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7752B1 - 무인항공기의 상차용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무인항공기의 상차용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7752B1
KR100797752B1 KR1020070033147A KR20070033147A KR100797752B1 KR 100797752 B1 KR100797752 B1 KR 100797752B1 KR 1020070033147 A KR1020070033147 A KR 1020070033147A KR 20070033147 A KR20070033147 A KR 20070033147A KR 100797752 B1 KR100797752 B1 KR 100797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manned aerial
aerial vehicle
vehicle
loading box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3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장환
Original Assignee
박장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장환 filed Critical 박장환
Priority to KR1020070033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77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11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1Ligh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50Aeroplanes, Helicopters
    • B60Y2200/51Aeropl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10)의 후방에 설치된 복층 구조의 프레임(100); 프레임(100)의 상측 중앙에 가로방향으로 위치된 제1 가이드부재(110)를 따라 +X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이송부재(120); 제1 이송부재(120)의 하부에 위치되며 프레임(100)의 세로방향으로 위치된 제2 가이드부재(150)를 따라 +Y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 이송부재(160); 제2 이송부재(160)의 하부에 위치되어 제2 이송부재(160)를 따라 +Y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3 이송부재(170); 및 상기 제1 이송부재(120), 제2 이송부재(160) 및 제3 이송부재(170)를 제어하는 제어수단(180)을 포함하는 무인항공기의 상차용 승강장치가 제공된다.
무인항공기, 헬리콥터, 정찰, 군사용, 차량, 호이스트, 적재함

Description

무인항공기의 상차용 승강장치{Elevating apparatus capable of loading unmanned aerial vehicle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항공기의 상차용 승강장치가 적용된 차량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무인항공기의 상차용 승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도 3은 도 2의 승강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량 100 : 프레임
101 : 제1 적재함 102 : 제2 적재함
103 : 제1 플레이트 104 : 제2 플레이트
105 : 슬라이딩부재 110 : 제1 가이드부재
120 : 제1 이송부재 130 : 제1 체결부재
140 : 제2 체결부재 150 : 제2 가이드부재
160 : 제2 이송부재 170 : 제3 이송부재
180 : 제어수단 H : 호이스트
본 발명은 무인항공기용 차량의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대의 무인항공기를 차량의 적재함에 보다 간편하게 적재 또는 적재함으로부터 보다 간편하게 하역되게 하여 상기 차량을 이용한 무인항공기의 운송을 용이하게 하고 이를 통하여 최대한의 작전효과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는 무인항공기의 상차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인항공기는 조종사 없이 정찰 등과 같은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한 비행기로서 사전에 입력된 자료에 의해 임무를 수행하는 비행체와 무선 통제에 의해 임무를 수행하는 비행체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무인항공기는 종래에는 무기체계의 시험이나 훈련을 위한 표적용으로 사용하였으나 현재에는 그 용도가 넓어져 정찰/관측/감시/표적획득/기만 등 여러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인항공기의 장점으로는 일회용의 미사일 종류와 달리 회수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고 탑승 조종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전투 혹은 기체 추락에 의한 인적손실이 없으며, 기체를 대폭적으로 소형화 경량화 시켜 제작할 수 있어 군비의 비용 대 효과가 큰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임무 수행시 예를 들면, 작전 지역에 대한 정찰 등의 경우 상기 무인항공기를 상기 작전 지역 인근까지 운송해야 하는데 통상적으로 차량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무인항공기의 중량이 통상 100 Kg 정도이고 상기 임무 수행을 위한 기타 장비(카메라 등)의 장착시 그 총중량은 150 - 200 Kg 정도를 가지기 때 문에 상기 무인항공기를 차량의 적재함에 적재/하역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이나 별도의 장비 예를 들면, 리프트 수단 등이 더 필요하고 이를 통한 적재/하역 작업 또한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력이나 별도의 장비 등을 통한 무인항공기의 적재/하역시 과오로 인하여 무인항공기에 충격이 전달될 경우 고가의 장비가 파손되거나 오동작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상기 차량 1대에 무인항공기 1대만 적재하기 때문에, 