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3826B1 - PoC 에서의 미디어 필터링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PoC 에서의 미디어 필터링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3826B1
KR100803826B1 KR1020060043072A KR20060043072A KR100803826B1 KR 100803826 B1 KR100803826 B1 KR 100803826B1 KR 1020060043072 A KR1020060043072 A KR 1020060043072A KR 20060043072 A KR20060043072 A KR 20060043072A KR 100803826 B1 KR100803826 B1 KR 100803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ssion
media
filtering rule
filtering
po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3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9709A (ko
Inventor
김경탁
한미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60043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3826B1/ko
Publication of KR20070109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4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59End-user terminal functionalities specially adapted for real-tim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61Push-to services, e.g. push-to-talk or push-to-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 H04L65/756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adapting media to device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Abstract

PoC 에서의 미디어 필터링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PoC에서의 미디어 필터링 방법은, 기 설정되어 있는 복수개의 세션에 참가하고자 하는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필터링 규칙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되어 있는 세션들 중의 하나인 제1세션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1 PoC 서버로부터 세션 설정 요청을 받아 상기 단말을 상기 제1세션에 참가시키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되어 있는 세션들 중의 하나인 제2세션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2 PoC 서버로부터 세션 설정 요청을 받아 상기 단말을 상기 제2세션에 참가시키고, 상기 제2세션에 적용될 미디어 필터링 규칙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세션에 설정된 필터링 규칙에 따라 상기 제1세션을 통해 전송되는 미디어와 상기 제2세션을 통해 전송되는 미디어를 각각의 세션별로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PoC 서비스 내에서 동시 세션을 설정하고 미디어 필터링을 서비스 이용자의 상황에 따라 세션별로 선택적으로 설정하고 변경함으로써 PoC 서비스의 활용범위를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PoC 에서의 미디어 필터링 방법 및 그 장치 {Method and apparatus of media filtering in PoC}
도 1은 PoC 서비스의 일반적인 구조도,
도 2는 PoC에서 ESS(Enhance Simultaneous PoC Session)을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PoC에서의 ESS을 생성하고 미디어 필터링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PoC에서의 미디어 필터링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푸쉬 투 토크 오버 셀룰러(Push to talk over cellular, 이하 'PoC'라 한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PoC 에서의 미디어 필터링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쉬 투 토크(Push to talk, 이하 'PTT'라 한다)는 VoIP(Voice over IP) 기술을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1대1 또는 1대다로 전송하여 통화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상대방과 통화하기 위하여 버튼을 누른다는 점에서 워키토키와 유사하다. 이러한 PTT 기술을 이동통신망을 이용해 서비스하는 것을 PoC 서비스라고 하며, PoC 서비스에 대한 표준화는 Open Mobile Alliance(OMA)라는 단체에서 진행중에 있다. PoC 에서는 사용자가 복수의 세션에 속해 있을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세션간을 이동하면서 통화를 할 수 있으며, 세션별로 전송되는 미디어를 선택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미디어 필터링 수행시 세션은 고려하지 않고 여러개의 미디어 중 어떤 미디어를 필터링할 것인가 하는 점만을 고려하여 필터링을 수행하므로 세션별 필터링을 하지 않는다. 