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5828A -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5828A
KR20210065828A KR1020200102679A KR20200102679A KR20210065828A KR 20210065828 A KR20210065828 A KR 20210065828A KR 1020200102679 A KR1020200102679 A KR 1020200102679A KR 20200102679 A KR20200102679 A KR 20200102679A KR 20210065828 A KR20210065828 A KR 20210065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ser
posture
arm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1499B1 (ko
Inventor
홍보람
정광윤
정준수
최재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트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트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트힐
Priority to PCT/KR2020/01708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107687A1/ko
Priority to CN202080082117.2A priority patent/CN114867963A/zh
Publication of KR20210065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499B1/ko
Priority to US17/825,700 priority patent/US11822380B2/en
Priority to US17/825,811 priority patent/US11822381B2/en
Priority to US17/825,683 priority patent/US11822379B2/en
Priority to US18/514,828 priority patent/US2024008594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2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 F16H1/22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with non-parallel a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1Allowing quick release of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5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left-right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46Analysis of mo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e.g. the tracking of corners or seg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구동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적어도 일 구간에서 직선 운동을 수행하여 신축 또는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아암부 및 디스플레이를 거치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가 고정되고, 아암부의 신축 또는 연장과 연동하여 디스플레이를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 마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Display Installation Apparatus for correcting posture and Display Installation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이 많아지고 FPD(Flat Panel Display)를 채용한 TV, 모니터 등이 대규모로 보급됨에 따라 모바일 기기나 FPD와 같은 디스플레이가 생활 속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를 장시간 사용하며 잘못된 자세를 유지하고, 책상 위에 모니터를 설치하고 업무를 수행함에 따라 잘못된 자세로 장시간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잘못된 자세로 장시간 생활하다 보면 목에 있는 경추에 디스크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흔히 거북목이라 하여 목에 있는 경추가 정상적인 모습이 아니라 비정상적인 형태로 변해버린 질환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모니터로 작업을 하는 경우 모니터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고 업무에 집중하다 보면 이상적인 자세로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병원이나 운동은 바쁜 생활 속에서 지속하는 것이 쉽지 않고 교정도구를 사용하더라도 일회성에 그칠 뿐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모니터 또는 TV 거치대 등을 통해 모니터나 TV가 장착되는 위치를 바꾼다 하더라도 하나의 위치에 고정되기 때문에 사용 중 무의식적으로 사용자의 자세가 비정상적으로 바뀌는 것을 근본적으로 막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장시간 모바일 기기 사용은 자세의 불균형을 만들고, 이로 인해 경추뼈(목뼈)가 정상적인 곡선의 형태를 잃게 되고, 평상시에 3~4배에 달하는 하중이 목에 전달됨으로써, 신경을 손상시키고 머리, 목, 허리, 어깨 통증 등을 유발하여 집중력 저하, 만성 피로 등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를 활용하여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자세를 훈련하여 만성피로, 머리, 목, 어깨, 허리 등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집중도와 업무 능률을 향상시키는데 발명의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구동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적어도 일 구간에서 직선 운동을 수행하여 신축 또는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아암부 및 디스플레이를 거치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가 고정되고, 상기 아암부의 신축 또는 연장과 연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 마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상기 디스플레이가 고정되고, 구동모터에서 발생한 회전 구동력에 의해 적어도 일 구간에서 직선 운동을 수행하여 신축 또는 연장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상기 위치 검출부에서 검출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자세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변화하여 최적의 상태로 유지함에 따라 목, 허리의 2차 디스크 전이를 예방하며, 사용자의 무의식적인 추종효과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디.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동안 자세훈련이 진행되기 때문에 만성피로, 머리, 목, 어깨 허리 등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업무의 집중도와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의 구성요소를 자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의 아암부의 구성요소 간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의 아암부 및 틸팅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의 디스플레이 마운트 및 거치용 지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의 신축 및 연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의 상태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는 사용자가 업무 상 사용하는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를 거치하고 무의식적으로 시야각 내에서 디스플레이를 추종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하고 이미 발생한 질환을 개선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시킬 수 있다.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는 종래 고정된 위치에서 디스플레이를 장착하거나 디스플레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이 없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디스플레이를 이동시키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에 단일 모터를 사용하여 수평이동, 수직이동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의 각도도 모두 구동이 가능하고, 아암부 및 틸팅부 등을 이용하여 안정적이고 정확한 구동이 가능하다.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는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되어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디스플레이와 책상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 별 신체 조건을 반영할 수 있다.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는 아암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를 사선으로 들어올리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직선 운동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자세를 인식하며 인식한 데이터를 통해 적절한 범위까지 디스플레이를 들어올려, 사용자가 눈치채지 못할 속도로 아주 천천히 자세 훈련이 일정 주기로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주기는 사용자가 설정한 주기로서, 10분이 바람직하다.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환경에 맞춰 최적의 상태로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자세를 검출하고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하도록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고, 사용자의 무의식적인 추종효과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는 사용자가 정상적인 자세를 취하는 모드와 목 주위 근육을 이완하거나 강화하는 모드 등 다양한 모드를 통해 디스플레이 맞춤형 거치뿐만 아니라 질환의 치료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는 하나의 구동모터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의 수직, 수평 이동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의 틸팅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원통 형상의 하우징 내에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모든 구성을 수납하여 부피가 작아 거치장치의 설치가 용이하고, 추가적으로 연장블럭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환경에 맞춰 최적화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는 디스플레이 마운트(100), 구동모터(200), 아암부(300) 및 틸팅부(400)를 포함한다.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는 도 1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는 아암부(300)에 고정되는 리드 가이드부(347) 및 디스플레이 마운트(100) 및 리드 가이드부(347) 간에 연결되며, 리드 가이드부(347)의 간격이 변화함에 따라 발생하는 리드 가이드부(347)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따라 회전을 하는 리드 스크루(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마운트(100)는 리드 스크루(330)로부터의 회전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리드 가이드부(347)의 간격은 리드 스크루(330)에 형성되는 피치의 간격에 의해 리드 스크루(330)가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간격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리드 스크루(330)가 리드 가이드부(347)를 따라 회전하며 이동함에 따라 형성되는 위치 관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는 구동모터(200)의 구동 기어(210)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링크 기어(322), 제1 링크 기어(322)에 의하여 아암부(300)를 직선으로 이동하는 제1 링크 축(325), 틸팅부(40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고, 외측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리드 스크루(330) 및 제1 링크 축(325)이 직선으로 이동함에 따른 상대적 위치 관계에 따라 리드 스크루(330)를 회전시키는 리드 가이드부(34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기어(210)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은 제1 링크 기어(322)가 구동 기어(210)와 바로 연결되거나 제2 링크 기어(314)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마운트(100)는 디스플레이(20)를 거치하기 위해 디스플레이(20)가 고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마운트(100)는 디스플레이(20)와 디스플레이 마운트(100) 각각에 결착되는 거치용 지그(110)를 더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마운트(100)는 아암부(300)의 신축 또는 연장과 연동하여 디스플레이(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연동은 아암부(300)와 디스플레이 마운트(100)가 서로 연결되어 아암부(300)의 이동에 의해 디스플레이 마운트(100)도 함께 움직이도록 구성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마운트(100)는 거치용 지그(110)를 통해 디스플레이(20)와 연결되며, 아암부(300)가 신축 또는 연장되는 동작에 의해 디스플레이(20)의 틸팅 각도가 조절되도록 움직일 수 있다.
구동모터(200)는 구동 전원을 인가 받아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아암부(300)는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적어도 일 구간에서 직선 운동을 수행하여 신축 또는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일 구간은 아암부(300)가 일정 높이까지 선형적으로 움직이다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이동하는 경우 완만하게 움직이는 것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일정 높이까지의 속도와 일정 높이 이상에서의 속도가 서로 다르게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높이까지의 속도는 일정 높이 이상에서의 속도보다 빠를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암부(300)는 구동모터(200)에 의해 길이가 늘어나고 줄어들 수 있으며, 길게 늘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아암부(300)는 제2 구동 어셈블리(310), 제1 구동 어셈블리(320) 및 리드 스크루(330)를 포함한다.
제2 구동 어셈블리(310)는 구동모터(200)의 구동 기어(210)와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신축 또는 연장할 수 있다.