복수대의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공동 임무 수행시 상기 무인항공기에 대응된 복수대의 운반 차량이 이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운반 차량이 필요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그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인항공기용 운반 차량에 호이스트 기능을 가지는 승강장치를 구비하여 무인항공기의 적재/하역을 용이하게 하도록 할 수 있는 무인항공기의 상차용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인항공기용 운반 차량의 적재함을 복층 구조로 구성하고 하층의 적재함 바닥을 서랍식 가이드 형태로 구성하여 복수대의 무인항공기가 적재되도록 할 수 있는 무인항공기의 상차용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10)의 후방에 설치된 복층 구조의 프레임(100); 프 레임(100)의 상측 중앙에 가로방향으로 위치된 제1 가이드부재(110)를 따라 +X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이송부재(120); 제1 이송부재(120)의 하부에 위치되며 프레임(100)의 세로방향으로 위치된 제2 가이드부재(150)를 따라 +Y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 이송부재(160); 제2 이송부재(160)의 하부에 위치되어 제2 이송부재(160)를 따라 +Y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3 이송부재(170); 및 상기 제1 이송부재(120), 제2 이송부재(160) 및 제3 이송부재(170)를 제어하는 제어수단(180)을 포함하는 무인항공기의 상차용 승강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프레임(100)은 복수대의 무인항공기가 적재될 넓이를 가지는 제1 플레이트(103)와 제2 플레이트(104)를 통해 제1 적재함(101)과 제2 적재함(102)으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플레이트(104)는 프레임(100)의 외부로 슬라이딩 되었다가 다시 복귀 가능한 슬라이딩부재(105)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 이송부재(170)는, 상기 무인항공기에 설치되는 고리(1)를 안정적으로 클램핑하는 훅크(2), 훅크(2)를 승강시키는 와이어(3) 및 와이어(3)를 권취 또는 권해시키는 호이스트(H)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항공기의 상차용 승강장치가 적용된 차량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무인항공기의 상차용 승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승강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 인항공기의 상차용 승강장치는, 차량(10)의 후방에 설치되며 복수대의 무인항공기가 적재될 제1 적재함(101)과 제2 적재함(102)을 가지는 복층 구조의 프레임(100), 제1 적재함(101)의 상측 중앙에 가로방향으로 위치되는 제1 가이드부재(110), 제1 가이드부재(110)를 따라 가로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이송부재(120), 제1 이송부재(120)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1 체결부재(130), 제1 체결부재(130)에 상호간 체결되는 제2 체결부재(140), 제2 체결부재(140)의 하부에 위치되며 제1 적재함(101)의 세로방향으로 위치되는 제2 가이드부재(150), 제2 가이드부재(150)를 따라 이동되는 제2 이송부재(160), 제2 이송부재(160)의 하부에 위치되어 제2 이송부재(160)를 따라 이동되는 제3 이송부재(170) 및 상기 제1 이송부재(120), 제2 이송부재(160) 및 제3 이송부재(170)를 제어하는 제어수단(180)을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차량(10)에 구비된 적재함에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제1 플레이트(103)를 가지는 제1 적재함(101)과 제2 플레이트(104)를 가지는 제2 적재함(102)으로 구분된다.
제1 적재함(101)과 제2 적재함(102)은 각각 복수대의 무인항공기 예를 들면, 한 쌍의 무인항공기가 적재될 공간을 가지고, 제1 플레이트(103)와 제2 플레이트(104)도 각각 한 쌍의 무인항공기가 적재될 넓이를 가진다.
또한, 제2 플레이트(104)는 한 쌍의 무인항공기 적재/하역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플레이트(104a,104b)는 무인항공기의 적재/하역시 프레임(100)의 외부로 슬라이딩 되었다가 다시 복귀 가능한 슬라이딩부재(105)를 더 구비하여 그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제2 플레이트(104a,104b)에 슬라이딩부재(105)가 구비되는 이유는, 상기 제1 적재함(101)의 제1 플레이트(103)가 차량(10)의 이동 중 흔들림이나 외부 충격에 의해 무인항공기가 적재된 곳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 설치되므로, 제2 플레이트(104)의 슬라이딩부재(105)를 통하여 프레임(100)의 외부로 이동시키지 않으면 상기 이송부재들을 이용하여 제2 플레이트(104)에 상기 무인항공기를 적재 또는 하역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제1 이송부재(120)는, 제1 적재함(101)의 상측 부위에 제1 적재함(101)의 가로방향으로 위치된 제1 가이드부재(110)의 가이드 홈(111)에 삽입되는 가이드 블록(121)을 포함하여, 제1 적재함(101) 또는 제2 적재함(102)에 각각 한 쌍의 무인항공기를 선택하여 적재시키거나 하역시키도록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상기 가이드 홈(111)을 따라 ± X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 이송부재(1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 체결부재(130)와 제2 가이드부재(15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 체결부재(140)는, 상호간 체결을 위하여 각각 체결돌기(131,141)와 상기 체결돌기(131,141)가 삽입되는 체결홈(132,142)을 구비한다.
