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4675B1 - Keypad assembler and assembly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Keypad assembler and assembly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675B1
KR100804675B1 KR1020060067573A KR20060067573A KR100804675B1 KR 100804675 B1 KR100804675 B1 KR 100804675B1 KR 1020060067573 A KR1020060067573 A KR 1020060067573A KR 20060067573 A KR20060067573 A KR 20060067573A KR 100804675 B1 KR100804675 B1 KR 100804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transfer
keypad
feeder
butt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5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08116A (en
Inventor
김효원
이성진
이성기
정정일
김재성
박종진
유재헌
Original Assignee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7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4675B1/en
Publication of KR20080008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81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6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8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f rectilinearly movable switches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5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way of applying the adhesive
    • B29C65/5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way of applying the adhesive between pre-assembled parts
    • B29C65/54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way of applying the adhesive between pre-assembled parts by inj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42Application rejection, i.e. preventing improper installation of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단말기용 키패드를 조립하기 위한 키패드 조립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키패드 조립장치는 사출프레임으로 서로 연결된 버튼을 수납하여 사출프레임을 절단하고, 사출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버튼을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이송부를 통해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버튼은 단말기 키패드 배열과 동일한 배열로 정렬되어 러버패드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이송부에는 버튼의 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카메라가 구비되고, 후진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사출 성형된 버튼을 사출프레임으로부터 개별로 분리하는 작업이 필요 없이 바로 장치에 투입하여 키패드를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고,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전 버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불량률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Disclosed are a keypad assembly apparatus and a method for assembling a keypad for a terminal. The keypad assembl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eive the buttons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injection frame to cut the injection frame, and continuously supply the buttons separated from the injection frame through the transfer unit for continuously moving, the buttons are the same arrangement as the terminal keypad arrangement Can be attached to the rubber pad. In addition, the transfer unit is provided with a camera that can inspect the state of the button, it is designed to be backward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assemble the keypad by inserting it directly into the device without the need to separate the injection-molded button from the injection frame individually, and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as well as to mass-produc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failure rat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키패드, 이송, 접합, 정배열, 카메라 Keypad, Transfer, Bonding, Alignment, Camera

Description

키패드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 방법{KEYPAD ASSEMBLER AND ASSEMBLY METHOD USING THE SAME}KEYPAD ASSEMBLER AND ASSEMBLY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조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keypad assembly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제1 이송부를 통해 버튼의 이송 및 검사 과정을 도시한 구성도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ferring and inspecting a button through the first transfer unit.

도 3은 제2 이송부 상에서 러버패드를 버튼에 부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attaching a rubber pad to a button on a second transfer unit.

도 4는 부착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도이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the attachment unit.

도 5는 본 발명의 키패드 조립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keypad assembl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조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keypad assembly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키패드 조립장치 100:버튼 공급유닛1: keypad assembly apparatus 100: button supply unit

104:제1 지그 110:제1 버튼피더104: First jig 110: First button feeder

120:제2 버튼피더 130:제1 이송파트120: second button feeder 130: first transfer part

136:제1 배열헤드 138:카메라136: first array head 138: camera

140:제2 이송파트 200:배열유닛140: second transfer part 200: array unit

202:제2 지그 210:제2 이송부202: second jig 210: second transfer part

300:부착유닛 310:러버패드300: Attachment unit 310: Rubber pad

320:디스펜서 340:프레스320: dispenser 340: press

본 발명은 키패드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이송부에 의해 연속해서 자동으로 버튼 및 러버패드를 공급하여 단말기용 키패드를 대량생산할 수 있는 키패드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pad assembly apparatus and an assembly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keypad assembly apparatus and an assembly method capable of mass-producing a keypad for a terminal by supplying buttons and rubber pads automatically and continuously by a transfer unit.

휴대폰은 숫자, 문자 또는 기타 여러 기능을 입력하기 위해 전면에 키패드가 제공된다. 이러한 키패드는 숫자, 문자 또는 기타 기능 아이콘이 인쇄된 버튼과, 키패드 배열과 동일한 배열을 갖는 버튼에 부착하는 러버패드를 포함한다. 러버패드의 배면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돌기 하부에는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된다.The phone comes with a keypad on the front for entering numbers, letters or many other functions. Such keypads include buttons with numbers, letters, or other functional icons printed thereon, and rubber pads attached to buttons having the same arrangement as the keypad arrangement. 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ubber pad, and a printed circuit board is installed below the protrusion.

인쇄회로기판에는 러버패드에 형성된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키패드의 누름 동작을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전극이 형성되며, 복수개의 전극은 반원형 모양의 돔스위치에 의해 덮여 있다. 즉, 키패드를 구성하는 각각의 버튼의 배면에는 돔스위치가 정렬되어 형성되고, 각각의 돔스위치의 내측에는 전극이 형성된다.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 electrode capable of converting a pressing operation of the keypad into an electrical signal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rubber pad, and the plurality of electrodes is covered by a semi-circular dome switch. That is, the dome switches are arranged on the back of each button constituting the keypad, and the electrodes are formed inside the dome switches.

종래에는 이러한 키패드를 일일이 사람의 손으로 조립했었다. 이로 인해, 최초 사출프레임으로 서로 연결된 버튼을 사출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는 작업과, 분 리된 버튼을 단말기용 키패드의 배열대로 버튼을 정렬하는 작업과, 러버패드를 각각 분리된 버튼에 부착하는 작업 등을 직접 사람이 수행함으로써 작업소요시간이 많았으며, 작업능률이 떨어졌다. 또한, 인건비로 인해 생산비가 증가하게 되고, 버튼을 조립하기 전에 버튼의 상태를 확인하지 않아 불량 버튼으로 인해 키패드의 불량률을 높이는 결과를 초래한다.In the past, such keypads were assembled by human hands. For this reason, the operation of separating the buttons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the first injection frame from the injection frame, arranging the separated buttons with the arrangement of the keypad for the terminal, and attaching the rubber pads to the separate buttons can be performed directly. The work by man took a lot of time, and the work efficiency fell. In addition, labor costs increase the production cost, and does not check the state of the button before assembling the button results in a failure rate of the keypad due to the bad button.

또한, 릴(reel)을 이용한 조립장치를 이용하여 키패드를 조립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으나, 릴에 일일이 버튼을 장착하는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제공되므로 바람직한 해결 방법은 아니다. 즉, 사출프레임과 연결되어 생산된 복수개의 버튼을 바로 장치에 수납하지 못하고, 그 전에 수작업으로 절단하여 사출프레임으로부터 버튼을 분리해 내는 작업을 해야 한다. 그 이후 분리된 버튼을 릴에 부착해야 하는데, 그 시간이 전체 조립시간의 대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많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a method of assembling a keypad using an assembly device using a reel may be considered. However, since a lot of time and labor are provided for mounting a button on a reel, it is not a preferable solution. In other words, a plurality of buttons produced by being connected to the injection frame cannot be directly stored in the device, and before the operation, the buttons must be separated from the injection frame by cutting by hand. After that, the detached button must be attached to the reel, which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time takes up most of the total assembly tim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기존의 수작업으로 진행하던 키패드 조립작업을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대량 생산에 따라 생산비 절감을 인해 단가를 낯출 수 있는 범용 키패드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을 제공함에 있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to maximize the productivity by automating the keypad assembly work was performed by the existing manual work, and the universal keypad assembly apparatus and assembly method that can reduce the unit cost due to the reduction in production costs according to mass production In provid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출프레임으로 서로 연결되어 생산된 버튼을 공급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사출프레임으로부터 버튼을 분리하고 완성된 키패드로 조립하는 키패드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eypad assembly device and an assembly method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the button from the injection frame and assembling the completed keypad just by supplying the buttons produced by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injection fram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키패드 조립장치는 사출프레임에 연결된 버튼을 공급하면 상기 사출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버튼을 분리하고 그 버튼을 버튼 배열유닛에 제공하는 버튼 공급유닛과, 상기 버튼을 단말기용 키패드 배열과 동일하게 정배열하는 버튼 배열유닛과 배열된 상기 버튼에 러버패드를 부착하는 부착유닛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pad assembl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utton connected to the injection frame is supplied to separate the button from the injection frame and the button to the button arrangement unit It provides a button supply unit for providing, and a button arrangement unit for arranging the buttons in the same manner as the keypad arrangement for the terminal and an attachment unit for attaching a rubber pad to the buttons arranged.

상기 버튼 공급유닛은 사출프레임에 연결된 버튼을 제공하는 버튼피더와, 상기 버튼을 상기 사출프레임에서 분리시키는 커팅기와, 상기 분리된 버튼을 이송하는 제 1 이송부와, 상기 버튼피더와 커팅기 사이를 왕복하면서 사출프레임을 이동시키는 로딩 헤드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은 커팅기에 의해 사출프레임으로부터 절단된 후 배면이 위를 향하도록 지그에 담긴 채 상기 제 1이송부에 제공되고, 인쇄회로기판과 직접 접촉되는 러버패드가 상기 버튼 배면에 부착된다.The button supply unit includes a button feeder for providing a button connected to an injection frame, a cutter for separating the button from the injection frame, a first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separated button, and reciprocating between the button feeder and the cutting machine. It includes a loading head for moving the injection frame. The button is cut off from the injection frame by a cutter and provided in the jig so that the rear side faces upwards, and a rubber pad in direct contact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utton.

