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9294B1 - 화력발전소 석탄분쇄용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화력발전소 석탄분쇄용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294B1
KR100799294B1 KR1020070100648A KR20070100648A KR100799294B1 KR 100799294 B1 KR100799294 B1 KR 100799294B1 KR 1020070100648 A KR1020070100648 A KR 1020070100648A KR 20070100648 A KR20070100648 A KR 20070100648A KR 100799294 B1 KR100799294 B1 KR 100799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l
fire
sensor
hole
power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준
이운형
구인필
이교항
Original Assignee
어드벤스드레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드벤스드레곤(주) filed Critical 어드벤스드레곤(주)
Priority to KR1020070100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92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5/00Disintegrating by milling members in the form of rollers or balls co-operating with rings or discs
    • B02C15/007Mills with rollers pressed against a rotary horizontal dis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5/00Disintegrating by milling members in the form of rollers or balls co-operating with rings or discs
    • B02C15/14Edge runners, e.g. Chile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18Use of auxiliary physical effects, e.g. ultrasonics, irradiation, for disintegrating
    • B02C19/186Use of cold or heat for disinteg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력발전소 석탄분쇄용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미분기의 입,출구 부위 주변에 상기 미분기의 내부를 다수의 센서를 통하여 감시 가능하도록 화재 감지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미분기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미연 예방할 수 있고 또한 화재발생에 따른 신속한 진화를 통한 설비 화재 확산을 방지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석탄 이송용 공기 댐퍼가 내설된 석탄 공급부를 통하여 석탄과 압축공기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를 통하여 투입된 석탄을 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연삭 테이블과 복수개로 구비되는 연삭 로울러를 통하여 연삭 분쇄된 석탄을 배출시키기 위한 출구부를 갖는 미분기의 몸체부에서 설치되어 미분기의 작동시 발생되는 화재를 감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분기 내에 내설되어 화재발생시 불꽃과 자외선을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화재 감지수단과, 상기 화재 감지수단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설치수단과, 상기 화재 감시수단이 설치된 설치수단을 내설시켜 상기 미분기의 몸체부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고온의 열로부터 상기 화재 감지수단과 설치수단을 내측으로 수용하여 사용하도록 구비되는 보호수에 의해 달성되어 진다.
화력발전소, 미분기, 석탄, 화재, 영상감지센서, UV감지센서

Description

화력발전소 석탄분쇄용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A fire sensor in the pulverizer for a thermal power plant}
본 발명은 화력발전소 석탄분쇄용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분기내에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미분기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한 상태인 화재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화력발전소 석탄분쇄용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석탄 화력발전소란 주로 석탄(유연탄, 아역청탄), 경유 등의 연료원을 태워 발생하는 화력을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시켜 터빈을 회전시키고 이 축에 연결 된 발전기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설비를 말한다.
상기한 연료원 중에서도 특히 석탄을 주 연료원으로 하는 석탄화력 발전소에는 상기 석탄을 보일러에서 연소하기 위한 미분탄 즉, 입도가 큰 석탄을 분쇄하기 하는 미분기가 구비된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상기한 석탄화력 발전소 석탄분쇄용 미분기(10)를 도시 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미분기(10)는 상부에 석탄을 유입하기 위한 입구부(15)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유입된 석탄이 분쇄 될 분쇄테이블(Bowl)(21)과 분쇄 로울러(23)에 의해 분쇄된 석탄 즉, 미분(가루)된 미분탄과 200 메쉬(Mesh) 크기로 분쇄된 석탄을 각각 배출 가능하도록 입도크기를 결정하는 분류부(Classifier)(14)와 보일러로 공급하기 위해 분할 구획된 네 개의 출구부(13)를 갖는 본체 상부(17)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분쇄 테이블(21)을 구동하는 모터 연결 기어(19)의 구동에 대응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분쇄 테이블(21)과, 상기 분쇄 테이블(21)과 상호 작용하여 공급되는 석탄을 