조용 접촉폭기실의 접촉부재 장착구조
본 고안은 분뇨나 생활 하수등의 폐수를 정화처리하기 위한 오수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수정화장치의 접촉폭기실에 설치되는 접촉부재를 간편하게 장착 및 분해 할 수 있도록 한 오수정화조용 접촉폭기실의 접촉부재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등에서 배출되는 분뇨나 생활하수등의 폐수를 하천에 그대로 방류할 경우에 수질오염의 근본원인이 되므로 이를 정화 처리한 후에 방류시키기 위한 수단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근래에 개발된 오수정화장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원통형의 탱크 내부에 제 1, 2 혐기성조와, 접촉폭기실과, 침전실이 격벽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구획설치되고, 침전실과 관통된 여과분해실이 상기 제 1, 2 혐기성조의 상부에 설치되게 구성된 것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종래의 오수정화장치는 외부에서 탱크 내부로 유입되는 폐수가 제 1 혐기성조에서 침전과 혐기성 분해가 이루어지고 재차 제 2 혐기성조에서 침전과 혐기성 분해가 이루어 진후에 접촉폭기실로 유입되며, 접촉폭기실로 유입된 폐수는 내부에 설치된 접촉부재에 부착된 호기성 활성미생물에 의하여 유기물질의 분해 반응이 이루어지므로 유기물질이 제거된 후에 침전실로 유입되며, 침전실로 유입된 폐수는 함유되었던 슬러지가 중량에 의하여 하부에 쌓이게 되고 상부를 통하여 여과분해실로 유입된다. 재차 여과분해실로 유입된 후 폐수에 포함되어 있던 미처리물이 여과재에 의하여 여과 및 분해되면서 정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오수정화장치는, 미생물이 부착된 다수의 판체로 구성된 접촉부재가 접촉폭기실 내부에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교체 및 청소를 할 수 없어 미생물의 활성화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즉, 상기 오수정화장치는 일정기간 사용하게 되면 접촉폭기실의 하부에 미처리둘들이 침전되므로 이를 제거하여야 하나 접촉부재가 접촉폭기실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어 있지 못하였다.
또한 상기 접촉부재의 판체는 미생물의 부착성 및 활성화가 양호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다공성의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판체에 다수의 미생물과 미처리물들이 부착되어 중량이 가하여지게 되면 판체가 변형이 되나, 이를 교체할 수 없었다.
또한, 오수 처리 중에 발생되는 불의한 사고로 인하여 판체에 부착된 미생물이 대량으로 죽게되는 경우에, 폐미생물을 제거하고 새로운 미생물로 교체 할 수가 없었다.
때문에, 종래의 오수정화장치는 접촉폭기실을 청소할 수 없고 접촉부재를 교체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결국 미생물의 활성화가 저하되어 정화효율이 낮아지는 원인이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폐수를 정화처리하는 오수정화장치의 접촉폭기실에 설치되는 접촉부재를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므로서 일정기간 사용후에는 접촉부재를 청소하거나 교체할 수 있어 정화효율을 상승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은, 제 1, 2 혐기성조와, 접촉폭기실과, 침전실과, 여과분해실로 구성되며, 상기 접촉폭기실에 접촉부재가 설치된 공지의 오수정화장치에 있어서, 다공질의 판체으로된 접촉판의 양측에 상하로 길게 돌출된 장착봉과, V형의 홈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장착봉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고정대와, 다수의 끼움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장착봉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고정대로서 접촉부재를 구성한 것이다.
상기 상부 고정대와 하부 고정대는 접촉폭기실의 내부에 부착하되 좌우에 각각 구성하므로서, 접촉판의 좌우측에 형성된 각각의 장착봉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며, 상부 고정대에 지지된 장착봉의 상부를 와이어등으로 결속하므로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즉, 상부 고정대와 하부 고정대에 접촉판을 결합하기 위하여는, 장착봉의 하부를 끼움공에 결합하고 장착봉의 상부를 홈에 지지시킨 후에 와이어 등으로 결속하므로서 결합이 완료되며, 접촉판을 청소 및 분해할 때에는 결합의 역순으로 분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체를 보인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
도 2 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장착봉을 상부고정대에 끈으로 결속한 상태를 보인 일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탱크R:제 1, 2 혐기성조
B:접촉폭기실F:침전실
P:여과분해실4:접촉부재
21:홈22a, 22b:상부고정대
23:끼움공24a, 24b:하부고정대
25:판체26a, 26b:장착봉
27:접촉판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체를 보인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이며, 도 2 은 본 고안의 접촉부재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이며, 도 4 는 본 고안의 장착봉을 상부고정대에 와이어로 결솔한 상태를 보인 일부 사시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길이가 긴 원통형의 탱크(T)에 제 1, 2 혐기성조(R)와, 접촉폭기실(B)과, 침전실(F)과 여과분해실(P)을 각각 구성한다.
