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3291B1 - 밤부테롤 염산염의 개선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밤부테롤 염산염의 개선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3291B1
KR100803291B1 KR1020060086811A KR20060086811A KR100803291B1 KR 100803291 B1 KR100803291 B1 KR 100803291B1 KR 1020060086811 A KR1020060086811 A KR 1020060086811A KR 20060086811 A KR20060086811 A KR 20060086811A KR 100803291 B1 KR100803291 B1 KR 100803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formula
solvent
reaction solution
ho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6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종
이승종
이용준
박용
최선애
권영진
손석두
진건옥
권윤태
Original Assignee
(주)팜스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팜스웰 filed Critical (주)팜스웰
Priority to KR1020060086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32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9/00Preparation of derivatives of carbamic acid,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69/06Preparation of derivatives of carbamic acid,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arbamat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9/00Preparation of derivatives of carbamic acid,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69/0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1/00Derivatives of carbamic acid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1/06Esters of carbamic acids
    • C07C271/40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71/42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with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1/44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with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to hydroge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un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5-디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으로부터 아실화공정을 거쳐 비스-3,5-(N,N-디메틸카바모일옥시)-아세토페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로부터 브롬화 공정을 거쳐 비스-3′,5′(N,N-디메틸카바모일옥시)-2-브로모-아세토페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로부터 수소화붕소나트륨 및 3급부틸아민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여 1-[비스-(3′,5′-N,N-디메틸카바모일옥시)페닐-2-N-3급부틸아미노에탄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밤부테롤 염산염)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밤부테롤 염산염의 개선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종래의 밤부테롤 염산염의 제조방법보다 제조단계가 간단하고, 수율이 높고, 반응 단계를 단축함으로써 전체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절약되고, 제조시 실온과 대기압의 온화한 조건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대량생산을 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밤부테롤 염산염

Description

밤부테롤 염산염의 개선된 제조방법{Improved preparation method of bambuterol hydrochlorid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밤부테롤 염산염의 I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밤부테롤 염산염의 개선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밤부테롤 염산염은 기관지 확장제로, 기관지 천식, 기관지 경련을 수반하는 만성기관지염, 폐기종 및 기타 폐관련 질환에 유효한 약물이다. 상기 밤부테롤 염산염은 일반적으로 염산염으로 사용되며, 아드레날린 작용성 선택적 β2-수용체 효능제인 테르부탈린(terbutaline)의 프로드럭(prodrug)으로서 생체 내에서 흡수된 후 서서히 대사되어 활성대사물질인 테르부탈린으로 전환되어 약리작용을 나타내게 된다. 상기 밤부테롤 염산염은 임상시험에서 β2-아드레날린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작용, 기존의 β2-수용체 효능약들에 비해 심혈관계부작용이 거의 없으며, 진전, 불안, 심계항진, 두통 등의 부작용 발현율이 개선되고, 심한 기침 등의 천식증상이 심해지는 밤 10시 ~ 아침 7시 사이에 기관지 확장효과가 좋다. 또한, 투여 후 서서히 흡수되어 일정하게 혈중 농도가 유지되므로 1일 1회 투여로 24시간 지속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폐관련 질환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밤부테롤 염산염은 다음의 화학식 1로 표현된다.
Figure 112006065063268-pat00001
종래 밤부테롤 염산염의 제조방법으로는 미국 특허등록 제4419364호에 하기 반응식으로 나타내는 3′,5′-디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으로부터 아실화공정을 거쳐 비스-3,5-(N,N-디메틸카바모일옥시)-아세토페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이로부터 브롬화 공정을 거쳐 비스-3′,5′-(N,N-디메틸카바모일옥시)-2-브로모-아세토페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이로부터 알킬화공정을 거쳐 비스-3′,5′-(N,N-디메틸카바모일옥시)-2-(N-벤질-3급-부틸)아미노-아세토페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 이로부터 환원공정을 통해 1-[비스-(3′,5′-N,N-디메틸카바모일옥시)페닐]-2-N-3 급부틸아미노에탄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즉 밤부테롤 염산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4)로 이루어지는 밤부테롤 염산염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Figure 112006065063268-pat00002
각 단계별로 살펴보면,
단계 1에서는 3′,5′-디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과 무수피리딘의 용액에 N,N-디메틸카바모일클로라이드 3 당량을 가한 다음, 60 내지 70 ℃의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반응시켜 비스-3,5-(N,N-디메틸카바모일옥시)-아세토페논을 제조한다.
