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3955B1 - 잔류 모노머의 함량이 낮은 인조대리석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잔류 모노머의 함량이 낮은 인조대리석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3955B1
KR100803955B1 KR1020060135808A KR20060135808A KR100803955B1 KR 100803955 B1 KR100803955 B1 KR 100803955B1 KR 1020060135808 A KR1020060135808 A KR 1020060135808A KR 20060135808 A KR20060135808 A KR 20060135808A KR 100803955 B1 KR100803955 B1 KR 100803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itiator
parts
weight
artificial marble
acryl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5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희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5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39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9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06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6Oxides,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12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organic derivatives of hydrazine
    • C04B24/121Amines, pol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54Substitutes for natural stone, artistic materials or the like
    • C04B2111/542Artificial natural stone
    • C04B2111/545Artificial mar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ization Catalyst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류 모노머의 함량이 낮은 인조 대리석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금속 수산화물, 메르캅탄, 3급 아민 등에 의해 반응이 촉진되어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분해가 이루어져 경화가 용이하게 일어나도록 하는 개시제와 고온에서 열에 의해서 분해가 이루어질 수 있는 열분해 개시제를 혼합 사용하여 경화 최종 단계에서는 잔류 모노머의 함량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조 대리석, 잔류 모노머, 개시제, 촉진제

Description

잔류 모노머의 함량이 낮은 인조대리석 및 그의 제조 방법{Artificial Marble Having Lower Residual Monom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잔류 모노머의 함량이 낮은 인조 대리석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저온 또는 상온에서 경화 반응이 가능하면서,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분해가 이루어져 경화가 용이하게 일어나고, 경화 최종 단계에서는 잔류 모노머의 함량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최근 건축 내장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인조대리석은 그 사용되는 베이스 레진(Base resin)에 의해 크게 아크릴계와 불포화폴리에스터계의 두 가지 종류로 구분되며, 이중 아크릴계 인조 대리석은 수지 자체의 은은한 투명성과 고급스러운 질감 및 우수한 내후성 등의 특징으로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면, 씽크대 상판, 세면 화장대의 상판, 은행 및 일반 매장의 접수대 등 각종 카운터의 상판, 상품 매장의 내벽재, 욕조, 싱크 보울(sink bowl) 및 각종 인테리어 조형물의 소재로서 전 세계적으로 그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아크릴계 인조 대리석은 아크릴계 수지 시럽에 무기 충전제 및 개시제를 첨가하여 경화시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금속 수산화물, 메르캅탄, 3급아민과 같은 촉진제를 사용하여 저온 또는 상온에서 개시제의 분해반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경화하는 방법과 가열을 하여 고온에서 열에 의해 개시제의 분해가 이루어져 경화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미국특허등록 제3847865호에서는 금속 수산화물에 의해 터셔리부틸말레산의 분해를 촉진하여 경화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미국특허등록 제3900453호에서는 메르캅탄을 이용하여 저온 또는 상온에서 개시제의 분해반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경화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금속 수산화물, 메르캅탄, 3급 아민과 같은 촉진제를 사용하여 저온 또는 상온에서 개시제의 분해반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경화하는 방법은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경화가 가능하게 하고, 반응을 빠르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최종 제품에서 잔류하는 모노머의 함량이 지나치게 많다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경화가 완료된 인조 대리석은 그 사용 용도에 따라서 샌딩 및 절단 등의 작업을 거치게 되는데, 인조대리석에 잔류하는 모노머의 함유량이 많은 경 우에는 샌딩 및 절단 등의 작업시, 샌딩열 및 절단시 발생하는 열 등에 의해 악취가 심하게 발생하여 작업자의 작업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것이다.
