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5381Y1 -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5381Y1
KR200305381Y1 KR20-2002-0036554U KR20020036554U KR200305381Y1 KR 200305381 Y1 KR200305381 Y1 KR 200305381Y1 KR 20020036554 U KR20020036554 U KR 20020036554U KR 200305381 Y1 KR200305381 Y1 KR 2003053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drainage
drain trap
floor
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65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Priority to KR20-2002-00365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53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53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53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수홈통의 매립을 위한 후공정인 메우기 공정없이 배수홈통을 실내 바닥의 콘크리트층에 매립한 상태에서 바닥패널에 모듈화된 배수트랩을 배수홈통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는, 욕실 바닥의 콘크리트층(1)에 매립되며 상측이 개구된 배수홈통(10)과, 조립식 욕실용 바닥패널(3)에 배수트랩 장착안내구(30)를 매개로 하여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배수트랩(20)과, 상기 배수트랩 장착안내구의 저부에 나사 체결되는 높이조절 슬리브(50)와, 상기 높이조절 슬리브의 저부에 나사 체결되면서 상기 배수홈통의 상측 개구부를 밀폐하는 블라인드 슬리브(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시공 오차 등으로 인하여 배수트랩과 배수홈통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아도 블라인드 슬리브에 의해 배수홈통의 개구부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배수트랩과 배수홈통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DEVICE FOR DRAINING WASTE WATER OF UNIT BATH ROOM}
본 고안은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홈통의 매립을 위한 후공정인 매우기 작업을 시행하지 않고 배수홈통을 바닥의 콘크리트층에 매립한 상태에서 바닥패널에 모듈화된 배수트랩을 배수홈통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주택 욕실을 공사하는 방법은, 시멘트, 모래, 방수액, 타일, 내장재(욕조, 양변기 등)로 욕실을 만드는 습식 공법과 규격화된 욕실 바닥 패널, 벽패널, 천정패널, 내장재(욕조, 양변기 등)를 미리 조립하여 욕실을 만드는 건식공법 즉 조립식 욕실(Unit Bath Room)로 크게 분류된다.
상기한 습식공법은 시멘트, 모래, 방수액, 타일을 가지고 건설 기능공이 수작업으로 공사를 하므로 기능공의 기술 수준, 품질의식, 작업여건, 인력수급에 따라 시공 품질이 크게 달라짐에 따라 누수문제의 하자를 유발시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습식공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공법이 건식공법이다. 건식공법은 섬유강화플라스틱(FRP) 소재 또는 기타 소재를 이용하여 금형으로 가압 일체 성형한 바닥패널, 벽패널 및 천장패널 등이 욕실에 필요한 소정의 부속구 예컨대 트랩 등이 일체로 조립되어 욕실을 구성한다.
조립식 욕실은 금형제품인 가압 일체 성형한 쉬트몰딩콤파운드(Sheet Molding Compound : SMC) 바닥패널을 주로 사용하므로 우수한 방수력과 보온력을 가지며 관련 부품들이 정확하게 조립되어 균일한 품질의 욕실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욕실/화장실에는 바닥의 중앙이나 바닥의 구석진 부분(예컨대 세면대와 변기와의 사이의 부분)에 고이는 오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배수구에는 여과망에 의하여 배수구에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이 들어가 배수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봉수(封水)에 의하여 악취가 흘러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트랩이 설치된다.
건식공법인 조립식 욕실의 경우에도 배수장치가 제공되는데, 이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는, 욕실 바닥의 콘크리트층(1)에 매립되어 있으며 배수관(5)이 연결되는 배수홈통(2)과, 조립식 욕실용 바닥패널(3)에 모듈화되어 바닥패널(3)의 시공시 배수홈통(2)에 연결되는 배수트랩(4)과, 상기 배수트랩(4)에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욕조, 세면기측 호스(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의 시공을 설명하면, 욕실 바닥의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층(1)에 배수홈통(2)을 미리 매립하며, 이와는 별도로 조립식 욕실용 바닥패널(3)에 배수트랩(4)을 조립하여 이들을 일체로 모듈화하고, 이 바닥패널(3)을 그 배수트랩(4)이 배수홈통(2) 내부에 위치하도록 욕실 바닥의 콘크리트층(1) 상에 설치함으로써 배수홈통(2)과 배수트랩(3)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바닥패널(3)의 설치가 완료되면 배수트랩(4)에 욕조, 세면기측에 관출된 호스(5)를 연결하여 배수장치의 시공을 완료한다.
