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1338B1 - 침전지의 도류벽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침전지의 도류벽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1338B1
KR100671338B1 KR1020050079925A KR20050079925A KR100671338B1 KR 100671338 B1 KR100671338 B1 KR 100671338B1 KR 1020050079925 A KR1020050079925 A KR 1020050079925A KR 20050079925 A KR20050079925 A KR 20050079925A KR 100671338 B1 KR100671338 B1 KR 100671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dimentation
sedimentation basin
wall
space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9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0811A (ko
Inventor
변무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젠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젠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젠트로
Publication of KR20060050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Sedimentation tank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1/007Processes including a sedimentation ste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입수에 포함된 플록이 침전되는 기존 침전지의 침전공간 내의 바닥에 돌출된 분리턱을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도류벽을 설치하여 기존 침전지의 침전성능을 대폭적으로 개선시키고, 기존 침전지에 도류벽을 설치하는 소요되는 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침전지의 운전 중단 시간이 크게 단축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입측에 정류벽이 설치되고, 바닥에 침전물 이송대차가 설치되는 기존 침전지의 침전공간 내의 바닥 폭방향 중간부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침전공간의 바닥부분을 좌우로 분리하는 분리턱과, 상기 분리턱의 상부에 분리턱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입수의 최대 수위보다 높게 조립 설치되는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에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막이판넬로 구성되어 상기 침전공간을 좌우로 구획하는 도류벽을 조립 설치하여, 기존 침전지의 침전공간이 좁은 폭을 가지는 복수개의 침전공간으로 구획되도록 하고, 또한 상승류 규제판을 설치하여 침전효과를 더욱 향상시킨 것이다.
침전지, 도류벽, 상승류 규제판

Description

침전지의 도류벽 설치구조{Flow Guiding Wall for Settling Pond}
도 1a는 종래 침전지의 종단측면,
도 1b는 종래 침전지의 종단배면도,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침전지의 도류벽 설치구조의 제 1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류벽 설치구조가 적용된 침전지의 횡단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류벽 설치구조가 적용된 침전지의 종단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류벽 설치구조가 적용된 침전지의 종단배면도,
도 5a는 도 4의 A부 확대단면도,
도 5b는 도 4의 B부 확대단면도,
도 5c는 도 3의 C-C선 확대단면도,
도 5d는 도 3의 D-D선 확대단면도,
도 5e는 도 3의 E-E선 확대단면도,
도 5f는 도 4의 F부 확대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침전지의 도류벽 설치구조에 사용되는 막이판넬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침전지의 도류벽 설치구조의 제 2실시예 를 보인 것으로,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도류벽 설치구조가 적용된 침전지의 횡단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도류벽 설치구조가 적용된 침전지의 종단측면도,
도 10은 도 9의 G-G선 확대단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침전지의 도류벽 설치구조의 제 3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도류벽 설치구조가 적용된 침전지의 횡단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도류벽 설치구조가 적용된 침전지의 종단측면도,
도 13은 도 9의 H-H선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침전지 10, 10a, 10b : 침전공간
11, 11a, 11b : 바닥 12 : 분리턱
15 : 정류벽 17 : 침전물 수집호퍼
18 : 침전물 이송대차
20 : 도류벽 21 : 고정틀
22 : 막이판넬 211 : 하부 고정부재
212 : 상부 덮개부재 213, 214 : 선, 후단 고정부재
215 : 종방향 중간 고정부재 216 : 횡방향 중간 고정부재
23 : 보강틀 231 : 버팀대
232 : 지지대 30 : 상승류 규제판
본 발명은 유입수에 포함된 플록이 침전되는 기존 침전지의 침전공간 내의 바닥에 돌출된 분리벽을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도류벽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침전지의 도류벽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처리장에 설치되는 침전지는 전단계의 약품혼화지에서 약품투입, 혼화 및 플록 형성의 단계를 거쳐 크고 무겁게 성장된 플록의 대부분을 침전 분리작용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후속공정인 여과지 등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하기 위한 것이다.
침전지는 침전, 완충, 슬러지 배출의 3대 기능을 가지고 있는 바, 침전기능은 가장 중요한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침전지의 침전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입된 유입수가 정류상태로 유동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조건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침전지를 보인 것으로, 종래 침전지(1)는 바닥(11)과 양측벽(13, 14), 유입측의 정류벽(15) 및 유출측벽(16)에 의하여 한정되는 침전공간(1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바닥(11)은 그 폭방향 중간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는 분리턱(12)에 의하여 복수개(도시예에서는 2개)의 바닥(11a, 11b)으로 구획된다. 상기 분리턱(12)은 유입수의 최고 수위보다 훨씬 낮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침전공간(10) 은 전체적으로 하나로 형성된다.
