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0578B1 - 내부 회로의 오동작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전원 회로 및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내부 회로의 오동작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전원 회로 및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0578B1
KR100800578B1 KR1020060119776A KR20060119776A KR100800578B1 KR 100800578 B1 KR100800578 B1 KR 100800578B1 KR 1020060119776 A KR1020060119776 A KR 1020060119776A KR 20060119776 A KR20060119776 A KR 20060119776A KR 100800578 B1 KR100800578 B1 KR 100800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power
control signal
internal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9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웅
Original Assignee
(주)블루버드 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버드 소프트 filed Critical (주)블루버드 소프트
Priority to KR1020060119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5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오동작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전원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수신하여, 내부 회로로 공급할 내부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 회로를 구비한다. 상기 전원 회로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 전압의 공급 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스위치 회로, 상기 내부 전압의 공급 경로상의 일 노드에 접속되는 전원 커패시터 및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선택적으로 방전하는 방전회로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이 오프(OFF)된 후 짧은 시간 내에 다시 온(ON)되어 내부회로로 전원 공급이 재개될 때, 내부 커패시터에 남아있는 내부 전원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오동작 가능성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내부 회로의 오동작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전원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Power circuit for reducing fault possibility of internal circuit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회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회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전원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탑재되어 있 는 휴대용 기기(mobile device) 및 내부 회로의 오동작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전원 회로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의 동작을 위해서는 일정한 전원이 안정적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전원의 공급의 갑자기 중단되거나, 전원 전압 레벨의 변동이 있는 경우, 전자 기기는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다.
외부 전원을 수신하여 내부 회로로 공급하는 통상의 전원 회로는 출력 전원(즉, 내부 회로로 공급하는 내부 전원)을 안정화시키고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해 커패시터를 사용한다. 그런데 커패시터를 사용하는 전원 회로에서는, 스위치를 껐을 때도 커패시터에 충전되어있는 전하 때문에 내부 전압이 남아 있다. 즉, 내부 전압의 레벨이 유지되거나 서서히 떨어진다.
이렇게 남아 있는 내부 전압으로 인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을 다시 켰을 때 상기 내부 전압을 사용하는 회로에서 오동작이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내부 전원을 LCD 구동 회로에 사용하는 경우에 LCD 화면이 하얗게 되는 백화 현상이 나타날 수 있고, 메모리 전원으로 사용하는 경우 메모리 내용이 깨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내부 회로의 오동작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전원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수신하여, 내부 회로로 공급할 내부 전압을 생성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회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전원회로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 전압의 공급 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스위치 회로; 상기 내부 전압의 공급 경로상의 일 노드에 접속되는 전원 커패시터; 및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선택적으로 방전하는 방전회로를 구비한다.
상기 스위치 회로는 상기 제어 신호가 제1 로직 레벨로 활성화되면 턴온되고, 상기 제어 신호가 제2 로직 레벨로 비활성화되면 턴오프되며, 상기 방전 회로는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2 로직 레벨로 비활성화되면 상기 전원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원 회로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 전원 회로는 상기 전원 전압의 레벨을 변환하는 레벨 변환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신호는 LCD 온/오프 제어 신호를 포함하고,상기 스위치 회로, 상기 전원 커패시터 및 상기 방전회로는 상기 내부 전압이 LCD 모듈로 공급되는 경로상에 위치하며, 상기 스위치 회로 및 상기 방전회로는 상기 LCD 온/오프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0)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0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장치이나, 본원 발명의 전원 회로는 다른 휴대용 단말기-예컨대, 휴대폰, DMB 폰, MP3 플레이어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0)는 전원 회로(100), 마이크로 프로세서(200), 통신부(400), 메모리부(500), 디스플레이부(LCD, 600), 오디오 코덱부(700) 및 데이터/어드레스 버스(800)를 포함한다. 또한 배터리(300)가 휴대용 단말기(1000)에 장착된다. 휴대용 단말기(1000)는 상술한 구성 요소들 외에 다른 요소들(예컨대, GPS 모듈, 안테나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00)는 휴대용 단말기(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1000) 내부의 각종 회로를 제어한다.
