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2483B1 - 판형접촉모듈을 이용한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판형접촉모듈을 이용한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2483B1
KR100662483B1 KR1020050095537A KR20050095537A KR100662483B1 KR 100662483 B1 KR100662483 B1 KR 100662483B1 KR 1020050095537 A KR1020050095537 A KR 1020050095537A KR 20050095537 A KR20050095537 A KR 20050095537A KR 100662483 B1 KR100662483 B1 KR 100662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plate
contact
flat
contac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5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희
강성현
최인식
오창룡
박성선
최송범
Original Assignee
(주)백년기술
최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백년기술, 최인식 filed Critical (주)백년기술
Priority to KR1020050095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24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1Arranged-type packing, e.g. stacks, arr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6Aerobic processes using submerge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9Characterized by the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7Modular desig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입수단, 평판형 접촉산화조, 침전조 및 방류조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호소,오수,폐수에 포함된 부유물질 또는 유기물을 미생물에 의한 흡착 및 생물학적 산화분해를 통해 정화하는 판형접촉모듈을 이용한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평판형 접촉산화조는, 폴리염화비닐(PVC)이나 폴리에틸렌(PE)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수지를 외표면이 원추형 돌기와 엠보싱된 요철면을 이루는 평판 형태로 압출성형한 평판형모듈을 적층시켜 조립한 평판형접촉모듈과; 상기 평판형접촉모듈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받침대로, 사전 제작된 조립식 격자형태 하부받침대와; 상기 평판형접촉모듈에서 탈리된 미생물을 포함한 슬러리가 침강 및 농축될 수 있도록 저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사전 제작된 조립식 침전모듈;을 구비한 접촉산화유니트가 다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에 조립식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정화 처리용량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경하고 설치하는 것이 용이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정화장치, 접촉산화조, 조립식 구조물

Description

판형접촉모듈을 이용한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Apparatus for Purifying Lake and River Using BooK-size contact Medi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하천 및 호소의 전체 정화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하천 및 호소의 정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B-B'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형접촉모듈을 이용한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의 평판형접촉모듈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접촉모듈이 접촉산화유니트에 적층되고 다단계로 배치된 구조 및 상기 평판형접촉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형접촉모듈을 이용한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의 하부받침대를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형접촉모듈을 이용한 호소 및 하천 정 화장치의 조립식 침전모듈을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크리트 구조물 2 : 분배조
3 : 평판형 접촉산화조 4 : 최종침전조
5 : 방류조 6 : 오니농축조
7 : 접촉산화유니트 8 : 평판형접촉모듈
9 : 하부받침대 10 : 조립식 침전모듈
11 : 평판형모듈 12 : 원추형 돌기
13: 요철면
본 발명은 접촉산화방식을 이용한 하천정화장치로서 오염된 하천, 호소, 오수,폐수에 포함된 생물학적으로 분해가능한 유기물을 평판형 접촉모듈에 부착성장한 미생물을 이용하여 흡착, 산화, 분해, 소화, 침전의 과정을 통하여 정화처리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과 유사한 선행기술로서 접촉산화방식을 이용한 오염된 하천 및 호소의 정 화장치가 근래에 여러 가지 처리방법들이 고안되어 하천 및 호소에 적용된 사례가 있으며 그 중에서 실효성 및 처리효율이 입증된 대표적인 기술은 다양한 종류의 접촉여재를 이용한 처리방법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대표적인 하천정화장치의 실례중 하나로서 자갈, 쇄석 등을 여재로 사용한 자갈접촉방식의 하천정화장치 및 화학섬유를 원통형 모양으로 직조한 끈상접촉여재를 상하거치대에 걸친 후 수직방향으로 늘어뜨린 끈상접촉방식의 하천정화장치가 있다.