연삭(분쇄)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3개의 유압식 분쇄 로울러(23)와, 상기 본체부(14)의 입구부(15)와 연동되어 분쇄된 미분탄을 보일러에 공급하기 위해 이송용 공기와 함께 미분탄을 이송하게 구비됨과 아울러 공급되는 이송용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댐퍼(미도시)가 구비된 석탄 공급수단(25)과, 상기 본체부(17)의 입구부(15)에 연동되게 설치되는 석탄 공급수단(25)과 연계되어 보일러에 공급되는 석탄이 대형 보일러 내부에서 연소할 때 보일러 연소 효율을 증대시키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미분기 본체(17) 내부 화재 발생시 진화를 위해 소화용 이산화탄소 공급(미도시)및 소화수 공급부(미도시), 내부 잔탄 제거를 위한 증기공급부(27)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미분기(10)의 본체부(17) 상부 즉, 출구부(13)측에는 상기 미분기(10) 내부의 온도를 센싱하기 위한 미도시된 온도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17)의 내부에는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센싱된 값에 따라 예입력된 값과 비교하여 본체부(17)의 내부온도가 일정이상 즉, 화재가 발생될 때, 화재를 위해 소화용 CO2공급부(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미분기(10)는 화재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출구온도가 60~68℃를 유지하여 운전되도록 설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석탄화력 발전소 석탄분쇄용 미분기(10)의 구동은 먼저 석탄 이송 공기(25)을 통하여 내부 잔탄을 제거한 후, 석탄이 자중에 의해 공급관(15)를 통하여 본체부(17)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본체부(17) 내부로 유입된 석탄은 회전하는 분쇄 테이블(21) 위에서 유압식 분쇄 로울러(23)에 의해 미분(가루)됨과 동시에 소정의 크기로 분쇄된다.
이와 같이 상기한 연삭(분쇄) 로울러(23)에 의해 분쇄된 석탄은 본체부(17)의 상부에 분할된 출구부(13)를 통하여 보일러 각 코너의 연소 버너에서 각각 분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미분기는 특히 습기가 많은 우기시 미분기의 출구온도 즉, 60~68℃의 출구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석탄 이송수단으로 설치된 댐퍼를 더 개방시켜 뜨거운 공기와 찬 공기 유입량을 조정하여 출구온도가 적정의 온도 유지하여 운전하고 있다. 이의 과정에서 출구온도의 과도한 상승 온도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미분기의 입구부측의 온도가 상승됨에 따른 미분기 내부에서의 화재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상기 미분기의 입구 측의 온도가 상승됨에 따른 입구부에서의 화재가 빈번하게 발생됨에 따른 설비의 열화와 노후화로 대형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미분기의 입구부측 주변에 상기 미분기의 내부를 다수의 센서를 통하여 감시 가능하도록 화재 감지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미분기의 입구부측에서 발생되는 화재 및 전이되어 미분기 내부 화재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화력발전소 석탄분쇄용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분기의 입구부측 주변에 상기 미분기의 내부를 다수의 센서를 통하여 감시 가능하도록 화재 감지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화재발생에 따른 신속한 진화가 가능하게 하고 화재의 확산에 의한 대형사고와 반복적으로 미분기 본체가 과열됨으로써 발생되는 설비의 노후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화력발전소 석탄분쇄용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석탄의 이송을 담당하는 공기량 조 절 댐퍼가 내설된 석탄 이송 공기부와 미분기 상부를 통하여 석탄 투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를 통하여 투입된 석탄을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삭 테이블과 복수개로 구비되는 연삭 로울러를 통하여 연삭 분쇄된 미분탄을 배출시키기 위한 출구부를 갖는 미분기의 몸체부에서 설치되어 미분기의 운전시 발생되는 화재를 감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분기 내에 내설되어 화재발생시 불꽃과 자외선을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화재 감지수단과, 상기 화재 감지수단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설치수단과, 상기 화재 감시수단이 설치된 설치수단을 내설시켜 상기 미분기의 몸체부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고온의 열로부터 상기 화재 감지수단과 설치수단을 내측으로 수용하여 사용 하도록 구비되는 보호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재 감지수단은 불꽃을 감지하기 위한 영상 감지센서와, 화재시 발생되는 자외선을 감지하기 위한 UV센서와, 상기 미분기 내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보호수단을 통하여 영상감지센서와 UV센서를 고온의 열로부터 보호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온도감지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치수단은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영상감지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영상감지센서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영상 감지센서용 홀의 일측에는 UV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UV센서용 홀이 형성되며, 상기 UV센서용 홀의 일측에는 온도감지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용 홀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UV센서용 홀 양측에는 연결 홀이 한 쌍으로 형성된 홀더와, 상기 홀더의 연결 홀에 각각의 일단이 삽입 가능하도록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 