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0074B1 - 수동 겸용 전동제어 모니터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수동 겸용 전동제어 모니터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0074B1
KR100800074B1 KR1020060126933A KR20060126933A KR100800074B1 KR 100800074 B1 KR100800074 B1 KR 100800074B1 KR 1020060126933 A KR1020060126933 A KR 1020060126933A KR 20060126933 A KR20060126933 A KR 20060126933A KR 100800074 B1 KR100800074 B1 KR 100800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lifting
column
bracket
suppo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6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상렬
Original Assignee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6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0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모트 콘트롤러 등을 이용하여 TV 또는 모니터의 승강 및 위치제어가 자유자재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그 동작이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되어 편의성 및 사용감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며 수동조작도 가능하여 어떤 상황에서도 위치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동 겸용 전동제어 모니터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높낮이 및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지지장치에 있어서, 착지베이스에 수직 설치되며 가이드로를 구비한 고정기둥; 상기 고정기둥의 가이드로에 안내 승강되며 상단부에 베이스브래킷이 결합되는 승강기둥; 상기 고정기둥에 선단이 고정되고 권취단이 승강기둥에 고정되는 태엽스프링; 상기 베이스브래킷에 힌지축으로 결합되며 TV 또는 모니터가 장착되는 가변브래킷; 상기 착지베이스에 수직 설치되고 모터에 의하여 정역회전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승강기둥에 고정되고 상기 리드스크류의 스크류홈에 나합되는 나사편이 복수 구비되는 승강자를 포함하는 전동 승강수단; 상기 베이스브래킷에 대한 가변브래킷의 기울기(tilt)를 모터 구동을 통하여 조절하는 전동 기울기조정수단; 및 상기 전동 승강수단과 전동 기울기조정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동 겸용 전동제어 모니터 지지장치{MANUMOTIVE COMPATIBLE ELECTROMOTIVE CONTROL MONITOR STAN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 상세도
도 3은 도 1의 B부 상세도
도 4는 도 1의 C부 상세도
도 5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
도 8은 도 6의 가변상태도
도 9는 도 7의 가변상태도
도 10은 도 6의 평면도
도 11은 도 7의 D-D선 단면 상세도
도 12는 도 7의 E부 확대도
도 13은 도 12의 F-F선 단면 상세도
도 14는 도 8의 일부 생략 기울기 가변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의 수동 겸용 전동제어 모니터 지지장치 2: 모니터
10: 고정기둥 11: 가이드로 13: 슬라이드가이드
131: 슬라이드 통로 133: 프레임 135: 롤러
137: 롤러지지자 138: 탄력부재 20: 착지베이스
30: 승강기둥 31: 채널부 32: 베이스브래킷
321: 하부부재 323: 상부부재 325: 결합수단
33: 슬라이드날개 37: 부싱 39: 부싱핀
40: 태엽스프링 41: 선단 43: 권취단
45: 태엽스프링 가이드 451: 오목단 50: 가변브래킷
51: 힌지축 70: 전동 승강수단 71: 리드스크류
72: 모터 75: 승강자 751: 나사편
757: 탄성부재 90: 전동 기울기조정수단 91: 고정기어
95: 원동기어 97: 컬링스프링 99: 토션스프링
본 발명은 평판형 모니터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모트 콘트롤러 등을 이용하여 TV 또는 모니터의 승강 및 위치제어가 자유자재로 이루어짐과 아울 러 그 동작이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되어 편의성 및 사용감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며 수동조작도 가능하여 어떤 상황에서도 위치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동 겸용 전동제어 모니터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DP 또는 LCD TV 등의 TV 또는 컴퓨터 모니터는 그 표시면적이 크고 평판 박형화된 표시장치로서 이러한 평판형 TV 또는 모니터는 배치각도가 어긋날 경우 화상이 전혀 보이지 않으므로 특히 배치각도 조정이 용이한 지지장치가 요구된다.