상기 제 1이송부에는 각 버튼들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인 이송 지그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 지그는 제 1 이송부상에 붙잡힌 채 이동된다. 상기 제 1이송부는 상기 버튼이 양품인지 또는 불량품인지를 판정하는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에 의해 불량품인 버튼이 확인되면 인라인으로 공급되는 다음 이송 지그에서 그 불량 버튼을 대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송 지그에 담긴 버튼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상기 제 1이송부는 전, 후진을 자유롭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튼피더는 복수개일 수 있고, 이 경우, 각 버튼피더에는 버튼, 예를 들어 숫자버튼, 메뉴버튼, OK버튼 또는 네비게이션버튼 등이 각각 분리되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피더가 복수개 일 때 각 버튼피더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이송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열 유닛은 상기 제 1 이송부로부터 제공되는 버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인 정배열 지그와, 상기 버튼을 제 1 이송부로부터 이송하여 상기 정배열 지그에 삽입하는 배열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정배열 지그를 이송하는 제 2 이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이송부는 모터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The first transfer unit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ransfer jig, which is an accommodation space that can accommodate each button. The transfer jig is moved while being caught on the first transfer part. The first transfer unit may include a camera for determining whether the button is a good product or a bad product. If a defective button is identified by the camera, the defective button can be replaced in the next transfer jig fed inline. 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the buttons contained in the transfer jig,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transfer part freely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addition, the button feeder may be plural, and in this case, a button, for example, a number button, a menu button, an OK button, or a navigation button, may be separately supplied to each button feeder. In addi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button feeders, a plurality of transfer parts corresponding to each button feeder may be installed. The array unit includes a regular array jig that is an accommodation space for receiving a button provided from the first transport unit, and an array head for transporting the button from the first transport unit and inserting the button into the regular array jig, and transporting the regular array jig. 2 conveying section. The second transfer unit may be driven by a motor.

상기 배열헤드는 상기 이송부상에 형성되는 축(axis)에 설치되어 선형 운동하고, 상기 버튼을 탈착(pick and place)하는 복수개의 픽커들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픽커들은 상기 정 배열 지그에 수용된 버튼의 배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The array head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pickers installed on an axis formed on the conveying part to linearly move and pick and place the buttons. The pickers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of buttons accommodated in the alignment jig.

상기 부착유닛은 상기 러버패드를 제공하는 러버피더와, 상기 버튼이 부착되는 상기 러버패드 면에 접착액을 도포하는 디스펜서와, 상기 러버패드를 뒤집어 상기 버튼에 포개는 회전기 및 상기 러버패드와 상기 버튼을 압착하는 프레스를 포함한다.The attachment unit may include a rubber feeder for providing the rubber pad, a dispenser for applying an adhesive liquid to the surface of the rubber pad to which the button is attached, a rotary machine that inverts the rubber pad and overlaps the button, and the rubber pad and the button. It includes a press for pressing.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접착액을 분사하는 접착노즐과, 상기 접착액이 저장된 접착용기와 상기 접착노즐과 상기 접착용기를 연결하는 연결튜브를 구비한다.The dispenser includes an adhesive nozzle for spraying the adhesive liquid, an adhesive container storing the adhesive liquid, and a connection tube connecting the adhesive nozzle and the adhesive container.

상기 회전기는 상기 러버패드를 지지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삽입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or may include a rotary plate for supporting the rubber pad, a rotary shaft inserted into the rotary plate, and a rotary motor for rotating the rotary shaft.

또한, 상기 키패드 조립장치는 언로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로더는 상기 배열유닛의 일측에 배치된다. 상기 언로더는 상기 버튼과 상기 러버패드가 부착되어 형성된 상기 단말기용 키패드를 키패드 조립장치로부터 내려놓는다.In addition, the keypad assembly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unloader. The unloader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arrangement unit. The unloader lowers the keypad for the terminal formed by attaching the button and the rubber pad to the keypad assembly device.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키패드 조립장치는 복수개의 버튼을 포함하는 사출프레임을 공급하는 복수의 버튼피더와, 상기 버튼 피더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사출프레임으로부터 버튼을 절단하는 커팅기와, 상기 버튼피더와 상기 커팅기 사이를 이동하면서 상기 사출프레임을 커팅기로 이송하는 로딩 헤드와, 상기 버튼피더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분리된 상기 버튼을 이송 지그에 수용하여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부와, 상기 제1 이송부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분리된 상기 버튼을 정배열 지그에 수용하여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와, 상기 제1 이송부와 상기 제2 이송부 사이를 이동하되, 분리된 상기 버튼을 이송하는 배열헤드 및 상기 제2 이송부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이송부에 러버패드를 공급하는 러버피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송부상에서 상기 버튼과 상기 러버패드가 결합하여 단말기용 키패드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keypad assembl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a plurality of button feeder for supplying an injection frame including a plurality of buttons, a cutting machine located adjacent to the button feeder to cut a button from the injection frame; A loading head for transferring the injection frame to the cutter while moving between the button feeder and the cutting machine, a first transfer part for continuously feeding the button separated by being disposed adjacent to the button feeder in a transfer jig; A second transfer part configured to receive the button separated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transfer part in a regular array jig and continuously transfer the transfer button; and an array head configured to move between the first transfer part and the second transfer part, and to move the separated button. And a rubber feeder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transfer part to supply a rubber pad to the second transfer part. , Wherein it is possible to form the button and the keypad for the rubber pad is coupled to a terminal at the second transfer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키패드 조립방법은 버튼피더에 의해 사출 프레임으로 연결된 버튼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버튼을 상기 사출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와, 분리된 상기 버튼을 상기 버튼 피더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1 이송부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버튼을 상기 제 1 이송부로부터 상기 제 1 이송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2 이송부로 이송 후 단말기용 키패드와 동일한 배열로 정배열하는 단계 및 러버패드를 상기 제2 이송부로 이송 후 상기 버튼과 부착하여 상기 단말기용 키패드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keypad assembl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oviding a button connected to the injection frame by a button feeder, separating the button from the injection frame, the separated button is disposed adjacent to the button feeder 1) conveying to the conveying unit; transferring the button from the first conveying unit to a second conveying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conveying unit; and arranging the order in the same arrangement as that of the terminal keypad; and rubber pad to the second conveying unit. After the transfer is attached to the button to form a keypad for the terminal.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 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제1 First 실시예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조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제1 이송부를 통해 버튼을 이송하고 검사하는 과정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제2 이송부 상에서 러버패드와 버튼을 부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keypad assembly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transferring and inspecting a button through the first transfer unit, Figure 3 2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rubber pad and the button on the transfer unit.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키패드 조립장치(1)는 버튼 공급유닛, 배열유닛 및 부착유닛으로 구성된다.As shown therein, the keypad assembly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button supply unit, an array unit and an attachment unit.

상기 버튼 공급유닛(100)은 상기 사출프레임에 결합된 상기 제1 버튼(102)을 제공하는 제1 버튼피더(110) 및 상기 제2 버튼을 제공하는 제2 버튼피더(120)를 구비하고, 상기 사출프레임을 절단하기 위해 커팅기(115)가 제공된다. 상기 제1 버튼피더(110) 또는 제 2 버튼피더(120)를 통해 각각 공급되는 상기 제1 버튼(102) 또는 제2 버튼은 배면이 위로 향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배면은 상기 러버패드가 부착되는 면이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버튼피더는 복수의 버튼들이 사출프레임에 연결된 사출프레임 형태로 버튼을 공급한다. 부착하는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button supply unit 100 includes a first button feeder 110 for providing the first button 102 coupled to the injection frame and a second button feeder 120 for providing the second button. A cutter 115 is provided for cutting the injection frame. The first button 102 or the second button which is supplied through the first button feeder 110 or the second button feeder 120, respectively, is provided with a rear surface facing upward, and the rear surface has the rubber pad attached thereto. Cotton. Substantially, the first and second button feeders supply a button in the form of an injection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buttons are connected to the injection fram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ttach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1 및 제2 버튼피더(110, 120)와 인접한 위치에는 커팅기(115)가 구비된다. 상기 커팅기(115)를 통해 상기 사출프레임을 절단할 수 있고, 상기 사출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1 버튼(102) 및 제2 버튼을 분리할 수 있다.The cutting machine 115 is provided at positions adjacent to the first and second button feeders 110 and 120. The injection frame may be cut through the cutting machine 115, and the first button 102 and the second button may be separated from the injection frame.

상기 제 1 및 제 2 버튼피더(110, 120)를 통해 공급되는 버튼은 그 수량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버튼(102)은 단말기용 키패드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수량의 버튼일 수 있고, 상기 제2버튼은 상기 제1 버튼(102)보다 적은 수량의 버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버튼(102)은 숫자버튼이거나, 상기 제2 버튼은 OK버튼 또는 메뉴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Buttons suppli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button feeders 110 and 120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quantity. For example, the first button 102 may be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buttons on the keypad for the terminal, and the second button may be a smaller number of buttons than the first button 102. Specifically, the first button 102 may be a numeric button or the second button may be configured as an OK button or a menu button.