제2 이송부재(160)는, 제1 이송부재(120) 하부의 제1 체결부재(130)에 상호간 체결되는 제2 체결부재(140)에 설치어 제1 적재함(101)의 세로방향으로 위치된 제2 가이드부재(150)의 가이드 홈(151)에 삽입되는 가이드 블록(161)을 포함하여, 제1 이송부재(110)의 이동에 대응된 무인항공기를 제1 적재함(101) 또는 제2 적재함(101)에 적재시키거나 하역시키도록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상기 가이드 홈(151)을 따라 ± Y 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제2 이송부재(160)의 이동거리는, 슬라이딩부재(105)에 의해 프레임(100)의 외부로 슬라이딩 되는 제2 플레이트(104)의 이동거리에 대응된다. 또한, 제2 가이드부재(150)의 가이드 홈(151) 양측에는 제2 이송부재(140)의 이동시 가이드 홈(15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 블록(162)의 이동을 방지하는 방지턱(미도시)이 더 설치된다.
제3 이송부재(170)는, 제2 이송부재(160)의 하부에 위치되어 제2 이송부재(160)의 가이드 홈(162)에 삽입되는 가이드 블록(171)을 포함하여, 제1 이송부재(120)와 제2 이송부재(160)의 이동에 대응된 무인항공기를 제1 적재함(101) 또는 제2 적재함(102)에 적재시키거나 하역시키도록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상기 가이드 홈(162)을 따라 ㅁ Y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제3 이송부재(170)는, 상기 무인항공기에 설치된 고리(1)를 안정적으로 클램핑하는 훅크(2), 훅크(2)를 승강시키는 와이어(3) 및 와이어(3)를 권취 또는 권해시키는 호이스트(H)를 포함하여 제1 내지 제3 이송부재(120,160,170)들의 이동에 대응된 무인항공기를 상기 제1/2 적재함(101,102)에 적재시키거나 제1/2 적재함(101,102)으로부터 하역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인항공기에 설치되는 고리(1)는, 호이스트(H)에 의한 무인항공기의 승강시 진자운동 또는 회전 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인항공기의 무게중심에 위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제2 이송부재(160)의 가이드 홈(162) 양측에는 제3 이송부재(170)의 이동시 가이드 홈(16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 블록(171)의 이동을 방지하는 방지턱(미도시)이 더 설치된다.
제어수단(180)은, 제1 이송부재(120), 제2 이송부재(160) 및 제3 이송부재(17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항공기의 상차용 승강장치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 적재함(101)의 제1 플레이트(103)에 무인항공기를 적재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차량(10)의 후방에 고리(1)가 설치된 무인항공기가 위치되게 한 후 프레임(100)이 구비된 차량(10) 적재함의 도어를 개방한다. 이후, 제1 적재함(101)의 'A' 부위에 무인항공기를 적재할 경우 제어수단(180)을 통하여 제1 이송부재(120) 내지 제3 이송부재(170)를 ± X, ± Y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여 제3 이송부재(170)의 호이스트(H) 훅크(2)가 무인항공기의 고리(1)에 대응되게 한다. 이후, 호이스트(H)를 통해 와이어(3)를 권해하여 훅크(2)에 고리(1)가 클램핑 되게 한 후, 호이스트(H)를 통해 와이어(3)가 권취되게 하여 상기 무인항공기를 제1 플레이트(103) 보다 높게 승강시킨다. 이후, 제어수단(180)을 통하여 제1 이송부재(120) 내지 제3 이송부재(170)를 ± X, ± Y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여 호이스트(H)의 훅크(2)에 클램핑 된 무인항공기가 제1 적재함(101)의 'A' 부위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후, 호이스트(H)를 통해 와이어(3)를 권해하여 훅크(2)로부터 고리(1)의 클램핑을 해제하여 무인항공기가 제1 적재함(101)의 'A' 부위에 적재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적재함(101)의 'B' 부위에 무인항공기를 적재할 경우 무인 항공기의 고리(1)를 호이스트(H)의 훅크(2)에 클램핑 한 후 제어수단(180)을 통하여 제1 이송부재(120) 내지 제3 이송부재(170)를 ± X, ± Y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여 호이스트(H) 훅크(2)에 클램핑 된 무인항공기가 제1 적재함(101)의 'B' 부위에 위치되도록 하는 과정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동일하다.
