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5335B1 - 고액분리기, 이를 포함한 장치 및 고액분리방법 - Google Patents

고액분리기, 이를 포함한 장치 및 고액분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5335B1
KR100805335B1 KR1020070034357A KR20070034357A KR100805335B1 KR 100805335 B1 KR100805335 B1 KR 100805335B1 KR 1020070034357 A KR1020070034357 A KR 1020070034357A KR 20070034357 A KR20070034357 A KR 20070034357A KR 100805335 B1 KR100805335 B1 KR 100805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filter
liquid
slurry
rotary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4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임원
Original Assignee
강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임원 filed Critical 강임원
Priority to KR1020070034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5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5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5335B1/ko
Priority to PCT/KR2008/001918 priority patent/WO2008123704A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3/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in which solid particles or bodies become separated by centrifugal force and simultaneous sifting or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3/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in which solid particles or bodies become separated by centrifugal force and simultaneous sifting or filtering
    • B04B3/02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in which solid particles or bodies become separated by centrifugal force and simultaneous sifting or filtering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means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moving to and fro, i.e. push-type centrif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01D33/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7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33/7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01D33/725Special treatment of the feed stream before contacting the filtering element, e.g.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1/00Feeding, charging, or discharging bowls
    • B04B11/04Periodical feeding or discharging;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1/00Feeding, charging, or discharging bowls
    • B04B11/08Skimmers or scrapers for discharging ; Regula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5/00Other accessories for centrifuges
    • B04B15/06Other accessories for centrifuges for cleaning bowls, filters, sieves, inser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5/00Other accessories for centrifuges
    • B04B15/08Other accessories for centrifuges for ventilating or producing a vacuum in the centrifu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8Rotary bowls
    • B04B7/18Rotary bowls formed or coated with sieving or filter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회전력과 진공흡입력에 의해 슬러리를 고액분리하는 고액분리기, 이를 포함한 장치 및 고액분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슬러리를 흡입하는 고액분리기의 내부에 다공성 회전필터와 스크래퍼를 설치하여 고속으로 회전시키고, 고속회전하는 필터에 슬러리를 얇게 분사함으로써, 강력한 원심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고액으로 분리되고, 회전필터에 부착된 고형분은 스크래퍼의 작용에 의해 필터에서 떨어짐과 동시에 흡입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하여, 고형분과 분리액을 별도의 관을 통해 흡입해 냄으로써, 각종의 슬러리를 저비용, 고속으로 고액분리시키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슬러리, 고액분리, 진공흡입, 고속회전, 필터, 원심분리

Description

고액분리기, 이를 포함한 장치 및 고액분리방법{Solid-liquid separator,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속회전과 진공흡입력에 의한 고액분리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고액분리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속회전과 진공흡입력에 의한 고액분리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고액분리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고액분리기가 포함된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슬러리 탱크 12 : 에어 흡입관
20 : 진공흡입식 고액분리기 50 : 진공흡입기
60 : 평판식 고액분리기 62, 64, 66 : 필터
70 : 집수조 120 : 케이스
122 : 고정팬 124 : 에어흡입공
140 : 스크래퍼 142 : 회전팬
144 : 돌기 160 : 회전필터 구조체
162 : 회전필터 168 : 동력전달부
본 발명은 슬러리를 고속회전과 진공흡입력에 의해 고액분리하는 고액분리기, 이를 포함한 장치 및 고액분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러리를 고속으로 회전하는 필터에 박막 분사되도록 하여 원심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고액으로 분리하고, 진공 흡입력에 의해 각각 분리시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고액분리기, 이를 포함한 장치 및 고액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러리는 고체와 액체의 혼합물 또는 미세한 고체입자가 물 속에 현탁(懸濁)된 현탁액을 일컫는 혼합물의 총칭으로서, 산업현장의 폐기물이나 가축의 분료 또는 음식물 쓰레기 등이 이에 속한다.
이와 같은 산업폐기물 및 가축의 분료 등과 같은 슬러리를 처리하는 방식은 크게 자연건조방식과 기계식 처리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자연 건조방식은 슬러리 건조시 발생되는 악취 및 오수의 방출로 인하여 환경오염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협잡물을 기계식으로 처리하는 방식으로는 크게 압착식과, 여과식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압착식의 협잡물 처리방식은 여러장의 다공판 또는 스크린을 이용하여 압착한후 분리하는 방식으로, 협잡물의 고형분을 케이크화 하여 처리할 수 있는 이 점이 있다.
