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5897B1 -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교과목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방법 - Google Patents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교과목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5897B1
KR102185897B1 KR1020190109977A KR20190109977A KR102185897B1 KR 102185897 B1 KR102185897 B1 KR 102185897B1 KR 1020190109977 A KR1020190109977 A KR 1020190109977A KR 20190109977 A KR20190109977 A KR 20190109977A KR 102185897 B1 KR102185897 B1 KR 102185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competency
tool
scoring
c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경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09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58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3Education institution selection, admissions, or financial a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3Score-carding, benchmarking or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수 단말에 교과목에 대한 평가 설계 및 채점을 위한 툴을 제공하여 교수 단말에 의해 평가 설계 및 채점을 위한 항목들이 입력되면 이에 따라 교과목에 대한 평가 설계를 해주고 채점 결과를 제공하는 교과목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교과목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방법{SERVER FOR EVALUATION DESIGN, SCORING OF SUBJECT AND COURSE OUTCOME ANALYSIS, AND METHOD OF EVALUATION DESIGN, SCORING OF SUBJECT AND COURSE OUTCOME ANALYSIS USING THE SERVER}
본 발명은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수 단말에 교과목에 대한 평가 설계 및 채점을 위한 툴을 제공하여 교수 단말에 의해 평가 설계 및 채점을 위한 항목들이 입력되면 이에 따라 교과목에 대한 평가 설계를 해주고 채점 결과를 제공하는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비쿼터스(ubiquitous) 컴퓨팅 기술과 모바일 컴퓨팅 기술을 접목하여 대학 등을 중심으로 지능화된 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추세이다. 전통적인 원격수업(remote class)은 물론이고 모바일 컴퓨팅 장비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수업 중에 강의자와 수강자 간의 정보를 주고받는 서비스도 점차 도입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 샌디에고 대학에서는 Active Campus와 Active Class 프로젝트를 통하여 실시간 채팅과 강의 자료 다운로드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일본의 도쿠시마 대학에서는 무선인식(RFID)을 이용하여 사물의 일본어와 영어 단어를 알려주는 탱고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고, 독일의 하노버 대학에서는 Ubicampus라는 이름으로 강의 노트 다운로드, 작업 배정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각 대학에서 모바일 캠퍼스라는 이름으로 학사 행정 서비스를 휴대전화나 PDA를 통하여 서비스를 하고 있으며, 도서관 관리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온라인을 통해 시험문제를 제공하여 수험자가 전자 단말기를 이용해 답안을 작성하면 이를 평가하여 채점 결과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존재하였지만, 온라인으로 교수가 교과목에 대해 평가기준을 설정하고 이를 이용해 평가를 하여 결과를 도출해 내는 방법은 존재하지 않았다.
한편, 종래의 교과목에 대한 평가는 교수가 엑셀과 같은 툴을 이용하여 평가 항목을 일일이 입력하여 평가 항목을 설계하고, 그 설계된 평가 항목에 변수를 입력하여 채점 결과를 도출해내는 방식이므로, 교수마다 양식이 상이하므로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 공개 2001-0104815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수에게 교과목에 대한 평가 설계 및 채점을 위한 툴을 제공함으로써 형식을 일원화할 수 있어 통합적으로 교과목에 대한 평가를 관리할 수 있게 하는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는 교수 단말과 유, 무선으로 연결되어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을 수행하는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로서, 교과목의 "역량" 및 "역량율"이 기록되어 있고 "하위요소" 및 "정의"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교과목 역량 정의표 툴을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하위요소" 및 "정의"의 항목이 기록되면 교과목 역량 정의표를 작성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 교과목 역량 정의부; "수업 목표"와 "관련 역량" 및 "배점"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하도록 구성된 수업 목표 역량 설정부; "수업 방법", "세부 진행 방법" 및 "관련 역량"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하도록 구성된 수업 방법 역량 매칭부; 상기 "수업 목표"에 대한 "평가 도구", "평가 배점", "관련 역량" 및 "평가 방법"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하도록 구성된 수업 목표에 대한 평가 도구 및 관련 역량 설정부; 상기 "평가 도구"에 대한 "평가 준거" 및 "평가 배점"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하도록 구성된 평가 도구에 대한 평가 준거 설정부; 상기 "평가 준거"에 대한 "수준별 평가 배점" 및 "배점 정의"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하도록 구성된 평가 준거에 대한 수준별 평가 배점 및 배점 정의부; 상기 "수업 목표"에 대한 "세부 목표 점수"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하도록 구성된 수업 목표에 대한 세부 목표 점수 설정부; 평가 도구별, 역량별 및 목표별 달성도의 점수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채점 결과표의 툴을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하도록 구성된 채점 결과표 작성부; 상기 채점 결과표에서 수업 목표별 달성도 결과를 추출하여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수업 목표별 달성도 제공부; 상기 채점 결과표에서 역량별 달성도 결과를 추출하여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역량별 달성도 제공부; 및 상기 채점 결과표에서 평가 도구별 달성도 결과를 추출하여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평가 도구별 달성도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에 있어서, 상기 교과목 역량 정의표에서, 교과목의 "역량" 및 "역량율"은 강의 계획표에서 추출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방법은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가 