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4664B1 - 패킷 통신 네트워크 및 패킷 통신방법 - Google Patents

패킷 통신 네트워크 및 패킷 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664B1
KR100804664B1 KR1020067016721A KR20067016721A KR100804664B1 KR 100804664 B1 KR100804664 B1 KR 100804664B1 KR 1020067016721 A KR1020067016721 A KR 1020067016721A KR 20067016721 A KR20067016721 A KR 20067016721A KR 100804664 B1 KR100804664 B1 KR 100804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packet transmission
edge
transmission means
wavelength div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6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3955A (ko
Inventor
카즈히로 하야카와
사토루 요시다
마코토 후쿠다
노부오 시게타
카즈히코 오가와
신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니폰덴신뎅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덴신뎅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덴신뎅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3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3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7Arrangements for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 H04J14/0241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78WDM optical network architectures
    • H04J14/0284WDM mesh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6Provisions for optical burst or packe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71Provisions for the electrical-optical lay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2011/009Topology aspects
    • H04Q2011/0098M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Use Of Switch Circuits For Exchanges And Methods Of Control Of Multiplex Exchanges (AREA)

Abstract

n개의 인터페이스를 갖고, 파장분할 다중기술에 근거하는 파장 패스에 의해 전체 인터페이스 사이에서 양방향의 풀메쉬 통신이 가능한 풀메쉬 WDM 전송수단(1)을, 각각의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엣지 패킷 전송수단(2)을 통해 네트워크간 접속수단(3)에 의해 트리 형태로 다단접속함에 의해, 동일 풀메쉬 WDM 전송수단(1)의 엣지 패킷 전송수단(2)에 접속된 유저 단말 사이에 있어서의 직접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다단접속 구성에 의한 스케일러빌리티를 실현한다.
패킷 통신, 스케일러빌리티, 파장분할 다중, 파장 패스,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 엣지 패킷

Description

패킷 통신 네트워크 및 패킷 통신방법{PACKET COMMUNICATION NETWORK AND PACKET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가입자를 수용하는 엣지 노드 등 사이에서의 직접 통신이 가능하며 스케일러빌리티의 확보가 가능한 패킷 통신 네트워크 및 패킷 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전화 네트워크에서는, 스케일러빌리티를 확보하기 위해서 계층형의 교환기 구성(비특허문헌 1 참조)이 취해지고 있으며, 동일한 시 내의 다른 가입자 교환기에 수용된 유저끼리가 통화하는 경우에는 시 대표 교환기를 경유해서 통신을 행하게 된다. 이 때문에, 시 대표 교환기의 트래픽이 증대하여, 폭주된 경우에는, 동일한 시 내의 다른 가입자 교환기에 수용된 유저끼리의 통화가 곤란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현재, VoIP 기술에 의해 전화 네트워크의 IP화가 가능해지고 있지만, IP 네트워크라도 기존의 전화 네트워크와 같은 구성을 라우터/스위치 등의 네트워크 장치가 채택하면, 전술한 기존의 전화 네트워크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이것을 해결하는 한가지 방법으로서, 가입자 라우터 등을 풀메쉬로 접속한 구성을 채택하는 것이 생각되어, 실현되고 있다(비특허문헌 2 참조).
비특허문헌 1: "기술참고자료 전화 서비스의 인터페이스 제5판", [online],니폰덴센뎅와가부시키가이샤, [2004년 10월 7일 검색], 인터넷<URL:http://www.ntt-east.co.jp/gisanshi/analog/edit5j.pdf>
비특허문헌 2: "관리자를 위한 인터넷 VPN의 접속 환경과 그 기능(전편)", [online], 2000/3/6, 가부시키가이샤앳마크·아이티, [2004년 10월 7일 검색], 인터넷<URL: http://www.atmarkit.co.jp/fsecurity/special/38vpn/vpn02.html>
[발명의 개시]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그렇지만, 풀메쉬의 접속수는 가입자 라우터의 제곱의 오더가 되기 때문에, 대규모의 네트워크에 있어서 풀메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은, 현재는 사실상 곤란하다고 하는 스케일러빌리티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기존의 전화 네트워크 구성을 답습한 VoIP 네트워크에서는, 스케일러빌리티는 있지만, 가입자 수용 라우터 등 사이의 직접 통신이 불가능하다는 것 등의 트래픽 증대나 폭주시의 문제점이 있다.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의 해결은, 본 발명이 다음에 열거하는 신규한 특징적 구성 수법 및 수단을 채용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1 패킷 통신 네트워크는, n(3 이상의 정수)개의 인터페이스를 갖고, 파장분할 다중기술에 근거한 파장 패스에 의해 전체 인터페이스 사이에서 양방향의 풀메쉬 통신이 가능한 2 이상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과, 패킷 인식 수단,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 및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을 적어도 갖고, 상기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의 인터페이스에 접속되는 엣지 패킷 전송수단과, 패킷 인식수단 및 패킷 송수신수단을 적어도 갖고, 상기 엣지 패킷 전송수단을 거쳐서 상기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을 트리 형태로 다단접속하는 네트워크간 접속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엣지 패킷 전송수단 및 네트워크간 접속수단의 패킷 인식수단은, 패킷의 헤더로부터 목적지가 되는 엣지 패킷 전송수단을 식별하고, 상기 엣지 패킷 전송수단의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은, 외부에서 수신한 패킷을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에 입력하는 동시에,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으로부터 출력된 패킷을 외부에 송신하고, 상기 엣지 패킷 전송수단의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은,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으로부터 입력된 패킷을,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목적지의 엣지 패킷 전송수단에 대응하는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의 파장 패스에 송출하고, 또한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으로부터 입력된 패킷을,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목적지가 해당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 접속된 다른 엣지 패킷 전송수단이면 해당 다른 엣지 패킷 전송수단에 대응하는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의 파장 패스에 송출하며,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목적지가 해당 엣지 패킷 전송수단 자체 또는 해당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엣지 패킷 전송수단이면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에 출력하고, 상기 네트워크간 접속수단의 패킷 송수신수단은, 엣지 패킷 전송수단으로부터 수신한 패킷을,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목적지의 엣지 패킷 전송수단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패킷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은, 물리적으로 독립된 복수의 병렬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엣지 패킷 전송수단은, 복수의 병렬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의 어느 한 개 및 네트워크간 접속수단에 접속되는 제1 엣지 패킷 전송수단과, 복수의 병렬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의 모두에 접속되는 제2 엣지 패킷 전송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네트워크간 접속수단은, 패킷 송수신수단의 입력측에 설치되고, 복수의 병렬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제1 엣지 패킷 전송수단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패킷을, 목적지가 되는 다른 복수의 병렬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 각각 접속된 다른 복수의 제1 엣지 패킷 전송수단 중 어느 것에 전송할지를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갖고, 상기 제2 엣지 패킷 전송수단의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은,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으로부터 입력된 패킷을,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목적지의 제1 또는 제2 엣지 패킷 전송수단에 대응하는 복수의 병렬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의 동일 파장 패스에 동시에 송출하고, 또한 복수의 병렬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의 동일 파장 패스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패킷을,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목적지가 해당 복수의 병렬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 접속된 다른 제1 또는 제2 엣지 패킷 전송수단이면 해당 다른 제1 또는 제2 엣지 패킷 전송수단에 대응하는 복수의 병렬의 풀메쉬 파장분할 다중 전송수단의 동일 파장 패스에 동시에 송출하며,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목적지가 해당 제2 엣지 패킷 전송수단 자체 또는 해당 복수의 병렬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제1 또는 제2 엣지 패킷 전송수단이면 그중의 한개를 선택해서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패킷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네트워크간 접속수단은, 복수의 병렬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제1 엣지 패킷 전송수단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패킷에서 중요 통신의 패킷을 각각 추출해서 비교하여, 패킷 손실이 있을 경우에는 대응하는 다른 패킷을 복사하는 중요통신 처리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패킷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엣지 패킷 전송수단은, 패킷의 헤더로부터 목적지가 되는 엣지 패킷 전송수단과 함께 서비스를 식별하는 패킷 인식수단과,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이 외부에서 수신한 패킷을,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통신방식이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 있어서의 통신방식과 다른 경우에는 해당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 있어서의 통신방식의 패킷 형식으로 가공하고, 또한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으로부터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에 입력되어,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에 출력되는 패킷을,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통신방식이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 있어서의 통신방식과 다른 경우에는 해당 서비스에 대응하는 통신방식의 패킷 형식으로 가공하는 패킷 가공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패킷 통신 네트워크는, 특정한 엣지 패킷 전송수단과 외부 네 트워크와를 접속하는 게이트웨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특정의 엣지 패킷 전송수단의 패킷 가공수단은,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에 출력되는 패킷을,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서비스가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을 행하는 서비스인 경우에는 해당 서비스에 대응하는 통신방식의 패킷 형식으로 가공하고,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은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목적지의 외부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게이트웨이 수단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패킷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엣지 패킷 전송수단은, 상기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의 해당 엣지 패킷 전송수단이 접속하는 인터페이스에 관한 모든 파장 패스의 리소스 상태를 관리하는 리소스 관리수단과, 해당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를 패킷으로서 전송하는 리소스 정보 전송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7 패킷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엣지 패킷 전송수단의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은,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 또는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으로부터 입력되어,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목적지가 해당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 접속된 다른 엣지 패킷 전송수단인 패킷을, 해당 다른 엣지 패킷 전송수단에 대응하는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의 파장 패스에 송출할 때, 상기 리소스 관리수단으로부터의 파장 패스의 리소스 상태정보를 기초로 해당 파장 패스의 리소스 상태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다른 파장 패스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8 패킷 통신 네트워크는, 호 접수 제어수단을 구비한 제어 서버에 대하여 통화 요구 및 통화 응답의 호 제어 패킷을 송신해서 호 접수제어를 행하 는 통신의 경우, 상기 엣지 패킷 전송수단의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 또는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은,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패킷 종별이 호 제어 패킷일 경우, 해당 호 제어 패킷에 리소스 관리수단에 의한 리소스 상태 정보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제1 패킷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동일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 내의 가입자를 수용하는 엣지 패킷 전송수단 사이는 직접 통신하는 것이 가능해져, 다른 트래픽이나 폭주의 영향을 받지 않는 VoIP 등에서 중요하게 되는 안정된 통신이 실현 가능하게 되고, 한편으로 다단접속 구성에 의해 스케일러빌리티도 동시에 실현 가능해진다.
