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7225B1 - e―Class 관리 시스템과 성적 평가방법 - Google Patents

e―Class 관리 시스템과 성적 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7225B1
KR100797225B1 KR1020050131261A KR20050131261A KR100797225B1 KR 100797225 B1 KR100797225 B1 KR 100797225B1 KR 1020050131261 A KR1020050131261 A KR 1020050131261A KR 20050131261 A KR20050131261 A KR 20050131261A KR 100797225 B1 KR100797225 B1 KR 100797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information
lecturer
class
eval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1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7839A (ko
Inventor
백윤수
김현정
김광수
박정선
석원석
박진현
정철호
성혜령
이석민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131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7225B1/ko
Publication of KR20070087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7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출력수단과 인식/피인식수단을 포함함과 동시에 성적 평가 시스템, 학사 행정 시스템, 수업 콘텐츠지원 시스템, 정보 분석 시스템, 온라인 상호 작용 시스템 및 정보 입출력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e-Class 관리 시스템과 성적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와 정보를 주고받으며 관리 서버와 정보를 주고받는 강의자용 인터페이스; 상기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와 상기 관리 서버와 상기 강의자용 인터페이스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는 유무선 네트워크;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강의자용 인터페이스와 정보를 주고받으며 상기 관리 서버와 정보를 주고받는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와 수강자의 성적을 평가하는 정보를 성적 평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강의자용 인터페이스와 상기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성적 평가 서버, 수강자의 학사 정보를 학사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강의자용 인터페이스와 상기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학사 정보 서버, 수업 강의 정보를 수업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강의자용 인터페이스와 상기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수업 콘텐츠 정보 서버, 시험 또는 과제물과 같은 정보를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강의자용 인터페이스와 상기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정보 분석 서버, 수강자과 강의자 사이가 실시간으로 통신할 수 있는 정보를 온라인 상호작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상 기 강의자용 인터페이스와 상기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온라인 상호작용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된 관리 서버로 이루어진 e-Class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학사관리, 성적평가, 학사행정, 수업 콘텐츠, 정보분석, 상호작용, 출석 현황, 과제물, 시험성적, 수업참여도, 프로젝트 성적

Description

e―Class 관리 시스템과 성적 평가방법{e-Class Management system and Evaluation method for grad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e-Class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e-Class 관리 시스템의 강의자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e-Class 관리 시스템의 수강자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e-Class 관리 시스템의 강의자용 프로젝트 팀 평가 메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e-Class 관리 시스템의 강의자용 프로젝트 생성 메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e-Class 성적 평가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e-Class 성적 평가방법에 있어서 과제물 평가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은 e-Class 성적 평가방법에 있어서 시험성적 평가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9는 e-Class 성적 평가방법에 있어서 프로젝트 성적 평가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강의자용 인터페이스 200 : 유무선 네트워크
300 : 수강자용 인터페이스 400 : 관리 서버
410 : 성적 평가 서버 411 : 성적 평가 데이터베이스
420 : 학사 평가 서버 421 : 학사 평가 데이터베이스
430 : 수업 콘텐츠 지원 서버 431 : 수업 콘텐츠 지원 데이터베이스
440 : 정보 분석 서버 441 :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
450 : 온라인 상호작용 서버 451 : 온라인 상호작용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전자 학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입/출력수단과 인식/피인식수단을 포함함과 동시에 성적 평가 시스템, 학사 행정 시스템, 수업 콘텐츠지원 시스템, 정보 분석 시스템, 온라인 상호 작용 시스템 및 정보 입출력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e-Class 관리 시스템과 성적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비쿼터스(ubiquitous) 컴퓨팅 기술과 모바일 컴퓨팅 기술을 접목하여 대학 등을 중심으로 지능화된 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추세이다. 전통적인 원격수 업(remote class)은 물론이고 모바일 컴퓨팅 장비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수업 중에 강의자와 수강자 간의 정보를 주고받는 서비스도 점차 도입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 샌디에고 대학에서는 Active Campus와 Active Class 프로젝트를 통하여 실시간 채팅과 강의 자료 다운로드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일본의 도쿠시마 대학에서는 무선인식(RFID)을 이용하여 사물의 일본어와 영어 단어를 알려주는 탱고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고, 독일의 하노버 대학에서는 Ubicampus라는 이름으로 강의 노트 다운로드, 작업 배정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각 대학에서 모바일 캠퍼스라는 이름으로 학사 행정 서비스를 휴대전화나 PDA를 통하여 서비스를 하고 있으며, 도서관 관리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과학 기술이 발달하면서 새로운 입력수단과 출력수단 및 인식수단이 증가함과 동시에 강의자와 수강자의 요구가 다양하여짐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요구들을 수용할 수 있는 통합적인 학사관리시스템이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입/출력수단과 인식/피인식수단을 포함함과 동시에 성적 평가 시스템, 학사 행정 시스템, 수업 콘텐츠지원 시스템, 정보 분석 시스템, 온라인 상호 작용 시스템 및 정보 입출력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e-Class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수강자와 강의자에게 각각 인터페이스(입/출력수단과 인식/피인식수단) 를 구비하는 e-Class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수강자의 성적 평가에 있어서 출석현황, 과제물 평가, 시험성적 평가, 수업 참여도 평가, 프로젝트 성적 평가를 성적 평가 요소로 하는 e-Class 성적 평가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과제물 평가, 시험성적 평가, 프로젝트 성적 평가에 대한 별도의 e-Class 성적 평가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e-Class 관리 시스템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와 정보를 주고받으며 관리 서버와 정보를 주고받는 강의자용 인터페이스; 상기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와 상기 관리 서버와 상기 강의자용 인터페이스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는 유무선 네트워크;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강의자용 인터페이스와 정보를 주고받으며 상기 관리 서버와 정보를 주고받는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와 수강자의 성적을 평가하는 정보를 성적 평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강의자용 인터페이스와 상기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성적 평가 서버, 수강자의 학사 정보를 학사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강의자용 인터페이스와 상기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학사 정보 서버, 수업 강의 정보를 수업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강의자용 인터페이스와 상기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수업 콘텐츠 정보 서버, 시험 또는 과제물과 같은 정보를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강의자용 인터페이스와 상기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정보 분석 서버, 수강자과 강의자 사이가 실시간으로 통신할 수 있는 정보를 온라인 상호작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강의자용 인터페이스와 상기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온라인 상호작용 서버를 포함하는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된 관리 서버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강의자용 인터페이스는 정보를 입력하거나 출력하는 입/출력수단과 수강자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수강자용 인터페이스는 정보를 입력하거나 출력하는 입/출력수단과 수강자에 대한 정보를 인식시킬 수 있는 피인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정보 분석 서버는 상기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과제물, 시험문제, 시험답안에 대하여 주제어를 검색하여 상기 주제어, 문항별, 수강자별, 전체 성적에 대한 자료 및 이에 대한 통계적 자료를 만들어 이러한 자료들을 상기 성적 평가 서버, 정보 분석 서버, 강의자용 인터페이스의 출력수단 및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의 출력수단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통계적 자료는 그래프 또는 도표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e-Class 성적 평가방법은 (1)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리 시스템에 강의자가 접속하는 단계; (2)강의자가 강의자용 인터페이스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성적 평가 서버를 통하여 출석 현황, 과제물 평가, 시험성적 평가, 수업 참여도 평가 및 프로젝트 평가를 성적 평가 요소로 설정하는 단계; (3)상기 평가 요소 각각에 대하여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4)학사 행정 서버의 학사 행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받은 출석 현황과 수업 참여도 정보를 가지고 상기 출석 현황 및 수업 참여도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5)수업 콘텐츠 지원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수업 콘텐츠 정보를 정보 분석 서버에서 분석한 과제물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상기 과제물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6)수업 콘텐츠 지원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수업 콘텐츠 정보를 정보 분석 서버에서 분석한 시험 성적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상기 시험성적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7)성적 평가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상기 프로젝트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8)수강자가 강사 및 수업 내용에 대한 평가를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하여 성적 평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9)상기 (4)단계 내지 (8)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출석 현황, 출석 현황, 과제물 평가, 시험성적 평가, 수업 참여도 평가 및 프로젝트 평가를 상기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최종 성적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5)단계는 (5.1)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리 