전원 회로(1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전압(Vcc, 이하, 외부 공급 전압이라 함)를 수신하여, 휴대용 단말기(1000) 내부의 회로 및 H/W 모듈에 제공할 하나 이상의 내부 전원을 생성한다. 외부 공급 전압(Vcc)은 주로 휴대용 단말기(1000)에 장착된 배터리(300)로부터 입력되지만, 어댑터나 백업 배터리를 통해서 입력될 수도 있다. 전원 회로(100)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통신부(400)는 다른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모듈로서, CDMA 통신 모듈 및/ 혹은 랜(LAN)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00)는 LCD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오디오 코덱부(700)는 오디오 데이터를 코딩/디코딩한다.
메모리부(500)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사용자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로서, 롬(ROM), S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및/또는 DRAM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회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 회로의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회로(100)는 레벨 변환기(110), 스위치 회로(120), 전원 커패시터(CT1) 및 방전 회로(130)를 구비한다.
레벨 변환기(110)는 외부 공급 전압(Vcc)을 수신하고, 수신된 외부 공급 전압(Vcc)의 레벨을 변환하여 다수의 내부 전압들(V_L1, V_L2, V_L3)을 발생한다. 제1 내부 전압(V_L1)은 디스플레이부(LCD, 600)로 공급되는 내부 전원이고, 제2 내부 전압(V_L2)은 마이크로 프로세서(200), 통신부(400) 및 오디오 코덱부(700) 등으로 공급되는 내부 전원이며, 제3 내부 전압(V_L3)은 메모리부(500)로 공급되는 내부 전원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가지 내부 전압들(V_L1, V_L2, V_L3)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보다 더 많은(혹은 더 적은) 내부 전압들이 발생할 수도 있다.
스위치 회로(120)는 외부 공급 전압(Vcc)과 내부 회로 블록(예컨대, LCD(600)) 사이의 전원 공급 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어 신호(CON1)에 응답하여 온/오프됨으로써, 외부 공급 전압(Vcc) 혹은 외부 공급 전압(Vcc)으로부터 발생한 내 부 전압을 선택적으로 내부 회로 블록(예컨대, LCD(600))으로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 회로(120)는 LCD 온/오프 제어 신호(CON1)에 응답하여 제1 내부 전압(V_L1)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부(LCD, 600)로 제공한다.
LCD 온/오프 제어 신호(CON1)는 디스플레이부(LCD, 600)를 온/오프하기 위한 제어 신호로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00)에서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마이크로 프로세서(200)는 사용자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온/오프 키가 입력되면 이에 응답하여 LCD 온/오프 제어 신호(CON1)를 발생할 수 있고, 또한 미리 정해진 조건(예컨대, 휴대용 단말기가 소정시간 이상으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따라 자동으로 LCD 온/오프 제어 신호(CON1)를 발생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스위치 회로(120)는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Q1, Q2), 제1 내지 제3 저항(R1, R2, R3) 및 제1 커패시터(C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Q1)는 그 일단자(예컨대, 소오스 단자)는 제1 노드(N1)에 접속되고, 다른 일단자(예컨대, 드레인 단자)는 제2 노드(N2)에 접속되며, 나머지 일단자(예컨대, 게이트 단자)는 제3 노드에 접속되는 PMOS(P 채널 MOS 트랜지스터)로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Q1)는 드레인 단자(N2)에서 소오스 단자(N1) 방향으로 제너 다이오드가 구비되는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제1 노드(N1)와 제3 노드(N3)는 제1 저항(R1)을 통하여 상호 접속된다. 여기서, 제1 노드(N1)는 레벨 변환기(110)로부터 제1 내부 전압(V_L1)을 수신하는 노드이고, 제2 노드(N2)는 LCD(600)의 입력 노드로서 전원 커패시터(CT1)가 접속되는 노드이다.
제2 트랜지스터(Q2)는 그 일단자(베이스 단자)는 제4 노드(N4)에 접속되고, 다른 일단자(예컨대, 콜렉터 단자)는 제5 노드(N5)에 접속되며, 나머지 단자(예컨대, 이미터 단자)는 그라운드에 접속되는 NPN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단자(N4)는 제3 저항(R3)을 통하여 LCD 온/오프 제어 신호(CON1)를 수신하고, 제2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 단자(N5)는 제2 저항(R2)을 통하여 제3 노드(N3)에 접속된다. 제1 내지 제3 저항(R1, R2, R3) 중 하나 이상 및/또는 커패시터(C1)는 생략될 수 있다.
