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774Y1 - 자동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774Y1
KR200180774Y1 KR2019990027620U KR19990027620U KR200180774Y1 KR 200180774 Y1 KR200180774 Y1 KR 200180774Y1 KR 2019990027620 U KR2019990027620 U KR 2019990027620U KR 19990027620 U KR19990027620 U KR 19990027620U KR 200180774 Y1 KR200180774 Y1 KR 2001807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s
opening
rail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6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봉
Original Assignee
강석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5563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10054711A/ko
Application filed by 강석봉 filed Critical 강석봉
Priority to KR20199900276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7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7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7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05F15/41Detection by monitoring transmitted force or torque; Safety couplings with activation dependent upon torque or force, e.g. slip coup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52Safety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wing motor
    • E05Y2400/53Wing impact prevention or reduction
    • E05Y2400/54Obstruction or resistance de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하나의 정역회전 모터의 각 회전 방향에 따라 양문이 동시에 개폐되도록 함과 동시에 각 문간 접촉부위 및 각 문의 하단부에 센서를 설치하여 사용상 안전성을 도모하도록 한 자동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양방향으로 개폐되는 각 문의 상부에 설치되며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되어 레일과, 각 문의 상부 양단부로부터 각각 돌출·형성되며, 그 선단부 전/후위에 롤러가 결합되어 각 롤러 레일에 구름접촉 가능하게 삽입되는 브라켓과, 각 문의 각각의 내측 브라켓으로부터 각 문의 개방 길이에 해당하는 만큼 반대방향측에 각각 이격형성되는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와, 왼쪽문의 내측 브라켓 왼쪽 상부, 종동풀리, 오른쪽문의 내측 브라켓 하부, 구동풀리, 왼쪽문의 내측브라켓 오른쪽 상부에 순차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 로프와, 각 문의 개폐 길이를 제한하도록 레일에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여서 된 자동문 개폐장치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자동문을 구성하는 각 문이 롤러와 레일에 의해 구름접촉하면서 개폐되므로 그 접촉저항이 최소화되며, 와이어 로프에 걸리는 부하도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되어 하나의 모터와 하나의 와이어 로프로도 원활하게 개폐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문 개폐장치
본 고안은 자동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정역회전 모터의 각 회전 방향에 따라 양문이 동시에 개폐되도록 함과 동시에 각 문간 접촉부위 및 각 문의 하단부에 센서를 설치하여 사용상 안전성을 도모하도록 한 자동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자동문은 백화점, 각종 공공장소, 대형 건물 등에 채용되어 문 앞에 방문자가 서게 되면 상부의 센서에 의해 감지하여 자동으로 문을 개폐하는 장치로서, 최근에는 대형 공장에도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자동문으로는 도 1에 제시된 장치가 있으며, 이를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문의 한 예로서 설명한다.
이 자동문은 장방형의 설치판(100)에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101) 및 이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102)가 설치되며, 설치판(100) 일측에 출입문(108)에 근접하는 방문자를 감지하는 센서에 의한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모터(101)를 제어하는 제어박스(103)가 설치되고, 감속기(102)의 출력축과 설치판(100) 타측에 설치되는 가이드풀리(104)에 체인(105) 및 와이어(106)로 연결되어 있는 벨트가 장착되며, 체인(105)에 고정되어 벨트 구동시 출입문(108)을 개폐시키는 행거(107)가 출입문(108) 상면 소정위치에 고정된다.
또한, 출입문(108)의 상단부에 별도의 브라켓(109)이 구비되며, 이 브라켓(109)이 설치판(100) 하측의 걸림홈(110)에 결합되어 벨트 구동시 슬라이딩되면서 그 개폐 방향이 가이드된다.
미설명 부호 111은 출입문(108) 개폐시 하단을 지지하는 안내홈이며, 112는 안내롤러이다.