시스템에 수강자가 더 접속하는 단계; (5.2)강의자가 강의자용 인터페이스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과제물의 제목, 내용, 기한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정보 분석 서버의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5.3)상기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과제물의 제목, 내용, 기한에 대한 정보를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의 출력수단으로 제공하는 단계; (5.4)수강자가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과제물을 입력하여 정보 분석 서버의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5.5)상기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과제물에 대하여 인터넷상에서 과제물에 대한 검색결과, 과거에 제출된 과제물, 다른 수강자에 의하여 제출된 과제물과의 유사도를 추출하는 단계; (5.6)상기 정보 분석 서버에서 상기 유사도를 점수화하여 과제물의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 및 (5.7)상기 도출된 과제물의 평가 결과를 강의자용 인터페이스의 출력수단 및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의 출력수단으로 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5.5)단계에서 상기 유사도는 과제물의 특정한 문자열에 대한 빈도 수 측정, 자연어 구문 기법에 의한 유사도 측정 및 특정 어구 변환시의 문서 구조의 유사도 측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5.5)단계에서 상기 유사도 추출에 의하여 유사하게 판단된 부분을 소정의 표현수단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5.5)단계에서 상기 유사도 추출시 참조문헌의 표시가 있는 경우 유사문구 검사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5.5)단계에서 상기 유사도 측정시 수강자들 사이의 유사도에 의한 상관관계도를 도시하여 강의자용 인터페이스의 출력수단과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의 출력수단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5.6)단계에서 상기 유사도를 그래프 또는 도표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과제물이 프로그램 작성 과제물인 경우 상기 (5.5)단계는 상기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과제물에 대하여 프로그램 문서 포맷 정보의 유사도를 추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프로그램 문서 포맷 정보의 유사도는 상기 프로그램 문서의 블럭 단위 명령어의 배치, 변환 가능한 명령어로 대치에 의한 유사도 및 모듈화의 유사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6)단계는 (6.1)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리 시스템에 수강자가 더 접속하는 단계; (6.2)강의자가 강의자용 인터페이스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시험문제 및 모범답안을 입력하여 정보 분석 서버의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6.3)상기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시험문제를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의 출력수단으로 제공하는 단계; (6.4)수강자가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상기 시험문제에 대한 시험답안을 입력하여 정보 분석 서버의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6.5)상기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시험답안에 대하여 다른 수강자들의 시험답안, 과거 시험답안 및 모범답안과의 유사도를 추출하는 단계; (6.6)상기 정보 분석 서버에서 상기 유사도를 점수화하여 시험결과를 도출하는 단계; 및 (6.7)상기 도출된 시험결과를 강의자용 인터페이스의 출력수단 및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의 출력수단으로 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6.5)단계는 (6.5.1)상기 정보 분석 서버가 상기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범답안의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6.5.2)상기 정보 분석 서버가 상기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시험답안에 있어 상기 키워드를 검색하는 단계; 및 (6.5.3)상기 (6.5.2)단계의 키워드 검색하고 시험결과를 도출하여 상기 (6.7)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6.5)단계에서 상기 유사도는 시험답안의 특정한 문자열에 대한 빈도 수 측정, 자연어 구문 기법에 의한 유사도 측정 및 특정 어구 변환시의 문서 구조의 유사도 측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6.5)단계에서 상기 유사도 추출에 의하여 유사하게 판단된 부분을 소정의 표현수단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6.5)단계에서 상기 유사도 측정시 수강자들 사이의 유사도에 의한 상관관계도를 도시하여 강의자용 인터페이스의 출력수단과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의 출력수단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6.6)단계에서 상기 유사도를 그래프 또는 도면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7)단계는 (7.1)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리 시스템에 수강자가 더 접속하는 단계; (7.2)강의자가 강의자용 인터페이스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프로젝트의 내용을 입력하여 정보 분석 서버의 정보 분석 데이 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7.3)상기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프로젝트의 내용을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의 출력수단으로 제공하는 단계; (7.4)수강자가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결과물을 입력하여 정보 분석 서버의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7.5)상기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프로젝트에 대한 결과물을 강의자용 인터페이스의 출력수단에 제공하여 강의자가 프로젝트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및 (7.6)상기 도출된 프로젝트에 대한 평가를 프로젝트를 입력한 수강자의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의 출력수단으로 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7.5)단계는 상기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프로젝트에 대한 결과물을 다른 프로젝트 팀의 수강자의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의 출력수단에 더 제공하여 다른 프로젝트 팀의 수강자도 프로젝트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평가는 강의자와 다른 프로젝트 수강자의 평가에 각각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프로젝트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e-Class 관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e-Class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구체적으로는 e-Class 관리 시스템는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 유무선 네트워크(200), 수 강자용 인터페이스(300) 및 관리 서버(400)로 이루어져 있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e-Class 관리 시스템의 강의자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이하 아래에서 상세하게 살펴본다.
상기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는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상기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와 정보를 주고받으며 상기 관리 서버(400)와 정보를 주고받는다. 또한 상기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는 정보를 입력하거나 출력하는 입/출력수단(110,120)과 수강자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수단(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는 강의의 특성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가 구비된다.
여기서 강의자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상기 입력수단(110)은 모바일 단말기, PC, 스마트 폰, 휴대전화, PDA, 키오스크장치, POS 장치와 같은 단말기 및 컴퓨터 장치와 데이터 글로브, 자판, 포인팅 장치,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햅틱 장치, 전자 칠판과 같은 전자 입력수단을 의미한다.
또한 강의자가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상기 출력수단(120)은 모니터, 스크린, HMD(Head Mounted Display), HUD(Head Up Display), OHP, 빔 프로젝터, TV, 비디오, 스피커, 이어폰, 헤드폰, 프린터와 같은 전자 출력수단을 의미한다. 특히 장애인을 위하여 촉감을 이용하는 입출력수단을 채택할 수 있다.
또한 강의자가 수강자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상기 인식수단(130)은 바코드 스캐너, 카메라, 광학 스캐너, 적외선 스캐너, 무선인식 리더기, IR 리더기, 자이로센서, 압력센서와 같은 전자 인식수단을 의미한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e-Class 관리 시스템의 수강자용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이하 상세하게 살펴본다.
상기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는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상기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와 정보를 주고받으며 상기 관리 서버(400)와 정보를 주고받는다. 또한 상기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는 정보를 입력하거나 출력하는 입/출력수단(310,320)과 수강자에 대한 정보를 인식시킬 수 있는 피인식수단(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는 강의의 특성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가 구비된다.
여기서 수강자용 입/출력수단(310,320)은 상기 강의자용 입/출력수단(110,120)과 동일한 전자 입/출력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수강자가 수강자에 대한 정보를 인식시키기 상기 피인식수단(330)은 이미지코드(바코드, 2D 코드, 컬러코드, 워터마크 등), 무선태그(무선인식 태그, IR 태그, 블루투스 등), 스마트 칩 등의 센서와 같은 전자 피인식수단을 의미한다. 특히, 수강자는 인증을 위하여 이미지 코드 또는 무선 태그와 같은 센서를 이용하여 강의자 또는 수강자와 원활하게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인식수단(330)으로서 상기 센서 대신 컴퓨팅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지문 인식기 등을 통하여 생체인식(얼굴, 홍채, 지문, 정맥, 비골 등) 정보를 가지고 수강자에 대한 정보를 인식시킬 수 있다.
결국 각 정보의 입력은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의 입력수단(110)과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의 입력수단(310) 중 자판, 키패드, 버튼 등으로 직접 문자를 입력하거나 마우스,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조이스틱 등의 포인팅 장치를 이용하여 위치를 지정하여 입력한다.
또한 피인식수단(330) 중 이미지 코드(바코드, 2D 코드, 컬러 코드, 워터 마크 등) 또는 무선 태그(RFID, IR, 블루투스 등)를 인식수단(130) 중 이미지 코드 리더기 또는 무선 태그 리더기로 인식하여 연결된 정보(문자, 네트워크상 위치, 파일명 등)를 입력한다.
또한 인식수단(130) 중 카메라, 자이로 센서, 데이터 글로브 등을 통하여 동작이나 이미지를 인식하여 정보를 입력하거나 압력센서, 음향센서, 광센서 등을 이용하여 정보나 신호를 입력하거나 인식한다.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200)는 상기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와 상기 관리 서버(200)와 상기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수강자 관련 정보와 강의자 관련 정보를 교환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수업 콘텐츠를 전체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 또는 지정된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로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전송함으로써 자료와 정보의 교환을 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400)는 성적 평가 서버(410), 학사 행정 서버(420), 수업 콘텐츠 지원 서버(430), 정보 분석 서버(440) 및 온라인 상호 작용 서버(450)를 포함하되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200)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성적 평가 서버(410)는 수강자의 성적을 평가하는 정보를 성적 평가 데이터베이스(411)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와 상기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에 제공한다.