단계 2에서는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비스-3,5-(N,N-디메틸카바모일옥시)-아세토페논과 디옥산의 용액에 브롬 1 당량과 디옥산의 용액을 적가하여 35 ℃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켜 비스-3′,5′-(N,N-디메틸카바모일옥시)-2-브로모-아세토페논을 제조한다.
단계 3에서는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비스-3′,5′-(N,N-디메틸카바모일옥 시)-2-브로모-아세토페논과 아세톤의 용액에 N-벤질-3급-부틸아민 2 당량과 아세톤의 용액을 가하고 18시간 동안 환류반응시켜 비스-3′,5′-(N,N-디메틸카바모일옥시) -2-(N-벤질-3급-부틸)아미노-아세토페논을 제조한다.
단계 4에서는 상기 단계 3에서 얻은 비스-3′,5′-(N,N-디메틸카바모일옥시)-2-(N-벤질-3급-부틸)아미노-아세토페논과 에탄올의 용액을 벤질클로라이드 및 10% 백금/탄소 존재하에 수소화시켜 최종 목적물인 밤부테롤 염산염, 즉 1-[비스-(3′,5′-N,N-디메틸카바모일옥시)페닐]-2-N-3급부틸아미노에탄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얻는다. 이때 수소화 반응조건은 50 psi의 압력과 50 ℃ 온도의 고온,고압으로 24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상기와 같은 합성방법은 각 단계가 반응조건이 까다로운 촉매반응과 설비관리가 어려운 고온·고압 공정으로 이루어져 반응시 최적 조건의 선택 및 개발에 많은 숙련과 경험을 요하므로 실제 합성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고, 알려진 각 단계의 평균 수율은 60 ~ 70% 정도로, 출발물질로부터 최종 목적물인 밤부테롤 염산염을 얻는 전체 수율이 약 20% 정도이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3-0085658호에서는 상기 미국 특허등록 제4419364호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3′,5′-디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으로부터 아실화공정을 거쳐 비스-3,5-(N,N-디메틸카바모일옥시)-아세토페논을 제조하는 단계; 이로부터 브롬화 공정을 거쳐 비스-3′,5′-(N,N-디메틸카바모일옥시)-2-브로모-아세토페논을 제조하는 단계; 이로부터 알킬화공정을 거쳐 비스-3′,5′-(N,N-디메틸카바모일옥 시)-2-(N-벤질-3급-부틸)아미노-아세토페논을 제조하는 단계; 이로부터 환원공정을 통해 밤부테롤 염산염을 얻는 단계로 이루어진 밤부테롤 염산염의 합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브롬화공정은 비스-3,5-(N,N-디메틸카바모일옥시)-아세토페논에 브롬을 1.2 당량 반응시키고, 상기 알킬화 공정은 비스-3′,5′-(N,N-디메틸카바모일옥시)-2-브로모-아세토페논에 N-벤질-3급-부틸아민을 3 당량 반응시키고, 상기 환원 공정은 비스-3′,5′-(N,N-디메틸카바모일옥시)-2-(N-벤질-3급-부틸)아미노-아세토페논을 수소화붕소나트륨 2.5 당량으로 처리한 후, 벤질클로라이드 1.3 당량과 10% 백금/탄소 존재하에 실온, 대기압의 조건으로 수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밤부테롤 염산염의 개선된 합성방법을 개시하였다. 상기 방법은 반응의 조건을 온화하게 하였다는 의미는 있으나, 반응 단계가 4단계로 구성됨으로써 전체 수율이 40% 에 불과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미국 특허공개 제2005-0171197호에서는 하기 반응식으로 나타나는 밤부테롤 염산염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Figure 112006065063268-pat00003
그러나, 상기 방법 또한 5단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조 단계가 많아 수율이 감소하며(최대 40%), 단계 3과 단계 5에서는 각각 반응시간이 60시간, 3일 정도가 소요되기 때문에 시간적으로 불리하며 그에 따라 생산 비용도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제조단계가 간단하고, 수율이 높고, 반응 단계를 단축함으로써 전체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절약되고, 제조시 실온과 대기압의 온화한 조건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대량생산을 할 수 있어 경제적인 밤부테롤 염산염의 제조방법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단계가 간단하고, 수율이 높고, 반응 단계를 단축함으로써 전체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절약되고, 제조시 실온과 대기압의 온화한 조건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대량생산을 할 수 있어 경제적인 밤부테롤 염산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염기 존재하에 화학식 2의 3,5-디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을 녹인 