또한 상기 버튼 공급유닛(100)은 제1 버튼(102) 및 제2 버튼을 이송하는 제1 이송부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제1 버튼피더(110)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분리된 제1 버튼(102)을 이송하는 제1 이송파트(130)와, 상기 제2 버튼피더(120)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분리된 제2 버튼을 이송하는 제2 이송파트(1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이송파트(130) 및 제 2 이송파트(140)는 컨베어벨트 등의 선형 이동 수단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이송파트(130)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tton supply unit 100 includes a first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first button 102 and the second button. That is, the first transfer uni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button feeder 110 and the first transfer part 130 for transferring the separated first button 102, and the second button feeder 120 and It includes a second transfer part 140 for transferring the second button disposed adjacently separated. The first conveying part 130 and the second conveying part 140 may be linear moving means such as a conveyor belt. In addition, the first transfer part 130 may be formed in a pair.

또한 제1 이송파트(130)의 상측에는 상기 커팅기(115)에 의해 상기 제 1 버튼(102)이 상기 사출프레임으로부터 깔끔하게 절단되었는지 또는 기타 외관상 불량이 없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카메라(138)가 구비된다. 즉, 상기 카메라(138)를 통해 이송되는 버튼이 양품인 것과 아닌 것으로 시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138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transfer part 130 to check whether the first button 102 is neatly cut from the injection frame or other defects by the cutting machine 115. . That is, it may be visually determined that the button transferred through the camera 138 is not a good one.

양품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1 이송파트(130) 및 제2 이송파트(140)의 하부에 불량 버튼을 회수할 수 있는 불량 수거함을 설치하여 상기 양품이 아닌 버튼을 회수할 수 있다. 상기 불량 수거함으로 회수된 버튼을 대체하기 위해 상기 제1 이송파트(130)를 통해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제1 지그(104)로부터 불량버튼에 해당하는 버튼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제1 버튼(102)은 복수개의 버튼을 수 납한 지그 단위로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불량 버튼과 동일한 버튼 외에 나머지 버튼도 다시 사용하기 위해 상기 제1 이송파트(130) 및 제2 이송파트(140)는 후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송파트(130) 및 제2 이송파트(140)에 양품만을 수납한 양품 수납부를 별도로 설치하여 불량으로 판정된 버튼에 해당하는 양품의 버튼을 공급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non-defective goods, a non-defective button may be recovered by installing a defective collection box capable of recovering a defective button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transfer part 130 and the second transfer part 140. The button corresponding to the defective button may be supplied from the first jig 104 continuously provided through the first transfer part 130 to replace the button recovered by the defective collection. However, since the first button 102 is provided in the unit of a jig that stores a plurality of buttons, the first transport part 130 and the second transport part (in addition to the same button as the defective button are used again). 140 may reverse.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supply a button of good quality corresponding to the button determined to be defective by separately installing the good quality storage unit containing only good quality in the first transfer part 130 and the second transport part 140.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커팅기(115)는 상기 버튼피더(110, 120)와 제1 이송부(130, 140)사이에 배치되는데, 상기 버튼피더(110,120)와 상기 제1 이송부(130, 140) 사이에는 로딩 헤드가 설치되어 그 사이를 이동하면서, 사출프레임을 상기 커팅기(115)로 공급한다. 즉, 상기 로딩 헤드는 상기 제1 버튼피더(110)로부터 사출프레임을 픽업하는 제 1 로딩 헤드(150)와, 제 2 버튼피더(120)로부터 사출프레임을 픽업하는 제 2 로딩 헤드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cutter 115 is disposed between the button feeders 110 and 120 and the first transfer units 130 and 140, and the button feeders 110 and 120 and the first transfer units 130 and 140. The loading head is installed in between and moves therebetween, and supplies the injection frame to the cutter 115. That is, the loading head includes a first loading head 150 that picks up the injection frame from the first button feeder 110, and a second loading head that picks up the injection frame from the second button feeder 120.

상기 커팅기(115)는 한쌍으로 구성되는데, 공급되는 사출프레임을 붙잡는 컷팅지그(미도시)와 사출프레임을 누르는 프레싱지그로 구성된다. 상기 커팅지그 아래에는 잘려진 버튼이 담기는 제 1 지그(104)가 배치된다.The cutting machine 115 is composed of a pair, it consists of a cutting jig (not shown) to hold the injection frame supplied and a pressing jig pressing the injection frame. Below the cutting jig is a first jig 104 containing a cut button is disposed.

상기 제 1 지그(104)는 분리된 버튼을 담은 채, 상기 제1 이송파트(130)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 1 지그가 놓여진 제 1 리프트(162)가 승하강 작용을 하면서 제1 이송파트(130)와 높이를 맞추고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푸싱수단(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 1 지그(104)가 상기 제 1 리프트 상에서 상기 제1 이송파트(130)상으로 이동한다.The first jig 104 moves to the first transfer part 130 while holding the separated button. At this time, the first jig 104 is placed by the pushing means (not shown) to match the height of the first conveying part 130 and act in the lateral direction while the first lift 162 on which the first jig is placed moves up and down. ) Moves onto the first transfer part 130 on the first lift.

상기 배열유닛(200)은 상기 제1 이송파트(130) 및 제2 이송파트(140)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이송파트(130) 및 제2 이송파트(140)와 평행한 제2 이송부(210)와, 상기 제2 이송부(210) 상에 놓여지는 제 2 지그(202)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지그(202)는 분리된 키패드가 담기면 단말기의 키패드와 동일한 배치와 간격을 가지도록 주조된 지그이다.The array unit 20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veying part 130 and the second conveying part 140, and a second conveying part parallel to the first conveying part 130 and the second conveying part 140 ( 210, and a second jig 202 placed on the second transfer part 210. The second jig 202 is a jig molded to have the same arrangement and spacing as the keypad of the terminal when the separated keypad is contained.

상기 제 1 이송부(130, 140)와 상기 제2 이송부(210) 사이를 이동하면서, 양품의 버튼을 제 2 지그(202)로 이송하는 제1 배열헤드(136) 및 제2 배열헤드(142)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1 배열헤드(136)는 제1 갠트리(10)에 결합되어 선형 운동하면서, 상기 제1 이송파트(130)상에서 부착되어 이동하는 상기 제 1 지그(104)로부터 양품의 버튼을 픽업하여 상기 제 2 지그(202)로 이동한다. 또한, 제2 배열헤드(142)는 상기 제1 갠트리(10)에 결합되어 선형 운동하면서, 상기 제2 이송파트(140)상의 지그로부터 양품의 버튼을 픽업하여 상기 제 2 지그(202)로 이동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 2 지그(202)에는 상기 제1 이송파트(130) 및 제 2 이송파트(140)에서 양품의 버튼이 공급되어 단말기의 키패드 배열이 완성된다.The first array head 136 and the second array head 142 which transfer the buttons of a good product to the second jig 202 while moving between the first transfer unit 130 and 140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210. Is further provided. The first array head 136 is coupled to the first gantry 10 while linearly picking up a button of good quality from the first jig 104 attached and moved on the first conveying part 130. Move to the second jig 202. In addition, the second array head 142 is coupled to the first gantry 10, while linearly picking up a button of good quality from the jig on the second transfer part 140 to move to the second jig 202. do. Therefore, the second jig 202 is supplied with the buttons of good quality from the first transfer part 130 and the second transfer part 140 to complete the keypad arrangement of the terminal.

상기 부착유닛(300)은 러버패드를 제공하는 러버피더(310)와, 상기 러버패드의 면에 접착액을 도포하는 디스펜서(320)와, 상기 러버패드를 뒤집어 상기 제 2 지그(202)에 담긴 버튼의 접착면으로 포개는 회전기(330)와, 상기 상기 러버패드를 압착하는 프레스(340)를 구비한다. The attachment unit 300 includes a rubber feeder 310 for providing a rubber pad, a dispenser 320 for applying an adhesive solution to the surface of the rubber pad, and the rubber pad inverted to be contained in the second jig 202. A rotary machine 330 overlapped with the adhesive surface of the button and a press 340 for pressing the rubber pad are provided.

상기 회전기(330)는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송바(350)에 결합된다. 상기 이송바(350)는 상기 제3 갠트리(30)를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기(330)는 상기 이송바(350)를 y축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회전기(330)가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함에 따라, 상기 회전기(330)에 장착된 상기 접착노즐(322)도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접착노즐(322)은 상기 러버피더(310)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x 또는 y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각각의 러버패드의 접착면에 접착액을 도포할 수 있다.The rotor 330 is coupled to the transfer bar 350 which is movable in the x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The transfer bar 350 may move the third gantry 30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rotator 330 may transfer the transfer bar 350 in the y-axis direction. As the rotor 330 is movable in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the adhesive nozzle 322 mounted to the rotor 330 may also move in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The adhesive nozzle 322 may apply an adhesive liquid to the adhesive surface of each rubber pad while moving in the x or y direction even when the rubber feeder 310 is fixed.

이하 버튼 및 러버패드의 이송 및 조립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버튼은 제1 버튼에 한해서 설명하지만, 제2 버튼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assembling and assembling the button and the rubber pad will be described. For clarity, the button is described only for the first button, but the same applies to the second button.