그러나, 전술한 자동문은 감속기(102)의 출력축과 가이드풀리(104) 사이에 지지되어 있는 벨트의 구동에 의해 출입문(108)의 브라켓(109)이 설치판(100) 하측의 걸림홈(10)을 따라 미끄럼 접촉되면서 슬라이딩되므로 그 접촉저항이 증가되며, 이에 따라 벨트에 큰 장력이 걸리는데, 이로 인해 가이드풀리(104)에 집중하중이 반복적으로 작용하여 쉽게 변형 파손되며, 출입문(108) 개폐시 상대구조물과의 접촉충격으로 출입문(108)이 들뜨게 되어 걸림홈(110)에 무리한 충격이 가해져 쉽게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자동문은 일방향으로만 작동되므로 양방향으로 되어 있는 자동문에 적용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장치가 2개 필요하게 되어 설치비용 및 작업공수가 2배정도 소요되며, 이로 인해 제조원가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양방향으로 되어 있는 자동문을 구성함에 있어 하나의 모터로서 양방향 문을 동시에 구동함과 아울러 각 문이 레일을 따라 구름 접촉하면서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각 부분의 마찰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자동문의 수명이 연장되도록 하는 자동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른 견지로는, 자동문의 하단부가 구름접촉되면서 가이드될 수 있도록하여 자동문이 수직을 유지하면서 개폐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견지로는, 각 문의 접촉부 및 하부에 센서를 더 구비하여 사용상 안전성을 증대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문 개폐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 개폐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 개폐장치의 구동부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동문 개폐장치의 상부 가이드부 상세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의 하부 양단의 가이드 상세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의 하부 접촉부위의 가이드 상세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문 3,19,20 : 센서
4 : 모터 5 : 설치판
6,6',17 : 브라켓 7 : 구동풀리
8 : 종동풀리 9 : 와이어 로프
10,10' : 스프링 11,15 : 레일
12,16,18 : 롤러 13,14 : 리미트 스위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 개폐장치는, 방문자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를 통한 감지여부에 따라 양방향으로 개폐되는 각각의문과, 상기 각 문의 개폐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가 설치되는 설치판이 구비되며,
상기 양문 길이의 2배이상의 길이를 가지며,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되어 그 개방부가 하방을 향하되 상기 개방부의 각 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개방부위를 형성하면서 각각 소정길이 직각 절곡되어 있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설치판에 설치되는 레일; 상기 각 문의 상부 양단부로부터 각각 돌출·형성되며, 그 선단부전/후위에 수직방향으로 롤러가 결합되어 상기 각 롤러가 상기 레일의 직각 절곡부에 구름접촉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레일의 개방부위를 통해 외측으로 인출되어있는 브라켓; 상기 각 문의 각각의 내측 브라켓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상기 각 문의 개방 길이에 해당하는 만큼 반대방향측에 각각 이격형성되는 구동풀리와 종동풀리; 일단은 상기 왼쪽문의 내측 브라켓 왼쪽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종동풀리를 돌아 그 중단부는 상기 오른쪽문의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구동풀리를 돌아 그 타단은 상기 왼쪽문의 오른쪽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풀리에 연결된 상기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각 문을 개폐하는 와이어 로프; 상기 와이어 로프의 각 고정단을 당겨주어 상기 와이어 로프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해주는 탄성부재; 및상기 각 문의 개폐 길이를 제한하도록 상기 레일에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 개폐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 개폐장치의 구동부 상세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동문 개폐장치의 상부 가이드부 상세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의 하부 양단의 가이드 상세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의 하부 접촉부위의 가이드 상세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 개폐장치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양방향으로 개폐되는 문(1)(2)이 있고, 방문자를 감지하기 위하여 문의 상부에 위치하는 주센서(3)와, 주센서(3)를 통한 방문자의 감지여부에 따라 도면상에도시 생략된 콘트롤부의 명령을 받아 구동되는 모터(4)와, 이 모터(4)가 설치되는설치판(5)이 문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다.
