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171B1 - 위치 가변형 플러그드 샤시 - Google Patents

위치 가변형 플러그드 샤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171B1
KR100806171B1 KR1020070019151A KR20070019151A KR100806171B1 KR 100806171 B1 KR100806171 B1 KR 100806171B1 KR 1020070019151 A KR1020070019151 A KR 1020070019151A KR 20070019151 A KR20070019151 A KR 20070019151A KR 100806171 B1 KR100806171 B1 KR 100806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vinyl
motor
guide frame
high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9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태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19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6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주자의 취향에 따라 발코니의 공간을 임의로 조절하여 확장하거나 축소하여 사용이 가능한 위치 가변형 플러그드 샤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실내의 바닥과 천정에 전후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상/하부 가이드프레임과, 그 상/하부 가이드프레임에 안내되는 상/하부 롤러가 상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샤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주자의 취향에 따라 발코니의 공간을 임의로 조절하여 확장하거나 축소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설치후 개보수가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발코니, 공간, 위치, 샤시

Description

위치 가변형 플러그드 샤시{movable pluged chassi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가변형 플러그드 샤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가변형 플러그드 샤시의 이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샤시 프레임간을 차단하는 비닐 칸막이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가변형 플러그드 샤시의 위치 이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위치 가변형 플러그드 샤시의 구동 회로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거실 20: 발코니
110: 상부 가이드프레임 120: 하부 가이드프레임
200: 샤시 220: 상부롤러
221: 상부 지지브라켓 222: 하부롤러
223: 하부 지지브라켓 300: 제1자동비닐롤
310: 고장력 비닐 400: 모터
본 발명은 위치 가변형 플러그드 샤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거주자의 취향에 따라 발코니의 공간을 임의로 조절하여 확장하거나 축소하여 사용이 가능한 위치 가변형 플러그드 샤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아파트나 빌라 등과 같은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발코니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대부분 세탁물을 건조하거나 정원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발코니는 건축법상 서비스 면적에 해당되며, 외부공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발코니에 알루미늄 샤시(chassis) 등을 설치하여 기존의 용도는 물론이고 거실, 창고, 놀이방 등의 다양한 공간으로 활용하는 추세이다.
그런데 현재 허용되는 발코니는 그 폭이 애매하여 사용상의 제약이 많으며, 거주자에 따라 발코니 공간의 필요한 용도가 달라 확장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점차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건축관련 법규가 완화되면서 발코니의 폭을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최근 신축되는 건축물의 대부분은 종래의 공동주택으로 사용되는 건물보다 발코니 폭을 확장하여 건축하고 있으며 기존의 건축물 거주자들도 리모델링을 통해 발코니 폭을 제한된 범위까지 확장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존 건축물의 발코니를 확장하는 리모델링 방법은 주로 철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는데, 이는 과다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발코니의 확장에 따라 상태적으로 수납공간이 부족해지고 세탁물의 건조나 화초 재배 등과 같은 야외가사(野外家事)를 위한 요구공간과 그 활용정도가 거주자마다 달라 추후 개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거주자의 취향에 따라 그 발코니 공간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위치 가변형 플러그드 샤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버튼 조작만으로도 샤시의 위치를 가변시켜 편리하게 발코니 공간을 확장하거나 축소 조정할 수 있는 위치 가변형 플러그드 샤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내의 바닥과 천정에 전후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상/하부 가이드프레임과, 그 상/하부 가이드프레임에 안내되는 상/하부 롤러가 상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샤시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샤시는 그 상/하단 