특히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세계적으로 각 소재의 사용 및 취급시 환경 안전성에 대한 규제가 더욱 강화되는 추세에 따라 인조대리석의 경우에도 최종 제품에 잔류 모노머의 함유량을 낮추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으며, 따라서 잔류 모노머 함유량이 1.0% 이하로 제조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가열을 하여 고온에서 열에 의해 개시제의 분해가 이루어져 경화하는 방법은 상대적으로 최종제품에 잔류하는 모노머의 함량이 낮을 수 있으나, 개시제의 취급에 있어서 공정 위험성이 증가하거나, 일정 온도 이상까지 가열을 해야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경화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반응촉진제에 의해 분해되는 개시제와 열분해성 개시제를 혼합 사용함으로써, 최종제품에 잔류하는 모노머의 함량을 1.0 % 이하로 낮출 수 있는 인조대리석 슬러리, 인조대리석 및 그의 제조방법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최종제품에 잔류하는 모노머의 함량이 낮은 인조대리석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온 또는 상온에서 경화 반응이 가능한 인조대리석 슬러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분해가 이루어져 경화가 용 이한 인조대리석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샌딩작업시 악취가 발생하지 않아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조대리석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친환경적인 인조대리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아크릴계 수지 시럽에 반응촉진제 및 상기 반응촉진제에 의해 분해되는 개시제(A)와 열분해성 개시제(B)로 이루어진 개시제 혼합물을 투입하여 인조대리석 슬러리를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인조대리석 슬러리를 경화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반응촉진제로는 금속 수산화물, 메르캅탄류 또는 3급 아민이 사용된다.
상기 반응촉진제가 금속 수산화물 또는 메르캅탄류일 경우, 개시제(A)로는 터셔리 부틸 퍼옥시 말레에이트, 터셔리 부틸 퍼옥시 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으로부터 선택되고, 열분해성 개시제(B)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라우로일 퍼옥사이드, 부틸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큐밀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터셔리 부틸 퍼옥시 헥사노에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반응촉진제가 3급 아민일 경우, 개시제(A)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부틸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큐밀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열분해성 개시제(B)는 터셔리 부틸 퍼옥시 헥사노에이트, 터셔리 아밀 퍼옥시 헥사노에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은 아크릴계 수지 시럽에 반응촉진제 및 상기 반응촉진제에 의해 분해되는 개시제(A)와 열분해성 개시제(B)로 이루어진 개시제 혼합물을 투입하여 인조대리석 슬러리를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인조대리석 슬러리를 경화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조단계에서 경화전 제조된 인조대리석 슬러리 각각의 구성성분에 대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 시럽은 아크릴계 단량체에 이들의 중합체인 폴리아크릴레이트가 용해되어 있는 시럽이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 시럽은 아크릴계 단량체 65∼99 중량%, 폴리아크릴레이트 1∼35 중량%로 이루어진다.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의 예로는 메타 아크릴산, 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이소 프로필 메타 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2-에틸 헥실 메타 아클릴레이트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개시제의 분해 반응을 촉진하는 반응촉진제로는 수산화 칼슘,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주기율표에서 1A, 2A족의 금속 수산화물; 터셔리도데실메르캅탄, 노말도데실메르캅탄, 노말옥틸메르캅탄, 노말부틸메르캅탄, 글리콜디메르캅토아세테이트와 같은 메르캅탄류; 벤질디메틸아민, 디메틸파라톨루이딘, 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과 같은 3급 아민 등을 사용한다.
상기 반응촉진제가 금속 수산화물일 경우, 아크릴 수지 시럽 100 중량부 기준으로 0.1∼5.0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0.5∼3.0 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금속 수산화물의 함량이 5.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추가적으로 투입량을 증가시키더라도 촉진효과가 증가되지 않거나 그 효과가 미미하여 추가 투입의 의미가 없으며,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촉진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워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상기 반응촉진제가 메르캅탄류일 경우, 아크릴 수지 시럽 100 중량부 기준으로 0.05∼2.0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0.1∼1.0 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메르캅탄류의 함량을 0.05 중량부 미만으로 투입하는 경우 충분한 반응촉진이 이루어지지 않아 반응속도가 빨라지는 효과가 미미하며,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투입하는 경우는 개시제의 효율을 저하시켜 불완전한 반응 종결이 이루어져 본 발명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상기 금속 수산화물이나 메르캅탄류 반응촉진제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전체 반응촉진제 함량이 0.02 내지 5.0 중량부를 초과하지 않는다.