용매에 디메틸카바밀클로라이드를 첨가한 후, 50 ~ 95 ℃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반응시켜 화학식 3의 비스-3,5-(N,N-디메틸카바모일옥시)-아세토페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화학식 3의 화합물과 트리메틸오르토포르메이트를 디옥산,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녹여 반응시킨 후, 상기 반응용액을 냉각시키고, 냉각된 상기 반응용액에 브롬을 첨가한 후 가온하여 실온에서 1 ~ 2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상기 반응용액에 정제수/2-프로판올(1:1)을 첨가한 후 실온에서 1 ~ 2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다시 상기 반응용액을 가온하여 55 ~ 65 ℃에서 1 ~ 2시간 반응시켜 화학식 4의 비스-3',5'-(N,N-디메틸카바모일옥시)-2-브로모아세토페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용매에 녹여 반응시킨 후, 상기 반응용액을 냉각시키고, 냉각된 상기 반응용액에 수소화붕소나트륨 및 t-부틸아민을 첨가한 후, 65 ~ 75 ℃의 외부 온도에서 18 ~ 22시간 동안 환류 교반한 다음, 상기 반응용액을 재차 실온으로 냉각한 후, 염산염 생성과정을 거쳐 화학식 1의 1-[비스-(3',5'-N,N-디메틸카바모일옥시)페닐]-2-N-3급부틸아미노에탄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개선된 밤부테롤 염산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112006065063268-pat00004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 1은 염기 존재하에 화학식 2의 3,5-디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을 녹인 용매에 디메틸카바밀클로라이드를 첨가한 후, 50 ~ 95 ℃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반응시켜 화학식 3의 비스-3,5-(N,N-디메틸카바모일옥시)-아세토페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에서는 반응 종료 후, 반응생성물을 여과, 세척한 후, 잔사를 감압 농축하고, 상기 농축된 잔사물을 2-프로판올에 가열 용해시킨 후, 헥산으로 재결정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출발물질인 3,5-디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2) 또는 반응물질인 디메틸카바밀 클로라이드는 공지에 의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사용하거나, 시판중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염기는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응 용매는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메틸에틸케톤,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세톤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은 50 ~ 95 ℃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 온도가 50 ℃ 미만일 경우에는 반응 속도가 낮고, 미반응물이 존재하며, 수율이 낮은 문제가 있고, 상기 반응온도가 95 ℃를 초과할 경우에는 부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 반응 시간은 사용되는 반응 용매의 종류에 의존하며, 예를 들면 반응 용매로 아세톤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반응 시간은 18 ~ 22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의 수율은 보통 85% 이상이다.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화학식 3의 화합물과 트리메틸오르토포르메이트를 디옥산,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녹여 반응시킨 후, 상기 반응용액을 냉각시키고, 냉각된 상기 반응용액에 브롬을 첨가한 후 가온 하여 실온에서 1 ~ 2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상기 반응용액에 정제수/2-프로판올(1:1)을 첨가한 후 실온에서 1 ~ 2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다시 상기 반응용액을 가온하여 55 ~ 65 ℃에서 1 ~ 2시간 반응시켜 화학식 4의 비스-3',5'-(N,N-디메틸카바모일옥시)-2-브로모아세토페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에서는 반응 종료 후, 상기 반응에 사용된 용매 및 2-프로판올을 감압 농축하고, 잔사를 여과, 세척 및 건조한 후, 건조된 생성물을 2-프로판올에 가열 용해시킨 다음, 헥산으로 재결정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수율은 보통 83% 이상이다.