의 타단과 연결되어 보호수단에 고정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체결 홀이 한 쌍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화재 감시수단의 영상 감지센서와, UV 센서와, 온도 감지센서와 배선된 전선을 관통시키도록 전선용 홀이 형성된 고정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호수단은 미분기의 몸체부에 고정되고 내부로는 냉각수가 유입 및 유출 가능하도록 고정홀이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설치수단의 홀더와 연결바를 관통시킬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냉각수 유입유로와 배출유로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홀의 일측에는 한 쌍의 에어 공급관용 홀이 형성됨과 아울러, 저면에는 상기 냉각수 유입유로와 배출유로에 연통되게 냉각수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수 유입구와 배출구 일측에는 상기 공기 공급관용 홀과 연통되는 공기 공급구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공기 공급관용 홀 일측에는 상기 설치수단의 고정판을 스크류를 매개로 고정 연결시키기 위한 결합홀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 일단이 용접 연결되며, 내부는 이격된 공간을 갖도록 이중관으로 형성되며, 이격된 공간에는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냉각수 유입유로와 배출유로에 연결되는 한 쌍의 냉각수 유입배관과 배출배관이 도관된 중공의 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의 중앙부에 형성된 홀과 연통되도록 일단이 용접되어 구비되는 보호관과, 상기 보호관의 타단에 이격된 공간을 봉입시키도록 용접 구비되되, 내주면에는 안착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용 돌기의 상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안착용 돌기에 안착 구비되는 투명재질의 투시창과, 상기 결합부재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투시창을 고정시키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고정나사부가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보호관의 길이 방향으로 입설되고 일단은 상기 공기 공급관용 홀과 연통되게 연결되며 타단은 투시창에 근접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공기 공급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 석탄분쇄용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에 따르면, 미분기 내부의 입구부측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불꽃을 감지하는 영상감지센서와 화재시 발생되는 자외선을 감지하기 위한 UV 센서로 구성된 화재 감지수단에 의해 감시 가능하도록 화재 감지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미분기 내부의 입구부측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대형 화재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 석탄분쇄용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에 따르면, 미분기의 입구부측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신속하게 진화시킬 수 있으므로, 화재로 인한 설비의 과열 및 장기적으로 설비의 노후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따른 화력발전소 석탄분쇄용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기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면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은 화력발전소 보일러에 분쇄 된 석탄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미분기에 내설되어 이의 미분기 내부 입구 측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여러 종류의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함에 따른 미분기의 입구부측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음을 밝혀 둔다.
다음,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위와 같은 기본적인 개념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 석탄분쇄용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 석탄분쇄용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 석탄분쇄용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가 내설된 석탄 이송 공기 공급부(101)와 석탄 투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입구부(107)와, 상기 입구부(107)를 통하여 투입된 석탄을 모터(10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연삭 테이블(104)과 복수개로 구비되는 연삭 로울러(105)를 통하여 연삭 분쇄된 석탄을 배출시키기 위한 출구부(106)를 갖는 미분기(109))의 몸체부(108)에서 설치되어 미분기(109)의 작동시 발생되는 화재를 감시하기 위한 장치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지장치(100)는 상기 미분기(109) 내에 내설되어 화재발생시 이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화재 감지수단(110)과, 상기 화재 감지수단(110)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설치수단(130)과, 상기 화재 감시수단(130)이 설치된 설치수단(130)을 내설시켜 상기 미분기(109)의 몸체부(108)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고온의 열로부터 상기 화재 감지수단(110)과 설치수단(130)을 호보하기 위해 구비되는 보호수단(150)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한 화재 감지수단(110)은 미분기(109)내에서 화재 발생시 불꽃을 감지하기 위한 