교과목의 "역량" 및 "역량율"이 기록되어 있고 "하위요소" 및 "정의"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교과목 역량 정의표 툴을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하위요소" 및 "정의"의 항목이 기록되면 교과목 역량 정의표를 작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가"수업 목표"와 "관련 역량" 및 "배점"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하는 단계; 상기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가"수업 방법", "세부 진행 방법" 및 "관련 역량"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하는 단계; 상기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가 상기 "수업 목표"에 대한 "평가 도구", "평가 배점", "관련 역량" 및 "평가 방법"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하는 단계; 상기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가 상기 "평가 도구"에 대한 "평가 준거" 및 "평가 배점"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하는 단계; 상기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가 상기 "평가 준거"에 대한 "수준별 평가 배점" 및 "배점 정의"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하는 단계; 상기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가 상기 "수업 목표"에 대한 "세부 목표 점수"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하는 단계; 상기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가 평가 도구별, 역량별 및 목표별 달성도의 점수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채점 결과표의 툴을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하는 단계; 상기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가 상기 채점 결과표에서 수업 목표별 달성도 결과를 추출하여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가 상기 채점 결과표에서 역량별 달성도 결과를 추출하여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가 상기 채점 결과표에서 평가 도구별 달성도 결과를 추출하여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의한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방법에 의하면, 교과목의 "역량" 및 "역량율"이 기록되어 있고 "하위요소" 및 "정의"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교과목 역량 정의표 툴을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하위요소" 및 "정의"의 항목이 기록되면 교과목 역량 정의표를 작성하여 저장하고, "수업 목표"와 "관련 역량" 및 "배점"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하며, "수업 방법", "세부 진행 방법" 및 "관련 역량"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하며, 상기 "수업 목표"에 대한 "평가 도구", "평가 배점", "관련 역량" 및 "평가 방법"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하며, 상기 "평가 도구"에 대한 "평가 준거" 및 "평가 배점"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하며, 상기 "평가 준거"에 대한 "수준별 평가 배점" 및 "배점 정의"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하며, 상기 "수업 목표"에 대한 "세부 목표 점수"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하며, 평가 도구별, 역량별 및 목표별 달성도의 점수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채점 결과표의 툴을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하며, 상기 채점 결과표에서 수업 목표별 달성도 결과를 추출하여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채점 결과표에서 역량별 달성도 결과를 추출하여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채점 결과표에서 평가 도구별 달성도 결과를 추출하여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교수에게 교과목에 대한 평가 설계 및 채점을 위한 툴을 제공하므로 형식을 일원화할 수 있어 통합적으로 교과목에 대한 평가를 관리할 수 있게 한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교과목 역량 정의부에 의해 제공되는 교과목 역량 정의표의 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수업 목표 역량 설정부에 의해 제공되는 "수업 목표"와 "관련 역량" 및 "배점"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수업 방법 역량 매칭부에 의해 제공되는 "수업 방법", "세부 진행 방법" 및 "관련 역량"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평가 도구 및 관련 역량 설정부에 의해 제공되는 "수업 목표"에 대한 "평가 도구", "평가 배점", "관련 역량" 및 "평가 방법"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평가 도구에 대한 평가 준거 설정부에 의해 제공되는 "평가 도구"에 대한 "평가 준거" 및 "평가 배점"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평가 준거에 대한 수준별 평가 배점 및 배점 정의부 및 수업 목표에 대한 세부 목표 점수 설정부에 의해 제공되는 "평가 준거"에 대한 "수준별 평가 배점" 및 "배점 정의"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 및 수업 목표"에 대한 "세부 목표 점수"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채점 결과표 작성부에 의해 제공되는 평가 도구별, 역량별 및 목표별 달성도의 점수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채점 결과표의 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수업 목표별 달성도 제공부에 의해 제공되는 수업 목표별 달성도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역량별 달성도 제공부에 의해 제공되는 역량별 달성도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평가 도구별 달성도 제공부에 의해 제공되는 평가 도구별 달성도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 도 12b,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면에서 도시된 각 시스템에서, 몇몇 경우에서의 요소는 각각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상이한 참조 번호를 가져서 표현된 요소가 상이하거나 유사할 수가 있음을 시사할 수 있다. 그러나 요소는 상이한 구현을 가지고 본 명세서에서 보여지거나 기술된 시스템 중 몇몇 또는 전부와 작동할 수 있다. 도면에서 도시된 다양한 요소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어느 것이 제1 요소로 지칭되는지 및 어느 것이 제2 요소로 불리는지는 임의적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 '전달' 또는 '제공'한다 함은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물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교수 단말(100) 및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200)를 포함한다.