또한, 제1 적재함(101)에 적재된 무인항공기를 하역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적재함(101)에 무인항공기를 적재하는 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2 적재함(102)의 제2 플레이트(104)에 무인항공기를 적재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차량(10)의 후방에 고리(1)가 설치된 무인항공기가 위치되게 한 후 프레임(100)이 구비된 차량(10) 적재함의 도어를 개방한다. 이후, 제2 적재함(102)의 'a' 부위에 무인항공기를 적재할 경우 제어수단(180)을 통하여 제1 이송부재(120) 내지 제3 이송부재(170)를 ± X, ± Y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여 호이스트(H)의 훅크(2)가 무인항공기의 고리(1)에 대응되게 한다. 이후, 호이스트(H)를 통해 와이어(3)를 권해하여 훅크(2)에 고리(1)가 클램핑 되게 한 후, 호이스트(H)를 통해 와이어(3)가 권취되게 하여 상기 무인항공기를 제2 플레이트(104) 보다 높게 승강시킨다. 이후, 상기 'a' 부위에 대응되는 제2 플레이트(104a)를 슬라이딩부재(105)를 이용하여 프레임(100) 외부로 슬라이딩 시킨다. 이후, 제어수단(180)을 통하여 제1 이송부재(120) 내지 제3 이송부재(170)를 ± X, ± Y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여 호이스트(H)의 훅크(2)에 클램핑 된 무인항공기가 상기 슬라이딩된 제2 플레이트(104a)의 'a' 부위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후, 호이스트(H)를 통해 와 이어(3)를 권해하여 훅크(2)로부터 고리(1)의 클램핑을 해제한다. 이후, 상기 슬라이딩된 제2 플레이트(104a)를 프레임(100) 내부로 슬라이딩시켜 무인항공기가 제2 적재함(102)의 'a' 부위에 적재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적재함(102)의 'b' 부위에 무인항공기를 적재할 경우 무인항공기의 고리(1)를 호이스트(H)의 훅크(2)에 클램핑 한 후 상기 'b' 부위에 대응되는 제2 플레이트(104b)를 프레임(100) 외부로 슬라이딩 시키고 제어수단(180)을 통하여 제1 이송부재(120) 내지 제3 이송부재(170)를 ± X, ± Y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여 호이스트(H)의 훅크(2)에 클램핑 된 무인항공기가 제2 적재함(102)의 'b' 부위에 위치되도록 하는 과정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동일하다.