특히 상기 성적 평가 서버(410)는 수강자의 성적을 평가함에 있어서 평가요소로서 출석 현황, 과제물 성적, 시험 성적, 수업 참여도, 프로젝트 성적을 사용한다. 또한 강의자와 수강자가 과목별로 등록되면 강의자는 상기 평가요소들에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출석 현황은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의 피인식수단(330)을 강의 장소에 비치된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의 인식수단(130)으로 인식하거나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의 입력수단(310)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e-Class 관리 시스템에 ID,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비밀번호와 함께 등록함으로써 체크된다. 이때, 온라인 강의의 경우에는 장소에 구애받지 아니한다.
여기서 개인 정보 등의 확인을 위하여 학사 행정 서버(420)의 학사 행정 데이터베이스(421)에 저장된 개인 정보를 이용가능하다.
그리고 또 다른 출석 현황 체크방식은 수강자가 해당 수업시간에 이미 지정된 좌석에 앉아 있는 경우의 체크방식이다. 상기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의 인식수단(130) 중 카메라 또는 스캐너와 같은 광학기기에 의하여 수강자의 얼굴이나 생체정보를 인식하거나 인식수단(130) 중 압력센서를 통하여 좌석에 앉았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출석 현황 체크방식으로는 강의실이나 해당 좌석에 인식수단(130) 중 이미지 코드 리더기 또는 무선 태그 리더기를 구비하여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의 피인식수단(330)을 인식함으로써 출석을 체크하는 방식이 있다. 이 경 우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에서 발신되는 무선신호를 강의실의 적어도 3가지 장소이상에 설치된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의 인식수단(130)이 상기 무선신호의 강도를 인식하는 3각 측량법에 의하여 수강자의 위치를 판단함으로써 출석을 체크할 수 있다.
한편 수업이 끝나는 시간에도 출석 현황을 체크함으로써 강의 중간에 조퇴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출결 및 조퇴 정보는 추후 최종 성적에 반영된다. 예를 들어 지각은 -1점, 결석은 -3점 등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과제물 성적 평가는 과제물 등록, 과제물 보고, 과제물 평가 및 과제물 공지에 의하여 처리된다. 구체적으로는 강의자가 상기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를 통하여 과제물의 제목, 내용, 기한 등의 정보를 등록하면 각 수강자가 수업 참여하거나 e-Class 관리 시스템에 로그인하는 경우 수강자가 작성한 과제물을 상기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를 통하여 해당 기간 내에 게시물로 등록하거나 별도 파일 등으로 등록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된다.
또한 강의자는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를 통하여 수강자가 제출한 과제물의 목록과 내용을 조회하고 제출된 과제물의 성적을 입력할 수 있다. 이렇게 강의자가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를 통하여 성적을 입력하면 수강자는 자신의 성적을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를 통하여 조회할 수 있다.
시험 성적 평가는 실시간 온라인 시험, 오프라인 시험 등을 통하여 평가되며, 이러한 실시간 온라인 시험과 오프라인 시험에 대하여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실시간 온라인 시험의 경우에는 강의자가 상기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를 통하여 시험 시간을 설정하고 미리 입력해둔 시험 문제를 소정의 시간 동안 각 수강자에게 상기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를 통하여 제공한다. 상기 소정의 시간은강의자가 강의의 특성에 따라서 적정하게 설정할 수 있다.
각 수강자는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의 입력수단(310)을 통하여 시험 문제에 대한 답을 입력함으로써 문제를 풀게 되며, 이를 위하여 다양한 입력수단(310)이 사용된다.
상기 입력수단(310)으로서 전통적인 방식인 자판, 포인팅 장치 방식 이외에도 필기체 인식, 음성 인식, 동작 인식(수화 인식 등)을 통한 카메라, 마이크,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자이로 센서, 촉감 센서, 데이터 글로브 등이 채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수단(330)으로서 이미지 코드(바코드, 2D 코드 등) 또는 무선 태그(RFID, IR 등)를 인식하는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온라인 시험에서 수강자가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를 통하여 입력한 정보는 전자 문서화되어 성적 평가 데이터베이스(411)에 저장되며, 소정의 시간 동안에는 상기 수강자가 입력한 내용을 수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온라인 시험 시간이 종료하면 강의자는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를 통하여 수강자가 등록한 답을 조회하여 성적을 입력할 수 있고, 이렇게 입력된 정보는 합산되어 각 수강자 개인별 성적이 산출된다. 여기서 상기 온라인 시험이 객관식 시험인 경우에는 모범답안과 비교함으로써 성적이 산출된다.
오프라인 시험의 경우에는 제출된 답안지에 성적을 산출한 강의자가 상기 강 의자용 인터페이스(100)의 입력수단(110)을 통하여 각 개인별 성적을 입력함으로써 성적 평가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 각 문항별로 점수를 입력할 수 있고, 최종 결과만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온라인 시험과 상기 오프라인 시험에 있어서, 강의자가 성적에 포함시키지 아니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의 입력수단(110)에 성적에 포함 또는 불포함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한다.
수업 참여도 평가는 수업 중 수강자의 활동을 평가하는 것으로 강의자가 실시간으로 상기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의 입력수단(110)을 통하여 수업 참여도를 입력한다.
여기서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질의 응답에 대한 온라인 상호 작용은 온라인 상호작용 서버에서 함께 운용될 수 있으며, 강의자는 이를 참조하여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의 입력수단(110)을 통하여 입력한다.
첨부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e-Class 관리 시스템의 강의자용 프로젝트 팀 평가 메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젝트 성적 평가는 수강자들의 프로젝트 결과를 평가하는 것으로 강의자가 상기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의 입력수단(110)을 통하여 프로젝트 성적을 입력한다.
이 경우 프로젝트 관리를 위하여 강의자가 상기 입력수단(110)을 통하여 프로젝트 평가 항목을 입력하면 각 프로젝트 팀을 편성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한다. 강의자가 상기 프로젝트 평가 항목을 입력하면 프로젝트 팀의 생성을 위하여 팀의 개수를 입력하거나 팀 새로 만들기를 팀의 개수만큼 선택(클릭, 드래그 등)하여 팀 의 슬롯을 생성시키고, 각 팀의 슬롯에 팀의 명칭과 구성원을 입력한다.
여기서 강의자는 팀의 슬롯에 각 팀에 해당하는 수강자의 ID를 직접 입력하거나 수강자의 ID를 다중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젝트 팀을 생성시키는 다른 방법으로서 수강자가 프로젝트 팀을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의 입력수단(310)을 통하여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에는 팀의 구성을 원하는 수강자 중의 한 명이 자신의 계정을 통하여 로그인하면 프로젝트 팀 구성을 누른 후 자신과 팀원들의 ID와 팀명을 직접 입력하여 강의자의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의 출력수단(130)의 프로젝트 관리 항목에 생성되어 나타난다. 이렇게 수강자가 프로젝트 팀원을 직접 입력하는 경우에는 강의자와는 달리 자시의 팀 구성원 이외에는 다른 팀 구성원은 조회할 수 없다.
첨부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e-Class 관리 시스템의 강의자용 프로젝트 생성 메뉴를 나타낸 도면이며, 이하 상세하게 살펴본다.
프로젝트 팀 구성이 완료되면 강의자는 상기 입력수단(110)을 통하여 승인 메뉴를 선택하고, 이 후 각 팀의 팀원들은 자신의 계정을 통하여 자신들의 팀의 프로젝트 관리 항목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로젝트 관리 항목에는 중간 보고서 및 최종 보고서의 제출, 보고서의 성적 확인, 프로젝트의 프레젠테이션의 성적 확인이 가능하다.
프로젝트 성적 평가는 강의자가 상기 입력수단(110)을 통하여 수업 참여자들의 프로젝트에 대하여 평가 점수를 입력하는 것으로 강의자가 1인 또는 다수가 실시간 또는 사후에 프로젝트 성적을 입력할 수 있다. 아래에서 좀 더 자세히 살펴본 다.
상기 프로젝트 성적 평가는 일반적으로 강의자가 평가자로서 단독으로 성적을 입력하는 경우도 있지만, 때에 따라서는 평가의 객관성을 위하여 다른 평가자들과 함께 평가하거나 수강자들과 함께 상호 간에 평가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평가자가 함께 평가하게 되는 경우 강의자가 평가 항목을 구성한 후 설문지나 평가표 등의 형태로 시스템의 프로젝트 관리 중 상호 평가 항목에 올리면 각 항목의 점수를 계산하여 평균, 빈도 등의 점수를 등록한다. 이때 상기 프로젝트 성적 평가자들이 점수에 가중치를 줄 수 있고, 최고 점수와 최저 점수를 제외하는 방식으로 점수를 계산하여 주는 방식도 있다.