바닥패널(3)의 설치가 완료되면, 이 바닥패널(3)에 벽패널(미도시)을 조립하고, 상기 벽패널에 천정패널을 조립하여 조립식 욕실을 시공하며, 이렇게 되면, 바닥패널(3)의 자중 및 바닥패널(3)에 전가되는 하중에 의해 배수트랩(4)과 배수홈통(2)은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조립식 욕실의 공사시 조립 오차, 시공 오차 등으로 인하여 배수트랩(4)의 중심이 배수홈통(2)의 중심과 일치하지 않고 편심될 수 있으나, 배수홈통(2)은 욕실 바닥의 콘크리트층(1)에 매립되어 있으며, 배수트랩(4)은 바닥패널(3)에 고정되어 있는 바, 상기 배수홈통(2)과 배수트랩(4)은 그 위치를 가변할 수 없기 때문에 배수장치를 시공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욕실 바닥의 콘크리트 타설시 배수홈통(2)을 어느 정도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여유공간(1a)을 두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바닥패널(3)을 설치조립에 의해 배수홈통(2)의 위치를 셋팅한 후, 상기 여유공간(1a)을 콘크리트로 되메워 배수홈통(2)을 매립하고 있으나, 이는 되메우기 작업을 시행해야 하므로 전체적으로 시공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하다. 특히, 바닥패널(3)이 설치된 상태이기 때문에 메우기 작업을 아래층(콘크리트층(1)의 저부)에서 시행해야 하므로 그 불편함이 크다.
그리고, 배수트랩(4)의 배수구(4a)가 배수홈통(2)에 삽입되어야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바닥패널(3)의 시공조건에 따라 바닥패널(3)과 콘크리트층(1)의 바닥면의 사이에 높이 편차가 발생되어 배수트랩(4)을 배수홈통(2)에 삽입하지 못할 수 있으며, 이렇게 되면, 배수트랩(4)을 길이가 다른 것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단점도 있다.
또한, 배수트랩(4)이 바닥패널(3)에 영구 고정됨으로써 배수트랩(4)과 배수홈통(2)의 청소시 배수홈통(2), 배수트랩(4) 표면에 묻은 찌꺼기를 깨끗히 청소할 수 없게 되어 배수홈통(2), 배수트랩(4)의 표면에 묻은 찌꺼기에 의해 악취가 발생하는 단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조립식 욕실용 바닥패널에 설치된 배수트랩과 욕실 바닥 콘크리트층에 매립된 배수홈통의 위치편차가 발생되어도 배수홈통의 매립을 위한 후공정인 되메우기 작업없이 배수트랩과 배수홈통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립식 욕실용 바닥패널과 그 저부의 콘크리트층의 높이차가 발생되어도 배수트랩의 교체없이 배수트랩과 배수홈통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청소가 용이하도록 하여 청결을 유지하려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의 설치 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크리트층, 3 : 바닥패널
10 : 배수홈통, 11 : 트레이
20 : 배수트랩, 21 : 배수통
22 : 여과통, 23 : 여과판
30 : 배수트랩 장착안내구, 40 : 블라인드 슬리브
41 : 슬리브부, 42 : 막음부
43 : 스커트, 50 : 높이조절 슬리브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는, 실내 바닥의 콘크리트층에 매립되며 상부가 개구되는 배수홈통과; 조립식 욕실용 바닥패널에 모듈화되어 상기 바닥패널의 시공시 상기 배수홈통에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배수트랩 모듈과; 그리고, 상기 배수트랩 모듈의 저부에 연결되며 상기 배수홈통의 상측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배수홈통의 개구부보다 직경이 큰 판형 막음부가 구비된 블라인드 슬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홈통 상단 외주연에는 바닥막음 트레이가 체결되며, 상기 블라인드 슬리브의 막음부의 저부에는 그 하단부가 상기 콘크리트층의 바닥막음 트레이에 밀착되는 탄성재질의 환형 스커트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패널에는 상기 배수트랩이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며 그 저부에 상기 블라인드 슬리브가 연결되는 배수트랩 장착안내구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는, 상기 블라인드 슬리브와 배수트랩 장착안내구의 사이에 개재되면서 상기 블라인드 슬리브에 나사 체결되는 높이조절 슬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는, 욕실 바닥의 콘크리트층(1)(도 3에 도시됨)에 매립되며 상부가 개구되는 배수홈통(10)과, 조립식 욕실용 바닥패널(3)과 모듈화되어 바닥패널(3)의 시공시 배수홈통(10)에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바닥을 따라 흐르는 오수, 욕조/세면기에서 방출되는 오수의 배수를 안내하는 배수트랩(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배수트랩(20)은, 배수구에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이 들어가 배수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봉수(封水)에 의하여 하수악취가 실내로 역류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상부가 개구되며 일측벽에 배수공(21a)이 구비된 배수통(21), 상/하부가 개구되면서 배수통(2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의 대략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하단이 상기 배수통(21)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배수통(21) 내부에 삽입되는 여과통(22) 및 상기 여과통(22)의 상부를 막도록 여과통(22)의 상부에 지지됨과 아울러 여과통(22)의 내부와 통하는 다수의 여과구멍(23a)이 형성된 여과판(23)을 가진다.