모서리에 각각 상/하부 롤러가 축설되는 상/하부 지지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샤시의 상부 롤러가 지지되어 회전할 수 있는 관통공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관통공의 하부에는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이 이동하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샤시의 하부 롤러가 지지되어 회전할 수 있는 관통공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관통공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 지지브라켓이 이동하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샤시는 폭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샤시와 샤시 사이에는 고장력 비닐 장막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샤시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로 이루어진 사각프레임의 내부에 유리가 고정설치되어서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부재에는 고장력 비닐의 일단부가 제1자동비닐롤에 권취되고, 상기 고장력 비닐의 타단부는 인접한 샤시의 수직부재의 제2자동비닐롤에 권취되어 샤시 사이의 이격거리만큼 고장력 비닐 장막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자동비닐롤은 각각 고장력 비닐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권취되는 보빈과, 그 보빈의 그 중앙부에 체결되어 고장력 비닐을 권취하는 스파이럴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가이드프레임은 그 일단부에 제어판넬의 조작부 제어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와 그 모터의 구동축에 구동풀리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부 가이드프레임의 타단부에 벨트로 연동되는 종동풀리가 구비되고, 상기 벨트의 일측부에는 상기 샤시의 상부에 돌출되는 상부 지지브라켓에 고정되어 모터의 정역구동에 따라 상기 샤시를 전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가이드프레임의 전후단에는 상기 샤시의 상부 롤러를 감지하면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기 위한 리미트스위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가이드프레임은 그 일단부에 제어판넬의 제어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와 그 모터의 구동축에 구동풀리를 일체로 구비하고, 하부 가이드프레임의 타단부에 벨트로 연동되는 종동풀리가 구비되고, 상기 벨트의 일측부에는 상기 샤시의 하부에 돌출되는 하부 지지브라켓에 고정되어 모터의 정역구동에 따라 상기 샤시를 전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가변형 플러그드 샤시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가변형 플러그드 샤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가변형 플러그드 샤시의 이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샤시 프레임간을 차단하는 비닐 칸막이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가변형 플러그드 샤시의 위치를 가변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가변형 플러그드 샤시의 위치 이동원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위치 가변형 플러그드 샤시의 구동 회로 블럭도이다.
먼저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가변형 플러그드 샤시는 실내의 바닥과 천정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가이드프레임(100)과, 그 가이드프레임(10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샤시(200)로 이루어진다.
즉, 예를 들어 거실(10)과 발코니(20)의 공간을 가로질러 상/하부 가이드프레임(110,120)이 설치되고, 그 천정과 바닥에 설치되는 상/하부 가이드프레임(110,120)의 사이에 일정폭을 가지며 수직방향으로 샤시(200)가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샤시(200)는 발코니의 폭과 용도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설치하여 발코니 공간을 다양한 모양으로 가변할 수 있어 용이하게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 위치 가변형 플러그드 샤시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의하면, 상기 샤시(200)는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사각프레임(210) 사이에 유리(220)를 설치하고 실리콘으로 마무리한 상태의 것으로 그 사각프레임(210)은 합성수지재를 사출성형하여서 제조하거나 알루미늄을 압출성형하여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샤시(200)의 상단 모서리와 하단 모서리에는 각각 전후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상부롤러(220) 및 하부롤러(222)가 축설된다. 이때, 상기 상부롤러(220) 및 하부롤러(222)는 샤시(200)의 상단 모서리와 하단 모서리의 상하단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는 상부 지지브라켓(221)의 축공(221a)과 하부 지지브라켓(223)의 축공(223a)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상부 가이드프레임(110)은 건물의 천정부위에 설치되는데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건물의 상측 슬래브(12)와 천장마감재(13)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매입설치된다.