예를 들어 강의자의 평가 점수에 40%의 가중치를 부여하고 나머지 60%는 평가는 나머지 평가자들의 점수의 평균으로 처리하여 프로젝트 점수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트 성적 평가 이외에도 성적 평가의 평가 요소인 출석 현황, 과제물 성적 평가, 시험 성적 평가, 수업 참여도 평가에도 미리 설정된 평가 요소별 가중치를 부여하여 성적을 평가할 수 있다. 이렇게 계산된 성적은 성적별로 정렬하여 쉽게 A+,A0,A-,...,F 등의 성적으로 산출한다.
강의자와 평가자는 모든 성적 결과를 조회할 수 있으며 수강자도 필요에 따라 전체 인원의 성적을 조회할 수 있으나, 다만 이 경우 개인 정보의 유출을 고려하여 수강자 개인 ID나 개인 정보와 관련된 부분을 숨기고 성적 분포, 성적 정렬 정보만을 제공한다.
상기 학사 행정 서버(420)는 수강자의 학사 정보를 학사 정보 데이터베이스(421)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와 상기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학사 행정 서버(420)는 수강자와 교직원 등의 학사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개인 정보와 함께 수강자의 등록 내역, 학교 일정 정보, 학교 행정 서비스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학사 행정 서버(420)는 상기 정보의 일부분인 ID(학번), 성명, 소속, 전화번호 및 연락처 등 e-Class 관리 시스템에서 필요한 최소한의 개인 정보를 제공하며, 학사 행정 관련 정보(강의실 위치, 수업 시간, 학사 일정, 결석계, 과목 정보, 강사 정보 등)를 제공한다.
수강자가 해당 과목에 대한 정보를 상기 학사 행정 서버(420)로부터 제공받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e-Class 관리 시스템에 접속하며 과목 정보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제공되는 서비스는 강의실의 위치, 지정 좌석의 위치와 같은 정보이며 도서관 정보 서버(미도시)와 연계되어 도서의 대출 예약 및 조회 서비스, 도서관 좌석 지정 서비스(시간과 연계) 등을 제공한다.
특히 강의자는 강의자의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의 인식수단(130)을 통하여 수강자의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의 피인식수단(330)에 포함된 수강자 고유의 ID를 인식하여 출입관리도 가능하다.
이와 함께 일반 학사 행정에 해당하는 강의 평가 서비스를 제공하며, 수강자는 이러한 강의 평가 서비스를 통하여 제공되는 온라인 질문을 이용하여 객관식 또는 주관식으로 답한다.
상기 수업 콘텐츠 지원 서버(430)는 수업 강의 정보를 수업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431)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와 상기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수업 콘텐츠 지원 서버(430)는 강의자가 미리 입력한 전자 파일 콘텐츠를 저장해두고, 해당 수강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강의자는 강의 중에 컴퓨터 장치와 프레젠테이션 장치 등을 통하여 강의 교재로 이용할 수 있으며, 실시간 다운로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하여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로 제공된다.
상기 수업 콘텐츠는 당해 수업 자료만이 아니라 참고자료로서 과거에 개설되었던 과목의 자료들과 유사한 타과목의 수업 자료들을 상기 수업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431)로부터 검색하여 수강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온라인으로 인터넷과 연결된 경우에는 외부의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외부의 콘텐츠 등의 링크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상기 수업 콘텐츠들은 필요에 따라 이미지 코드 또는 무선 태그 등의 피인식수단인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오프라인으로 제공된 문서의 상기 이미지 코드 또는 무선 태그를 인식하면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를 통하여 상기 수업 콘텐츠를 제공받는다. 또한 온라인/오프라인 문서의 필요한 부분에 상기 이미지 코드가 부착된 경우 이를 인식하여 관련된 수업 콘텐츠를 제공받는다.
결국 강의자는 인식수단(130)을 통하여 강의 중에 상기 이미지 코드 또는 무선 태그만 인식하여 수업에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 강의에 있어서, 단어가 적힌 카드를 인식시키면 상기 수업 콘텐츠 지원 서버(430)는 해당 단어의 발음 과 관련 콘텐츠를 제공한다.
상기 정보 분석 서버(440)는 시험 또는 과제물에 대한 정보를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441)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와 상기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에 제공한다. 즉, 상기 정보 분석 서버(440)는 상기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441)로부터 시험 문제 또는 과제의 주제어 및 유사어를 검색하는 시 분석 서비스와 자료 유사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정보 분석 서버(440)의 상기 시험 분석 서비스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시험 문제와 그 답안에 대하여 통계적 자료를 만들고 분석하며 그 결과를 상기 성적 평가 서버(410)로 전송하여 성적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 분석 서버(440)는 이러한 분석을 위하여 분석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그리고 시험 문제 및 그 답안에 대한 결과는 상기 성적 평가 서버(410)로부터 전송받아, 강의자 또는 평가자가 상기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의 입력수단(110)을 통하여 상기 시험 문제 및 그 답안을 입력하면 상기 정보 분석 서버(440)는 각 시험 문제의 주제어 검색을 통하여 해당 시험 문제의 주제어와 의도를 분석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정보 분석 서버(440)는 각 시험 문제의 주제어와 수강자들의 특성에 따른 통계적 자료를 만들고 분석하여 그 결과를 상기 성적 평가 서버(410)에 전송함으로써 성적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정보 분석 서버(440)는 각 시험 문제의 정답률과 학생별 성적과 같은 기초 통계 이외에도 각 수강자들의 학년, 전공 등에 따라 독립성 검정 및 상 관도, t-test 등의 다양한 통계자료와 분포도 등 그래프를 통하여 수강자들의 과목에 대한 주제별 이해도를 분석함으로써 강의자에게 수업 내용의 이해도 측정자료를 제공한다.
여기서 강의자는 상기 정보 분석 서버(440)에서 분석된 분석 자료를 가지고 강의에서 보충 자료로 이용함으로써 각 수강자에 따른 맞춤형 강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시험 분석 서비스는 실시간 온라인 테스트에서 더욱 효과적이며, 정규시험(중간고사, 기말고사 등) 뿐만 아니라 강의에 대한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한 비정규시험(퀴즈 등)에도 이용된다. 여기서 강의자가 미리 시험 문제를 입력하면 해당 문제의 주제어를 실시간으로 추출한 후, 시험 종류 후 제시되는 시험 문제의 답안에서 해당 콘텐츠를 링크, 팝업창, 풍선 도움말 등의 형태로 표현하여 연결한다.
상기 정보 분석 서버(440)의 자료 유사도 서비스는 시험 답안 또는 과제물에 대한 유사도를 측정하는 서비스이다. 상기 정보 분석 서버(440)는 제출된 과제물, 시험 답안들을 상호 비교하여 인터넷상의 검색 결과와의 유사도, 과거 축적된 과제물 및 시험 답안들과의 유사도를 측정하여 강의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각 수강자 간의 과제물의 자료 유사도를 그래프나 도표로 표현하여 나타낼 수 있으며, 시험 답안의 경우에는 모범 답안과 비교하여 유사도를 점수화하여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유사도 측정은 특정한 문자열에 대한 빈도 수 측정, 자연어 구문 기법 에 의한 유사도 측정, 특정 어구 변환시의 문서 구조 유사도 측정 등의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유사한 부분과 연관된 자료의 목록에 대하여는 각 과제물의 문서마다 색상 변경, 밑줄 표시, 링크 표시, 풍선 도움말 등의 형태로 표현한다.
이때 상기 유사도만을 이용하여 시험 답안 또는 과제물을 평가할 수 있으나 참조 문헌 표시를 하였는지 여부를 별도로 검사하여 이를 유사문구 검사에서 제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 핵심어가 포함된 6 단어가 연속으로 다른 자료와 동일한 경우 이 문장이나 구절 뒤에 참조 문헌 표시(각주, 미주, 참조 문헌 번호 등)를 검사하고 이를 강의자의 선택에 따라 유사 문구에 포함 또는 제외한다.
특히, 상기 정보 분석 서버(440)는 상기 시험 또는 과제가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상기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441)로부터 문서 포맷정보 또는 알고리즘의 흐름도를 검색하여 과제물을 검사한다.
이 경우 상기 프로그램의 문서 형식과 알고리즘의 흐름(즉, 띄어 쓰기, 프로그램 구조, 블록문의 형태, 프로그램 줄 수, 알고리즘의 유사도)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과제물이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다른 수강자의 과제물에서 변수 의 이름을 바꾸어서 제출하게 되면 유사 문구 검색은 소용이 없게 되므로 문서의 포맷정보와 알고리즘의 흐름도의 검색이 보다 중요하다.