패킷의 송신도 목적지에 대응하는 파장 패스에 송신하는 것만으로, 대응하는 파장 패스도 풀메쉬의 트리 다단접속이라고 하는 토폴러지로부터 간단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라우팅의 관리를 간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용 관리의 용이화나 장해시의 분할의 용이화 등이 실현 가능해진다.
제2 패킷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용장통신에 의한 신뢰성이 높은 네트워크를 구축 가능해진다.
제3 패킷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VoIP에 있어서의 110번이나 119번 등의 중요 통신의 신뢰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4 패킷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VoIP나 ISP 접속, VPN 등의 복수의 네트워 크 서비스를 한 개의 네트워크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5 패킷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VoIP의 상호접속이나 ISP 접속, VPN 등의 외부접속도 실현 가능해진다.
제6 패킷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오퍼레이션 시스템이나 각종 서버 등에서 네트워크의 트래픽 상태 등을 관리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제7 패킷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베스트 에포트 등의 통신을 트래픽이 적은 패스를 사용해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져, 네트워크 리소스의 유효 활용이나 폭주시의 대책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우회는 IP 라우팅은 변경하지 않고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운용 관리의 용이화나 우회의 전환 시간의 단축화가 가능해진다.
제8 패킷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VoIP에 있어서 현행의 SIP 등의 제어 통신을 이용해서 간단하게 리소스의 파악이 가능해져, 호 접수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SIP 등의 제어 통신을 이용해서 실현하기 때문에, 호 설정의 시간을 거의 증가시키지 않고 호 접수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패킷 통신 네트워크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 중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의 개요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 중의 엣지 패킷 전송수단의 상세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 중의 네트워크간 접속수단의 상세를 엣지 패킷 전송수단과 함께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 중의 엣지 패킷 전송수단과 네트워크간 접속수단과를 합쳐서 일체화한 네트워크간 접속 및 엣지 패킷 전송수단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6은, 일반적인 대규모 IP 네트워크의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패킷 통신 네트워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8은, 도 7 중의 네트워크간 접속수단의 상세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7중의 엣지 패킷 전송수단과 네트워크간 접속수단을 합쳐서 일체화한 네트워크간 접속 및 엣지 패킷 전송수단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10은, 중요통신 처리수단에 있어서의 처리의 개요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11은, 리소스 관리수단에 의해 관리되는 파장 패스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시험 패킷에 의한 리소스 상태의 관리의 형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13은, 풀메쉬 다단 네트워크 전체에서의 리소스 상태의 관리의 형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4는, 패킷을 다른 파장 패스에 의해 우회시키는 형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5는, 제어 서버에 의한 호 접수제어 통신의 형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16은, 도 15에 대응하는 제어 시퀀스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패킷 통신 네트워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18은, 도17의 네트워크의 기본적인 요소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9는, 엣지 노드의 IP 라우팅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20은, 엣지 패킷 전송수단의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에 있어서의 우회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1b: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
1c: 가입자 수용 네트워크
1d: 중계 네트워크
2: 엣지 패킷 전송수단
2c: 엣지 노드
2d: 중계 노드
3, 30: 네트워크간 접속수단
4: 액세스 네트워크
5: 유저 네트워크
6: 유저 단말
7: 게이트웨이 수단
8: 외부 네트워크
11: 인터페이스
12: 파장 패스
13: 리소스 상태를 관리가능한 파장 패스
14: 우회 파장 패스
20, 200: 네트워크간 접속 및 엣지 패킷 전송수단
21, 31: 패킷 인식수단
22: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
23: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
24: 패킷 가공수단
25: 리소스 관리수단
26: 리소스 정보 전송수단
27, 27': 상단 패킷 송수신수단
28, 28': 하단 패킷 송수신수단
29, 33: 전환수단
32: 패킷 송수신수단
34: 중요통신 처리수단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패킷 통신 네트워크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 중에서, 참조부호 1은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 2는 엣지 패킷 전송수단, 3은 네트워크간 접속수단, 4는 액세스 네트워크, 5는 유저 네트워크, 6은 유저 단말, 7은 게이트웨이 수단, 8은 외부 네트워크이다.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의 인터페이스(후술한다)에는 엣지 패킷 전송수단(2)이 접속되고, 이 엣지 패킷 전송수단(2)을 통해 네트워크간 접속수단(3) 에 의해 2 이상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이 트리 형태로 다단접속되어, 본 발명의 패킷 통신 네트워크(이하, 풀메쉬 다단 네트워크라고 부른다)가 구성되어 있다.
이때, 네트워크간 접속수단(3)은 상단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에 접속된 엣지 패킷 전송수단(2)과는 1 대 1로 접속하고, 하단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에 접속된 엣지 패킷 전송수단(2)과는 1 대 1 또는 1 대 복수로 접속한다. 또한, 엣지 패킷 전송수단(2)에는, 액세스 네트워크(4) 및 유저 네트워크(5)를 통해 유저 단말(6)이 접속되고, 다시 게이트웨이 수단(7)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8)가 접속된다.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은, 도2a에 나타낸 것과 같이, n(n은 3 이상의 정수)개, 여기에서는 6개의 인터페이스(11)를 갖고, 파장분할 다중(WDM) 기술에 근거하는 파장 패스(12)에 의해 전체 인터페이스 사이에서 양방향의 풀메쉬 통신이 가능한 광전송수단(광 네트워크)이다(이때, 도면에서는 풀메쉬 WDM 전송수단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파장 패스(12)는, 도 2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행/하행의 양방향의 파장 패스로 이루어지고, 1개의 인터페이스로부터 복수의 다른 인터페이스로의 송신 파장 패스는 해당 다른 인터페이스(목적지)마다 모두 파장이 다르고, 또한 복수의 다른 인터페이스로부터 1개의 인터페이스로의 수신 파장 패스도 해당 다른 인터페이스(송신원)마다 모두 파장이 다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WDM에 의해 각각 한개의 광파이버로 실현하는 것, 또한 파장만을 식별하면, 어떤 인터페이스로부터의 통신인가를 인식하 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은, 주지의 WDM을 사용한 광 크로스 커넥트에 의한 스타형 네트워크로 실현할 수 있다. 실제의 WDM에서는 파장수에 한계가 있지만, 도 2c에 나타낸 것과 같은 파장구성을 채택하는 것에 의해, 인터페이스수 n에 대하여 최소 n-1의 파장수로 상기한 조건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서, WDM의 한계 파장수+1개의 인터페이스(송신/수신 모두 합쳐서 1개로 세고 있다)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을 실현할 수 있다.
이 이외에도, 주지의 WDM을 사용한 OADM 등에 의한 링형 네트워크로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이 경우, 필요한 파장수는 상기 최소 파장수보다도 많아진다.
엣지 패킷 전송수단(2)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패킷 인식수단(21),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22),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23), 패킷 가공수단(24), 리소스 관리수단(25) 및 리소스 정보 전송수단(26)을 갖고 있다(이때, 여기에서는 패킷 가공수단(24), 리소스 관리수단(25) 및 리소스 정보 전송수단(26)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1개의 엣지 패킷 전송수단(2)은, 동일한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의 복수의 인터페이스와 접속해도 된다.
패킷 인식수단(21)은, 패킷의 헤더로부터 목적지가 되는 엣지 패킷 전송수단을 식별한다.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22)은, 외부에서 수신한 패킷을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23)에 입력하는 동시에,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23)으로부터 출력된 패킷을 외부에 송신한다.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23)은,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22)에서 입력된 패킷을, 패킷 인식수단(21)에 의해 식별된 목적지의 엣지 패킷 전송수단에 대응하는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의 파장 패스에 송출하고, 또한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으로부터 입력된 패킷을, 패킷 인식수단(21)에 의해 식별된 목적지가 해당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 접속된 다른 엣지 패킷 전송수단이면 해당 다른 엣지 패킷 전송수단에 대응하는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의 파장 패스에 송출하며, 패킷 인식수단(21)에 의해 식별된 목적지가 해당 엣지 패킷 전송수단 자체 또는 해당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엣지 패킷 전송수단이면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22)에 출력한다.
네트워크간 접속수단(3)은,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패킷 인식수단(31) 및 패킷 송수신수단(32)을 갖고 있다. 이때, 도4에서는 네트워크간 접속수단(3)과 함께, 이것에 접속된 상단 및 하단의 엣지 패킷 전송수단(2)을 나타내고 있다.