상기 정류벽(15)은 유입수를 정류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개의 통수공(15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침전공간(10) 내에는 상기 정류벽(15)의 하부 바닥(11)에 함몰 형성되는 침전물 수집호퍼(17)가 구비된다. 상기 수집호퍼(17)에는 수집된 침전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17a)이 설치된다.
양측 바닥(11a, 11b)에는 각각 침전물을 침전물 수집호퍼(17)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침전물 이송대차(18, 18)가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의 침전지(1)에서는 전단계의 혼화지에서 약품처리 후 인입되는 유입수가 정류벽(15)의 통수공(15a)을 통과하면서 정류상태가 되게 하여 그 유입수에 포함된 플록이 바닥에 침전되게 하고, 바닥에 침전된 플록은 침전물 이송대차(18, 18)에 의해 침전물 수집호퍼(17)로 이송시켜 배출관(17a)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동시에 플록이 제거된 유입수는 후단계의 여과지로 보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침전지(1)는 침전공간(10)의 전체가 비교적 넓은 폭을 가지는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공간을 통해 유동하는 유입수가 선회류, 단락류, 편심류 등을 발생시켜 정류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정류벽(15)을 통과한 유입수가 유입측에서 유출측으로 유동함에 있어서 정류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면, 플록의 침전시기가 늦어져 침전물 수집호퍼(17)로부터 유출측으로 멀리 떨어진 지점에 침전영역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침전물 이송대차(18, 18)의 이동 거리가 길어지게 되어 침전물 이송대차(18, 18)에 의한 침전물 이송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침전지의 가동중단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침전물 이송대차(18, 18)의 이동 거리가 길어지는 만큼 과부하가 걸리게 되어 침전물 이송대차(18, 18)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의 고장을 초래하게 되고, 이를 수리하기 위하여 침전지의 가동을 중단하게 되는 사태가 빈번히 발생하여 침전지의 운용효율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침전시기가 늦어지는 것을 보상하기 위하여 또 다시 침전지 내에 다량의 응집제를 투입하는 방법이 고려되고 있으나 다량의 응집제의 재투입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등록실용신안 제323873호와 같이 침전지의 폭방향 중간부에 분리벽을 설치하여 2개의 분리형 수로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 안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침전지는 침전지를 처음 시공할 때 도입하여야 할 수 있는 것이며, 기존 침전지를 개량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즉, 이러한 구조를 기존 침전지를 개량하는 데 적용할 경우 침전지의 가동을 중단하고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분리벽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그 시공기간이 매우 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침전지의 가동중단 기간이 길어지게 되어 상,하수처리에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류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기존의 침전지에 신 속, 간편하게 설치하여 정류벽을 통과하여 정류상태로 유입되는 유입수가 유입측에서 유출측에 이르는 침전지의 전 영역에 걸쳐서 정류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침전영역이 침전물 수집호퍼에 근접한 영역에 위치하게 하여 침전지의 운용효율을 높이고, 경제적 손실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 침전지의 도류벽 설치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 유입수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기존 유입수가 온도차에 의하여 상승하는 상승류에 의한 플록의 침전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하여 침전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침전지의 도류벽 설치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입측에 정류벽이 설치되고, 바닥에 침전물 이송대차가 설치되는 기존 침전지의 침전공간 내의 바닥 폭방향 중간부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침전공간의 바닥부분을 좌우로 분리하는 분리턱과, 상기 분리턱의 상부에 분리턱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입수의 최대 수위보다 높게 조립 설치되는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에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막이판넬로 구성되어 상기 침전공간을 좌우로 구획하는 도류벽을 조립 설치하여, 기존 침전지의 침전공간이 좁은 폭을 가지는 복수개의 침전공간으로 구획되도록 한 침전지의 도류벽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침전공간을 형성하는 침전지의 양측벽과 도류벽 사이에 상승류 규제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도류벽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침전지의 도류벽 설치구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침전지의 도류벽 설치구조의 제 1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 2 및 도 3에서 1은 침전지를 보인 것으로, 바닥(11)과 양측벽(13, 14)과 상류측의 정류벽(15) 및 하류벽(16)에 의하여 침전공간(S)이 형성되며, 바닥(11)을 바닥(11a, 11b)으로 구획하는 분리턱(12), 배출관(17a)을 가지는 침전물 수집호퍼(17), 상기 바닥(11a, 11b)에 설치되는 침전물 이송대차(18, 18)를 구비한 것으로, 이러한 구성은 상술한 종래의 침전지의 구성과 동일하다.