상기 알고리즘의 흐름도의 유사도는 각 블록단위 명령어의 배치, 변환 가능한 명령어 대치에 의한 유사도(예를 들어 for문과 while문, if문과 switch~case문 등), 모듈화 유사도(모듈 하나를 여러 개로 나눈 경우)등을 검사한다. 이를 위하여 문구를 대하거나 한 블록으로 합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유사도를 검사한다.
상기 온라인 상호작용 서버(450)는 수강자와 강의자 사이가 실시간으로 통신할 수 있는 정보를 온라인 상호작용 데이터베이스(451)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와 상기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에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온라인 상호작용 서버(450)는 수업을 위하여 강의자와 수강자 사이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지원하기 위하여 실시간 질의응답 서비스와 학생 신상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실시간 질의응답 서비스는 상호 간의 질의 응답을 지원하는 것으로 온라인 게시판, 문자 메시지, 온라인 채팅(IRC, MSN, Nate on) 등을 제공한다. 수강자는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데, 해당 주제어는 상기 정보 분석 서버(440)에 의하여 주제어로 등록이 된다. 이때 수강자는 상기 주제어를 클릭하는 경우 연관된 자료를 조회하여 제공받는다.
또한 상기 온라인 상호작용 서버(450)는 강의실에서는 좌석에 배치된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의 입력수단(310) 및 출력수단(320)을 통하여 특정 수강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수강자의 피인식수단(330)을 강의자의 인식수단(130)을 통하여 인식하여 이를 삼각측량 방법에 의하여 좌표로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강의자는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의 출력수단(120)을 통하여, 수강자는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의 출력수단(320)을 통하여 여러 가지 콘텐츠를 출력한다. 즉 수강자의 준비한 자료에 구비된 피인식수단(330)을 강의자의 인식수단 (130)을 인식하면 수강자의 출력수단(320)을 통하여 즉석에서 프레젠테이션이 가능하며, 수강자는 수강자의 입력수단(310)을 가지고 이를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e-Class 성적 평가방법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e-Class 관리 시스템에 의하여 강의자가 수강자의 성적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하여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6은 e-Class 성적 평가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7은 e-Class 성적 평가방법에 있어서 과제물 평가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8은 e-Class 성적 평가방법에 있어서 시험성적 평가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9는 e-Class 성적 평가방법에 있어서 프로젝트 성적 평가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e-Class 성적 평가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들((1)단계~(9)단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1)단계에서는 유무선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관리 시스템에 강의자가 접속하며, 상기 관리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e-Class 관리 시스템인 것이 바람직하다.
(2)단계에서는 강의자가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의 입력수단(110)을 통하여 성적 평가 서버(410)를 통하여 출석 현황, 과제물 평가, 시험성적 평가, 수업 참여도 평가 및 프로젝트 평가를 성적 평가 요소로 설정한다.
(3)단계에서는 상기 평가 요소 각각에 대하여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고, (4)단계에서는 학사 행정 서버(420)의 학사 행정 데이터베이스(421)로부터 제공받은 출석 현황과 수업 참여도 정보를 가지고 상기 출석 현황 및 수업 참여도 평가를 수행한다.
(5)단계에서는 수업 콘텐츠 지원 서버(430)로부터 제공받은 수업 콘텐츠 정보를 정보 분석 서버(440)에서 분석한 과제물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상기 과제물 평가를 수행한다.
(6)단계에서는 수업 콘텐츠 지원 서버(430)로부터 제공받은 수업 콘텐츠 정보를 정보 분석 서버(440)에서 분석한 시험 성적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상기 시험성적 평가를 수행한다.
(7)단계에서는 성적 평가 서버(410)로부터 제공받은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상기 프로젝트 평가를 수행하고, (8)단계에서는 수강자가 강사 및 수업 내용에 대한 평가를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의 입력수단(310)을 통하여 입력하여 성적 평가 서버(410)로 전송한다.
(9)단계에서는 상기 (4)단계 내지 (8)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출석 현황, 출석 현황, 과제물 평가, 시험성적 평가, 수업 참여도 평가 및 프로젝트 평가를 상기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최종 성적 평가를 수행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e-Class 성적 평가방법에 있어서 과제물 평가방법인 상기 (5)단계는 아래와 같은 단계들((5.1)단계~(5.7)단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5.1)단계에서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리 시스템에 수강자가 더 접속 하고, (5.2)단계에서는 강의자가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의 입력수단(110)을 통하여 과제물의 제목, 내용, 기한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정보 분석 서버(440)의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441)에 저장한다.
(5.3)단계에서는 상기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441)에 저장된 과제물의 제목, 내용, 기한에 대한 정보를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의 출력수단(330)으로 제공한다.
(5.4)단계에서는 수강자가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의 입력수단(310)을 통하여 과제물을 입력하여 정보 분석 서버(440)의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441)에 저장한다.
(5.5)단계에서는 상기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441)에 저장된 과제물에 대하여 인터넷상에서 과제물에 대한 검색결과, 과거에 제출된 과제물, 다른 수강자에 의하여 제출된 과제물과의 유사도를 추출한다.
상기 (5.5)단계에서 상기 유사도는 과제물의 특정한 문자열에 대한 빈도 수 측정, 자연어 구문 기법에 의한 유사도 측정 및 특정 어구 변환시의 문서 구조의 유사도 측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추출한다.
여기서 문자열에 대한 빈도 수 측정, 자연어 구문 기법에 의한 유사도 측정 및 특정 어구 변환시의 문서 구조의 유사도 측정은 인터넷상의 검색 엔진에서 사용되는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5.5)단계에서 상기 유사도 추출에 의하여 유사하게 판단된 부분을 소정의 표현수단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소정의 표현수단은 색상 변경, 밑줄 표 시, 링크 표시, 풍선 도움말과 같은 표현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5.5)단계에서 상기 유사도 추출시 참조문헌의 표시가 있는 경우 유사문구 검사에서 제외한다. 즉, 통상 핵심어가 포함된 6 단어가 연속으로 다른 자료와 동일한 경우에 이 문장이나 구절 뒤에서 참조문헌 표시(각주, 미주, 참조문헌 번호 등)를 검사하고 이를 강의자의 선택에 따라 유사문구에 포함 또는 제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5.5)단계에서 상기 유사도 측정시 수강자들 사이의 유사도에 의한 상관관계도를 도시하여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의 출력수단(130)과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의 출력수단(330)에 제공한다. 여기서 상관관계도는 친밀도 관계그래프와 같이 화살표를 사용하여 나타내거나 트리구조로 나타낼 수 있다.
(5.6)단계에서는 상기 정보 분석 서버(440)에서 상기 유사도를 점수화하여 과제물의 평가 결과를 도출한다. 또한 상기 (5.6)단계에서 상기 유사도를 그래프 또는 도표로 나타낸다.
(5.7)단계에서는 상기 도출된 과제물의 평가 결과를 강의자용 인터페이스 (100)의 출력수단(130) 및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의 출력수단(330)으로 제공한다.
한편, 상기 과제물이 프로그램 작성 과제물인 경우 상기 (5.5)단계는 상기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441)에 저장된 과제물에 대하여 프로그램 문서 포맷 정보의 유사도를 추출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프로그램 문서 포맷 정보의 유사도는 상기 프로그램 문서의 블럭 단위 명령어의 배치, 변환 가능한 명령어로 대치에 의한 유사도 및 모듈화의 유사도를 말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e-Class 성적 평가방법에 있어서 시험성적 평가방법인 (6)단계는 아래와 같은 단계들((6.1)단계~(6.7)단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6.1)단계에서는 유무선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관리 시스템에 수강자가 더 접속하고, (6.2)단계에서는 강의자가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의 입력수단(110)을 통하여 시험문제 및 모범답안을 입력하여 정보 분석 서버(440)의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441)에 저장한다.
(6.3)단계에서는 상기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441)에 저장된 시험문제를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의 출력수단(330)으로 제공하고, (6.4)단계에서는 수강자가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의 입력수단(310)을 통하여 상기 시험문제에 대한 시험답안을 입력하여 정보 분석 서버(440)의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441)에 저장한다.
(6.5)단계에서는 상기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441)에 저장된 시험답안에 대하여 다른 수강자들의 시험답안, 과거 시험답안 및 모범답안과의 유사도를 추출한다.