이 경우 천장마감재(13)는 그 재질이 대부분 합판으로 이루어져 강도가 약하므로 상기 상부 가이드프레임(110)은 건물의 상측 슬래브(12)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샤시(200)의 상부 모서리에 구비되는 지지브라켓(221)이 저항없이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장공(13a)을 상기 천장마감재(13)에 형성하여서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부 가이드프레임(110)은 상기 샤시(200)의 상부 지지브라켓(221)에 축설되는 상부 롤러(220)가 지지되어 회전할 수 있는 관통공(110a)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관통공(110a)의 하부에는 일부 절개된 개방부(110b)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공(110a)에는 샤시(200)의 상부 롤러(220)가 위치하고 상기 개방부(110b)에는 상기 상부 롤러(220)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221)의 중간부가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가이드프레임(120)은 건물의 바닥부위에 설치되는데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건물의 바닥 슬래브(15)에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하고 매입설치된다. 그리고 장판이나 마루바닥과 같은 마감재(16)에 하부 롤러(222)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223)이 저항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용장공(16a)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하부 가이드프레임(120)은 상기 샤시(200)의 하부 지지브라켓(223)에 축설되는 하부 롤러(222)가 하부에 지지되어 회전할 수 있는 관통공(120a)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관통공(120a)의 상측으로는 일부 절개된 개방부(120b)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20a)에는 샤시(200)의 하부 롤러(222)가 위치하고 상기 개방부(120b)에는 상기 하부 롤러(222)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223)의 중간부가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샤시(200)를 거실(10)쪽이나 발코니(20)쪽으로 미는 경우 상/하부 롤러(220,222)가 상기 상/하부 가이드프레임(110,120)의 관통공(110a,120a)을 따라 안내되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3에 의하면, 상기 샤시(200)를 넓이 방향으로 복수(複數)로 분할하여 설치하는 경우 상기 상/하부 가이드프레임(110,120) 역시 각각 복수로 설치된 다.
이때, 상기 샤시(200)의 사각프레임(210)은 수직부재(210a)와 수평부재(210b)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수직부재(210a)는 대략 'ㄴ'자 형상의 제1안착홈(212a)이 형성되도록 제1돌출부(212)가 형성하게 되며, 다른 샤시(200') 역시 수직부재(210a')에 대략 'ㄴ'자 형상의 제2안착홈(212a')이 형성되도록 제2돌출부(212')가 형성되어 2개의 샤시(100,100')가 서로 평행하게 위치 이동되는 경우 제1안착홈(212a)과 제2안착홈(212a')이 서로 밀착되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돌출부(212,212')의 상하단에 상/하부 롤러(220,222)를 구비함으로써 그 교차되는 부위의 상/하부 가이드프레임(110,120)을 하나만 이용하여 함께 사용이 가능하여 그 자재의 낭비를 줄여주게 된다.
한편, 상기 샤시(200)의 수직부재(210a)에는 상하방향으로 고장력 비닐(310)이 통과하는 장공(미도시)이 형성되고, 고장력 비닐(310)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제1자동비닐롤(300)이 구비된다. 즉, 상기 제1자동비닐롤(300)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장력 비닐(310)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권취되는 보빈(320)과, 그 보빈(320)의 그 중앙부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탄성부재인 스파이럴스프링(330)이 내장되어 그 일단부가 상기 보빈(320)에 체결되어 고장력 비닐(310)을 잡아당기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샤시(200)와 인접한 다른 샤시(200') 역시 상하방향으로 고장력 비닐(310)이 통과하는 장공(미도시)이 형성되고, 수직부재(210a')에는 상기 고장력 비닐(310)의 타단부가 고정되어 권취되는 제2자동비닐롤(3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자동비닐롤(300') 역시 상기 제1자동비닐롤(300)과 동일하게 보빈(320')과 탄성부재인 스파이럴스프링(330')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어느 하나의 샤시(200)를 밀어 상,하부 가이드프레임(110,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시키게 되면 샤시(200,200')간의 수평거리가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에는 각각의 보빈(320,320')이 풀리면서 고장력 비닐(310)이 샤시(200,200')간의 공간을 막아주어 일정한 장막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어느 하나의 샤시(200,200')를 밀거나 당겨서 샤시(200,200')간의 수평거리가 가까워지는 경우에는 각각의 보빈(320,320')이 스파이럴스프링(330,3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감기면서 고장력 비닐(310)을 감게 되고, 상기 고장력 비닐(310)은 스파이럴스프링(330,330')의 탄성력에 의해 인장되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여 샤시(200,200')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게 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가변형 플러그드 샤시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거주자가 발코니(20) 공간을 확장하고 싶은 경우에는 발코니(20) 쪽에서 거실(10) 쪽으로 어느 하나의 샤시(200)를 전후 방향으로 밀게 된다. 그와 같이 밀게 되면 샤시(200)가 전진하면서 발코니의 공간이 확장된다.
이 경우, 샤시(200)는 그 각각의 모서리 상하단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상/하 부 지지브라켓(221,223)에 축설되는 상/하부 롤러(220,222,)가 상/하부 가이드프레임(110,1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공(110a,120b)을 타고 위치가 가변된다.