자갈접촉방식의 하천정화장치는 직각 또는 정방형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일정한 크기로 조정한 자갈 및 쇄석을 하부에서부터 상부까지 충진하고 하부에 산기시설 및 집수시설을 설치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통과시키면서 자갈 및 쇄석의 표면에 미생물이 부착하여 오염물질을 흡착, 소화, 분해, 침전과정을 통해 제거한다. 자갈접촉방식의 하천정화장치는 자갈, 쇄석 등을 여재로 사용하여 자연형 하천의 정화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저농도의 오염된 하천에 적용할 수 있으나 장기간 운영하면서 자갈과 자갈 사이의 공극이 적어 미생물의 부착성장에 따른 폐쇄현상으로 하천수의 자갈접촉여재사이의 통과가 어렵게 되면서 그 기능이 상실하는 사례가 빈번하여 하천정화장치의 효용성에 한계가 있었다. 더구나 일정한 크기의 자갈을 조달하기도 어려우며 자갈접촉여재의 하중이 너무 커서 자갈접촉여재를 지탱하기 위한 구조물의 설치에도 많은 어려움이 야기되었다.
끈상접촉방식의 하천정화장치는 직각 또는 정방형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화학섬유 를 원통형 모양으로 직조한 끈상접촉여재를 일렬로 늘어선 상하 수평거치 대에 하나씩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수직으로 걸어서 설치하며 끈상접촉여재에 미생물이 부착시켜 오염물질을 흡착, 소화, 분해, 침전과정을 통해 제거한다. 끈상접촉방식의 하천정화장치는 끈상접촉여재간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하천수의 이동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자갈접촉정화방식의 자갈접촉여재간 공극의 폐쇄현장을 개선하였으며 미생물의 부착성도 좋아 오염물질의 제거성능도 향상되어 자갈접촉방식에 비하여 많은 개선이 이루어졌으나 끈상접촉여재를 하나씩 걸어서 설치해야하므로 설치작업이 난해하고 작업공기가 길으며 또한 끈상접촉여재의 섬유 다발형태의 구조적 특성상 미생물이 과다 부착하여 주기적인 과대성장한 미생물덩어리의 탈락현상에 의하여 처리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장시간 운전시 끈상접촉여재의 하중이 증대되어 하중을 지탱하는 수평거치대의 처짐 현상이 발생하여 끈상접촉여재간의 간격이 유지가 안 되어 일부 부패현상이 유발되곤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새로운 형태의 평판접촉모듈 및 조립식구조의 하부받침대 및 침전모듈을 제공하고,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한 정화장치를 조립식 구조물형태로 대체 제안함으로써 오염된 하천, 호소, 오수, 폐수의 안정적 처리 및 작업시간 단축과 시공의 편의를 도모함으로써 정화 처리용량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경, 설치하는 것이 용이한 경제적인 하천정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입수단, 평판형 접촉산화조, 침전조 및 방류조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 호소, 오수, 폐수에 포함된 부유물질 또는 유기물을 미생물에 의한 흡착 및 생물학적 산화분해를 통해 정화하는 판형접촉모듈을 이용한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평판형 접촉산화조는, 폴리염화비닐(PVC)이나 폴리에틸렌(PE)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수지를 외표면이 원추형 돌기와 엠보싱된 요철면을 이루는 평판 형태로 압출 성형한 평판형모듈을 적층시켜 조립한 평판형접촉모듈과; 상기 평판형접촉모듈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받침대로, 사전 제작된 조립식 격자형태 하부받침대와; 상기 평판형접촉모듈에서 탈리된 미생물을 포함한 슬러리가 침강 및 농축될 수 있도록 저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사전 제작된 조립식 침전모듈;을 구비한 접촉산화유니트가 다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평판형모듈은 파형 또는 요철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평판형모듈을 적층시켜 조립한 평판형접촉모듈은 평판형모듈의 원추형 돌기 부분이 맞닿도록 진공성형 시킨 후 평판형모듈 형태를 교대로 적층시켜 접착시키고,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로 조립한 평판형접촉모듈도 가능하다. 또한, 위에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로 조립하는 것은 평판형모듈을 접촉산화유니트의 수직방향으로 길게 조립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러한 본 발명은 평판형모듈을 적층시켜 조립한 평판형접촉모듈과; 격자형태의 하부받침대와; 조립식 침전모듈;을 구비한 접촉산화유니트가 다단계로 이루어진 판형접촉모듈을 이용한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 상기 하부받침대는 폴리염화비닐(PVC)이나 폴리에틸렌(PE)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수지 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glass reinforced plastic:FRP)으로 이루어지고, 조립식 침전모듈의 상단에 조립되어 설치되며, 상기 하부받침대의 상부에는 평판형접촉모듈이 조립되어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립식 침전모듈(10)은 폴리염화비닐(PVC)이나 폴리에틸렌(PE)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수지 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glass reinforced plastic:FRP)으로 이루어지고, 접촉산화유니트(7)의 저면부에 조립되어 설치되며, 상기 조립식 침전모듈(10)의 상부에는 하부받침대(9)가 조립되어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판형접촉모듈을 이용한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는 접촉산화유니트 외에 최종침전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최종침전조는 평판형접촉모듈이 접촉산화유니트의 수평방향으로 길게 조립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접촉모듈을 