상기 (6.5)단계는 (6.5.1)상기 정보 분석 서버(440)가 상기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441)에 저장된 모범답안의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와, (6.5.2)상기 정보 분석 서버(440)가 상기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441)에 저장된 시험답안에 있어 상기 키워드를 검색하는 단계와, (6.5.3)상기 (6.5.2)단계의 키워드 검색하여 시험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상기 (6.7)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6.5)단계에서 상기 유사도는 시험답안의 특정한 문자열에 대한 빈도 수 측정, 자연어 구문 기법에 의한 유사도 측정 및 특정 어구 변환시의 문서 구조의 유사도 측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추출한다. 여기서 추출방법은 과제물 평가방법에서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6.5)단계에서 상기 유사도 추출에 의하여 유사하게 판단된 부분을 소정의 표현수단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소정의 표현수단은 과제물 평가방법에서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6.5)단계에서 상기 유사도 측정시 수강자들 사이의 유사도에 의한 상관관계도를 도시하여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의 출력수단(130)과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의 출력수단(330)에 제공한다. 여기서 상관관계도는 과제물 평가방법에서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6.6)단계에서는 상기 정보 분석 서버(440)에서 상기 유사도를 점수화하여 시험결과를 도출한다. 또한 상기 (6.6)단계에서 상기 유사도를 그래프 또는 도면으로 나타낸다.
(6.7)단계에서는 상기 도출된 시험결과를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의 출력수단(130) 및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의 출력수단(330)으로 제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는 e-Class 성적 평가방법에 있어서 프로젝트 평가방법인 상기 (7)단계는 아래와 같은 단계들((7.1)단계~(7.6)단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7.1)단계에서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리 시스템에 수강자가 더 접 속하고, (7.2)단계에서는 강의자가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의 입력수단(110)을 통하여 프로젝트의 내용을 입력하여 정보 분석 서버(440)의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441)에 저장한다.
(7.3)단계에서는 상기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440)에 저장된 프로젝트의 내용을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의 출력수단(330)으로 제공한다.
(7.4)단계에서는 수강자가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의 입력수단(330)을 통하여 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결과물을 입력하여 정보 분석 서버(440)의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441)에 저장한다.
(7.5)단계에서는 상기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441)에 저장된 프로젝트에 대한 결과물을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의 출력수단(130)에 제공하여 강의자가 프로젝트에 대한 평가를 수행한다.
상기 (7.5)단계는 상기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441)에 저장된 프로젝트에 대한 결과물을 다른 프로젝트 팀의 수강자의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의 출력수단(330)에 더 제공하여 다른 프로젝트팀의 수강자도 프로젝트에 대한 평가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평가는 강의자와 다른 프로젝트 수강자의 평가에 각각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프로젝트에 대한 평가를 수행한다.
(7.6)단계에서는 상기 도출된 프로젝트에 대한 평가를 프로젝트를 입력한 수강자의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의 출력수단(330)으로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e-Class 관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수강자는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를 통하여 e-Class 관리 시스템에 로그인함으로써 강의 정보와 강의실 및 자신의 좌석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강의실과 실험실에 따라서 장소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변경된 장소의 건물과 위치, 좌석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강의를 받는다.
또한 수강자는 강의에 대한 일반 정보(예를 들어 강의 계획, 교재, 강사와 조교의 정보, 선행과목, 전공학점, 수업시간 변경 및 휴강, 보강 계획 등)도 제공받는다. 이때 강의실을 확인한 수강자는 해당 건물과 강의실, 좌석으로 접근할 때에는 수강자의 피인식수단(330)을 통하여 GPS와 건물 내의 무선인식(RFID) 등의 무선센서의 정보를 수신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수강자가 강의실에 도착하면 수강자에 대한 출석 현황이 체크되는데, 강의실이나 좌석 등에 비치된 강의자의 인식수단(130)에 수강자의 피인식수단(330)-예를 들어 바코드, 2D 코드, RFID, 스마트칩 등-을 가까이 가져가면 수강자를 인식하여 해당 강의와 관련된 출석 현황 정보를 성적 평가 서버(410)의 성적 평가 데이터이스(411)에 저장한다.
여기서 센서 대신 컴퓨팅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지문인식기를 통한 생체인식 정보를 인식하여 출석 현황을 파악하거나 미리 지정된 좌석에 앉으면 압력센서를 통하여 출석 현황을 파악한다. 또한 수강자가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의 입력수단(310)을 통하여 ID와 비밀번호를 직접 입력함으로써 출석 현황을 파악한다.
이어서 출석이 확인되면 자동으로 e-Class 관리 시스템에 로그인되거나 수강자가 별도로 상기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를 통하여 접속하여 로그인한다.
강의자는 수강자들의 출석 현황 및 좌석 배치도를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을 통하여 제공받으며,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좌석 배치도에서 해당 좌석을 선택함으로써 학생의 신상 명세나 학생의 모습을 카메라 화면을 통하여 제공받는다.
또한 강의자는 수업 콘텐츠 지원 서버(430)에 미리 등록된 디지털 콘텐츠를 강의자용 계정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데, 자신이 준비하거나 상기 수업 콘텐츠 지원 서버(430)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콘텐츠를 각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의 출력단(320)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서 수강자의 출력수단(320)인 개인용 모바일 컴퓨팅 장치(예를 들어 PDA, 스마트 폰, 노트북 등) 또는 좌석의 컴퓨팅 장치(예를 들어 PC, POS, KIOSK, 내장형 컴퓨터)에 실시간으로 전송하거나 다운로드를 시켜서 각 수강자가 조회, 검색, 저장, 수정, 협동 작업 등을 수행한다. 또한 이렇게 수강자가 수행한 작업의 결과는 실시간으로 갱신되어 상기 수업 콘텐츠 지원 서버(430)에서 수강자에게 제공된다.
예를 들어 수강자의 출력수단(320)을 통하여 출력된 콘텐츠 화면에 수강자의 입력수단(310)-여기서 입력수단은 자판, 마우스, 전자펜, 터치 스크린 등을 말한다-을 통하여 수정사항을 입력하고, 이를 수강자 개인용으로 저장할 수 있고 수업 콘텐츠 지원 서버(430)로 전송하여 모두가 수정된 내용을 실시간으로 검색한다. 이때 수강자에 의한 이러한 수정 및 저장 권한에 대한 관리는 강의자가 부여한다.
또 다른 예로 강의자가 콘텐츠를 공유하려는 경우 콘텐츠 목록에서 자료를선택한 후 이를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로 전송하면 수강자는 출력수단(320)을 통하여 상기 자료를 확인한다. 이에 수강자들은 강의자로부터 권한을 받아서 수업 컴퓨팅 장치를 지정하고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를 통하여 상기 수업 콘텐츠 지원 서버(430)로 전송하거나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로 전송하여 강의자가 상기 수업용 컴퓨팅 장치에 전송함으로써 모두가 공유한다.
또한 상기 온라인 상호작용 서버(440)가 제공하는 실시간 채팅 서비스를 통하여 모든 수강자 또는 지정된 수강자들과 정보를 공유하며, 각 수강자는 피인식수단(330)인 이미지 코드나 무선 태그 등의 센서로 인식하여 해당 콘텐츠를 다운받아 이용한다. 상기 온라인 상호작용 서버(440)는 실시간 채팅창을 제공하여 지정된 자들(전체, 조 단위, 강사, 조교, 특정 학생 그룹 등)에게 메시지를 서로 공유한다.
강의자는 강의 중간에 미리 준비한 온라인 시험 문제를 통하여 강의의 이해도를 측정할 수 있고,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의 입력수단(110)을 통하여 시험 시작시간과 시험 종료시간을 입력하고 시험 문제 파일을 지정하여 상기 성적 평가 서버(410)를 통하여 수강자들에게 전송한다. 이에 수강자들은 해당 시험 시간 동안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의 입력수단(310)인 자판 입력, 문자 인식, 위치 선택, 음성 입력 등을 통하여 시험 문제를 푼다. 여기서 상기 시험 시간에 대한 시간 정보는 상기 수강자용 인터페이스(300)의 출력수단(320)에 의하여 출력된다.
상기 시험 시간이 종료하면 자동으로 온라인 시험이 종료하고 각 수강자가 수강자의 입력수단(310)을 통하여 입력한 답안들은 상기 정보 분석 서버(440)를 통 하여 정답과 유사도를 체크하여 성적을 산출하거나 강의자가 강의자의 입력수단(110)을 통하여 성적을 입력할 수 있다.
이렇게 성적이 산출되면, 상기 정보 분석 서버(440)는 상기 시험 문제들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수험자들의 답안에 대한 통계적인 분석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서 수강자들의 강의에 대한 이해도를 측정하여 이를 강의자에게 제공하고 각 수강자들에게는 각 수강자의 시험 결과를 제공한다.