배수트랩(20)의 여과판(23)에는 욕조, 세면기와 연결된 호스(24)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호스(24)는 여과판(23)에의 어댑터 연결공(23b)에 연결된 어댑터(25)의 단부에 소켓(26)을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배수트랩(20)의 구조는 위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것이 채택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에 의하면, 도 2와 도 3에서 보이는바와 같이, 배수트랩(20)은 바닥패널(3)(도 3에 도시됨)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배수트랩(20)은 바닥패널(3)의 단차부(3a)(도 3에 도시됨)에 끼워지는 배수트랩 장착안내구(30)에 단순 삽입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트랩 장착안내구(30)는 그 상단부에 외향 플랜지(31)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배수트랩(20)의 배수통(21) 및 여과판(23)이 각각 안착되는 안착턱(32)(33)이 단차지게 형성되며, 저부 외주면에는 나사부(34)가 형성될 수 있다.
바닥패널(3)의 배수트랩 장착공에는 기밀/수밀 향상과 배수트랩 장착안내구(30)의 장착성을 고려하여 탄성재질의 패킹(35)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패킹(35)은 외측을 향해 개구되어 바닥패널(3)의 배수트랩 장착공 둘레부에 끼워 조립될 수 있다. 배수트랩 장착안내구(30)는 패킹(35) 상면에 안착되면서 패킹(35)의 탄성력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홈통(10)이 욕실 바닥의 콘크리트층(1)에 매립되고, 배수트랩(20)이 바닥패널(3)에 모듈화된 상태에서 배수트랩(20)의 중심이 배수홈통(10)의 중심과 일치하지 않고 편심되어도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예컨대, 배수홈통(10)은 그 개구부가 배수트랩(20)의 편심을 감안하여 넓게 형성되며, 배수트랩(20)의 저부에는 배수홈통(10)의 개구부를 막는 블라인드 슬리브(4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블라인드 슬리브(40)는 내주면에 나사부(41a)가 구비된 슬리브부(41) 및 상기 슬리브부(41)의 상단부에서 외향 형성되어배수홈통(10)의 상측 개구부를 막는 판상의 막음부(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막음부(42)의 저부에는 그 둘레를 따라 막음부(42)와 콘크리트층(1)(도 3에 도시됨) 바닥 사이를 통해 오수가 누수되지 않고, 악취가 올라오지 않도록 밀폐하는 환형의 스커트(4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커트(43)는 블라인드 슬리브(4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인서트 사출될 수 있으며, 막음부(42)의 저면 둘레부에 형성된 체결홈(42a)에 삽입되거나 접착제 등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콘크리트층(1)의 바닥부에는 바닥막음 트레이(11)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바닥막음 트레이(11)는 배수홈통(10)에 끼움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그 외주연이 상측으로 경사지게 벤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에 따르면, 배수홈통(10)과 배수트랩(20)의 높이차를 보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배수트랩 장착안내구(30)와 블라인드 슬리브(40)의 사이에는 상부 내주면과 하부 외주면에 각각 나사부(51,52)(도 2참조)가 구비된 높이조절 슬리브(50)가 개재될 수 있다. 즉, 높이조절 슬리브(50)를 블라인드 슬리브(40)에 체결/해제함으로써 바닥패널(3)과 콘크리트층(1) 사이의 높이를 맞출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바닥패널(3)과 배수홈통(10)의 높이차가 발생되어도 배수트랩의 교체없이 배수홈통(10)과 배수트랩(20)을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의 구성요소 중 배수홈통(10)는 욕실 바닥의 콘크리트층(1)에 매립되며, 바닥막음 트레이(11)는 매립된 배수홈통(10)에 설치되며, 이들을 제외한 모든 구성요소 즉, 배수트랩(20), 배수트랩 장착안내구(30), 블라인드 슬리브(40) 및 높이조절 슬리브(50)는 바닥패널(3)과 일체 결합되어 모듈화되어 제공된다.