이용한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를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판형접촉모듈을 이용한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는 설치 장소에 먼저 콘크리트로 터널형태의 구조물을 형성한 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직렬형태로 단계별 조립 시공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접촉모듈을 이용한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오, 폐수 정화장치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조립식으로 간편하게 설치함으로써 정화 처리용량에 따라 가변적으로 정화장치를 변경, 설치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오염된 하천 및 호소 또는 오, 폐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최적의 접촉효율을 고려한 판형 접촉재를 다층으로 접합하여 정사각형 형태로 만든 조립식 평판형접촉모듈과, 상기 평판형접촉모듈을 층층이 쌓기 위한 격자형태의 하부받침대와, 상기 하부받침대의 저부에 위치하여 조립식 판형접촉모듈에서 탈리된 슬러지를 모으기 위한 마름모꼴 형태의 조립식 침전모듈로 이루어진 접촉산화유니트가 다단계로 수개 모여 구성된 접촉산화조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에 평판형모듈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침전효율을 극대화한 평판형 최종침전조와 조립식 침전모듈 측면에 설치된 공기공급장치 및 조립식 침전모듈 중앙부에 설치된 슬러지 인발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한 조립식 평판형접촉모듈, 하부 받침대, 조립식 침전모듈과 공기공급장치 및 슬러지 인발장치는 정방형 터널구조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해 하나의 조립식 구조물로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염 하천 및 호소의 전체 정화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1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천 또는 호소변에 설치되는 정화장치는 크게 유입수단(취수구, 분배조), 평판형 접촉산화조, 침전조 및 방류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수단은 취수구를 통해 하천 또는 호소로부터 오염된 하천수 및 호수와 늪의 물을 받아들인 후 분배조를 통해 상기 침사설비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평판형 접촉산화조는 상기 유입수단을 통해 유입된 하천수 및 호수와 늪의 물 중에 포함된 유기물질 및 부유물질을 고농도 미생물에 의한 흡착 및 생물학적 산화분해를 통해 정화하고, 탈리된 미생물을 포함한 슬러지를 침강 및 농축시킨 후 정화된 하천수 및 호수와 늪의 물을 침전조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어서, 상기 침전조는 상기 평판형 접촉산화조로부터 유입된 정화된 하천수 및 호수와 늪의 물의 직선방향 유동경로를 차단하여 접촉산화유니트의 하부에서 상부로 물흐름을 변경한다. 이것은 평판형모듈을 직각방향으로 위치시켜 물흐름의 경사판 역할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침전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면, 상기 방류조는 상기 평판형 접촉산화조에서 정화된 하천수 및 호수와 늪의 물을 하천 또는 호소로 방류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하천 및 호소의 정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따른 B-B'선 단면도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오염하천 및 호소의 정화장치에는 평판형접촉모듈(8), 하부받침대(9) 및 조립식 침전모듈(10)를 구비한 접촉산화유니트(7)가 다단계로 포함되어 있고, 여기에는 콘크리트 구조물(1), 분배조(2), 평판형 접촉산화조(3), 최종침전조(4), 방류조(5), 오니농축조(6)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하천수질 정화장치 및 그 방법은 하천수질 정화를 위한 역간산화접촉법의 공정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폐쇄의 발생을 최대한 지연시키고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침전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형 접촉산화조에 내재되는 접촉재로서 평판형모듈을 다층으로 접합하여 정사각형 형태로 만든 조립식 평판형접촉모듈을 사용하여 용이하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정화장치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먼저, 상기 접촉산화유니트(7)내 평판형접촉모듈(8)은 유입수단을 통과한 하천수 또는 호수와 늪의 물 중에 포함된 부유물질 및 유기물질을 고농도 미생물에 의한 흡착 및 생물학적 산화분해를 통해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본 평판형접촉모듈(8)은 폴리염화비닐(PVC)이나 폴리에틸렌(PE)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수지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표면이 원추형 돌기(12)와 엠보싱된 요철면(13)을 이루는 평판 형태로 압출 성형한 평판형모듈(11)을 적층시켜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평판형모듈(11)은 엠보싱된 요철면(13)에 원추형 돌기(12)가 외표면에 돌출되어 있는 모습이고, 전체 모양은 파형 또는 요철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평판형모듈(11)은 각각으로 제조되어 수개가 적층됨으로써 평판형접촉모듈(8)을 형성하게 된다. 적층된 평판형모듈(11) 사이의 간격은 100mm 내지 300mm가 물흐름의 이동 및 폐쇄 측면에서 바람직하고, 200mm 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평판형모듈(11)을 적층시켜 조립한 평판형접촉모듈(8)은 평판형모듈(11)의 원추형 돌기 부분이 맞닿도록 진공성형한 후 평판형모듈(11) 형태를 교대로 적층시켜 접착시키고,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로 조립한 평판형접촉모듈(8)인 것이다.
