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1546B1 - 점검구를 갖는 욕실용 방수판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점검구를 갖는 욕실용 방수판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1546B1
KR100801546B1 KR1020060075179A KR20060075179A KR100801546B1 KR 100801546 B1 KR100801546 B1 KR 100801546B1 KR 1020060075179 A KR1020060075179 A KR 1020060075179A KR 20060075179 A KR20060075179 A KR 20060075179A KR 100801546 B1 KR100801546 B1 KR 100801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panel
waterproof
bathroom
panel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택
고용근
최웅식
석창균
정필용
Original Assignee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5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15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8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use in wet ro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E04H1/1266Cubicles for dressing; Toi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Abstract

본 발명은 점검구를 갖는 욕실용 방수판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는 욕실의 바닥면상에 설치되는 욕실용 방수판에 있어서, 상기 방수판은; 상기 바닥면의 넓이를 가져 그 테두리부가 욕실의 내벽면에 접하는 방수판넬과, 상기 방수판넬을 욕실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바닥면과 방수판넬의 사이에 배관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방수판넬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방수판넬에는 방수판넬 하부에 배관된 각종 파이프를 유지 보수할 수 있게 하며 덮개에 의해 개폐 가능한 하나 이상의 점검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점검구를 갖는 욕실용 방수판넬 시스템은, 개폐 가능한 점검구를 가지므로 그 하부에 시설된 배관을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어 예컨대 오수나 배수파이프가 막히거나 교체하여야 할 경우 점검구를 통해 간단히 수리가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또한 수평 조절이 시공의 가장 마지막 과정에서 이루어지므로 그만큼 정밀한 시공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점검구를 갖는 욕실용 방수판넬 시스템{Waterproof panel in bathroom having maintenance hole}
도 1은 종래의 욕실용 방수판을 베이스프레임과 함께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방수판이 욕실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검구를 갖는 욕실용 방수판넬 시스템이 욕실에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욕실용 방수판넬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점검구덮개를 뒤집어 도시한 도립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4에 도시한 제 1방수판넬과 제 2방수판넬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상기 도 4에 도시한 레벨링풋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방수판넬 시스템에서의 레벨링풋의 위치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방수판넬 시스템에서 점검구를 개방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방수판 13:오수구 15:배수구
17:베이스프레임 19:프레임본체 21:높이조절부
27:욕조 29:양변기 31:오수관
33:잡배수관 41:방수판 43:파이프연결부
45:제 1방수판넬 45a:홈 45b:시일부재
45c:점검구 45d:덮개 45e:암나사구
47:제 2방수판넬 47a:점검구 47b:점검구덮개
47c:암나사구 47d:시일부재 47e:레벨링풋조절구멍
47f:덮개고정나사 47g:나사구멍 47h:절곡부
47k:나사 47m:절곡부 47n:프레임
47q:실란트 47r:홈 49:레벨링풋
49a:고정나사봉 49b:조절너트 49c:지지파이프
49d:지지판 51:레벨링풋 51a:수직파이프
51b:고정너트 51c:조절나사봉 51d:지지판
51e:드라이버홈 53:오수파이프 55:잡배수파이프
57:배수구
본 발명은 점검구를 갖는 욕실용 방수판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식공법을 통한 욕실의 시공에는 방수판이 사용된다. 상기 방수판은 욕실의 바닥면적과 같은 면적을 갖도록 미리 성형된 사각의 방수성 판넬로서, 그 테두리부에 세워지는 벽체 및 천장부재와 조립되어 하나의 욕실 공간을 이룬다.
그런데 근래에 행해지는 건식공법은, 방수판을 욕실의 바닥면에 밀착시키지 않고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그 하부공간(바닥면과 방수판 사이의 공간)에 오수관이나 배수관을 설치하는 특징을 갖는다. 방수판을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서는 방수판을 지지하기 위한 후술할 베이스프레임(17)과 같은 별도의 지지수단이 필요하다.
도 1은 종래의 욕실용 방수판을 베이스프레임과 함께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욕실의 바닥면(z)에 베이스프레임(17)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7)의 상부에 방수판(11)이 지지됨을 알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7)은 방수판(11)을 수평으로 지지시켜 방수판(11)의 하부에 공간을 확보한다. 상기 바닥면(z)은 건축공사를 통해 평평하게 형성된 시멘트 바닥을 의미한다.