또한, 제2 적재함(102)에 적재된 무인항공기를 하역하는 과정은, 상기 제2 적재함(102)에 무인항공기를 적재하는 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따르면, 차량의 적재함에 제1 적재함과 제2 적재함을 가지는 복층 구조의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적재함들에 각각 한 쌍의 무인항공기가 적재되도록 함으로써, 한 대의 차량을 이용하여 복수대의 무인항공기를 효율적으로 적재 또는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무인항공기를 승강시키는 호이스트 기능을 수행하는 승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적재함에 무인항공기의 적재와 하역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 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인항공기용 운반 차량의 적재함을 복층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한 대의 차량을 이용하여 복수대의 무인항공기의 적재 또는 이동을 가능하여 복수의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공동 임무시 그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무인항공기용 운반 차량에 호이스트 기능을 가지는 승강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무인항공기의 적재/하역을 용이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층 구조의 적재함 중 하층의 적재함 바닥을 서랍식 가이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하층 적재함의 무인항공기 적재/하역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4)

  1. 차량(10)의 후방에 설치된 복층 구조의 프레임(100);
    프레임(100)의 상측 중앙에 가로방향으로 위치된 제1 가이드부재(110)를 따라 +X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이송부재(120);
    제1 이송부재(120)의 하부에 위치되며 프레임(100)의 세로방향으로 위치된 제2 가이드부재(150)를 따라 +Y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 이송부재(160);
    제2 이송부재(160)의 하부에 위치되어 제2 이송부재(160)를 따라 +Y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3 이송부재(170); 및
    상기 제1 이송부재(120), 제2 이송부재(160) 및 제3 이송부재(170)를 제어하는 제어수단(1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항공기의 상차용 승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100)은 복수대의 무인항공기가 적재될 넓이를 가지는 제1 플레이트(103)와 제2 플레이트(104)를 통해 제1 적재함(101)과 제2 적재함(102)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항공기의 상차용 승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2 플레이트(104)는 프레임(100)의 외부로 슬라이딩 되었다가 다시 복귀 가능한 슬라이딩부재(105)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항공기의 상차용 승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3 이송부재(170)는, 상기 무인항공기에 설치되는 고리(1)를 안정적으로 클램핑하는 훅크(2), 훅크(2)를 승강시키는 와이어(3) 및 와이어(3)를 권취 또는 권해시키는 호이스트(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항공기의 상차용 승강장치.
KR1020070033147A 2007-04-04 2007-04-04 무인항공기의 상차용 승강장치 KR100797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147A KR100797752B1 (ko) 2007-04-04 2007-04-04 무인항공기의 상차용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147A KR100797752B1 (ko) 2007-04-04 2007-04-04 무인항공기의 상차용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7752B1 true KR100797752B1 (ko) 2008-01-23

Family

ID=39219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3147A KR100797752B1 (ko) 2007-04-04 2007-04-04 무인항공기의 상차용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7752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10070A (zh) * 2012-11-30 2013-04-03 山东电力集团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无人机综合地面站系统及其使用方法
RU2486078C1 (ru) * 2012-04-03 2013-06-27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Завод им. В.А. Дегтярева" Наземный пункт управления на базе шасси специаль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6080349A (zh) * 2016-07-06 2016-11-09 陈慧愿 一种配置有无人机货物装卸平台的快递配送车
CN106882111A (zh) * 2017-03-30 2017-06-23 江苏建筑职业技术学院 一种可移动遥感测量平台
CN107985171A (zh) * 2017-11-29 2018-05-04 上海量明科技发展有限公司 可搭载无人机的车辆、无人机搭载结构及系统
CN108657058A (zh) * 2018-05-17 2018-10-16 北京中资燕京汽车有限公司 无人机车载装置
CN109249850A (zh) * 2018-08-30 2019-01-22 顺丰科技有限公司 无人机装载箱及无人机运输车
KR20190044746A (ko) * 2017-10-23 2019-05-02 농업회사법인농부촌영농단(합) 농사용 무인기(헬기, 드론)를 위한 탈착형 헬리포트 플랫폼
