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145B1 - 필터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와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필터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와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145B1
KR100806145B1 KR1020060086400A KR20060086400A KR100806145B1 KR 100806145 B1 KR100806145 B1 KR 100806145B1 KR 1020060086400 A KR1020060086400 A KR 1020060086400A KR 20060086400 A KR20060086400 A KR 20060086400A KR 100806145 B1 KR100806145 B1 KR 100806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drain
pipe
flow rate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6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규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60086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61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7Machine fault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수필터에 소정량 이상의 이물질이 누적되면 이를 감지하고,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적당한 시기에 배수필터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필터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감지장치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개구부 내측에 설치되어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에 설치되고, 상기 캐비닛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수관, 상기 배수관에 설치되고, 내부에 배수필터가 수납되는 필터 케이스, 상기 배기관에 설치되어 배수되는 세탁수가 상기 배수필터를 지나지 않고 상기 캐비닛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분기관, 상기 분기관에 설치되어 세탁수의 배수유로를 결정하는 밸브, 및 상기 배수필터를 지나 배출되는 세탁수와 상기 분기관을 따라 배출되는 세탁수의 유속을 비교하여 상기 배수필터의 청소시기를 판단하는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탁기, 배수필터, 필터 케이스, 배수관, 밸브

Description

필터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와 그 제어방법 {FILTER SENSOR AND WASHING MACHINE THEREWITH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드럼세탁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감지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감지장치의 밸브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감지장치의 사용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감지장치의 출력수단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캐비닛 52 : 터브
60 : 배수관 62 : 제 1 배수관
64 : 제 2 배수관 70 : 필터 케이스
72 : 배수필터 74 : 제 1 홀부
76 : 제 2 홀부 80 : 분기관
90 : 밸브 92 : 동기모터
94 : 가변블록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수필터에 소정량 이상의 이물질이 누적되면 이를 감지하고,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적당한 시기에 배수필터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필터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드럼세탁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도어(2)가 설치되는 캐비닛(10)과, 개구부 내측에 설치되어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22)와, 터브(22)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이 수납되는 드럼(24)과, 터브(22) 배면에 설치되어 드럼(22)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구동장치(26)와, 터브(22)와 캐비닛(10) 사이에 설치되어 급수관이 연결되는 급수장치(30)와, 터브(22)로부터 캐비닛(10)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수장치(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로써, 도어(2)를 개방하여 드럼(24) 내부에 세탁물을 수납한 후에 전원을 인가하면 급수장치(30)에 의해 터브(22) 내측으로 세탁수가 공급되고, 세탁수 공급이 완료되면 구동장치(26)에 전원이 인가되어 드럼(24)이 회전되면서 세탁작동이 이루어진다.
세탁작동이 완료된 후에는 수차례의 헹굼작동 및 탈수작동이 이루어진 후에 배수장치(40)를 통해 터브(22) 내측의 세탁수가 캐비닛(10) 외측으로 배출되면서 세탁작동이 완료된다.
여기서, 배수장치(40)는 터브(22)로부터 캐비닛(10)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수관(42)과, 배수관(42)에 설치되는 배수펌프(44)와, 배수펌프(44)와 터브(22) 사이에 설치되고, 배수필터(46)가 수납되는 필터 케이스(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배수필터(46)가 수납되는 필터 케이스(48)의 내부 공간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배수필터(46)의 청소시기를 인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수필터에 이물질이 소정량 이상 누적되면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배수필터 교체시기를 표시토록 하는 필터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와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감지장치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개구부 내측에 설치되어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에 설치되고, 상기 캐비닛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수관, 상기 배수관에 설치되고, 내부에 배수필터가 수납되는 필터 케이스, 상기 배기관에 설치되어 배수되는 세탁수가 상기 