또한, 여과식은 다공판 또는 망 위에 협잡물을 투입한 후 진동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식으로 연속잡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산업현장에서는 산업폐기물 및 농,축산 폐기물인 협잡물을 처리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장치가 복잡하여 작동하기가 어렵고, 설치비가 고가인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기계식 처리방식은 슬러리를 처리하기 위하여 막대한 장비 및 슬러리를 배출하는 장치가 별개로 설치되므로 시설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며, 설치후에도 유지보수 및 운영에 많은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회전필터와 스크래퍼를 설치하여 고속으로 회전시키고, 고속회전하는 필터에 슬러리를 얇게 분사함으로써, 강력한 원심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고액으로 분리되고, 필터에 부착된 고형분은 스크래퍼의 작용에 의해 필터에서 떨어짐과 동시에 흡입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어 효과적으로 슬러리를 고액분리시키는 고액분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슬러리를 매우 단순하게 순간적으로 고액분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각종의 슬러리를 저비용, 고속으로 고액분리시키는 매우 유용한 고액분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진공흡입력으로 슬러리를 고액분리기에 흡입하는 단계; 상기 고액분리기 내부에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필터의 내부에 슬러리를 박막으로 분사하는 단계; 분사된 슬러리가 강력한 원심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필터에 여과되면서 고체와 액체로 분리되는 단계; 스크래퍼에 의해 필터에 부착된 고체성분이 필터에서 이탈되고 동시에 진공흡입기의 흡입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 상기 고체성분과 분리된 액체성분이 별도의 관을 통해 배출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고액분리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슬러리가 필터에 여과되면서 고체와 액체로 분리되는 단계가 다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단계를 거침으로써, 산업폐기물인 슬러리의 고체성분과 액체 성분을 각각 분리시켜 처리하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고액분리기는 액체성분과 고체성분이 혼합된 슬러리를 액체와 고체로 분리하여 처리하는 고액 분리기에 있어서, 일측에 슬러리가 유입되는 재료투입관을 갖으며, 몸체가 관통되게 형성되고, 슬러리의 액체성분을 배출시키는 분리액 배출관이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재료투입관의 반대측으로 슬러리의 고체성분을 배출시키기 위한 고형분 배출관이 구비되며, 원심력에 의해 슬러리의 액체성분과 고체성분을 분리하여 상기 액체성분만을 상기 분리액 배출관으로 배출시키도록 회전가능한 다공성 회전필터가 구비된 회전필터 구조체; 상기 회전필터 구조체의 회전을 담당할 수 있도록 상기 고형분 배출관과 동축상에 연결되는 동력전달부; 상기 회전필 터에 밀착된 슬러리의 고체성분을 회전필터에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필터와 접하게 위치한 스크래퍼; 상기 고형분 배출관에 연결되어 회전필터와 스크래퍼에 의해 분리된 고체성분을 흡입하도록 진공흡인력을 발생하는 진공흡입기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재료투입관에는 고정형 팬이 설치되어 유입되는 슬러리에 회전력을 부가한다. 즉, 상기 진공흡입기의 흡입력으로 슬러리가 유입되면 상기 고정형 팬을 통과하면서 팬의 형상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박막분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는 공기의 유입이 가능한 에어흡입공이 형성되어 슬러리의 진공흡입 시 고액분리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다공성 회전필터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다중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중으로 설치되는 상기 다공성 회전필터는 내측의 회전필터에서 외측의 회전필터로 갈수록 더욱 조밀한 구멍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크래퍼는 그물망체로 구성되며, 길이방향으로 회전필터에 밀착된 슬러리의 고체성분을 회전필터에서 분리시킬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되며, 선단부에는 회전형 팬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고액분리기가 설치되는 고액분리장치는, 상기 고액분리기로 슬러리를 공급하는 슬러리 탱크; 상기 고액분리기의 분리액 배출관에 연결되어 2차적으로 고액을 분리하는 평판식 고액분리기; 상기 평판식 고액분리기에서 분리된 분리액을 수집하는 집수조; 상기 고액분리기와 평판식 고액분리기에 의해 배출되는 고체성분을 모르는 고형분 수집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평판식 고액분리기는 다층으로 구성된 평판형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에 현탁액을 살포하는 살포노즐과, 상기 필터에 걸러지는 고체성분을 상기 진공흡입기의 진공흡입력에 의해 흡입하는 흡입관이 구비되어, 상기 살포노즐을 통해 살포되는 현탁액이 중력에 의해 상기 필터를 통과하면서 분리액은 하부로 배출되고 상기 필터에 걸러지는 고체성분은 상기 진공흡입기의 진공흡입력에 의해 흡입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속회전과 진공흡입력에 의한 고액분리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고액분리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다.