양방향으로 개폐되는 각 문(1)(2)은 하나의 모터(4)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반대방향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는 것으로서, 각 문(1)(2)의 상부에는 정면으로보아 좌우측에 각각 브라켓(6)(6')이 돌출·형성되고, 각 문(1)(2)의 내측 브라켓(6')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각 문(1)(2)의 개방 길이에 해당하는 만큼 반대방향측에 모터(4)에 연결된 구동풀리(7)와 이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종동풀리(8)가 각각 이격·형성되며, 구동풀리(7)로부터 모터(4)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각 문(1)(2)을 개폐하는 와이어 로프(9)가 그 일단은 왼쪽문(1)의 내측 브라켓(6') 왼쪽 상부에 고정되고 종동풀리(8)를 돌아 그 중단부는 오른쪽문(2)의 내측 브라켓(6') 하부에 고정되며 구동풀리(7)를 돌아 그 타단은 왼쪽문(1)의 내측 브라켓(6') 오른쪽 상부에 고정되고, 와이어 로프(9)의 각 고정단에는 그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해주기 위해 각각 스프링(10)(10')과 같은 탄성부재가 탄력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각 문(1)(2)은 일정한 형상을 가진 레일(11)내에서 구름접촉하면서 개폐방향이 가이드되는데, 레일(11)은 도 4와 같이 양문 길이의 2배이상의 길이를 가지고, 단면이 'ㄷ' 자 형상으로 되어 그 개방부가 하방을 향하되 개방부의 각 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개방부위를 형성하면서 각각 소정길이 직각 절곡되어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설치판(5)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각 문(1)(2)의 브라켓(6)(6') 선단부에는 전/후위에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12)가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각 롤러(12)가 레일(11)의 직각 절곡부에 구름접촉 가능하게 삽입되고, 레일(11)의 개방부위를 통해 하부측으로 브라켓(6)(6')이 인출된 형상을 갖게 된다.
아울러, 각 문의 개폐 길이를 제한하도록 레일(11)에는 열림감지 리미트 스위치(13)와 닫힘감지 리미트 스위치(14)가 적정한 위치에 설치된다.
한편, 각 문(1)(2)이 수직을 유지하면서 개폐되기 위해서는 각 문(1)(2)의 하단부를 가이드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며, 이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문(1)(2)의 하단부에는 'H'형상의 단면을 가진 레일(15)이 끼워지며, 각 문 하단부 양측에 대응되는 바닥부에 셋볼트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롤러(16)가 'H'형상의 하부공간에 구름접촉가능하게 끼워져 각 문(1)(2)의 하단부 양측을 가이드하고, 각 문(1)(2)의 하단부 접촉부위에 대응되는 바닥부에는 전/후면이 대칭되게 셋볼트에 의해 브라켓(17)이 고정되고, 각 브라켓(17)에는 각 문(1)(2)에 수평방향에서 구름접촉하는 2개의 롤러(18)가 각각 형성되어 각 문(1)(2)의 하단부 접촉부위를 가이드한다.
또한, 각 문(1)(2) 사이에 끼이지 못하게 하면서 어린이와 같이 키가 작은 사람까지 감지할 수 있도록 각 문(1)(2)의 접촉부위와 각 문(1)(2)의 하부 일측에는 각각 터치센서(19)와 광센서(20)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 개폐장치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한다.
먼저, 양방향 문(1)(2)이 닫힌 상태에서 각 센서, 예컨대 주센서(3), 터치센서(19), 광센서(20)를 통해 방문자 또는 물건 등이 감지되면 이 감지신호가 도면상에 도시생략된 콘트롤부로 전달된다.
콘트롤부에서는 이 신호를 전달받아 모터 구동신호를 발생하게 되며, 모터(4)는 이 신호에 의해 구동을 개시하게 되고, 모터(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이 회전력이 구동풀리(7)와 종동풀리(8) 사이의 와이어 로프(9)에 전달되어 각 문(1)(2)이 서로 개방되는 방향으로 움직여 개방될 수 있다.