스위치 회로(120)의 동작은 아래와 같다.
LCD 온/오프 제어 신호(CON1)가 “온”상태(예컨대, 로직 하이레벨)로 활성화되면, 제2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고, 이에 따라 제1 트랜지스터(Q1) 역시 턴온된다. 이 경우, 제1 내부 전압(V_L1)은 LCD(600)로 공급된다.
LCD 온/오프 제어 신호(CON1)가 “오프”상태(예컨대, 로직 로우레벨)로 비활성화되면, 제2 트랜지스터(Q2)가 턴오프되고, 이에 따라 제1 트랜지스터(Q1) 역시 턴오프된다. 이 경우, 제1 내부 전압(V_L1)의 LCD(600)로의 공급은 차단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스위치 회로(120)는 하나의 구현예이며, 이와 다르게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원 커패시터(CT1)는 제1 내부 전압(V_L1)의 레벨이 노이즈에 의하여 급격히 변하는 것을 방지하여 내부 전압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방전 회로(130)는 LCD 온/오프 제어 신호(CON1)에 응답하여 전원 커패시터(CT1)에 저장되어 있는 전하를 선택적으로 방전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방전 회로(130)는 LCD 온/오프 제어 신호(CON1)가 “오프” 상태(예컨대, 로직 로우레벨)로 비활성화되면, 전원 커패시터(CT1)에 저장되어 있는 전하를 그라운드로 방전함으로써, 제1 내부 전압(V_L1)의 레벨을 떨어뜨린다.
도 4를 참조하면, 방전 회로(130)는 제3 및 제4 트랜지스터(Q3, Q4), 및 제4 내지 제7 저항(R4, R5, R6, R7)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트랜지스터(Q3)는 그 일단자(예컨대, 이미터 단자)는 외부 공급 전압(Vcc)에 접속되고, 다른 일단자(예컨대, 콜렉터 단자)는 제6 노드(N6)에 접속되며, 나머지 일 단자(예컨대, 베이스 단자)로는 제5 저항(R5)을 통하여 LCD 온/오프 제어 신호(CON1)를 수신하는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제4 트랜지스터(Q4)는 그 일 단자(베이스 단자)는 제6 저항(R6)을 통하여 제6 노드(N6)에 접속되고, 다른 일 단자(예컨대, 콜렉터 단자)는 제4 저항(R4)을 통하여 제2 노드(N2)에 접속되며, 나머지 단자(예컨대, 이미터 단자)는 그라운드에 접속되는 NPN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노드(N2)는 LCD(600)의 입력 단자와 접속되며, 제6 노드(N6)는 제7 저항(R7)을 통하여 그라운드에 접속될 수 있다. 제4 내지 제7 저항(R4, R5, R6, R7) 중 하나 이상은 생략될 수 있다.
방전 회로(130)의 동작은 아래와 같다.
LCD 온/오프 제어 신호(CON1)가 “온”상태(예컨대, 로직 하이레벨)로 활성화되면, 제3 트랜지스터(Q3)가 턴오프되고, 이에 따라 제4 트랜지스터(Q4) 역시 턴오프된다. 이 경우, 방전 회로(130)는 비활성화된 상태로서 방전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LCD 온/오프 제어 신호(CON1)가 “오프”상태(예컨대, 로직 로우레벨)로 비 활성화되면, 제3 트랜지스터(Q3)가 턴온되고, 이에 따라 제4 트랜지스터(Q4) 역시 턴온된다. 이 경우, 제2 노드(N2, 즉 LCD(600)의 입력 단자)로부터 그라운드로 전류 경로가 형성되어, 전원 커패시터(CT1)에 저장되어 있던 전하가 방전되면, 이에 따라 제1 내부 전압(V_L1)의 레벨이 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방전 회로(130)는 하나의 구현예이며, 이와 다르게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방전 회로(130)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스위치 회로(120)의 오프시에는 전원 커패시터(CT1)에서 자연 방전이 일어나므로, 전원 커패시터(CT1)의 전압은 천천히 떨어진다. 그런데 방전회로(130)가 구비되지 않으면 스위치 회로(120)의 오프(OFF) 후 전원 커패시터(CT1)의 전압이 충분히 떨어지기 전에 스위치 회로(120)가 다시 온(ON)되어 내부 회로(예컨대, LCD)로 전원이 공급될 때, 전원을 사용하는 회로(예컨대, LCD)에서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전회로(130)가 구비된 전원 회로(100)를 사용하면 스위치 오프(OFF) 후 다시 온(ON)되기 전에 전원 커패시터(CT1)의 전압을 충분히 떨어뜨림으로써, 전원 공급이 재개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내부 회로의 오동작(예컨대, LCD의 백화현상이나 메모리의 데이터 깨짐 현상 등) 가능성이 줄어든다.