상기 반응촉진제가 3급 아민일 경우, 아크릴 수지 시럽 100 중량부 기준으로 0.02 내지 2.0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0.05 내지 1.0 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0.02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 충분한 촉진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본 발명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과도한 촉진효과로 인해서 최종 제품의 잔류 모노머 함량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어, 이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상기 반응촉진제에 의해 분해가 이루어지는 개시제(A)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부틸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큐밀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터셔리 부틸 퍼옥시 말레에이트, 터셔리 부틸 퍼옥시 아세테이트 등의 과산화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에 의해서 분해가 이루어지는 개시제(B)로는 상기 반응촉진제에 의한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는 과산화물 또는 아조 화합물을 사용한다. 상기 과산화물로는 상기 반응촉진제로 선택된 종류와 반응을 하지 않거나 영향이 낮은 종류면 어떤 것도 무방하며, 금속 수산화물이나 메르캅탄류를 사용할 경우에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라우로일 퍼옥사이드, 부틸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큐밀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터셔리 부틸 퍼옥시 헥사노에이트 등의 과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3급 아민과 같은 종류의 반응 촉진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터셔리 부틸 퍼옥시 헥사노에이트, 부틸하이드로 퍼옥사이드, 터셔리 아밀 퍼옥시 헥사노에이트 등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서는 반응촉진제가 금속 수산화물 또는 메르캅탄류일 경우, 개시제(A)로는 터셔리 부틸 퍼옥시 말레에이트, 터셔리 부틸 퍼옥시 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열분해성 개시제(B)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라우로일 퍼옥사이드, 부틸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큐밀 하이드로 퍼옥사이 드, 터셔리 부틸 퍼옥시 헥사노에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는 상기 반응촉진제가 3급 아민일 경우, 개시제(A)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부틸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큐밀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열분해성 개시제(B)는 터셔리 부틸 퍼옥시 헥사노에이트, 터셔리 아밀 퍼옥시 헥사노에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개시제 혼합물 (A) 및 (B)는 아크릴 수지 시럽 100 중량부 기준으로 0.1∼1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인조 대리석 슬러리는 무기 충전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충전물은 탄산칼슘, 수산화 알루미늄, 실리카, 알루미나, 수산화 마그네슘과 같이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무기 분말 중 어느 것도 사용 가능하며, 1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의 크기를 갖는다.
상기 무기 충전물의 혼합비는 아크릴 수시 시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0∼300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120∼200 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인조 대리석 슬러리는 가교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로는 아크릴계 다관능성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다관능성 단량체로는 에틸렌 글리콜 디 메타 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 메타 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트리 메타 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 프로판 트리 메타 아크릴레이트 및 비스페놀 A 디 메타 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아크릴 수지 시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0 중량부 이하로 첨가한다. 2~15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인조 대리석 슬러리는 마블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블칩은 베이스와 동일한 조성으로 제조된 인조 대리석 제품을 햄머밀 타입의 파쇄기 또는 커터 타입의 파쇄기를 이용하여 파쇄한 후 다양한 크기의 채를 이용하여 0.1∼10 ㎜ 크기로 분류한 것이다.