상기 제1 버튼피더(110)는 그 내부에 복수개의 버튼이 서로 연결된 복수개의 사출프레임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로딩 헤드(150)는 그 하부에 결합되고 z축 선형운동하는 로딩 픽커(151)를 이용하여 상기 사출프레임을 커팅기로 이송한다. 상기 커팅기(115)는 사출프레임이 놓여지는 하부 커팅지그(미도시)와 상기 사출프레임으로부터 버튼을 절단해내는 상부 프레싱지그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커팅지그의 아래에는 제 1 지그(104)가 위치하여 사출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는 버튼들을 수납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 1 지그(104)에는 절단된 버튼들이 저장될 수 있는 버튼의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제 1 지그(104)는 승하강을 할 수 있는 제1 리프트(162)의 상면에 놓여진다.The first button feeder 110 may store a plurality of injection frames in which a plurality of butt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loading head 150 transfers the injection frame to the cutter by using a loading picker 151 coupled to a lower portion thereof and linearly moving in a z-axis. The cutting machine 115 is composed of a lower cutting jig (not shown) in which the injection frame is placed and an upper pressing jig for cutting a button from the injection frame. In addition, a first jig 104 is positioned below the cutting jig to accommodate buttons separated from the injection frame. Therefore, the first jig 104 is formed with a receiving space of the button that can be stored cut buttons. The first jig 104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lift 162 capable of raising and lowering.

상기 커팅기에 의해 사출프레임으로부터 절단된 버튼들은 상기 제 1 지그(104)에 담겨진채, 제1 이송파트(130)로 이송된다. 상기 제1 이송파트(130)는 제1 컨베이어 벨트(132)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132)를 구동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 서보모터(134)가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132)의 내측면과 결합된다.The buttons cut from the injection frame by the cutter are transported to the first transport part 130 while being embedded in the first jig 104. The first conveying part 130 is composed of a first conveyor belt 132, a plurality of first servomotor 134 for driving the first conveyor belt 132 is the first conveyor belt 132 It is combined with the inner side of the.

상기 제1 이송파트(130)의 상측에는 상기 카메라(138)가 장착되어 상기 커팅기(115)에 의한 상기 사출프레임의 절단 상태 및 버튼의 외관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38)에 의해 검사된 상기 제1 버튼 중 양품으로 판정된 버튼은 상기 제1 갠트리(10)에 결합된 상기 제1 배열헤드(136)에 의해 상기 제2 이송부(210)로 이송된다. 상기 제1 배열헤드(136)는 그 하부에 복수개의 배열 픽커(137)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버튼(102)을 픽업할 수 있다.The camera 138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transfer part 130 to inspect the cutting state of the injection frame and the appearance state of the button by the cutter 115. Buttons determined as good among the first buttons inspected by the camera 138 are transferred to the second transfer part 210 by the first array head 136 coupled to the first gantry 10. . The first array head 136 may have a plurality of array pickers 137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to pick up the first button 102.

상기 제 1 지그(104)에 놓여진 제 1 버튼이 양품으로 판정되면, 상기 제1 버튼은 상기 제1 배열헤드(136)에 의해 상기 제 2 이송부(210)상에 위치하는 제2 지그(202)로 수납된다. 특히, 상기 제2 지그(202)는 상기 단말기용 키패드의 배열과 동일한 배열을 갖는 정배열 지그다. 상기 제2 이송부(210)는 제3 컨베이어 벨트(212)로 구성되고, 상기 제3 컨베이어 벨트(212)의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제3 서보모터(214)가 장착된다. 상기 제2 이송부(210)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제1 버튼은 상기 부착유닛(300)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러버패드와 결합한다.If the first button placed on the first jig 104 is determined to be good, the first button is placed on the second conveying part 210 by the first array head 136. Housed in. In particular, the second jig 202 is a regular array jig having the same arrangement as that of the keypad for the terminal. The second conveying unit 210 is composed of a third conveyor belt 212, a plurality of third servo motor 214 is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conveyor belt (212). The first button transferred through the second transfer part 210 is coupled to the rubber pad provided from the attachment unit 300.

그런데, 만약 상기 제1 버튼이 불량으로 판정되면, 불량인 상기 제1 버튼은 상기 제1 지그(104)에 담긴채 제2 리프트(164)로 이송된다. 이어서 상기 제2 리프트(164)는 하강하여 상기 제 1 지그(104)를 상기 제1 이송파트(130)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이송파트(130)의 이동방향과 반대로 이동하는 제3 이송부(170)로 이송한다. 이어서, 불량판정을 받은 상기 제1 버튼은 별도의 불량 수거함으로 수거될 수 있다. 상기 제3 이송부(170)에 의해 이송된 상기 제1 지그(104)는 상기 제1 리프트(162)에 의해 다시 상승되어 상기 커팅기(115)의 하부에 공급된다. 상 기 순환과정을 통해 상기 제 1 지그는 재활용된다.However, if the first button is determined to be defective, the defective first button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lift 164 while being contained in the first jig 104. Subsequently, the second lift 164 is lowered to form the first jig 104 below the first transport part 130 and to mov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transport part 130. Transfer to the transfer unit 170. Subsequently, the first button that is judged to be defective may be collected as a separate defective collection. The first jig 104 conveyed by the third transfer unit 170 is lifted again by the first lift 162 and suppli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utter 115. The first jig is recycled through the circulation process.

상기 제1 버튼과 부착하는 상기 러버패드의 접착면에는 접착액이 도포되어 있는데, 접착액이 도포되는 것은 다음 도면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버튼(102)에 상기 러버패드를 부착하는 작업을 마무리하기 위해 상기 제2 이송부(210)의 상측에는 프레스(340)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스(320)를 이용하여 상기 러버패드를 누름으로써 접착액이 접착면에 골고루 퍼지도록 한다. 이후 상기 러버패드와 상기 제1 버튼이 결합되어 형성된 상기 단말기용 키패드는 상기 제2 갠트리(20)에 장착된 언로딩 헤드(410)에 의해 상기 제2 이송부(210)의 일측에 형성된 언로더(400)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송부(210) 상의 상기 제 2 지그(202)의 순환경로를 살펴보면, 상기 언로딩 헤드(410)에 의해 상기 제1 버튼(102)이 픽업된 상기 제2 지그(202)는 제4 리프트(224)에 의해 하강하고, 제3 운반벨트(230)을 통해 이송한 후 제3 리프트(222)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제1 배열헤드(136)의 작업위치로 이송된다.An adhesive liquid is coated on the adhesive surface of the rubber pad attached to the first button, and the adhesive liquid is appli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drawings. In order to finish attaching the rubber pad to the first button 102, a press 34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transfer part 210, and the rubber pad is pressed using the press 320. This allows the adhesive liquid to spread evenly on the adhesive surface. Thereafter, the keypad for the terminal formed by combining the rubber pad and the first button is an unloader formed at one side of the second transfer part 210 by an unloading head 410 mounted to the second gantry 20. 400). Looking at the circulation path of the second jig 202 on the second transfer unit 210, the second jig 202 picked up by the first button 102 by the unloading head 410 is a fourth It is lowered by the lift 224, transferred through the third carrying belt 230, and then lifted by the third lift 222 to be transferred to the working position of the first array head 136.

상기 러버패드와 상기 제1 버튼(102)의 부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 4를 제시한다.4 illustrates a process of attaching the rubber pad and the first button 102.

도 4는 부착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착유닛(300)은 러버패드(302)에 접착액을 도포하기 위해 디스펜서(320)가 제공된다. 상기 디스펜서(320)는 상기 접착액을 분사하는 접착노즐(322)을 구비하고, 상기 접착액이 저장된 저장용기(미도시)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320)는 상기 접착노즐(322)과 상기 저장용기를 연결하는 연결튜브(324)가 형성될 수 있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the attachment unit. As shown in the drawing, the attachment unit 300 is provided with a dispenser 320 to apply an adhesive liquid to the rubber pad 302. The dispenser 320 includes an adhesive nozzle 322 for spraying the adhesive liquid, and a storage container (not shown) in which the adhesive liquid is stored. In addition, the dispenser 320 may be formed with a connection tube 324 connecting the adhesive nozzle 322 and the storage container.

또한 상기 부착유닛(300)은 상기 러버패드(302)의 배면을 지지하기 위한 회전기(330)가 제공된다. 상기 회전기(330)는 상면이 평평하여 상기 러버패드(302)를 지지하는 회전판(332)과, 상기 회전판(332)에 삽입된 회전축(334)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축(334)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 모터(미도시)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판(332)을 회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ttachment unit 300 is provided with a rotator 330 for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rubber pad 302. The rotor 330 has a flat upper surface and includes a rotary plate 332 for supporting the rubber pad 302 and a rotary shaft 334 inserted into the rotary plate 332. The rotating shaft 334 may be connected to a rotating motor (not shown) that provides a rotating force to rotate the rotating plate 332.