상기 방수판(11)은 예컨대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를 핸드레이업(Hand Lay Up) 성형이나, RTM(Resin Transfer Molding), 또는 프레스 성형방법으로 제작되며 오수구(13)와 배수구(15) 등을 갖는다. 상기 오수구(13)는 도 2에 도시한 양변기(29)로부터 발생하는 오수를 오수관(31)으로 보내는 통로이다. 또한 배 수구(15)는 욕조(도 2의 27)나 세면대 등에서 발생하는 잡배수를 방수판(11) 하부로 흘려보내기 위한 구멍으로서 잡배수관(33)이 연결된다.
상기 방수판(11)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프레임(17)은, 방수판(11)의 테두리부 및 기타 힘을 많이 받는 부분을 지지하는 프레임본체(19)와, 상기 프레임본체(19) 각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방수판(11)을 가급적 수평으로 지지하는 다수의 높이조절부(21)를 갖는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방수판이 욕실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방수판(11)이 베이스프레임(17)에 지지됨으로써 욕실의 바닥면(z)으로부터 적절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방수판(11)의 높이나 수평조절은 각 높이조절부(21)를 통해 결정된다.
아울러 상기 오수관(31)은 오수구(도 1의 13)를 통해 양변기(29)와 연결되어 양변기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를 건물 외부로 보낸다. 또한 잡배수관(33)은 상기 배수구(도 1의 15)에 이어져 욕실에서 발생하는 각종 잡배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그런데 상기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욕실용 방수판(11)은, 욕실에 방수판을 시공하기 위하여 별도의 베이스프레임(17)을 필요로 한다는 불편이 있었다. 즉, 상기 방수판(11)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바닥면(z)에 베이스프레임(17)을 먼저 설치한 후 수평을 최대한 맞추고 그 위에 방수판(11)을 올려야 하므로 그만큼 번거롭고 시공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이다. 또한 방수판(11)을 베이스프레임(17)에 올린 후 별도의 결합수단을 통해 프레임본체(19)와 방수판(11)을 고정시켜야 한다.
아울러 프레임본체(19)의 수평을 최대한 맞추었다 하더라도 베이스프레임(17)에 방수판(11)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베이스프레임(17)에 대해 방수판이 미세하게 뒤틀릴 수 있어 결국 방수판(11)의 수평을 정확히 맞추기가 꽤 어렵다.
특히 상기한 종래의 방수판(11)은, 시공후 시간이 지나 방수판(11) 하부의 오수관(31)이나 잡배수관(33)이 막히거나 누수가 발생하는 등 보수가 필요할 경우 방수판(11)을 아예 뜯어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개폐 가능한 점검구를 가지므로 그 하부에 시설된 배관을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어 예컨대 오수나 배수파이프가 막히거나 교체하여야 할 경우 점검구를 통해 간단히 수리가 가능하여 그만큼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또한 수평 조정이 시공의 가장 마지막 과정에서 이루어지므로 정밀한 시공을 할 수 있는 점검구를 갖는 욕실용 방수판넬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욕실의 바닥면상에 설치되는 방수판을 구비한 욕실용 방수판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수판은; 상기 바닥면의 넓이를 가져 그 테두리부가 욕실의 내벽면에 접하는 방수판넬과, 상기 방수판넬을 욕실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바닥면과 방수판넬의 사이에 배관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방수판넬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방수판넬에는 방수판넬 하부에 배관된 각종 파이프를 유지 보수할 수 있게 하며 덮개에 의해 개폐 가능한 하나 이상 의 점검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판넬은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조립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상기 방수판넬의 저면에는 방수판넬의 강도를 보강하는 프레임이 결합 고정되고, 상기 방수판넬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수직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그 하단부가 욕실 바닥면에 지지된 상태로 길이조절을 통해 방수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레벨링풋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레벨링풋은; 상기 점검구를 통해 방수판넬 하부로 손을 넣어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타입의 제 1레벨링풋과, 상기 방수판넬 위에서 방수판넬을 하향 통과시킨 조절공구를 통해 조절할 수 있는 타입의 제 2레벨링풋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판넬은; 욕조가 그 위에 올라가 욕조를 지지하는 제 1방수판넬과, 상기 제 1방수판넬에 이어지며 변기와 세면대가 위치하는 제 2방수판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점검구 중 제 2방수판넬에 위치한 점검구는, 방수판넬 하부에 배관된 파이프들의 연결부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레벨링풋은, 방수판넬 저면의 프레임에 고정되며 수직 하부로 연장된 고정나사봉과, 상기 고정나사봉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와, 상기 고정나사봉을 그 내부에 수용하되 상단부로 상기 너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그 하단부에는 욕실 바닥면에 접하는 지지판이 구비되어 있는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2레벨링풋은, 