도 4에 도시된 방전회로(130)에서는 제4 및 제6 저항(R4, R6)의 값을 조정하여 방전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방전 시간은 휴대용 단말기의 시뮬레이션이나 테스트를 통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적절한 방전시간이 정해지면, 방전회로(130)를 구성하는 커패시터 및/또는 저항의 값을 조절하여 목표 방전시간을 달성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스위치 회로(120), 전원 커패시터(CT1) 및 방전회로(130)가 LCD(600)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상에만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스위치 회로(120), 전원 커패시터(CT1) 및 방전회로(130)가 다른 전원 공급 경로상, 예컨대, 마이크로 프로세서(200)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 및/또는 메모리부(500)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에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회로(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에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00)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상에 스위치 회로(120‘), 전원 커패시터(CT2) 및 방전회로(130’)가 구비되는 실시예가 도시된다.
스위치 회로(120‘), 전원 커패시터(CT2) 및 방전회로(130’)는 각각 상술한 스위치 회로(120), 전원 커패시터(CT1) 및 방전회로(130)와 그 기능 및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스위치 회로(120‘), 및 방전회로(130’)는 제2 제어 신호(CON2, 예컨대, 마이크로 프로세서 온/오프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한다. 제2 제어 신호(CON2)는 사용자로부터의 휴대용 단말기의 소정의 키(예컨대, 종료 키) 입력에 응답하여 발생할 수 있고, 또한 미리 정해진 조건(예컨대, 휴대용 단말기가 소정시간 이상으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따라 자동으로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원회로에 의하면, 내부회로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상에 존재하는 스위치가 오프될 때, 커패시터에 남아있는 전하가 자연 방전보다 좀 더 빠르게 방전되어 내부 전원이 남아 있지 않도록 해 준다. 따라서, 전원이 오프된 후 짧은 시간 내에 다시 온되어 내부회로로 전원 공급이 재개될 때, 내부 커패시터에 남아있는 내부 전원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오동작 가능성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내부 회로가 하나 이상인 경우 그들 각각에 대응된 캐패시터들을 선택적으로 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하나 이상의 내부 회로들 중 선택된 소정개의 내부 회로의 전원만을 선택적으로 차단했다가 재개시키는 경우에도 해당 내부 회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전원회로는, 다양한 종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내부 회로들을 포함하고 전원 절약을 위해 내부 회로들 각각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기기(예컨대, 휴대용 단말기 등)에 적용할 경우 더욱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Claims (8)

  1.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수신하여, 내부 회로로 공급할 하나 이상의 내부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 회로를 구비하되,
    상기 전원 회로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 전압을 공급할 하나 이상의 공급 경로들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스위치 회로;
    상기 공급 경로들 각각의 일 노드에 접속되는 전원 커패시터들; 및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 커패시터들을 선택적으로 방전하는 하나 이상의 방전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회로는
    상기 전원 전압의 레벨을 변환하는 레벨 변환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경로들 중 하나인 제1 공급 경로에 연결된 제1 스위치 회로 및 제1 방전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가 제1 로직 레벨로 활성화될 경우,
    상기 제1 스위치 회로가 턴-온되어 상기 제1 공급 경로의 일 노드에 접속된 제1 전원 커패시터에 전하가 충전되며,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제2 로직 레벨로 비활성화될 경우,
    상기 제1 스위치 회로는 턴-오프되고, 상기 제1 방전회로는 상기 제1 전원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경로는 상기 내부 전압을 LCD로 공급하기 위한 경로이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LCD 온/오프 제어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LCD 온/오프 제어 신호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발생하고,
    상기 스위치 회로는
    상기 내부 전압과 상기 LCD 모듈의 입력 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제1, 제2 단자 및 제1 저항을 통하여 상기 제1 단자에 접속되는 제3 단자를 구비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그라운드에 각각 접속하기 위한 제1, 제2 단자 및 상기 LCD 온/오프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3 단자를 구비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 경로는 상기 내부 전압을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부로 공급하기 위한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수신하여, 내부 회로로 공급할 하나 이상의 내부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 회로에 있어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 전압을 공급할 하나 이상의 공급 경로들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스위치 회로;