패킷 인식수단(31)은, 패킷의 헤더로부터 목적지가 되는 엣지 패킷 전송수단을 식별한다. 패킷 송수신수단(32)은, 엣지 패킷 전송수단(2)으로부터 수신한 패킷을, 패킷 인식수단(31)에 의해 식별된 목적지의 엣지 패킷 전송수단(2)에 송신한다.
이때, 네트워크간 접속수단(3) 및 이것과 접속한 모든 엣지 패킷 전송수단(2)을 기능적으로 합치는 것에 의해,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은 네트워크간 접속 및 엣지 패킷 전송수단(20)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 있어서, 도 3과 동일 구성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있으며, 21은 패킷 인식수단, 27은 상단 패킷 송수신수단, 28은 하단 패킷 송수신수단이다.
상단 패킷 송수신수단(27)은, 상단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의 인터페이스에 접속되고, 상단의 엣지 패킷 전송수단(2)에 있어서의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 및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을 아우르는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하단 패킷 송수신수단(28)은, 하단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의 인터페이스에 접속되어, 하단의 엣지 패킷 전송수단(2)에 있어서의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 및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 및 네트워크간 접속수단(3)에 있어서의 패킷 송수신수단을 아우르는 기능을 실현한다.
이때, 상단 패킷 송수신수단(27)은, 동일한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의 복수의 인터페이스와 접속하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하단 패킷 송수신수단(28)은, 다른 복수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 또는 동일한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의 복수의 인터페이스와 접속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액세스 네트워크(4)는 하단 패킷 송수신수단(28)에 접속된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관한 패킷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엣지 패킷 전송수단(2)에 있어서,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22)이 (유저 네트워크(5)의 유저 단말(6)로부터 액세스 네트워크(4)를 통하는 것 등으로 해서) 수신한 패킷에 대하여, 패킷 인식수단(21)이 패킷의 목적지 어드레스, 패킷 종별 등으로부터 (최종적인 목적지가 아니라) 다음 목적지가 되는 엣지 패킷 전송수단(2)을 식별한다. 이 정보를 기초로,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23)이 다음 목적지 엣지 패킷 전송수단(2)에 대응하는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의 파장 패스에 해당 패킷을 송출한다.
상기 파장 패스에 대향하는 엣지 패킷 전송수단(2)에 있어서,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23)이 수신한 해당 패킷에 대하여, 패킷 인식수단(21)이 다음 목적지가 되는 엣지 패킷 전송수단(2)을 식별하고, 다음 목적지 엣지 패킷 전송수단(2)에 대응하는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22) 또는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23)(다음 목적지 엣지 패킷 전송수단이 자기 자신인 경우에는,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이 대응하게 된다)이 해당 패킷을 송출한다.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22)이 상기 네트워크간 접속수단(3)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네트워크간 접속수단(3)에 있어서, 패킷 송수신수단(32)이 수신한 해당 패킷에 대하여, 패킷 인식수단(31)이 다음 목적지가 되는 엣지 패킷 전송수단(2)을 식별하고, 패킷 송수신수단(32)이 다음 목적지 엣지 패킷 전송수단(2)에 대하여 해당 패킷을 송신한다.
상기 도 5의 네트워크간 접속 및 엣지 패킷 전송수단(20)의 경우에는, 상단 패킷 송수신수단(27) 또는 하단 패킷 송수신수단(28)이 수신한 패킷에 대하여, 패킷 인식수단(21)이 다음 목적지가 되는 엣지 패킷 전송수단(2)을 식별하고, 다음 목적지 엣지 패킷 전송수단(2)에 대응하는 상단 패킷 송수신수단(27) 또는 하단 패킷 송수신수단(28)(다음 목적지 엣지 패킷 전송수단이 자기 자신인 경우에는, 하단 패킷 송수신수단(28)이 대응하게 된다)이 해당 패킷을 송출한다.
이상의 처리를, 해당 패킷이 (목적지의 유저 단말(6)이 있는 유저 네트워크(5)가 액세스 네트워크(4)를 통해서 접속하고 있는 것 등의) 최종적인 (다음 목적지 엣지 패킷 전송수단이 자기 자신인) 엣지 패킷 전송수단(2)의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22)으로부터 송출될 때까지 반복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패킷 통신을 풀메쉬 다단 네트워크에 의해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은 일반적인 대규모 IP 네트워크에서는, 지역 네트워크 내의 엣지 노드간의 통신에 있어서도 상위 노드를 경유해서 행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에 대해서, 상기한 풀메쉬 다단 네트워크에 의한 패킷 통신에서는, 동일한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 내에서는 엣지 패킷 전송수단(2)이 직접 통신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트래픽이나 폭주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 때문에, VoIP 등에서 중요하게 되는 지연/지터 등이 적은 안정된 통신이 실현 가능해진다. 전화 등의 유저간 커뮤니케이션 통신에서는 시내 등의 근거리통신의 트래픽이 많기 때문에, 이러한 네트워크 구성이 유효하다.
한편으로, WDM의 파장수에 한계가 있는 것 등으로부터, 단일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은 스케일러빌리티에 문제가 있지만, 엣지 패킷 전송수단(2) 및 네트워크간 접속수단(3)을 통해 풀메쉬 파장분할 다중다단 전송수단(1)이 다단 접속 구성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네트워크의 스케일러빌리티 및 확장성도 동시에 실현 가능해진다.
또한, 패킷의 전송에 있어서는, 목적지에 대응하는 파장 패스에 송신하는 것 뿐이라고 하는 심플한 구성으로, 대응하는 파장 패스도 풀메쉬를 트리 형태로 다단접속한다고 하는 심플한 토폴러지로부터 간단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송의 실현/관리가 간소화 가능하게 되어, 네트워크의 운용 관리의 용이화나 장해 시의 분할의 용이화 등이 실현 가능해진다.
[제2 실시형태]
도7은 본 발명의 패킷 통신 네트워크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 중에서, 도 1과 동일 구성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여 나타낸다. 즉, 1a, 1b는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 2-1은 제1 엣지 패킷 전송수단, 2-2는 제2 엣지 패킷 전송수단, 30은 네트워크간 접속수단이다.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a, 1b)은, 물리적으로 독립된 복수의 병렬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으로서, 각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a, 1b) 자체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과 같다.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a, 1b)의 인터페이스에는 각각의 제1 엣지 패킷 전송수단(2-1) 또는 동일한 제2 엣지 패킷 전송수단(2-2)이 접속되고, 제1 엣지 패킷 전송수단(2-1)을 통해 네트워크간 접속수단(30)에 의해 2이상, 여기에서는 3조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a, 1b)이 트리 형태로 다단접속되어, 용장 구성을 갖는 풀메쉬 다단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다.
제1 엣지 패킷 전송수단(2-1)은, 구성 및 동작 모두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엣지 패킷 전송수단(2)과 동일하며, 제2 엣지 패킷 전송수단(2-2)도,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엣지 패킷 전송수단(2)과 동일하다.
제2 엣지 패킷 전송수단(2-2)의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은, 각 풀메쉬 파장분 할다중 전송수단(1a, 1b)에 대응한 입출력 포트를 구비하는 동시에,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으로부터 입력된 패킷을,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목적지의 제1 또는 제2 엣지 패킷 전송수단에 대응하는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a, 1b)의 동일 파장 패스에 동시에 송출하고, 또한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a, 1b)의 동일 파장 패스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패킷을,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목적지가 해당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a, 1b)에 접속된 다른 제1 또는 제2 엣지 패킷 전송수단이면 해당 다른 제1 또는 제2 엣지 패킷 전송수단에 대응하는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a, 1b)의 동일 파장 패스에 동시에 송출하며,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목적지가 해당 제2 엣지 패킷 전송수단 자체 또는 해당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a, 1b)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제1 또는 제2 엣지 패킷 전송수단이면 그 중의 한개를 선택해서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에 출력한다.
네트워크간 접속수단(30)은,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패킷 인식수단(31), 패킷 송수신수단(32), 전환수단(33) 및 중요통신 처리수단(34)을 갖고 있다(이때, 여기에서는 중요통신 처리수단(34)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전환수단(33)은, 패킷 송수신수단(32)의 입력측에 설치되고,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a, 1b)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제1 엣지 패킷 전송수단(2-1)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패킷을, 목적지가 되는 다른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a, 1b)에 각각 접속된 다른 복수의 제1 엣지 패킷 전송수단(2-1)의 어느 것에 전송할지를 전환한다. 또한, 이 전환에는, 수신한 1개의 패킷을 다른 2 이상의 제1 엣지 패킷 전송수단(2-1)에 동시에 송신하는 경우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관한 패킷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2 엣지 패킷 전송수단(2-2)에 있어서,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이 (유저 네트워크의 유저 단말로부터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하는 것 등으로 해서) 수신한 패킷에 대하여,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이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a, 1b)에의 파장 패스에 대하여 해당 패킷을 동시에 송출한다.
또한, 동시에 송출하는 방법으로서는,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이 패킷을 복제하는 방법이나,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의 출구에서 광신호를 광 스플리터 등에 의해 분파하는 방법 등이 있다.
