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5767A - 디스플레이 회전 각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회전 각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5767A
KR20170065767A KR1020150171925A KR20150171925A KR20170065767A KR 20170065767 A KR20170065767 A KR 20170065767A KR 1020150171925 A KR1020150171925 A KR 1020150171925A KR 20150171925 A KR20150171925 A KR 20150171925A KR 20170065767 A KR20170065767 A KR 20170065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input
rotating body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1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6821B1 (ko
Inventor
안덕근
Original Assignee
(주)엘리비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리비젼 filed Critical (주)엘리비젼
Priority to KR1020150171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6821B1/ko
Publication of KR20170065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07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under-desk displays, e.g. displays being viewable through a transparent working surface of the table or des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47B2200/0088Appliance support having rotary joint or articulated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91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블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시스템으로써, 상판에 안착홈이 형성된 테이블; 상기 안착홈에 끼워지며 외측면에 돌출된 구동축이 안착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회동체; 상기 제1 회동체에 내합되며, 외측면에 상기 구동축의 직교 방향으로 중심축이 돌출되고, 이 중심축은 제 1회동체의 벽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중심축에 연결되는 제 1구동 모터; 상기 제 1회동체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제 2구동 모터; 테이블 주변의 사람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상기 상판에 설치되며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디스플레이의 위치 및 경사 각을 입력하도록 하는 입력부; 상기 위치 검출부에서 입력된 사람의 위치 값과 입력부에 입력된 위치 값을 연산하여 디스플레이의 회전 각도를 산출하고, 그 신호를 구동 유닛 제어부에 송출하는 제어부;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구동 모터와 제 2구동 모터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유닛 제어부;로 구성된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회전 각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rotation angle automatic control system of display and the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회전 각 자동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테이블, 벽면, 기둥 또는 수직 설치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의 각도를 보는 사람의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하거나 또는 입력된 위치 값에 따라 회전시켜 최적의 조건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시청하고 디스플레이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회전각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착석 유무 및 입력 조건에 따라 테이블에 장착된 디스플레이의 회전 각을 제어하는 것으로, 사람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 값과 현재 디스플레이의 위치 값을 연산하여 디스플레이의 수평 회전 각도와 경사각을 자동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회전 각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이나 카페테리아, 노래방, 회의실, 또는 영화관 등에서는 음식 및 책자 등을 올려놓기 위한 테이블을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 들에서는 사용자의 요구 및 편의성 증대를 위하여 상기 테이블에 디스플레이장치를 추가로 설치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는 데스크탑으로 시작하여 최근까지는 노트북이 주를 이루고 있었는데, 현재시점에는 디스플레이부가 테이블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이 대세로 자리 잡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6682호"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테이블이 있다.
이 테이블은 테이블의 상부면에 내장되어 상부면으로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중심으로 상기 테이블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어 여러 방향에서 접근 및 사용이 가능하고, 필요한 자료를 입력하거나 메뉴를 선택하는 다수 개의 입력장치; 및, 상기 입력장치 각각에서 입력된 자료 또는 선택된 메뉴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송신하는 셋톱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셋톱박스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입력장치 방향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정립된 영상을 볼 수 있도록 영상을 회전시키는 이미지변환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테이블은, 사용자가 테이블에 앉은 상태에서 영상을 사용자 방향으로 경사 각을 유지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회전 및 각도가 조절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스마트 테이블을 개발한 바 있다. (특허 제1369947호)