교수 단말(100)은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교과목의 평가 설계 및 채점을 위한 툴의 항목들을 선택하거나 기록하며, 채점이 이루어지면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200)로부터 수업 목표별 달성도 결과, 역량별 달성도 결과 및 평가 도구별 달성도 결과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교수 단말(100)은 노트북, 스마트폰, 넷북, PC, 테블릿 PC 등이 될 수 있다.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200)는 교과목 역량 정의부(210), 수업 목표 역량 설정부(215), 수업 방법 역량 매칭부(220), 평가 도구 및 관련 역량 설정부(225), 평가 도구에 대한 평가 준거 설정부(230), 평가 준거에 대한 수준별 평가 배점 및 배점 정의부(235), 수업 목표에 대한 세부 목표 점수 설정부(240), 채점 결과표 작성부(245), 수업 목표별 달성도 제공부(250), 역량별 달성도 제공부(255), 및 평가 도구별 달성도 제공부(260)를 포함한다.
교과목 역량 정의부(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과목의 "역량" 및 "역량율"(%)이 기록되어 있고 "하위요소" 및 "정의"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교과목 역량 정의표 툴을 교수 단말(100)에 제공하고, 교수 단말(100)에 의해 "하위요소" 및 "정의"의 항목이 기록되면 교과목 역량 정의표를 작성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역량은 예컨대, S1(공동체인성), S2(자기개발), T1(자원ㅇ정보ㅇ기술 활용), T2(문제해결), A1(지역공생), A2(글로벌), R1(의사소통), 및 R2(팀워크)로 분류될 수 있다. 이는 강의 계획표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역량율"(%)은 예컨대, S1에 대해 10%, T1에 대해 10%, T2에 대해 20%, R1에 대해 20%, M1에 대해 30%가 각각 배정될 수 있다. 이는 강의 계획표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수업 목표 역량 설정부(2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업 목표"와 "관련 역량" 및 "배점"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교수 단말(100)에 제공하고, 교수 단말(100)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관련 역량" 및 "배점"은 교과목 역량 정의표에 정의된 "역량" 및 "역량율"을 따른다.
수업 방법 역량 매칭부(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업 방법", "세부 진행 방법" 및 "관련 역량"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교수 단말(100)에 제공하고, 교수 단말(100)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수업 목표에 대한 평가 도구 및 관련 역량 설정부(22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업 목표"에 대한 "평가 도구", "평가 배점", "관련 역량" 및 "평가 방법"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교수 단말(100)에 제공하고, 교수 단말(100)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평가 도구"는 중간시험, 기말시험, 보고서 및 출석점수가 포함될 수 있으며, "평가 도구"에 대한 "평가 배점"은 합계가 100점이 된다. "평가 방법"은 지필평가 및 수행평가를 포함할 수 있다.
평가 준거 설정부(2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가 도구"에 대한 "평가 준거" 및 "평가 배점"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교수 단말(100)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평가 준거"에 대한 "평가 배점"은 합계가 100점이 된다.
평가 준거에 대한 수준별 평가 배점 및 배점 정의부(23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가 준거"에 대한 "수준별 평가 배점" 및 "배점 정의"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교수 단말(100)에 제공하고, 교수 단말(100)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평가 준거" 및 "평가 배점"은 도 5에 도시된 툴에 기록된 내용에 따른다.
수업 목표에 대한 세부 목표 점수 설정부(2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수업 목표"에 대한 "세부 목표 점수"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교수 단말(100)에 제공하고, 교수 단말(100)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수업 목표", "평가 도구", "평가 배점", "관련 역량", "평가 준거" 및 "평가 배점"은 도 5에 도시된 툴에 기록된 내용에 따른다.