네트워크간 접속수단(30)에 있어서, 복수의 제1 엣지 패킷 전송수단(2-1)으로부터 대향하는 다른 복수의 제1 엣지 패킷 전송수단(2-1)에의 패스를 전환수단(33)에 의해 전환하는(도 8중의 파선) 것에 의해, 각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a, 1b) 사이의 통신 구성을 변경함으로써 패킷 송수신수단(32)으로부터 송출되는 패킷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동일한 패킷을 다른 복수의 제1 엣지 패킷 전송수단(2-1)에 동시에 송신하는 경우에는, 전환수단(33)에 있어서 패킷을 복제하는 방법 등을 채용하는 것으로 한다.
전환수단(33)에 의한 장해시 등의 패스의 전환은, 광신호 단절의 검출이나 일정 주기로 보내져 오는 시험 패킷 미도착의 검출 등을 트리거로서, 패킷 송수신수단(32)에의 입력을 다른 병렬의 입력으로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간 접속수단(30) 및 이것과 접속한 모든 제1 엣지 패킷 전송 수단(2-1)을 기능적으로 합치는 것에 의해,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은 네트워크간 접속 및 엣지 패킷 전송수단(200)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에 있어서, 도 5와 동일 구성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있으며, 21은 패킷 인식수단, 27'은 상단 패킷 송수신수단, 28'은 하단 패킷 송수신수단, 29는 전환수단이다.
상단 패킷 송수신수단(27')은, 상단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a, 1b)의 인터페이스에 접속되고, 상단의 제1 엣지 패킷 전송수단(2-1)에 있어서의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 및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을 아우르는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하단 패킷 송수신수단(28')은, 하단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a, 1b)의 인터페이스에 접속되고, 하단의 제1 엣지 패킷 전송수단(2-1)에 있어서의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 및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 및 네트워크간 접속수단(30)에 있어서의 패킷 송수신수단을 아우르는 기능을 실현한다.
전환수단(29)은, 상단 패킷 송수신수단(27') 및 하단 패킷 송수신수단(28')의 입력측에 설치되어,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a, 1b)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패킷을, 목적지가 되는 다른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a, 1b) 중 어느 것에 전송할지를 전환한다.
(목적지의 유저 단말이 있는 유저 네트워크가 액세스 네트워크를 거쳐서 접속하고 있는 것 등의) 최종적인 제2 엣지 패킷 전송수단(2-2)에 있어서,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a, 1b)으로부터 수신한 패킷을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이 선택해서 송출하는 것에 의해 용장한 패킷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에 의한 선택은, 통상은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 단(1a, 1b) 중의 한쪽에서의 패킷으로 고정해 놓고, 장해시 등은 선택되어 있는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으로부터 일정 주기로 보내져 오는 시험 패킷 미도착의 검출 등을 트리거로서, 선택되어 있는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으로부터의 패킷을, 다른쪽에서의 패킷으로 자동적으로 전환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용장 구성을 갖는 풀메쉬 다단 네트워크에 있어서, 내장해성이 있는 용장 통신을 실현할 수 있어, 신뢰성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이 용장 구성을 갖는 풀메쉬 다단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제2 엣지 패킷 전송수단에 있어서,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이 (유저 네트워크의 유저 단말로부터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하는 것 등으로 해서) 수신한 패킷에 대하여,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이 복수의 병렬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의 파장 패스에 대하여 해당 패킷을 부하 분산해서 송출함으로써, 용장 통신이 아니라 다루트에 의한 부하 분산 통신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하 분산해서 송출하는 방법으로서는,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이 복수의 파장 패스에 확률적으로 패킷을 분배하는 방법 등이 있다.
[제3 실시형태]
도 8에 나타낸 네트워크간 접속수단(30)의 중요통신 처리수단(34)에 있어서,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복수의 병렬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a, 1b)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제1 엣지 패킷 전송수단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패킷(입력 1, 입력 2)에서 중요 통신의 패킷을 각각 추출해서 비교하여, 한쪽에 패킷 손실이 있는지 없는지를 검출하고, 패킷 손실이 있는 경우는 대응하는 다른쪽의 패킷을 복사해서 각각 출력함으로써, 용장한 패킷 통신을 실현할 수 있어, 중요 통신에 대한 신뢰성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모든 패킷이 아니라 중요 통신의 패킷만을 추출해서 처리함으로써, 중요통신 처리수단의 부하를 경감해서 실시간성이 있는 처리가 실현 가능해진다.
[제4 실시형태]
본 발명의 풀메쉬 다단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유저 네트워크나 외부 네트워크에서는, 통상, 각각 다른 통신방식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단순하게 접속된 것만으로서는 정확하게 통신을 행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유저 네트워크나 외부 네트워크가 사용하는 통신방식과, 풀메쉬 다단 네트워크내(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서 사용하는 통신방식을 분리하여, 유저 네트워크나 외부 네트워크가 사용하는 통신방식의 패킷 형식을 엣지 패킷 전송수단에 있어서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서 사용하는 통신방식의 패킷 형식으로 가공해서 풀메쉬 다단 네트워크 내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서로 다른 통신방식의 유저 네트워크나 외부 네트워크의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3, 도 4에 나타낸 엣지 패킷 전송수단(2)(또는 도 5, 도 9에 나타낸 네트워크간 접속 및 엣지 패킷 전송수단(20, 200))의 패킷 인식수단(21)에 있어서 패킷의 헤더로부터 목적지가 되는 엣지 패킷 전송수단과 함께 서비스를 식별하도록 하는 동시에, 패킷 가공수단(24)에 있어서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이 외 부에서 수신한 패킷을,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통신방식이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 있어서의 통신방식과 다른 경우에는 해당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 있어서의 통신방식의 패킷 형식으로 가공하여,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으로부터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에 입력되고,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에 출력되는 패킷을,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통신방식이 풀메쉬 파장분할 다중다단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통신방식과 다른 경우에는 해당 서비스에 대응하는 통신방식의 패킷 형식으로 가공한다.
즉, (유저 네트워크의 유저 단말로부터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하는 것 등으로 해서) 수신한 패킷에 대하여, 패킷 인식수단(21)이 대응하는 서비스를 식별하여, 패킷 가공수단(24)이 해당 서비스에 대응한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의 통신방식의 패킷 형식으로 해당 패킷을 가공해서 송신한다.
이 처리를 통신 경로의 엣지 패킷 전송수단(2, 2-1, 2-2)(또는 네트워크간 접속 및 엣지 패킷 전송수단(20, 200))이 필요에 따라 (풀메쉬 다단 네트워크에의 입력이 되는 엣지 패킷 전송수단에 있어서 풀메쉬 다단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통신방식의 패킷 형식으로 가공되면, 통신 경로의 엣지 패킷 전송수단에서는 반드시 패킷을 가공할 필요는 없다) 반복하여, 통신 경로의 종점의 엣지 패킷 전송수단에서, 패킷 인식수단(21)이 대응하는 서비스를 식별하여, 패킷 가공수단(24)이 해당 서비스에 대응한 유저 네트워크나 외부 네트워크의 통신방식의 패킷 형식으로 해당 패킷을 가공해서 되돌리는 것에 의해, 복수의 서비스를 중첩한 패킷 통신을 행할 수 있어, 네트워크의 유효 이용이 가능해진다.
서비스의 종류로서는, 일례로서, VoIP나 영상 전화 등의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통신, 풀메쉬 다단 네트워크 내의 폐 역내통신, ISP 접속 등의 외부 네트워크 접속 통신, VPN 등의 특정 외부 네트워크간 통신 등이 있다.
[제5 실시형태]
VoIP나 영상 전화 등의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통신, ISP 접속 등의 외부 네트워크 접속 통신, VPN 등의 특정 외부 네트워크간 통신에서는, 외부 네트워크 등과 상호접속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 때문에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호접속을 하는 특정한 엣지 패킷 전송수단(2)과 외부 네트워크(8)를 접속하는 게이트웨이 수단(7)을 구비하여, 해당 특정한 엣지 패킷 전송수단(2)에 있어서,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에 출력되는 패킷을, 패킷 가공수단(24)이 패킷 인식수단(21)에 의해 식별된 서비스가 외부 네트워크(8)와 접속을 행하는 서비스인 경우에는 해당 서비스에 대응하는 통신방식의 패킷 형식으로 가공하여,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이 패킷 인식수단(21)에 의해 식별된 목적지의 외부 네트워크(8)에 대응한 게이트웨이 수단(7)에 송출함에 의해, 외부 네트워크(8)와의 패킷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게이트웨이 수단(7)은 패킷에 식별자를 부가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엣지 패킷 전송수단에 대한 서로 다른 외부 네트워크(8)로부터의 패킷, 즉 다른 게이트웨이 수단(7)으로부터의 패킷을 서비스가 같은 경우에도 패킷 인식수단(21)이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풀메쉬 다단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하는 통신방식과 유저 네트워크나 외부 네트워크가 사용하는 통신방식과는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각 네트워크 서로의 높은 시큐리티가 실현 가능해진다.