배수필터를 지나지 않고 상기 캐비닛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분기관, 상기 분기관에 설치되어 세탁수의 배수유로를 결정하는 밸브, 및 상기 배수필터를 지나 배출되는 세탁수와 상기 분기관을 따라 배출되는 세탁수의 유속을 비교하여 상기 배수필터의 청소시기를 판단하는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배수관은 상기 터브와 상기 필터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배수관과, 상기 필터 케이스로부터 상기 캐비닛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배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배수관에는 상기 분기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필터 케이스는 상기 배수필터에 대응되는 둘레면에 형성되는 제 1 홀부와, 상기 제 2 배수관에 대응되는 둘레면에 형성되는 제 2 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분기관은 상기 제 1 배수관과 상기 제 2 홀부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출력수단은 상기 제 2 배수관에 설치되는 유속감지센서와, 상기 유속감지센서에서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배수필터를 지난 세탁수와 상기 분기관을 따라 배수된 세탁수와의 유속 차이를 비교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되는 유속 차이가 설정치 이상이면 상기 캐비닛 외측으로 출력을 행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세탁기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개구부 내측에 설치되어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에 설치되고, 상기 캐비닛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수관, 상기 배수관에 설치되고, 내부에 배수필터가 수납되는 필터 케이스, 상기 배기관에 설치되어 배수되는 세탁수가 상기 배수필터를 지나지 않고 상기 캐비닛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분기관, 상기 분기관에 설치되어 세탁수의 배수유로를 결정하는 밸브, 상기 배수필터를 지나 배출되는 세탁수와 상기 분기관을 따라 배출되는 세탁수의 유속을 비교하여 상기 배수필터의 청소시기를 판단하는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필터감지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배수작동이 개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단계, 배수작동이 개시되었으면 제 1 배수관이 개방되어 배출되는 세탁수가 배수필터를 지나도록 하고, 유속을 감지하는 제 1 감지단계, 상기 제 1 감지단계가 종료된 후에 배수작동이 개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단계, 상기 제 2 판단단계에서 배수작동의 개시가 감지되면 분기관이 개방되어 상기 분기관을 따라 세탁수가 배출되도록 하고, 유속을 감지하는 제 2 감지단계, 상기 제 1 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유속과 상기 제 2 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유 속과의 차이가 설정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제 3 판단단계, 및 상기 제 3 판단단계에서 유속의 차이가 설정치 이상이면 표시부가 구동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판단단계는 헹굼작동이 종료된 후에 이루어지는 배수작동을 감지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판단단계는 유속의 차이가 설정치 미만이면 상기 제 1 감지단계로 환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필터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와 그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드럼세탁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감지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감지장치의 밸브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 내비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캐비닛(50)과, 개구부 내측에 설치되어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52)와, 터브(52)에 설치되고, 캐비닛(50)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수관(60)과, 배수관(60)에 설치되고, 내부에 배수필터(72)가 수납되는 필터 케이스(70)와, 배기관(60)에 설치되어 배수되는 세탁수가 배수필터(72)를 지나지 않고 캐비닛(50)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분기관(80)과, 분기관(80)에 설치되어 세탁수의 배수유로를 결정하는 밸브(90)와, 배수필터(72)를 지나 배출되는 세탁수와 분기관(80)을 따라 배출되는 세탁수의 유속을 비교하여 배수필터(72)의 청소시기를 판단하는 출력수단(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로써, 세탁작동 및 헹굼작동을 행하고 터브(52)로부터 캐비닛(50) 외측으로 배출되는 세탁수의 유속이 감지되는 바, 여기서는 비교적 이물질이 적게 포함된 헹굼작동 후에 배출되는 세탁수의 유속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헹굼작동은 3번에 걸쳐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므로 첫 번째 헹굼작동을 행한 세탁수의 제 1 유속(a)과 두 번째 헹굼작동을 행한 세탁수의 제 2 유속(b)을 비교하는데, 제 1 유속(a)은 세탁수가 배수필터(72)를 통과하여 배출될 때의 유속이고, 제 2 유속(b)은 배수필터(72)를 통과하지 않고 배출되는 세탁수의 유속을 측정하여 결정된다.
이러한 제 1 유속(a)과 제 2 유속(b)의 차이가 설정치 이상이면 출력수단(100)이 구동되므로 사용자가 배수필터(72) 청소시기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배수관(60)은 터브(52)와 필터 케이스(70)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배 수관(62)과, 필터 케이스(70)로부터 캐비닛(50)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배수관(6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 1 배수관(62)에는 분기관(80)이 설치된다.
또한, 필터 케이스(70)는 배수필터(72)에 대응되는 둘레면에 형성되는 제 1 홀부(74)와, 제 2 배수관(64)에 대응되는 둘레면에 형성되는 제 2 홀부(7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분기관(80)은 제 1 배수관(62)과 제 2 홀부(76) 사이에 설치된다.
