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925B1 - 연속아연도금설비용 냉각탑 상부롤 상의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아연도금설비용 냉각탑 상부롤 상의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925B1
KR100796925B1 KR1020010071292A KR20010071292A KR100796925B1 KR 100796925 B1 KR100796925 B1 KR 100796925B1 KR 1020010071292 A KR1020010071292 A KR 1020010071292A KR 20010071292 A KR20010071292 A KR 20010071292A KR 100796925 B1 KR100796925 B1 KR 100796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upper roll
moving
detecting
mov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1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9904A (ko
Inventor
정재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71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6925B1/ko
Publication of KR20030039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9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23C2/0035Means for continuously moving substrate through, into or out of the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50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 아연포트를 통과하여 냉각탑을 진행하고 있는 스트립의 진행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한 상부롤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검출하고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상부롤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강도에 따라서 이물질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이물질 검출수단과, 상기 상부롤의 표면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대차와, 상기 이동대차 상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롤의 표면을 향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블록과, 상기 이동대차가 상기 상부롤의 표면을 향하여 이동하면 상기 상부롤의 표면에 접촉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블록의 전방에 고정설치된 이물질 제거수단과, 상기 이물질 검출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이물질 검출신호에 따라서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이 상기 상부롤 표면 상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대차와 이동블록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아연가루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는 상부롤의 표면으로부터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표면결함이 없는 우수한 품질의 도금강판을 생산할 수 있다.
샌드페이퍼롤러, 이물질 제거기, 이동대차, 이동블록

Description

연속아연도금설비용 냉각탑 상부롤 상의 이물질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the foreign materials from the top roll of the cooling tower for using in the continuous galvanizing line}
도 1은 일반적인 연속아연도금설비의 냉각탑 부위를 도시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종래 실시예에 따른 냉각탑 상부롤의 표면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도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 상부롤 상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이물질 제거수단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이물질 제거수단의 배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B1 : 발광소자
B2, B3 : 수광소자
B4 : 마그네트 터치바
C1 : 샌드페이퍼롤러
C5 : 이물질 제거기
D1 : 이동블록
E1 : 이동대차
본 발명은 연속용융아연도금설비의 냉각탑(cooling tower)에 설치된 상부롤(top roll)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는 상부롤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상부롤 상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용융아연 도금공정은 냉간압연된 스트립을 아연포트에 통과시키면서 그 표면에 아연을 도금하는 공정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열로(2)에서 가열된 스트립이 아연포트(4)를 통과하면 그 표면에 아연이 도금되고, 아연포트(4)를 통과한 스트립은 갈바로(7:galvannealing furnace)에서 적정온도로 가열되고 이때 소지철의 일부는 표면으로 석출된다. 갈바로(7)를 통과한 스트립이 냉각탑에서 에어 및 물에 의해 냉각되고 조질압연됨으로써 용접성, 가공성 및 도장성이 우수한 아연도금강판을 생산하게 된다.
한편, 아연포트(4) 직상에 위치하는 에어 나이프(6)는 아연포트(4)를 통과한 스트립의 표면에 수평식 노즐을 통하여 고압공기를 분출시킴으로써 스트립 표면에 도금된 용융아연을 깍아내어 도금량을 조절한다. 이와 같이 용융아연이 깍여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아연가루는 대류현상으로 인해 수직상승하게 된다.
이때, 수직상승하는 아연가루는 스트립의 진행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 냉각탑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롤(A)의 표면에 부착되어 상부롤을 오염시킨다. 또한 스트립 표면에 묻어있는 분말가루 등의 이물질은 스트립이 상부롤(A)을 통과하는 동안 상부롤의 표면에 부착된다.
특히, 갈바로(7)에서 500 ~ 600℃까지 가열된 스트립이 상부롤(A)을 통과할 때, 열전달에 의하여 상부롤(A)이 약 400 ~ 500℃로 가열되는 경우에는 상부롤(A)의 표면에 대한 이물질의 부착속도를 가속화시킨다. 이와 같이 고온으로 유지된 상부롤(A)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들은 스트립의 표면에 강력하게 접촉하고 이로 인하여 스트립 표면에 찍힘 마크가 발생되어 치명적인 표면결함을 유발시키므로 아연도금강판의 품질을 저하시킨다.
상술된 바와 같이 스트립 표면에 찍힘 마크가 발생되면 아연도금강판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부롤(A)의 표면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한다.