첨부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액분리기는 관형의 케이스(120)와, 상기 케이스(120)에 삽입되는 회전필터 구조체(160)와, 스크래퍼(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필터 구조체(160)와, 스크래퍼(140) 역시 관형, 즉 원통형 형상을 갖는 것으로, 본 발명의 케이스(120)는 일측에 슬러리가 유입되는 재료투입관(126)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슬러리의 액체성분을 배출시키는 분리액 배출관(13)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재료투입관(126)에는 고정형 팬(122)이 설치되어 유입되는 슬 러리에 회전력을 부가한다. 즉, 진공흡입기의 흡입력으로 슬러리가 유입되면 상기 고정형 팬(122)을 통과하면서 팬(122)의 형상에 따라 슬러리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흡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120)의 일측면에는 공기의 유입이 가능한 에어흡입공(124)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흡입공(124)는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후술할 진공흡입기가 흡입하면 상기 흡입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를 빨아들인다.
이와 같은 케이스(120)에 내부에 회전필터 구조체(160)가 삽입되어 위치되며, 상기 회전필터 구조체(160)는 원심력에 의해 슬러리의 액체성분과 고체성분을 분리하여 상기 액체성분만을 상기 분리액 배출관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다공성 회전필터(162)가 구비된다.
상기 다공성 회전필터(16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포어(pore)를 갖는 형상이며, 필터의 역할을 하여 액체만을 통과시키고 고체성분은 회전필터를 통과하지 못하고 회전필터 표면에 밀착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필터 구조체(160)의 타측, 즉, 케이스의 재료투입관의 반대측에는 슬러리의 고체성분을 배출시키기 위한 고형분 배출관(18)이 구비된다.
상기 고형분 배출관(18)은 진공흡입기의 진공흡입력에 의해 슬러리의 고체성분을 빨아들여 배출하는 것으로, 회전필터 구조체(160)과 동축상으로 중심부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회전필터 구조체(160)는 회전을 담담하는 구동모터(도시안함)가 고형분 배출관(18)이 끼워지는 동력전달부(168)에 연결설치됨으로써, 구동모터가 회전하면 상기 동력전달부(168)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필터 구조체(16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필터 구조체(160)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한 원심력에 의해 슬러리의 액체성분과 고체성분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필터 구조체(160)의 회전속도를 고속으로 하면 원심력이 크게 발생하는데, 이는 상대원심력이 아래의 [식 1]에 따르기 때문이다.
[식 1]
상대원심력 = 1.119×10-5×r×rpm2
즉, 원심력은 rpm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회전속도를 고속으로 할 경우 원심력은 중력의 수 배 ~ 수백 배에 이르게 되므로 박막분사되어 침전시간이 매우 짧아진 슬러리는 강력한 원심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고액분리가 일어난다.
이와 같은 원리로 본 발명에서는 슬러리를 고액분리기에 얇게 박막분사하면서 상기 회전필터 구조체(160)의 회전속도를 고속으로 함으로써, 강력한 원심력이 발생하여 슬러리의 순간적인 고액분리를 일으키며, 이때 진공흡입기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고체성분을 빨아들이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크래퍼(140)는 상기 회전필터에 밀착된 슬러리의 고체성분을 회전필터에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필터와 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회전필터 구조체(160)에 양단이 베어링(145, 165)에 의해 지지되면서 회전필터와 같이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래퍼(140)는 그물망체로 구성되며, 길이방향으로 회전필터에 밀착된 슬러리의 고체성분을 회전필터에서 분리시킬 수 있는 돌기(144)가 형성되며, 선단부에는 회전형 팬(142)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스크래퍼(140)가 상기 케이스(120)에 조립되면 상기 고정형 팬(122)에 의해 회전력을 받은 슬러리 분사액에 의해 상기 회전형 팬(142)이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회전형 팬(142)이 회전저항력을 부여하여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필터와 회전속도의 차이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스크래퍼(140)가 회전하면서도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필터와 상대적인 속도차이로 인해 상기 돌기(144)가 회전필터에 밀착된 슬러리의 고체성분을 회전필터에서 분리시킬 수 있도록 긁어주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형분 배출관(18)에는 회전필터와 스크래퍼에 의해 분리된 고체성분을 흡입하도록 진공흡인력을 발생하는 진공흡입기(도시안함)가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고액분리기는 상기 구동모터가 회전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필터 구조체(160)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한 원심력에 의해 슬러리의 액체성분과 고체성분이 분리되고, 스크래퍼(140)가 회전필터에 밀착된 슬러리의 고체성분을 회전필터에서 분리시켜줌과 동시에 진공흡입기를 통해 흡입력을 발휘함으로써, 액체성분은 분리액 배출관(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액체성분과 분리된 고체성분이 상기 고형분 배출관(18)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속회전과 진공흡입력에 의한 고액분리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상기 회전필터를 다중으로 설치한 구조를 나타낸다.