단계 3은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용매에 녹여 반응시킨 후, 상기 반응용액을 냉각시키고, 냉각된 상기 반응용액에 수소화붕소나트륨 및 t-부틸아민을 첨가한 후, 65 ~ 75 ℃의 외부 온도에서 18 ~ 22시간 동안 환류 교반한 다음, 상기 반응용액을 재차 실온으로 냉각한 후, 염산염 생성과정을 거쳐 화학식 1의 1-[비스-(3',5'-N,N-디메틸카바모일옥시)페닐]-2-N-3급부틸아미노에탄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염산염 생성은 상기 재차 실온으로 냉각된 반응용액에 정제수/염산(1:1)을 첨가한 후, 상기 반응용액을 농축하여 사용된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정제수/디클로로메탄(2:1)으로 층분리하여 유기층을 제거한 후 수층의 pH를 11 ~ 13으로 조절하고, 상기 수층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재차 층분리한 후 수층을 제거하고, 잔류 유기층에 진한 염산을 첨가하여 pH를 1 ~ 2로 조절한 후 농축하고, 농축된 잔사를 2-프로판올로 결정화시킨 후 생성물을 여과 및 건조하고, 건조된 생성물을 에탄올로 재결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반응용매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부터 1과 같이 각 피크가 미세하게 갈라진 IR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의약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밤부테롤 염산염(1)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의 수율은 보통 70% 이상이며, 출발물질로부터 최종 목적물인 밤부테롤 염산염(1)을 얻는 전체 수율은 약 50%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제조단계가 간단하고, 수율이 높고, 반응 단계를 단축함으로써 전체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절약되고, 제조시 실온과 대기압의 온화한 조건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대량생산을 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밤부테롤 염산염의 제조
단계 1: 비스 -3,5-(N,N- 디메틸카바모일옥시 )아세토페논의 제조
50 ㎖ 1구 둥근 플라스크에 아세톤 10 ㎖를 넣고, 여기에 3,5-디히드록시아세토페논 1.0 g(6.57 mmol), 탄산칼륨 1.36 g(9.85 mmol) 및 디메틸카바밀 클로라이드 2.12 g(19.71 mmol)을 가한 후 70 ℃의 온도에서 20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탄산칼륨을 여과하고 소량의 아세톤으로 여과된 탄산칼륨을 세척하고 아세톤은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된 잔사물에 2-프로판올 1 ㎖(1 v/w)를 넣어 가열하여 완전히 녹인 후 n-헥산 50 ㎖를 넣어 재결정화한 다음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물은 감압여과하고 n-헥산으로 세척하고 건조하였다(1.76 g, 91%).
1 H NMR(300MHz, CDCl3): δ2.59 (3H, s), 3.07 (12H, s), 7.40 (3H, m)
단계 2: 비스 -3′,5′-(N,N- 디메틸카바모일옥시 )-2- 브로모아세토페논의 제조
3 ℓ의 3구 둥근 플라스크에 1,4-디옥산 510 ㎖, 메탄올 340 ㎖를 넣고, 여기에 제조예 1 또는 제조예 2에서 제조된 비스-3,5-(N,N-디메틸카바모일옥시)아세토페논 84.94 g(288.9 mmol)과 트리메틸오르토포르메이트 67.45 g(635.6 mmol)을 넣은 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냉각하고 브로민 92.35 g(577.8 mmol)을 천천히 첨가한 후 실온으로 승온하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교반된 반응물에 증류수/2-프로판올(1:1) 1700 ㎖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 후 60 ℃의 온도로 승온하여 1시간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종료 후, 감압 농축하여 메탄올과 2-프로판올을 제거한 후 잔사물을 여과하고 증류수로 세척하여 건조하였다. 건조된 생성물은 2-프로판올 350 ㎖에 가열하여 완전히 녹이고 여기에 n-헥산 2 ℓ를 천천히 첨가한 후, 2시간 교반하여 정제하였다. 정제된 생성물을 감압 여과하여 건조하였다(89.56 g, 83%).