상기 마블칩의 혼합비는 아크릴 수지 시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0 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며, 60 중량부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는 상기 인조 대리석 슬러리는 아크릴 수지 시럽 100 중량부, 무기 충전물 100 내지 300 중량부, 반응촉진제 0.02 내지 5.0 중량부, 및 상기 반응촉진제에 의해 분해되는 개시제(A)와 열분해성 개시제(B)로 이루어지는 개시제 혼합물 0.1 내지 10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는 상기 인조대리석 슬러리는 아크릴 수지 시럽 100 중량부, 무기 충전물 100 내지 300 중량부, 금속 수산화물 반응촉진제 0.1 내지 5.0 중량부, 및 터셔리 부틸 퍼옥시 말레에이트와 벤조일 퍼옥사이드의 개시제 혼합물 0.1 내지 10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는 상기 인조대리석 슬러리는 아크릴 수지 시럽 100 중량부, 무기 충전물 100 내지 300 중량부, 메르캅탄류 반응촉진제 0.05 내지 2.0 중량부 및 터셔리 부틸 퍼옥시 말레에이트와 부틸 하이드로 퍼옥사 이드의 개시제 혼합물 0.1 내지 10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는 상기 인조대리석 슬러리는 아크릴 수지 시럽 100 중량부, 무기 충전물 100 내지 300 중량부, 3급 아민계 반응촉진제 0.02 내지 2.0 중량부, 및 큐밀 하이드로 퍼옥사이드와 터셔리 아밀 퍼옥시 헥사노에이트의 개시제 혼합물 0.1 내지 10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조대리석 슬러리는 통상의 방법으로 경화된다. 경화온도는 25∼60℃에서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반응촉진제에 의해 분해되는 개시제와 열분해성 개시제를 혼합 사용함으로써, 저온 또는 상온에서 빠른 경화 반응이 가능하고 최종 제품에 잔류 하는 모노머 함량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조대리석은 잔류 모노머 함량이 1.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30%의 폴리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와 70%의 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 100 중량부의 메틸메타 아크릴레이트 수지 시럽(이하 '수지 시럽'으로 칭함), 수산화 알루미늄 150 중량부, 트리메틸 프로판 트리 메타 아크릴레이트 3 중량부, 마블칩 40 중량부, 수산화 칼슘 1.5 중량부, 터셔리도데실메르캅탄 0.5 중량부, 터 셔리 부틸 퍼옥시 말레에이트 2 중량부, 및 라우로일 퍼옥사이드 2 중량부를 혼합하여 인조대리석 제조를 위한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300×600×15㎜의 유리 성형 셀에 상기 제조한 슬러리를 부은 후 45℃ 열풍오븐에 넣어 경화를 시켰다. 경화가 완료된 후 상온까지 냉각된 인조 대리석 제품에서 잔류하는 모노머 함량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또한 온도 센서를 삽입하여 경화과정에서 온도 변화를 확인하여 개시제의 혼합 후 최고 온도까지 도달 시간을 확인하여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실시예 1
라우로일 퍼옥사이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행하였다.
비교실시예 2
터셔리 부틸 퍼옥시 말레에이트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행하였다.
비교실시예 3
터셔리 부틸 퍼옥시 말레에이트를 사용하지 않는 것과 오븐온도를 80℃로 유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행하였다.
비교실시예 4
터셔리도데실메르캅탄 투입량을 0.01 중량부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행하였다.
비교실시예 5
터셔리도데실메르캅탄 투입량을 2.5 중량부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인조대리석 제품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잔류 모노머 함량(%) :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모노머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인조대리석을 잘게 파쇄하여 상기 인조대리석에 잔류하는 모노머들이 디클로로메탄에 용출되도록 하여 측정하였다..