즉,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회전필터(262, 264, 266)를 3중으로 설치하였다. 이와 같이 다중으로 설치되는 상기 다공성 회전필터는 슬러리의 고액분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하며, 이 경우 각각의 회전필터의 포어 크기를 다르게 조절하면 슬러리에 포함된 고형분을 크기에 따라 각각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중의 회전필터(262, 264, 266)를 구성함에 있어서, 내측의 회전필터에서 외측의 회전필터로 갈수록 더욱 조밀한 구멍을 갖도록 형성하였다.
한편, 상기 회전필터 구조체(260)의 타측, 즉, 케이스의 재료투입관의 반대측에는 슬러리의 고체성분을 배출시키기 위한 고형분 배출관(18)이 구비된다.
상기 고형분 배출관(18)은 진공흡입기의 진공흡입력에 의해 슬러리의 고체성분을 빨아들여 배출하는 것으로, 회전필터 구조체(260)와 동축상으로 중심부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회전필터 구조체(260)는 회전을 담담하는 구동모터(도시안함)가 고형분 배출관(18)이 끼워지는 동력전달부(268)에 연결설치됨으로써, 구동모터가 회전하면 상기 동력전달부(268)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필터 구조체(26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필터 구조체(260)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한 원심력에 의해 슬러리의 액체성분과 고체성분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3중의 회전필터 중 외측에 위치한 2개의 회전필터(264, 262)에는 미소 량의 고체성분을 별도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구멍(26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필터(264, 262)에 의해 걸러지는 미소량의 고체성분은 상기 배출구멍(262a)을 통해 배출될 수 있으며, 케이스의 하단에 형성된 배출관(15)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도면부호 225는 분리액 차단링으로서, 케이스(220)의 내주면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슬러리의 분리액이 상기 회전필터(262)에 의해 걸러지는 고체성분과 섞이지 못하도록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스크래퍼(240)는 상기 회전필터에 밀착된 슬러리의 고체성분을 회전필터에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필터와 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회전필터 구조체(260)에 양단이 베어링(245, 265)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스크래퍼(240)는 그물망체로 구성되며, 길이방향으로 회전필터에 밀착된 슬러리의 고체성분을 회전필터에서 분리시킬 수 있는 돌기(244, 248)가 형성되며, 선단부에는 회전형 팬(242)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스크래퍼(240)가 상기 케이스(220)에 조립되면 상기 고정형 팬(222)에 의해 회전력을 받은 슬러리 분사액에 의해 상기 회전형 팬(242)이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회전형 팬(242)이 회전저항력을 부여하여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필터와 회전속도의 차이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스크래퍼(240)가 회전하면서도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필터와 상대적인 속도차이로 인해 상기 돌기(244, 248)가 회전필터에 밀착된 슬러리의 고체성분을 회전필터에서 분리시킬 수 있도록 긁어주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형분 배출관(18)에는 회전필터와 스크래퍼에 의해 분리된 고체성분을 흡입하도록 진공흡인력을 발생하는 진공흡입기(도시안함)가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고액분리기는 상기 구동모터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필터 구조체(260)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한 원심력에 의해 슬러리의 액체성분과 고체성분이 분리되고, 스크래퍼(240)가 회전필터에 밀착된 슬러리의 고체성분을 회전필터에서 분리시켜줌과 동시에 진공흡입기를 통해 흡입력을 발휘함으로써, 액체성분과 분리된 고체성분이 상기 고형분 배출관(18)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고액분리방법은 진공흡입력으로 슬러리를 고액분리기에 흡입하는 단계와, 상기 고액분리기 내부에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필터의 내부에 슬러리를 박막으로 분사하는 단계와, 분사된 슬러리가 강력한 원심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필터에 여과되면서 고체와 액체로 분리되는 단계와, 스크래퍼에 의해 필터에 부착된 고체성분이 필터에서 이탈되고 동시에 진공흡입기의 흡입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와, 상기 고체성분과 분리된 액체성분이 별도의 관을 통해 