상기 방수판넬 저면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너트와, 상기 너트에 나사 결합하며 수직 하부로 연장되고 그 하단부에는 욕실 바닥면에 접하는 지지판이 구비되어 있고, 방수판넬 위에서 삽입된 조절공구에 의해 회전토오크를 전달받아 축회전 함으로써 상기 너트를 승강시키는 조절나사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검구를 갖는 욕실용 방수판넬 시스템이 욕실에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방수판(41)은, 상호 조립되어 욕실 바닥면을 커버할 수 있는 넓이를 제공하는 제 1방수판넬(45) 및 제 2방수판넬(47)과, 상기 제 1,2방수판넬(45,47)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다수의 레벨링풋(49,51)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 2방수판넬(47)에는 점검구덮개(47b)에 의해 개방 또는 밀폐되는 점검구(47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점검구(47a)는 파이프연결부(43)가 위치한 장소의 연직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파이프연결부(43)를 점검하거나 수리할 경우 (방수판넬을 걷어낼 필요 없이) 상기 점검구덮개(47b)를 개방하여 간단히 조치 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연결부(43)는 잡배수파이프와 오수관(31)에서의 이음부 등이 집중되는 부위로서 점검이나 보수가 요구되는 위치이다.
한편, 상기 제 1,2방수판넬(45,47)의 저면에는 프레임(47n)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47n)은 제 1,2방수판넬(45,47)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방수판넬(45,47)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방수판넬(45,47)이 하부로 늘어지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47n) 이외에도 보강용 리브(rib)가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레벨링풋(49,51)은 프레임(47n)과 바닥면(z)에 상하단부가 접한 상태로 그 길이가 조절되어 방수판넬(45,47)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레벨링풋(49,51)은 두 가지 종류가 적용되며 그 세부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욕실용 방수판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점검구를 갖는 욕실용 방수판넬 시스템(41)은, 제 1방수판넬(45)과, 상기 제 1방수판넬(45)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2방수판넬(47)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방수판넬(47)에는 점검구(47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점검구(47a)는 점검구덮개(47b)에 의해 밀폐되며 필요시 개방된다.
아울러 상기 제 1,2방수판넬(45,47)의 저면에는, 프레임(47n)과 다수의 레벨링풋(49,51)이 구비되어 있다.
먼저, 상기 제 1방수판넬(45)은 욕조(도 3의 27)나 이를테면 샤워용 부스(미도시)를 그 위에 올릴 수 있는 넓이를 가지는 직사각형 부재이다. 상기 제 1방수판넬(45)의 저면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같이 사다리 형태의 프레임(47n)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47n)의 형태는 경우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하튼 상기 제 1방수판넬(45)의 하부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같이 네 개의 레벨링풋(49)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레벨링풋(49)은 제 1방수판넬(45)을 수평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상단부가 상기 프레임(47n)에 고정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욕실 바닥면(z)을 눌러 제 1방수판넬(45)을 원하는 높이로 지지한다.
상기 레벨링풋(49)은 도 7에 도시한 구성을 갖는다. 도 7을 참조하여 레벨링풋(49)의 구조와 작동원리를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2방수판(45,47)의 하부에 설치되는 레벨링풋(49)은, 상기 프레임(47n)에 고정되며 수직 하부로 연장되고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있는 고정나사봉(49a)과, 상기 고정나사봉(49a)에 나사 결합하는 조절너트(49b)와, 그 상단부로 상기 조절너트(49b)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한편으로는 상기 고정나사봉(49a)을 수용하는 지지파이프(49c)와, 상기 지지파이프(49c)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욕실 바닥면(z)에 접하는 지지판(49d)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을 갖는 레벨링풋(49)에 있어서 작업자가 방수판넬(45,47) 하부로 손을 넣어 조절너트(49b)를 좌우로 회전시키면 (고정나사봉(49a)에 조절너트(49b)가 나사 결합하고 있는 이상) 고정나사봉(49a)이 승강하게 된다. 고정나사봉(49a)이 승강한다는 것은 제 1,2방수판넬(45,47)의 해당 부위가 승강함을 의미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1방수판넬(45)에 두 개의 점검구(45c)가 마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점검구(45c)가 제 1방수판넬(45) 하부로 손을 넣을 수 있는 통로이다. 즉 작업자가 상기 점검구(45c)를 통해 제 1방수판넬(45) 아 래로 손을 넣어 레벨링풋(49)을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점검구(45c)는 덮개(45d)에 의해 개폐 가능하다. 따라서 제 1방수판넬(45)의 수평을 맞춘 후 덮개(45d)로 점검구(45c)를 밀폐한다.