이 테이블은 받침다리에 의해 지지되며, 내부에는 호 형상의 안착홈이 형성된 테이블; 상기 안착홈에 대응되는 형상의 회전체를 하부에 형성하여 안착홈에 슬라이드결합되되, 상기 회전체의 내부에는 바닥면이 호 형상으로 형성된 공간이 구성된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회동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자중에 의해 호 형상의 바닥면 최저지점에 배치되는 무게중심부;로 이루어져, 상기 회동부재를 사용자가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키면, 공간에 삽입되어 있는 무게중심부가 자중에 의한 작용으로 호 형상의 바닥면 최저점에 자동배치되어, 상기 회동부재가 회전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장치는 디스플레이의 회전 및 경사 각이 사용자가 직접 조절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본 출원인의 특허를 개량한 것으로, 위치 감지부와, 영상 변환부, 연산부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개발하여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있거나 서 있는 상태에서도 최적의 환경에서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시청하거나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주변에 있는 사람을 감지하여 위치를 검출하고, 이 위치 값과 디스플레이의 현재 위치를 연산하여, 입력된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조작이 간편한 디스플레이 회전 각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테이블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시스템으로써 상판에 안착홈이 형성된 테이블; 상기 안착홈에 끼워지며 외측면에 돌출된 구동축이 안착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회동체; 상기 제1 회동체에 내합되며, 외측면에 상기 구동축의 직교 방향으로 중심축이 돌출되고, 이 중심축은 제 1회동체의 벽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중심축에 연결되는 제 1구동 모터; 상기 제 1회동체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제 2구동 모터; 테이블 주변의 사람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상기 상판에 설치되며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디스플레이의 위치 및 경사 각을 입력하도록 하는 입력부; 상기 위치 검출부에서 입력된 사람의 위치 값과 입력부에 입력된 위치 값을 연산하여 디스플레이의 회전 각도를 산출하고, 그 신호를 구동 유닛 제어부에 송출하는 제어부;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구동 모터와 제 2구동 모터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유닛 제어부;로 구성된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레이를 자동으로 회전시켜 회전 각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써, 입력부에 디스플레이의 위치 또는 경사 각을 입력하는 동작 설정 단계; 디스플레이 주변 사람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단계; 현재 디스플레이 위치를 검출하는 디스플레이 위치 검출 단계; 상기 위치 검출 단계에서 입력된 위치 값과 현재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연산하여 디스플레이의 회전 각도를 산출하는 회전 각도 산출 단계; 상기 회전 각도 산출 단계에서 입력된 값을 구동 유닛 제어부에 입력하여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는 회전 단계; 및 디스플레이 주변 사람을 촬영하고, 서 있는 사람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경사 각도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벙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첫째, 위치 검출부를 구비하여 사람의 위치를 검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디스플레이가 자동으로 회전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사용자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발명이다.
둘째, 본 발명은 앉아 있는 사람은 물론 서 있는 사람도 편안하게 디스플레이 화면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셋째, 본 발명은 테이블은 물론, 벽면 또는 기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에도 적용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스마트 테이블의 일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스마트 테이블의 일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스마트 테이블의 일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 회전 각 제어 시스템의 다른 형태의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어 과정을 타낸 블록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다른 구성요소 '상에' 위치한다는 것은 일 구성요소 상에 다른 구성요소가 직접 위치한다는 의미는 물론, 상기 일 구성요소 상에 제 3의 구성요소가 더 위치할 수 있다는 의미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각 구성요소 또는 부분 등을 제1, 제2 등의 표현을 사용하여 지칭하였으나, 이는 명확한 설명을 위해 사용된 표현으로 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 표현된 구성요소들의 두께 및 상대적인 두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마트 테이블의 일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스마트 테이블의 일측단면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스마트 테이블의 또 다른 일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회전 각 제어 시스템의 다른 형태의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어 과정을 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회전각 제어 시스템은, 테이블 또는 벽면 또는 판넬 등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사용자의 눈 높이에 알맞게 회전 각을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를 자동으로 회전시켜 회전 각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써, 사용자 입력부에 디스플레이의 위치 또는 경사 각을 입력하거나 또는 기 설정 입력된 경사 각으로 동작을 설정하는 동작 설정 단계와, 디스플레이 주변 사람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단계와, 현재 