또한, 미디어 필터링 규칙을 설정하는 구체적인 프로토콜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PoC에서 세션별로 미디어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필터링 규칙을 저장하고 그에 따라 미디어 필터링을 수행하는 PoC에서의 미디어 필터링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PoC에서 미디어 필터링 정보를 SDP(Socket Direct Protocol)을 통해 수신 저장하고, MBCP(Media Burst Control Protocol)을 사용하여 세션별 미디어 필터링 규칙을 변경하는 PoC에서의 미디어 필터링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기 설정되어 있는 복수개의 세션에 참가하고자 하는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필터링 규칙 정보를 수신하여 저 장하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되어 있는 세션들 중의 하나인 제1세션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1 PoC 서버로부터 세션 설정 요청을 받아 상기 단말을 상기 제1세션에 참가시키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되어 있는 세션들 중의 하나인 제2세션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2 PoC 서버로부터 세션 설정 요청을 받아 상기 단말을 상기 제2세션에 참가시키고, 상기 제2세션에 적용될 미디어 필터링 규칙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세션에 설정된 필터링 규칙에 따라 상기 제1세션을 통해 전송되는 미디어와 상기 제2세션을 통해 전송되는 미디어를 각각의 세션별로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C에서의 미디어 필터링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단말로부터의 미디어 필터링 규칙정보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의 PUBLISH 를 통해 수신되어 저장하되, 복수개의 필터링 규칙정보를 프로파일로 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말로부터의 미디어 필터링 규칙정보는, 복수개가 허용되며 각각의 세션별로 세션내의 미디어를 선택적으로 필터링하는 규칙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세션에 적용될 미디어 필터링 규칙 정보는 상기 단말과의 제2세션 설정을 위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SDP(Socket Direct Protocol)에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세션에 적용될 미디어 필터링 규칙정보는 SDP를 사용하여 전달받되, 기 저장된 상기 필터링 규칙 프로파일에 대한 인덱스를 전달받아 설정되는 것이 바 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세션에 적용될 미디어 필터링 규칙정보가 전달되지 않으면 기 저장된 상기 필터링 규칙 프로파일들 중 기본값에 따라 미디어 필터링을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세션의 미디어에 적용되는 미디어 필터링 규칙정보와 상기 제2세션의 미디어에 적용되는 미디어 필터링 규칙정보를 미디어 버스트 제어 프로토콜(MBCP)을 사용하여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 기술적 과제는 기 설정되어 있는 복수개의 세션에 참가하고자 하는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필터링 규칙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필터링 규칙 프로파일 저장부; 상기 기 설정되어 있는 세션들 중의 하나인 제1세션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1 PoC 서버로부터 세션 설정 요청을 받아 상기 단말을 상기 제1세션에 참가시키고, 상기 기 설정되어 있는 세션들 중의 하나인 제2세션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2 PoC 서버로부터 세션 설정 요청을 받아 상기 단말을 상기 제2세션에 참가시키는 세션 설정부; 상기 제2세션에 적용될 미디어 필터링 규칙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설정하는 필터링 규칙 제어부; 및 상기 각각의 세션에 설정된 필터링 규칙에 따라 상기 제1세션을 통해 전송되는 미디어와 상기 제2세션을 통해 전송되는 미디어를 각각의 세션별로 필터링하는 미디어 필터링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C에서의 미디어 필터링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 명한다.
도 1은 PoC 서비스의 일반적인 구조도이다.
PoC 서비스는 세션 처리(session negotiation), 프레젠스 서비스(Presence service), 그룹 관리 서비스(group management service)의 3가지 세부 서비스들로 구성되어 있다. PoC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기본적으로 Session Initiation Protocol(SIP)인데, SIP을 사용하여 음성 또는 기타 미디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세션을 만드는 데 필요한 처리(negotiation)를 한다. SIP는 세션 처리뿐만 아니라 통신 욕구를 증대시키기 위한 프레젠스(Presence)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그리고 통신 상대의 추가, 삭제 등의 관리(Group Management)는 HTTP의 extension인 XML Configuration Access Protocol(XCAP)을 사용하고 있다.
SIP는 원래 VoIP 서비스를 위해 Internet Engineering Talk Force(IETF)에서 표준화한 프로토콜이며, HTTP 또한 IETF에서 표준화한 프로토콜이다. 음성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서는 Real-Time Transport Protocol(RTP)를 사용하고 있다. 즉, OMA에서는 IETF에서 규격화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POC 서비스의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PoC 서비스를 위해 단말(100)에는 PoC 클라이언트(111), XDMC(XML Document Management Client)(112), 프레젠스 사용자 에이전트(113) 및 DM(Device Provisioning and Management) 클라이언트(114)를 구비한다. PoC 클라이언트(111)는 액세스 네트워크(120)와 SIP/IP 코어(130)를 통해 PoC 서버(150)와 연결되며, XDMC(112)도 액세스 네트워크(120)와 SIP/IP 코어(130)를 통해 PoC XDMS(140)와 연결된다.