한편, 상기 제 1방수판넬(45)의 일측단부, 즉 제 2방수판넬(47)을 향하는 단부에는 일정폭 및 깊이를 갖는 홈(45a)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홈(45a)의 바닥면에는 시일부재(45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시일부재(45b)는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2방수판넬(47)의 절곡부(47h)에 눌려 제 1방수판넬(45)과 제 2방수판넬(47)의 사이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한다. 상기 시일부재(45b)는 공지의 방수용 건축재료이다.
아울러 상기 홈(45a)의 바깥쪽에는 다수의 암나사구(45e)가 위치한다. 상기 암나사구(45e)는 제 1방수판넬(45)과 제 2방수판넬(47)을 결합하는 나사(47k)가 고정되는 구멍이다.
도면부호 55는 잡배수파이프이다. 상기 잡배수파이프(55)는 욕조로부터 발생하는 잡배수를 건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파이프로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같이 방수판넬 하부의 파이프연결부(도 10의 43)에 연결된다.
상기 제 2방수판넬(47)의 상부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같이 세면대와 양변기(29)가 위치한다. 상기 제 2방수판넬(47)에는 사각의 점검구(47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점검구(47a)는 방수판넬을 들어내지 않고도 방수판넬 하부의 파이프나 파이프연결부(도 10의 43)를 점검 내지 보수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넓이를 갖는다. 상기 점검구(47a)의 크기나 위치는 경우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상기 점검구(47a)의 테두리부에는 홈(47r)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47r)은 일정 깊이 및 폭을 갖는 홈으로서 내부에 시일부재(47d)를 갖는다. 상기 홈(47r)은 점검구덮개(47b)의 테두리 절곡부(도 5의 47m)를 수용한다. 이 때 상기 절곡부(47m)는 홈(47r)의 내부에서 시일부재(47d)에 밀착하여 점검구(47a)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홈(47r)의 내측에는 다수의 암나사구(47c)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암나사구(47c)는 점검구덮개(47b)를 제 2방수판넬(47)에 고정시키는 덮개고정나사(47f)가 결합하는 구멍이다.
또한 상기 점검구(47a)의 측부에는 제 2방수판넬(47)의 절곡부(47h)가 위치한다. 상기 절곡부(47h)는 제 1방수판넬(45)의 홈(45a)에 삽입되어 기밀을 이루는 부위이다. 따라서 상기 절곡부(47h)를 홈(45a)에 삽입하여 제 1방수판넬(45)과 제 2방수판넬(47)의 인접 단부를 포개고 그 상태로 포개어진 부분을 나사(47k)로 죄어 결합할 수 있다.
도면부호 57은 세면대로부터 발생하는 잡배수를 건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이다. 상기 배수구(57)는 제 2방수판넬(47)의 하부에서 배수구파이프(미도시)에 연결된다. 또한 도면부호 53은 오수파이프이다. 상기 오수파이프(53)는 양변기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상기 파이프연결부(43)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2방수판넬(47)의 하부에도 다수의 레벨링풋(49,51)이 구비되어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7에 도시한 타입의 레벨링풋(49)이 네 개, 도 8에 도시한 레벨링풋(51)이 한 개 구비되어 있다. 상기 레벨링풋(49,51)의 종류나 개수는 경우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레벨링풋(51)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른 한 종류의 레벨링풋(51)은 상기 프레임(47n)에 고정되며 수직 하부로 연장된 수직파이프(51a)와, 상기 수직파이프(51a)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너트(51b)와, 상기 고정너트(51b)에 나사 결합하며 수직파이프(51a)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조절나사봉(51c)과, 상기 조절나사봉(51c)의 하단에 연결되며 바닥면(z)에 지지되는 지지판(51d)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절나사봉(51)은 지지판(51d)에 회전 가능하도록 링크된다.