종래기술의 TV 또는 모니터 지지장치는 대부분 수동식 기울기(tilt) 조정구조를 구비하고 있어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으로는 TV 또는 모니터가 장착되는 브래킷이 리드스크류 기둥에 나합되고 리드스크류가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TV 또는 모니터가 전동으로 승강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 경우에는 수동 조정이 불가능하여 전동시스템에 문제가 있을 경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모트 콘트롤러 등을 이용하여 TV 또는 모니터의 승강 및 위치제어가 자유자재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그 동작이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되어 편의성 및 사용감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며 수동조작도 가능하여 어떤 상황에서도 위치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동 겸용 전동제어 모니터 지지장치를 제공함 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겸용 전동제어 모니터 지지장치는, 높낮이 및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지지장치에 있어서,
착지베이스에 수직 설치되며 가이드로를 구비한 고정기둥;
상기 고정기둥의 가이드로에 안내 승강되며 상단부에 베이스브래킷이 결합되는 승강기둥;
상기 고정기둥에 선단이 고정되고 권취단이 승강기둥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태엽스프링;
상기 베이스브래킷에 힌지축으로 결합되며 TV 또는 모니터가 장착되는 가변브래킷;
상기 착지베이스에 수직 설치되고 모터에 의하여 정역회전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승강기둥에 고정되고 상기 리드스크류의 스크류홈에 나합되는 나사편이 복수 구비되는 승강자를 포함하는 전동 승강수단;
상기 베이스브래킷에 대한 가변브래킷의 기울기(tilt)를 모터 구동을 통하여 조절하는 전동 기울기조정수단; 및
상기 전동 승강수단과 전동 기울기조정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수동 겸용 전동제어 모니터 지지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 상세도, 도 3은 도 1의 B부 상세도, 도 4는 도 1의 C부 상세도, 도 5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 도 8은 도 6의 가변상태도, 도 9는 도 7의 가변상태도, 도 10은 도 6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수동 겸용 전동제어 모니터 지지장치(1)는 높낮이 및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지지장치에 있어서, 착지베이스(20)에 수직 설치되며 가이드로(11)를 구비한 고정기둥(10), 상기 고정기둥의 가이드로(11)에 안내 승강되며 상단부에 베이스브래킷(32)이 결합되는 승강기둥(30), 상기 고정기둥(10)에 선단(41)이 고정되고 권취단(43)이 승강기둥(30)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태엽스프링(40), 상기 베이스브래킷(32)에 힌지축(51)으로 결합되며 TV 또는 모니터(2)가 장착되는 가변브래킷(50), 상기 착지베이스(20)에 수직 설치되고 모터(72)에 의하여 정역회전되는 리드스크류(71)와 상기 승강기둥(30)에 고정되고 상기 리드스크류(71)의 스크류홈에 나합되는 나사편(751)이 복수 구비되는 승강자(75)를 포함하는 전동 승강수단(70),상기 베이스브래킷(32)에 대한 가변브래킷(50)의 기울기(tilt)를 모터(94) 구동을 통하여 조절하는 전동 기울기조정수단(90) 및 상기 전동 승강수단(70)과 전동 기울기조정수단(90)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승강수단(70)의 승강자(75)는 리드스크류(71) 양측에서 대칭결 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승강자(75a)(75b)는 상기 리드스크류(71)에 나합되는 나사편(751)이 수직방향으로 복수 배열된 나사부(753)와 상기 나사부(753)와 예각을 이루며 상기 승강기둥(30)에 고정되는 고정부(755)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도 11 참조).
또한, 상기 승강자(75)는 나사부(753)와 고정부(755) 사이에 상기 나사편(751)을 리드스크류(71)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부재(757)가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나사편(751)은 상기 평판형태의 나사부(753)에서 일부를 절취 벤딩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태엽스프링(40)은 상기 승강기둥(30)의 양측으로 한 쌍이 설치되며, 상기 승강기둥(30)의 하방 양측에는 각 태엽스프링(40a)(40b)의 권취단(43)을 승강기둥(30)에 고정함과 아울러 태엽스프링(40)의 권취 및 풀림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태엽스프링의 권취반경에 대응하는 오목홈(451)이 형성된 태엽스프링 가이드(4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기둥(30)은 고정기둥(10)과의 사이에 상기 리드스크류(71) 및 태엽스프링(40)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ㄷ'자형 채널부(31)와 상기 채널부(31) 양측으로 외향형성되는 슬라이드날개(33)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하방으로 상기 태엽스프링(40) 및 태엽스프링 가이드(45) 설치를 위한 공간(35)이 절취형성된다.