단, 상기 정류벽(15)은 하나만 설치될 수 있으나, 정류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2개의 정류벽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분리턱(12)을 포함하여 침전공간(10)을 양측 침전공간(10a, 10b)으로 구획하는 조립식 도류벽(20)이 구비된다.
상기 조립식 도류벽(20)은 유입수의 최대 수위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조립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도류벽 설치구조가 적용된 침전지에서의 침전 작용을 설명한다.
전단계의 약품혼화지에서 약품투입 혼화 및 플록 형성의 단계를 거쳐 크고 무겁게 성장된 플록이 혼입 상태의 유입수는 정류벽(15, 15)을 통과하면서 정류상태로 유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침전공간(10)에 침전된다.
이때 본 발명의 도류벽이 적용된 침전지에서는 침전공간(10)이 도류벽(20)에 의해 비교적 좁은 폭을 가지는 침전공간(10a, 10b)으로 구획되어 있으므로 이들 침전공간(10a, 10b)을 유동하는 유입수에는 선회류, 단락류, 편심류 등이 발생되지 않고 정류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입수가 침전공간(10a, 10b)을 정류상태로 유동하게 되면 플록의 침전시기가 앞당겨지게 되어 침전영역이 정류벽(15, 15)과 침전물 수집호퍼(17)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다시 말하자면 침전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도류벽이 적용된 침전지에서는 침전영역이 정류벽(15, 15)과 침전물 수집호퍼(17)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 정류벽(15, 15)과 침전물 수집호퍼(17)에서 유출측으로 멀리 떨어진 위치에 침전영역이 형성되는 것과 비교하여 볼 때 침전물의 수집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침전물 이송대차(18, 18)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에 과부하가 걸리는 일이 없어 구동수단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어 침전지의 가동중단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도류벽이 적용된 침전지와 종래의 분리턱을 구비한 기존 침전지 1, 2의 탁도를 비교 실험한 결과 아래의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분리턱을 구비한 기존의 침전지 1, 2의 평균 탁도는 0.80NTU 인데 비하여 본 발명의 도류벽이 적용된 침전지의 탁도는 0.66NTU 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침전지는 기존의 침전지에 비하여 탁도가 0.14NTU 낮아서 유입수의 침전효율이 17.5% 향상됨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05048350616-pat00001
한편, 상기 도류벽(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리턱(12)과, 이 분리턱(12)의 상부에 수직으로 조립되는 고정틀(21)과, 상기 고정틀(21)에 조립되는 막이판넬(22)들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틀(2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리턱(12)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막이판넬(22)의 하단을 구속하는 하부 고정부재(211)들과, 상기 막이판넬(22)들의 상단부에 덮여지도록 설치되는 상부 덮개부재(212)들과, 상기 하부 고정부재(211)들과 상부 덮개부재(212)들의 선, 후단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져서 선, 후 단에 위치하는 막이판넬(22)들의 끝단을 구속하도록 설치되는 선, 후단 고정부재(213, 214)들과, 상기 하부 고정부재(211)들과 상구 덮개부재(212)들 사이에 등간격으로 세워져서 막이판넬(22)들의 양측단을 구속하도록 설치되는 종방향 중간 고정부재(215)들과, 상기 선, 후단 고정부재(213, 214), 종방향 중간 고정부재(215)들과 함께 막이판넬(22)들의 상하방향 등간격으로 수평하게 배치 고정되는 횡방향 중간 고정부재(216)들로 이루어져서 상기 막이판넬(22)들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고정부재(211)들은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리턱(12)의 상단에 2개를 1개조로 하여 막이판넬(22)이 끼워질 수 있도록 양측에 대접시켜서 앵커볼트(217)로 고정되며, 상기 상부 덮개부재(212)들은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막이판넬(22)들의 상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관통되는 체결볼트(218)로 결착되고, 상기 선단 고정부재(213)들은 도 5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류벽(15)의 후면에 2개를 1개조로 하여 막이판넬(22)들이 끼워질 수 있도록 양측에 대접시켜서 관통되는 체결볼트(218)로 결착되며, 상기 후단 고정부재(214)들은 도 5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침전공간(10)의 유출측 내벽에 각각 2개를 1개조로 하여 막이판넬(22)을 끼울 수 있도록 양측에 대접시켜서 앵커볼트(217)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종방향 중간 고정부재(215)들은 도 5e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막이판넬(22)들의 양측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관통되는 체결볼트(218)로 결착되고, 상기 횡방향 중간 고정부재(216)들은 도 5f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막이판넬(22)들의 전후면에 2개를 1개조로 하여 맞대고 관통되는 체결볼트(218)로 결착된다.