배출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슬러리가 필터에 여과되면서 고체와 액체로 분리되는 단계가 다중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고속회전하는 고액분리기 내부에 슬러리를 얇게 분사함으로써 강력한 원심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고액으로 분리되고, 필터에 부착된 고형분은 스크래퍼의 작용에 의해 필터에서 떨어짐과 동시에 진공흡입력으로 외부로 배출함과 아울러, 필터를 통해서 분리되는 분리액을 별도의 관을 통해 흡입해 냄으로써 효과적으 로 슬러리를 고액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고액분리기가 설치되는 고액분리장치의 일실시예를 도 5에 도시하였는 바, 상기 고액분리장치는 고액분리기(20)로 슬러리를 공급하는 슬러리 탱크(10)와, 상기 고액분리기(20)의 분리액 배출관(13)에 연결되어 2차적으로 고액을 분리하는 평판식 고액분리기(60)과, 상기 평판식 고액분리기(60)에서 분리된 분리액을 수집하는 집수조(70)와, 상기 고액분리기(20)와 평판식 고액분리기(60)에 의해 배출되는 고체성분을 모르는 고형분 수집조(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진공흡입식 고액분리기(20)의 선단부에는 에어를 흡입할 수 있는 관(1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진공흡입식 고액분리기(20)와 평판식 고액분리기(60) 사이에는 분리액을 모아놓는 수조(30)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고액분리장치에서, 슬러리의 고형분과 분리액은 진공흡입기(50)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는 것으로, 도면에서와 같이 관을 통해 연통되도록 구성하여 진공흡입력을 받을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평판식 고액분리기(6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층으로 구성된 평판형 필터(62, 64, 66)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에 현탁액을 살포하는 살포노즐(61, 63, 65)과, 상기 필터에 걸러지는 고체성분을 상기 진공흡입기의 진공흡입력에 의해 흡입하는 흡입관(67, 68, 69)이 구비되어, 상기 살포노즐을 통해 살포되는 현탁액이 중력에 의해 상기 필터(62, 64, 66)를 통과하면서 분리액은 하부로 배출되고 상기 필터에 걸러지는 고체성분은 상기 진공흡입기의 진공흡입력에 의해 흡입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평판형 필터의 하부에는 차수판(62a, 64a, 66a)이 설치되어, 상기 살포노즐을 통해 살포되는 현탁액이 중력에 의해 상기 평판형 필터를 통과하면서 분리액은 하부의 차수판에 배출되고, 상기 차수판에 수집된 분리액이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도면상에서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살포노즐(61, 63, 65)은 현탁액관(14)에 연결되며, 흡입관(67, 68, 69)은 고형분 흡입관(16)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살포노즐(61, 63, 65)과 흡입관(67, 68, 69)은 화살표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면서 동작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살포노즐과 흡입관이 왕복이동하는 구성은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평판식 고액분리기(60)는 상기 필터에 현탁액을 살포노즐(61, 63, 65)을 통해 분사하며, 상기 살포노즐을 통해 살포되는 현탁액이 중력에 의해 상기 필터(62, 64, 66)를 통과하면서 분리액은 하부로 배출되고 상기 필터에 걸러지는 고체성분은 상기 진공흡입기의 진공흡입력에 의해 흡입된다. 이와 같은 평판식 고액분리기는 상기 필터를 다층으로 구성하여, 많은 양의 현탁액을 한번에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산업폐기물인 슬러리의 고체성분과 액체 성분 을 각각 분리시켜 처리하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슬러리를 매우 단순하게 순간적으로 고액분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각종의 슬러리를 저비용, 고속으로 고액분리시키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2)

  1. 고액분리기 내부에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필터의 내부에 슬러리를 박막으로 분사하는 단계;
    분사된 슬러리가 강력한 원심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필터에 여과되면서 고체와 액체로 분리되는 단계;
    스크래퍼에 의해 필터에 부착된 고체성분이 필터에서 이탈되고 동시에 진공흡입기의 흡입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
    상기 고체성분과 분리된 액체성분이 별도의 관을 통해 배출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고액분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가 필터에 여과되면서 고체와 액체로 분리되는 단계가 다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방법.