폴리염화비닐(PVC)이나 폴리에틸렌(PE)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수지 시트(SHEET)를 앰보싱 처리한 후 지그재그형태로 성형한 평판을 여러 장 겹쳐 붙여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로 만든 평판형접촉모듈을 하천 정화장치의 접촉여재로 사용함으로서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고, 접촉여재사이에 일정한 크기의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접촉여재의 폐쇄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평판형접촉모듈은 상부에서 보면 골판지 형태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자체하중을 지탱하는 힘이 커서 종래와 같이 따로 지지체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사각형 형태의 조립식 모듈형태로 되어 있고 가벼워서 현장에서 작업시 각각의 평판형접촉모듈을 상자 쌓듯이 적층시공이 가능 하다. 즉, 시공이 간편하고 공기가 단축되며 하중이 적어 구조물을 설계하는 데 있어 경제적으로 설계가 가능하다.
이러한, 평판형접촉모듈(8)은 평판형모듈(11)의 원추형 돌기 부분이 맞닿도록 진공성형 시킨 후 평판형모듈(11) 형태가 교대로 적층되도록 접착시키고,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로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조립하는 것은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평판형모듈(11)을 접촉산화유니트(7)의 수직방향으로 길게 조립하는 것이 물흐름의 이동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접촉모듈(8)의 체적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한쪽이 500mm, 다른 한쪽은 1000mm, 높이는 1000mm 정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산화유니트(7)내 하부받침대(9)는 상기 평판형접촉모듈(8)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받침대로,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전 제작된 조립식 격자형태를 가진다. 상기 하부받침대(9)는 폴리염화비닐(PVC)이나 폴리에틸렌(PE)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수지 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glass reinforced plastic:FRP)으로 이루어지고, 조립식 침전모듈(10)의 상단에 조립되어 설치되며, 상기 하부받침대(9)의 상부에는 평판형접촉모듈(8)이 조립되어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PVC 또는 PE계 합성수지나 FRP로 제작한 격자형태의 하부받침대를 조립식 침전모듈 위에 간단히 올려놓고 상부에 평판형접촉모듈을 상자 쌓듯이 적층 시공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고, 운반/조립 설치함으로써 시공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가 있다. 더불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제품으로써 가볍고 경제적이며 또한 사전제작이 가능하여 재고를 보유한 채 시설공사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접촉산화유니트(7)내 조립식 침전모듈(10)은 상기 평판형접촉모듈(8)에서 탈리된 미생물을 포함한 슬러리가 침강 및 농축될 수 있도록 저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전 제작된 조립식 침전모듈(10) 형태를 가진다. 상기 조립식 침전모듈(10)은 폴리염화비닐(PVC)이나 폴리에틸렌(PE)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수지 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glass reinforced plastic:FRP)으로 이루어지고, 접촉산화유니트(7)의 저면부에 조립되어 설치되며, 상기 조립식 침전모듈(10)의 상부에는 하부받침대(9)가 조립되어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접촉산화유니트(7)내 조립식 침전모듈(10)은 상기 평판형접촉모듈(8)로부터 탈리된 미생물을 포함한 슬러지를 침강 및 농축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조립식 침전모듈(10)은 선회류가 미치지 않는 사영역으로 탈리된 미생물을 포함한 슬러지가 자연 침강에 의해 침강 되어 농축될 수 있도록 중심부위가 깊은 피라미드 형태로 상기 접촉산화유니트(7)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다. PVC 또는 PE계 합성수지나 FRP로 제작된 조립식 침전모듈(10)은 기존의 구조물형태의 침전조의 단점을 보완한 것으로, 일정한 규격 및 형태로 사전 제작하여 하전정화시설의 시공시 운반/조립 설치가 가능하여 시공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가 있으며, 합성수지제품으로 가볍고 경제적이며 또한 사전제작이 가능하여 재고를 보유한 채로도 시설공사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접촉산화유니트(7)는 평면의 모양이 정방형 또는 정방형에 가까운 형태를 가지고, 그 평면의 한 변의 길이가 2m 내지 5m 인 것이 바람직하며, 하천수나 호수와 늪의 물의 처리용량 또는 정화장치가 설치되는 지역의 특성에 따라 그 수가 증가되거나 감소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평판형접촉모듈(8), 하부받침대(9) 및 조립식 침전모듈(10)를 구비한 접촉산화유니트(7)가 다단계로 포함되어 있는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에는 평판형접촉모듈(8)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침전효율을 극대화한 평판형 최종침전조(4)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최종침전조(4)는 평판형모듈을 접촉산화유니트(7)의 수평방향으로 길게 조립한 것이 특징이다. 