또 상기 고정틀(21)의 종방향 중간 고정부재(215)들마다 각각 분리턱(12)의 양측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양측의 버팀대(231)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지지대(232)들을 연결하여서 되는 복수개의 보강틀(23)들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 보강틀(23)은 분리턱(12)의 상부에 조립되는 고정틀(21)을 보강하여서 뒤틀림 변형이나 유동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막이판넬(22)들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합성수지 단판(221)으로 제작하거나,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단면 내에 중공부(222a)를 가지는 합성수지 중공판(222)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침전지의 도류벽 설치구조는 고정틀(21)과 막이판넬(22)을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분리턱(12)이 구비된 기존 침전지(1)에 조립식으로 신속, 간편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도류벽(20)을 기존 침전지의 가동중단시간을 최소화하면서 신속, 간편하게 설치하여 기존 침전지를 침전성능을 개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 및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침전지의 도류벽 설치구조의 제 2실시예 및 제 3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침전공간(10)을 형성하는 침전지(1)의 양측벽(14)과 도류벽(20) 사이에 기존 유입수와 신규 유입수의 수온차에 의하여 기존 유입수의 상승류를 억제하여 침전효율을 높이기 위한 상승류 규제판(30)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 상승류 규제판(30)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제 2실시예에서와 같이, 수평으로 설치하거나,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제 3실시예에서와 같이,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상승류 규제판(30)은 도류벽(20)과 마찬가지로 합성수지 단판으로 제작하거나, 단면 내에 중공부를 가지는 합성수지 중공판으로 제작할 수 있다(도 6 및 도 7 참조).
상기 상승류 규제판(30)은 양측벽(14)과 도류벽(2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1, 32)와, 이들 고정부재(31, 32) 사이에 결합되는 판체(33)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31, 32)는 각각 양측벽(14)과 도류벽(20)에 고정되는 고정부(311, 321)와, 이 고정부(311, 321)에 일체로 절곡 형성된 판체연결부(312, 322)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31)는 양측벽에 고정되어 고정부(311)를 관통하는 앵커볼트(313)와, 이 앵커볼트(313)에 체결되는 너트(314)에 의하여 양측벽(14)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재(32)는 도류벽(20)에 관통하는 볼트(323)와, 이 볼트(323)에 체결되는 너트(324)에 의하여 도류벽(2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판체(33)는 그 양단부를 한 쌍의 고정부재(31, 32)의 판체연결부(312, 322)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판체연결구(312, 322)와 판체(33)를 관통하는 볼트(315, 325)와, 이들 볼트(315, 325)에 체결되는 너트(316, 326)에 의하여 고정부재(31, 32)에 고정된다.
도시예에서는 상기 상승류 규제판(30)이 침전물 수집호퍼(17)에 근접한 위치와 중간 위치 및 하류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나,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서는 침전지에 신규 유입수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침전지 내에 고여 있던 신규 유입수보다 온도가 높은 기존 유입수가 그 온도차에 의하여 상승하게 되는 상승류를 상기 상승류 규제판(30)에 의하여 규제하여 상승류에 의한 침전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신규 유입수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신규 유입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기존 유입수가 그 온도차에 의하여 상승류를 발생시키게 되며, 이러한 상승류는 플록의 침전을 저해하게 되어 침전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요인이 되는 바, 이러한 상승류를 상기 상승류 규제판(30)에 의하여 규제하게 되면 상승류에 의한 침전효율 저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침전지의 도류벽 설치구조는 정류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지 못하여 침전시기가 늦어지는 기존의 침전지에 신속, 간편하게 설치하여 정류벽을 통과하여 정류상태로 유입되는 유입수가 유입측에서 유출측에 이르는 침전지의 전 영역에 걸쳐서 정류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침전시기가 앞당겨지면서 침전영역이 침전물 수집호퍼에 근접한 영역에 위치하게 하여 침전지의 운용효율을 높이고, 경제적 손실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침전지의 도류벽 설치구조는 기존 침전지에 설치함에 있어 분리턱에 고정틀을 설치하고 이 고정틀에 막이판넬을 조립하는 것이므로 기존 침전지의 가동중단 시간을 최소화하면서 신속,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침전지의 도류벽 설치구조는 상승류 규제판을 설치함으로서 신규 유입수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기존 유입수가 온도차에 의하여 상승하는 상승류에 의한 플록의 침전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하여 침전효율을 보다 향 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6)

  1. 유입측에 정류벽이 설치되고, 바닥에 침전물 이송대차가 설치되는 기존 침전지의 침전공간 내의 바닥 폭방향 중간부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침전공간의 바닥부분을 좌우로 분리하는 분리턱과,