CN111993981A (zh) * 2020-08-31 2020-11-27 重庆领直航科技有限公司 无人机装卸装置及方舱
CN112265490A (zh) * 2020-10-29 2021-01-26 国网天津市电力公司 一种车载嵌入式无人机智能机舱结构及控制方法
CN112373373A (zh) * 2020-11-05 2021-02-19 山东商务职业学院 车载无人机自动夹持充电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2628A (ja) * 1996-05-16 1997-11-25 Mutsuo Hamaguchi 小型飛行体物体の移動式離着陸施設
JPH1057636A (ja) 1996-08-21 1998-03-03 Yamaha Motor Co Ltd 無人ヘリコプタの降着装置
JP2005520733A (ja) * 2002-03-25 2005-07-14 ヘンネ クルト 定置の軌道上を走行するための航空機訓練及び娯楽装置
KR200415083Y1 (ko) 2006-02-01 2006-04-27 김기덕 무인항공기 운송용 차량적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2628A (ja) * 1996-05-16 1997-11-25 Mutsuo Hamaguchi 小型飛行体物体の移動式離着陸施設
JPH1057636A (ja) 1996-08-21 1998-03-03 Yamaha Motor Co Ltd 無人ヘリコプタの降着装置
JP2005520733A (ja) * 2002-03-25 2005-07-14 ヘンネ クルト 定置の軌道上を走行するための航空機訓練及び娯楽装置
KR200415083Y1 (ko) 2006-02-01 2006-04-27 김기덕 무인항공기 운송용 차량적재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86078C1 (ru) * 2012-04-03 2013-06-27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Завод им. В.А. Дегтярева" Наземный пункт управления на базе шасси специаль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3010070A (zh) * 2012-11-30 2013-04-03 山东电力集团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无人机综合地面站系统及其使用方法
CN106080349A (zh) * 2016-07-06 2016-11-09 陈慧愿 一种配置有无人机货物装卸平台的快递配送车
CN106882111A (zh) * 2017-03-30 2017-06-23 江苏建筑职业技术学院 一种可移动遥感测量平台
KR20190044746A (ko) * 2017-10-23 2019-05-02 농업회사법인농부촌영농단(합) 농사용 무인기(헬기, 드론)를 위한 탈착형 헬리포트 플랫폼
KR102010142B1 (ko) * 2017-10-23 2019-08-13 농업회사법인농부촌영농단(합) 농사용 무인기(헬기, 드론)를 위한 탈착형 헬리포트 플랫폼
CN107985171A (zh) * 2017-11-29 2018-05-04 上海量明科技发展有限公司 可搭载无人机的车辆、无人机搭载结构及系统
CN108657058B (zh) * 2018-05-17 2023-09-26 北京中资燕京汽车有限公司 无人机车载装置
CN108657058A (zh) * 2018-05-17 2018-10-16 北京中资燕京汽车有限公司 无人机车载装置
CN109249850A (zh) * 2018-08-30 2019-01-22 顺丰科技有限公司 无人机装载箱及无人机运输车
CN111993981A (zh) * 2020-08-31 2020-11-27 重庆领直航科技有限公司 无人机装卸装置及方舱
CN112265490A (zh) * 2020-10-29 2021-01-26 国网天津市电力公司 一种车载嵌入式无人机智能机舱结构及控制方法
CN112373373A (zh) * 2020-11-05 2021-02-19 山东商务职业学院 车载无人机自动夹持充电装置
CN112373373B (zh) * 2020-11-05 2022-05-03 山东商务职业学院 车载无人机自动夹持充电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7752B1 (ko) 무인항공기의 상차용 승강장치
US10202239B2 (en) Multi-level storage system with transportation devices movable i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directions and method of transferring containers in desired sequence
US9663228B2 (en) Automated sling load handler for an aircraft
US20180086396A1 (en) Industrial cart comprising a mother or primary cart and a secondary or daughter cart
JP2022500333A (ja) 送達サイトおよび送達方法
US20210197982A1 (en) Emergency uav facility
WO2015182924A1 (ko) 무인비행기 착륙 위치 정렬 장치, 정렬 방법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지상상시스템
TWI601679B (zh) 用於將貨櫃倉庫的貨櫃入倉及出倉的方法及貨櫃-轉運設施
CN109789906B (zh) 货物装卸车、货物转运系统及其卸货的方法
JP2016020255A (ja) 階間搬送設備
KR20190040086A (ko)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 이동 방법 및 그 장치
EP2146894A2 (en) Port storage and distribution system for international shipping containers
US10988311B2 (e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storage units
JP7042581B2 (ja) 無人飛行機用離着陸設備
KR20200003847A (ko) 자동 창고 시스템
WO2019181241A1 (ja) ストッカシステム
KR102532806B1 (ko) 다기능 화물 운반 차량 및 방법
US20220340300A1 (en) Command center for drone management
US5763811A (en) Internal weapon carriage system for wide body aircraft
CN112079065A (zh) 物流无人机自动装卸机构及系统
JP2022546616A (ja) 自律型荷物装置
JP7143122B2 (ja) 駐車装置
CN117042891A (zh) 运输集装箱输送系统和优化地运行运输集装箱输送系统的方法
DE102021109957A1 (de) Intralogistisches System
JP5105671B2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