상기 회전판(332) 위에 올려진 상기 러버패드(302)로 상기 접착노즐(322)로부터 접착액이 도포된다. 이때, 상기 러버패드(302)에서 상기 접착노즐(322)에 의해 접착액이 도포되는 지점은 단말기용 키패드의 정배열에 대응되는 지점이다. 상기 회전모터에 의해 상기 회전판(332)은 상기 회전축(334)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기(330)에 의해 상기 러버패드(302)는 제2 지그(202)의 상부로 이송한다. 상기 러버패드(302)는 접착액이 도포된 면이 상기 제2 지그(202)의 상면을 향하도록 하고, 이어 프레스(340)로 압착하여 부착을 마무리한다.Adhesive liquid is applied from the adhesive nozzle 322 to the rubber pad 302 mounted on the rotating plate 332. At this time, the point where the adhesive liquid is applied by the adhesive nozzle 322 in the rubber pad 302 is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positive arrangement of the keypad for the terminal. The rotating plate 332 may be rotated 180 degrees about the rotating shaft 334 by the rotating motor. The rubber pad 302 is transferr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jig 202 by the rotor 330. The rubber pad 302 faces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jig 202 on which the adhesive liquid is applied, and then the rubber pad 302 is pressed by the press 340 to finish the attachment.

이상 설명은 제1 버튼피더에서 제공되는 제1 버튼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제2 버튼피더에서 제공되는 제2 버튼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Although the above description has been made with respect to the first button provided in the first button feeder, the same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button provided in the second button feeder.

이하 본 발명의 키패드 조립 방법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keypad assembly method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키패드 조립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튼피더에 의해 사출 프레임으로 복수개가 서로 연결된 버튼을 제공한다(S100).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keypad assembl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button feeder provides a plurality of buttons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injection frame (S100).

상기 사출프레임으로 연결된 상기 버튼을 로딩 헤드에 의해 커팅기의 하부로 이송하고, 상기 사출 프레임을 커팅기로 절단하여 분리된 버튼을 제공한다(S200).The button connected to the injection frame is transferred to the lower part of the cutter by the loading head, and the injection frame is cut by the cutter to provide a separated button (S200).

분리된 상기 버튼을 제1 이송부로 이송한다(S300).Transfer the separated button to the first transfer unit (S300).

배열 헤드에 의해 상기 버튼을 제2 이송부로 이송 후 단말기용 키패드와 동일한 배열로 상기 버튼을 정배열 한다(S400).After transferring the button to the second transfer unit by an array head, the buttons are arranged in the same arrangement as the keypad for the terminal (S400).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커팅기에 의해 분리된 상기 버튼이 양품임을 확인한다(S410).When this is described in detail, using the camera to confirm that the button separated by the cutter is good (S410).

다음, 상기 버튼이 양품이면, 배열헤드를 이용하여 상기 버튼을 상기 제1 이송부와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제2 이송부로 이송하여 정배열 지그에 수납한다(S420).Next, if the button is good, the button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transfer unit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transfer unit using an array head and stored in the regular alignment jig (S420).

다음, 양품이 아닌 불량 버튼을 정배열 지그에 수납하지 않고, 상기 제1 이송부의 하부에 배치된 불량 수거함으로 회수한다. 이때, 정배열 지그에 채워지지 않은 상기 불량 버튼은 그 다음 이송 지그에서 상기 불량 버튼에 해당하는 양품의 버튼을 배열 헤드에 의해 정배열 지그로 채워 넣은 방법이 좋다. 양품의 버튼이 빠져나간 다음 이송 지그의 버튼들은 그냥 버려질 수 있다. 하지만, 제1 이송부가 후진하여 다음 이송 지그의 나머지 버튼들도 재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430).Next, the non-defective defective button is collected in the defective collection unit disposed below the first transfer unit without storing the defective button in the regular array jig. In this case, the defective button not filled in the regular array jig may be a method of filling the regular array jig by the array head with a button of good quality corresponding to the defective button in the next transfer jig. After the good button is released, the buttons on the transfer jig can simply be discarded. However, it is preferable to recycle the remaining buttons of the next transfer jig by reversing the first transfer unit (S430).

다음, 상기 불량 버튼과 동일한 버튼을 연속적으로 제공한 후, 이송 지그로부터 양품의 버튼을 공급받고, 양품의 버튼 외의 나머지 버튼도 사용하기 위해 상기 제1 이송부는 후진한다(S440).Next, after continuously providing the same button as the defective button, the supply button of the good product is supplied from the transfer jig, and the first transfer unit is backward to use the remaining buttons other than the good button (S440).

러버패드를 상기 제2 이송부로 이송 후 상기 버튼과 부착하여 상기 단말기용 키패드를 형성한다(S500).After transferring the rubber pad to the second transfer unit, the rubber pad is attached to the button to form a keypad for the terminal (S500).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러버패드에 접착노즐을 통해 접착액을 도포한다(S510).When this is described in detail, the adhesive liquid is applied to the rubber pad through an adhesive nozzle (S510).

다음, 상기 제2 이송부로 접착면에 접착액이 도포된 러버패드를 이송한다(S520).Next, a rubber pad coated with an adhesive liquid on an adhesive surface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transfer unit (S520).

다음, 상기 러버패드와 상기 버튼을 부착한다(S530).Next, the rubber pad and the button are attached (S530).

다음, 상기 러버패드를 프레스로 압착하여 부착을 마무리한다(S540).Next, the rubber pad is pressed in a press to finish the attachment (S540).

다음, 상기 단말기용 키패드를 언로딩 헤드에 의해 언로더로 이송한다(S550).Next, the terminal keypad is transferred to the unloader by the unloading head (S550).

이와 같이 구성하여, 사출프레임으로 생산된 버튼을 그대로 장치에 투입할 수 있어 신속한 조립을 할 수 있고, 전과정이 자동화되어 대량으로 단말기용 키패드 조립이 가능하고, 인건비 및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용 키패드 배열과 동일하게 배열할 수 있는 정배열 지그를 사용하여 별도로 버튼들을 정렬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가 장착되어 버튼과 러버패드를 조립하기 전 버튼의 상태를 확인하여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In this way, the buttons produced by the injection frame can be put into the device as it is, it is possible to assemble quickly, the whole process is automated, it is possible to assemble the keypad for the terminal in large quantities, labor and production costs can be reduced. In addition, by using the ordering jig that can be arranged in the same way as the keypad layout for the terminal, it is not necessary to arrange the buttons separately, and the defect rate can be reduced by checking the state of the button before assembling the button and the rubber pad. have.

제2 2nd 실시예Example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조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제 2 실시예에 의한 키패드 조립장치는 복수의 버튼공급유닛을 설치하여 키패드 조립속도를 더 향상시키는 것에 특징이 있다.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키패드 조립장치는 제1 실시예에서 제시한 키패드 조립장치와 구조면에서 유사 하며 중복되는 내용은 본 실시예의 특징을 명확히 기술하기 위해서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할 수 있도록 한다.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keypad assembly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Keypad assemb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keypad assembly speed is further improved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button supply unit. The keypad assembling apparatus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is similar in structure to the keypad assembling apparatus presented in the first embodiment, and overlapping contents may be briefly described or omitted to clearly describe the features of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키패드 조립장치(500)는 사출프레임에 의해 서로 연결된 제1 버튼을 제공하는 제1 버튼피더(610)와, 제2 버튼을 제공하는 제2 버튼피더(620) 및 제3 버튼을 제공하는 제3 버튼피더(630)를 구비한다. 각각의 버튼들은 사출물 형태로 서로 연결된 하나의 프레임, 즉 사출프레임을 구성한다. 상기 제1 버튼은 메뉴버튼, OK버튼 또는 네비게이션버튼 등이며, 상기 제2 버튼과 상기 제3 버튼은 동일한 버튼이며, 구체적으로는 숫자버튼, 문자버튼 등이다. 상기 버튼들은 상기 버튼피더(610, 620, 630)에 다중층을 이루며 쌓여 있다. 상기 버튼피더(610, 620, 630)와 인접한 위치에는 커팅기가 구비되는데, 상기 커팅기를 이용하여 상기 사출프레임을 절단할 수 있다.As shown therein, the keypad assembly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utton feeder 610 for providing a first button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injection frame, and a second button feeder 620 for providing a second button. And a third button feeder 630 for providing a third button. Each button constitutes one frame, that is, an injection fram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form of an injection molding. The first button may be a menu button, an OK button, a navigation button, or the like. The second button and the third button may be the same button, specifically, a number button or a character button. The buttons are stacked in multiple layers in the button feeders 610, 620, and 630. A cutter is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button feeders 610, 620, and 630, and the injection frame may be cut using the cutter.