영상감지센서(CCD센서)(111)와, 화재시 발생되는 자외선을 감지하기 위한 UV센서(113)와, 상기 영상감지센서(111)와 UV센서(113)를 고온의 열 즉, 예입력된 설정온도 60~68℃ 이상이 되면, 상기한 보호수단(150)으로 냉각수를 더 공급하여 상기 영상감지센서(111)와 UV센서(113)를 보호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115)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설치수단(130)은 화재 감지수단(110)을 고정되게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홀더(131)와, 연결바(133)와, 고정판(135)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한 홀더(131)는 화재 감시수단(110)을 수용 설치하여 상기한 보호수단(150)에 내설 가능하도록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영상감지센서(111)를 설치하기 위한 영상 감지센서용 홀(131a)이 형성되고, 상기 영상 감지센서용 홀(131a)의 일측에는 UV센서(113)를 설치하기 위한 UV센서용 홀(131b)이 형성되며, 상기 UV센서(113)의 일측에는 온도감지센서(115)를 설치하기 위한 온도 감지센서용 홀(131c)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UV센서용 홀(131b) 양측에는 상기한 연결바(133)의 일단을 삽입시키기 위한 연결홀(131d)이 한 쌍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홀더(131)의 일면 즉, 상면 선단부에는 후술할 투시창(155)과의 거리를 이격시켜 내설되도록 일정간격 이격용 돌기(131e)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한 연결바(133)는 상기 홀더(131)와 고정판(135)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결홀(131d)에 일단이 삽입 가능하도록 원형의 단면으로 긴 바의 형태로 한 쌍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고정판(135)은 연결바(133)의 타단을 삽입시켜 스크류로 고정시키도록 한 쌍의 고정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상기한 화재 감시수단(110)의 영상감지센서(111)와, UV센서(113)와, 온도감지센서(115)와 배선된 전선을 관통시키도록 전선용 홀(135a)이 형성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고정판(135)을 보호수단(150)에 스크류를 매개로 하여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홀(135b)이 한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보호수단(150)은 미분기(109)의 몸체부(108)에 고정되고 내부로 냉각수를 유입 및 유출시킬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된 고정부(151)와, 상기 고정부(151)의 일면에 용접에 의해 연결되고 내부에는 냉각수용 유입 및 유출용 파이프가 도관된 중공의 보호관(153)과, 상기 보호관(153)의 타단에 고정부재(152)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투명재질의 투시창(155)과, 상기 보호관(153)이 연결되는 고정부(151)의 일면과 상기 보호관(153)을 감싸 고온의 열을 차단하여 화재감시수단(110)과 설치 수단(130)을 보호 가능하도록 석면으로 이루어진 열 차단부재(157)와, 상기 열 차단부재(157)와 보호관(153)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투시창(155)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공기(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제거하기 위해 구비되는 한 쌍의 공기 공급관(159)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한 고정부(151)는 상기 미분기(109)의 몸체부(108)의 외주면에 볼트 너트를 통하여 고정 가능하도록 고정홀(151a)이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설치수단(130)의 홀더(131)와 연결바(133)를 관통시킬 수 있도록 홀(151b)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 유입유로(151c)와 배출유로(151d)가 각각 형성되며, 일면에는 상기 냉각수 유입유로(151c)와 배출유로(151d)에 연통되게 냉각수 유입구(151e)와 배출구(151f)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냉각수 유입구(151e)와 배출구(151f) 및 냉각수 유입유로(151c)와 배출유로(151d)는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151)에는 상기한 공기 공급관(159)을 각각 관통시키기 위한 한 쌍의 미도시된 에어 공급관용 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냉각수 유입구(151e)와 배출구(151f) 일측에는 상기 공기 공급관과 연통되는 공기 공급구(151g)가 한 쌍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고정부(151)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수단(130)의 고정판(135)을 스크류를 매개로 하여 고정시키도록 상기 체결홀(135b)에 대응되게 결합홀(151h)이 형성된다.
상기한 보호관(153)은 서로 다른 직경 즉, 작은 직경을 갖는 소경관과, 상기 소경관을 내측으로 이격 공간을 갖도록 구비되는 대경관 사이에 상기 고정부(151)에 형성된 냉각수 유입유로(151c)와 배출유로(151d)에 연결되는 한 쌍의 냉각수 유입배관(153a)과 배출배관(153b)이 도관된 단일체의 중공의 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151)의 중앙부에 형성된 홀(151b)과 연통되도록 일단을 용접에 의한 방법으로 고정시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보호관(153)의 타단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소경관 및 대경관과 그 외주면이 각각 용접되어 봉입시켜 구비됨과 아울러, 내주면에는 투시창(155)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용 돌기(154a)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용 돌기(154a)의 상부에는 고정부재(152)와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부(154b)가 형성된 결합부재(154)가 구비된다.