디스플레이 위치를 검출하는 디스플레이 위치 검출 단계와, 상기 위치 검출 단계에서 입력된 위치 값과 현재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연산하여 디스플레이의 회전 각도를 산출하는 회전 각도 산출 단계; 상기 회전 각도 산출 단계에서 입력된 값을 구동 유닛 제어부에 입력하여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는 회전 단계; 및 디스플레이 주변 사람을 촬영하고, 서 있는 사람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경사 각도를 보정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경사각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100)와, 사람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200)와, 저장부(20)와, 촬영부(300)와, 영상 전환부(400)와, 구동 유닛 제어부(500)와 네트워크부(600)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0)로 구성되며, 여기에 연산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100)는 의자에 앉은 사람 또는 서 있는 사람이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누름 스위치 또는 로터리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부(100)는 사용자가 스위치부(120)를 조작하여 본인 또는 타인 앞으로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경사 각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위치 검출부(200)는 광 선세, 압력 센서 또는 리미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D) 주변, 테이블 가장자리 또는 의자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의자에 설치되는 위치 검출부(200)는 압력 센서로 구성되어 사람이 앉으면 체중에 의해 눌려지면서 검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촬영부(300)는 테이블 주변에 있는 사람을 촬영하여 앉아 있는 사람인가 또는 서 있는 사람인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며, 디스플레이(D)의 회전 후 화면이 뒤집힌 경우 이를 전환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부(10)는 촬영부(300)에서 촬영되는 영상과 저장부(20)에 기 입력된 데이터를 판독부(220)를 통해 판독하여 얼굴 또는 눈이 인식되면, 앉아 있는 사람 또는 어린이로 판단하고, 몸통으로 판독되면, 서 있는 사람으로 판단하며, 이때에는 디스플레이(D)의 경사 각 보정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는 영상을 전환시킬 수 있다. 예컨대, 앞사람 비고 있던 디스플레이(D)를 180° 회전시킨 경우 디스플레이(D) 화면은 뒤 집어지게 되고, 영상 거꾸로 출력된다. 이때 본 발명은 촬영부에 촬영된 영상이 얼굴로 인식되면 제어부(10)는 영상 변환부(400)를 동작시켜 상하 영상을 전환시켜 사용자가 영상을 똑바로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위치 검출부(200), 입력부(100), 촬영부(300)에서 검출된 신호를 제어하고, 연산부(700)를 통해 디스플레이(D) 회전 각도를 연산하여 상기 구동 유닛 제어부(500)에 신호를 입력하여 구동 유닛을 제어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D)를 회전시키며 경사 각도를 유지시키는 상기 구동 유닛은 실린더 또는 구동 모터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스마트 테이블이다. 이 스마트 테이블(10)은 지지각(11)의 상단에 상판(12)을 구비하고, 이 상판의 중앙에 반구형의 안착홈(13)이 형성되며, 이 안착홈(13)에 역시 저부가 반구형인 회전체(20)가 안착된다.
상기 회전체(20)의 상면에는 디스플레이(D) 장착부(22)가 구비되며, 장착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D)를 고정시키는 고정틀(30)이 갖추어진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본 발명은 상기 회전체(20)와 안착홈(13) 사이에 반구형의 회동체(40)를 더 구비하고, 이들을 회전시키는 2개 이상의 구동 모터(50)(52)가 구비된다.
다시 말해, 상기 회전체(20)는 제 1회동체(40)의 안쪽에 조립하되, 회전체(20)의 외측면에 돌출된 중심축(60)이 회동체(40)의 벽면에 매립된 축받이에 끼워져 이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며, 중심축의 일단은 제1구동 모터(50)와 연결되는 구성이다.
상기 제 1회동체(40)는 반구형의 상기 안착홈(13)에 끼워지며, 이 회동체(40)에도 구동축(42)이 설치되어 안착홈(13)의 벽면에 마련된 축받이에 끼워지며, 구동축의 일측단은 제2구동모터(52)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중심축(60)과 구동축(42)은 직교로 설치된다. 즉, 상기 회전체(20)가 중심축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면, 제 1회동체(40)는 구동축(42)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여 어떠한 방향에서도 디스플레이(D)의 영상을 시청하고, 또한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제2회동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제 2회동체(80)는 내측에 상기 회전체가 내설된 상기 제1회동체가 조립되도록 하고, 저면 중앙에 제 3 구동모터(54)와 연결되는 회전축(82)을 구비하여 전체가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제1회동체의 구동축은 제2 회동체에 마련된 축받이에 조립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반구형이 아닌 평판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상판(12)에 4각 또는 원형의 홀을 형성하고, 회전체를 평판으로 구성하여 이 홀에 끼우는 것으로, 이 평판 회전체의 상면에 디스플레이(D)가 장착되고, 저면에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실린더를 설치되며, 이 실린더의 피스톤이 회전체 저면과 연결되어 교호로 동작하며 평판 회전체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실린더가 설치되는 설치판의 저면에 별도의 모터를 구비하여 수평 회전시키는 방식도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는 상기 각 구동 모터(50)(52)(54)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회전각 검출 엔코더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엔코더는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며 회전축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여, 디스플레이(D)의 경사각 및 현재의 위치가 검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와 구동 유닛 제어부(500)는 네트워크부(600)를 포함한다.