상기 리드스크류(71)는 기단이 모터(72)에 커플링(74)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고정기둥(10) 상단부에 돌출 설치되는 스크류 브래킷(12)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다. 상기 모터(72)는 착지베이스(20)에 브래킷(73)을 통하여 고정 설치되어 도 무방하다.
상기 고정기둥(10)은 가이드로(11)가 양측으로 형성되는 C형강 타입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로(11)는 승강기둥의 슬라이드날개(33)와 롤링 접속되는 슬라이드 가이드(13)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13)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날개(33) 양측에서 대칭으로 접하여 슬라이드 통로(131)를 형성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슬라이드 가이드(13a)(13b)는 상기 고정기둥(10)에 상호 대응하는 요철결합부(a)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하단부에 두께가 점차 커지는 경사부(1331)를 형성하여 공간이 점차 좁혀지는 경사공간(1333)을 포함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1331)에 롤러공(1335)이 복수 설치되는 프레임(133)과, 상기 프레임의 롤러공(1335)에 부여되어 외주면 일부가 슬라이드날개(33)와 접하도록 상기 슬라이드 통로(131)로 노출되는 롤러(135)와, 상기 롤러(135)를 슬라이드 통로(131)쪽으로 밀어내기 위하여 프레임의 경사공간(1333)에 대응하는 쐐기형태로 형성되어 경사공간에 배치되며 탄력부재(138)에 의하여 높낮이 방향으로 대향하여 탄지되는 상하부 롤러지지자(137)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상하부 롤러지지자(137) 및 경사공간(1333)은 롤러지지자(137)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하 선단쪽이 좁게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33)은 상기 상하부 롤러지지자(137)가 복수조 설치되도록 경사부(1331)가 복수개소에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 롤러지지자(137) 및 롤러(135)가 복 수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프레임(133)은 슬라이드 통로(131)측의 내측부재(133a)와 고정기둥(10)측의 외측부재(133b)로 분할형성되고 상호 대응하는 요철결합부(a)가 형성되어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고정기둥(10)은 양측 가이드로(11)에 슬라이드 가이드(13a)(13b)가 상부에 설치되고 그 하방으로는 가이드통공(15)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승강기둥(30)에는 상기 가이드통공(15)을 타고 승강되는 부싱(37)과 상기 부싱(37)을 축지하는 부싱핀(39)이 결합될 수도 있다(도 1 참조).
상기 전동 기울기조정수단(90)은 도 10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브래킷(32)과 가변브래킷(50)의 힌지축(51)에 고정되는 고정기어(91)와. 상기 가변브래킷(50)에 고정되는 모터(94)에 결합되는 원동기어(95)로 구성되어 모터(94) 회전시 상기 힌지축(51)을 중심으로 가변브래킷(50)이 기울기 조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브래킷(32)은 상기 승강기둥(30)에 고정되는 하부부재(321)와 상기 힌지축(51)이 설치되는 상부부재(323)로 분할형성되어 결합되고, 상기 상부부재(323)는 일측에 힌지축(51) 설치를 위한 힌지축하우징(3231)이 구비되며, 상기 힌지축하우징(3231)에는 토오크부재로서 힌지축 회전시 마찰이 발생되는 컬링스프링(97)이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상부부재(323)는 상기 힌지축하우징(3231)이 내측으로 대향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하우징(3231) 외주연에 끼워지고 일단은 상기 베이스브래킷(32)에 지지 되고 타단은 상기 가변브래킷(50)에 고정되며 가변브래킷(50)에 상향 회전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한 쌍의 토션스프링(99)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전동 승강수단(70) 및 전동 기울기조정수단(90)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원격제어 가능토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25'는 베이스브래킷(32)의 하부부재(321)와 상부부재(323)의 결합수단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수동 겸용 전동제어 모니터 지지장치(1)의 작용상태를 살펴본다.