상기한 고정부재(152)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부(154b)와 나사 결합되어 투시창(155)을 고정시키도록 고정나사부(15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공기 공급관(159)은, 고정부(151)에 형성된 에어 공급관용 홀을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투시창(155)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 석탄분쇄용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100)를 미분기 몸체에 설치하여 미분기를 구동시키면,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탄 공급부(107)를 통하여 공급되는 석탄과 석탄 이송용 공기가 공급되는 입구부(101)를 통하여 몸체부(108)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유입된 석탄은 모터(10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연삭 테이블(104)과 상기 연삭 테이블(104)의 상면에 구비되어 연동하는 연삭 로울러(105)에 의해 분쇄 되면서 출구부(106)를 통하여 보일러에 연소되기 위해 배출되어 진다.
이때, 상기 몸체부(108)의 내부 입구부(101)측에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보호수단(150)의 보호관(153)에 내설된 화재 감지수단(110)에 의해 화재를 감지하게 되고, 감지된 신호 값에 대응되어 소화시키게 된다.
즉, 화재 감시수단(110)은 미분기(109)의 몸체부(108)내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설치수단(130)의 홀더에 설치된 화재 감시수단(110)의 영상감지센서(111)를 통하여 불꽃을 감지함과 동시에 화재발생시 발생되는 자외선을 UV센서(113)에서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두 개의 감지센서 즉, 상기 영상감지센서(111)와 UV센서(113)를 통하여 감지하게 되고, 감지된 신호 값은 미분기(109)의 몸체부(108)에 설치된 소화부로 전달되어 화재를 소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미분기(109)의 몸체부(108) 내부 입구부(101)측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고 아울러 화재로 인한 설비의 노화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화력발전소 석탄분쇄용 미분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 석탄분쇄용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 석탄분쇄용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의 보호수단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4는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 석탄분쇄용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의 보호수단 하부를 도시한 일분 단면도
도 5는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 석탄분쇄용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의 보호수단 상부를 도시한 일분 단면도
도 6은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 석탄분쇄용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가 미분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 110 ; 화재 감지수단
130 ; 설치수단 150 ; 보호수단

Claims (7)

  1. 석탄 공급설비가 내설된 석탄 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석탄과 석탄 이송용 공기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를 통하여 투입된 석탄을 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연삭 테이블과 복수개로 구비되는 연삭 로울러를 통하여 연삭 분쇄된 석탄을 배출시키기 위한 출구부를 갖는 미분기의 몸체에서 설치되어 미분기의 운전시 발생되는 화재를 감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분기 내에 내설되어 화재발생시 불꽃과 자외선을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화재 감지수단과,
    상기 화재 감지수단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설치수단과,
    상기 화재 감시수단이 설치된 설치수단을 내설시켜 상기 미분기의 몸체부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고온의 열로부터 상기 화재 감지수단과 설치수단을 내측으로 수용하여 호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보호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화력 발전소 석탄분쇄용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수단은 불꽃을 감지하기 위한 영상감지센서와, 화재시 발생되는 자외선을 감지하기 위한 UV센서와, 상기 미분기 내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보호수단을 통하여 영상감지센서와 UV센서를 고온의 열로부터 보호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온도감지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화력 발전소 석탄분쇄용 미 분기 화재 감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수단은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영상감지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영상감지센서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영상감지센서용 홀의 일측에는 UV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UV센서용 홀이 형성되며, 상기 UV센서용 홀의 일측에는 온도감지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용 홀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UV센서용 