또한 조절나사봉(51c)의 상단부에는 드라이버홈(51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드라이버홈(51e)은 레벨링풋(51)의 조절공구인 드라이버(D)의 단부가 끼워지는 홈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드라이버(D)를 이용하여 조절나사봉(51c)을 원하는 방향으로 축회전 할 수 있다. 조절나사봉(51c)이 고정너트(51b)에 나사 결합하고 있으므로 조절나사봉(51c)을 축회전하면 레벨링풋(51)의 전체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든다. 레벨링풋(51)의 길이가 늘어나면 해당부위의 방수판넬의 높이가 올라간다.
특히 상기 레벨링풋(51)이 위치한 장소의 방수판넬에는 레벨링풋조절구멍(47e)이 마련된다. 상기 레벨링풋조절구멍(47e)은 드라이버(D)를 레벨링풋(51)측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마련한 구멍이다. 상기 레벨링풋조절구멍(47e)은 방수판의 시공 완료시 실리콘이나 기타 방수제로 메워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점검구덮개(47b)에 두 개의 레벨링풋조절구멍(47e)이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점검구덮개(47b)의 하부에 두 개의 (도 8에 도시한 타입의) 레벨링풋(51)이 구비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아울러 상기 점검구덮개(47b)의 테두리부에는 다수의 나사구멍(47g)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나사구멍(47g)은 덮개고정나사(47f)가 하향 통과하여 상기 암나사구(47c)에 나사 결합하도록 하는 관통구멍이다.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점검구덮개를 뒤집어 도시한 도립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사각판 형태의 점검구덮개(47b) 테두리부에 절곡부(47m)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절곡부(47m)의 내측에는 다수의 나사구멍(47g)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점검구덮개(47b)의 저면에 프레임(47n)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47n)은 점검구덮개(47b)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두 개의 레벨링풋(51)이 결합한다.
도 6은 상기 도 4에 도시한 제 1방수판넬과 제 2방수판넬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 1방수판넬(45)의 홈(45a) 내부에 시일부재(45b)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시일부재(45b)에 절곡부(47h)의 단부가 밀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홈(45a)과 절곡부(47h)의 사이 및 나사(47k) 상부에 실란트(47q)가 도포되어 있다. 상기 실란트는 공지의 방수용 재료로서 도시한 바와같이 빈틈에 적용되어 보다 완벽한 방수를 보장한다.
아울러 도 6에 도시한 결합방식은 제 2방수판넬(47)에 대한 점검구덮개(47b)의 고정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7 및 도 8은 상기 도 4에 도시한 레벨링풋(49,51)의 세부 구성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상기한 바와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방수판에서의 레벨링풋의 위치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제 1방수판넬(45)과 제 2방수판넬(47)의 저면에 프레임(47n)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47n)의 크기나 배치는 방수판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 달라짐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점검구덮개(47b)의 저면에도 프레임(47n)이 고정되어 있다.
여하튼 상기 제 1방수판넬(45)의 하부에는 점검구(45c)를 통해 그 높이를 조절하는 네 개의 레벨링풋(49)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 2방수판넬(47)의 점검구(47a) 주변에도 네 개의 레벨링풋(49)이 구비되어 있다.
이에 비해 도 8에 도시한 타입의 레벨링풋(51)은 모두 세 개가 구비되는데, 두 개는 점검구덮개(47b)에 설치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는 제 2방수판넬(47)의 도면상 우측 상부 귀퉁이부에 위치한다. 제 2방수판넬(47)의 넓이가 작거나 또는 점검구(47a)가 충분히 커서 작업자의 손이 점검구(47a)를 통해 방수판넬의 어느 부위까지 닿을 수 있다면 상기 귀퉁이부에 위치하는 레벨링풋(51)은 도 7에 도시한 타입의 레벨링풋으로 바꿈이 좋다.