PoC 클라이언트(111)는 PoC 단말(100)에 상주하면서 단말(100)이 PoC 서비스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주된 기능은 PoC 세션을 생성하고, 기존의 세션에 참가하고 세션을 종료한다. 그 외에 토크 버스트를 만들고 전달하며 Instant Personal Alert를 지원하며 PoC 서비스에 접속하였을 때 인증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단말이 기 설정되어 있는 세션에 참가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PoC에서 ESS(Enhance Simultaneous PoC Session)을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복수개의 세션을 제어하기 위해 PoC 서버(200)는 기능적으로 복수개의 서버(201, 202, 203)를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서버는 각 세션의 제어를 담당한다. 예를 들어 PoC 서버 X(201)는 단말 X1(210), 단말 X2(220) 및 단말 X3(230)으로 이루어진 PoC 세션 #1의 제어를 담당하고, PoC 서버 Y(202)는 단말 Y1(240)과 단말 Y2(250)로 이루어진 PoC 세션 #2의 제어를 담당한다.
이때 단말 B(260)가 이들 세션 #1과 세션 #2에 참가하고자 하는 경우 PoC 서버 B(203)가 만들어져 그 제어를 담당한다. 즉, PoC 서버 B(203)는 PoC 서버 X(201) 및 PoC 서버 Y(202)와 메시지를 주고 받으면서 단말 B(260)가 세션 #1 및 세션 #2에 참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단말 B(260)는 단말 X1(210), 단말 X2(220) 및 단말 X3(230)과 세션 #1을 통해 PoC 통신을 하거나, 단말 Y1(240) 및 단말 Y2(250)와 세션 #2를 통해 PoC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단말 B(260)가 세션 에 추가되면 PoC 서버 B(203)는 세션 #1 및 세션 #2를 통해 단말 B(260)에 전달되는 미디어의 필터링도 수행한다.
도 3은 PoC에서의 ESS을 생성하고 미디어 필터링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단말 B(260)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의 PUBLISH 메시지를 PoC 서버 B(203)로 보낸다(S302). 그리고 PUBLISH 메시지를 통해 필터링 규칙을 전달받아 이를 프로파일화하여 필터링 규칙 프로파일(Filtering Rule Profile)을 저장한다(S304). 필터링 규칙은 복수개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는 필터링하고 음성은 전송하라는 필터링 규칙(프로파일 1), 또는 비디오는 전송하고 음성은 필터링하라는 필터링 규칙(프로파일 2), 또는 비디오 및 음성을 모두 필터링하라는 필터링 규칙(프로파일 3) 또는 비디오 및 음성을 모두 전송하라는 필터링 규칙(프로파일 4)이 있을 수 있는데, 이들 필터링 규칙들을 PoC 서버 B(203)는 프로파일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즉, 필터링 규칙은 어떤 미디어를 필터링할 것인가에 관한 규칙을 정의하는 것으로 여러 가지 필터링 규칙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 필터링 규칙 각각을 프로파일로 정의하여 저장하고, 각 세션마다 서로 다른 필터링 프로파일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필터링 규칙 프로파일 저장이 완료되었으면, PoC 서버 B(203)는 PUBLISH 에 대한 응답 메시지(OK 메시지)를 단말 B(260)에 보낸다(S306).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 B(260)는 PUBLISH 가 성공한 것으로 판단한다.
다음으로 단말 B(260)를 세션 #1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PoC 서버 B(203)는 세션 #1의 제어를 담당하는 PoC 서버 X(201)로부터 Invitation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다(S308). Invitation Request 메시지의 예로 "Invitation Request #1(PoC Speech, Video)"를 들 수 있는데, 이는 단말 B(260)를 세션 #1에 초정하는 메시지로 이 세션에 사용되는 미디어는 PoC Speech 와 Video 라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이들 미디어를 재생할 수 있는 코덱의 정보도 Invitation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다.
PoC 서버 B(203)는 PoC 서버 X(201)로부터 수신한 Invitation Request 메시지를 바탕으로 단말 B(260)에 전송할 Invitation Request 를 생성하여 전송한다(S310). 이때 생성되는 Invitation Request 는 PoC 서버 X(201)로부터 수신한 Invitation Request의 미디어 정보 및 코덱 정보와 동일한 미디어 정보 및 코덱 정보를 갖거나 포함할 수 있다. Invitation Request 를 수신한 단말 B(260)는 이를 수락하고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 "Accept Inv #1"를 PoC 서버 B(203)로 전송하고(S312), PoC 서버 B(203)는 이를 PoC 서버 X(201)로 전달한다(S314).