이로써, 제 1 배수관(62)을 따라 필터 케이스(70)를 통과하는 세탁수는 배수필터(72)를 지나고, 분기관(80)을 따라 필터 케이스(70)를 지나는 세탁수는 배수필터(72)와 접촉되지 않으므로 양자의 유속을 비교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출력수단(100)은 제 2 배수관(64)에 설치되는 유속감지센서(102)와, 유속감지센서(102)에서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 배수필터(72)를 지난 세탁수와 분기관(80)을 따라 배수된 세탁수와의 유속 차이를 비교하는 제어부(104)와, 제어부(104)에서 판단되는 유속 차이가 설정치 이상이면 캐비닛(50) 외측으로 출력을 행하는 표시부(1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로써, 제 1 유속(a)과 제 2 유속(b)의 차이가 설정치 이상이면 제어부(104)에서 송신되는 출력신호에 따라 출력부(106)가 구동되어 사용자가 배수필터(72)의 청소시기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감지장치의 사용상태가 도시된 단면 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배수작동이 개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단계(S1)와, 배수작동이 개시되었으면 제 1 배수관(62)이 개방되어 배출되는 세탁수가 배수필터(72)를 지나도록 하고, 유속을 감지하는 제 1 감지단계(S2)와, 제 1 감지단계(S2)가 종료된 후에 배수작동이 개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단계(S3)와, 제 2 판단단계(S3)에서 배수작동의 개시가 감지되면 분기관(80)이 개방되어 분기관(80)을 따라 세탁수가 배출되도록 하고, 유속을 감지하는 제 2 감지단계(S4)와, 제 1 감지단계(S2)에서 감지된 유속과 제 2 감지단계(S4)에서 감지된 유속과의 차이가 설정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제 3 판단단계(S5)와, 제 3 판단단계(S5)에서 유속의 차이가 설정치 이상이면 표시부(106)가 구동되는 출력단계(S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1 판단단계(S1)는 헹굼작동이 종료된 후에 이루어지는 배수작동을 감지토록 함으로써, 세탁작동이 종료된 후에 배출되는 세탁수와 비교하여 비교적 이물질이 적게 포함되는 헹굼작동을 행한 후에 배출되는 세탁수의 유속을 측정하므로 보다 정확한 배수필터(72) 청소시기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 1 감지단계(S2)는 동기모터(92)의 정회전에 의해 가변블록(94)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 1 배수관(62)을 개방하고, 분기관(80)을 폐쇄하여 이루어지고, 제 2 감지단계(S4)는 동기모터(92)의 역회전에 의해 가변블록(94)이 타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분기관(80)을 개방하고, 제 1 배수관(62)을 개방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제 3 판단단계(S5)는 유속의 차이가 설정치 미만이면 제 1 감지단계(S2)로 환원되므로 표시부(106)의 구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지속적인 유속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드럼세탁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드럼세탁기에 사용되는 필터감지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필터감지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와 그 제어방법은 배수필터를 통과한 세탁수와 배수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배수되는 세탁수의 유속 차이를 감지하여 필터에 누적된 이물질의 양을 판단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배수필터 청소시기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개구부 내측에 설치되어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에 설치되고, 상기 캐비닛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수관;
    상기 배수관에 설치되고, 내부에 배수필터가 수납되는 필터 케이스;
    상기 배기관에 설치되어 배수되는 세탁수가 상기 배수필터를 지나지 않고 상기 캐비닛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분기관;
    상기 분기관에 설치되어 세탁수의 배수유로를 결정하는 밸브; 및
    상기 배수필터를 지나 배출되는 세탁수와 상기 분기관을 따라 배출되는 세탁수의 유속을 비교하여 상기 배수필터의 청소시기를 판단하는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상기 터브와 상기 필터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배수관과, 상기 필터 케이스로부터 상기 캐비닛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배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배수관에는 상기 분기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감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배수필터에 대응되는 둘레면에 형성되는 제 1 홀부와, 상기 제 2 배수관에 대응되는 둘레면에 형성되는 제 2 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감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은 상기 제 1 배수관과 상기 제 2 홀부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감지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제 2 배수관에 설치되는 유속감지센서와, 상기 유속감지센서에서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배수필터를 지난 세탁수와 상기 분기관을 따라 배수된 세탁수와의 유속 차이를 비교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되는 유속 차이가 설정치 이상이면 상기 캐비닛 외측으로 출력을 행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감지장치.
