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3823B1 - 생수용기의 결합마개 - Google Patents

생수용기의 결합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3823B1
KR100803823B1 KR1020070008687A KR20070008687A KR100803823B1 KR 100803823 B1 KR100803823 B1 KR 100803823B1 KR 1020070008687 A KR1020070008687 A KR 1020070008687A KR 20070008687 A KR20070008687 A KR 20070008687A KR 100803823 B1 KR100803823 B1 KR 100803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tainer
bottled water
cover member
coupling
ha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기남
Original Assignee
양기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기남 filed Critical 양기남
Priority to KR1020070008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38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23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with integral intern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4Rigid discs or spherical members adapted to be held in sealing engagement with mouth of container, e.g. closure plates for preserving j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2Grip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20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질의 유입 또는 생수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밀폐시킴으로써 오염 및 변질을 방지하여 깨끗한 생수를 공급할 수 있고, 터치 식으로 구성되어 생수용기를 용이하고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으며, 재활용이 가능하여 비용절감에 따른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생수용기의 결합마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이 개구되고, 개구부의 외주연에 내측으로 일정 각도로 굴곡되게 굴곡부(12)가 형성되며, 내측벽에 일정 간격으로 치형상의 걸림턱(14)이 형성된 원통형의 덮개부재(10)와; 상기 덮개부재(10)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턱(14)에 착탈되면서 회전되도록 외주면에 걸림돌기(22)가 형성되며, 일측이 개구되어 외주연에 웨이프형상의 제1결합면(24)이 형성된 걸림부재(20)와; 상기 걸림부재(20)의 제1결합면(24)에 간섭되도록 외측벽에 제2결합면(32)이 형성되고, 생수용기의 투출부(60)가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구된 밀폐부재(30)와; 상기 밀폐부재(30)의 내측에 상기 투출부(60)를 밀착시키도록 구비되고, 중앙부에 일정 높이로 돌출부(42)가 형성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고무패킹(40)과; 상기 걸림부재(20)를 가압하도록 상기 덮개부재(10)와 걸림부재(20)의 사이에 구비되는 가압스프링(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굴곡부, 걸림턱, 걸림돌기, 제1결합면, 제2결합면, 고무패킹

Description

생수용기의 결합마개{TIGHTLY PLUG OF SPRING WATER CONTAINER}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생수용기의 결합마개의 분리사시도,
도2a는 본 발명에 의한 생수용기의 투출부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
도2b는 본 발명에 의한 생수용기의 투출부가 폐쇄된 상태의 단면도,
도3a는 도2a의 걸림턱과 걸림돌기의 동작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3b는 도2b의 걸림턱과 걸림돌기의 동작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4는 종래의 생수용기의 결합마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덮개부재 12: 굴곡부
14: 걸림턱 15: 가이드홈
16: 손잡이 20: 걸림부재
22: 걸림돌기 24: 제1결합면
30: 밀폐부재 32: 제2결합면
34: 삽입부 36: 절개부
37: 경사면 40: 고무패킹
42: 돌출부 43: 삽입홈
50: 가압스프링 60: 투출부
본 발명은 생수용기의 결합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내부의 생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밀폐시킴으로써 오염 및 변질을 방지하여 깨끗한 생수를 공급할 수 있고, 터치 식으로 구성되어 생수용기를 용이하고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으며, 재활용이 가능하여 비용절감에 따른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생수용기의 결합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수는 미생물과 광물성 미네랄 등의 무기질을 함유하는 인체에 유익한 활수로서, 일정 크기의 패트병에 투입하거나 냉온수기 등의 배출기에 사용되는 생수용기에 투입한 후 밀봉된 상태로 공급하고 있다.
한편, 보다 시원하거나 뜨거운 온도로 섭취하기 위한 냉온수기나 정수를 위한 정수기의 이용이 증가하면서 생수용기의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생수용기의 투출부를 개폐하는 마개의 결함으로 인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생수용기 내부의 생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생수가 쉽게 오염되거나 변질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생수용기의 투출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마개를 제작하여 상부에서 가압함으로써 밀착시켜 이물질의 유입 및 생수의 유출을 방지하고 있으나 마개의 개방시 상당한 힘을 소모하여야 하며, 개방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자칫 손가락에 부상을 입게 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하였다.