이로써 단말 B(260)에도 세션 #1이 연결된다. 세션 #1이 연결되면 PoC 서버 X(201)와 PoC 서버 B(203) 사이와 PoC 서버 B(203)와 단말 B(260)간 RTP(Real Time Protocol)에 따라 미디어 스트림이 전송된다(S316, S318). 이때 미디어 품질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위한 RTCP(Real Time Control Protocol) 메시지 및 흐름제어를 위한 MBCP(Media Burst Control Protocol) 메시지가 함께 송수신된다.
다음으로 단말 B(260)에 세션 #2를 연결하기 위하여, PoC 서버 B(203)는 세 션 #2의 제어를 담당하는 PoC 서버 Y(202)로부터 Invitation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다(S320). Invitation Request 메시지의 예로 "Invitation Request #2(PoC Speech, Video)"를 들 수 있는데, 이는 단말 B(260)를 세션 #2에 초청하는 메시지로 이 세션에 사용되는 미디어는 PoC Speech 와 Video 라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이들 미디어를 재생할 수 있는 코덱의 정보도 Invitation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다.
PoC 서버 B(203)는 PoC 서버 Y(202)로부터 수신한 Invitation Request 메시지를 바탕으로 단말 B(260)에 전송할 Invitation Request 를 생성하여 전송한다(S322). 이때 생성되는 Invitation Request 는 PoC 서버 Y(202)로부터 수신한 Invitation Request의 미디어 정보 및 코덱 정보와 동일한 미디어 정보 및 코덱 정보를 갖거나 포함할 수 있다. Invitation Request 를 수신한 단말 B(260)는 이를 수락하고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 "Accept Inv #2"를 PoC 서버 B(203)로 전송한다(S324).
한편, 이렇게 하여 단말 B(260)에 두 번째 세션이 연결되면 미디어 필터링이 필요하게 되므로, 단말 B(260)가 PoC 서버 B(203)로 응답 메시지 "Accept Inv #2"를 전송하는 것과 별개로 세션 #2에 적용될 미디어 필터링 규칙을 전송한다(S325). 필터링 규칙은 예를 들어 응답 메시지 중의 SDP(Socket Direct Protocol)에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a=media_filter: speech"와 같은 신택스를 가지면 이는 전송되는 미디어 중 speech는 필터링해서 전송하지 말라는 의미이다. 필터링 규칙을 수신한 PoC 서버 B(203)는 응답 메시지 중의 SDP를 살펴보고 필터링 규칙을 저장한 다. 이 필터링 규칙은 S302 및 S304 단계에서 수신하여 저장한 필터링 프로파일보다 우선권이 있다.
필터링 정보를 저장한 PoC 서버 B(203)는 단말 B(260)로부터 수신한 "Accept Inv #2" 메시지에서 필터링 규칙이 담겨 있던 SDP를 삭제하고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를 PoC 서버 Y(202)로 전달한다(S326).
이렇게 하여 단말 B(260)에도 세션 #1과 세션 #2가 설정되었으면 PoC 서버 X(201)로부터 세션 #1에 대한 미디어와, PoC 서버 Y(202)로부터 세션 #2에 대한 미디어가 모두 PoC 서버 B(203)로 전송된다(S328, S330). PoC 서버 B(203)는 저장된 필터링 규칙을 검토하여 세션 #1에 대한 미디어 및 세션 #2에 대한 미디어를 필터링하여 단말 B(260)로 전송한다(S332). 본 실시예에서 S325 단계에서 전달받은 필터링 규칙에는 세션 #1의 미디어에 대한 필터링 규칙은 존재하기 않고 세션 #2의 미디어에 대한 필터링 규칙만 존재하기 때문에, 세션 #1의 미디어는 그대로 단말 B(260)로 전달되고(S334), 세션 #2의 미디어 중 speech는 필터링 되어 video만 전달된다(S336). 이렇게 하여 단말 B(260)는 세션 #1 및 세션 #2의 미디어를 필터링 규칙에 따라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S325 단계에서 세션 #2에 대한 미디어 필터링 규칙 전송방법의 다른 두가지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방법은, S302 단계 및 S304 단계에서 전송받아 저장되었던 필터링 규칙 프로파일의 인덱스를 전송하는 방법이다. 즉, 전술한 예에서 4개의 프로파일이 존재한다고 가정하였으므로, 세션 #2의 미디어를 어떤 프로파일에 따라 필터링 할 것인가를 정해 그 인덱스만을 SDP에 실어 전송한다. 예를 들어 "a=media_filter: 1"과 같이 설정하면, 프로파일 1에 따라 세션 #2의 미디어중 비디오는 필터링하고 음성은 전송하라는 필터링 규칙이 적용되는 것이다. 그러면, 그 프로파일에 따라 세션 #2의 미디어가 필터링되어 단말 B(260)로 전송된다.