또한, 상기 제1 버튼피더(610)와 인접한 제1 이송벨트(710)와, 상기 제2 버튼피더(620)와 인접한 제2 이송벨트(720)와, 상기 제3 버튼피더(630)와 인접한 제3 이송벨트(730)가 구비된다. 상기 제2 및 제3 이송벨트(720, 730)는 상기 제1 이송벨트(710)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특히 상기 제1 이송벨트(710)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송벨트(710, 720, 730)는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내측에는 서보모터가 장착되어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 위로 이송 지그가 형성된 복수개의 이송 지그가 결합되어 이동한다. 이러한, 상기 제1 이송벨트(710)에는 상기 제1 버튼이, 상기 제2 이송벨트(720)에는 상기 제2 버튼이, 상기 제3 이송벨트(730)에는 제3 버튼이 이송 지그에 삽입되어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이송 지그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버튼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이송벨트(710, 720, 730)상에는 상기 사출프레임의 분리상태 및 버튼의 외관상 결함을 확인하기 위해 카메라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에 의해 검사결과 양품으로 판정 받은 상기 버튼은 다음 작업공정으로 이송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이송벨트(710, 720, 730)의 하부에 배치된 불량 수거함(미도시)로 회수할 수 있다. 불량 판정으로 인해 상기 불량 수거함으로 수거된 버튼은 다음 이송 지그에서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버튼은 지그 단위로 제공되는데, 상기 불량 버튼에 해당하는 버튼을 공급한 후 나머지 버튼을 다시 사용하기 위해 상기 이송벨트(710, 720, 730)는 후진할 수 있다. 상기 이송벨트(710, 720, 730)는 각각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 이송벨트(710)는 각각 메뉴버튼, OK 버튼 또는 네비게이션버튼을 이송하며, 상기 제2 및 제3 이송벨트(720, 730)는 각각 숫자버튼을 이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ransport belt 710 adjacent to the first button feeder 610, the second transport belt 720 adjacent to the second button feeder 620, and the third button feeder 630 adjacent to the The third transfer belt 730 is provided. The second and third conveyance belts 720 and 730 may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conveyance belt 710, and in particular, may face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veyance belt 710. The conveying belts 710, 720, and 730 are composed of a conveyor belt, and a servo motor is mounted inside the conveyor belt to provide power. A plurality of transfer jig formed with a transfer jig is coupled to the conveyor belt to move. The first butt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transfer belt 710, the second butto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ransfer belt 720, and a third button is inserted into the transfer jig 730. Can be transported. The transfer jig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spac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buttons. On the conveying belts 710, 720, and 730, a camera may be mounted to check the separation state of the injection frame and the appearance defects of the buttons. The button determined to be good by the camera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may be transferred to the next work process, or may be recovered to a defective collection box (not shown) disposed under the transfer belts 710, 720, and 730. The buttons collected by the defective collection due to the defective determination can be provided in the next transfer jig. By the way, the button is provided in a jig unit, the feed belts (710, 720, 730) can be reversed in order to use the remaining buttons again after supplying the button corresponding to the bad button. The conveying belts 710, 720, and 730 may be formed in pairs, respectively, in which the first conveying belt 710 conveys a menu button, an OK button or a navigation button, respectively, and the second and third conveying. The belts 720 and 730 may transfer the number buttons, respectively.

상기 버튼피더(610, 620, 630)와 상기 이송벨트(710, 720, 730) 사이를 이동하는 로딩 헤드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딩 헤드는 복수개의 픽커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된 제1, 제2 또는 제3 버튼을 상기 버튼피더(610, 620, 630)로부터 픽업 후 상기 이송벨트(710, 720, 730)로 이송한다.Loading heads moving between the button feeders 610, 620, and 630 and the transport belts 710, 720, and 730 may be further provided. The loading hea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ickers, and picks up the separated first, second or third buttons from the button feeders 610, 620, and 630 and transfers them to the transport belts 710, 720, and 730. do.

상기 제1 이송벨트(710)와 상기 제2 이송벨트(720) 사이에서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버튼을 이송하는 제1 접합벨트(74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이송벨트(710)와 상기 제3 이송벨트(730) 사이에서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3 버튼을 이송하는 제2 접합벨트(750)가 설치된다. 상기 접합벨트(740, 750)는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되며, 구동하기 위해 서보모터가 장착된다. 상기 접합벨트(740, 750) 상에는 정배열 지그가 결합되어 이송한다. 상기 정배열 지그는 단말기용 키패드 배열과 동일한 배열을 갖는 홈이 형성된다.A first joint belt 74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transfer belt 710 and the second transfer belt 720 to transfer the first and second buttons. In addition, a second bonding belt 750 is disposed in parallel between the first transfer belt 710 and the third transfer belt 730 to transfer the first and third buttons. The joint belts 740 and 750 are composed of a conveyor belt, and a servo motor is mounted to drive the belt. On the junction belts 740 and 750, a regular array jig is coupled and transported. The regular array jig is formed with a groove having the same arrangement as the keypad arrangement for the terminal.

상기 이송벨트(710, 720, 730)와 상기 접합벨트(740, 750)를 이동하는 배열헤드(215, 225, 235)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1 이송벨트(710)와 상기 제1 또는 제2 접합벨트(740, 750)를 사이를 이동하고, 상기 제1 버튼을 이송하는 제1 배열헤드(715)와, 상기 제2 이송벨트(720)와 상기 제1 접합벨트(740) 사이를 이동하고, 상기 제2 버튼을 이송하는 제2 배열헤드(725)와, 상기 제3 이송벨트(730)와 상기 제2 접합벨트(750)를 이동하고, 상기 제3 버튼을 이송하는 제3 배열헤드(735)를 구비한다. 상기 배열헤드(715, 725, 735)는 복수개의 픽커들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픽커는 상기 이송 지그에 수용된 상기 버튼을 픽업하여 상기 접합벨트(740, 750)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배열헤드(715, 725, 735)는 제1 갠트리(510)에 부착되어 x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Arrangement heads 215, 225, and 235 are provided to move the transfer belts 710, 720, and 730 and the joining belts 740 and 750. That is, a first arrangement head 715 moving between the first conveyance belt 710 and the first or second bonding belts 740 and 750, and conveying the first button, and the second conveyance A second arrangement head 725 moving between a belt 720 and the first joining belt 740, and transferring the second button, the third conveying belt 730, and the second joining belt 750. ) And a third array head 735 for conveying the third button. The array heads 715, 725, and 735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ickers, and each picker may pick up the buttons accommodated in the transfer jig and transfer the picked buttons to the joint belts 740 and 750. The array heads 715, 725, and 735 may be attached to the first gantry 510 to reciprocate in the x direction.

상기 접합벨트(740, 750)의 일측에는 러버피더(810, 85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1 접합벨트(740)의 일측에는 제1 러버피더(810)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러버피더(810)는 상기 제1 접합벨트(740) 상에서 이송되는 상기 제1 및 제2 버튼과 부착하는 제1 러버패드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합벨트(750)의 일측에는 제2 러버피더(850)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러버피더(850)는 상기 제2 접합벨트(750) 상에서 이송되는 상기 제1 및 제3 버튼과 부착하는 제2 러버패드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러버패드는 상기 접합벨트(740, 750)상에서 이송되는 버튼의 정배열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러버패드는 상기 버튼과 부착되는 면에 접착액이 도포될 수 있다.Rubber feeders 810 and 850 ar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joint belts 740 and 750. That is, a first rubber feeder 81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 joining belt 740, and the first rubber feeder 810 is transported on the first joining belt 740. A button and a first rubber pad to be attached can be supplied. A second rubber feeder 85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cond joining belt 750, and the second rubber feeder 850 is provided with the first and third buttons transferred on the second joining belt 750. A second rubber pad to be attached can be supplied. The rubber pad may be attached while maintaining the alignment of the buttons to be transported on the bonding belts 740 and 750. To this end, the first and second rubber pads may be coated with an adhesive liquid on a surface attached to the button.

상기 제1 또는 제2 러버피더(810, 850)는 각각 상기 러버패드에 상기 제1 및 제2 버튼, 제1 및 제3 버튼들이 결합될 부위에 접착액을 도포하는 제1 및 제2 디스펜서(820, 860), 상기 러버패드와 상기 버튼을 압착하는 제1 및 제2 프레스(840, 8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러버패드를 뒤집어 상기 버튼에 결합시키는 제1 및 제2 회전기(830, 870)를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디스펜서(820, 860)는 상기 러버패드의 상면에 상기 접착액을 분사하는 접착노즐과, 상기 접착액을 수용하고 있는 접착용기 및 상기 접착노즐과 상기 접착용기를 연결하는 연결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820, 860)는 상기 회전기(830, 870)에 부착되며, 상기 회전기(830, 870)는 두축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즉, 상기 회전기(830, 870)는 이송바(835, 875)에 결합되어 y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이송바(835, 875)는 제3 갠트리(530)에 장착되어 x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rubber feeders 810 and 850 may respectively include first and second dispensers for applying an adhesive solution to a por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buttons and the first and third buttons are coupled to the rubber pad. 820 and 860 may further include first and second presses 840 and 880 for pressing the rubber pad and the button. In addition, the rubber pad includes first and second rotors 830 and 870 for inverting and coupling the rubber pad to the button. In addition, each dispenser (820, 860) has an adhesive nozzle for injecting the adhesive liqui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ubber pad, an adhesive container containing the adhesive liquid and a connecting tube connecting the adhesive nozzle and the adhesive container. It may include. The dispensers 820 and 860 are attached to the rotors 830 and 870 and the rotors 830 and 870 are designed to be movable in two axes. That is, the rotors 830 and 870 may be coupled to the transfer bars 835 and 875 to reciprocate in the y direction, and the transfer bars 835 and 875 may be mounted to the third gantry 530 to reciprocate in the x direction. I can move it.