(2) 최고 온도 도달시간 : 반응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슬러리 내부에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온도 센서를 삽입하여 경화과정에서 온도 변화를 확인하여 개시제의 혼합 후 최고 온도까지 도달 시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잔류모노머함량(%) 0.64 2.21 - 0.85 0.92 3.27
최고 온도 도달 시간(분) 14 15 212 36 71 12
상기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두 개시제(A, B)를 사용한 실시예 1의 경우, 반응속도가 빠르고, 제조된 인조대리석에 잔류하는 모노머의 함량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반응 촉진제에 의해 분해가 이루어지는 개시제만을 사용한 비교예 1의 경우 반응속도는 빠르나 잔류 모노머 함량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2와 같이 저온에서 반응 촉진제에 의해 분해되는 개시제를 사용하지 않고 열에 의해서 분해되는 개시제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응 시간이 매우 길어져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고, 또한 충분한 반응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3과 같이 반응 온도를 고온으로 유지하는 경우에는 열에 의해서 분해되는 개시제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잔류 모노머의 함량이 낮은 인조대리석을 제조할 수 있으나, 가열을 요하고 또한 충분한 반응속도를 갖지 못하는 단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비교예 4와 5의 경우 메르캅탄 함량이 낮은 경우에는 반응 속도가 늦어지며, 과량이 투입되는 경우 잔류 모노머의 함량이 크게 증가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본 발명은 금속 수산화물, 메르캅탄, 3급 아민 등에 의해 반응이 촉진되어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분해가 이루어져 경화가 용이하게 일어나도록 하는 개시제와 고온에서 열에 의해서 분해가 이루어질 수 있는 열분해 개시제를 혼합 사용하여, 경화 최종 단계에서는 잔류 모노머의 함량이 낮은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5)

  1. 아크릴계 수지 시럽에 반응촉진제 및 (A) 상기 반응촉진제에 의해 분해되는 개시제와 (B) 열분해성 개시제로 이루어진 개시제 혼합물을 투입하여 인조대리석 슬러리를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인조대리석 슬러리를 경화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응촉진제는 금속 수산화물 또는 메르캅탄류이며, 상기 개시제(A)는 터셔리 부틸 퍼옥시 말레에이트, 터셔리 부틸 퍼옥시 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열분해성 개시제(B)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라우로일 퍼옥사이드, 부틸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큐밀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터셔리 부틸 퍼옥시 헥사노에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2. 아크릴계 수지 시럽에 반응촉진제 및 (A) 상기 반응촉진제에 의해 분해되는 개시제와 (B) 열분해성 개시제로 이루어진 개시제 혼합물을 투입하여 인조대리석 슬러리를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인조대리석 슬러리를 경화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응촉진제는 3급 아민이며, 상기 개시제(A)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부틸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큐밀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열분해성 개시제(B)는 터셔리 부틸 퍼옥시 헥사노에이트, 터셔리 아밀 퍼옥시 헥사노에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대리석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수산화물은 알칼리 금속(1A) 또는 알칼리 토금속(2A)의 수산화물이고, 상기 아크릴계 수지 시럽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5.0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대리석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르캅탄류는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2.0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대리석의 제조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3급 아민은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2∼2.0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대리석의 제조 방법.
  6.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되고, 아크릴계 잔류 모노머 함량이 1.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대리석.
  7. 제2항 및 제5항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되고, 아크릴계 잔류 모노머 함량이 1.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대리석.
  8. 아크릴 수지 시럽 100 중량부;
    무기 충전물 100 내지 300 중량부;
    반응촉진제 0.02 내지 5.0 중량부; 및
    (A)상기 반응촉진제에 의해 분해되는 개시제와 (B)열분해성 개시제로 이루어지는 개시제 혼합물 0.1 내지 10 중량부;
    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응촉진제는 금속 수산화물 또는 메르캅탄류이며, 상기 개시제(A)는 터셔리 부틸 퍼옥시 말레에이트, 터셔리 부틸 퍼옥시 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열분해성 개시제(B)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라우로일 퍼옥사이드, 부틸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큐밀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터셔리 부틸 퍼옥시 헥사노에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대리석 슬러리.
  9. 아크릴 수지 시럽 100 중량부;
    무기 충전물 100 내지 300 중량부;
    반응촉진제 0.02 내지 5.0 중량부; 및
    (A)상기 반응촉진제에 의해 분해되는 개시제와 (B)열분해성 개시제로 이루어지는 개시제 혼합물 0.1 내지 10 중량부;
    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응촉진제는 3급 아민이며, 상기 개시제(A)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부틸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큐밀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열분해성 개시제(B)는 터셔리 부틸 퍼옥시 헥사노에이트, 터셔리 아밀 퍼옥시 헥사노에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대리석 슬러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촉진제가 금속 수산화물일 경우, 아크릴계 수지 시럽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5.0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대리석 슬러리.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촉진제가 메르캅탄류일 경우,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2.0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대리석 슬러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3급 아민은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2~2.0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대리석 슬러리.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 시럽은 마블칩, 가교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대리석 슬러리.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 시럽은 마블칩, 가교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대리석 슬러리.