1 H NMR(300MHz, CDCl3): δ3.07 (12H, s), 4.43 (2H, s), 7.44 (3H, m)
단계 3: 1-[ 비스 -(3′,5′-N,N- 디메틸카바모일옥시 ) 페닐 ]-2-N- 3급부틸아미노 에탄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밤부테롤 염산염)의 제조
1ℓ의 1구 둥근 플라스크에 메탄올 450 ㎖를 넣고, 여기에 비스-3′,5′-(N,N-디메틸카바모일옥시)-2-브로모아세토페논 10 g(26.88 mmol)넣어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0 ℃로 냉각한 후, 수소화붕소나트륨 0.51 g(13.44 mmol)을 첨가하고 3급-부틸아민 28.25 ㎖를 넣고 외부온도 70 ℃로 20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증류수 100 ㎖와 17.5% 염산 50 ㎖를 첨가한 후 감압농축하여 메탄올을 제거하였다. 잔사물에 디클로로메탄 250 ㎖와 증류수 500 ㎖를 넣어 층분리하고 유기층은 제거하였다. 염산층에 암모니아수를 첨가하여 pH 12 정도로 조절하고 디클로로메탄 100 ㎖을 넣어서 유기층과 물층을 분리하여 물층은 제거하였다. 남아 있는 유기층에 진한 염산을 첨가하여 pH 1로 조절하고 감압농축 후 잔사물에 2-프로판올을 첨가하여 결정화하였다. 생성물을 감압여과하고 진공 건조하였다. 건조된 생성물은 에탄올을 이용하여 재결정하고, 여과하고 건조하여 본 발명의 밤부테롤 염산염(7.75 g, 71%, IR: 도 1 참조)을 얻었다.
1 H NMR(300MHz, D2O): δ1.43 (9H, s), 3.03 (12H, d), 3.17 (2H, m), 4.70 (DOH), 5.10 (1H, q), 7.09 (3H, m)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밤부테롤 염산염의 제조방법보다 제조단계가 간단하고, 수율이 높고, 반응 단계를 단축함으로써 전체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절약되고, 제조시 실온과 대기압의 온화한 조건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대량생산을 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Claims (7)

  1.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염기 존재하에 화학식 2의 3,5-디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을 녹인 용매에 디메틸카바밀클로라이드를 첨가한 후, 50 ~ 95 ℃에서 반응시켜 화학식 3의 비스-3,5-(N,N-디메틸카바모일옥시)-아세토페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화학식 3의 화합물과 트리메틸오르토포르메이트를 디옥산,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녹여 반응시킨 후, 상기 반응용액을 냉각시키고, 냉각된 상기 반응용액에 브롬을 첨가한 후 가온하여 실온에서 1 ~ 2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상기 반응용액에 정제수/2-프로판올(1:1)을 첨가한 후 실온에서 1 ~ 2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다시 상기 반응용액을 가온하여 55 ~ 65 ℃에서 1 ~ 2시간 반응시켜 화학식 4의 비스-3',5'-(N,N-디메틸카바모일옥시)-2-브로모아세토페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용매에 녹여 반응시킨 후, 상기 반응용액을 냉각시키고, 냉각된 상기 반응용액에 수소화붕소나트륨 및 t-부틸아민을 첨가한 후, 65 ~ 75 ℃의 외부 온도에서 18 ~ 22시간 동안 환류 교반한 다음, 상기 반응용액을 재차 실온으로 냉각한 후, 염산염 생성과정을 거쳐 화학식 1의 1-[비스-(3',5'-N,N-디메틸카바모일옥시)페닐]-2-N-3급부틸아미노에탄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를 포함하는 개선된 밤부테롤 염산염의 제조방법:
    <반응식 1>
    Figure 112007074216618-pat00005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 의 반응 종료 후, 반응생성물을 여과, 세척한 후, 잔사를 감압 농축하고, 상기 농축된 잔사물을 2-프로판올에 가열 용해시킨 후, 헥산으로 재결정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밤부테롤 염산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염기는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피리딘 및 트리에틸아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 이상의 염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밤부테롤 염산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반응용매는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메틸에틸케톤 및 디메틸포름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밤부테롤 염산염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반응 종료 후, 단계 2의 반응에 사용된 용매 및 2-프로판올을 감압 농축하고, 잔사를 여과, 세척 및 건조한 후, 건조된 생성물을 2-프로판올에 가열 용해시킨 다음, 헥산으로 재결정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개선된 밤부테롤 염산염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의 염산염 생성은 상기 재차 실온으로 냉각된 반응용액에 정제수/염산(1:1)을 첨가한 후, 상기 반응용액을 농축하여 사용된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정제수/디클로로메탄(2:1)으로 층분리하여 유기층을 제거한 후 수층의 pH를 11 ~ 13으로 조절하고, 상기 수층에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재차 층분리한 후 수층을 제거하고, 잔류 유기층에 진한 염산을 첨가하여 pH를 1 ~ 2로 조절한 후 농축하고, 농축된 잔사를 2-프로판올로 결정화시킨 후 생성물을 여과 및 건조하고, 건조된 생성물을 에탄올로 재결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밤부테롤 염산염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의 반응용매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밤부테롤 염산염의 제조방법.