  3. 액체성분과 고체성분이 혼합된 슬러리를 액체와 고체로 분리하여 처리하는 고액 분리기에 있어서,
    일측에 슬러리가 유입되는 재료투입관을 갖으며, 몸체가 관통되게 형성되고, 슬러리의 액체성분을 배출시키는 분리액 배출관이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재료투입관의 반대측으로 슬러리의 고체성분을 배출시키기 위한 고형분 배출관이 구비되며, 원심력에 의해 슬러리의 액체성분과 고체성분을 분리하여 상기 액체성분만을 상기 분리액 배출관으로 배출시키도록 회전가능한 다공성 회전필터가 구비된 회전필터 구조체;
    상기 회전필터 구조체의 회전을 담당할 수 있도록 상기 고형분 배출관과 동축상에 연결되는 동력전달부;
    상기 회전필터에 밀착된 슬러리의 고체성분을 회전필터에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필터와 접하게 위치한 스크래퍼;
    상기 고형분 배출관에 연결되어 회전필터와 스크래퍼에 의해 분리된 고체성분을 흡입하도록 진공흡인력을 발생하는 진공흡입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투입관에는 고정형 팬이 설치되어 유입되는 슬러리에 회전력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는 공기의 유입이 가능한 에어흡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회전필터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다중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기.
  7. 제6항에 있어서,
    다중으로 설치되는 상기 다공성 회전필터는 내측의 회전필터에서 외측의 회전필터로 갈수록 더욱 조밀한 구멍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는 그물망체로 구성되며, 길이방향으로 회전필터에 밀착된 슬러리의 고체성분을 회전필터에서 분리시킬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되며, 선단부에는 회전형 팬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는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필터에 밀착된 슬러리의 고체성분을 회전필터에서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기.
  10.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액분리기가 설치되는 고액분리장치.
  11. 평판형 필터;
    상기 평판형 필터에 현탁액을 살포하는 살포노즐;
    상기 필터에 걸러지는 고체성분을 진공흡입기의 진공흡입력에 의해 흡입하는 흡입관이 구비되어,
    상기 살포노즐을 통해 살포되는 현탁액이 중력에 의해 상기 평판형 필터를 통과하면서 분리액은 하부로 배출되고, 상기 필터에 걸러지는 고체성분은 상기 흡입관을 통해 흡입되어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 필터는 다층으로 구비되고,
    상기 평판형 필터의 하부에 차수판이 설치되어,
    상기 살포노즐을 통해 살포되는 현탁액이 중력에 의해 상기 평판형 필터를 통과하면서 분리액은 하부의 차수판에 배출되고, 상기 차수판에 수집된 분리액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기.