이렇게 평판형접촉모듈(8)의 평판형모듈(11)과 동일한 평판형모듈이 평판형 접촉산화조(3)의 하류에 직각형태로 적층된 최종침전조(4)는 하천수의 직선방향 유동경로를 차단하여 접촉산화유니트(7)의 하부에서 상부로 물흐름이 흐르게 함으로서 평판형 접촉모듈이 경사판역할을 수행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최종침전조(4)에 따라 물흐름이 하부에서 상부로 흐름으로써 하천수의 침전효율은 더욱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촉산화유니트(7)에는 상기 조립식 침전모듈(10)에 침강 되어 농축된 미생물을 포함한 슬러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슬러지 인발장치가 조립식 침전모듈(10) 중앙부에 설치될 수 있고, 조립식 침전모듈 측면에는 공기공급장치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슬러지 인발장치는 PVC, SUS 또는 STEEL 등으로 이루어져 침전모듈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부에 조절밸브 및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형태로 취부 한다. 향후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부는 고정하지 않고 상부만 고정함으로써 산기관이 막히거나 손상 시 탈착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다. PVC, SUS 또는 STEEL 등으로 이루어진 공기공급장치는 평판형접촉모듈에 부착되어 성장한 미생물이 공기의 상승전단력에 의해 탈리되지 않도록 간접포기 방식으로 구동되며, 침전모듈 측면 저부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하부에는 봉 타입의 멤부레인 산기관을 양쪽으로 2개를 설치하고 상부에 조절밸브 및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형태로 취부 한다. 향후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부는 고정하지 않고 상부만 고정함으로써 산기관이 막히거나 손상시 탈착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PVC계 또는 PE계 합성수지 시트(SHEET)를 앰보싱 처리한 후 지그재그형태로 성형한 평판을 여러 장 겹쳐 붙여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로 만든 평판형접촉모듈과 이를 최종침전조에 직각형태로 적층하여 하천수의 직선방향 유동경로를 차단함으로써 하부에서 상부로 물흐름을 형성하여 경사판 효과에 의해 최종침전조의 침전효율을 극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평판형 접촉모듈과 하부받침대, 조립식 침전모듈 및 최종침전조 등을 포함하는 판형접촉모듈을 이용한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는 PVC계 또는 PE계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조립할 수 있는 구조물 형태인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판형접촉모듈을 이용한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는 설치 장소에 먼저, 콘크리트로 터널형태의 구조물을 형성한 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직렬형태로 단계별 조립 시공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장치이다. 즉, 콘크리트로 성형하여 제작된 터널형태의 구조물에 상기 판형접촉모듈을 이용한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를 직렬형태로 배열하여 하천정화장치를 단계별로 시공할 수가 있다. 상기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터널형태의 구조물의 규격은 2000W x 2000L x 3000H 을 기본으로 하되 현장여건에 따라서 다른 규격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화장치가 제일 하단부에서부터 조립식 침전모듈▷하부받침대▷평판형접촉모듈의 순서대로 적층되고, 이렇게 적층된 접촉산화유니트는 다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접촉산화조가 설치되면 공기공급장치 및 슬러지 인발장치를 조립하여 설치함으로써 시공을 완료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유입수단, 평판형 접촉산화조, 침전조 및 방류조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 호소, 오수, 폐수에 포함된 부유물질 또는 유 기물을 미생물에 의한 흡착 및 생물학적 산화분해를 통해 정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 접촉산화조는, 폴리염화비닐(PVC)이나 폴리에틸렌(PE)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수지를 외표면이 원추형 돌기와 엠보싱된 요철면을 이루는 평판 형태로 압출 성형한 평판형모듈을 적층시켜 조립한 평판형접촉모듈과; 상기 평판형접촉모듈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받침대로, 사전 제작된 조립식 격자형태 하부받침대와; 상기 평판형접촉모듈에서 탈리된 미생물을 포함한 슬러리가 침강 및 농축될 수 있도록 저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사전 제작된 조립식 침전모듈;을 구비한 접촉산화유니트가 다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접촉모듈을 이용한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새로운 형태의 평판접촉모듈 및 조립식구조의 하부받침대 및 침전모듈을 제공하고,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한 정화장치를 조립식 구조물형태로 대체 제안함으로써 오염된 하천,호소, 오수, 폐수의 안정적 처리 및 작업시간 단축과 시공의 편의를 도모함으로써 정화 처리용량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경, 설치하는 것이 용이한 경제적인 하천정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8)