상기 탱크(T)의 유입구측에 유입관(1)을 형성하여 제 1 혐기성조(R)와 유입관(1)이 관통되게 설치하며, 제 1 혐기성조(R)의 측방에 제 2 혐기성조(R)를 격벽(2)에 의하여 분할 형성하고 각각의 제 1, 2 혐기성조(R)가 서로 관통되게 설치한다.
내부에 급기관(3)과 접촉부재(4)가 장치된 접촉폭기실(B)을 상기 제 2 혐기성조(R)의 측방에 격벽(5)에 의하여 분할되게 설치하며, 격벽(5)의 상부에 형성된 통로(6)를 통하여 접촉폭기실(B)과 제 2 혐기성조(R)가 서로 관통되게 설치한다.
침전실(F)을 상기 접촉폭기실(B)의 측방을 격벽(7)에 의하여 분할되게 설치하며, 격벽(7)의 하부에 형성된 통로(8)와 서로 관통되게 설치한다.
또한, 하방에 다수의 여과재(9)가 적층된 여과분해실(P)을 상기 제 1, 2 혐기성조(R)의 상부에 설치하고, 환수관(10)에 의하여 상기 침전실(F)과 관통되게 설치하고, 외부와 관통되는 유출관(11)을 여과분해실(P)에 형성한다.
상기한 설명은 공지된 기술적 구성에 의한 것이며, 본 고안의 특징은 상기 접촉폭기실(B)에 장착된 접촉부재(4)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V형의 홈(21)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좌우 한쌍의 상부 고정대(22a, 22b)와, 전후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끼움공(23)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좌우한쌍의 하부 고정대(24a, 24b)와 다공질로된 판체(25)의 양측단부에 장착봉(26a, 26b)이 고정된 접촉판(27)으로서, 접촉부재(4)를 구성하며, 접촉폭기실(B)에 접촉부재(4)를 설치하는 것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판(27)의 장착봉(26a)(26b)의 상단부를 상부 고정대(22a, 22b)의 홈(21)에 지지한다.
또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고정대(22a, 22b)의 홈(21)에 장착봉(26a)( 26b)가 지지된 상태에서 와이어 또는 별개의 결속구등을 이용하여 결속고정시키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28은 맨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정이나 식당등에서 발생된 분뇨나 생활하수등의 폐수는 유입관(1)을 통하여 제 1, 2 혐기성조(R)로 유입되어 침전과 혐기성 분해가 이루어지며, 접촉폭기실(B)로 유입된 후에 미생물이 부착도니 접촉부재(4)에 의하여 유기물질이 분해제거되며, 재차 침전실(F)로 유입되어 중량에 의하여 슬러지가 하부에 이동되며, 상부측의 환수관(10)을 통하여 여과분해실(P)로 유입되어 다수의 여과재(9)에 의하여 미처리물등의 여과 및 분해 된 후에 유출관(11)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다.
즉, 탱크(T)로 유입되는 폐수는 제 1, 2 혐기성조(R)와, 접촉폭기실(B)과 침전실(F)과, 여과분해실(P)에 순차적으로 이동되는 동안 정화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상기 접촉폭기실(B)에 장치된 접촉부재(4)의 판체(25)에는 호기성 미생물이 부착되어 있고 급기관(3)을 통하여 공기가 공급되므로 미생물의 활성화에 따른 유기물질의 분해가 정화효율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는 것으로서, 판체(25)에 다수의 미생물과 미처리물들이 부착되어 변형되거나, 불의한 사고로 인하여 대량으로 미생물이 죽게 되는 경우에, 상부 고정대(22a)(22b)와 하부 고정대(24a)(24b)로부터 접촉판(27)을 분해하여 청소하거나 새로운 접촉판(27)으로 교체하여 주는 것이다.
즉, 접촉판(27)을 분해하기 위하여는, 상부 고정대(22a)(22b)의 홈(21)에 장착봉(26a, 26b)의 상부가 와이어등으로 결솔된 상태에서, 와이어를 해체 한후에 상부로 들어올리면 장착봉(26a, 26b)이 하부가 하부 고정대(24a)(24b)의 끼움공(23)으로부터 이탈되므로 접촉판(27)이 상부 고정대(22a, 22b)과 하부 고정대(24a, 24b)로부터 분해되는 것이며, 분해된 접촉판(27)은 판체(25)가 절곡되는 재질로 되어 있으므로 외형을 최소화시킨 후에 맨홀(28)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하여 청소하거나 교체하는 것이다.