KR1020060086811A 2006-09-08 2006-09-08 밤부테롤 염산염의 개선된 제조방법 KR100803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811A KR100803291B1 (ko) 2006-09-08 2006-09-08 밤부테롤 염산염의 개선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811A KR100803291B1 (ko) 2006-09-08 2006-09-08 밤부테롤 염산염의 개선된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3291B1 true KR100803291B1 (ko) 2008-02-13

Family

ID=39343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811A KR100803291B1 (ko) 2006-09-08 2006-09-08 밤부테롤 염산염의 개선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32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62202A (zh) * 2014-09-12 2015-01-07 广东东阳光药业有限公司 班布特罗中间体的制备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5658A (ko) * 2002-04-30 2003-11-07 한올제약주식회사 밤부테롤의 개선된 합성방법
WO2004014290A2 (en) 2002-08-08 2004-02-19 Cheng J L R-bambuterol, its preparation and therapeutic uses
KR100701743B1 (ko) 2005-10-05 2007-03-29 주식회사 라이트팜텍 밤부테롤의 신규한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5658A (ko) * 2002-04-30 2003-11-07 한올제약주식회사 밤부테롤의 개선된 합성방법
WO2004014290A2 (en) 2002-08-08 2004-02-19 Cheng J L R-bambuterol, its preparation and therapeutic uses
KR100701743B1 (ko) 2005-10-05 2007-03-29 주식회사 라이트팜텍 밤부테롤의 신규한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62202A (zh) * 2014-09-12 2015-01-07 广东东阳光药业有限公司 班布特罗中间体的制备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5604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substituted 2,5-diamino-3-hydroxyhexane
TWI460166B (zh) 製備2-亞胺基-四氫噻唑-4-酮衍生物之新穎方法
US20050272665A1 (en) Synthesis of alpha-amino-beta-alkoxy-carboxylic acid esters
JP4617292B2 (ja) アリールアルキルカルバメート誘導体の製造およびそれらの治療用途
JP2015524447A (ja) N−置換ピラゾロ[3,4−d]ピリミジノン類化合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
KR20230137282A (ko) 프로테인 카이네이즈에 대한 선택적 억제제의 합성에 유용한 중간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08258B1 (ko) 엔독시펜의 신규한 제조 방법
KR100803291B1 (ko) 밤부테롤 염산염의 개선된 제조방법
EP2054373B1 (en) Improve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rivastigmine
JP2007332129A (ja) 光学活性な4−アミノ−3−置換フェニルブタン酸の製造方法
EP3199516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metaraminol
CN101939289A (zh) 用于制备伏立诺他的新方法
JPH10152460A (ja) 2−アミノ−1−(4−ヒドロキシ−2−メチルフェニル)プロパノール誘導体
EP2531499B1 (en) Process for preparing voriconazole by using new intermediates
CN116323563A (zh) 制备用于合成鞘氨醇-1-磷酸酯受体激动剂的中间体的方法
JP6197868B2 (ja) ピリダジノン化合物の製造方法
ES2957319T3 (es) Métodos para producir (6S,15S)-3,8,13,18-tetraazalcosano-6,15-diol
KR101435741B1 (ko) 신규한 보리코나졸 중간체 및 이를 이용한 보리코나졸의 제조 방법
KR20030085658A (ko) 밤부테롤의 개선된 합성방법
JP2011529481A (ja) O−デスメチルベンラファキシンの調製方法
US6610886B2 (en) Intermediate for preparing midodrine
US9840468B1 (en)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6-aminoisoquinoline
TWI294916B (en) Enzymatic synthesis of enantiopure intermediates
KR101686087B1 (ko) 광학 활성을 갖는 인돌린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의 신규 제조 방법
KR101085170B1 (ko) (s)-리바스티그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