제2 구동 어셈블리(310)는 회전 기어(312), 제2 링크 기어(314), 회전 축(318), 제2 링크 축(317) 및 제2 하우징(319)을 포함한다.
회전 기어(312)는 구동 기어(210)와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제2 링크 기어(314)는 회전 축(318)에 의해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제1 구동 어셈블리(320)와 연결되어 제1 구동 어셈블리(320)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회전 축(318)은 제2 링크 기어(314)와 연결되어 고정되며, 회전 기어(312)에 의해 회전하여 아암부(300)를 직선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링크 축(317)은 회전 축(318)의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 축(318)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이동하며 길이를 신축 또는 연장할 수 있다.
제2 하우징(319)은 회전 기어(312)와 연결되어 고정되며, 회전 축(318)을 내측에 포함하도록 조립되어 회전 기어(312)의 회전에 의해 회전 축(318)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구동 어셈블리(310)는 회전 기어(312)가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기어(312)와 연결되는 제2 하우징(319)이 회전하고, 제2 하우징(319)에 의해 내측에 포함되도록 조립된 회전 축(318)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 축(318)과 연결되는 제2 링크 기어(314)가 제2 링크 축(317)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제2 구동 어셈블리(310)는 제2 링크 축(317)의 나사산을 따라 제2 링크 기어(314)가 회전하여 길이가 신축 또는 연장될 수 있다.
제1 구동 어셈블리(320)는 제2 구동 어셈블리(310)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신축 또는 연장될 수 있다.
제1 구동 어셈블리(320)는 제1 링크 기어(322), 제1 링크 축(325) 및 제1 하우징(326)을 포함한다.
제1 링크 기어(322)는 제2 구동 어셈블리(310)와 연결되어 제2 구동 어셈블리(310)를 통해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1 링크 축(325)은 제1 링크 기어(322)가 조립되며, 제1 링크 기어(322)가 나사산을 따라 이동하며 길이를 신축 또는 연장할 수 있다.
제1 하우징(326)은 제1 링크 축(325)를 내측에 포함하도록 조립되며, 제1 링크 축(325)을 둘러싸는 아암 조립부(34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조립될 수 있다.
제1 구동 어셈블리(320)는 제1 링크 기어(322)가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제1 링크 기어(322)가 제1 링크 축(325)를 따라 회전하며 길이를 신축 또는 연장하고, 제1 링크 축(325)의 신축 또는 연장에 따라 제1 하우징(326)도 아암 조립부(340)를 따라 신축 또는 연장할 수 있다.
리드 스크루(330)는 제2 구동 어셈블리(310) 및 제1 구동 어셈블리(320)의 회전 구동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리드 스크루(330)는 제1 스크루(334), 제2 스크루(332) 및 브라켓(336)을 포함한다.
제1 스크루(334)는 제2 구동 어셈블리(310) 및 제1 구동 어셈블리(320)의 회전에 의해 피치 간격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제2 스크루(332)는 틸팅부(400)랑 맞닿아 연결되며, 제1 스크루(334)의 회전에 의해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브라켓(336)은 제1 스크루(334) 및 제2 스크루(332)를 연결하며, 제1 스크루(334) 및 제2 스크루(332)를 지탱할 수 있다.
아암부(300)는 제2 구동 어셈블리(310), 제1 구동 어셈블리(320) 및 리드 스크루(330)를 수납하여 고정시키는 아암 조립부(340)를 더 포함한다.
아암 조립부(340)는 제1 구동 어셈블리(320)의 제1 링크 기어(322)와 제2 구동 어셈블리(310)의 제2 링크 기어(314)가 맞닿아 고정되도록 조립되는 링크 몸체(342, 344) 및 링크 몸체(342, 344)에 형성되는 리드 가이드부(347)를 포함할 수 있다.
틸팅부(400)는 아암부(300)가 신축 또는 연장되는 동작과 연동하여, 디스플레이 마운트(100)를 틸트시킬 수 있다. 틸팅부(400)는 리드 스크루(330)로부터의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마운트(100)를 틸트시킬 수 있다. 따라서, 틸팅부(400)는 디스플레이(20)를 시야에 맞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틸팅부(400)는 아암부(300)의 직선 운동에 따른 리드 스크루(330)의 회전에 의해 리드 스크루(330)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웜휠이 회전하여 틸팅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틸팅부(400)는 웜휠로 구현될 수 있고,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드 스크루(330)와 맞물려 틸팅부(400)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마운트(100)를 틸트시킬 수 있는 휠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의 구성요소를 자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의 전체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의 핵심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는 디스플레이 마운트(100), 구동모터(200), 아암부(300) 및 틸팅부(400)를 포함한다.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는 도 2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마운트(100), 구동모터(200), 아암부(300) 및 틸팅부(400)는 거치대 하우징(500)에 구비된다. 여기서, 거치대 하우징(500)은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의 외형을 이루는 구성이다.
디스플레이 마운트(100)는 사용자가 사용할 디스플레이(20)를 거치하기 위해 해당 디스플레이(20)를 장착하고 고정할 수 있다.
구동모터(200)는 디스플레이 마운트(100)에 장착된 디스플레이(20)를 수평/수직 이동 및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모터(200)는 디스플레이(20)를 일정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거나 디스플레이(20)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는 장착할 디스플레이(20)의 무게에 따라 구동모터(200)의 원활한 구동을 위한 출력이 정해지므로 장착할 디스플레이(20)의 최대 무게를 미리 결정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출력의 구동모터(200)가 선정될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200)는 크게 DC모터와 AC모터로 나뉘고 내구성 및 구동의 정밀도에 따라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으므로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가 사용되는 환경에 맞춰 적절한 모터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용 구동장치가 통상 책상, TV 장식대 위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에 사용되는 점,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의 크기가 크지 않은 점을 고려하여 크기가 크지 않은 구동모터(200)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빠른 구동, 큰 구동력 보다는 부드럽고 소음이 작은 구동모터(200)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는 수평/수직이동 등 직선운동과 틸팅 각도 조절과 같은 회전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되 하나의 구동모터(200)로 모두 구동시켜야 한다. 또한. 구동모터(200)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에서 무거운 쪽에 속하는 구성이므로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의 안정적인 운용을 위해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의 하부에 마련되어 거치 장치를 고정하는 고정 마운트(600)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암부(300)는 구동모터(200)의 회전 구동력을 직선 구동력으로 변환하여 장착된 디스플레이(20)를 일정방향, 즉 수평이동과 수직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아암부(300)는 구동모터(200)에서 발생되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구성은 크게 볼 스크루와 리드 스크루로 나뉘는데 볼 스크루가 정밀하고 부드러운 구동이 가능한 반면 가격이 비싸고 리드 스크루는 내구성이 떨어지지만 가격이 낮은 장점이 있어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가 사용되는 환경, 용도에 맞춰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는 소음이 상대적으로 작고 가격이 저렴하며 구성이 비교적 간단한 리드 스크루(330)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는 하나의 구동모터(200)로 직선이동뿐만 아니라 틸팅 각도 조절까지 해야 하고 디스플레이(20)는 수평뿐만 아니라 수직이동도 이루어져야 효율적이므로 수직 운동과 수평 운동을 한번에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직선 운동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아암부(300)는 하부에 마련된 구동모터(200)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구동 어셈블리(310), 제1 구동 어셈블리(320) 및 리드 스크루(330)를 연결하여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틸팅부(400)는 아암부(300)와 연동되고 아암부(300)의 직선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20)의 틸팅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틸팅부(400)는 틸팅 휠(410) 및 틸팅 축(420)을 포함한다. 틸팅부(400)는 도 2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틸팅 휠(410)은 리드 스크루(330)의 제1 링크 기어(332)와 맞물려 회전하며, 웜휠로 구현될 수 있다.