도4는 종래의 생수용기의 결합마개를 도시한 것으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0006005호(2000.04.06, 발명의 명칭: 손잡이가 있는 18미터 생수용기마개)를 보면, 텐션부(112)가 구비된 상면부(110)와 상측면부(120) 및 하측면부(130)로 구성되고, 상기 상측면부(120)와 하측면부(130) 사이에 절취선(160)이 형성되며, 내측 밀폐부(140)에 다수의 밀폐보강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면부(130) 내측에 용기목지지날개와 보강돌기가 형성되며, 하측면부(130) 일측벽에 상기 절취선(160)에 연결되는 절취홈에 의해 부착 설치되는 손잡이(150)가 형성된 생수용기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손잡이(150)를 상측으로 올리면 1차적으로 절취홈이 절취되고, 상기 손잡이(150)를 잡고 재차 상측으로 잡아 당기면 2차적으로 절취선(160)이 절취되면서 생수용기마개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외부와 단절되도록 밀착함과 동시에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게 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제품의 생산시 생수용기와 일체로 생산하여야 하며, 일회용으로 생산되는 관계로 비용증가와 더불어 경제적인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수용기의 내부를 외부와 단절되게 밀폐시킴으로써 오염 및 변질을 방지하여 깨끗한 생수를 공급할 수 있고, 터치식으로 구성하여 생수용기의 개폐시 용이하고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비용절감에 따른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생수용기의 결합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일측이 개구되고, 개구부의 외주연에 내측으로 일정 각도로 굴곡되게 굴곡부가 형성되며, 내측벽에 일정 간격으로 치형상의 걸림턱이 형성된 원통형의 덮개부재와; 상기 덮개부재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턱에 착탈되면서 회전되도록 외주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일측이 개구되어 외주연에 웨이프형상의 제1결합면이 형성된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의 제1결합면에 간섭되도록 외측벽에 제2결합면이 형성되고, 생수용기의 투출부가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구된 밀폐부재와; 상기 밀폐부재의 내측에 상기 투출부를 밀착시키도록 구비되고, 중앙부에 일정 높이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고무패킹과; 상기 걸림부재를 가압하도록 상기 덮개부재와 걸림부재의 사이에 구비되는 가압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밀폐부재의 개구부 외주연에는 상기 덮개부재의 굴곡부와 간섭되는 경우 탄성력을 향상시켜 생수용기의 투출부 외측벽에 손쉽게 밀착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부재의 외측벽에는 생수용기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손잡이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밀폐부재의 개구부 외주연에는 상기 덮개부재가 용이하게 슬라이딩되도록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경사지게 경사면이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 일정 깊이로 단차지게 확대된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밀폐부재의 중앙부에 돌출된 삽입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생수용기의 결합마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생수용기의 결합마개의 분리사시도이고, 도2a는 본 발명에 의한 생수용기의 투출부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2b는 본 발명에 의한 생수용기의 투출부가 폐쇄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3a는 도2a의 걸림턱과 걸림돌기의 동작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이며, 도3b는 도2b의 걸림턱과 걸림돌기의 동작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생수용기의 결합마개는 일측이 개구되고 개구부의 외주연에 내측으로 일정 각도로 굴곡되게 굴곡부(12)가 형성된 원통형의 덮개부재(10)와, 상기 덮개부재(10)의 내측에 구비되고 일측이 개구되어 외주연에 웨이프형상의 제1결합면(24)이 형성된 걸림부재(20)와, 상기 걸림부재(20)의 제1결합면(24)에 간섭되도록 외측벽에 제2결합면(32)이 형성되고 생수용기의 투출부(60)가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구된 밀폐부재(30)와, 상기 밀폐부재(30)의 내측에 상기 투출부(60)를 밀착시키도록 구비되고 중앙부에 일정 높이로 돌출부(42)가 형성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고무패킹(40)과, 상기 걸림부재(20)를 가압하도록 상기 덮개부재(10)와 걸림부재(20)의 사이에 구비되는 가압스프링(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덮개부재(10)는 내측벽에 일정 간격으로 치형상의 걸림턱(14)이 다수개 형성되되, 상기 걸림턱(14)의 상부에 형성된 치(齒)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경사지도록 형성된 한쌍의 톱니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재(20)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턱(14)에 착탈되는 걸림돌기(22)가 일정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돌기(22)는 생수용기의 개폐여부에 따라 상기 걸림턱(14)의 치(齒)면에 간섭되거나 걸림턱(14)의 사이 간격에 형성된 가이드홈(15)으로 안내되게 된다.