여하튼 상기와 같이 제 1,2방수판넬(45,47) 및 점검구덮개(47b)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레벨링풋(49,51)을 작업자가 방수판의 위에서 (점검구로 손을 넣어 조절하던 드라이버를 이용해서 조절하던)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방수판넬의 수평을 매우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맞출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방수판에서 점검구를 개방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방수판의 하부에 배관된 파이프의 연결부(43)가 점검구(47a)의 연직 하부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오수관이나 배수관 등의 점검이나 보수의 필요시 (방수판을 뜯어낼 필요 없이) 상기 점검구덮개(47b)를 간단히 개방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어 매우 간편하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점검구를 갖는 욕실용 방수판넬 시스템은, 개폐 가능한 점검구를 가지므로 그 하부에 시설된 배관을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어 예컨대 오수나 배수파이프가 막히거나 교체하여야 할 경우 점검구를 통해 간단히 수리가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또한 수평 조절이 시공의 가장 마지막 과정에서 이루어지므로 그만큼 정밀한 시공을 할 수 있다.

Claims (8)

  1. 욕실의 바닥면상에 설치되는 방수판을 구비한 욕실용 방수판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수판은;
    상기 바닥면의 넓이를 가져 그 테두리부가 욕실의 내벽면에 접하는 방수판넬과, 상기 방수판넬을 욕실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바닥면과 방수판넬의 사이에 배관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방수판넬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방수판넬에는 방수판넬 하부에 배관된 각종 파이프를 유지 보수할 수 있게 하며 덮개에 의해 개폐 가능한 하나 이상의 점검구가 마련되며,
    상기 방수판넬의 저면에는 방수판넬의 강도를 보강하는 프레임이 결합 고정되고,
    상기 방수판넬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수직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그 하단부가 욕실 바닥면에 지지된 상태로 길이조절을 통해 방수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레벨링풋을 포함하며,
    상기 레벨링풋은;
    상기 점검구를 통해 방수판넬 하부로 손을 넣어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타입의 제 1레벨링풋과,
    상기 방수판넬 위에서 방수판넬을 하향 통과시킨 조절공구를 통해 조절할 수 있는 타입의 제 2레벨링풋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구를 갖는 욕실용 방수판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판넬은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조립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구를 갖는 욕실용 방수판넬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판넬은;
    욕조가 그 위에 올라가 욕조를 지지하는 제 1방수판넬과,
    상기 제 1방수판넬에 이어지며 변기와 세면대가 위치하는 제 2방수판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구를 갖는 욕실용 방수판넬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 중 제 2방수판넬에 위치한 점검구는, 방수판넬 하부에 배관된 파이프들의 연결부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구를 갖는 욕실용 방수판넬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레벨링풋은,
    방수판넬 저면의 프레임에 고정되며 수직 하부로 연장된 고정나사봉과,
    상기 고정나사봉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와,
    상기 고정나사봉을 그 내부에 수용하되 상단부로 상기 너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그 하단부에는 욕실 바닥면에 접하는 지지판이 구비되어 있는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구를 갖는 욕실용 방수판넬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레벨링풋은,
    상기 방수판넬 저면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너트와,
    상기 너트에 나사 결합하며 수직 하부로 연장되고 그 하단부에는 욕실 바닥면에 접하는 지지판이 구비되어 있고, 방수판넬 위에서 삽입된 조절공구에 의해 회전토오크를 전달받아 축회전 함으로써 상기 너트를 승강시키는 조절나사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구를 갖는 욕실용 방수판넬 시스템.
KR1020060075179A 2006-08-09 2006-08-09 점검구를 갖는 욕실용 방수판넬 시스템 KR100801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179A KR100801546B1 (ko) 2006-08-09 2006-08-09 점검구를 갖는 욕실용 방수판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179A KR100801546B1 (ko) 2006-08-09 2006-08-09 점검구를 갖는 욕실용 방수판넬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384U Division KR200430323Y1 (ko) 2006-08-09 2006-08-09 점검구를 갖는 욕실용 방수판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1546B1 true KR100801546B1 (ko) 2008-02-12