본 발명은 TV 또는 모니터(2)의 승강 및 기울기를 조정함에 있어서, 상기 전동 승강수단(70) 및 전동 기울기조정수단(90)을 이용하는 전동제어와 수동조작이 두루 안정적으로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스위치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미도시)를 이용하여 승강신호를 제어부에 입력하면 전동 승강수단(70)의 모터(72) 및 리드스크류(71)가 회전되고, 리드스크류(71)에 나합된 상기 승강자(75)는 승강기둥(30)에 고정되어 있음으로 회전이 저지되는 대신 승강기둥(30)과 함께 수직방향으로 직선이동된다.
이때, 리드스크류(71)에 대한 승강자(75)의 나합은 리드스크류(71) 양측에서 상기 탄성부재(757)가 나사편(751)을 리드스크류쪽으로 압력을 가하고 있음으로 이탈될 염려 없이 견고하게 유지된다.
상기 승강기둥(30)의 승강 가이드구조는 고정기둥(10) 상부에서 승강기 둥(30)의 슬라이드날개(33)를 잡아주는 슬라이드 가이드(13)와 승강기둥(30) 하방에 설치되어 고정기둥의 가이드통공(15)을 타고 다니는 부싱핀(39) 및 부싱(37)에 의하여 상하방향이 안정적으로 가이드 지지된다.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13)는 승강자의 슬라이드날개(33) 이동통로인 슬라이드 통로(131)에 상기 프레임의 롤러공(1335)을 통하여 롤러(135)가 일부 노출된 상태로 지지되므로 결국 고정기둥(10)에 대하여 슬라이드날개(33)가 롤링 마찰되어 승강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상기 롤러(135)는 탄력부재(138) 및 롤러지지자(137)에 의하여 유동이 가능토록 지지됨으로써 롤러(135)에 슬라이드날개 이동으로 인한 압력이 가해질 때 유연하게 선접촉 회전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태엽스프링(40)은 선단(41)이 고정기둥(10) 상단부에 고정되고 권취단(43)이 승강기둥(30) 하방에 고정됨으로써 승강기둥(30)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탄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리드스크류(71)가 회전되어 TV 또는 모니터(2)의 하중이 작용하는 승강기둥(30)의 상승동작을 도와줌과 아울러 프리스톱 기능을 갖는다.
승강기둥(30) 상승 및 하강을 위한 리드스크류(71)의 회전동작은 리드스크류 모터(72)의 정역회전 방향전환에 의하여 제어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의 프레임(133)은 조립성을 위하여 내측부재(133a)와 외측부재(133b)로 나뉘어 상호 요철(a)결합되고 이와 같이 조립된 양측의 슬라이드 가이드(13a)(13b) 역시 고정기둥(10)에 요철결합됨으로써 별도의 체결 부재 없이 간단하게 조립이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13)와 부싱(37) 및 가이드통공(15)은 승강기둥(30)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로도 기능한다.
상기 전동 기울기조정수단(90)에 의한 가변브래킷(50)의 기울기 조정은 가변브래킷(50)에 설치된 원동기어(95)가 모터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면 원동기어(95)에 치합된 고정기어(91)가 베이스브래킷(32)에 고정설치됨으로써 원동기어(95)가 그 모터(94) 설치기반인 가변브래킷(50)과 함께 고정기어(91)의 샤프트인 힌지축(5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기울기가 조정된다.
이때, 상기 토션스프링(99)은 TV 또는 모니터(2)의 하중이 작용하는 가변브래킷(50)의 상승회전 동작을 도와줌과 아울러 프리스톱 기능을 갖는다.