상기 걸림돌기(22)의 위치에 따라 상기 걸림부재(20)와 밀폐부재(30)는 서로 착탈되면서 동작되되, 상기 제2결합면(32)에 제1결합면(32)이 안내되면서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밀폐부재(30)의 개구부 외주연에는 상기 덮개부재(10)의 굴곡부(12)와 간섭되는 경우 생수용기의 투출부(60) 외측벽에 손쉽게 밀착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절개부(36)를 형성하여 탄성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투출부(60)에 긴밀하게 밀착됨으로써 생수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단절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부재(10)의 외측벽에는 생수용기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손잡이(16)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밀폐부재(30)의 개구부 외주연에는 상기 덮개부재(10)의 간섭시 용이하게 슬라이딩되도록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경사지게 경사면(37)이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돌출부(42)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이격되어 일정 깊이로 형성되되 입구의 직경보다 내부의 직경이 더 크도록 단차지게 확대된 삽입홈(43)과, 상기 삽입홈(43)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밀폐부재(30)의 중앙부에 단차지게 확대되어 돌출된 삽입부(34)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생수용기의 내부에 생수를 투입한 후, 상기 생수용기의 투출부(60)를 결합마개의 밀폐부재(30)에 삽입시킨다.
이때, 걸림부재(20)의 제1결합면(24)과 밀폐부재(30)의 제2결합면(32)은 치합되지 않은 상태로 각각의 단부에 서로 접촉되어 있고, 상기 걸림돌기(22)는 걸림턱(14)의 치(齒)에 간섭되어 있다.
상기 투출부(60)를 밀폐시키기 위해 덮개부재(10)를 상부에서 가압하게 되면, 내측에 구비된 가압스프링(50)이 압축되면서 상기 걸림돌기(22)가 걸림턱(14)으로부터 이탈되게 되고, 상기 제2결합면(32)의 선단에 접촉된 제1결합면(24)이 제2결합면(32)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한 후 치합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걸림돌기(22)는 걸림턱(14)의 경사면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경사면을 따라 재차 이동되어 가이드홈(15)으로 안내되어 진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22)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결합면(24)과 제2결합면(32)은 서로 이탈되면서 각각의 선단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걸림돌기(22)는 상기 가압스프링(50)의 가압에 의해 가이드홈(15)을 따라 하측으로 안내되어 진다.
상기 걸림돌기(22)가 상기 가이드홈(15)을 따라 이동되어 지면, 상기 덮개부재(10)의 굴곡된 개구부가 상기 밀폐부재(30)의 개구부를 가압하면서 생수용기의 투출부(60)에 밀착시켜 외부에 단절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밀폐부재(30)의 개구부는 탄성을 향상시키도록 일정 간격으로 절개되어 있어 더욱 용이하게 밀착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생수용기의 투출부(60)를 개폐할 수 있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수용기의 개폐시 손가락 부상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밀폐부재(30)의 내부에 구비된 고무패킹(40)은 생수용기의 투출부(60)를 삽입함과 동시에 투출부(60)의 개구부 내측으로 중앙부가 삽입되면서 외부와 일차적으로 차단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생수용기의 내부를 외부와 단절되게 밀폐시킴으로써 오염 및 변질을 방지하여 깨끗한 생수를 공급할 수 있고, 생수용기의 개폐시 간단한 조작으로 손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산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비용절감에 따른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일측이 개구되고, 개구부의 외주연에 내측으로 일정 각도로 굴곡되게 굴곡부(12)가 형성되며, 내측벽에 일정 간격으로 치형상의 걸림턱(14)이 형성된 원통형의 덮개부재(10)와;
    상기 덮개부재(10)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턱(14)에 착탈되면서 회전되도록 외주면에 걸림돌기(22)가 형성되며, 일측이 개구되어 외주연에 웨이프형상의 제1결합면(24)이 형성된 걸림부재(20)와;
    상기 걸림부재(20)의 제1결합면(24)에 간섭되도록 외측벽에 제2결합면(32)이 형성되고, 생수용기의 투출부(60)가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구된 밀폐부재(30)와;