틸팅 축(420)은 틸팅 휠(410)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마운트(100)와 결합하여 틸팅 휠(41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며 디스플레이 마운트(100)를 틸트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틸팅 축(420)은 측면에 돌기를 형성하여 디스플레이 마운트(100)에 형성되는 홈과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틸팅부(400)는 아암부(300)의 직선운동과 연동하여 디스플레이(20)의 틸팅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가 사용자 쪽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20)를 수직한 상태로 유지하면 디스플레이(20)를 바라보는 자세가 비정상적으로 될 뿐만 아니라 사용이 불편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디스플레이(20)를 사용자 쪽으로 이동시키면서 디스플레이(20)의 상부가 사용자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디스플레이(20)에 대한 시야각을 적절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아암부(300)에 의한 직선운동에 연동되어 디스플레이(20)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고 틸팅부(400)를 통해 이러한 틸팅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하나의 구동모터(200)로 틸팅 각도까지 조절하기 위해 제2 구동 어셈블리(310)의 일단이 구동모터(200)와 결합되고 타단이 제1 구동 어셈블리(320)와 연결되고, 제2 구동 어셈블리(310) 및 제1 구동 어셈블리(320)를 통해 리드 스크루(330)가 회전하며 아암부(300)의 길이를 신장 또는 수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리드 스크루(330)는 회전하면서 틸팅부(400)의 웜휠을 회전시켜 디스플레이(20)를 틸팅시킨다. 즉, 리드 스크루(330)와 틸팅부(400)의 연동에 의해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이를 틸팅부(400) 내의 웜휠을 통해 틸팅 각도 조절에 활용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거치대 하우징(500)은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의 외형을 이루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거치대 하우징(500)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디자인적 요소뿐만 아니라 구동모터(200), 아암부(300), 틸팅부(400) 등 내부에 수납되는 구성의 수납 효율성을 높이고 전체적인 장치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의 외형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거치대 하우징(500)은 제1 컬럼부(510), 제2 컬럼부(520), 제3 컬럼부(530), 제4 컬럼부(540)을 포함한다 거치대 하우징(500)은 도 2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컬럼부(510a, 510b)은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의 가장 바깥쪽의 외형을 형성하며, 제1 컬럼부(510a, 510b)에 제4 컬럼부(540a, 540b)이 조립될 수 있다.
여기서, 제4 컬럼부(540a, 540b)은 구동모터(200)가 고정되고, 아암부(300)의 제2 구동 어셈블리(310)가 고정될 수 있다.
제1 컬럼부(510a, 510b)의 상단에 제2 컬럼부(520a, 520b)이 조립되고, 제2 컬럼부(520a, 520b)의 상단에 제3 컬럼부(530a, 530b)이 조립될 수 있다. 여기서, 아암부(300)가 신장되는 경우, 제2 컬럼부(520a, 520b)이 제1 컬럼부(510a, 510b)을 따라 신장되고, 제3 컬럼부(530a, 530b)이 제2 컬럼부(520a, 520b)을 따라 신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는 3단으로 신장 또는 수축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아니며 아암부(300)에 구비되는 기어의 구조 및 거치대 하우징의 구조를 달리하여 복수의 단으로 신장 또는 수축될 수 있다.
고정 마운트(600)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를 책상이나 TV 장식대 등의 설치되는 곳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마운트(600)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를 고정하는 구성이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20)의 무게를 고려하고 안정적인 설치를 위해 클램프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 마운트(600)는 구동모터(200)와 연결되도록 고정될 수 있으며, 제1 컬럼부(510a, 510b)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마운트(600)에는 위치 검출부(30) 및 제어부(32)가 위치할 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마운트(600)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를 고정하는 구성이면 어떤 형태이든 상관없지만 디스플레이(20)의 무게를 고려하고 안정적인 설치를 위해 클램프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가 설치되는 환경이 다양할 수 있으므로 구동장치를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연장시키기 위한 연장블럭(미도시)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수직방향으로 연장시키기 위해서는 거치대 하우징(500)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하고 수평방향 연장을 위해서는 판형타입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연장블럭은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의 높이와 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일정한 길이와 높이를 가지며, 구동모터(200)와 고정 마운트(6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블럭은 수평방향으로 위치하여 고정 마운트(600)에 의해 고정된 위치보다 더 앞으로 또는 더 뒤에서 구동모터(200)와 아암부(300)가 형성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의 제2 구동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구동 어셈블리(310)는 회전 기어(312), 제2 링크 기어(314), 회전 축(318), 제2 링크 축(317) 및 제2 하우징(319)을 포함한다. 제2 구동 어셈블리(310)는 도 4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기어(312)는 구동모터(200)의 구동 기어(210)와 맞닿도록 위치하며, 구동모터(200)에 의해 발생한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여기서, 회전 기어(312)는 구동 기어(210)와 같은 간격의 돌기를 형성하여 서로 물리면서 회전하여 에너지 손실 없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기어(312)는 평 기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 기어(312)는 제2 하우징(319)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기어(312)는 제2 하우징(319)의 일면에서 결합되며, 내측에 홈을 형성하여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기어(312)는 내측이 육각형의 형상을 형성하고, 마주보는 두 면에 홈이 형성되어 제2 하우징(319)과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기어(312)의 내측 형상은 반드시 육각형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 축(318)의 외부면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링크 기어(314)는 회전 축(318)에 연결되어 회전 기어(312)에 고정되어 회전 축(318)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링크 기어(314)는 제1 링크 기어(322)와 같은 간격의 돌기를 형성하여 서로 물리면서 회전하여 에너지 손실 없이 제1 링크 기어(322)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링크 기어(314)는 내측이 육각형의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 축(318)의 외주면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형성하여 조립될 수 있다.
회전 축(318)은 육각형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축(318)은 육각형의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각형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축(318)이 원형으로 형성되면 회전 축(318)과 결합된 제2 하우징(319) 회전 시 함께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회전 축(318)은 제2 하우징(319)과 결합되어 제2 하우징(319)이 회전하는 경우 같이 회전하도록 다각형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회전 축(318)은 마주보는 두 면에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마주보는 두 면에 형성되는 홈은 제2 하우징(319)의 내측에 형성되는 돌기와 맞닿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축(318)은 마주보는 두 면에 형성되는 홈과 돌기를 통해 결합되어 제2 하우징(319)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2 링크 축(317)은 제2 링크 브라켓(315) 및 제2 축(316)을 포함한다.
제2 링크 브라켓(315)은 거치대 하우징(500)에 제2 구동 어셈블리(310)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링크 브라켓(315)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측면의 중심을 제외하고 홈을 형성할 수 있으며, 중심을 제외하고 형성된 홈을 통해 거치대 하우징(500)에 조립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축(316)은 제2 링크 브라켓(315)의 하단에서 결합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된 축의 주위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축(316)에 형성되는 나사산은 회전 축(318)의 내측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맞물려 회전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 링크 축(317)이 신축 또는 연장될 수 있다.
제2 하우징(319)은 회전 기어(312)와 연결되며, 회전 축(318)을 둘러싸도록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하우징(319)은 회전 축(318)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결합하며, 회전 기어(312)에서 전달 받은 회전 구동력을 회전 축(318)에 전달하기 위해 내부가 같은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하우징(319)은 원통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의 제1 구동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구동 어셈블리(320)는 제1 링크 기어(322), 제1 링크 축(325) 및 제1 하우징(326)을 포함한다. 제1 구동 어셈블리(320)는 도 5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 기어(322)는 제2 구동 어셈블리(310)의 제2 링크 기어(314)와 맞닿도록 위치하며, 구동모터(200)에 의해 발생한 동력을 회전 기어(312)와 연결된 제2 하우징(319)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 축(318)에 조립된 제2 링크 기어(314)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링크 기어(322)는 제2 링크 기어(314)와 같은 간격의 돌기를 형성하여 서로 물리면서 회전하여 에너지 손실 없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1 링크 기어(322)는 내측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있으며, 제1 링크축(325)과 결합하여 제1 링크축(325)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 링크 축(325)은 제1 링크 브라켓(323) 및 제1 축(324)을 포함한다.