이 네트워크부(600)는 입력부(100)와 제어부(10), 제어부(10)와 구동 유닛 제어부(500), 구동 유닛 제어부(500)와 구동 모터(실린더 포함)를 연결하며, TCP/IP와 RS-485 혹은 불루투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20)는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기 입력된 위치 값을 검색하도록 하며, 기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람이 앉아 있거나 또는 서 있는 사람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 부호 30은 전원 공급부로써, 구동 유닛, 제어부, 구동 유닛 제어부, 입력부 등에 전원을 공급한다.
다음은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동작설정단계는 사용자가 입력부(400)를 조작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사용자가 입력부(100)에 디스플레이(D)의 위치를 본인 또는 타인 볼 수 있도록 스위치를 조작하고, 아울러 디스플레이(D)가 얼마만큼 기울기를 유지할 것인가를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제어부는 위치 검출부(200)를 통해 사람의 위치를 검출한다.
사용자가 의자에 앉으면 압력 센서의 신호에 따라 검출하거나 또는 테이블에 장착된 광센서를 통해 사람의 위치를 검출하고, 사람의 위치 값이 검출되면, 엔코더를 통해 현재 디스플레이(D)의 위치를 검출한다.
엔코더를 통해 검출된 디스플레이(D)의 위치 값과, 사람의 위치 값이 검출되면 제어부(10)는 디스플레이(D)의 회전 각도를 산출하여, 그 신호를 구동 유닛 제어부(500)에 입력하고, 구동 유닛 제어부(500)는 제 1구동모터와 제 2구동 모터 중 하나 또는 모두를 동작시켜 입력된 위치로 디스플레이(D)를 회전시키며, 기울기 즉 경사 각을 유지시킨다.
여기서, 사용자가 경사 각을 입력하지 않은 경우 저장부(20)에 기 설정된 기본 경사 각도로 디스플레이(D)를 조절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0)는 사람의 위치 값이 입력되면 촬영부(300)를 동작시켜 촬영하고, 그 영상과 저장부(20)에 입력된 데이터를 판독부(700)를 통해 판독하여 앉아 있는 사람인가 또는 서 있는 사람인가를 판단한다.
서 있는 사람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10)는 구동 유닛 제어부(500)에 경사 각 보정 신호를 입력한다.
즉 경사 각도를 보정 함으로써, 앉은 사람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경사 각도보다 눕혀지도록 하여, 서 있는 사람도 편안하게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이 경사 각도 역시 기 설정된 기본 경사 각을 유지하며 사용자는 입력을 통해 다시 설정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10 : 제어부 20 : 회전체
40 : 제1회동체 42 : 구동축
100 : 입력 200 : 위치 검출부
300 : 촬영부 400 : 영상 변환부

Claims (7)

  1. 디스플레이를 자동으로 회전시켜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써
    상판에 안착홈이 형성된 테이블;
    상기 안착홈에 끼워지며 외측면에 돌출된 구동축이 안착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회동체;
    상기 제1 회동체에 내합되며, 상면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되고, 외측면에 상기 구동축의 직교 방향으로 중심축이 돌출되며, 이 중심축은 제 1회동체의 벽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중심축에 연결되는 제 1구동 모터;
    상기 제 1회동체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제 2구동 모터;
    테이블 주변의 사람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상기 상판에 설치되며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디스플레이의 위치 및 경사 각을 입력하도록 하는 입력부;
    상기 위치 검출부에서 입력된 사람의 위치 값과 입력부에 입력된 위치 값을 연산하여 디스플레이의 회전 각도를 산출하고, 그 신호를 구동 유닛 제어부에 송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구동 모터와 제 2구동 모터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유닛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회전 각 자동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부는 의자에 구비된 압력 센서, 테이블에 장착되는 광센서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회전 각 자동 제어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테이블의 상판에 설치되는 터치 스크린 또는 누름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디스플레이 회전 각 자동 제어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와 제1회동체 각각은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회동체의 벽면에 축받이가 구비되어 회전체의 중심축이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제1회동체의 구동축은 안착홈의 벽면에 마련된 축받이에 끼워지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회전 각 자동 제어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회동체가 끼워지는 제 2회동체를 구비하고, 이 제 2회동체의 저면 중앙이 제3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제1회동체, 회전체 그리고 제 2회동체가 동시에 수평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회전 각 자동 제어 시스템.