PoC 서버 B(203)는 이러한 필터링 프로파일 인덱스 정보가 포함된 단말 B(260)로부터의 응답 메시지에서 이를 삭제하여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 후 PoC 서버 Y(202)로 전송한다.
두 번째 방법은 세션 #2에 대한 필터링 규칙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경우에 대비한 것으로, 단말 B(260)로부터의 응답 메시지의 SDP 에 세션 #2의 미디어에 대한 필터링 규칙이 존재하지 않으면, S302 및 S304 단계에서 수신하여 저장한 프로파일 중 기본값을 세션 #2의 미디어에 대한 필터링 규칙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필터링 규칙이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도 세션 #2의 미디어에 대한 필터링을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세션의 미디어에 대한 필터링이 수행될 수 있는데, 이하 S338 및 S340 단계에서는 각 세션의 미디어에 대한 필터링 규칙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단말 B(260)는 이미 세션 #1과 세션 #2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SIP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MBCP(Media Burst Control Protocol)을 사용한다. 즉, MBCP 내에 필터링 규칙 프로파일 인덱스를 설정함으로써 각 세션별 필터링 규칙을 갱신할 수 있다. 만일 MBCP 내에 필터링 규칙 프로파일 인덱스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이미 세션에 할당되어 있는 필 터링 규칙을 적용하거나, PoC 서버 B(203)에 저장되어 있는 필터링 규칙 프로파일 들 중 기본값을 적용하여 필터링 규칙을 갱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세션의 미디어에 대한 필터링 규칙이 갱신되었으면 그에 따라 미디어가 필터링 되어 전송된다(S342, S344).
도 4는 PoC에서의 미디어 필터링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미디어 필터링 장치는, 필터링 규칙 프로파일 저장부(410), 세션 설정부(420), 필터링 규칙 제어부(430) 및 필터링 수행부(440)를 포함하며, 필터링 규칙 갱신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링 규칙 프로파일 저장부(410)는 기 설정되어 있는 복수개의 세션에 참가하고자 하는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필터링 규칙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때 필터링 규칙 프로파일 저장부(410)는 단말로부터의 미디어 필터링 규칙정보를 SIP의 PUBLISH 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하되, 복수개의 필터링 규칙정보를 프로파일로 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미디어 필터링 규칙 프로파일은, 복수개가 허용되며 각각의 세션별로 세션내의 미디어를 선택적으로 필터링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세션 설정부(420)는 기 설정되어 있는 세션들 중의 하나인 제1세션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1 PoC 서버로부터 세션 설정 요청을 받아 단말을 제1세션에 참가시키고, 기 설정되어 있는 세션들 중의 하나인 제2세션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2 PoC 서버로부터 세션 설정 요청을 받아 단말을 제2세션에 참가시킨다.
필터링 규칙 제어부(430)는 제2세션에 적용될 미디어 필터링 규칙 정보를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설정한다. 이때 단말과의 제2세션 설정을 위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SDP(Socket Direct Protocol)를 통해 필터링 규칙을 전송받을 수 있다.
미디어 필터링 수행부(440)는 각각의 세션에 설정된 필터링 규칙에 따라 제1세션을 통해 전송되는 미디어와 제2세션을 통해 전송되는 미디어를 각각의 세션별로 필터링한다.