제1 링크 브라켓(323)은 거치대 하우징(500)에 제1 구동 어셈블리(320)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링크 브라켓(323)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측면의 중심을 제외하고 홈을 형성할 수 있으며, 중심을 제외하고 형성된 홈을 통해 거치대 하우징(500)에 조립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 축(324)은 제1 링크 브라켓(323)의 하단에서 결합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된 축의 주위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축(324)에 형성되는 나사산은 제1 링크 기어(322)의 내측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맞물려 회전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아암부(300)가 신축 또는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축(324)에 형성되는 나사산은 제1 축(324)의 길이 방향으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은 원통 형태의 제1 축(324)의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아암 조립부(340)에 형성되는 돌기와 맞닿아 조립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은 아암 조립부(340)에 형성되는 돌기에 고정되고 제1 링크 기어(322)가 회전함에 따라 홈을 따라 제1 축(324)이 움직일 수 있다. 여기서, 아암 조립부(340)가 고정된 위치는 변화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하우징(326)은 아암 조립부(340)를 통해 제1 링크 기어(322) 및 제1 링크 축(325)이 조립되면 아암 조립부(340)의 상단을 둘러싸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 하우징(326)은 원통형을 형성하며, 원통 축(328) 및 원통 브라켓(327)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원통 브라켓(327)은 거치대 하우징(500)에 제1 구동 어셈블리(320)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통 브라켓(327)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에 원형을 따라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형성되는 홈을 통해 거치대 하우징(500)에 조립되어 고정될 수 있다.
원통 축(328)은 원통 브라켓(327)의 하단에서 결합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된 축의 내측에 아암 조립부(340)와 결합되기 위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홈은 원통 축(328)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통 축(328)은 외주면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길이 방향으로 돌기를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돌기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의 리드 스크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리드 스크루(330)는 제1 스크루(334), 제2 스크루(332) 및 브라켓(336)을 포함한다. 리드 스크루(330)는 도 6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크루(334)는 피치간의 간격을 설정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제2 스크루(322)의 피치간의 간격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크루(334)의 피치간의 간격을 통해 디스플레이 마운트(100)가 틸트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간격이 넓을수록 디스플레이 마운트(100)가 천천히 이동하며, 간격이 좁을수록 디스플레이 마운트(100)가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리드 스크루(330)는 제1 스크루(334)의 피치간의 간격을 통해 디스플레이 마운트(1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스크루(332)는 틸팅부(400)와 맞닿아 연결되며, 제1 스크루(334)를 통해 회전하여 틸팅부(4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브라켓(336)은 제1 스크루(334)와 제2 스크루(332)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336)은 아암 조립부(340)에 조립되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336)은 아암 조립부(340)에 형성된 홈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리드 스크루(330)의 제2 스크루(332)의 상단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부분은 아암 조립부(340)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리드 스크루(3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의 아암 조립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암 조립부(340)은 제1 링크 몸체(342), 제2 링크 몸체(344) 및 리드 가이드부(347)를 포함한다. 아암 조립부(340)은 도 7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 몸체(342)는 제2 구동 어셈블리(310)의 제2 링크 기어(314)와 제1 구동 어셈블리(320)의 제1 링크 기어(322)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조립되어 제2 링크 몸체(344)와 결합하여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링크 몸체(342)는 제2 링크 몸체(344)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링크 몸체(342)는 제2 링크 기어(314)와 제1 링크 기어(322)를 하나의 조립체로 고정시키기 위해 제2 링크 몸체(344)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결합되는 부분에 원통 홈(348)과 원통 돌기(349)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원통 돌기(349)는 원통 홈(348)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통 홈(348)과 결합 시 빈틈이 없도록 조립되어 제1 링크 몸체(342)와 제2 링크 몸체(344)를 맞닿아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링크 몸체(342)는 제1 암 가이드(341) 및 제1 암 몸체(3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링크 몸체(344)는 제2 암 가이드(345) 및 제2 암 몸체(3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암 가이드(341)는 제1 구동 어셈블리(320)가 구비되는 제1 암 몸체(343)와 연결되며, 제2 암 가이드(345)는 제2 구동 어셈블리(310)가 구비되는 제2 암 몸체(346)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암 가이드(341)는 제1 구동 어셈블리(320)의 제1 링크 축(325)의 제1 축(324)이 위치하며, 제2 암 가이드(345)와 조립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암 가이드(341)과 제2 암 가이드(345)는 제1 축(324)의 나사산에 형성되는 제1 축(324)의 길이 방향으로 홈과 같은 형상의 돌기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홈과 돌기를 결합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암 몸체(343)와 제2 암 몸체(346)는 거치대 하우징(500)에 고정되기 위해 복수의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암 몸체(343)와 제2 암 몸체(346)는 각각 3개의 홈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암 몸체(343)와 제2 암 몸체(346)는 제2 구동 어셈블리(310) 및 제1 구동 어셈블리(320)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제2 링크 몸체(344)는 리드 가이드부(347)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암 몸체(346)는 리드 가이드부(347)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리드 가이드부(347)는 제2 암 몸체(346)에 조립되는 제2 링크 기어(314)와 제1 링크 기어(322)가 조립되어 고정되는 부분과 겹치지 않으며, 제2 암 몸체(346)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고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드 가이드부(347)는 리드 스크루(330)가 회전 조립되어 결합되는 부분으로, 제2 링크 기어(314)와 제1 링크 기어(322)에 의해 제2 구동 어셈블리(310) 및 제1 구동 어셈블리(320)가 직선 운동함에 따라 리드 스크루(330)의 제1 스크루(334)가 회전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드 가이드부(347)에 형성되는 나사산은 제1 스크루(334)의 피치를 따라 리드 가이드부(347)가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의 아암부의 구성요소 간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암 조립체(340)에 제2 구동 어셈블리(310), 제1 구동 어셈블리(320) 및 리드 스크루(330)를 조립시키기 위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암 조립체(340)에 제2 구동 어셈블리(310), 제1 구동 어셈블리(320) 및 리드 스크루(330)가 조립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구동 어셈블리(310) 및 제1 구동 어셈블리(320)는 제1 링크 몸체(342) 및 제2 링크 몸체(344)에 의해 하나의 조립체로 조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암 조립부(340)는 제2 구동 어셈블리(310)의 제2 링크 기어(314)와 제1 구동 어셈블리(320)의 제1 링크 기어(322)가 맞닿아 맞물리도록 조립될 수 있으며, 제2 링크 기어(314)에서 제1 링크 기어(322)로 회전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조립될 수 있다.
아암 조립체(340)는 제2 구동 어셈블리(310)의 제2 링크 기어(314)와 제1 구동 어셈블리(320)의 제1 링크 기어(322)가 맞물리도록 제1 암 몸체(343)와 제2 암 몸체(346)에 구비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아암 조립체(340)는 제2 링크 기어(314)가 회전 축(318)과 결합되고 회전 축(318)의 내측에 제2 링크 축(317)을 위치시킨 상태와 제1 링크 기어(322)가 제1 링크 축(328)과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링크 몸체(342)와 제2 링크 몸체(344)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아암 조립체(340)는 제1 링크 몸체(342)와 제2 링크 몸체(344)가 결합되면서 함께 결합된 제1 암 가이드(341)와 제2 암 가이드(345)의 외주면에 제1 하우징(326)이 결합되어 고정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의 아암부 및 틸팅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아암부(300)의 리드 스크루(330)와 틸팅부(400)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틸팅부(400)는 휠 형상의 기어를 형성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마운트(100)와 연결되어 구동되기 위해 원통 형상의 틸팅 축을 형성할 수 있다.
틸팅 축은 디스플레이 마운드(100)와 결합되어 고정되기 위해 돌기를 형성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마운트(100)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틸팅 축의 돌기와 디스플레이 마운트(100)의 홈이 결합하여 디스플레이 마운트(10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으며, 틸팅부(400)의 휠 형상의 기어가 움직임에 따라 틸팅 축이 움직여 디스플레이 마운트(100)가 움직일 수 있다.
여기서, 아암부(300)와 틸팅부(400)는 웜과 웜기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나사산을 형성하는 아암부(300)의 웜과 이것에 맞물려지는 틸팅부(400)의 웜휠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의 디스플레이 마운트 및 거치용 지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a)는 거치용 지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의 (b)는 디스플레이 마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의 (c)는 거치용 지그와 디스플레이 마운트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마운트(100)는 디스플레이(20)를 거치하기 위해 디스플레이(20)가 장착 고정될 수 있다.