  1. 유입수단, 평판형 접촉산화조, 침전조 및 방류조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호소, 오수, 폐수에 포함된 부유물질 또는 유기물을 미생물에 의한 흡착 및 생물학적 산화분해를 통해 정화하는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 접촉산화조는, 폴리염화비닐(PVC)이나 폴리에틸렌(PE)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수지를 외표면이 원추형 돌기(12)와 엠보싱된 요철면(13)을 이루는 평판 형태로 압출 성형한 평판형모듈(11)을 적층시켜 조립한 평판형접촉모듈(8)과;
    상기 평판형접촉모듈(8)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받침대로, 사전 제작된 조립식 격자형태 하부받침대(9)와;
    상기 평판형접촉모듈(8)에서 탈리된 미생물을 포함한 슬러리가 침강 및 농축될 수 있도록 저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사전 제작된 조립식 침전모듈(10);을 구비한 접촉산화유니트(7)가 다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접촉모듈을 이용한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모듈(11)의 형태는 파형 또는 요철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접촉모듈을 이용한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모듈(11)을 적층시켜 조립한 평판형접촉모듈(8)은 평판형모듈(11)의 원추형 돌기 부분이 맞닿도록 진공성형한 후 평판형모듈(11) 형태가 교대로 적층되도록 접착시키고,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로 적층시켜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접촉모듈을 이용한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로 적층시켜 조립하는 것은 평판형모듈(11)을 접촉산화유니트(7)의 수직방향으로 길게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접촉모듈을 이용한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받침대(9)는 폴리염화비닐(PVC)이나 폴리에틸렌(PE)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수지 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glass reinforced plastic:FRP)으로 이루어지고, 조립식 침전모듈(10)의 상단에 조립되어 설치되며, 상기 하부받침대(9)의 상부에는 평판형접촉모듈(8)이 조립되어 적층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접촉모듈을 이용한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침전모듈(10)은 폴리염화비닐(PVC)이나 폴리에틸렌(PE)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수지 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glass reinforced plastic:FRP)으로 이루어지고, 접촉산화유니트(7)의 저면부에 조립되어 설치되며, 상기 조립식 침전모듈(10)의 상부에는 하부받침대(9)가 조립되어 적층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접촉모듈을 이용한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접촉모듈을 이용한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는 접촉산화유니트(7) 외에 최종침전조(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최종침전조(4)는 평판형접촉모듈(8)이 접촉산화유니트(7)의 수평방향으로 길게 조립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접촉모듈을 이용한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접촉모듈을 이용한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는 설치 장소에 먼저 콘크리트로 터널형태의 구조물이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직렬형태로 단계별 조립 시공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접촉모듈을 이용한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
KR1020050095537A 2005-10-11 2005-10-11 판형접촉모듈을 이용한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 KR100662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537A KR100662483B1 (ko) 2005-10-11 2005-10-11 판형접촉모듈을 이용한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537A KR100662483B1 (ko) 2005-10-11 2005-10-11 판형접촉모듈을 이용한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2483B1 true KR100662483B1 (ko) 2006-12-28