필터링 규칙 갱신부(450)는 제1세션의 미디어에 적용되는 미디어 필터링 규칙정보와 제2세션의 미디어에 적용되는 미디어 필터링 규칙정보를 미디어 버스트 제어 프로토콜(MBCP)을 사용하여 갱신한다. 미디어 버스트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한 필터링 규칙 정보의 변경의 상세한 방법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전술한 PoC 에서의 미디어 필터링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PoC 에서의 미디어 필터링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ESS 생성시 SIP 를 사용하여 여러개의 필터링 규칙 프로파일을 설정할 수 있고 세션 연결 수행시 SDP를 통해 필터링 규칙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ESS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도중에 PoC의 MBCP를 사용하여 필터링 규칙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PoC 서비스 내에서 동시 세션을 설정하고 미디어 필터링을 서비스 이용자의 상황에 따라 세션별로 선택적으로 설정하고 변경함으로써 PoC 서비스의 활용범위를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기 설정되어 있는 복수개의 세션에 참가하고자 하는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필터링 규칙 정보를 수신하되, 세션별로 달리 적용될 수 있는 복수개의 필터링 규칙정보를 프로파일로 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되어 있는 세션들 중의 하나인 제1세션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1 PoC 서버로부터 세션 설정 요청을 받아 상기 단말을 상기 제1세션에 참가시키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되어 있는 세션들 중의 하나인 제2세션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2 PoC 서버로부터 세션 설정 요청을 받아 상기 단말을 상기 제2세션에 참가시키고, 상기 제2세션에 적용될 미디어 필터링 규칙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세션에 설정된 필터링 규칙에 따라 상기 제1세션을 통해 전송되는 미디어와 상기 제2세션을 통해 전송되는 미디어를 각각의 세션별로 달리 적용하여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C에서의 미디어 필터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의 미디어 필터링 규칙정보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의 PUBLISH 를 통해 수신되어 저장하되, 복수개의 필터링 규칙정보를 프로파일로 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C에서의 미디어 필터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의 미디어 필터링 규칙정보는, 복수개가 허용되며 각각의 세션별로 세션내의 미디어를 선택적으로 필터링하는 규칙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C에서의 미디어 필터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세션에 적용될 미디어 필터링 규칙 정보는 상기 단말과의 제2세션 설정을 위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SDP(Socket Direct Protocol)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C에서의 미디어 필터링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세션에 적용될 미디어 필터링 규칙정보는 SDP를 사용하여 전달받되, 기 저장된 상기 필터링 규칙 프로파일에 대한 인덱스를 전달받아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C에서의 미디어 필터링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세션에 적용될 미디어 필터링 규칙정보가 전달되지 않으면 기 저장된 상기 필터링 규칙 프로파일들 중 기본값에 따라 미디어 필터링을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C에서의 미디어 필터링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세션의 미디어에 적용되는 미디어 필터링 규칙정보와 상기 제2세션의 미디어에 적용되는 미디어 필터링 규칙정보를 미디어 버스트 제어 프로토콜(MBCP)을 사용하여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C에서의 미디어 필터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기 설정되어 있는 미디어 필터링 규칙 프로파일에 대한 인덱스를 상기 미디어 버스트 제어 프로토콜내에 설정함으로써 각 세션별 필터링 규칙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C에서의 미디어 필터링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버스트 제어 프로토콜내에 필터링 규칙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미 세션에 할당되어 있는 필터링 규칙을 적용하거나, 기 설정되어 있는 미디어 필터링 규칙 프로파일의 기본값을 각 세션별 미디어 필터링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C에서의 미디어 필터링 방법.