더구나, 게이트웨이 수단(7)에, 외부 네트워크(8)로부터의 부정 패킷이나 공격 패킷 및 외부 네트워크(8)에의 부정 패킷이나 공격 패킷을 차폐하는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높은 시큐리티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6 실시형태]
도 3, 도 4에 나타낸 엣지 패킷 전송수단(2)(또는 도 5, 도 9에 나타낸 네트워크간 접속 및 엣지 패킷 전송수단(20, 200))의 리소스 관리수단(25)에 있어서,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의 해당 엣지 패킷 전송수단이 접속하는 인터페이스에 관한 모든 파장 패스(12)의 리소스 상태를 관리한다. 관리하는 리소스 상태로서는, 파장 패스의 패킷 우선도마다의 대역 사용률이나 서비스마다의 대역 사용률 등이 있다. 파장 패스의 패킷 우선도마다의 대역 사용률에 대해서는,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에 있어서의 각 파장 패스마다의 단위시간당의 우선도마다의 패킷 송신 및 수신의 사용 대역을, 해당 리소스 관리수단(25)이 측량함으로써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도 3, 도 4에 나타낸 엣지 패킷 전송수단(2)(또는 도 5, 도 9에 나타낸 네트워크간 접속 및 엣지 패킷 전송수단(20, 200))의 리소스 정보 전송수단(26)에 있어서, 해당 리소스 상태에 관한 리소스 상태 정보를 패킷으로서 전송한 다. 오퍼레이션 시스템이나 각종 서버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리소스 정보 전송수단(26)이 리소스 상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오퍼레이션 시스템이나 각종 서버에 있어서 리소스 상태의 파악이 가능해져, 트래픽 상태의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시험 패킷에 각 엣지 패킷 전송수단(2)의 리소스 정보 전송수단(26)이 자 리소스 상태 정보를 추기해서 순차 송신해 가는 것에 의해, 각 엣지 패킷 전송수단(2)이 다른 엣지 패킷 전송수단(2)의 리소스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것을 기초로 한 폭주시의 통신 규제나 우회 등의 실현이 가능해진다. 시험 패킷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이하에 나타낸다.
어떤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에 접속한 전체 엣지 패킷 전송수단(2)에 있어서, 수신한 시험 패킷에 리소스 정보 전송수단(26)이 자 리소스 상태 정보를 추기(전회 추기한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덮어쓰기)하여,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체 엣지 패킷 전송수단(1)을 일주하도록 하는 순서를 따라서 다음 순서의 엣지 패킷 전송수단(2)에 시험 패킷을 전송한다. 이것을 항상 반복하는 것에 의해, 시험 패킷에는 시간적 격차가 소정의 시간간격(시험 패킷이 일주하는 시간) 내에 억제된 전체 엣지 패킷 전송수단(2)의 리소스 상태 정보가 항상 기록되어 있게 되어, 각 엣지 패킷 전송수단(2)의 리소스 관리수단(25)이 이것을 기록함에 의해,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 내의 전체의 리소스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구나,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풀메쉬 다단 네트워크 전체에서 상기한 시험 패킷의 전송을 실시하고, 네트워크간 접속 및 엣지 패킷 전송수단(20, 200)의 리소스 정보 전송수단(26)에 있어서도, 수신하는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이 서로 다른 모든 시험 패킷의 각각의 전체 리소스 관리 정보를 서로 모두 추기(전회 추기한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덮어쓰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전체 시험 패킷에 풀메쉬 다단 네트워크 내의 모든 리소스 상태 정보가 항상 기록되어 있게 되어, 각 엣지 패킷 전송수단(또는 네트워크간 접속 및 엣지 패킷 전송수단)의 리소스 관리수단(25)이 이것을 기록함에 의해, 풀메쉬 다단 네트워크 내의 모든 리소스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3의 구성에 있어서는, 네트워크간 접속 및 엣지 패킷 전송수단(20, 200)을 사용했지만, 이것들이 기능적으로 합쳐져 있지 않은 구성의 경우에는, 네트워크간 접속수단에 접속된 전체의 엣지 패킷 전송수단에서 시험 패킷을 순회하고, 각각의 엣지 패킷 전송수단의 전체 리소스 관리 정보를 추기(전회 추기한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덮어쓰기)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각 엣지 패킷 전송수단이 관리하는, 이들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 내부 또는 풀메쉬 다단 네트워크 내부의 모든 리소스 상태 정보는, 오퍼레이션 시스템이나 각종 서버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리소스 정보 전송수단(26)이 전송함에 의해, 오퍼레이션 시스템이나 각종 서버에 있어서도 모든 리소스 상태의 파악이 직접 접속하고 있는 것 등의 1개의 엣지 패킷 전송수단과의 통신만으로 가능해진다.
풀메쉬 다단 네트워크 내의 모든 리소스 상태 정보를 각 엣지 패킷 전송수단이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어떤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 내에 폭주가 발생했을 경우, 해당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의 통신을 규제하는 것 등 의 처리를 각 엣지 패킷 전송수단이 자발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풀메쉬 다단 네트워크 전체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7 실시형태]
엣지 패킷 전송수단(2)(또는 네트워크간 접속 및 엣지 패킷 전송수단)의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또는 상단 패킷 송수신수단 또는 하단 패킷 송수신수단)에 있어서,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또는 하단 패킷 송수신수단 또는 상단 패킷 송수신수단) 또는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에서 입력되어, 패킷 인식수단(21)에 의해 식별된 목적지가 해당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에 접속된 다른 엣지 패킷 전송수단(2)(또는 네트워크간 접속 및 엣지 패킷 전송수단)으로서, 우회시키는 대상인 패킷을, 해당 다른 엣지 패킷 전송수단(2)(또는 네트워크간 접속 및 엣지 패킷 전송수단)에 대응하는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의 파장 패스(12)에 송출할 때, 상기 리소스 관리수단(25)으로부터의 파장 패스의 리소스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해당 파장 패스(12)의 리소스 상태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패킷을 다른 파장 패스(우회 파장 패스)(14)에 송출한다.
우회시키는 대상 및 그것의 식별의 일례로서는, 베스트 에포트 통신의 패킷을 패킷 내의 우선도로부터 식별하는 것 등이 있다. 또한, 파장 패스의 리소스 상태의 일례로서는, 최고 우선도 패킷의 대역 사용률이나 전체 패킷의 대역 사용률 등이 있다.
우회시키는 다른 파장 패스(14)의 선택의 일례로서는, 리소스 상태 정보를 기초로 리소스 상태가 가장 낮은 파장 패스를 선택하는 것이 생각된다. 또한, 상기한 시험 패킷에 의해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 내부의 전체 리소스 상태 정보를 해당 리소스 관리수단(25)에서 관리할 수 있는 경우에는, 도 14 중에 가는 파선으로 나타낸 우회후의 경로의 리소스 상태도 고려한 우회 파장 패스(14)의 선택이 가능해진다.
우회처의 엣지 패킷 전송수단(2)에서는, 일반적인 처리에 의해 해당 패킷의 목적지에 대응한 파장 패스(도 14의 예에서는 가는 파선으로 나타낸 파장 패스)에 해당 패킷이 송신되기 때문에,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은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 내에 있어서의 우회(도 14의 예에서는 우회 파장 패스(14)+가는 파선으로 나타낸 파장 패스)가 실현된다.
VoIP 서비스와 베스트 에포트 서비스가 혼재한 네트워크에서는, 우회에 의한 지연/지터 등의 영향이 적은 베스트 에포트 패킷을 우회시킴으로써, 대역 사용이 적은 VoIP 패킷 통신의 잉여 대역을 유효하게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해당 파장 패스가 장해에 의해 통신 단절이 되었을 경우에도, 리소스 관리수단이 광신호 단절의 검출 등에 의해 그것을 파악함으로써, 이 우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8 실시형태]
제어 서버에 의한 호 접수제어를 수반하는 VoIP나 영상 전화 등의 P2P형 패 킷 통신에 있어서는, 도 1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유저 단말 사이에서 새로운 통신을 시작할 때, 한쪽의 유저 단말, 예를 들면 6-1이 관할의 제어 서버(9-1)에 대하여 통화 요구(통신 상대의 정보가 포함된다)의 호 제어 패킷을 송신하고, 해당 제어 서버(9-1)가 통신 상대의 유저 단말, 예를 들면 6-2를 관할하는 제어 서버(9-2)에 대하여 통화 요구를 행하고, 그 제어 서버(9-2)가 통신 상대의 유저 단말(6-2)에 대하여 통화 요구의 호 제어 패킷을 송신한다.
통신 상대의 유저 단말(6-2)은 관할의 제어 서버(9-2)에 대하여 통화를 승인할 것인가 아닌가의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응답의 호 제어 패킷을 송신하고, 해당 제어 서버(9-2)는 통신원의 유저 단말(6-1)을 관할하는 제어 서버(9-1)에 대하여 통화 응답을 행하고, 그 제어 서버(9-1)가 통신원의 유저 단말(6-1)에 대하여 통화 응답의 호 제어 패킷을 송신한다. 통신처의 유저 단말(6-1)은 통화 응답의 결과(통신의 승인/비승인)를 받아, 통화가 승인된 경우에는, 통신 상대에 대하여 통화를 시작한다.
이때, 통화 요구 발신처의 제어 서버(9-1)에 있어서 네트워크 리소스를 관리하고, 리소스 상태에 따라 통신의 승인/비승인을 행하는 것이 현실적으로는 필요하며, 이 처리를 호 접수제어라고 부른다. 그렇지만, 호 접수제어에 있어서는, 통화 통신에 관여하는(경로가 된다) 네트워크 리소스를 적확하게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며, VoIP 등의 IP망에서는 경로가 라우팅에 의해 변화되는 것 등의 문제도 있어, 리소스 관리가 큰 과제가 된다.