상기 제1 및 제2, 상기 제1 및 제3 버튼은 각각 상기 제1 러버패드와 상기 제2 러버패드와 부착하여 단말기용 키패드를 조립할 수 있다. 조립이 완료된 상기 단말기용 키패드를 수납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접합벨트(740, 750)의 일측에는 언로더(910, 92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언로더(910, 920)에 상기 단말기용 키패드를 이송하기 위해 언로딩 헤드(915, 925)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언로딩 헤드(915, 925)는 제2 갠트리(520)에는 결합되어 x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first and third buttons may be attached to the first rubber pad and the second rubber pad, respectively, to assemble a keypad for a terminal. Unloaders 910 and 920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joint belts 740 and 750 to accommodate the keypad for assembly. The unloading heads 915 and 925 may be provided to transfer the keypad for the terminal to the unloaders 910 and 920, and the unloading heads 915 and 925 are coupled to the second gantry 520. It can reciprocate in the x-axis direction.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작업으로 진행하던 키패드 조립작업을 자동 공정을 통해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대량 생산에 따라 생산비가 절감되어 단가를 낯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productivity through the automatic process of the keypad assembly work was carried out by hand,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according to mass production, thereby reducing the unit cost.

또한, 사출프레임으로 연결되어 생산된 버튼을 그대로 장치에 투입할 수 있어 별도로 사출프레임을 절단하거나 버튼을 정렬하는 작업이 필요치 않고, 단말기용 키패드와 동일한 배열구조로 버튼이 자동으로 정렬되어 전체적인 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uttons produced by connecting to the injection frame can be put into the device as it is, there is no need to cut the injection frame or align the buttons separately. There is an effect to improve.

또한, 릴 작업시 일일이 버튼을 사출프레임으로부터 절단하여 롤에 부착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고, 작업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reel operation, the button is cut off from the injection frame one by one to remove the hassle attached to the rol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ave the work time.

또한, 버튼과 러버패드를 조립하기 전 버튼의 상태를 검사할 수 있어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ate of the button can be inspected before assembling the button and the rubber pad,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the defective rate of the product.

또한, 불량 버튼이 발생시 지그 단위로 공급되는 버튼중에서 불량 버튼에 해당하는 버튼을 공급한 후 그 외 나머지를 다시 사용할 수 있어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a bad button is generated, after supplying a button corresponding to the bad button among the buttons supplied in the jig unit, the rest can be used again, thereby reducing wast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Claims (29)

사출프레임으로 결합된 버튼을 수납하되, 상기 사출프레임으로부터 버튼을 분리 후 상기 버튼을 제공하는 버튼 공급유닛;A button supply unit accommodating the buttons coupled to the injection frame, and providing the buttons after separating the buttons from the injection frame; 상기 버튼을 단말기용 키패드 배열과 동일하게 정배열하는 배열 유닛; 및An arrangement unit for arranging the buttons in the same manner as the keypad arrangement for the terminal; And 배열된 상기 버튼에 러버패드를 부착하는 부착유닛;An attachment unit attaching a rubber pad to the buttons arranged; 언로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언로더는 상기 배열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버튼과 상기 러버패드가 부착되어 형성된 상기 단말기용 키패드를 상기 키패드 조립장치로부터 언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조립장치.It further comprises an unloader, The unloader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arrangement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 unloading the keypad for the terminal formed by the button and the rubber pad attached to the keypad assembly device Keypad assembl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버튼은 배면이 위를 향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러버패드가 상기 버튼 배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조립장치.The button is provided with the back facing up, the keypad assembly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rubber pad is adhered to the button back.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버튼 공급유닛은The button supply unit 버튼이 포함된 사출프레임을 제공하는 버튼피더;A button feeder providing an injection frame including a button; 상기 버튼을 상기 사출프레임에서 분리시키는 커팅기;A cutter for separating the button from the injection frame; 상기 분리된 버튼을 이송하는 제 1 이송부; 및A first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separated button; And 상기 사출프레임을 상기 커팅기로 이송하는 로딩 헤드;A loading head for transferring the injection frame to the cutt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조립장치.Keypad assembly apparatus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버튼피더는 버튼의 종류별로 버튼을 공급하는 복수개의 버튼피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조립장치.The button feeder is a keypad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button feeder for supplying a button for each type of button.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 1 이송부 상에는 각 버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복수개의 이송 지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조립장치.The keypad assembl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ransfer jig is provided on the first transfer portion is formed with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each button.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 1 이송부는 그 상측에 상기 이송 지그에 수용된 상기 버튼의 양품 또는 불량품을 판정하는 카메라가 구비되고, 상기 불량품인 버튼을 대체하기 위해 그 다음 이송 지그에서 상기 불량품과 동일한 버튼을 제공하고, 그 외 나머지 버튼을 재활용하기 위해 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조립장치.The first convey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camera for determining good or bad of the button accommodated in the conveying jig on the upper side thereof, and then provides the same button as the defective product in the conveying jig to replace the defective button. Keypad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reverse to recycle the remaining buttons.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배열 유닛은The arrangement unit 상기 버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정배열 지그;A regular array jig having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the button; 상기 버튼을 상기 제 1 이송부로부터 이송하여 상기 정배열 지그에 삽입하는 배열헤드;An array head for transferring the button from the first transfer part and inserting the button into the alignment jig; 상기 정배열 지그를 이송하는 제 2 이송부; 및A second transfer part which transfers the alignment jig; And 상기 제 2 이송부를 구동하는 모터;A motor for driving the second transfer par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조립장치.Keypad assembly apparatus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버튼공급유닛은The button supply unit 상기 이송 지그를 승하강하는 제 1 리프트;A first lift lowering the transfer jig; 상기 제 1 이송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리프트와 대응하며 상기 이송 지그를 승하강하는 제 2 리프트; 및A second lift corresponding to the first lift with the first transfer part therebetween, and lifting and lowering the transfer jig; And 상기 제 1 이송부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이송부와 반대 방향으로 상기 이송 지그를 이송하는 제3 이송부;A third transfer unit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transfer unit and transferring the transfer ji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transfer unit;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조립장치.Keypad assemb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부착유닛은The attachment unit is 상기 러버패드를 제공하는 러버피더;A rubber feeder providing the rubber pad; 상기 버튼이 부착되는 상기 러버패드 면에 접착액을 도포하는 디스펜서;A dispenser for applying an adhesive liquid to the surface of the rubber pad to which the button is attached; 상기 러버패드를 뒤집어 상기 버튼에 포개는 회전기; 및A rotator inverting the rubber pad and superimposing the button on the button; And 상기 러버패드와 상기 버튼을 압착하는 프레스;A press for pressing the rubber pad and the button;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조립장치.Keypad assembly apparatus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회전기는The rotator 상기 러버패드를 지지하는 회전판;A rotating plate supporting the rubber pad; 상기 회전판에 삽입된 회전축; 및A rotating shaft inserted into the rotating plate; And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A rotating motor for rotating the rotating shaf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조립장치.Keypad assembly apparatus comprising a. 삭제delete 사출프레임에 연결된 단말기용 버튼을 공급하는 복수의 버튼피더;A plurality of button feeders for supplying buttons for terminals connected to the injection frame; 상기 버튼 피더와 인접하되, 상기 사출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버튼을 분리하는 커팅기;A cutter adjacent to the button feeder to separate the button from the injection frame; 상기 버튼피더와 상기 커팅기 사이를 이동하면서, 상기 버튼을 이송하는 로딩 헤드;A loading head for transferring the button while moving between the button feeder and the cutter; 상기 버튼피더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분리된 상기 버튼을 이송 지그에 수용하여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제 1 이송부;A first transfer part disposed adjacent to the button feeder and continuously receiving the separated button in a transfer jig; 상기 제 1 이송부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분리된 상기 버튼을 정배열 지그에 수용하여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제 2 이송부;A second transfer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transfer unit and configured to continuously receive the separated button in a regular alignment jig; 상기 제1 이송부와 상기 제2 이송부 사이를 이동하면서, 분리된 상기 버튼을 이송하는 배열헤드; 및 An array head for transferring the separated button while moving between the first transfer unit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And 상기 제2 이송부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이송부에 러버패드를 공급하는 러버피더;A rubber feeder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transfer unit and supplying a rubber pad to the second transfer unit; 를 포함하고, Including, 상기 버튼피더는The button feeder 제1 버튼을 공급하는 제1 버튼피더; 및A first button feeder for supplying a first button; And 상기 제1 버튼보다 개수가 많은 제2 및 제3 버튼을 공급하고, 상기 제1 버튼피더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2 및 제3 버튼피더;를 포함하며,And second and third button feeders, each of which supplies a greater number of second and third buttons than the first button and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button feeder. 상기 제2 이송부 상에서 상기 버튼과 상기 러버패드가 결합하여 단말기용 키패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조립장치.The keypad assembly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button and the rubber pad on the second transfer unit to form a keypad for the terminal. 삭제delete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 1 이송부는 The first transfer unit 상기 제1 버튼피더와 인접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1 버튼을 이송하는 제1 이송벨트;A first conveyance belt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button feeder to convey the first button; 상기 제2 버튼피더와 인접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 1 이송벨트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이송벨트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버튼을 이송하는 제2 이송벨트; 및A second transfer belt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button feeder and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irst transfer belt, and disposed to be parallel to the first transfer belt to transfer the second button; And 상기 제3 버튼피더와 인접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 1 이송벨트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이송벨트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3 버튼을 이송하는 제3 이송벨트;A third transfer belt disposed adjacent to the third button feeder,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transfer belt, and disposed to be parallel to the first transfer belt to transfer the third button;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조립장치.Keypad assembly apparatus comprising a.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1, 2 또는 3 이송벨트에는 각각 카메라가 구비되어 상기 분리된 버튼이 양품 또는 불량품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조립장치.The first, second or third transfer belt is provided with a camera, respectively, keypad assembly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o check whether the separated button is good or defective.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불량품인 경우 그 다음에 제공되는 이송 지그에서 상기 불량품과 동일한 버튼을 제공하고, 그 외 나머지를 재활용하기 위해 상기 이송벨트는 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조립장치.And in case of the defective article, provide a same button as the defective article in a subsequent transfer jig, and retract the transfer belt to recycle the rest.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1, 2 또는 3 이송벨트는 한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조립장치.The first, second or third transfer belt is a keypad assemb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air.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 2 이송부는The second transfer unit 상기 제1 및 제2 이송벨트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및 제2 버튼을 이송하는 제1 접합벨트; 및A first bonding belt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belts and configured to transfer the first and second buttons; And 상기 제1 및 제3 이송벨트 사이에 평행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1 및 제3 버튼을 이송하는 제2 접합벨트;A second joint belt disposed in parallel between the first and third transfer belts and configured to transfer the first and third buttons;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조립장치.Keypad assembly apparatus comprising a. 제 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배열헤드는The array head 상기 제1 이송벨트와 상기 제1 접합벨트 사이 또는 제 1 이송벨트와 제2 접합벨트 사이를 이동하면서, 상기 제1 버튼을 이송하는 제1 배열헤드;A first arrangement head configured to transfer the first button while moving between the first transfer belt and the first joining belt or between the first transfer belt and the second joining belt; 상기 제2이송벨트와 상기 제1 접합벨트 사이를 이동하면서, 상기 제2 버튼을 이송하는 제2 배열헤드; 및A second arrangement head configured to transfer the second button while moving between the second transfer belt and the first joining belt; And 상기 제3 이송벨트와 상기 제2 접합벨트 사이를 이동하면서, 상기 제3 버튼을 이송하는 제3 배열헤드;A third arrangement head configured to transfer the third button while moving between the third conveyance belt and the second bonding belt; 를 포함하는 키패드 조립장치.Keypad assembly comprising a. 제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러버피더는The rubber feeder 상기 제1 접합벨트와 인접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1 접합벨트에 제1 러버패드를 제공하는 제1 러버피더; 및A first rubber feeder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joining belt and providing a first rubber pad to the first joining belt; And 상기 제2 접합벨트와 인접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2 접합벨트에 제2 러버패드를 제공하는 제2 러버피더;A second rubber feeder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joining belt and providing a second rubber pad to the second joining belt; 를 포함하는 키패드 조립장치.Keypad assembly comprising a.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러버피더는The rubber feeder 상기 러버패드에 상기 버튼이 결합될 부위에 접착액를 도포하는 디스펜서; 및A dispenser for applying an adhesive solution to a portion of the rubber pad to which the button is to be coupled; And 상기 러버패드와 상기 버튼을 압착하는 프레스;A press for pressing the rubber pad and the button;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조립장치.Keypad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제1 및 제2 접합벨트의 일측에 형성되어 조립이 완료된 상기 단말기용 키패드를 상기 키패드 조립장치로부터 언로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조립장치.Keypad assemb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unloading the keypad for the terminal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belt is completed assembly from the keypad assembly device. 삭제delete 버튼피더에 의해 사출 프레임으로 연결된 버튼을 제공하는 단계;Providing a button connected to the injection frame by the button feeder; 상기 버튼을 상기 사출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Separating the button from the injection frame; 분리된 상기 버튼을 상기 버튼피더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1 이송부로 이송하는 단계;Transferring the separated button to a first transfer part disposed adjacent to the button feeder; 상기 버튼을 상기 제 1 이송부로부터 상기 제 1 이송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2 이송부로 이송 후 단말기용 키패드와 동일한 배열로 정배열하는 단계; 및Arranging the buttons from the first transfer unit to a second transfer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transfer unit and then arranging the buttons in the same arrangement as the keypad for the terminal; And 러버패드를 상기 제2 이송부로 이송 후 상기 버튼과 부착하여 상기 단말기용 키패드를 형성하는 단계;Transferring a rubber pad to the second transfer part and attaching the rubber pad to the button to form a keypad for the terminal; 를 포함하고, Including, 상기 버튼을 제공하는 단계는,Providing the button, 복수개의 버튼을 그 종류에 따라 분리하여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조립방법.The method of assembling the keypa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eparating and supplying a plurality of buttons according to the type. 제2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버튼을 버튼피더에 제공하는 단계는Providing the button to the button feeder 상기 버튼을 뒤집어 배면이 위를 향하도록 배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조립방법.And inverting the button and arranging the back to face upward. 삭제delete 제2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제 2 이송부는 상기 제 1 이송부와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조립방법.And the second transfer part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transfer part. 제2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제 2 이송부로 이송 후 단말기용 키패드와 동일한 배열로 정배열하는 단계는After the transfer to the second transfer unit is arranged in the same arrangement as the keypad for the terminal 카메라에 의해 분리된 상기 버튼이 양품임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조립방법.And ascertaining that the button separated by the camera is a good product. 제2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제 2 이송부로 이송 후 단말기용 키패드와 동일한 배열로 정배열하는 단계는 상기 분리된 버튼이 양품이면 상기 제 2 이송부로 이송하고, 불량품이면 상기 제1 이송부의 일단에 배치된 불량 수거함으로 회수하고, 다음에 이송 지그에 수납되어 이송되는 상기 불량품과 동일한 버튼을 상기 제 2 이송부로 이송하고, 그 외 나머지 버튼을 재활용하기 위해 상기 제 1 이송부를 후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조립방법.After the transfer to the second transfer unit, the regular arrangement in the same arrangement as the keypad for the terminal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transfer unit if the separated button is good, and recovered to the defective collection unit disposed at one end of the first transfer unit, And then transferring the same button as the defective item stored in the transfer jig to the second transfer unit and reversing the first transfer unit to recycle the remaining buttons. .
KR1020060067573A 2006-07-19 2006-07-19 Keypad assembler and assembly method using the same KR1008046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573A KR100804675B1 (en) 2006-07-19 2006-07-19 Keypad assembler and assembly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573A KR100804675B1 (en) 2006-07-19 2006-07-19 Keypad assembler and assembly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116A KR20080008116A (en) 2008-01-23
KR100804675B1 true KR100804675B1 (en) 2008-02-20