이들의 모듈화 공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바닥패널(3)의 배수트랩 장착공에 환형 패킹(35)을 끼워 조립하고, 패킹(35) 내부에 배수트랩 장착안내구(30)를 삽입한다. 배수트랩 장착안내구(30)는 패킹(35)의 탄성력에 의해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바닥패널(3)의 단턱부(3a)에 안착된다.
배수트랩 장착안내구(30)에 배수트랩(20)을 삽입하여 배수트랩(20)을 배수트랩 안착턱(32)에 안착되도록 한다.
바닥패널(3)의 저부에서 배수트랩 장착안내구(30)의 나사부(34)에 블라인드 슬리브(40)가 나사 체결된 높이조절 슬리브(50)를 나사 체결한다.
이로써, 바닥패널(3)과 배수장치가 모듈화될 수 있다.
조립식 욕실 공사시 상기 바닥패널(3) 모듈을 바닥에 시공하며, 바닥패널(3)의 시공시 배수트랩(20)과 배수홈통(10)이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서 배수장치가 시공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바닥패널(3)을 욕실 바닥에 설치하게 되면, 배수홈통(10)의 내부에 블라인드 슬리브(40)가 삽입되면서 막음부(42)와 스커트(43)에의해 배수홈통(10)의 상측 개구부가 밀폐될 수 있다. 이때, 배수홈통(10)의 크기 및 블라인드 슬리브(40)의 크기에 의해 배수트랩(20)의 중심이 배수홈통(10)의 중심과 일치하지 않아 공간(W)(도 3에 도시됨)내에서 좌우로 이동되더라도 배수홈통(10)의 개구부가 유호하게 밀폐될 수 있다.
한편, 바닥패널(3)과 콘크리트층(1) 사이의 높이차에 의해 배수트랩 모듈이 배수홈통(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없는 경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배수트랩 모듈의 높이를 조절한다. 블라인드 슬리브(40)를 높이조절 슬리브(50)에 체결하거나 해제하면 블라인드 슬리브(40)가 회전함에 따라 배수트랩 모듈의 전체적인 높이가 높아지거나 낮아지게 되며, 이러한 방법으로 높이를 조절하면 배수트랩 모듈을 배수홈통(10)에 삽입할 수 있다.
바닥패널(3)의 설치 후, 벽 패널, 천정 패널을 설치하여 조립식 욕실을 시공하며, 이렇게 되면, 바닥패널(3)의 자중 및 그에 전가되는 하중에 의해 배수트랩 모듈이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배수트랩(20)의 청소시 배수트랩(20)이 배수트랩 장착안내구(30)에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배수트랩(20)만 분리하여 배수트랩(20)을 청소할 수 있다.
따라서, 욕실 바닥의 콘크리트층(1)에 매립된 배수홈통(10)과 바닥패널(3)에 모듈화된 배수트랩(20)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아도 블라인드 슬리브(40)에 의해 배수홈통(10)의 개구부를 밀폐하면서 배수트랩(20)을 배수홈통(10)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콘크리트의 타설시 배수홈통의 매립을 위한 여유공간을 남긴 상태에서 바닥패널과 함께 배수홈통을 설치한 후, 상기 여유공간을 메우기 작업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배수트랩 모듈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종래와 같이 높이를 맞추기 위하여 배수트랩 모듈을 길이가 다른 것으로 교체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배수트랩(20)을 모듈에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가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에 의하면, 조립식 욕실용 바닥패널을 시공할 때 욕실 바닥의 콘크리트층에 매립된 배수홈통과 배수트랩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아도 배수홈통의 상측 개구부를 밀폐시키면서 배수트랩 모듈과 배수홈통을 서로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배수홈통을 욕실 바닥의 콘크리트 타설시 매립할 수 있으므로 배수홈통의 매립을 위한 후공정인 메우기 작업이 없어져 시공이 편리해진다.