    상기 분리턱의 상부에 분리턱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입수의 최대 수위보다 높게 조립 설치되는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에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막이판넬로 구성되어 상기 침전공간을 좌우로 구획하는 도류벽을 조립 설치하여, 기존 침전지의 침전공간이 좁은 폭을 가지는 복수개의 침전공간으로 구획되도록 한 침전지의 도류벽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은 상기 분리턱의 상부에 고정되어 막이판넬들의 하단부를 구속하는 하부 고정부재들과, 상기 막이판넬들의 상단부에 덮여지도록 설치되는 상부 덮개부재들과, 상기 하부 고정부재들과 상부 덮개부재들의 선, 후단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져서 선, 후단에 위치하는 막이판넬들의 끝단을 구속하도록 설치되는 선, 후단 고정부재들과, 상기 하부 고정부재들과 상부 덮개부재들 사이에 등간격으로 세워져서 막이판넬들의 양측단을 구속하도록 설치되는 종방향 중간 고정부재들과, 상기 선, 후단 고정부재들, 종방향 중간 고정부재들과 함께 막이판넬들의 상하방향 등간격으로 수평하게 배치 고정되는 횡방향 중간 고정부재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도류벽 설치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의 종방향 중간 고정부재들마다 각각 상기 분리턱의 양측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양측의 버팀대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지 지대들을 연결하여서 된 복수개의 보강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도류벽 설치구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공간을 형성하는 침전지의 양측벽과 도류벽 사이에 상승류 규제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도류벽 설치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류 규제판은 수평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도류벽 설치구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류 규제판은 경사지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지의 도류벽 설치구조.
KR1020050079925A 2004-08-30 2005-08-30 침전지의 도류벽 설치구조 KR1006713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723 2004-08-30
KR20040068723 2004-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811A KR20060050811A (ko) 2006-05-19
KR100671338B1 true KR100671338B1 (ko) 2007-01-19

Family

ID=37150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9925A KR100671338B1 (ko) 2004-08-30 2005-08-30 침전지의 도류벽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13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388B1 (ko) 2007-01-08 2008-01-21 주식회사 젠트로 수처리장 간벽장치 및 시공방법
KR100806564B1 (ko) 2007-09-11 2008-03-03 김회진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KR100932532B1 (ko) * 2007-09-11 2009-12-17 주식회사 젠트로 수 처리장 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529B1 (ko) * 2007-10-22 2009-10-12 주식회사 젠트로 수처리장 침전지
JP7075071B1 (ja) * 2022-01-17 2022-05-25 株式会社エース・ウォーター 沈殿池におけるスロッシング抑制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388B1 (ko) 2007-01-08 2008-01-21 주식회사 젠트로 수처리장 간벽장치 및 시공방법
KR100806564B1 (ko) 2007-09-11 2008-03-03 김회진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KR100932532B1 (ko) * 2007-09-11 2009-12-17 주식회사 젠트로 수 처리장 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811A (ko) 200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7890B2 (en) Separator and separation method
KR100671338B1 (ko) 침전지의 도류벽 설치구조
US8343340B2 (en) Flowing water splitting apparatus, flowing water splitting method and sewage system
KR20010077955A (ko) 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의 고액 분리장치
CN108423788A (zh) 无药剂二次水力强化混凝沉淀池
CN207708590U (zh) 挡渣出水堰
CN104826369B (zh) 回转式平流沉淀池
CN211226498U (zh) 一种溢流堰可调的沉淀池
KR100717429B1 (ko) 고효율 멀티 침전조
US20110309015A1 (en) Clarifier support structure
CN208577484U (zh) 无药剂二次水力强化混凝沉淀池
CN1051940C (zh) 一种水净化器
CN210434042U (zh) 一种设水平管的改良平流沉淀池
CN210438466U (zh) 适配装置及水处理池
CN112912154B (zh) 用于澄清池的斜板和用于澄清池的斜板状模块
KR100940483B1 (ko) 상향류식 침전설비용 경사관
KR100545746B1 (ko) 슬러지의 침전효율과 수처리효율이 우수한 개선된 구조의침전조
CN111394575A (zh) 用于湿法冶金的萃取箱澄清室结构
JP7364189B2 (ja) 固液分離システム
CN216062141U (zh) 一种给水排水用澄清池
CN220788251U (zh) 一种蜂窝型泥水分离装置
CN219815378U (zh) 高负荷沉淀装置
CN215161274U (zh) 一种自来水厂沉淀池
CN216075447U (zh) 一种低碳环保的溢流污染控制截流井
CN213803406U (zh) 一种污水沉淀装置和污水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