Family

ID=39342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179A KR100801546B1 (ko) 2006-08-09 2006-08-09 점검구를 갖는 욕실용 방수판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154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637B1 (ko) * 2008-03-18 2010-08-23 이상기 욕실용 건식 바닥체
KR100988848B1 (ko) 2008-12-26 2010-10-20 에스에이치도어텍주식회사 염산 탱크의 점검구용 차수문
KR101006020B1 (ko) * 2008-12-26 2011-01-06 에스에이치도어텍주식회사 특수구조의 점검구용 차수문
CN102409869A (zh) * 2010-09-21 2012-04-11 苏州科逸住宅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整体浴室顶盖
CN102747847A (zh) * 2012-07-31 2012-10-24 苏州科逸住宅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整体浴室顶盖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004A (ja) * 1993-06-16 1995-01-10 Inax Corp 防水パンのレベル調節方法
KR960031701A (ko) * 1995-02-27 1996-09-17 사토 후미오 드럼식 건조기
JPH094247A (ja) * 1995-06-20 1997-01-07 Inax Corp 防水パンの支持装置と支持方法
JPH0971988A (ja) * 1995-09-07 1997-03-18 Yamaha Living Tec Kk 防水パンの脚装置
JPH1061222A (ja) 1996-08-13 1998-03-03 Inax Corp 衛生室ユニットの点検口蓋取付構造
JPH10338954A (ja) 1997-06-06 1998-12-22 Takara Standard Co Ltd 浴槽防水パン
JPH11197045A (ja) 1998-01-12 1999-07-27 Arita Unitec Kk ユニットバスとその工法
JPH11256646A (ja) 1998-03-11 1999-09-21 Inax Corp ユニットバス防水パン延長用パン
JP2000265518A (ja) 1999-03-19 2000-09-26 Inax Corp 分割床パンの接合構造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004A (ja) * 1993-06-16 1995-01-10 Inax Corp 防水パンのレベル調節方法
KR960031701A (ko) * 1995-02-27 1996-09-17 사토 후미오 드럼식 건조기
JPH094247A (ja) * 1995-06-20 1997-01-07 Inax Corp 防水パンの支持装置と支持方法
JPH0971988A (ja) * 1995-09-07 1997-03-18 Yamaha Living Tec Kk 防水パンの脚装置
JPH1061222A (ja) 1996-08-13 1998-03-03 Inax Corp 衛生室ユニットの点検口蓋取付構造
JPH10338954A (ja) 1997-06-06 1998-12-22 Takara Standard Co Ltd 浴槽防水パン
JPH11197045A (ja) 1998-01-12 1999-07-27 Arita Unitec Kk ユニットバスとその工法
JPH11256646A (ja) 1998-03-11 1999-09-21 Inax Corp ユニットバス防水パン延長用パン
JP2000265518A (ja) 1999-03-19 2000-09-26 Inax Corp 分割床パンの接合構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637B1 (ko) * 2008-03-18 2010-08-23 이상기 욕실용 건식 바닥체
KR100988848B1 (ko) 2008-12-26 2010-10-20 에스에이치도어텍주식회사 염산 탱크의 점검구용 차수문
KR101006020B1 (ko) * 2008-12-26 2011-01-06 에스에이치도어텍주식회사 특수구조의 점검구용 차수문
CN102409869A (zh) * 2010-09-21 2012-04-11 苏州科逸住宅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整体浴室顶盖
CN102747847A (zh) * 2012-07-31 2012-10-24 苏州科逸住宅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整体浴室顶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1546B1 (ko) 점검구를 갖는 욕실용 방수판넬 시스템
PT2009187E (pt) INSTALAÆO SANITáRIA COM UM ESCOAMENTO DE CH†O, BEM COMO PROCESSO PARA MONTAGEM DA INSTALAÆO SANITáRIA DESTE TIPO
KR20100070745A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200430323Y1 (ko) 점검구를 갖는 욕실용 방수판넬 시스템
JP5613886B2 (ja) 槽体の配管構造
KR20100081861A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JP2001295340A (ja) 防水床パン
AU2017338259A1 (en) Arrangement for the installation and wall mounting of a wash basin or the like
WO2019093516A1 (ja) 浴室ユニットの排水構造及び施工方法
KR20110101529A (ko) 조립식 세면욕실의 방수판용 층상배수관 장치
JP2006336285A (ja) 改装用防水パン
TWI720629B (zh) 浴室地板構造
JPH057327Y2 (ko)
JP7320355B2 (ja) トイレ用キャビネット
KR101979062B1 (ko) 층상배관용 바닥판
KR200305381Y1 (ko)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
JPH052151Y2 (ko)
JPH08209761A (ja) ユニットバスの配管構造
JP2000008716A (ja) 浴室用開閉戸下枠装置
EP1105585B1 (de) Ablauf zum einbau in flächige trägerelemente
JP3491820B2 (ja) 浴室ユニットのフロアー構造
JP2000144842A (ja) 防水パン
KR20020070747A (ko) 대형수조의 설치구조
KR200352892Y1 (ko) 유지보수용 도어를 구비한 이동식 간이 건축구조물
JP2006026337A (ja) システムバス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