    상기 공급 경로들 각각의 일 노드에 접속되는 전원 커패시터들; 및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차단된 스위치 회로와 동일한 공급 경로에 연결된 상기 전원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하는 하나 이상의 방전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경로들 중 하나인 제1 공급 경로에 연결된 제1 스위치 회로 및 제1 방전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가 제1 로직 레벨로 활성화될 경우,
    상기 제1 스위치 회로가 턴-온되어 상기 제1 공급 경로의 일 노드에 접속된 제1 전원 커패시터에 전하가 충전되며,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제2 로직 레벨로 비활성화될 경우,
    상기 제1 스위치 회로는 턴-오프되고, 상기 제1 방전회로는 상기 제1 전원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회로.
KR1020060119776A 2006-11-30 2006-11-30 내부 회로의 오동작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전원 회로 및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800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776A KR100800578B1 (ko) 2006-11-30 2006-11-30 내부 회로의 오동작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전원 회로 및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776A KR100800578B1 (ko) 2006-11-30 2006-11-30 내부 회로의 오동작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전원 회로 및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0578B1 true KR100800578B1 (ko) 2008-02-04

Family

ID=39342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776A KR100800578B1 (ko) 2006-11-30 2006-11-30 내부 회로의 오동작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전원 회로 및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05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80206A (zh) * 2017-01-03 2018-05-01 深圳配天智能技术研究院有限公司 多路延时控制装置及控制电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2137A (ko) * 2004-12-03 2006-06-12 주식회사 팬택 고속 방전을 이용한 오동작 방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2137A (ko) * 2004-12-03 2006-06-12 주식회사 팬택 고속 방전을 이용한 오동작 방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80206A (zh) * 2017-01-03 2018-05-01 深圳配天智能技术研究院有限公司 多路延时控制装置及控制电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3468B2 (en) Level shifter ESD protection circuit with power-on-sequence consideration
KR20060094841A (ko) 전원 전환 회로, 마이크로 컴퓨터, 휴대단말기기 및 전원전환 제어방법
JP4852598B2 (ja) 集積回路、電子デバイス及び集積回路制御方法
JP2008086100A (ja) 電源切換回路
WO2006102453A2 (en) Automatically switching power supply sources for a clock circuit
JP2003347913A (ja) 電源回路およびこの電源回路を有する携帯用電子機器
US6661260B2 (en) Output circuit of semiconductor circuit with power consumption reduced
US7864493B2 (en) Electric circuit with protection against overvoltages
US7084697B2 (en) Charge pump circuit capable of completely cutting off parasitic transistors
EP1034619B1 (en) Zero power power-on-reset circuit
US10965116B2 (en) Overvoltage-proof circuit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caused by overvoltage
US20090225615A1 (en) Erasing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erasing environment configuration memory in a computer system
KR100800578B1 (ko) 내부 회로의 오동작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전원 회로 및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US20160248418A1 (en) Output driver with back-powering prevention
US7589562B2 (en) I/O cell capable of finely controlling drive strength
US8111561B2 (en) Bulk bias voltage generating device and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10010166B (zh) 半导体装置
US20060061383A1 (en) On-chip power regulator for ultra low leakage current
JP3770824B2 (ja) パワーオンリセット回路
US20090002061A1 (en) Bias supply, start-up circuit, and start-up method for bias circuit
US6982500B2 (en) Power-down scheme for an on-die voltage differentiator design
KR100691003B1 (ko) 메모리 장치
US20020000852A1 (en) Reset circuit
KR101840379B1 (ko) 반도체 장치
CN110943527B (zh) 电源供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