이때, 상기 샤시(200)는 인접한 다른 샤시(200')가 존재하는 경우 그 샤시(200)와 인접한 다른 샤시(200')의 수직부재(210a,210a') 내에 내장된 제1 및 제2자동비닐롤(300,300')의 보빈(320,320')이 각각 일정부분 풀리면서 고장력 비닐(310)이 그 샤시(200,200')간의 빈공간을 매워주는 장막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반대로 발코니(20) 공간을 축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반대편에서 샤시(200)를 밀게 되면 인접한 두 개의 샤시(200,20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양만큼 각각의 보빈(320,320')에 스파이럴스프링(330,3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고장력 비닐(310)이 감겨서 샤시(200,200')의 수직부재(210a,210a') 내부로 고장력 비닐(310)을 깔끔하게 은닉시켜 준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가변형 플러그드 샤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부 가이드프레임(110)의 일단부에 동력전달수단인 모터(400)를 구비하고 그 모터(400)의 구동축에 구동풀리(410)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부 가이드프레임(110)의 타단부에 종동풀리(42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풀리(410)와 종동풀리(420)를 연동시키기 위해 벨트(430)를 설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벨트(430)의 일측부는 상기 샤시(200)의 상부에 돌출되는 상부 지지브라켓(110)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모터(400)는 저속회전이 가능한 감속모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가이드프레임(110)의 양단에는 위치감지수단인 제1 및 제2리미트스위치(440,442)를 구비하고, 실내의 일측에는 상기 모터(400)의 회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450)를 가지는 제어판넬(452)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모터(400)가 구동되어 구동풀리(410)가 회전하며 벨트(430)에 부착된 샤시(2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부롤러(220)가 상기 상부 가이드프레임(110)의 양단부에 도달하는 경우 상부 롤러(220)가 제1리미트스위치(440) 또는 제2리미트스위치(442)를 접촉하게 되면 모터(400)를 정지시키게 된다. 즉, 조작부(450)의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샤시(200)를 전후방향으로 위치를 가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수단인 모터(400), 구동풀리(410), 종동풀리(420) 및 벨트(430) 등은 상부 가이드프레임(110) 이외에 하부 가이드프레임(120)에 설치하거나 상/하부 가이드프레임(110,120) 양쪽에 설치 구성함도 동일한 기술적 범주내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 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거주자의 취향에 따라 발코니의 공간을 임의로 조절하여 확장하거나 축소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설치후 개보수가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다수의 샤시가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하여 발코니 공간을 다양한 모양으로 변화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그와 같이 샤시의 위치를 가변할 경우에 간단한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시켜 줌으로써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Claims (9)

  1. 실내의 바닥과 천정에 전후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하부 가이드프레임과, 그 상/하부 가이드프레임에 안내되는 상/하부 롤러가 상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다수 개의 샤시로 이루어지되,
    상기 샤시는 그 상/하단 모서리에 각각 상/하부 롤러가 축설되는 상/하부 지지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상/하부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샤시의 상/하부 롤러가 지지되어 회전할 수 있는 관통공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관통공의 하/상부에는 상기 상/하부 지지브라켓이 이동하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샤시와 샤시 사이에는 고장력 비닐 장막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 가이드프레임의 일단부에는 제어판넬의 조작부 제어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와 그 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구동풀리가 일체로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벨트로 연동되는 종동풀리가 구비되며, 전후단에는 상기 샤시의 상부 롤러를 감지하면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벨트의 일측부가 상기 샤시의 상부에 돌출되는 상부 지지브라켓에 고정되어 상기 모터의 정역구동에 따라 상기 샤시를 전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가변형 플러그드 샤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로 이루어진 사각프레임의 내부에 유리가 고정설치되어서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부재에는 고장력 비닐의 일단부가 제1자동비닐롤에 권취되고, 상기 고장력 비닐의 타단부는 인접한 샤시의 수직부재의 제2자동비닐롤에 권취되어 샤시 사이의 이격거리만큼 고장력 비닐 장막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가변형 플러그드 샤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자동비닐롤은 각각 고장력 비닐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권취되는 보빈과, 그 보빈의 그 중앙부에 체결되어 고장력 비닐을 권취하는 스파이럴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가변형 플러그드 샤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 제 5항 및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이드프레임은 그 일단부에 제어판넬의 제어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와 그 모터의 구동축에 구동풀리를 일체로 구비하고, 하부 가이드프레임의 타단부에 벨트로 연동되는 종동풀리가 구비되고, 상기 벨트의 일측부는 상기 샤시의 하부에 돌출되는 하부 지지브라켓에 고정되어 모터의 정역구동에 따라 상기 샤시를 전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가변형 플러그드 샤시.