KR1020070034357A 2007-04-06 2007-04-06 고액분리기, 이를 포함한 장치 및 고액분리방법 KR100805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357A KR100805335B1 (ko) 2007-04-06 2007-04-06 고액분리기, 이를 포함한 장치 및 고액분리방법
PCT/KR2008/001918 WO2008123704A2 (en) 2007-04-06 2008-04-04 Solid-liquid separator,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357A KR100805335B1 (ko) 2007-04-06 2007-04-06 고액분리기, 이를 포함한 장치 및 고액분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5335B1 true KR100805335B1 (ko) 2008-02-20

Family

ID=39382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357A KR100805335B1 (ko) 2007-04-06 2007-04-06 고액분리기, 이를 포함한 장치 및 고액분리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05335B1 (ko)
WO (1) WO2008123704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910B1 (ko) * 2013-07-19 2014-02-24 조영우 커튼코팅기를 이용한 유브이 펄 코팅 패널의 제조방법
KR101392483B1 (ko) 2014-01-14 2014-05-08 주식회사 폴라리스이엔비 원심분리기
KR101484189B1 (ko) * 2013-05-28 2015-01-20 한일원자력(주) 증기발생기 취출수 폐필터를 이용한 제염 폐액 원심분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04877B (zh) * 2022-03-04 2023-05-09 广东中浩水务投资有限公司 一种雾化水湍流分离净水装置
CN117504416B (zh) * 2024-01-08 2024-04-02 成都金山化学试剂有限公司 一种化工生产用固液分离设备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3997A (en) * 1986-12-22 1988-05-10 Carpenter Jr Roy B High-voltage systems surge eliminators for transmission lines and distribution station protection
KR910004518A (ko) * 1989-08-16 1991-03-28 히로시 오나까 고액분리분뇨 처리방법 및 장치
KR200230001Y1 (ko) 2001-02-23 2001-07-03 전상근 분리형 고액분리기
JP2003024827A (ja) * 2001-07-17 2003-01-28 Sharp Corp サイクロン分離器
JP2003200082A (ja) * 2002-01-07 2003-07-15 Sharp Corp サイクロン分離器
JP2003245505A (ja) * 2002-02-21 2003-09-02 Tsurumi Mfg Co Ltd 固液分離装置
JP2004016843A (ja) * 2002-06-12 2004-01-22 Mishima Kosan Co Ltd 液体分離方法およ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3997A (en) * 1986-12-22 1988-05-10 Carpenter Jr Roy B High-voltage systems surge eliminators for transmission lines and distribution station protection
KR910004518A (ko) * 1989-08-16 1991-03-28 히로시 오나까 고액분리분뇨 처리방법 및 장치
KR200230001Y1 (ko) 2001-02-23 2001-07-03 전상근 분리형 고액분리기
JP2003024827A (ja) * 2001-07-17 2003-01-28 Sharp Corp サイクロン分離器
JP2003200082A (ja) * 2002-01-07 2003-07-15 Sharp Corp サイクロン分離器
JP2003245505A (ja) * 2002-02-21 2003-09-02 Tsurumi Mfg Co Ltd 固液分離装置
JP2004016843A (ja) * 2002-06-12 2004-01-22 Mishima Kosan Co Ltd 液体分離方法およびその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189B1 (ko) * 2013-05-28 2015-01-20 한일원자력(주) 증기발생기 취출수 폐필터를 이용한 제염 폐액 원심분리장치
KR101366910B1 (ko) * 2013-07-19 2014-02-24 조영우 커튼코팅기를 이용한 유브이 펄 코팅 패널의 제조방법
KR101392483B1 (ko) 2014-01-14 2014-05-08 주식회사 폴라리스이엔비 원심분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23704A3 (en) 2008-12-18
WO2008123704A2 (en) 200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5335B1 (ko) 고액분리기, 이를 포함한 장치 및 고액분리방법
US5792351A (en) Spinning filter separation system for oil spill clean-up operation
TW200613044A (en) A device for the continuous filtering of flowable masses containing solid particles
JP4255543B2 (ja) 取水管に達する下水のスクリーン装置
KR20100032689A (ko) 오일 미스트 집진장치
CN105174631A (zh) 一种粪便污水固液分离器
JP2008029946A (ja) 洗浄処理システム、洗浄処理方法、遠心濾過装置及び遠心濾過方法
KR101109551B1 (ko) 반도체 오염폐수 처리장치
US6739458B2 (en) Device for dehydrating sludge
EP0943366B1 (en) Rotary drum type dehydrator
KR101040201B1 (ko) 회전가압식 폐수 처리장치
CN108654180B (zh) 污水旋转过滤方法以及用于污水处理的过滤器
CN216023604U (zh) 一种油水分离处理装置
KR100361346B1 (ko) 산업용 유.수용성 연무 제거장치
KR200226503Y1 (ko) 폐수 및 산업용수여과기.
JPH02126908A (ja) 連続式固液分離装置
CN219031871U (zh) 一种化学试剂生产废水处理装置
JPH05192515A (ja) 液中の軽比重の浮遊物の除去装置
RU5482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нефтесодержащих сточных вод
JP7399525B1 (ja) 濾過用ストレーナの自動洗浄システム
JP2004188377A (ja) ドレン清水化用フィルタ
CN217773695U (zh) 一种废气处理工程用废气收集装置
CN220142952U (zh) 城市道路施工用雾化降尘设备
CN212057568U (zh) 一种空气净化装置
KR100515255B1 (ko) 수분이 포함된 혼합물 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