채점 결과표 작성부(24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가 도구별, 역량별 및 목표별 달성도의 점수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채점 결과표의 툴을 교수 단말(100)에 제공하고, 교수 단말(100)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수업 목표별 달성도 제공부(2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채점 결과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업 목표별 달성도 결과를 추출하여 교수 단말(100)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 시키는 역할을 한다.
역량별 달성도 제공부(25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채점 결과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역량별 달성도 결과를 추출하여 교수 단말(100)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 시키는 역할을 한다.
평가 도구별 달성도 제공부(26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채점 결과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가 도구별 달성도 결과를 추출하여 교수 단말(100)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를 이용한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a, 도 12b,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로서, 여기서 S는 스텝(step)을 의미한다.
먼저, 스텝(S10)에서는 교과목 역량 정의부(21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교과목의 "역량" 및 "역량율"(%)이 기록되어 있고 "하위요소" 및 "정의"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교과목 역량 정의표 툴을 교수 단말(100)에 제공하고, 교수 단말(100)에 의해 "하위요소" 및 "정의"의 항목이 기록되면 교과목 역량 정의표를 작성하여 저장한다.
스텝(S20)에서는 수업 목표 역량 설정부(215)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업 목표"와 "관련 역량" 및 "배점"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교수 단말(100)에 제공하고, 교수 단말(100)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한다.
스텝(S30)에서는 수업 방법 역량 매칭부(22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업 방법", "세부 진행 방법" 및 "관련 역량"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교수 단말(100)에 제공하고, 교수 단말(100)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한다.
스텝(S40)에서는 수업 목표에 대한 평가 도구 및 관련 역량 설정부(225)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업 목표"에 대한 "평가 도구", "평가 배점", "관련 역량" 및 "평가 방법"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교수 단말(100)에 제공하고, 교수 단말(100)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한다.
스텝(S50)에서는 평가 준거 설정부(23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가 도구"에 대한 "평가 준거" 및 "평가 배점"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교수 단말(100)에 제공하고, 교수 단말(100)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한다.
스텝(S60)에서는 평가 준거에 대한 수준별 평가 배점 및 배점 정의부(235)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가 준거"에 대한 "수준별 평가 배점" 및 "배점 정의"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교수 단말(100)에 제공하고, 교수 단말(100)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한다.
스텝(S70)에서는 수업 목표에 대한 세부 목표 점수 설정부(240)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수업 목표"에 대한 "세부 목표 점수"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교수 단말(100)에 제공하고, 교수 단말(100)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한다.
스텝(S80)에서는 채점 결과표 작성부(245)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가 도구별, 역량별 및 목표별 달성도의 점수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채점 결과표의 툴을 교수 단말(100)에 제공하고, 교수 단말(100)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한다.
스텝(S90)에서는 수업 목표별 달성도 제공부(250)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채점 결과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업 목표별 달성도 결과를 추출하여 교수 단말(100)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 시킨다.
스텝(S100)에서는 역량별 달성도 제공부(255)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채점 결과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역량별 달성도 결과를 추출하여 교수 단말(100)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 시킨다.