  6.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개구부 내측에 설치되어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
    상기 터브에 설치되고, 상기 캐비닛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수관;
    상기 배수관에 설치되고, 내부에 배수필터가 수납되는 필터 케이스;
    상기 배기관에 설치되어 배수되는 세탁수가 상기 배수필터를 지나지 않고 상기 캐비닛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분기관;
    상기 분기관에 설치되어 세탁수의 배수유로를 결정하는 밸브; 및
    상기 배수필터를 지나 배출되는 세탁수와 상기 분기관을 따라 배출되는 세탁수의 유속을 비교하여 상기 배수필터의 청소시기를 판단하는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필터감지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배수작동이 개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단계;
    배수작동이 개시되었으면 제 1 배수관이 개방되어 배출되는 세탁수가 배수필터를 지나도록 하고, 유속을 감지하는 제 1 감지단계;
    상기 제 1 감지단계가 종료된 후에 배수작동이 개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단계;
    상기 제 2 판단단계에서 배수작동의 개시가 감지되면 분기관이 개방되어 상기 분기관을 따라 세탁수가 배출되도록 하고, 유속을 감지하는 제 2 감지단계;
    상기 제 1 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유속과 상기 제 2 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유속 과의 차이가 설정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제 3 판단단계; 및
    상기 제 3 판단단계에서 유속의 차이가 설정치 이상이면 표시부가 구동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단단계는 헹굼작동이 종료된 후에 이루어지는 배수작동을 감지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판단단계는 유속의 차이가 설정치 미만이면 상기 제 1 감지단계로 환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감지장치를 구비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0060086400A 2006-09-07 2006-09-07 필터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와 그 제어방법 KR100806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400A KR100806145B1 (ko) 2006-09-07 2006-09-07 필터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와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400A KR100806145B1 (ko) 2006-09-07 2006-09-07 필터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와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6145B1 true KR100806145B1 (ko) 2008-02-22

Family

ID=39382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400A KR100806145B1 (ko) 2006-09-07 2006-09-07 필터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와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61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83534A (zh) * 2015-05-27 2017-01-0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絮凝洗衣机及其控制方法
WO2024005387A1 (ko) * 2022-06-28 2024-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902A (ko) * 1997-11-20 1999-06-15 구자홍 드럼 세탁기의 배수필터 제어방법
JP2001079293A (ja) 1999-09-16 2001-03-27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JP2004344594A (ja) 2003-03-26 2004-12-09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902A (ko) * 1997-11-20 1999-06-15 구자홍 드럼 세탁기의 배수필터 제어방법
JP2001079293A (ja) 1999-09-16 2001-03-27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JP2004344594A (ja) 2003-03-26 2004-12-09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83534A (zh) * 2015-05-27 2017-01-0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絮凝洗衣机及其控制方法
JP2018515283A (ja) * 2015-05-27 2018-06-14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Ltd. 凝集洗濯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WO2024005387A1 (ko) * 2022-06-28 2024-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46629B (zh) 衣物重量感测方法
EP2147995B1 (en)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US10000882B2 (en) Method for operating a washing machine
CN101195953B (zh) 控制衣物处理机的方法
JP2005052659A (ja) 洗濯機の脱水制御方法
CN105492676B (zh) 衣物处理器具
KR100806145B1 (ko) 필터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와 그 제어방법
US20080222819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13949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308027B1 (ko) 경도량감지수단을구비한세탁기및이를이용한세탁방법
KR20080100542A (ko) 드럼세탁기용 배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9273544A (ja) 洗濯機
JP2011067312A (ja) 洗濯機
TR201704786A2 (tr) Bi̇r çamaşir maki̇nesi̇nde köpük tespi̇t etmek i̇çi̇n bi̇r yöntem
KR20040006281A (ko) 세탁조세정 알림형 세탁기 및 그 세탁조세정 방법
JP2012161518A (ja) 洗濯機
KR101082884B1 (ko) 세탁기의 급수방법
KR102457781B1 (ko) 세탁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000043385A (ko) 드럼세탁기의 급수밸브 고장시 세탁수를 배수시키는 방법
JPH119884A (ja) 洗濯機
KR970006593B1 (ko) 세탁기의 세탁물 오염방지방법
JPH11239696A (ja) 洗濯機
KR20030010098A (ko) 세탁기의 급수 시간 제어 방법 및 장치
JPH04361795A (ja) 洗濯機
JP2003047795A (ja) 洗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