    상기 밀폐부재(30)의 내측에 상기 투출부(60)를 밀착시키도록 구비되고, 중앙부에 일정 높이로 돌출부(42)가 형성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고무패킹(40)과;
    상기 걸림부재(20)를 가압하도록 상기 덮개부재(10)와 걸림부재(20)의 사이에 구비되는 가압스프링(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용기의 결합마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30)의 개구부 외주연에는 상기 덮개부재(10)의 굴곡부(12)와 간섭되는 경우 탄성력을 향상시켜 생수용기의 투출부(60) 외측벽에 손쉽게 밀착되 도록 일정 간격으로 절개부(3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용기의 결합마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10)의 외측벽에는 생수용기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손잡이(16)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밀폐부재(30)의 개구부 외주연에는 상기 덮개부재(10)가 용이하게 슬라이딩되도록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경사지게 경사면(37)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용기의 결합마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돌출부(42)의 단부에 일정 깊이로 단차지게 확대된 삽입홈(43)과, 상기 삽입홈(43)에 삽입되도록 상기 밀폐부재(30)의 중앙부에 돌출된 삽입부(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용기의 결합마개.
KR1020070008687A 2007-01-29 2007-01-29 생수용기의 결합마개 KR100803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687A KR100803823B1 (ko) 2007-01-29 2007-01-29 생수용기의 결합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687A KR100803823B1 (ko) 2007-01-29 2007-01-29 생수용기의 결합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3823B1 true KR100803823B1 (ko) 2008-02-14

Family

ID=39343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687A KR100803823B1 (ko) 2007-01-29 2007-01-29 생수용기의 결합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38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4023A (en) 1988-09-30 1989-10-17 Liqui-Box Corporation Decap dispensing system for water cooler bottles
JPH09183473A (ja) * 1995-08-08 1997-07-15 Wella Ag 泡放射用圧力ガス容器
KR200363753Y1 (ko) 2004-07-13 2004-10-08 최진혁 냉온수기용 생수통뚜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4023A (en) 1988-09-30 1989-10-17 Liqui-Box Corporation Decap dispensing system for water cooler bottles
JPH09183473A (ja) * 1995-08-08 1997-07-15 Wella Ag 泡放射用圧力ガス容器
KR200363753Y1 (ko) 2004-07-13 2004-10-08 최진혁 냉온수기용 생수통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4769Y1 (ko) 회전 출몰식 화장품 용기
NO792374L (no) Sikkerhetslukning for dispenser.
KR102334654B1 (ko)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US8813982B2 (en) Cap for a container
KR200471808Y1 (ko) 탄력적인 직립형 노즐이 형성된 누름버튼을 갖는 화장품 용기
CN104522998A (zh) 便携式牙间刷
CN205492985U (zh) 内注式宠物牙刷
KR100803823B1 (ko) 생수용기의 결합마개
KR20100001554U (ko) 생수통 위생마개
CN209973146U (zh) 一种无菌撕裂婴儿湿纸巾包装装置
TWM450550U (zh) 自動開啟之瓶蓋結構
JP2019107435A (ja) 化粧液保管用アンプル
KR101520176B1 (ko) 음료 용기의 마개체
ITMI20060928A1 (it) Cartuccia per il contenimento e l&#39;erogazione di prodotti in genere
JP3204733U (ja) マッサージ具
KR101886142B1 (ko) 탄성을 갖는 실리콘 재질의 도포구가 구비된 화장품 튜브용기
US20060163194A1 (en) Tube in a bottle
CN210192258U (zh) 一种儿童锁盒子
KR20090106835A (ko) 샴프마사지용기 및 마사지기구
EP2708473B1 (en) Cap for a container
KR100982704B1 (ko) 칫솔 비접촉식 치약 디스펜서
KR101418981B1 (ko) 세제가 내장된 샤워기 헤드
CN104433178B (zh) 便携式牙间刷
KR20100098161A (ko) 뚜껑의 개폐에 따라 유출부가 돌출되는 마개장치
KR100732866B1 (ko)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