한편, 어떤 이유로든 전동제어가 아닌 수동조작으로 TV 또는 모니터의 승강 및 기울기 조정시에는 상기 베이스브래킷(32) 및 TV 또는 모니터(2)를 끌어올리면 태엽스프링(40)의 반력을 받으며 승강기둥(30)이 상승되고 동시에 승강자(75)가 상승하면서 역으로 리드스크류(71)를 강제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하강시에는 TV 또는 모니터 및 베이스브래킷(32)을 눌러주면 TV 또는 모니터의 하중에 의하여 용이하게 하강되고 외력이 제거되는 순간 태엽스프링(40)의 반력에 의하여 정지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기울기 조정은 TV 또는 모니터를 원하는 기울기로 회전시키면 가변브래킷(50) 및 원동기어(95)가 회전하면서 고정기어(91) 및 힌지축(51)에 회전력을 가하게 되고 이때 힌지축(51)이 힌지축하우징(3231)에 일단이 고정된 상기 컬링스 프링(97)과 마찰되어 토오크를 발생시키므로 회전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며 기울기 정지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상기 착지베이스(20)가 지면에 수평으로 놓여지는 스탠드형으로 상정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착지베이스가 수직벽체에 고정되어 본 발명이 TV 또는 모니터의 벽걸이형 지지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동 겸용 전동제어 TV 또는 모니터 지지장치는 리모트 콘트롤러 등을 이용하여 TV 또는 모니터의 승강 및 위치제어가 자유자재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그 동작이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되어 편의성 및 사용감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며 수동조작도 가능하여 어떤 상황에서도 위치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높낮이 및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지지장치에 있어서,
    착지베이스(20)에 수직 설치되며 가이드로(11)를 구비한 고정기둥(10);
    상기 고정기둥의 가이드로(11)에 안내 승강되며 상단부에 베이스브래킷(32)이 결합되는 승강기둥(30);
    상기 고정기둥(10)에 선단(41)이 고정되고 권취단(43)이 승강기둥(30)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태엽스프링(40);
    상기 베이스브래킷(32)에 힌지축(51)으로 결합되며 TV 또는 모니터(2)가 장착되는 가변브래킷(50);
    상기 착지베이스(20)에 수직 설치되고 모터(72)에 의하여 정역회전되는 리드스크류(71)와 상기 승강기둥(30)에 고정되고 상기 리드스크류(71)의 스크류홈에 나합되는 나사편(751)이 복수 구비되는 승강자(75)를 포함하는 전동 승강수단(70);
    상기 베이스브래킷(32)에 대한 가변브래킷(50)의 기울기(tilt)를 모터(94) 구동을 통하여 조절하는 전동 기울기조정수단(90); 및
    상기 전동 승강수단(70)과 전동 기울기조정수단(90)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겸용 전동제어 모니터 지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 승강수단(70)의 승강자(75)는 리드스크류(71) 양측에서 대칭결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승강자(75a)(75b)는 상기 리드스크류(71)에 나합되는 나사편(751)이 수직방향으로 복수 배열된 나사부(753)와 상기 나사부(753)와 예각을 이루며 상기 승강기둥(30)에 고정되는 고정부(75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겸용 전동제어 모니터 지지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승강자(75)는 나사부(753)와 고정부(755) 사이에 상기 나사편(751)을 리드스크류(71)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부재(757)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겸용 전동제어 모니터 지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태엽스프링(40)은 상기 승강기둥(30)의 양측으로 한 쌍이 설치되며,
    상기 승강기둥(30)의 하방 양측에는 각 태엽스프링(40a)(40b)의 권취단(43)을 승강기둥(30)에 고정함과 아울러 태엽스프링(40)의 권취 및 풀림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태엽스프링의 권취반경에 대응하는 오목홈(451)이 형성된 태엽스프링 가이드(45)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겸용 전동제어 모니터 지지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둥(30)은 고정기둥(10)과의 사이에 상기 리드스크류(71) 및 태엽스프링(40)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ㄷ'자형 채널부(31)와 상기 채널부(31) 양측으로 외향형성되는 슬라이드날개(33)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하방으로 상기 태엽스프링(40) 및 태엽스프링 가이드(45) 설치를 위한 공간(35)이 절취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겸용 전동제어 모니터 