홀 양측에는 연결홀이 한 쌍으로 형성된 홀더와, 상기 홀더의 연결홀에 각각의 일단이 삽입 가능하도록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타단과 연결되어 보호수단에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도록 체결홀이 한 쌍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화재 감시수단의 영상감지센서와, UV센서와, 온도감지센서와 배선된 전선을 관통시키도록 전선용 홀이 형성된 고정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화력 발전소 석탄분쇄용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수단은 미분기의 몸체부에 고정되고 내부로는 냉각수가 유입 및 유출 가능하도록 고정홀이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설치수단의 홀더와 연결바를 관통시킬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냉각수 유입유로와 배출유로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홀의 일측에는 한 쌍의 공기 공급관용 홀이 형성됨과 아울러, 저면에는 상기 냉각수 유입유로와 배출유로에 연통되게 냉각수 유입구 와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수 유입구와 배출구 일측에는 상기 공기 공급관용 홀과 연통되는 공기 공급구가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공기 공급관용 홀 일측에는 상기 설치수단의 고정판을 스크류를 매개로 고정 연결시키기 위한 결합홀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 일단이 용접 연결되되, 내부는 이격된 공간을 갖도록 이중관으로 형성되며, 이격된 공간에는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냉각수 유입유로와 배출유로에 연결되는 한 쌍의 냉각수 유입배관과 배출배관이 도관된 중공의 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의 중앙부에 형성된 홀과 연통되도록 일단이 용접되어 구비되는 보호관과, 상기 보호관의 타단에 이격된 공간을 봉입시키도록 용접 구비되되, 내주면에는 안착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용 돌기의 상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안착용 돌기에 안착 구비되는 투명재질의 투시창과, 상기 결합부재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투시창을 고정시키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고정나사부가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보호관의 길이 방향으로 입설되고 일단은 상기 에어 공급관용 홀과 연통되게 연결되며 타단은 투시창에 근접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에어 공급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화력 발전소 석탄분쇄용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일면 선단부에는 상기 투시창과의 거리를 이격시켜 내설되도록 일정간격 이격용 돌기가 더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화력 발전소 석탄분쇄용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일면과 보호관의 외주면에는 고온의 열을 차단하여 화재감시수단과 설치수단을 보호가능하도록 석면으로 이루어진 열차단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화력 발전소 석탄분쇄용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유입구와 배출구 및 냉각수 유입유로와 배출유로는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화력 발전소 석탄분쇄용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
KR1020070100648A 2007-10-05 2007-10-05 화력발전소 석탄분쇄용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 KR100799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648A KR100799294B1 (ko) 2007-10-05 2007-10-05 화력발전소 석탄분쇄용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648A KR100799294B1 (ko) 2007-10-05 2007-10-05 화력발전소 석탄분쇄용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9294B1 true KR100799294B1 (ko) 2008-01-30

Family

ID=39219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648A KR100799294B1 (ko) 2007-10-05 2007-10-05 화력발전소 석탄분쇄용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9294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603B1 (ko) 2008-12-18 2011-01-25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미분기
KR101034376B1 (ko) 2010-03-18 2011-05-16 파이어컨트롤(주) 석탄 분쇄용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
KR101070188B1 (ko) 2010-09-07 2011-10-06 주식회사 아이스기술 화력발전소 미분기 화재감시시스템
KR101102884B1 (ko) 2010-11-11 2012-01-10 주식회사남북이엔지 발전플랜트용 미분기 화재감시장치
KR101133036B1 (ko) 2010-05-12 2012-04-05 파이어컨트롤(주) 석탄 분쇄용 미분기의 화재 감시 시스템
CN107377149A (zh) * 2017-08-24 2017-11-24 西安西热锅炉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分选除尘一体化石子煤气力分选装置及方法