따라서, 엣지 패킷 전송수단(2)(또는 네트워크간 접속 및 엣지 패킷 전송수 단)의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 또는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에 있어서, 패킷 인식수단(21)에 의해 식별된 패킷 종별이 호 제어 패킷일 경우, 해당 호 제어 패킷에 리소스 관리수단(25)에 의한 리소스 상태 정보를 부가한다.
이것을 제어 통신의 경로에 있는 엣지 패킷 전송수단(2)에 있어서 반복하여, 도1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어 서버(9-1)의 호 접수 제어수단(도시 생략)이 통화 요구 및 통화 응답의 호 제어 패킷으로부터 리소스 상태 정보를 취득하고, 얻어진 리소스 상태 정보에 따라 해당 P2P형 패킷 통신을 허가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하여, 그 결과(승인/비승인)를 통신 응답에 포함시켜서 통신원의 유저에게 송신한다.
도 15에 나타낸 풀메쉬 다단 네트워크에 있어서, 굵은선으로 나타낸 경로를 통과하는 호 제어 패킷은, 통화 통신의 패킷의 경로(굵은 파선)에 있는 모든 엣지 패킷 전송수단(별표)(2)을 통과하기 때문에, 제어 서버(9-1)는 호 제어 패킷으로부터 통화 통신이 사용하는 파장 패스의 리소스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1)의 우회 경로(가는 파선)에 관해서도, 우회 경로의 양단의 엣지 패킷 전송수단(검은 별표)(2)이 경로가 되는 파장 패스의 리소스 상태 정보를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제어 서버(9-1)의 호 접수 제어수단은 상기 의 방법으로 일반적인 경로가 리소스 부족에 의해 통화 비승인의 경우에, 리소스가 확보가능한 통화 승인할 수 있는 우회 경로를 통신 응답에 포함시켜서 통신원의 유저에게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 의해, 제어 서버에 의한 호 접수제어를 수반하는 VoIP나 영상 전화 등의 P2P형 패킷 통신에 있어서, 통화 통신 패스의 리소스 상태의 파악이 가능해져, 제어 서버에 있어서의 호 접수제어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통상적인 통화 통신 패스가 리소스 부족으로 폭주하고 있는 경우에는, 리소스가 비어 있는 폭주하고 있지 않은 풀메쉬 파장분할 다중수단의 우회 패스를 유저에게 제시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따라, 폭주시의 우회 통신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구나, 호 접수제어 통신에 있어서, 통상의 호 접수제어 통신 이외에 새로운 통신 시퀀스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통신 개시 설정의 시간을 거의 증가시키지 않고 호 접수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제1 실시예]
가입자 수용 네트워크를 하단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으로 하고, 중계 네트워크를 상단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으로 한 2단 구성의 풀메쉬 다단 네트워크의 일례를 도17에, 또한 그것의 기본적인 요소를 도18에 나타낸다.
전술한 WDM을 사용한 광 크로스 커넥트에 의한 스타형 네트워크에서 가입자 수용 네트워크(1c) 및 중계 네트워크(1d)를 구성한 경우, WDM의 한계 파장수가 현재는 128파 정도이기 때문에, 100 정도의 인터페이스를 가입자 수용 네트워크(1c) 및 중계 네트워크(1d)가 가질 수 있다. 일본을 고려한 경우, 1도도부현(都道府縣)에 1개의 가입자 수용 네트워크(1c)를 갖는 풀메쉬 다단 네트워크를 2단 구성으로 구축 가능하게 되어, 도도부현 내의 가입자 수용 네트워크(1c)도 100 정도의 엣지 노드(2c)를 수용할 수 있어, 전국 규모의 스케일러빌리티를 가진 네트워크가 구축 가능해진다.
또한, 실제의 운용에서는, 통신량이 많은 인터페이스 사이에 대해서는, 직접, 광파이버에 의한 전송로(패스)를 설치하여, 대역(전송량)에 제한이 있는 파장 패스 대신에 사용하는 경우도 상정되지만, 이렇게 파장 패스와 광파이버에 의한 패스의 혼합에 의해 풀메쉬 통신이 가능한 광전송수단이 형성된 경우에도, 본 발명의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기한 풀메쉬 다단 네트워크(2단)를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하는 통신방식으로서 IP 또는 MPLS를 사용해서 구축한 경우에 대해서 서술한다.
IP 패킷 통신에 있어서는, 다이나믹 라우팅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본 네트워크에서는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의 트리 구성에 대응한 IP 어드레스를 체계적으로 부여함으로써, 라우팅 테이블이 간단해지기 때문에 스태틱 라우팅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구체적으로는 각 가입자 수용 네트워크(1c)마다, 엣지 노드(2c)마다(엣지 노드 부하의 유저 등)에 일련의 IP 어드레스를 더 부여함에 의해, 엣지 노드(2c)의 IP 라우팅 테이블은 도 19에 나타낸 것과 같이, 대단히 간소화할 수 있어, 운용 관리나 장해시의 분할 등이 용이해진다.
[제2 실시예]
중요 통신으로서는 VoIP의 110/119번 통보 등이 있기 때문에, IP 통신에 있어서의 중요통신 처리수단에서의 중요 통신의 추출은, IP 헤더의 DSCP(DiffServ Code Point)의 우선도로 식별가능하다. 또한, VoIP에 있어서의 통화 통신은, 일반적으로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로 행해지지만, RTP 헤더에는 시퀀스 번호가 있기 때문에 패킷 손실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패킷 인식수단이 대응하는 서비스를 식별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VoIP나 영상 전화 등의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통신은 IP 헤더의 DSCP의 우선도 등에 의해, ISP 접속 등의 외부 네트워크 접속 통신은 통신 프로토콜의 차이(예를 들면 PPPoE)나 송신원 IP 어드레스(내부통신용의 IP 어드레스와 다르다) 등에 의해, VPN 등의 특정 외부 네트워크간 통신은 게이트웨이 수단이 부가하는 VLAN ID나 가입자 수용/중계 노드의 물리 포트 등에 의해,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패킷 가공수단이, 패킷을 서비스에 대응해서 풀메쉬 다단 네트워크 내의 통신방식의 패킷 형식으로 가공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VoIP나 영상 전화 등의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통신은 특별히 가공이 없음), ISP 접속 등의 외부 네트워크 접속 통신에 대하여는 IP 터널링(L2TPv2(Layer2 Tunneling Protocol Version 2), IPsec(터널 모드), IPinIP) 등, VPN 등의 특정 외부 네트워크간 통신에 대하여는 L2-VPN(L2TPv3(Layer2 Tunneling Protocol Version 3) 등)이나 L3-VPN(IPsec(터널 모드), IPinIP 등) 등의 패킷 형식으로 가공한다.
풀메쉬 다단 네트워크 내의 통신방식이 MPLS인 경우에는, VPN 등의 특정 외부 네트워크간 통신에 대하여는 L2-VPN(EoMPLS(Ethernet(등록상표) over MPLS) 등)이나 L3-VPN(BGP/MPLS-VPN 등) 등의 패킷 형식으로 가공한다.
또한, VoIP에 있어서의 타사업자 VoIP 네트워크와의 상호접속 등에 있어서 타사업자와 우선도에 관한 폴리시가 다른 경우에는, 패킷 가공수단이 폴리시가 다른 패킷에 대하여 IP 헤더의 DSCP값을 해당 타사업자의 폴리시에 따른 값으로 가공한다.
이들 통신방식의 패킷 형식으로 패킷을 가공함으로써, 1개의 풀메쉬 다단 네트워크에서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통신이나 외부 네트워크 접속 통신이나 특정 외부 네트워크간 통신 등의 각종 서비스의 패킷 통신을 중첩해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제4 실시예]
VoIP과 베스트 에포트통신이 혼재하는 IP 통신에서는, 도20에 나타낸 것과 같이,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23)에 있어서, IP 헤더의 DSCP의 우선도로 VoIP를 최우선으로 분류(클래시파이)하고, 베스트 에포트의 패킷에 관해서는 송신 출력 버퍼가 일정량 이상(해당 파장 패스의 리소스가 임계값 이상에 해당)인 경우, 스케쥴러가 자동으로 해당 패킷을 다른 공간이 있는 버퍼에 송신한다.
이 스케쥴러의 처리는, IP 라우팅과 관계없이(도20에서는 IP 라우팅의 후에) 행해지는 처리이기 때문에, IP 라우팅 테이블의 변경 등은 일체 필요없이 우회를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태틱컬 라우팅 및 다이나믹 라우팅에 있어서 테이블 변경이 관계하는 라우터에서 모두 종료할 때까지 타임 랙(time lag)을 필요로 하여, 그 사이의 라우팅이 정확하게 행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 것 등의 문제점이 없이 우회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5 실시예]
제어 서버에 의한 호 접수제어 통신을 행하는 P2P형 패킷 통신으로서 SIP을 사용한 경우에는, 제어 서버가 SIP 프록시 서버에 해당하고, 통화 요구는 "INVITE" 메시지에, 통화 응답은 "200ok" 메시지나 "486 Busy Here" 메시지 등에 대응한다.