지지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드스크류(71)는 기단이 모터(72)에 커플링(74)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고정기둥(10) 상단부에 돌출 설치되는 스크류 브래킷(12)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겸용 전동제어 모니터 지지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둥(10)은 가이드로(11)가 양측으로 형성되는 C형강 타입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로(11)는 승강기둥의 슬라이드날개(33)와 롤링 접속되는 슬라이드 가이드(13)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겸용 전동제어 모니터 지지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13)는 슬라이드날개(33) 양측에서 대칭으로 접하여 슬라이드 통로(131)를 형성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슬라이드 가이드(13a)(13b)는 상기 고정기둥(10)에 상호 대응하는 요철결합부(a)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하단부에 두께가 점차 커지는 경사부(1331)를 형성하여 공간이 점차 좁혀지는 경사공간(1333)을 포함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1331)에 롤러공(1335)이 복수 설치되는 프레임(133)과,
    상기 프레임의 롤러공(1335)에 부여되어 외주면 일부가 슬라이드날개(33)와 접하도록 상기 슬라이드 통로(131)로 노출되는 롤러(135)와,
    상기 롤러(135)를 슬라이드 통로(131)쪽으로 밀어내기 위하여 프레임의 경사공간(1333)에 대응하는 쐐기형태로 형성되어 경사공간에 배치되며 탄력부재(138)에 의하여 높낮이 방향으로 탄지되는 상하부 롤러지지자(13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겸용 전동제어 모니터 지지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33)은 상기 상하부 롤러지지자(137)가 복수조 설치되도록 경사 부(1331)가 복수개소에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 롤러지지자(137) 및 롤러(135)가 복수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겸용 전동제어 모니터 지지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33)은 슬라이드 통로(131)측의 내측부재(133a)와 고정기둥(10)측의 외측부재(133b)로 분할형성되고 상호 대응하는 요철결합부(a)가 형성되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겸용 전동제어 모니터 지지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둥(10)은 양측 가이드로(11)에 슬라이드 가이드(13a)(13b)가 상부에 설치되고 그 하방으로는 가이드통공(15)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승강기둥(30)에는 상기 가이드통공(15)을 타고 승강되는 부싱(37)과 상기 부싱(37)을 축지하는 부싱핀(39)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겸용 전동제어 모니터 지지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 기울기조정수단(90)은 상기 베이스브래킷(32)과 가변브래킷(50)의 힌지축(51)에 고정되는 고정기어(91)와. 상기 가변브래킷(50)에 고정되는 모터(94)에 결합되는 원동기어(95)로 구성되어 모터(94) 회전시 상기 힌지축(51)을 중심으로 가변브래킷(50)이 기울기 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겸용 전동제어 모니터 지지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브래킷(32)은 상기 승강기둥(30)에 고정되는 하부부재(321)와 상기 힌지축(51)이 설치되는 상부부재(323)로 분할형성되어 결합되고,
    상기 상부부재(323)는 일측에 힌지축(51) 설치를 위한 힌지축하우징(3231)이 구비되며, 상기 힌지축하우징(3231)에는 토오크부재로서 힌지축 회전시 마찰이 발생되는 컬링스프링(97)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겸용 전동제어 모니터 지지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323)는 상기 힌지축하우징(3231)이 내측으로 대향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하우징(3231) 외주연에 끼워지고 일단은 상기 베이스브래킷(32)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가변브래킷(50)에 고정되며 가변브래킷(50)에 상향 회전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한 쌍의 토션스프링(99)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 동 겸용 전동제어 모니터 지지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 승강수단(70) 및 전동 기울기조정수단(90)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원격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겸용 전동제어 모니터 지지장치.