스텝(S110)에서는 평가 도구별 달성도 제공부(260)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채점 결과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가 도구별 달성도 결과를 추출하여 교수 단말(100)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 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방법에 의하면, 교과목의 "역량" 및 "역량율"이 기록되어 있고 "하위요소" 및 "정의"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교과목 역량 정의표 툴을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하위요소" 및 "정의"의 항목이 기록되면 교과목 역량 정의표를 작성하여 저장하고, "수업 목표"와 "관련 역량" 및 "배점"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하며, "수업 방법", "세부 진행 방법" 및 "관련 역량"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하며, 상기 "수업 목표"에 대한 "평가 도구", "평가 배점", "관련 역량" 및 "평가 방법"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하며, 상기 "평가 도구"에 대한 "평가 준거" 및 "평가 배점"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하며, 상기 "평가 준거"에 대한 "수준별 평가 배점" 및 "배점 정의"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하며, 상기 "수업 목표"에 대한 "세부 목표 점수"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하며, 평가 도구별, 역량별 및 목표별 달성도의 점수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채점 결과표의 툴을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해당 항목이 기록되면 저장하며, 상기 채점 결과표에서 수업 목표별 달성도 결과를 추출하여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채점 결과표에서 역량별 달성도 결과를 추출하여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채점 결과표에서 평가 도구별 달성도 결과를 추출하여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교수에게 교과목에 대한 평가 설계 및 채점을 위한 툴을 제공하므로 형식을 일원화할 수 있어 통합적으로 교과목에 대한 평가를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도면과 명세서에는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으며,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200: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
210: 교과목 역량 정의부
215: 수업 목표 역량 설정부
220: 수업 방법 역량 매칭부
225: 수업 목표에 대한 평가 도구 및 관련 역량 설정부
230: 평가 준거 설정부
235: 평가 준거에 대한 수준별 평가 배점 및 배점 정의부
240: 수업 목표에 대한 세부 목표 점수 설정부
245: 채점 결과표 작성부
250: 수업 목표별 달성도 제공부
255: 역량별 달성도 제공부
260: 평가 도구별 달성도 제공부

Claims (4)

  1. 교수 단말(100)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을 수행하는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로서,
    교과목의 "역량" 및 "역량율"이 기록되어 있고 "하위요소" 및 "정의"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교과목 역량 정의표 툴을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하위요소" 및 "정의"의 항목이 기록되면 교과목 역량 정의표를 작성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 교과목 역량 정의부(210);
    "수업 목표"와 "관련 역량" 및 "배점"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기록되는 상기 "수업 목표"와 "관련 역량" 및 "배점"의 항목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수업 목표 역량 설정부(215);
    "수업 방법", "세부 진행 방법" 및 "관련 역량"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기록되는 상기 "수업 방법", "세부 진행 방법" 및 "관련 역량"의 항목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수업 방법 역량 매칭부(220);
    상기 "수업 목표"에 대한 "평가 도구", "평가 배점", "관련 역량" 및 "평가 방법"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기록되는 상기 "수업 목표"에 대한 "평가 도구", "평가 배점", "관련 역량" 및 "평가 방법"의 항목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수업 목표에 대한 평가 도구 및 관련 역량 설정부(225);
    상기 "평가 도구"에 대한 "평가 준거" 및 "평가 배점"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기록되는 상기 "평가 도구"에 대한 "평가 준거" 및 "평가 배점"의 항목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평가 도구에 대한 평가 준거 설정부(230);
    상기 "평가 준거"에 대한 "수준별 평가 배점" 및 "배점 정의"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기록되는 상기 "평가 준거"에 대한 "수준별 평가 배점" 및 "배점 정의"의 항목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평가 준거에 대한 수준별 평가 배점 및 배점 정의부(235);
    상기 "수업 목표"에 대한 "세부 목표 점수"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기록되는 상기 "수업 목표"에 대한 "세부 목표 점수"의 항목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수업 목표에 대한 세부 목표 점수 설정부(240);
    평가 도구별, 역량별 및 수업 목표별 달성도의 점수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채점 결과표의 툴을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교수 단말에 의해 기록되는 상기 평가 도구별, 역량별 및 수업 목표별 달성도의 점수의 항목을 기록할 수 있는 채점 결과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채점 결과표 작성부(245);
    상기 채점 결과표에서 수업 목표별 달성도 결과를 추출하여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수업 목표별 달성도 제공부(250);
    상기 채점 결과표에서 역량별 달성도 결과를 추출하여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역량별 달성도 제공부(255); 및
    상기 채점 결과표에서 평가 도구별 달성도 결과를 추출하여 상기 교수 단말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평가 도구별 달성도 제공부(260);를 포함하며,
    상기 교과목 역량 정의표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역량 및 상기 역량율은 상기 교과목에 대한 강의 계획표로부터 추출되되,
    상기 역량은 S1(공동체인성), S2(자기개발), T1(자원,정보,기술 활용), T2(문제해결), A1(지역공생), A2(글로벌), R1(의사소통) 및 R2(팀워크)의 하위항목으로 분류되고,
    상기 역량율은 상기 역량의 하위항목별로 서로 다른 비율로 설정되며,