거치용 지그(110)는 디스플레이(20)와 디스플레이 마운트(100)를 연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20)와 디스플레이 마운트(100)에 각각 결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마운트(100)는 사용자가 사용할 모니터, TV,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20)를 장착하여 고정하는 구성이다. 디스플레이(20)에는 일정한 위치로 디스플레이(20)를 고정하는 스탠드가 부착되어 있지만 디스플레이(20)의 후면에 거치 장치에 디스플레이(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마련되는 것이 보통이다. 디스플레이 마운트(100)는 디스플레이(20)의 후면에 마련되는 고정부를 통해 디스플레이(20)를 장착 고정한다. 이러한 고정부는 VESA라는 규격으로 마련되는 것이 보통인데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마운트(100)는 이러한 VESA 규격에 맞춰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VESA 규격은 일정한 형태의 볼트 홈이 마련되어 후면 고정부를 밀착시키고 볼트로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볼트로 고정하는 동안 디스플레이(20)를 들고 있어야 하므로 결착 과정이 힘든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마운트(100)는 원터치로 디스플레이(20)를 장착하기 위해 디스플레이(20)의 후면과 디스플레이 마운트(100)에 각각 결합되는 거치용 지그(110)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치용 지그(110)는 거치용 지그의 일측이 디스플레이(20)에 장착되고 다른 일측이 디스플레이 마운트(100)에 장착한 후 디스플레이(20)를 들어서 디스플레이 마운트(100)에 끼우는 것만으로 장착 고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물론, 원터치로 결합되는 방식이면 어떤 방식이든 무관하고 상술한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용 지그(110)는 디스플레이 마운트(100)와 결합되는 부분이 돌출되어 양쪽에 홈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돌출된 부분의 양쪽에 형성된 홈을 따라 디스플레이 마운트(100)와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의 신축 및 연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의 신축 및 연장을 위한 기어의 회전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의 아암부가 연장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는 기어(200)가 동작하면 기어(200)에 형성되는 구동 기어(210)가 회전함에 따라 아암부(300)가 신축 및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는 구동 기어(210)가 좌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구동 기어(210)와 맞물린 회전 기어(312)가 우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 기어(312)가 우측으로 회전하면 회전 기어(312)가 연결된 제2 하우징(319)에 의해 회전 축(318)이 우측으로 회전하면서 제2 링크 기어(314) 또한 우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링크 기어(314)가 우측으로 회전하면 제2 링크 기어(314)와 맞물린 제1 링크 기어(322)가 좌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에 의해 아암부(300)가 연장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리드 스크루(330)가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리드 스크루(330)는 좌측으로 회전하며, 리드 스크루(330)와 수직으로 연결된 틸팅부(400)가 우측으로 회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마운트(100)의 각도가 작아질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마운트(100)의 각도가 작아지는 것은 디스플레이 마운트(100)가 하단을 바라보도록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의 아암부(300)의 연장 및 디스플레이 마운트(100)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동 기어(210)를 반대로 회전함에 따라 연장된 아암부(300)가 원래 상태로 돌아올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마운트(100)의 각도도 원래 상태로 돌아올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로 반드시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반대로 구현되거나 각각의 기어의 위치를 변경하여 아암부(300)를 신축하거나 디스플레이 마운트(1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아암부(300)는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하거나 디스플레이(20)의 사용 환경에 따라 맞춤형으로 디스플레이(2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디스플레이(20)를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디스플레이(20)의 위치는 책상에서의 수직위치와 사용자와의 수평위치로 나뉘고 사용자와 디스플레이(20)의 거리 관점에서는 수직, 수평 위치를 조절하면 된다. 다만, 사용자의 자세 교정의 관점에서는 사용자의 머리를 움직이게 할 필요가 있으므로 거리 관점에서의 이동에 더해 디스플레이(20)의 틸팅 각도도 조절되어야 한다.
디스플레이(20)의 이동 궤적이 수직, 수평을 별개로 또는 순차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것보다 사용자의 얼굴쪽으로 비스듬이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거북목 질환이 개선되도록 사용자의 머리가 움직이게 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20)의 책상으로부터 수직거리가 증가하고 사용자와의 수평거리가 줄어들도록 하면서 디스플레이(20)의 상단이 사용자쪽으로 기울어지도록 하면 사용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므로 사용자의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는 아암부(300)와 틸팅부(400)를 조합하여 아암부(300)를 통해 길이를 신장, 수축하면서 틸팅부(400)를 통해 디스플레이(20)의 틸팅 각도를 한번에 조절할 수 있다. 각각에 대해 구동부를 마련하면 디스플레이(20)의 이동 궤적의 자유도를 높일 수는 있지만 제어가 복잡하고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는 아암부(300) 및 틸팅부(400)를 통해 사용자 쪽으로 디스플레이(20)를 이동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좌우로 틸팅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컬럼부(510a, 510b)에 구비된 제4 컬럼부(540a, 540b)에 구동모터(200)가 고정되고, 아암부(300)의 제2 구동 어셈블리(310)가 고정될 수 있다.
제1 컬럼부(510a, 510b)에는 제1 구동 어셈블리(320)의 제1 하우징(326) 및 제2 구동 어셈블리(310)의 제2 하우징(319)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컬럼부(520a, 520b)에는 아암 조립부(340)가 위치하며, 아암 조립부(340)에 고정된 제1 링크 기어(322)와 제1 링크축(325)을 감싸는 제1 암 가이드(341)와 제2 암 가이드(345)가 위치할 수 있다.
제3 컬럼부(530a, 530b)에는 제1 구동 어셈블리(320)의 제1 링크축(325) 및 리드 스크루(330)가 위치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의 아암부가 연장되고 디스플레이 마운트가 틸트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40)은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 위치 검출부(30) 및 제어부(32)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40)은 도 13 및 도 14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40)은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가 사용자가 사용할 디스플레이(20)가 장착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마운트(100)에 장착되고, 장착된 디스플레이(20)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위치 검출부(30)를 통해 검출한다.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40)은 검출된 위치를 기초로 제어부(32)에서 사용자의 목이 구부러진 각도 등 사용자의 자세를 판단하고, 제어부(32)에서 판단된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를 통해 디스플레이(20)의 수평거리 및 수직거리가 동시에 조절되는 방향으로 디스플레이(20)를 이동시키고 이와 연동하여 디스플레이(20)의 틸팅 각도를 일정범위 내에서 조절한다.
사용자의 위치는 디스플레이(20)를 기준으로 사용자와 위치 검출부(30)까지의 거리에 따른 위치를 나타내며, 머리, 목, 몸 등으로 나눠 제공될 수 있다.