Family

ID=37815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537A KR100662483B1 (ko) 2005-10-11 2005-10-11 판형접촉모듈을 이용한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248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564B1 (ko) 2007-09-11 2008-03-03 김회진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KR100845081B1 (ko) 2007-07-06 2008-07-09 최인식 평판형 접촉여재용 인공수초 지지체, 인공수초가 포함된 평판형 접촉여재와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
KR100864377B1 (ko) * 2008-03-26 2008-10-21 (주)백년기술 하천 정화장치용 조립식 구조물
KR100972052B1 (ko) 2008-02-16 2010-07-22 김회진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KR101335234B1 (ko) 2013-10-10 2013-11-29 (주) 일신네이쳐 직접 폭기식 오염하천 정화장치
KR102396772B1 (ko) * 2021-12-22 2022-05-12 주식회사 더오포 침전조의 조립식 경사판 침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813A (ko) * 2002-10-30 2004-05-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펄라이트 부착 폴리에틸렌망 여재 및 발포 폴리프로필렌여재를 이용한 오염 하천수 정화 장치 및 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813A (ko) * 2002-10-30 2004-05-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펄라이트 부착 폴리에틸렌망 여재 및 발포 폴리프로필렌여재를 이용한 오염 하천수 정화 장치 및 공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37813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081B1 (ko) 2007-07-06 2008-07-09 최인식 평판형 접촉여재용 인공수초 지지체, 인공수초가 포함된 평판형 접촉여재와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
KR100806564B1 (ko) 2007-09-11 2008-03-03 김회진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KR100972052B1 (ko) 2008-02-16 2010-07-22 김회진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KR100864377B1 (ko) * 2008-03-26 2008-10-21 (주)백년기술 하천 정화장치용 조립식 구조물
KR101335234B1 (ko) 2013-10-10 2013-11-29 (주) 일신네이쳐 직접 폭기식 오염하천 정화장치
KR102396772B1 (ko) * 2021-12-22 2022-05-12 주식회사 더오포 침전조의 조립식 경사판 침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483B1 (ko) 판형접촉모듈을 이용한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
US5306422A (en) Compact clarifier system for municipal waste water treatment
US4559141A (en)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f solid and/or liquid particles from a liquid
US20130277291A1 (en) Integrated water processing technology
US20050098497A1 (en) Pulsating reactors
WO2010036107A1 (en) Settling device, purifier comprising a settling device and methods for anaerobic or aerobic purification of waste water
KR100648794B1 (ko) 하천수 및 호소수 정화 장치
CN102502954A (zh) 一种自曝气生物膜反应器及采用该反应器的污水处理系统
KR200405655Y1 (ko)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용 미생물 접촉여재 및 조립식구조물
CN101618907A (zh) 自净生物滤池及滤池自净工艺
KR101239227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0845081B1 (ko) 평판형 접촉여재용 인공수초 지지체, 인공수초가 포함된 평판형 접촉여재와 호소 및 하천 정화장치
CN206109035U (zh) 一种净水模块装置
CN201932948U (zh) 一种高抗污染的mbr膜组件
JP3285466B2 (ja) 河川浄化施設
KR101273842B1 (ko) 파이프 연결 프리캐스트 빗물 저류조 및 저류방법
CN212246655U (zh) 一种生活污水处理装置
RU2021216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глубокой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100864377B1 (ko) 하천 정화장치용 조립식 구조물
KR100440889B1 (ko) 부직포 섬유망 모듈을 이용한 오염하천수 처리장치
CN115321748B (zh) 一种基于气举效应的喷射循环式膜生物反应器
GB2114013A (en) Liquid treatment apparatus
CN219701183U (zh) 一种新型平流式沉淀池
CN212864258U (zh) 悬挂载体模块及生物反应器
CN201660496U (zh) 自净生物滤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