즉, 모터(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와이어 로프(9)는 오른쪽문(2)의 내측 브라켓(6')에 그 하단부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오른쪽문(2)을 오른쪽 방향으로 당겨 움직이게 하며, 또한 외쪽문(1)의 내측 브라켓(6') 왼쪽 상부에 그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왼쪽문(1)을 왼쪽으로 당겨 움직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각 문(1)(2)의 개방 길이는 레일(11)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각 열림감지 리미트 스위치(13)에 의해 제한되어 모터(4)의 구동을 정지시키며, 이런 상태에서도 각 센서(3)(19)(20)에서는 계속적으로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데, 더 이상 방문자 또는 물건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모터(4)를 시계방향으로 구동하여 각 문(1)(2)을 폐쇄시킨다. 각 문(1)(2)의 폐쇄동작은 개방동작과 반대로 이루어지며, 각 문(1)(2)이 완전 폐쇄되었을 때에는 닫힘 감지 리미트 스위치(14)가 각 문(1)(2)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여 콘트롤부에 의해 모터(4)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때, 각 문(1)(2) 상부 좌우에 형성되어 있는 각 브라켓(6)(6')에는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롤러(12)가 레일(11)에 끼워져 있으므로 각 문(1)(2)이 개폐될 때 롤러(12)가 레일(11)을 따라 구름접촉하면서 가이드됨은 자명하며, 이와같이 각 문(1)(2)이 레일(11)과 구름접촉하면서 가이드됨에 따라 접촉저항은 최소한으로 낮아지고, 와이어 로프(9)에 걸리는 부하도 상대적으로 낮아져 하나의 모터(4)와 하나의 와이어 로프(9)로도 원활하게 양문(1)(2)을개폐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자동문을 개폐함에 있어 각 문(1)(2)이 수직을 유지하면서 개폐되도록하는 것은 사용상 안전성과 수명유지에 매우 중요한데,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문(1)(2)의 하단부에는 'H'형상의 단면을 가진 레일(15)이 끼워지고 각 문(1)(2) 하단부 양측에 대응되는 바닥부에 셋볼트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롤러(16)가 'H'형상의 하부공간에 구름접촉가능하게 끼워져 있으므로 각 문(1)(2)이 개폐될 때 각 문(1)(2)의 하단부 양측이 롤러(16)에 의해 구름접촉하면서 가이드될 수 있어 각 문(1)(2)의 수직유지는 물론 접촉저항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로 개폐동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각 문(1)(2)의 하단부 접촉부위에 대응되는 바닥부에는 전/후면이 대칭되게 셋볼트에 의해 브라켓(17)이 고정되고, 각 브라켓(17)에는 각 문(1)(2)의 측면에서 구름접촉하는 2개의 롤러(18)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문(1)(2)의 중앙부위를 각 롤러(18)에 의해 구름접촉하면서 가이드할 수 있어 접촉저항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로 개폐동작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전체 문을 놓고 볼 때 각 문(1)(2)이 뒤틀림없이 수직을 유지한 상태로 원활하게 개폐동작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자동문을 개폐시킴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사용상 안전성이며, 자동문에서는 양방향으로 개폐되는 문(1)(2)의 사이에 끼인 채로 가동되거나 키가 작은어린이 또는 높이가 낮은 물건을 감지하지 못하여 자동문이 원활하게 개폐하지 못하는 일이 빈번히 발생됨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런데,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 개폐장치에서는 각 문(1)(2) 사이의 접촉부위에 터치센서(19)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자동문 사용중 각 문(1)(2) 사이에 끼일 경우에는 이를 터치센서(19)에 의해 감지하여 신속하게 모터(4)의 구동을 정지시키거나 그 회전방향을 바꿀 수 있으므로 사용상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각 문(1)(2)의 하부 일측에 광센서(2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키가 작은 어린이나 높이가 낮은 물건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어 사용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각 센서(3)(19)(20)는 각 문(1)(2)의 개폐동작이 완료된 상태이거나수행중이거나에 상관없이 항상 가동하고 있으므로 자동문을 사용함에 있어 불필요한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빈도가 매우 적으므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소비전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문을 구성하는 각 문이 롤러와 레일에 의해 구름접촉하면서 개폐되므로 그 접촉저항이 최소화되며, 와이어 로프에걸리는 부하도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되어 하나의 모터와 하나의 와이어 로프로도 원활하게 개폐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각 문의 하단부 역시 롤러에 의해 구름접촉되면서 가이드될 수 있으므로 각 문이 수직을 유지하면서 동작될 수 있어 기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문의 접촉부 및 하부에 터치센서 및 광센서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용상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방문자를 감지하는 센서(3)와, 상기 센서(3)를 통한 감지여부에 따라 양방향으로 개폐되는 각각의 문(1)(2)과, 상기 각 문(1)(2)의 개폐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 하는 모터(4)와, 상기 모터(4)가 설치되는 설치판(5)이 구비된 자동문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문(1)(2) 길이의 2배이상의 길이를 가지며,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되어 그 개방부가 하방을 향하되 상기 개방부의 각 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개방부위를 형성하면서 각각 소정길이 직각 절곡되어 있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설치판(5)에 설치되는 레일(11);