위치 검출부(30)는 사용자의 자세를 판단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마운트(100)에 거치된 디스플레이(20)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20)를 사용하고 있는 환경에 맞춰 디스플레이(20)의 위치를 조절하고 사용자의 자세 교정을 위해 디스플레이(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32)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의 구동 전반을 제어하되 위치 검출부(30)에서 검출된 사용자 위치를 기초로 사용자의 자세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20)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40)은 위치 검출부(30)의 LED 근접 센서와 IR 거리 센서를 통해 얻어지는 영상의 다수의 거리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에 해당하는 제1 영역, 가슴에 해당하는 제2 영역, 목에 해당하는 제3 영역을 결정하고, 제어부(32)에서 각 영역에 속하는 특징값들의 분포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진단하고,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거나, 사용자에게 알람을 줄 수 있다.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40)은 상술한 목적을 위하여 영상 처리를 통해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3:00 시점의 제1 영역 거리값 50 cm, 제2 영역 거리값 53 cm, 제3 영역 거리값 52 cm에서 13:10 시점의 제1 영역 거리값 48 cm, 제2 영역 거리값 52 cm, 제3 영역 거리값 51 cm로 변화하는 것을 통해 10분 동안 머리가 앞으로 쏠리는 자세로 변화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40)은 사용자의 자세를 인식하고 자세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적응 제어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40)은 위치 검출부(30)에서 단일 또는 복수의 자세 인식 센서를 활용하여 사용자 정면에서의 자세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자세 인식 센서는 거리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외선 또는 레이저를 사용하는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세 인식 센서는 3D TOF(Time Of Flight)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40)은 위치 검출부(30)가 단일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자세를 자세 인식 센서로부터 사용자 머리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 위치 검출부(30)가 복수의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자세를 자세 인식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몸통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40)의 위치 검출부(30)가 복수의 자세 인식 센서를 사용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40)은 제어부(32)를 통해 위치 검출부(30)에서 판단된 자세를 시간순으로 기록할 수 있다. 이때, 판단된 자세는 자리 비움, 머리가 점차 앞으로 기울어짐, 자세 유도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함 등을 판단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어부(32)는 상기 판단에 따라 디스플레이(20)의 이동 거리와 속도를 사용자에게 최적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장기적인 관점에서 디스플레이(20)의 이동 거리와 속도를 사용자에게 최적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장기적인 관점은 12주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고, 이는 일반적인 근골격계 재활 훈련이 12주 이상 소요되기 때문이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치 검출부(30)는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위치 검출부(30)는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위치 검출부(30)는 적어도 하나의 자세 인식 센서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정면에서의 자세를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나눠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자세 인식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 위치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위치 검출부(30)는 사용자의 얼굴 위치를 나타내는 제1 영역, 사용자의 몸통 위치를 나타내는 제2 영역 및 사용자의 목 위치를 나타내는 제3 영역으로 나눠 사용자와의 거리를 적어도 하나의 자세 인식 센서를 통해 각각 판단할 수 있다. 위치 검출부(30)는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 각각에서의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32)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32)는 위치 검출부(30)에서 검출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자세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2)는 위치 검출부(30)에서 검출된 사용자의 위치를 시간 별로 기록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구별하여 시간 별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각 영역에 속하는 특징값들의 분포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진단하여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값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값은 구동모터(200)가 구동되는 속도, 구동 기어(2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좌 또는 우의 구동 방향, 구동모터(200)가 구동되는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32)는 사용자의 자세에 따른 기 설정된 기준을 통해 산출된 조정값을 이용하여 구동모터(200)를 구동시켜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2)는 조정값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의 이동 거리 및 속도를 조정하고, 조정값에 따른 디스플레이(20)의 이동 거리 및 속도 기록을 저장하여 사용자의 자세 습관 변화 및 자세 습관에 따른 질환을 예측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의 이동 거리 및 속도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의 아암부(300)의 이동 거리와 이동 속도를 조정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32)는 이동 거리에 따라 속도를 다르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2)는 일정 구간에서는 빠른 속도로 그 외의 구간에서는 느린 속도로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를 조정할 수 있으며, 속도가 일정하지 않고 사용자 별로, 자세 별로 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40)은 위치 검출부(30)에서 검출된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사용자와 디스플레이(20)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림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검출부(30)는 디스플레이(20)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위치는 사용자의 자세를 제어부(32)에서 판단하는데 사용되므로 단순히 디스플레이(20)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한 포인트만 검출하는 것보다는 사용자의 여러 부분에서 다양한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다양한 센서를 활용할 수 있는데 적외선 또는 레이저를 사용하는 센서를 활용할 수도 있고 TOF(Time Of Flight) 센서를 활용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여러 부분에서의 위치를 검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단일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보다는 TOF 센서와 같이 다양한 위치를 한 번에 검출할 수 있는 센서가 바람직하다. 특히 사용자의 자세 중 거북목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사용자의 얼굴, 목, 몸통의 위치를 필수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검출부(30)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의 전면 하단에 설치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부착형으로 마련하여 디스플레이(20)의 하단 또는 상단에 마련할 수도 있다. 다만, 어느 위치에 설치하던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기초적인 세팅과 보정과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검출부(30)는 복수 개 구비되어 각 영역별로 사용자 머리, 목, 몸통까지의 거리를 각각 측정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구비되어 상하 좌우 이동하여 사용자의 머리에서 몸통까지의 거리를 각각 측정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상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는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디스플레이(20)의 자체 무게가 있고 일정 범위 밖에 이동은 큰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에서 디스플레이(20)를 이동시키는 수평거리, 수직거리, 틸팅 각도를 무한대로 설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특정 범위 내에서 움직이도록 어느 정도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 거리의 경우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가 통상 책상 끝단에 설치되므로 책상의 세로 길이와 디스플레이의 사이즈 및 시야각을 기준으로 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야각의 경우 색채 및 문자 인식 등을 감안할 때 좌우측으로 35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틸팅 각도의 경우 디스플레이의 무게, 사용자의 자세, 틸팅 각도 조절의 한계 등을 감안할 때 최대 틸팅 각도를 30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 거리의 경우 사용자의 앉은 상태에서의 높이와 관련이 있기는 하지만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의 높이는 비교적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틸팅 각도의 한계를 통해 수직 거리의 범위를 도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수평 거리의 범위는 0 ~ (D - S / 2tan 35)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사용자의 시력의 특성을 고려하여 시야각을 조정할 수도 있다. 수직거리의 경우에는 틸팅 각도의 한계가 30도 이므로 0 ~ (S * sin30)/(2tan35)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평이동 거리의 범위(W1)는 0 ~ (D - S / 2tan 35), 수직이동 거리의 범위(W2)는 0 ~ (S * sin30)/(2tan35), 틸팅 각도(a3)는 0도 ~ 30도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는 사용자 쪽으로 이동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좌우로 틸팅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지만 제조원가나 제어의 용이성을 기초로 효용성 측면에서 부가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32)는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하도록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를 제어하는 구성이다. 제어부(32)는 사용자 위치 검출부(30)에서 검출된 사용자의 위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얼굴과의 거리를 나타내는 제1 영역, 목과의 거리를 나타내는 제3 영역 및 몸통과의 거리를 나타내는 제3 영역을 각각 검출하고 이들의 위치를 선분으로 연결한 후 사용자의 자세, 즉 거북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각도(a2)를 추출한다.
사용자의 위치로 각도(a2)를 추출하므로 정상적인 각도(a1)보다 작게 산출되므로 여러 차례 테스트를 통해 보정값을 산출하는 과정이 정확한 자세 판정을 위해 필수적이다. 또한, 특정 위치를 검출한 경우 해당 위치로부터 사용자의 자세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사용자의 위치인 얼굴, 목, 몸통의 위치를 추정을 통해 산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테스트를 통한 캘리브레이션이 필수적임은 물론이다.
제어부(32)는 디스플레이(20)의 이동 궤적과 이동 주기를 미리 설정하여 놓고 자동으로 디스플레이(2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 주위 근육을 이완하거나 근육을 강화하기 위해 디스플레이(20)를 일정 주기를 갖고 앞뒤로 움직이도록 제어한다면 사용자가 업무 중에 무의식적으로 머리를 앞뒤로 움직이거나 위 아래로 끄덕이게 되어 별도로 의식하지 않고 목 주위 근육을 이완시키거나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크게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하는 교정모드와 목 주위 근육을 이완시키거나 강화하는 훈련모드 두 가지를 예시로 들었으나 이동궤적과 주기를 달리하여 사용자 맞춤형으로 각 모드를 설계할 수도 있고 별도의 모드를 새로 만들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의 전면부 등 사용자가 알아보기 쉬운 위치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이벤트,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부는 적당한 크기의 LCD 패널로 마련하여 현재 구동 중인 모드, 사용자의 자세에 대한 내용 등 이미지, 텍스트로 알림을 전달할 수도 있으나 몇 개의 LED로 전원의 on/off 여부, 사용자 자세의 적합 여부 등 간단한 알림을 색깔, LED가 켜진 개수 등으로 알림을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의 각종 정보를 스마트폰, 태블릿 등 사용자가 등록한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일정한 UI의 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20)의 위치 조정, 이동 궤적 설정, 주기 설정, 훈련모드 또는 교정모드의 설정 등 사용자가 조절하는 내용을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로 전달하여 제어하는 무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40)은 사용자의 자세를 얼굴, 목, 몸통의 위치를 기반으로 판단하였으며, 디스플레이(20)를 기준으로 얼굴, 목, 몸통이 좌 또는 우측으로 벗어난 위치를 기반으로 더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 검출부(30)는 디스플레이(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얼굴, 목, 몸통 각각이 좌 또는 우로 벗어난 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 벗어난 거리에 따른 옆으로 치우친 자세, 머리가 기울어진 자세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40)은 사용자의 상하 좌우 자세를 모두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40)은 위치 검출부(30)에서 획득한 얼굴, 목, 몸통까지의 거리와 얼굴, 목, 몸통이 디스플레이(20)를 중심으로 벗어난 거리 각각에 대해 가중치를 부여하여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를 이동하는 정도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가중치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른 보정 부위, 최적의 상태에서 벗어난 거리가 큰 부위 등을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따라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고려하는 부분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자세를 훈련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각각의 부위 별로 자세를 교정하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40)은 제어부(32)를 통해 위치 검출부(30)에서 판단된 자세를 시간순으로 기록할 수 있다. 이때, 판단된 자세는 자리 비움, 머리가 점차 앞으로 기울어짐, 자세 유도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함 등을 판단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의 상태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태 다이어그램(1500)은 알 수 없는(Unknown) 상태(1510), 사용자 존재(User Exist) 상태(1520), 나쁜 자세(Bad Posture) 상태(1530), 위로 이동(Move To Up) 상태(1540) 및 홈 위치로 이동(Move To Home) 상태(1550)를 포함한다.