상기 [실시예] 식별항목에서 나타낸, 리소스가 확보가능한 통화 승인가능한 우회 경로를 통신 응답에 포함시켜서 통신원의 유저 단말에 송신하는 경우에는, 유저 단말에 있어서 우회 경로가 되는 엣지 패킷 전송수단의 IP 어드레스를 명시적으로 지정한 IP 소스 라우팅(IPv6에서는, IP 라우팅 헤더를 사용해서 실현 가능)을 사용하여, 라우팅 테이블을 변경하지 않고 우회 통신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VoIP이나 인터넷 접속 등의 스케일러빌리티나 신뢰성이 요구되는 통신 인프라로서 유용하다.

Claims (16)

  1. n(3 이상의 정수)개의 인터페이스를 갖고, 파장분할 다중기술에 근거하는 파장 패스에 의해 전체 인터페이스 사이에서 양방향의 풀메쉬 통신이 가능한 2 이상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과,
    패킷 인식수단,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 및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을 적어도 갖고, 상기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의 인터페이스에 접속되는 엣지 패킷 전송수단과,
    패킷 인식수단 및 패킷 송수신수단을 적어도 갖고, 상기 엣지 패킷 전송수단을 거쳐서 상기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을 트리 형태로 다단접속하는 네트워크간 접속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엣지 패킷 전송수단 및 네트워크간 접속수단의 패킷 인식수단은, 패킷의 헤더로부터 목적지가 되는 엣지 패킷 전송수단을 식별하고,
    상기 엣지 패킷 전송수단의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은, 외부에서 수신한 패킷을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에 입력하는 동시에,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으로부터 출력된 패킷을 외부에 송신하고,
    상기 엣지 패킷 전송수단의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은,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으로부터 입력된 패킷을,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목적지의 엣지 패킷 전송수단에 대응하는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의 파장 패스에 송출하고, 또한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으로부터 입력된 패킷을,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목적지가 해당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 접속된 다른 엣지 패킷 전송수단이면 해 당 다른 엣지 패킷 전송수단에 대응하는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의 파장 패스에 송출하며,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목적지가 해당 엣지 패킷 전송수단 자체 또는 해당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엣지 패킷 전송수단이면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에 출력하고,
    상기 네트워크간 접속수단의 패킷 송수신수단은, 엣지 패킷 전송수단으로부터 수신한 패킷을,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목적지의 엣지 패킷 전송수단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 네트워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은, 물리적으로 독립된 복수의 병렬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엣지 패킷 전송수단은, 복수의 병렬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의 어느 한개 및 네트워크간 접속수단에 접속되는 제1 엣지 패킷 전송수단과, 복수의 병렬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의 모두에 접속되는 제2 엣지 패킷 전송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네트워크간 접속수단은, 패킷 송수신수단의 입력측에 설치되어, 복수의 병렬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제1 엣지 패킷 전송수단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패킷을, 목적지가 되는 다른 복수의 병렬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 각각 접속된 다른 복수의 제1 엣지 패킷 전송수단 중 어느 것에 전송할지를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갖고,
    상기 제2 엣지 패킷 전송수단의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은,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으로부터 입력된 패킷을,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목적지의 제1또는 제2 엣지 패킷 전송수단에 대응하는 복수의 병렬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의 동일 파장 패스에 동시에 송출하고, 또한 복수의 병렬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의 동일 파장 패스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패킷을,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목적지가 해당 복수의 병렬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 접속된 다른 제1 또는 제2 엣지 패킷 전송수단이면 해당 다른 제1 또는 제2 엣지 패킷 전송수단에 대응하는 복수의 병렬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의 동일 파장 패스에 동시에 송출하며,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목적지가 해당 제2 엣지 패킷 전송수단 자체 또는 해당 복수의 병렬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제1 또는 제2 엣지 패킷 전송수단이면 그중의 한개를 선택해서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 네트워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간 접속수단은, 복수의 병렬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제1 엣지 패킷 전송수단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패킷에서 패킷 헤더의 DSCP 값에 의해 식별된 패킷을 각각 추출해서 비교하여, 패킷 손실이 있을 경우는 대응하는 다른 패킷을 복사하는 통신 처리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 네트워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 패킷 전송수단은,
    패킷의 헤더로부터 목적지가 되는 엣지 패킷 전송수단과 함께 서비스를 식별하는 패킷 인식수단과,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이 외부에서 수신한 패킷을,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통신방식이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 있어서의 통신방식과 다른 경우에는 해당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 있어서의 통신방식의 패킷 형식으로 가공하고, 또한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으로부터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에 입력되어,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에 출력되는 패킷을,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통신방식이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 있어서의 통신방식과 다른 경우에는 해당 서비스에 대응하는 통신방식의 패킷 형식으로 가공하는 패킷 가공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 네트워크.
  5. 제 4항에 있어서,
    특정한 엣지 패킷 전송수단과 외부 네트워크를 접속하는 게이트웨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특정한 엣지 패킷 전송수단의 패킷 가공수단은,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에 출력 되는 패킷을,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서비스가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을 행하는 서비스인 경우에는 해당 서비스에 대응하는 통신방식의 패킷 형식으로 가공하고,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은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목적지의 외부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게이트웨이 수단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 네트워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 패킷 전송수단은,
    상기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의 해당 엣지 패킷 전송수단이 접속하는 인터페이스에 관한 모든 파장 패스의 리소스 상태를 관리하는 리소스 관리수단과,
    해당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를 패킷으로서 전송하는 리소스 정보 전송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 네트워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 패킷 전송수단의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은,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 또는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으로부터 입력되어,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목적지가 해당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 접속된 다른 엣지 패킷 전송수단인 패킷을, 해당 다른 엣지 패킷 전송수단에 대응하는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의 파장 패스에 송출할 때, 상기 리소스 관리수단으로부터의 파장 패스의 리소스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해당 파장 패스의 리소스 상태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다른 파장 패스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 네트워크.
  8. 제 6항에 있어서,
    호 접수 제어수단을 구비한 제어 서버에 대하여 통화 요구 및 통화 응답의 호 제어 패킷을 송신해서 호 접수제어를 행하는 통신인 경우,
    상기 엣지 패킷 전송수단의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 또는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은,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패킷 종별이 호 제어 패킷일 경우, 해당 호 제어 패킷에 리소스 관리수단에 의한 리소스 상태 정보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 네트워크.
  9. n(3이상의 정수)개의 인터페이스를 갖고, 파장분할 다중기술에 근거하는 파장 패스에 의해 전체 인터페이스 사이에서 양방향의 풀메쉬 통신이 가능한 2 이상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과,
    패킷 인식수단,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 및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을 적어도 갖고, 상기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의 인터페이스에 접속되는 엣지 패킷 전송수단과,
    패킷 인식수단 및 패킷 송수신수단을 적어도 갖고, 상기 엣지 패킷 전송수단을 거쳐서 상기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을 트리 형태로 다단접속하는 네트워크간 접속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엣지 패킷 전송수단에 있어서,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이 수신한 패킷에 대하여, 상기 패킷 인식수단이 목적지가 되는 엣지 패킷 전송수단을 식별하여, 상기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이 목적지에 대응하는 상기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의 파장 패스에 대하여 해당 패킷을 송출하고,
    해당 파장 패스에 대향하는 엣지 패킷 전송수단에 있어서,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이 수신한 해당 패킷에 대하여, 패킷 인식수단이 목적지가 되는 엣지 패킷 전송수단을 식별하여, 목적지에 대응하는 상기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 또는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이 해당 패킷을 송출하고, 해당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이 상기 네트워크간 접속수단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네트워크간 접속수단이 해당 패킷의 목적지에 대응한 엣지 패킷 전송수단에 대하여 해당 패킷을 송출하며, 이들 처리를 해당 패킷이 목적지가 되는 엣지 패킷 전송수단으로부터 송출될 때까지 반복함으로써 패킷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물리적으로 독립된 복수의 병렬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과,
    복수의 병렬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의 어느 한개 및 네트워크간 접속수단에 접속되는 제1 엣지 패킷 전송수단과, 복수의 병렬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의 모두에 접속되는 제2 엣지 패킷 전송수단으로 구성되는 엣지 패킷 전송수단과,
    패킷 송수신수단의 입력측에 설치되어, 복수의 병렬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제1 엣지 패킷 전송수단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패킷을, 목적지가 되는 다른 복수의 병렬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 각각 접속된 다른 복수의 제1 엣지 패킷 전송수단 중 어느 것에 전송할지를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갖는 네트워크간 접속수단을 사용하여,
    제2 엣지 패킷 전송수단에 있어서, 상기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이 수신한 패킷에 대하여, 상기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이 복수의 병렬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의 파장 패스에 대하여 해당 패킷을 동시에 송출하고,
    네트워크간 접속수단에 있어서, 복수의 제1 엣지 패킷 전송수단으로부터 목적지가 되는 다른 복수의 제1 엣지 전송수단에의 패스를 전환수단에 의해 전환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병렬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 사이의 통신 구성을 변경함으로써 송출되는 패킷을 선택하고,
    목적지에 대응하는 제2 엣지 패킷 전송수단에 있어서, 복수의 병렬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으로부터 수신한 패킷을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이 선택해서 송출 하는 것에 의해 패킷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통신 처리수단을 갖는 네트워크간 접속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통신 처리수단에 있어서, 복수의 병렬의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제1 엣지 패킷 전송수단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패킷에서 패킷 헤더의 DSCP 값에 의해 식별된 패킷을 각각 추출해서 비교하여, 패킷 손실이 있을 경우에는 대응하는 다른 패킷을 복사하는 것에 의해 패킷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패킷 가공수단을 갖는 엣지 패킷 전송수단을 사용하여,
    엣지 패킷 전송수단에 있어서,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이 외부에서 수신한 패킷을,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통신방식이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 있어서의 통신방식과 다른 경우에는 패킷 가공수단에 의해 해당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 있어서의 통신방식의 패킷 형식으로 가공하고,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으로부터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에 입력되어,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에 출력되는 패킷을,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통신방식이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 있어서의 통신방식과 다른 경우에는 패킷 가공수단에 의해 해당 서비스에 대응하는 통신방식의 패킷 형식으로 가공함에 의해 복수의 서비스를 중첩한 패킷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특정한 엣지 패킷 전송수단과 외부 네트워크를 접속하는 게이트웨이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특정한 엣지 패킷 전송수단에 있어서,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에 출력되는 패킷을, 패킷 가공수단이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서비스가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을 행하는 서비스인 경우에는 해당 서비스에 대응하는 통신방식의 패킷 형식으로 가공하여,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이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목적지의 외부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게이트웨이 수단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리소스 관리수단 및 리소스 정보 전송수단을 갖는 엣지 패킷 전송수단을 사용하여,
    엣지 패킷 전송수단에 있어서, 리소스 관리수단이 상기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의 해당 엣지 패킷 전송수단이 접속하는 인터페이스에 관한 모든 파장 패스의 리소스 상태를 관리하고, 리소스 정보 전송수단이 해당 리소스 상태에 관한 정보를 패킷으로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 패킷 전송수단의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에 있어서,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 또는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으로부터 입력되고,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목적지가 해당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에 접속된 다른 엣지 패킷 전송수단인 패킷을, 해당 다른 엣지 패킷 전송수단에 대응하는 풀메쉬 파장분할다중 전송수단의 파장 패스에 송출할 때, 상기 리소스 관리수단으로부터의 파장 패스의 리소스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해당 파장 패스의 리소스 상태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다른 파장 패스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호 접수 제어수단을 구비한 제어 서버에 대하여 통화 요구 및 통화 응답의 호 제어 패킷을 송신해서 호 접수제어를 행하는 통신인 경우,
    상기 엣지 패킷 전송수단의 외부 패킷 송수신수단 또는 내부 패킷 송수신수단에 있어서, 패킷 인식수단에 의해 식별된 패킷 종별이 호 제어 패킷일 경우, 해당 호 제어 패킷에 리소스 관리수단에 의한 리소스 상태 정보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통신방법.