    상기 각 문(1)(2)의 상부 양단부로부터 각각 돌출·형성되며, 그 선단부 전/후위에 수직방향으로 롤러(12)가 결합되어 상기 각 롤러(12)가 상기 레일(11)의 직각 절곡부에 구름접촉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레일(11)의 개방부위를 통해 외측으로 인출되어 있는 브라켓(6)(6');
    상기 각 문(1)(2)의 각각의 내측 브라켓(6')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상기 각문(1)(2)의 개방 길이에 해당하는 만큼 반대방향측에 각각 이격형성되는 구동풀리(7)와 종동풀리(8);
    일단은 상기 왼쪽문(1)의 내측 브라켓 왼쪽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종동풀리(8)를 돌아 그 중단부는 상기 오른쪽문(2)의 내측 브라켓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구동풀리(7)를 돌아 그 타단은 상기 왼쪽문(1)의 내측 브라켓 오른쪽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풀리(7)에 연결된 상기 모터(4)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각 문(1)(2)을 개폐하는 와이어 로프(9);
    상기 와이어 로프(9)의 각 고정단에 탄력적으로 연결되어 이를 당겨주는 것에 의해 상기 와이어 로프(9)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해주는 탄성부재; 및
    상기 각 문(1)(2)의 개폐 길이를 제한하도록 상기 레일(11)에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리미트 스위치(13)(14)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문(1)(2)의 하단부에는 'H'형상의 단면을 가진 레일(15)이 끼워지며, 상기 각 문(1)(2) 하단부 양측에 대응되는 바닥부에 셋볼트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롤러(16)가 상기 'H'형상의 하부공간에 구름접촉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각 문(1)(2)의 하단부 양측을 가이드하고, 상기 각 문(1)(2)의 하단부 접촉부위에 대응되는 바닥부에는 전/후면이 대칭되게 셋볼트에 의해 브라켓(17)이 고정되고, 각 브라켓(17)에는 상기 각 문(1)(2)에 수평방향에서 구름접촉하는 2개의 롤러(18)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각 문(1)(2)의 하단부 접촉부위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문(1)(2)의 접촉부위와 상기 각 문(1)(2)의 하부 일측에 각각 센서(19)(20)가 더 구비되어 상기 각 문(1)(2) 사이에 끼이지 못하게 하면서 어린이와 같이 키가 작은 사람까지 감지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개폐장치.
KR2019990027620U 1999-12-07 1999-12-08 자동문 개폐장치 KR2001807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620U KR200180774Y1 (ko) 1999-12-07 1999-12-08 자동문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630A KR20010054711A (ko) 1999-12-07 1999-12-07 자동문 개폐장치
KR2019990027620U KR200180774Y1 (ko) 1999-12-07 1999-12-08 자동문 개폐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5630A Division KR20010054711A (ko) 1999-12-07 1999-12-07 자동문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774Y1 true KR200180774Y1 (ko) 2000-05-15

Family

ID=26635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620U KR200180774Y1 (ko) 1999-12-07 1999-12-08 자동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7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171B1 (ko) 2007-02-26 2008-02-2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 가변형 플러그드 샤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171B1 (ko) 2007-02-26 2008-02-2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 가변형 플러그드 샤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1006B1 (ko) 개방 폭 조절이 가능한 자동문
US4274227A (en) Obstruction sensor for electro-mechanically operated garage doors
US5964058A (en) Electrosensing edge for door
CA2171764A1 (e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an automatic partition system
KR200180774Y1 (ko) 자동문 개폐장치
US9631427B2 (en) Door curtains with position sensor switches
KR20010054711A (ko) 자동문 개폐장치
US6289966B1 (en) Door
KR200180773Y1 (ko) 자동문 개폐장치
KR100914705B1 (ko) 갤러리 창호 개폐장치
CA2110035A1 (en) Safety system for passage closure members
KR20010054710A (ko) 자동문 개폐장치
KR100252595B1 (ko) 자동문개폐장치
KR102191980B1 (ko) 자동 슬라이딩 도어
KR101843325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안전개폐장치
KR101089707B1 (ko) 자동문 개폐장치
KR102097243B1 (ko) 무레일 슬라이딩 게이트
JP2506809Y2 (ja) シャッタ―用安全装置
KR200213329Y1 (ko) 자동문 개폐장치
KR940001973Y1 (ko) 마이크로 웨이브 센서를 이용한 자동문
KR20090005803U (ko) 미닫이도어 개폐장치
EP0681637B1 (en) Turning device for overhead sectional doors
JP2013044188A (ja) 開閉制御装置
JPH0519829Y2 (ko)
JPH04166591A (ja) 開閉体の障害物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