알 수 없는(Unknown) 상태(1510)는 사용자가 위치하는지 알 수 없는 상태로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40)의 위치 검출부(30)를 통해 측정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위치하지 않을 경우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 존재(User Exist) 상태(1520)는 사용자가 존재하는 상태로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40)의 위치 검출부(30)를 통해 측정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위치하는 경우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나쁜 자세(Bad Posture) 상태(1530)는 사용자의 자세가 나쁜 상태를 나타낼 수 있으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40)의 위치 검출부(30)를 통해 측정 거리 이내에서 사용자가 나쁜 자세로 위치하는 경우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위로 이동(Move To Up) 상태(1540)는 사용자가 자세가 위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으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40)의 위치 검출부(30)를 통해 측정 거리 이내에서 사용자의 얼굴의 위치가 위로 이동하는 경우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홈 위치로 이동(Move To Home) 상태(1550)는 홈 위치로의 이동을 나타낼 수 있으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40)에 의해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이동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각각의 상태 다이어그램(1500)의 상태는 반드시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다이어그램(1500)은 알 수 없는(Unknown) 상태(1510)에서 사용자의 자세가 불안정한 경우 사용자 존재(User Exist) 상태(1520)로 상태가 변화할 수 있다.
상태 다이어그램(1500)은 사용자 존재(User Exist) 상태(1520)에서 사용자의 집중에 의해 자세가 다운되는 경우 나쁜 자세(Bad Posture) 상태(1530)로 상태가 변화할 수 있다.
상태 다이어그램(1500)은 나쁜 자세(Bad Posture) 상태(1530)에서 디스플레이를 상향 또는 하향 조정을 결정하여 위로 이동(Move To Up) 상태(1540)로 상태가 변화할 수 있다.
상태 다이어그램(1500)은 위로 이동(Move To Up) 상태(1540)에서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이동시켜 사용자의 자세가 업될 경우 통과(Pass)되고,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이동시켰지만 사용자의 자세가 다운되고 불안정할 경우 실패(Fail)하여 홈 위치로 이동(Move To Home) 상태(1550)로 상태가 변화할 수 있다. 여기서, 실패한 경우, 나쁜 자세(Bad Posture) 상태(1530)를 다시 판단하여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다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40)은 상태 다이어그램(1500)을 통해 맞춤 훈련을 설계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장치(10)를 통해 디스플레이(20)를 들어 올리면 어느정도 자세가 유도 되다가 특정 높이에서 불편함을 호소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마다 경추의 가동 범위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40)은 디스플레이(20)를 이동시키는 거리의 높이에서 사용자가 어떤 자세 변화를 보이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는 상태 다이어그램(1500)의 위로 이동(Move To Up) 상태(154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40)은 디스플레이(20)를 들어올려야 할 시기인 나쁜 자세(Bad Posture) 상태(1530)에서 이전 통과(Pass) 및 실패(Fail)의 비율을 확인하여 디스플레이(20)를 이동시키는 거리의 상향 조정 또는 하향 조정을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장치(10)는 측면에 길게 누르면 맞춤 훈련에 대한 기록이 리셋(Reset)되는 버튼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40)은 디스플레이(20) 사용시간 동안의 자세 정보 및 디스플레이(20) 사용시간 중 몰입한 시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데이터를 무선(블루투스 등) 또는 유선 (USB Cable 등)으로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40)은 자세 습관 변화를 사용자에게 피드백하고 자세 습관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 예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몰입 패턴을 사용자에게 피드백하고 몰입 패턴에 따른 집중력 강화 훈련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40)은 근골격계 질환 예측을 통한 기업의 산재보험료 인하 및 집중력 강화 훈련을 통한 기업의 생산성을 강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검출부(30)는 획득된 센서값에 기반하여 자신(위치 검출부)으로부터 제1 영역 거리, 제2 영역 거리, 제3 영역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위치 검출부가 TOF센서인 경우, TOF센서값에 대한 연산을 통해 각 화소별 거리값을 연산할 수 있는데, 제어부(32)는 각 영역의 특정 지점(중심 지점)까지의 거리를 각 영역별 대표 거리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32)는 제1 영역 거리> 제3 영역 거리> 제2 영역 거리인 상태를, "노멀 자세 상태(normal posture stage)"의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2)는 제1, 제2, 제3 영역 거리 중 적어도 하나, 특히 제1 영역 거리에 대한 시간 미분 값이 음수인 경우, "나쁜 자세 전단계(Bad Posture Prestage)"로 판단할 수 있다. 나쁜 자세 전단계의 경우, 제어부는 모니터를 상향 구동시키거나 또는 모니터를 조금만 상향 구동 시킨 후 다시 제 위치로 하향 구동시키는 일종의 경고 메시지(경고 동작)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3 영역 거리가 제1영역 거리 보다 더 크고, 제1 영역 거리가 제1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가 모니터를 향해 목과 허리를 구부리고 있는 나쁜 상태이므로, 제어부(32)는 현재의 자세를"제1 나쁜 자세 상태(1st Bad posture stage)"로 판단한다. 여기서 제1 기준값은, 40~60cm 의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으나, 이는 사용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2)는 신속한 모터 구동을 통해 디스플레이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자세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 영역의 거리가 제1 영역 거리 보다 크더라도, 제1 영역 거리가 제1 기준값 보다 큰 경우라면, 제어부(32)는 현재 상태를 "제2 나쁜 자세 상태(2nd Bad posture stage)"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와 사용자(머리) 간의 거리가 먼 편이지만, 목이 구부러진 상태이기 때문이다. 또한, 제2 영억의 거리가 제1 영역 거리 또는 제3 영역 거리 중 어느 하나 보다 멀어지는 경우, 제어부(32)는 현재의 자세를 "나쁜 자세 전단계(Bad Posture Prestage)"로 판단할 수 있고, 상술한 경고 동작을 수행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경고 메시지는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장치(10)를 통해 디스플레이(20)를 올렸다가 내렸다가 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동작, 사용자에게 경고를 제공하는 경고등을 점멸하는 동작, 구동모터(200)를 매우 빠른 속도로 구동하여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장치(10)를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동작, 경고 사운드를 제공하는 동작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나쁜 자세 상태를 알려주고,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에게 나쁜 자세 상태를 알려줄 수 있는 동작으로 경고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100: 디스플레이 마운트
200: 구동모터
300: 아암부
400: 틸팅부
500: 거치대 하우징
600: 고정 마운트

Claims (15)

  1. 구동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적어도 일 구간에서 직선 운동을 수행하여 신축 또는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아암부; 및
    디스플레이를 거치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가 고정되고, 상기 아암부의 신축 또는 연장과 연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 마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에 고정되는 리드 가이드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마운트 및 상기 리드 가이드부 간에 연결되며, 상기 리드 가이드부의 간격이 변화함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리드 가이드부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따라 회전을 하는 리드 스크루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마운트는 상기 리드 스크루로부터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 기어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링크 기어;
    상기 제1 링크 기어에 의하여 상기 아암부를 직선으로 이동하는 제1 링크 축;
    상기 디스플레이 마운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고, 외측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리드 스크루; 및
    상기 제1 링크 축이 직선으로 이동함에 따른 상대적 위치 관계에 따라 상기 리드 스크루가 회전되도록,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리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가 신축 또는 연장되는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마운트를 틸트시키는 틸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틸팅부는 상기 아암부의 직선 운동에 따른 회전에 의해 상기 아암부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회전하여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 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신축 또는 연장하는 제2 구동 어셈블리;
    상기 제2 구동 어셈블리로부터 상기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신축 또는 연장되는 제1 구동 어셈블리; 및
    상기 제1 구동 어셈블리 및 상기 제2 구동 어셈블리의 회전 구동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리드 스크루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구동 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 기어;
    상기 회전 기어에 의해 회전하며,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아암부를 직선으로 이동하는 회전 축;
    상기 회전 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구동력을 전달 받으며, 상기 제1 구동 어셈블리와 연결되는 제2 링크 기어;
    상기 회전 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 축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이동하며 길이를 신축 또는 연장하는 제2 링크 축; 및