  10. 기 설정되어 있는 복수개의 세션에 참가하고자 하는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필터링 규칙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되, 세션별로 달리 적용될 수 있는 복수개의 필터링 규칙정보를 프로파일로 하여 저장하는 필터링 규칙 프로파일 저장부;
    상기 기 설정되어 있는 세션들 중의 하나인 제1세션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1 PoC 서버로부터 세션 설정 요청을 받아 상기 단말을 상기 제1세션에 참가시키고, 상기 기 설정되어 있는 세션들 중의 하나인 제2세션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2 PoC 서버로부터 세션 설정 요청을 받아 상기 단말을 상기 제2세션에 참가시키는 세션 설정부;
    상기 제2세션에 적용될 미디어 필터링 규칙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설정하는 필터링 규칙 제어부; 및
    상기 각각의 세션에 설정된 필터링 규칙에 따라 상기 제1세션을 통해 전송되는 미디어와 상기 제2세션을 통해 전송되는 미디어를 각각의 세션별로 달리 적용하여 필터링하는 미디어 필터링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C에서의 미디어 필터링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규칙 프로파일 저장부는
    상기 단말로부터의 미디어 필터링 규칙정보를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의 PUBLISH 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하되, 복수개의 필터링 규칙정보를 프로파일로 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C에서의 미디어 필터링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의 미디어 필터링 규칙 프로파일은, 복수개가 허용되며 각각의 세션별로 세션내의 미디어를 선택적으로 필터링하는 규칙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C에서의 미디어 필터링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규칙 제어부는
    상기 단말과의 제2세션 설정을 위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SDP(Socket Direct Protocol)를 통해 필터링 규칙을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C에서의 미디어 필터링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세션의 미디어에 적용되는 미디어 필터링 규칙정보와 상기 제2세션의 미디어에 적용되는 미디어 필터링 규칙정보를 미디어 버스트 제어 프로토콜(MBCP)을 사용하여 갱신하는 필터링 규칙 갱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C에서의 미디어 필터링 장치.
  15. 제1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60043072A 2006-05-12 2006-05-12 PoC 에서의 미디어 필터링 방법 및 그 장치 KR100803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072A KR100803826B1 (ko) 2006-05-12 2006-05-12 PoC 에서의 미디어 필터링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072A KR100803826B1 (ko) 2006-05-12 2006-05-12 PoC 에서의 미디어 필터링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709A KR20070109709A (ko) 2007-11-15
KR100803826B1 true KR100803826B1 (ko) 2008-02-14

Family

ID=39064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072A KR100803826B1 (ko) 2006-05-12 2006-05-12 PoC 에서의 미디어 필터링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38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506A (ko) * 2004-04-19 2005-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셀룰러 푸쉬 투 토크 다중 세션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506A (ko) * 2004-04-19 2005-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셀룰러 푸쉬 투 토크 다중 세션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709A (ko) 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1027B2 (ja) プッシュツートークオーバーセルラー網のメディア格納サービス実行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CN103152700B (zh) 管理预建立的会话的方法及其无线一键通话用户设备
JP4675963B2 (ja) プッシュツートークオーバーセルラーシステムユーザの応答モードによる呼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JP4795366B2 (ja) PoCシステムにおけるPoC端末交替時のセッション持続保障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US20120021796A1 (en) Multi-users real-time transcoding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sessions
KR101319189B1 (ko) 세션별 동시 다중 PoC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과단말기 및 그 시스템
US20090017856A1 (en) Transfer of Part of a Push to Talk Session
CN101674305B (zh) 一种多媒体会议的实现方法及系统
KR20070051598A (ko) PoC 시스템에서 동시 다중 세션 PoC 멀티미디어서비스 제공 방법과 단말기 및 그 시스템
JP5740496B2 (ja) 単一PoCグループセッションの分割方法及びシステム
CN102111603B (zh) 在ims视频会议中实现子会议的方法及其装置和系统
CN101548556A (zh) 建立和管理用于执行多媒体呼叫业务的多媒体基于蜂窝网络的即按即说会话的系统及其方法和用户设备
CN101352011A (zh) 用于一键通类型业务的方法和装置
JP2007201916A (ja) PoCデータ送信方法とPoC通話システムと装置
JP4273526B2 (ja) サービスシステム、情報制御装置および情報制御方法
RU2428807C2 (ru) Сеансовая связь
KR20070014482A (ko) PoC 그룹 세션의 재초청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3139216B (zh) 管理无线一键通话会话支持的媒体类型的方法和用户设备
JP4772802B2 (ja) 発言権管理方法及び移動端末機
CA2654161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rvice activation on a mobile terminal
KR100803826B1 (ko) PoC 에서의 미디어 필터링 방법 및 그 장치
JP2009147554A (ja) グループ通信サーバ、グループ通信端末およびグループ通信システム
KR101348002B1 (ko) 플리트 멤버 간 라우팅 규칙 생성 시스템 및 방법
JP4229292B2 (ja) 通信制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Tam Collaboration-Oriented Modeling of an Offshore Group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