  6. 디스플레이를 자동으로 회전시켜 회전 각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써,
    입력부에 디스플레이의 위치 또는 경사 각을 입력하는 동작 설정 단계;
    디스플레이 주변 사람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단계;
    현재 디스플레이 위치를 검출하는 디스플레이 위치 검출 단계;
    상기 위치 검출 단계에서 입력된 위치 값과 현재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연산하여 디스플레이의 회전 각도를 산출하는 회전 각도 산출 단계;
    상기 회전 각도 산출 단계에서 입력된 값을 구동 유닛 제어부에 입력하여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키는 회전 단계; 및
    디스플레이 주변 사람을 촬영하고, 서 있는 사람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경사 각도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회전 각 자동 제어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 단계는, 의자에 압력 센서를 구비하여 사람의 체중에 의해 위치가 검출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회전 각 자동 제어 방법.
KR1020150171925A 2015-12-04 2015-12-04 디스플레이 회전 각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766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925A KR101766821B1 (ko) 2015-12-04 2015-12-04 디스플레이 회전 각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925A KR101766821B1 (ko) 2015-12-04 2015-12-04 디스플레이 회전 각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767A true KR20170065767A (ko) 2017-06-14
KR101766821B1 KR101766821B1 (ko) 2017-08-23

Family

ID=59217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1925A KR101766821B1 (ko) 2015-12-04 2015-12-04 디스플레이 회전 각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68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38560A (zh) * 2019-03-08 2019-06-28 秒针信息技术有限公司 控制目标对象旋转方法、装置及设备
CN112927611A (zh) * 2021-01-25 2021-06-08 杨先志 一种用于大数据统计显示屏的对接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083B1 (ko) 2019-04-26 2020-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728B1 (ko) 2012-08-22 2013-01-25 (주) 한양지에스티 측량지점의 기준점 위치확인 시스템
KR200473097Y1 (ko) 2013-12-30 2014-06-11 안덕근 영상의 회전 및 각도가 조절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스마트테이블
KR101369947B1 (ko) 2014-02-05 2014-03-04 (주)엘리비젼 회전 및 각도가 조절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스마트테이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38560A (zh) * 2019-03-08 2019-06-28 秒针信息技术有限公司 控制目标对象旋转方法、装置及设备
CN112927611A (zh) * 2021-01-25 2021-06-08 杨先志 一种用于大数据统计显示屏的对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6821B1 (ko) 201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3024B2 (en) Screen calibration for display devices
US931789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1787029B1 (ko) 전동책상 제어 시스템
KR101766821B1 (ko) 디스플레이 회전 각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453054B1 (ko) 하이브리드형 미니 피시 스마트 테이블 시스템
US11266232B2 (en) Automatic height adjustment system
JP2008279155A (ja) 画像表示装置
JP5974189B2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及び投写型映像表示方法
JP2012023434A (ja) 撮影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撮影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11478394B2 (en) Exoskeleton wear management system and exoskeleton wear management method
JP2006345478A (ja) 三次元イメージ生成装置
JP2011133832A (ja) 映像表示装置、方法、及び位置判定装置
KR20160050309A (ko) 자동 위치 조정이 가능한 모니터
JP6437214B2 (ja) 体圧分布の表示システム
JP2011090236A (ja) 角度自動設定表示機
JP5427114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
JP2015213572A (ja) 椅子の操作装置および操作方法
KR20230001817A (ko) 안면인식 기술을 활용한 사용자 반응형 키오스크
JP2013117694A (ja) 画像表示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2007032811A (ja) 雲台システム
KR101160264B1 (ko) 모니터 각도 조절 장치
KR101078371B1 (ko) 거울의 기울기 제어장치
KR102535143B1 (ko) 디스플레이 지지대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시스템
CN214484633U (zh) 患者支撑装置
KR100805368B1 (ko) 영상표시기 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