Family

ID=39221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573A KR100804675B1 (en) 2006-07-19 2006-07-19 Keypad assembler and assembly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467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039B1 (en) * 2019-06-18 2020-03-19 주식회사 효준베스트진테크 apparatus for auto attaching rubber of TV stand
KR102173442B1 (en) * 2019-06-18 2020-11-03 주식회사 효준베스트진테크 apparatus for auto attaching rubber of TV stan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965B1 (en) 2001-08-08 2003-12-31 주식회사 유일전자 Keypad for cellular phone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of the same
KR20050038227A (en) * 2003-10-21 2005-04-27 안현화 Method for making key-pad and making key-pad device
KR20050056830A (en) * 2003-12-10 2005-06-16 (주)서원인텍 A key-pad manufacturing system
KR20070013505A (en) * 2005-07-26 2007-01-31 주식회사 대연이엔지 A key-pad assembly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965B1 (en) 2001-08-08 2003-12-31 주식회사 유일전자 Keypad for cellular phone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of the same
KR20050038227A (en) * 2003-10-21 2005-04-27 안현화 Method for making key-pad and making key-pad device
KR20050056830A (en) * 2003-12-10 2005-06-16 (주)서원인텍 A key-pad manufacturing system
KR20070013505A (en) * 2005-07-26 2007-01-31 주식회사 대연이엔지 A key-pad assembl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116A (en) 200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1389B1 (en) Film feeding and attaching apparatus, semiconductor chip package fabricating apparatus with the same, and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chip package
CN109353766A (en) A kind of bilayer alternative expression splicing and feed device
CN108681113B (en) Automatic change lamination equipment
KR100804675B1 (en) Keypad assembler and assembly method using the same
KR100808423B1 (en) Keypad assembler and assembly method using the same
KR20190063949A (en) rotor assembly manufacturing and welding device
JP4050425B2 (en) Continuous taping device for electronic parts
KR100810542B1 (en) Adhesive tape applying machine
CN219861556U (en) PVD automatic feeding and discharging equipment
KR101842002B1 (en) Solder preform cutting apparatus
KR100605550B1 (en) Tape &amp; reel system
CN209903997U (en) Full-automatic laminating machine with quadrangle path feed
CN212889362U (en) Polaroid attaching head mechanism and glass workpiece polaroid attaching equipment
CN212889363U (en) A paster equipment for being glass work piece pastes polaroid
CN110767776A (en) Solar cell module manufacturing apparatus
CN115872135A (en) Charger bottom automatic feeding device
CN213622083U (en) Battery string blanking device
CN111818789A (en) Punching detection production line for flexible circuit board
CN104425314B (en) Component handler
US20020182759A1 (en)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semiconductor device sorting system to be used with the same
CN219636290U (en) Automatic detection line for mobile phone
CN214160313U (en) High-efficient two full-automatic some of gluing equipment
JP3954250B2 (en) Component mounting method
CN216188944U (en) Charger bottom automatic feeding device
CN218836653U (en) Automatic assembly equipment for mo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