그리고, 배수트랩의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높이를 맞추기 위하여 배수트랩을 길이가 다른 것으로 교체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배수트랩이 바닥패널에 고정된 배수트랩 장착안내구에 분리 가능하게 모듈화되어 배수트랩을 분리하여 배수트랩을 청소할 수 있으므로 찌꺼기에 의한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실내 바닥의 콘크리트층(1)에 매립되며 상부가 개구되는 배수홈통(10)과;
    조립식 욕실용 바닥패널(3)에 모듈화되어 상기 바닥패널의 시공시 상기 배수홈통에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배수트랩(20) 모듈과; 그리고,
    상기 배수트랩 모듈의 저부에 연결되며 상기 배수홈통의 상측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배수홈통의 개구부보다 직경이 큰 막음부(41)가 구비된 블라인드 슬리브(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홈통(10) 상단 외주연에는 바닥막음 트레이(11)가 체결되며, 상기 블라인드 슬리브의 막음부의 저부에는 그 하단부가 상기 콘크리트층의 바닥막음 트레이 상면에 밀착되는 탄성재질의 환형 스커트(43)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널에는 상기 배수트랩이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며 그 저부에 상기 블라인드 슬리브가 연결되는 배수트랩 장착안내구(3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슬리브와 배수트랩 장착안내구의 사이에 개재되면서 상기 블라인드 슬리브에 나사 체결되는 높이조절 슬리브(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
KR20-2002-0036554U 2002-12-06 2002-12-06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 KR2003053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554U KR200305381Y1 (ko) 2002-12-06 2002-12-06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554U KR200305381Y1 (ko) 2002-12-06 2002-12-06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5381Y1 true KR200305381Y1 (ko) 2003-02-25

Family

ID=49401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554U KR200305381Y1 (ko) 2002-12-06 2002-12-06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53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09692A (zh) * 2020-07-23 2020-10-23 湖南睿凡同层排水科技有限公司 一种住宅不降板同层排水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09692A (zh) * 2020-07-23 2020-10-23 湖南睿凡同层排水科技有限公司 一种住宅不降板同层排水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2493B1 (ko) 배수트랩
KR20110137931A (ko) 층상 배관 방식의 욕실 배수시스템의 배수받이
JP2015507113A (ja) 洗面器用ポップアップ装置の設置構造及び設置方法
KR200372522Y1 (ko) 아파트 욕실의 오수 배수장치
KR101312216B1 (ko) 층상 배수장치
KR200305381Y1 (ko)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
JP2011137330A (ja) 槽体の配管構造
KR101674159B1 (ko) 욕조 배수장치
KR101594899B1 (ko) 세면기용 트랩일체형 배수장치
KR200305382Y1 (ko)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의 호스연결구조
KR101170813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KR20130095538A (ko) 종합육가배수장치
KR200330367Y1 (ko) 욕실용 배수장치의 악취유입 방지구조
KR101236143B1 (ko) 층상 배수장치 및 공법
LV11697B (en) Drainage system for waste water in buildings, separated into two parts, a fixed outer one and an inner replaceable one
KR101846988B1 (ko) 바닥배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
JP7282956B2 (ja) 貯水装置、及び排水システム
KR100962021B1 (ko) 배수 트랩 시스템
CN219261287U (zh) 一种下排地漏
KR101511683B1 (ko) 욕실용 통합 배수트랩
JP3569317B2 (ja) トラップ付き排水装置
KR101487394B1 (ko) 욕실용 통합 배수트랩
KR100435079B1 (ko) 배수트랩
JPH0513828Y2 (ko)
KR200265343Y1 (ko) 트랩을 겸한 건축용 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