    상기 회전 기어와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회전 축을 내측에 포함하도록 조립되어 상기 회전 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 축을 회전시키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제2 구동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는 제1 링크 기어;
    상기 제1 링크 기어가 조립되고, 상기 제1 링크 기어가 나사산을 따라 이동하며 길이를 신축 또는 연장하는 제1 링크 축; 및
    상기 제1 링크 축을 내측에 포함하도록 조립되며, 상기 제1 링크 축을 둘러싸는 아암 조립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조립되는 제1 하우징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가 신축 또는 연장되는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마운트를 틸트시키는 틸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드 스크루는,
    상기 제1 구동 어셈블리 및 상기 제2 구동 어셈블리의 회전에 의해 피치 간격을 따라 회전하는 제1 스크루;
    상기 틸팅부와 수직으로 맞닿아 연결되며, 상기 제1 스크루의 회전에 의해 맞물려 회전하는 제2 스크루; 및
    상기 제1 스크루 및 상기 제2 스크루를 연결하며, 상기 제1 스크루 및 상기 제2 스크루를 지탱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는,
    상기 제1 구동 어셈블리, 상기 제2 구동 어셈블리 및 상기 리드 스크루를 수납하여 고정시키는 아암 조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암 조립부는 상기 제1 구동 어셈블리의 제1 링크 기어와 상기 제2 구동 어셈블리의 제2 링크 기어가 맞닿아 고정되도록 조립되는 링크 몸체 및 상기 링크 몸체에 형성되는 리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마운트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 마운트 각각에 결착되는 거치용 지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용 지그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와 연결되어 상기 아암부가 신축 또는 연장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의 틸팅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11.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상기 디스플레이가 고정되고, 구동모터에서 발생한 회전 구동력에 의해 적어도 일 구간에서 직선 운동을 수행하여 신축 또는 연장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상기 위치 검출부에서 검출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부는,
    적어도 하나의 자세 인식 센서를 활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정면에서의 자세를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나눠 측정하고,
    상기 자세 인식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 위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부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 위치를 나타내는 제1 영역, 상기 사용자의 몸통 위치를 나타내는 제2 영역 및 상기 사용자의 목 위치를 나타내는 제3 영역으로 나눠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세 인식 센서를 통해 각각 판단하고,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 각각에서의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 거리의 시간 미분값이 음수이거나, 상기 제1 영역 거리가 상기 제3 영역 거리 보다 작게 될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자세에 대한 경고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시간 별로 기록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구별하여 상기 시간 별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상기 각 영역에 속하는 특징값들의 분포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진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값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자세에 따른 기 설정된 기준을 통해 산출된 상기 조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정값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의 이동 거리 및 속도를 조정하고,
    상기 조정값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의 이동 거리 및 속도 기록을 저장하여 상기 사용자의 자세 습관 변화 및 자세 습관에 따른 질환을 예측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
KR1020200102679A 2019-11-27 2020-08-14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 KR102401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7089 WO2021107687A1 (ko) 2019-11-27 2020-11-27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
CN202080082117.2A CN114867963A (zh) 2019-11-27 2020-11-27 姿势矫正用显示器安装装置以及利用其的显示器安装控制系统
US17/825,700 US11822380B2 (en) 2019-11-27 2022-05-26 Information display system including monitor mount
US17/825,811 US11822381B2 (en) 2019-11-27 2022-05-26 Method of adjusting location and tilting of monitor
US17/825,683 US11822379B2 (en) 2019-11-27 2022-05-26 Monitor mounting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system
US18/514,828 US20240085945A1 (en) 2019-11-27 2023-11-20 Monitor mounting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929 2019-11-27
KR1020190154931 2019-11-27
KR20190154931 2019-11-27
KR20190154929 2019-1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828A true KR20210065828A (ko) 2021-06-04
KR102401499B1 KR102401499B1 (ko) 2022-05-24

Family

ID=76392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679A KR102401499B1 (ko) 2019-11-27 2020-08-14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14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42067A (zh) * 2021-06-30 2021-09-03 广东艾檬电子科技有限公司 校正方法、校正装置及校正系统
US11822381B2 (en) 2019-11-27 2023-11-21 Dotheal Co., Ltd. Method of adjusting location and tilting of monitor
AU2022204089A1 (en) * 2022-06-10 2024-01-04 Oxti Pte Ltd Display fine-adjustment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074B1 (ko) * 2006-12-13 2008-02-01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수동 겸용 전동제어 모니터 지지장치
KR100880458B1 (ko) * 2007-04-03 2009-01-29 김진웅 초박형 텔레비전의 디스플레이 패널 방향전환 및 상하이동장치
KR20120003365U (ko) * 2010-11-03 2012-05-16 양희수 차량용 회전식 실내 디스플레이패널 거치대
KR20120084132A (ko) * 2011-01-19 2012-07-27 김기홍 목디스크 예방을 위한 모니터 제어 로봇 및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074B1 (ko) * 2006-12-13 2008-02-01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수동 겸용 전동제어 모니터 지지장치
KR100880458B1 (ko) * 2007-04-03 2009-01-29 김진웅 초박형 텔레비전의 디스플레이 패널 방향전환 및 상하이동장치
KR20120003365U (ko) * 2010-11-03 2012-05-16 양희수 차량용 회전식 실내 디스플레이패널 거치대
KR20120084132A (ko) * 2011-01-19 2012-07-27 김기홍 목디스크 예방을 위한 모니터 제어 로봇 및 제어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22381B2 (en) 2019-11-27 2023-11-21 Dotheal Co., Ltd. Method of adjusting location and tilting of monitor
US11822379B2 (en) 2019-11-27 2023-11-21 Dotheal Co., Ltd. Monitor mounting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system
US11822380B2 (en) 2019-11-27 2023-11-21 Dotheal Co., Ltd. Information display system including monitor mount
CN113342067A (zh) * 2021-06-30 2021-09-03 广东艾檬电子科技有限公司 校正方法、校正装置及校正系统
AU2022204089A1 (en) * 2022-06-10 2024-01-04 Oxti Pte Ltd Display fine-adjustm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1499B1 (ko)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1499B1 (ko) 자세 교정용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거치 제어 시스템
US9406211B2 (en) Wearable posture regulation system and method to regulate posture
WO2017049869A1 (zh) 一种自动调节显示系统及其调节方法和装置
JP6265556B2 (ja) 荷重検出機能付きベッド及びベッド用荷重検出器
US9554966B2 (en) Upper limb training apparatus
KR101453054B1 (ko) 하이브리드형 미니 피시 스마트 테이블 시스템
US11896870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exercise or analysis of the neck region
CN110520011A (zh) 高度可调节的桌子
WO2013108502A1 (ja) 荷重検出機能付きベッド及びベッド用荷重検出器
RU2700819C1 (ru) Компьютеризированная кровать
EP2615601B1 (en) Viewing object retention device
WO2017067380A1 (zh) 显示装置及其调节方法
KR20160050309A (ko) 자동 위치 조정이 가능한 모니터
KR20130005905A (ko) 엑스선 촬영용 다기능 스탠드
US11822379B2 (en) Monitor mounting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system
CN111796633A (zh) 一种计算机显示器调节系统
KR20170065767A (ko) 디스플레이 회전 각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2537620B (zh) 一种显示器支架
KR101743171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WO2016079585A1 (en) Wearable posture regulation system and method to regulate posture
WO2020260941A1 (en) Method for avoiding health damage due to incorrect posture during screen usage
KR102562073B1 (ko) Tv용 슬라이드 틸팅 벽걸이 장치
KR100805368B1 (ko) 영상표시기 조정장치
KR101063160B1 (ko) 나선형으로 지시방향이 조절되는 구동장치
CN211633228U (zh) 一种基于labview的红外遥控视力自动测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