KR1020060126933A 2006-12-13 2006-12-13 수동 겸용 전동제어 모니터 지지장치 KR100800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6933A KR100800074B1 (ko) 2006-12-13 2006-12-13 수동 겸용 전동제어 모니터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6933A KR100800074B1 (ko) 2006-12-13 2006-12-13 수동 겸용 전동제어 모니터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0074B1 true KR100800074B1 (ko) 2008-02-01

Family

ID=39342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6933A KR100800074B1 (ko) 2006-12-13 2006-12-13 수동 겸용 전동제어 모니터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007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533B1 (ko) * 2008-05-02 2011-01-2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장치용 회동대
WO2015142065A1 (ko) * 2014-03-19 2015-09-24 이정용 회전이 가능한 tv
CN107524894A (zh) * 2017-10-18 2017-12-29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带有升降调节机构的旅游导览装置
WO2021107687A1 (ko) * 2019-11-27 2021-06-03 주식회사 도트힐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
KR20210065828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도트힐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
US11194361B1 (en) 2020-08-07 2021-12-07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749140B2 (en) 2020-08-07 2023-09-05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084A (ko) * 1998-03-06 1999-10-05 구자홍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방향조절장치
KR20030020642A (ko) * 2001-09-04 2003-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품의 기둥형 고정장치
KR20050088725A (ko) * 2004-03-02 2005-09-07 한기봉 디스플레이어의 위치 제어 장치
KR20050093387A (ko) * 2004-03-19 2005-09-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스플레이 패널 승강식 텔레비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084A (ko) * 1998-03-06 1999-10-05 구자홍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방향조절장치
KR20030020642A (ko) * 2001-09-04 2003-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품의 기둥형 고정장치
KR20050088725A (ko) * 2004-03-02 2005-09-07 한기봉 디스플레이어의 위치 제어 장치
KR20050093387A (ko) * 2004-03-19 2005-09-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스플레이 패널 승강식 텔레비젼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533B1 (ko) * 2008-05-02 2011-01-2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장치용 회동대
CN101571227B (zh) * 2008-05-02 2011-08-17 三菱电机株式会社 显示装置用转动座
US8052101B2 (en) 2008-05-02 2011-11-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otating table for display device
WO2015142065A1 (ko) * 2014-03-19 2015-09-24 이정용 회전이 가능한 tv
CN107524894A (zh) * 2017-10-18 2017-12-29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带有升降调节机构的旅游导览装置
KR20210065828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도트힐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
WO2021107687A1 (ko) * 2019-11-27 2021-06-03 주식회사 도트힐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
KR102401499B1 (ko) * 2019-11-27 2022-05-24 주식회사 도트힐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
US11822380B2 (en) 2019-11-27 2023-11-21 Dotheal Co., Ltd. Information display system including monitor mount
US11822379B2 (en) 2019-11-27 2023-11-21 Dotheal Co., Ltd. Monitor mounting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system
US11822381B2 (en) 2019-11-27 2023-11-21 Dotheal Co., Ltd. Method of adjusting location and tilting of monitor
US11194361B1 (en) 2020-08-07 2021-12-07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749140B2 (en) 2020-08-07 2023-09-05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074B1 (ko) 수동 겸용 전동제어 모니터 지지장치
KR100845863B1 (ko) 모니터 스탠드
US20080149800A1 (en) Flat display drive apparatus
KR20070091467A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KR20030071775A (ko) 힘과 토크 발생 장치 및 방법
WO2004079699A1 (ja) 表示装置
KR20050028518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월 마운트
KR20090117163A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JP2011017738A (ja) ディスプレイ支持装置
US20100122493A1 (en) Apparatus for sash window
JP4965186B2 (ja) 平面ディスプレイの駆動装置
KR200386693Y1 (ko) 대형 디스플레이의 승하강 기구
CN112647729A (zh) 一种古建筑修复的斗拱安装结构
JP2005300922A (ja) ディスプレイモニター用スタンド
TW200946809A (en) Supporting device
JP3084346U (ja) 液晶モニターの上下調整装置
KR200364299Y1 (ko) 모니터 높이조절장치
KR200364298Y1 (ko) 모니터 승강장치
KR20070071819A (ko) 무전원시 승강되어지는 셔터의 수동조작장치
KR101460751B1 (ko) 다수 개의 배치모드 제어가 가능한 모니터 승하강장치
KR101874000B1 (ko) Tv 시청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스탠드
KR100928443B1 (ko) 디스플레이패널의 시야각 조절용 마운팅 장치
JP3122237U (ja) Ups無停電電源装置付き移動式コンピュータ台構造
CN217644760U (zh) 一种智能电动升降桌
KR100666329B1 (ko) 벽걸이형 텔레비젼의 시청각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