KR1020070019151A 2007-02-26 2007-02-26 위치 가변형 플러그드 샤시 KR100806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151A KR100806171B1 (ko) 2007-02-26 2007-02-26 위치 가변형 플러그드 샤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151A KR100806171B1 (ko) 2007-02-26 2007-02-26 위치 가변형 플러그드 샤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6171B1 true KR100806171B1 (ko) 2008-02-21

Family

ID=39382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9151A KR100806171B1 (ko) 2007-02-26 2007-02-26 위치 가변형 플러그드 샤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617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4574U (ko) * 1993-11-23 1995-06-17 박인순 건물의 비닐 셔터(shutter)장치
KR19980065452A (ko) * 1997-01-10 1998-10-15 배진원 자동문 개폐장치
KR200180774Y1 (ko) 1999-12-07 2000-05-15 강석봉 자동문 개폐장치
KR20050024504A (ko) * 2005-02-21 2005-03-10 김길평 건축 내부의 확장형 거실 창틀
KR20050031095A (ko) * 2005-03-11 2005-04-01 (주)씨에스티개발 건축물 내부의 확장형 거실 창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4574U (ko) * 1993-11-23 1995-06-17 박인순 건물의 비닐 셔터(shutter)장치
KR19980065452A (ko) * 1997-01-10 1998-10-15 배진원 자동문 개폐장치
KR200180774Y1 (ko) 1999-12-07 2000-05-15 강석봉 자동문 개폐장치
KR20050024504A (ko) * 2005-02-21 2005-03-10 김길평 건축 내부의 확장형 거실 창틀
KR20050031095A (ko) * 2005-03-11 2005-04-01 (주)씨에스티개발 건축물 내부의 확장형 거실 창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91013C (en) Retractable sun shade
EP0783072A1 (en) Motor-operated window cover
KR100806171B1 (ko) 위치 가변형 플러그드 샤시
KR200469501Y1 (ko) 패브릭 텐션 시스템의 차양막 처짐 방지 장치
KR100942306B1 (ko) 서랍식 발코니
JPWO2015064753A1 (ja) シャッター装置及びシャッター装置の制御方法
US6935398B2 (en) Operating unit for a window covering
JP2008002061A (ja) 移動式間仕切装置
KR20000000395A (ko) 개폐식 지붕구조
JP2016074313A (ja) 可動式ホーム柵
KR102296902B1 (ko) 전동 롤 블라인드
KR101211179B1 (ko) 공간 가변형 발코니
JP2003120156A (ja) 開閉装置
KR101406301B1 (ko) 슬라이드 접철식 도어의 센터가이드장치
KR102311220B1 (ko) 전동 롤 블라인드
KR102628883B1 (ko) 루버 개폐장치
EP3987144B1 (en) High performance door
KR102481047B1 (ko) 다기능 커튼 박스
KR102669195B1 (ko) 패브릭 텐션 장치
JP7358226B2 (ja) 止水板付きシャッターおよび止水板付きシャッターの下限位置の設定方法
KR101969759B1 (ko) 에너지 절감형 차양장치
JP7089571B2 (ja) 二方向開閉式カーテン
CN208203073U (zh) 一种滚筒可移动的阳台防雨遮阳卷帘
KR101824547B1 (ko) 소음 감소구조가 적용된 롤 스크린 장치
KR20170112162A (ko) 실내용 자동 차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