  15. 삭제
KR1020060135808A 2006-12-28 2006-12-28 잔류 모노머의 함량이 낮은 인조대리석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803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808A KR100803955B1 (ko) 2006-12-28 2006-12-28 잔류 모노머의 함량이 낮은 인조대리석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808A KR100803955B1 (ko) 2006-12-28 2006-12-28 잔류 모노머의 함량이 낮은 인조대리석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3955B1 true KR100803955B1 (ko) 2008-02-15

Family

ID=39343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5808A KR100803955B1 (ko) 2006-12-28 2006-12-28 잔류 모노머의 함량이 낮은 인조대리석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39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040B1 (ko) * 2010-12-30 2013-11-01 제일모직주식회사 작업성이 우수한 인조대리석용 개시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인조대리석
US20210253478A1 (en) * 2018-06-12 2021-08-19 Nouryon Chemicals International B.V.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omposite articl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8477A (ko) * 1995-06-29 1999-04-15 미리암 디. 메코너헤이 항균 인조 대리석 조성물
KR20010051265A (ko) * 1999-11-05 2001-06-25 오쿠무라 고조 상용화제, 라디칼 공중합성 수지 조성물, 성형재료, 및성형품
KR20050020100A (ko) * 2003-08-21 2005-03-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자개의 외관을 갖는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14764A (ko) * 2004-08-12 2006-02-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티렌-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8477A (ko) * 1995-06-29 1999-04-15 미리암 디. 메코너헤이 항균 인조 대리석 조성물
KR20010051265A (ko) * 1999-11-05 2001-06-25 오쿠무라 고조 상용화제, 라디칼 공중합성 수지 조성물, 성형재료, 및성형품
KR20050020100A (ko) * 2003-08-21 2005-03-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자개의 외관을 갖는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14764A (ko) * 2004-08-12 2006-02-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티렌-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040B1 (ko) * 2010-12-30 2013-11-01 제일모직주식회사 작업성이 우수한 인조대리석용 개시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인조대리석
US20210253478A1 (en) * 2018-06-12 2021-08-19 Nouryon Chemicals International B.V.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omposite artic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8552B1 (en) Preparation method of artificial marble
JP5419985B2 (ja) 樹脂シロップ、この樹脂シロップの硬化物を含む人造大理石及びその製造方法
JP4880585B2 (ja) 粒子含有固体表面材料
KR100633697B1 (ko) 황토를 함유한 인조대리석용 조성물
WO2012053808A9 (en) Synthetic acrylic marble having pearl-containing pattern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22051853A (ja) 合成石のための組成物
KR20040005044A (ko) 마블칩의 침강 편차가 없는 인조 대리석
KR100803955B1 (ko) 잔류 모노머의 함량이 낮은 인조대리석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605584B1 (ko) 인조대리석 칩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KR102207223B1 (ko) 고온 신율이 높은 인조 대리석의 제조방법
KR101324040B1 (ko) 작업성이 우수한 인조대리석용 개시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인조대리석
KR100708983B1 (ko) 크랙무늬를 갖는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96935B1 (ko)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인조대리석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41396B1 (ko) 인조대리석용 투명 칩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98555B1 (ko) 가공성과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경화성 조성물, 경화물 및그 제조방법
KR20160127575A (ko) 재활용 가능한 인조대리석 제조용 수지 조성물
JP3157698B2 (ja) 石目調人工大理石
KR102312578B1 (ko) 인조대리석 제조용 조성물
KR20140045218A (ko) 인조대리석용 투명 칩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조 대리석
KR100796435B1 (ko)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칩을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이를 이용한 조명기구
EP3889121A1 (en) Composition for synthetic stone and stone manufactured thereof
JP2000053838A (ja) 人工大理石用樹脂組成物、その成形体及び成形体の接着方法
KR20180124418A (ko) 인조대리석 조성물, 인조대리석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성형품
KR20100025990A (ko) 인조석 판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00039910A (ko)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열경화성 아크릴계 수지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