CN111570070A (zh) * 2020-05-25 2020-08-25 广东电科院能源技术有限责任公司 中速磨煤机的灭火蒸汽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20210092405A (ko) 2020-01-16 2021-07-26 한국전력공사 옥내 저탄장 자연발화 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50748A (ko) 2020-06-04 2021-12-13 한국전력공사 저탄장 자연발화 발생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34395A (ko) 2021-03-26 2022-10-05 한국전력공사 옥내 저탄장 자연발화 감지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6296A (ko) * 1982-10-22 1984-11-29 엘든 에이취. 루터 석탄 미분기용 불링
JP2002059024A (ja) * 2001-09-27 2002-02-26 Hosokawa Micron Corp 微粉製造装置および微粉製造方法
JP2003268394A (ja) * 2002-03-18 2003-09-25 Ube Techno Enji Kk 木質燃料とその製造方法
KR200363064Y1 (ko) 2004-07-05 2004-09-23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석탄화력 미분기 폐 롤러타이어의 재활용 구조
KR20050069494A (ko) * 2003-12-31 2005-07-0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미분기의 미분탄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6296A (ko) * 1982-10-22 1984-11-29 엘든 에이취. 루터 석탄 미분기용 불링
JP2002059024A (ja) * 2001-09-27 2002-02-26 Hosokawa Micron Corp 微粉製造装置および微粉製造方法
JP2003268394A (ja) * 2002-03-18 2003-09-25 Ube Techno Enji Kk 木質燃料とその製造方法
KR20050069494A (ko) * 2003-12-31 2005-07-0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미분기의 미분탄 분리장치
KR200363064Y1 (ko) 2004-07-05 2004-09-23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석탄화력 미분기 폐 롤러타이어의 재활용 구조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603B1 (ko) 2008-12-18 2011-01-25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미분기
KR101034376B1 (ko) 2010-03-18 2011-05-16 파이어컨트롤(주) 석탄 분쇄용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
KR101133036B1 (ko) 2010-05-12 2012-04-05 파이어컨트롤(주) 석탄 분쇄용 미분기의 화재 감시 시스템
KR101070188B1 (ko) 2010-09-07 2011-10-06 주식회사 아이스기술 화력발전소 미분기 화재감시시스템
KR101102884B1 (ko) 2010-11-11 2012-01-10 주식회사남북이엔지 발전플랜트용 미분기 화재감시장치
CN107377149A (zh) * 2017-08-24 2017-11-24 西安西热锅炉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分选除尘一体化石子煤气力分选装置及方法
KR20210092405A (ko) 2020-01-16 2021-07-26 한국전력공사 옥내 저탄장 자연발화 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570070A (zh) * 2020-05-25 2020-08-25 广东电科院能源技术有限责任公司 中速磨煤机的灭火蒸汽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1570070B (zh) * 2020-05-25 2021-07-30 南方电网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中速磨煤机的灭火蒸汽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20210150748A (ko) 2020-06-04 2021-12-13 한국전력공사 저탄장 자연발화 발생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17863A (ko) 2020-06-04 2022-08-24 한국전력공사 저탄장 자연발화 발생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17864A (ko) 2020-06-04 2022-08-24 한국전력공사 저탄장 자연발화 발생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34395A (ko) 2021-03-26 2022-10-05 한국전력공사 옥내 저탄장 자연발화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98118A (ko) 2021-03-26 2023-07-03 한국전력공사 옥내 저탄장 자연발화 감지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9294B1 (ko) 화력발전소 석탄분쇄용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
KR101133036B1 (ko) 석탄 분쇄용 미분기의 화재 감시 시스템
US9421551B2 (en) Pulverizer mill protection system
JP2010242999A (ja) 木質バイオマス直接粉砕燃焼方法と装置とボイラシステム
CN106796334A (zh) 视镜设备
CN201437991U (zh) 燃烧器用多功能全自动安全点火器
CN103982909A (zh) 加热炉内火焰监控装置
KR101070188B1 (ko) 화력발전소 미분기 화재감시시스템
CN105042632A (zh) 一种富氧燃烧系统锅炉安全保护控制装置和方法
KR101237485B1 (ko) 축분 고체연료용 보일러
JP7005230B2 (ja) 粉砕機及びその運用方法
MY168785A (en) Security system for operation of a habitat on installations
TWI540288B (zh) 用於分配石化燃料之總成
KR101034376B1 (ko) 석탄 분쇄용 미분기 화재 감지장치
KR100973895B1 (ko) 냉각 및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을 갖춘 화염 검출장치
JP2019037942A (ja) 粉砕機の急速燃焼抑制装置及びその保守方法
KR101031444B1 (ko) 미분기 언더보울의 자동청소 및 화재소화 시스템
JP6817913B2 (ja) 粉砕機及びその運用方法
KR101782788B1 (ko) 석탄 분쇄용 미분장치
KR20040065502A (ko) 가스터빈의 온도감지장치
CN111964043A (zh) 新型鸡粪锅炉返料床及其监测方法
EP0222221A1 (en) Heating apparatus
CN104395674B (zh) 具体用于燃气燃烧器的具有引燃火焰的点火器
KR100786340B1 (ko) 급탄기 막힘스위치용 퍼지 브래킷
KR101915310B1 (ko) 원유 운반선 폭발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