    상기 수업 목표 역량 설정부에 기록되어 저장되는 상기 "관련 역량" 및 상기 "배점"은 상기 역량 및 상기 역량율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식을 일원화할 수 있어 교수가 통합적으로 교과목에 대한 평가를 관리할 수 있게 하는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109977A 2019-09-05 2019-09-05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교과목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방법 KR102185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977A KR102185897B1 (ko) 2019-09-05 2019-09-05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교과목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977A KR102185897B1 (ko) 2019-09-05 2019-09-05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교과목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5897B1 true KR102185897B1 (ko) 2020-12-02

Family

ID=73792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977A KR102185897B1 (ko) 2019-09-05 2019-09-05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교과목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58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73873A (zh) * 2021-08-23 2021-11-19 曲靖师范学院 一种课程评价系统
WO2022234900A1 (ko) * 2021-05-05 2022-11-10 (주)미래융합정보기술 핵심 역량 기반 교육과정 cqi를 위한 역량달성도 산출 시스템을 구비하는 교육과정 관리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815A (ko) 2000-05-16 2001-11-28 김형원 통신망을 이용한 실시간 모의 시험 실시 및 성적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0557304B1 (ko) * 2003-11-05 2006-03-06 박홍준 온라인 교육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070087839A (ko) * 2005-12-28 2007-08-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e―Class 관리 시스템과 성적 평가방법
KR20130115493A (ko) * 2012-04-12 2013-10-22 강도희 인터넷을 통한 내신성적 향상 진단방법
KR20130128210A (ko) * 2012-05-16 2013-11-26 조용개 e-티칭 포트폴리오 관리/평가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815A (ko) 2000-05-16 2001-11-28 김형원 통신망을 이용한 실시간 모의 시험 실시 및 성적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0557304B1 (ko) * 2003-11-05 2006-03-06 박홍준 온라인 교육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070087839A (ko) * 2005-12-28 2007-08-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e―Class 관리 시스템과 성적 평가방법
KR20130115493A (ko) * 2012-04-12 2013-10-22 강도희 인터넷을 통한 내신성적 향상 진단방법
KR20130128210A (ko) * 2012-05-16 2013-11-26 조용개 e-티칭 포트폴리오 관리/평가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학생평가지원포털 이용자 가이드. 학생평가지원포털, [online], 2017.08.07., [2020.01.09. 검색], 인터넷 https://stassess.kice.re.kr/frt/boardList.do?strCurMenuId=222 1부.*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4900A1 (ko) * 2021-05-05 2022-11-10 (주)미래융합정보기술 핵심 역량 기반 교육과정 cqi를 위한 역량달성도 산출 시스템을 구비하는 교육과정 관리 시스템
CN113673873A (zh) * 2021-08-23 2021-11-19 曲靖师范学院 一种课程评价系统
CN113673873B (zh) * 2021-08-23 2024-04-05 曲靖师范学院 一种课程评价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inemann et al. Smart university: literature review and creative analysis
Ballaro et al. Organization development through effective communication, implementation, and change process.
Vance et al. The ASCCR frame for learning essential collaboration skills
Purwanto et al. Di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litist and antidemocratic? A literature review
KR102185897B1 (ko) 교과목의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교과목 평가 설계, 채점 및 수업성과분석 방법
Shaddiq et al. Governance of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the Digital Era
McClure et al. Public libraries and Internet service roles: Measuring and maximizing Internet services
Cole et al. Public libraries
KR20200059705A (ko) 전문강사 매칭 서비스 제공방법
Alaba et al. Mobile learning via mobile devices in Nigeria higher education: Usage analysis based on UTAUT model
KR20190117048A (ko) 개인정보 유출 방지를 위한 위치추적 기반의 부정출석 예방 시스템 및 방법
Archer et al. Mentoring each other: Creating a community of practice for aspiring and current library managers
Tabuenca et al. Binding daily physical environments to learning activities with mobile and sensor technology
Dexter Collective representations and educational technology as school reform: Or, how not to produce a cargo cult
KR102623619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리더십 코칭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opescul et al. Education by Choice, Not by Chance: Adjustment of Business Education to the Requirements of Contemporary Organisations
Alvarez et al. Living the interdiscipline: Natalie Alvarez speaks with Kim Solga about conceiving, developing, managing, and learning from a large-scale, multidisciplinary, scenario-based project supporting police de-escalation training in Ontario
Francisco et al. The site-based learning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eachers
Okoye et 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challenges confronting multi-campus institutions given social development lacuna
Khan et al. Faking it with Data–A Curriculum Perspective
JP6764101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TOMCZYK Experiences with e-learning as a challenge for the effective training of future generations of teachers
KR102027488B1 (ko) 학습 프로그램 운영 방법
Van Der Westhuize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easure of Organisational Leadership Development Process Maturity
KR20240074129A (ko) 매칭 및 코칭이 가능한 교육 플랫폼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