KR1020067016721A 2004-10-29 2005-10-25 패킷 통신 네트워크 및 패킷 통신방법 KR1008046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16070 2004-10-29
JP2004316070 2004-10-29
PCT/JP2005/019627 WO2006046576A1 (ja) 2004-10-29 2005-10-25 パケット通信ネットワーク及びパケット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955A KR20070033955A (ko) 2007-03-27
KR100804664B1 true KR100804664B1 (ko) 2008-02-20

Family

ID=36227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6721A KR100804664B1 (ko) 2004-10-29 2005-10-25 패킷 통신 네트워크 및 패킷 통신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38325B2 (ko)
EP (1) EP1806878A1 (ko)
JP (1) JP4317216B2 (ko)
KR (1) KR100804664B1 (ko)
CN (1) CN1926828B (ko)
CA (1) CA2557733C (ko)
WO (1) WO20060465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3967B2 (ja) 2003-11-20 2008-02-27 株式会社日立コミュニケ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 Vlanサーバ
US8463927B2 (en) 2006-12-29 2013-06-11 Ebay Inc. Video mail through peer to peer network
JP2009212741A (ja) * 2008-03-04 2009-09-17 Kddi Corp メッシュネットワークにリングトポロジを構成する通信ノード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IT1394632B1 (it) * 2009-06-22 2012-07-05 St Microelectronics Srl "trasmettitore ottico"
US8401404B2 (en) 2009-06-22 2013-03-19 Stmicroelectronics S.R.L. Optical receiver
JP5704694B2 (ja) * 2010-12-20 2015-04-22 独立行政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光アクセスシステム
CN102904792B (zh) * 2012-09-21 2015-03-25 北京华为数字技术有限公司 业务承载的方法及路由器
CN104662525B (zh) 2012-09-24 2017-05-03 富士通株式会社 并行计算机、节点装置以及并行计算机的控制方法
JP2015530767A (ja) * 2012-09-28 2015-10-15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36926B2 (ja) * 2016-03-03 2018-12-12 ソフトバンク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通信方法
AU2019338528A1 (en) * 2018-09-14 2021-02-18 Agjunction Llc Using non-real-time computers for agricultural guidance systems
US11343358B2 (en) * 2019-01-29 2022-05-24 Marvell Israel (M.I.S.L) Ltd. Flexible header alteration in network devices
US11489948B2 (en) * 2019-12-30 2022-11-01 Cloudflare, Inc. Method and system for reliable application layer data transmission through unreliable transport layer connections in a networ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1112A (ja) * 1998-10-26 2000-07-1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波長分割多重伝送ネットワ―ク装置
JP2002261806A (ja) * 2001-03-05 2002-09-13 Sony Corp 通信処理システム、通信処理方法、および通信端末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4235741A (ja) * 2003-01-28 2004-08-19 Fujitsu Ltd 光伝送装置及び該光伝送装置を有する光波長多重ネットワーク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1146A (en) * 1993-03-01 1994-09-27 At&T Bell Laboratories All-optical network architecture
CA2242191A1 (en) * 1998-06-30 1999-12-30 Northern Telecom Limited A large scale communications network having a fully meshed optical core transport network
US6970451B1 (en) * 1999-10-12 2005-11-29 At&T Corp. Smart routers-simple optics: network architecture for IP over WDM
US6842463B1 (en) * 2000-07-14 2005-01-11 Nortel Networks Limited Automated and adaptive management of bandwidth capacity in telecommunications networks
US6665495B1 (en) * 2000-10-27 2003-12-16 Yotta Networks, Inc. Non-blocking, scalable optical router architecture and method for routing optical traffic
JP2002262319A (ja) 2001-03-01 2002-09-1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通信網および光パスクロスコネクト装置
JP2003235061A (ja) 2002-02-07 2003-08-2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波長パス通信網および光クロスコネクト装置
US8532087B2 (en) 2003-02-03 2013-09-10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Optical network, optical edge router, program thereof, cut through method, and edge router
CN1745529B (zh) 2003-02-13 2015-08-19 日本电信电话株式会社 光通信网络系统
JP4360939B2 (ja) * 2004-03-01 2009-11-11 三菱電機株式会社 因果順序保存放送型通信方法および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1112A (ja) * 1998-10-26 2000-07-1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波長分割多重伝送ネットワ―ク装置
JP2002261806A (ja) * 2001-03-05 2002-09-13 Sony Corp 通信処理システム、通信処理方法、および通信端末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4235741A (ja) * 2003-01-28 2004-08-19 Fujitsu Ltd 光伝送装置及び該光伝送装置を有する光波長多重ネットワー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57733C (en) 2011-11-29
EP1806878A1 (en) 2007-07-11
US8238325B2 (en) 2012-08-07
JP4317216B2 (ja) 2009-08-19
WO2006046576A1 (ja) 2006-05-04
CN1926828B (zh) 2010-05-05
KR20070033955A (ko) 2007-03-27
US20070242684A1 (en) 2007-10-18
CA2557733A1 (en) 2006-05-04
CN1926828A (zh) 2007-03-07
JPWO2006046576A1 (ja) 2008-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4664B1 (ko) 패킷 통신 네트워크 및 패킷 통신방법
US6628617B1 (en) Technique for internetworking traffic on connectionless and connection-oriented networks
JP4280286B2 (ja) パケット通信ネットワーク及びパケット通信方法
JP3940122B2 (ja) 一次接続の代替接続に対する使用可能フューチャの形成方法
EP2030385B1 (en) Routing protocol with packet network attributes for improved route selection
US7050424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proxy server workload shifting for load balancing
KR100454502B1 (ko) 아이피 라우터에서 VoIP 트래픽에 대한 QoS를제공하는 장치 및 포워딩방법
US200802473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mproved VoIP services
JP2008515348A (ja) パケットベースネットワークの論理トランクグループ
JP2002530939A (ja) 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コネクション指向サービスの管理方法
JP2005525025A (ja) パケット・カプセル化を用いたスイッチング・アーキテクチャー
CN114070382B (zh) 一种卫星用户多网系选路方法
US7016355B1 (en) Determination of the propagation delay in a packet switched network
US20090168642A1 (en) Telephone system, and node device and rerouting method for the system
CA2997246A1 (en) Hybrid data transport solution, in particular for satellite links
US942618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load balancing call sessions over a dual ring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CN100539545C (zh) 用于在分组交换通信网中确定多径传输路径的方法和网络节点
JP4189965B2 (ja) 通信ノード
JP2006129496A (ja) 通信リングでフレームをルーティングする方法、装置、論理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Murakami The NGN—A carrier-grade IP convergence network
JP2004312380A (ja) 帯域管理システム
WO2002039675A1 (fr) Reseau de communication regional
RU2597000C2 (ru) Корабельная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ая сеть
Kavitha et al. A modified efficient traffic scheduling algorithm for routing in optical WDM mesh networks
JP2003333105A (ja) Ipテレフォニーシステム及びそのサーバ用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