또한 강의자는 수강자들에게 각 시험 문제에 대하여 참조할 수 있는 자료들의 목록과 이와 연관된 자료들을 상기 수업 콘텐츠 지원 서버(430)로부터 다운로드, 풍선 도움말, 각주, 미주 및 하이퍼링크 등을 통하여 제공받는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학사 행정 서버(420)를 통하여 도서관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미리 도서자료 대출을 예약한다.
강의자가 입력수단(110)을 통하여 과제물 제출을 위하여 기한을 입력하고 각 수강자별 또는 프로젝트 팀별로 제출할 수 있도록 하면, 각 수강자들은 정해진 기한에 e-Class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자신의 과제물이나 프로젝트 결과물들을 온라인으로 제출한다. 또한 강의자는 기한이 종료되면 과제물의 제출을 금지하거나 또는 소정의 감점 정보(예를 들어 하루 지연시 -1점)를 이용하여 성적에 반영한다.
또한 강의자는 상기 정보 분석 서버(440)를 통하여 각 과제물에 대한 각 수강자 사이의 유사도, 과거 자료 유사도 등의 정보를 제공받고, 강의자가 상기 과제물을 조회할 때 해당 부분을 별도로 표시하고 연관되는 자료들의 목록과 하이퍼링크를 표시해줌으로써 강의자(또는 평가자)가 과제물에 대한 성적 평가에 있어서 도 움이 된다. 여기서 강의자가 성적을 입력하면 상기의 과제물 제출 기한이 참조되어 자동으로 감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젝트 발표의 경우, 강의자는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의 프로젝트 관리자를 통하여 각 프로젝트 팀을 통하여 입력하거나 학생들이 구성한 각 프로젝트 팀의 명단을 입력받아 조 단위로 구성하고 보고서 제출, 프로젝트 발표 자료 등의 상황을 조회하고 관리한다.
수강자들은 자신이 속한 프로젝트 팀만을 조회할 수 있으며, 자신이 속한 프로젝트 팀을 관리하고 자료를 제출하며, 상기 프로젝트 팀 관리에는 조 이름, 조 구성원의 간략한 정보, 프로젝트 추진 일정 관리, 프로젝트 보고서 및 결과물 제출 서비스가 포함된다.
강의자가 평가 항목을 작성하여 입력수단(110)을 통하여 입력하면, e-Class 관리 시스템은 각 프로젝트 팀별 또는 각 수강자와 강의자 등 지정된 자들에게 평가 항목 메뉴를 제공한다.
여기서 수강자들은 자신이 속한 프로젝트 팀에 대한 평가를 할 수는 없으며, 강의자가 입력수단(110)을 통하여 평가 결과를 입력하면 합산, 평균, 중간값, 최고/최저점 제외 등을 하여 점수를 산출한다. 이 경우 강의자는 수강자별로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강사는 전체 점수의 30%, 각 수강자들은 전체 점수의 70%로 설정할 수 있다.
강의 시간 중에 강의자는 상기 온라인 상호작용 서버(450)를 통하여 질문을 받거나 답변을 할 수 있으며, 수강자의 수업 참여도에 따라서 수강자별로 점수를 부여한다. 여기서 출석 현황, 과제물 성적, 시험 성적, 수업 참여도, 프로젝트 성적에 의한 점수들은 강의자가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고려하여 합산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가중치는 과제물 성적 30%, 프로젝트 30%, 시험 성적 30%, 출석 현황 및 수업 참여도 10%로 설정하여 합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가중치는 출석 현황, 과제물 성적, 시험 성적, 수업 참여도, 프로젝트 성적 각각에서 설정될 수 있고 합산 과정에서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산출된 상기 점수는 강의자가 공개를 하는 경우에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온라인 상호 작용 서버(450)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수강자가 조회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이의신청을 하거나 점수 확인을 다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학기말의 경우 강의자가 입력한 소정의 성적 확인 기간이 종료하면, 강의자가 입력수단(110)을 통하여 평점(A+~F, Pass, Non-pass 등)을 입력하거나 e-Class 관리 시스템에 의하여 소정의 학사기준(30% A, 30% B 등)에 따라 자동으로 평점이 산출된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성적 확인 기간과 소정의 학사기준은 강의자 또는 학교에서 정하여진 기준을 따라서 설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e-Class 관리 시스템은 상기 학사 행정 서버(420)를 통하여 수강자들의 강의 평가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강의자가 입력시킨 평가 항목은 강의자용 인터페이스(100)를 통하여 수강자들에게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평가 항목은 소정의 기간 동안에만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수강자가 입력한 강의 평가는 강의자에게 제공된다.
강의시간 동안 강의 내용은 멀티미디어 형태로 상기 수업 콘텐츠 지원 서버(430)의 수업 콘텐츠 지원 데이터베이스(431)에 저장되어 추후에 이를 다시 조회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e-Class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성적 평가 서버, 학사 행정 서버, 수업 콘텐츠 지원 서버, 정보 분석 서버, 온라인 상호 작용 서버를 제공함으로써 통합적인 전자 학사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여 보다 효율적인 학사 관리를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강자와 강의자가 각각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함으로써 수강자와 강의자가 실시간으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e-Class 성적 평가방법에 의하면 수강자의 성적 평가에 있어서 출석현황, 과제물 평가, 시험성적 평가, 수업 참여도 평가, 프로젝트 성적 평가를 성적 평가 요소로 함으로써 지능화된 성적 평가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과제물 평가, 시험성적 평가, 프로젝트 성적 평가에 대한 별도의 지능화된 성적 평가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강의실에 위치하며,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강의자용 인터페이스 및 관리 서버와 정보를 주고받는 다수의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와,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강자용 인터페이스 및 상기 관리 서버와 정보를 주고받으며, 상기 강의실에 출석한 수강자의 수강자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수단을 포함하는 강의자용 인터페이스와,
    성적 평가 서버, 학사 정보 서버, 수업 콘텐츠 정보 서버, 정보 분석 서버, 및 온라인 상호작용 서버를 포함하는 관리서버와, 및
    상기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와 상기 관리 서버와 상기 강의자용 인터페이스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e-Class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1)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리 서버에 강의자가 접속하는 단계;
    (2)강의자가 강의자용 인터페이스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성적 평가 서버를 통하여 출석 현황, 과제물 평가, 시험성적 평가, 수업 참여도 평가 및 프로젝트 평가를 성적 평가 요소로 설정하는 단계;
    (3)상기 평가 요소 각각에 대하여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4)학사 정보 서버의 학사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받은 출석 현황과 수업 참여도 정보를 가지고 상기 출석 현황 및 수업 참여도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5)수업 콘텐츠 정보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수업 콘텐츠 정보를 정보 분석 서버에서 분석한 과제물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상기 과제물의 특정한 문자열에 대한 빈도 수 측정, 자연어 구문 기법에 의한 유사도 측정 및 특정 어구 변환시의 문서 구조의 유사도 측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상기 과제물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6)수업 콘텐츠 정보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수업 콘텐츠 정보를 정보 분석 서버에서 분석한 시험 성적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상기 시험답안의 특정한 문자열에 대한 빈도 수 측정, 자연어 구문 기법에 의한 유사도 측정 및 특정 어구 변환시의 문서 구조의 유사도 측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상기 시험성적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7)성적 평가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상기 프로젝트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8)수강자가 강사 및 수업 내용에 대한 평가를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하여 성적 평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9)상기 (4)단계 내지 (8)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출석 현황, 출석 현황, 과제물 평가, 시험성적 평가, 수업 참여도 평가 및 프로젝트 평가를 상기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최종 성적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6)단계는,
    (6.1)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리 서버에 수강자가 더 접속하는 단계;
    (6.2)강의자가 강의자용 인터페이스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시험문제 및 모범답안을 입력하여 정보 분석 서버의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6.3)상기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시험문제를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의 출력수단으로 제공하는 단계;
    (6.4)수강자가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상기 시험문제에 대한 시험답안을 입력하여 정보 분석 서버의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6.5)상기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시험답안에 대하여 다른 수강자들의 시험답안, 과거 시험답안 및 모범답안과의 유사도를 추출하는 단계;
    (6.6)상기 정보 분석 서버에서 상기 유사도를 점수화하여 시험결과를 도출하는 단계; 및
    (6.7)상기 도출된 시험결과를 강의자용 인터페이스의 출력수단 및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의 출력수단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lass 성적 평가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5)단계는
    (5.1)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리 서버에 수강자가 더 접속하는 단계;
    (5.2)강의자가 강의자용 인터페이스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과제물의 제목, 내용, 기한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정보 분석 서버의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5.3)상기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과제물의 제목, 내용, 기한에 대한 정보를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의 출력수단으로 제공하는 단계;
    (5.4)수강자가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과제물을 입력하여 정보 분석 서버의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5.5)상기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과제물에 대하여 인터넷상에서 과제물에 대한 검색결과, 과거에 제출된 과제물, 다른 수강자에 의하여 제출된 과제물과의 유사도를 추출하는 단계;
    (5.6)상기 정보 분석 서버에서 상기 유사도를 점수화하여 과제물의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 및
    (5.7)상기 도출된 과제물의 평가 결과를 강의자용 인터페이스의 출력수단 및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의 출력수단으로 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lass 성적 평가방법.