교체하기 위한 접촉판(27)을 상부 고정대(22a)(22b)와 하부 고정대(24a, 24b)에 결합하기 위하여는, 장착봉(26a, 26b)의 하부를 하부 고정대(24a, 24b)의 끼움공(23)에 끼우고 장착봉(26a, 26b)의 상부를 상부 고정대(22a)(22b)의 홈(21)에 지지시키는 방법으로 좌우측의 장착봉(26a, 26b)을 각각 상부 고정대(22a)(22b)와 하부 고정대(24a, 26b)에 지지시키면, 각각의 접촉판(27)이 정위치에 놓여진다.
계속하여, 정위치의 접촉판(27)이 불의하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 고정대(22a)(22b)의 홈(21)에 지지된 장착봉(27)의 상단부를 와이러로 결속하거나 또는 별개로 제조된 결속구로서 고정시키는 것이다.
또한, 일정기간 사용후에 접촉폭기실(B) 하부에 미처리물들이 축적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각각의 접촉판(27)을 분해하여 외부로 인출하면 청소공간이 확보되므로 원활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접촉폭기실에 장치된 접촉부재의 접촉판을 상, 하부고정대 부터 쉽게 분리하여 청소하거나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결국 전체적인 정화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폐수를 정화시키기 위하여, 탱크(T) 내부에 제 1, 2 혐기성조(R)와, 접촉폭기실(B)과, 침전실(F)과, 여과분해실(P)이 구비되고 상기 접촉폭기실(B) 내부에 접촉부재(4)가 장치된 공지의 오수정화조에 있어서, 전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V형의 홈(21)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상부 고정대(22a)(22b)와, 전후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끼움공(23)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하부 고정대(24a, 26b)와, 다공질로된 판체(25)의 양측단부에 장착봉(26a, 26b)이 고정된 접촉판(27)으로 접촉부재(4)를 구성하며,
    장착봉(26a, 26b)의 상, 하부를 상부 고정대(22a, 22b)의 홈(21)과 하부 고정대(24a, 24b)의 끼움공(23)에 각각 결합 분해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정화조용 폭기실의 접촉부재 장착구조.
KR2019970007687U 1997-04-14 1997-04-14 오수정화조용 접촉폭기실의 접촉부재 장착구조 KR1998006321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687U KR19980063212U (ko) 1997-04-14 1997-04-14 오수정화조용 접촉폭기실의 접촉부재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687U KR19980063212U (ko) 1997-04-14 1997-04-14 오수정화조용 접촉폭기실의 접촉부재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212U true KR19980063212U (ko) 1998-11-16

Family

ID=69671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7687U KR19980063212U (ko) 1997-04-14 1997-04-14 오수정화조용 접촉폭기실의 접촉부재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321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564B1 (ko) * 2007-09-11 2008-03-03 김회진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564B1 (ko) * 2007-09-11 2008-03-03 김회진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71971B (zh) 一种过滤膜包及应用该过滤膜包的膜生物反应器
KR100552712B1 (ko)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
CN204661385U (zh) 多介质可再生生物滤床
AU2011232271B2 (en) Membrane filter system
CN109836016B (zh) 一种河道排污口污水处理装置
CN208667397U (zh) 一种新型生活污水处理系统
CN217173529U (zh) 一种农村单户生活污水处理装置
KR19980063212U (ko) 오수정화조용 접촉폭기실의 접촉부재 장착구조
JPH08229590A (ja) 中水道の循環システム及び貯水槽
CN214936801U (zh) 一种污染原水处理装置
CN211946433U (zh) 生物滤池用进水格栅
CN213112947U (zh) 一种ao生化-mbr一体化废水处理装置
KR200361822Y1 (ko)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
CN102963972A (zh) 连续循环式管膜生物反应器
JP4019209B2 (ja) 水の浄化システム
JP2967335B2 (ja) 浄化装置
CN217351086U (zh) 一体化分散式生活污水处理装置
CN211946427U (zh) 气水分布底盘装置
CN210620513U (zh) 一种厕所高效污水处理及循环利用系统
JPH07328676A (ja) 接触曝気モジュ−ルユニット
CN213294835U (zh) 一种一体化污水处理系统
CN217556010U (zh) 一种生活污水厌氧降流式重力滤池一体化设备
JPH07289813A (ja) 排水処理装置
CN210481150U (zh) 一种紧凑式生活污水处理设备
CN211644773U (zh) 一种高效硝化/反硝化脱氮滤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