  8. 삭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5.5)단계에서
    상기 유사도 추출에 의하여 유사하게 판단된 부분을 소정의 표현수단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lass 성적 평가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5.5)단계에서
    상기 유사도 추출시 참조문헌의 표시가 있는 경우 유사문구 검사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lass 성적 평가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5.5)단계에서
    상기 유사도 측정시 수강자들 사이의 유사도에 의한 상관관계도를 도시하여 강의자용 인터페이스의 출력수단과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의 출력수단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lass 성적 평가방법.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5.6)단계에서
    상기 유사도를 그래프 또는 도표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lass 성적 평가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6.5)단계는
    (6.5.1)상기 정보 분석 서버가 상기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범답안의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6.5.2)상기 정보 분석 서버가 상기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시험답안에 있어 상기 키워드를 검색하는 단계; 및
    (6.5.3)상기 (6.5.2)단계의 키워드 검색하고 시험결과를 도출하여 상기 (6.7)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lass 성적 평가방법.
  17. 삭제
  1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6.5)단계에서
    상기 유사도 추출에 의하여 유사하게 판단된 부분을 소정의 표현수단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lass 성적 평가방법.
  1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6.5)단계에서
    상기 유사도 측정시 수강자들 사이의 유사도에 의한 상관관계도를 도시하여 강의자용 인터페이스의 출력수단과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의 출력수단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lass 성적 평가방법.
  2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6.6)단계에서
    상기 유사도를 그래프 또는 도면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lass 성적 평가방법.
  2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7)단계는
    (7.1)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리 시스템에 수강자가 더 접속하는 단계;
    (7.2)강의자가 강의자용 인터페이스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프로젝트의 내용을 입력하여 정보 분석 서버의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7.3)상기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프로젝트의 내용을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의 출력수단으로 제공하는 단계;
    (7.4)수강자가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결과물을 입력하여 정보 분석 서버의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7.5)상기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프로젝트에 대한 결과물을 강의자용 인터페이스의 출력수단에 제공하여 강의자가 프로젝트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및
    (7.6)상기 도출된 프로젝트에 대한 평가를 프로젝트를 입력한 수강자의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의 출력수단으로 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lass 성적 평가방법.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7.5)단계는
    상기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프로젝트에 대한 결과물을 다른 프로젝트 팀의 수강자의 수강자용 인터페이스의 출력수단에 더 제공하여 다른 프로젝트 팀의 수강자도 프로젝트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lass 성적 평가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평가는
    강의자와 다른 프로젝트 수강자의 평가에 각각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프 로젝트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lass 성적 평가방법.
KR1020050131261A 2005-12-28 2005-12-28 e―Class 관리 시스템과 성적 평가방법 KR100797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261A KR100797225B1 (ko) 2005-12-28 2005-12-28 e―Class 관리 시스템과 성적 평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261A KR100797225B1 (ko) 2005-12-28 2005-12-28 e―Class 관리 시스템과 성적 평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839A KR20070087839A (ko) 2007-08-29
KR100797225B1 true KR100797225B1 (ko) 2008-01-23

Family

ID=38613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1261A KR100797225B1 (ko) 2005-12-28 2005-12-28 e―Class 관리 시스템과 성적 평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72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910A (ko) 2018-09-21 2020-01-14 최재호 업무객체 기반의 업무평가조회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891B1 (ko) 2017-12-27 2019-07-3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로그램 코드 평가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926312B1 (ko) 2018-07-27 2018-12-06 함기철 재능경력중심 학점인정 학사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재능기부은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185897B1 (ko) * 2019-09-05 2020-12-0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교과목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방법
CN112926934A (zh) * 2021-02-02 2021-06-08 深圳市绿蕴科技有限公司 一种教学评价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20128493A (ko) 2021-03-04 2022-09-21 함기철 인공지능 기반 재능 경력 인정 학사관리 및 재능 기부 은행 서비스 시스템
KR102645986B1 (ko) * 2021-04-14 2024-03-11 국립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2555120B1 (ko) 2022-04-13 2023-07-13 함기철 인공지능 기반 재능 경력 인정 학사관리, ar과 홀로그램을 이용한 명예의 전당 및 재능 기부 은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143A (ko) * 2001-04-28 2001-07-13 송용호 컴퓨터를 이용한 양방향 원격교육 방법
KR20010067628A (ko) * 2001-02-23 2001-07-13 강민구 무선인터넷에서 학사관리 방법
KR20010102588A (ko) * 2000-05-01 2001-11-16 김철주 인터넷과 정보통신 네트웍망을 이용한 인터넷 온라인교육정보 제공 서비스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020034378A (ko) * 2000-11-01 2002-05-09 이성열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교육을 수행하는 방법과시스템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20051901A (ko) * 2002-04-23 2002-06-29 황동준 인터넷을 이용한 방송통신대학 학사관리 서비스방법
KR20040064681A (ko) * 2004-06-30 2004-07-1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로그램 소스의 표절 탐색 방법 및 이를 이용한프로그래밍 과제의 채점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2588A (ko) * 2000-05-01 2001-11-16 김철주 인터넷과 정보통신 네트웍망을 이용한 인터넷 온라인교육정보 제공 서비스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020034378A (ko) * 2000-11-01 2002-05-09 이성열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교육을 수행하는 방법과시스템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10067628A (ko) * 2001-02-23 2001-07-13 강민구 무선인터넷에서 학사관리 방법
KR20010068143A (ko) * 2001-04-28 2001-07-13 송용호 컴퓨터를 이용한 양방향 원격교육 방법
KR20020051901A (ko) * 2002-04-23 2002-06-29 황동준 인터넷을 이용한 방송통신대학 학사관리 서비스방법
KR20040064681A (ko) * 2004-06-30 2004-07-1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로그램 소스의 표절 탐색 방법 및 이를 이용한프로그래밍 과제의 채점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910A (ko) 2018-09-21 2020-01-14 최재호 업무객체 기반의 업무평가조회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839A (ko) 200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7225B1 (ko) e―Class 관리 시스템과 성적 평가방법
Osujı The use of e-assessments in the Nigerian higher education system
CN110751363B (zh) 智慧培训评价系统和方法
KR101576727B1 (ko) Qr코드 및 앱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연동 학습 시스템
Christian et al. Increasing college acces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Naviance: An exploratory study.
KR102289954B1 (ko) 교육 솔루션 시스템
KR102283804B1 (ko) 장애인 직무 교육을 이용한 지능형 멀티미디어 잡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30222A (ko) 문제를 풀고 해당 문제의 해설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체계적인 구축 방법
Yusra et al. Teacher agency and the implementation of CEFR-like policies for English for tourism and hospitality: insights from local vocational high schools in Indonesia
Tuccio et al. Using conversation analysis in data-driven aviation training with large-scale qualitative datasets
Speights Atkins et al. Implementation of an automated grading tool for phonetic transcription training
WO20191503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earning, monitoring and managing the educational progress
KR20200015054A (ko) 서답형 모의시험 평가 자동화 시스템
US20080046232A1 (en) Method and System for E-tol English language test online
KR102282307B1 (ko) 영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02136A (ko) 사용자 맞춤형 실시간 평가 및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260518B (zh) 一种校园信息管理系统
Cordes Instructional Design Essentials: A Practical Guide for Librarians
JP7435944B1 (ja) 研修支援システム、研修支援方法、および研修支援プログラム
Dharma et al. GOP-LeS: Practical Learning Innovation in Managing Office Administration in Groups
Said ICT accessibility solutions to persons with visual impairment at the Open University of Tanzania
JP2002221892A (ja) 教育支援システム
Nyazi Applying the Stages of Concern Theory to Understanding of Faculty Perceptions of Online Teaching
KR102284500B1 (ko) 학습자 성향 교정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Oddis et al. A Framework for Analyzing Features of Writing Curriculum in Studies of Student Writing Achiev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