종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부롤(A)의 표면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부롤(A)의 표면을 긁어낼 수 있는 기구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치공구(13) 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닥터 블레이드(11:doctor blade)를 상부롤(A)의 표면에 밀착시켜서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때, 상부롤(A) 표면은 약 400 ~ 500℃로 가열되어 있으므로 가운데 부분이 열팽창에 의해 볼록하게 된다. 즉, 상부롤(A)에는 약 5/100 정도의 크라운이 발생되어 있으므로 닥터 블레이드(11)의 날이 상부롤(A) 표면에 전체적으로 밀착되지 못한다. 특히, 상부롤(A)의 가장자리에는 닥터 블레이드(11)의 날이 접촉되지 않으므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부롤(A)의 온도에 의해 닥터 블레이드(11)의 날이 열변형되어 제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치공구(13)를 사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경우에 작업자는 작업개소의 고온 분위기에 노출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고 또한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연속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 아연포트를 통과하여 냉각탑을 진행하는 스트립의 진행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한 상부롤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검출하고 또한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아연도금강판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속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 아연포트를 통과하여 냉각탑을 진행하고 있는 스트립의 진행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한 상부롤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검출하고 제거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상부롤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강도에 따라서 이물질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이물질 검출수단과, 상기 상부롤의 표면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대차와, 상기 이동대차 상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롤의 표면을 향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블록과, 상기 이동대차가 상기 상부롤의 표면을 향하여 이동하면 상기 상부롤의 표면에 접촉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블록의 전방에 고정설치된 이물질 제거수단과, 상기 이물질 검출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이물질 검출신호에 따라서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이 상기 상부롤 표면 상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대차와 이동블록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 동일 구성은 동일 도면번호를 채택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속용융아연 도금설비의 냉각탑에서 스트립의 진행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상부롤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는 상부롤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의 부착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이물질 검출수단을 갖는다. 상기 이물질 검출수단은 상부롤(A)을 향하여 빛을 발광시키는 발광소자(B1)와, 상부롤(A)로부터 반사되는 발광소자(B1)의 빛을 감지하는 수광소자(B2, B3)를 갖는다. 수광소자(B2, B3)는 발광소자(B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소정갯수의 구간, 예를 들어 7개의 구간으로 구분된다.
발광소자(B1)로부터 발광되어 상부롤(A)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강도는 일정하 게 수광소자(B2, B3)에 의해 감지된다. 이때,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는 상부롤(A)의 특정부위에서 반사되는 빛의 강도는 이물질과의 산란작용에 의하여 저하되며, 수광소자(B2, B3)가 이러한 빛의 강도변화를 감지하여 조작판넬에 제공하면, 상기 조작판넬에서는 이물질의 부착위치를 산정하게 된다.
상기 조작판넬에는 수광소자(B2, B3)의 구간 갯수에 대응하는 이물질 지시등(F1)과, 선택모드에 의한 작동개시버튼(2)과, 모드선택 스위치(F3)와, 좌우이동 선택버튼(F4)과, 좌측이동버튼(F5)과, 우측이동버튼(F7)과, 전후진 선택버튼(F8)과, 전진이동버튼(F9)과, 후진이동버튼(F10)과, 롤러가동버튼(F11)과, 롤러정지버튼(F12)과, 비상정지버튼(F6)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물질 제거장치에는 상부롤(A)로부터 소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기에 설명되는 이물질 제거수단이 장착되는 이동대차(E1)가 제공된다. 이동대차(E1)의 대략적인 중심부에는 관통하여 설치되는 스크류부재(E2)가 제공되고 스크류부재(E2)에는 베어링블록(E5)을 통해서 제1구동모터(E6)에 연결되는 스크류(E3)가 관통한다. 또한, 이동대차(E1)의 양측면에는 바퀴(E4)가 부착되고, 바퀴(E4)는 이동대차(E1)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E7) 상에 안착된다. 따라서, 제1구동모터(E6)가 가동되어 제1스크류(E3)를 회전시키면 이동대차(E1)는 제1스크류(E3)의 회전방향에 의하여 레일(E7)을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는 이동대차(E1) 상에서 상부롤(A)을 향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블록(D1)을 갖는다. 이동대차(E1) 상에는 이동블록(D1)의 후방에 형성된 삽입홈에 활주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슬라이더(D2)와, 슬라이더(D2)의 사이에 제공되어 이동블록(D1)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연결된 제2스크류(D3)가 제공된다. 또한, 이동대차(E1) 상에는 스크류잭(D5)을 통해서 제2스크류(D3)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구동모터(D4)가 제공된다. 따라서, 이동블록(D1)은 제2구동모터(D4)의 가동에 의해 제2스크류(D3)가 회전함으로써 슬라이더(D2)를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이동블록(D1)의 이동구간을 제한하기 위한 전진제한센서(D6)와 후진제한센서(D7)가 이동대차(E1)의 상부면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제공된다. 상술된 제2구동모터(D4)와, 전진제한센서(D6)와, 후진제한센서(D7)는 전기적 신호의 소통이 가능하게 제어판넬에 연결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는 이동블록(D1) 상에 제공된 이물질 제거수단을 갖는다.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은 이동블록(D1) 상에 고정설치된 제3구동모터(C7)에 벨트(C9)를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샌드페이퍼롤러(C1)를 갖는다. 즉, 제3구동모터(C7)에는 이동블록(D1) 상에 고정설치된 베이스(C2-1)에 의해 지지된 베어링블록을 통해서 동력전달축(C2-5)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동력전달축(C2-5)의 단부에는 고정볼트(C2-7)에 의해서 고정된 제1풀리(C8)가 제공된다. 베이스(C2-1)에 의해 지지된 상기 베어링블록에는 베어링 연결대(C2)가 고정설치되고 베어링 연결대(C2)의 단부에는 베어링(C2-4)이 삽입되어 있는 상부커버(C2-2)가 제공된다. 이때, 롤러축(C2-6)은 베어링(C2-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그의 양단에는 벨트(C9)를 통해서 제1풀리(C8)에 연결되는 제2 풀리(C3)와 샌드페이퍼롤러(C1)가 설치된다.
따라서, 제3구동모터(C7)의 작동에 의하여 제1풀리(C8)가 회전하면 샌드페이퍼롤러(C1)는 벨트(C9)와, 제2풀리(C3)와, 롤러축(C2-6)을 통해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하고 있는 샌드페이퍼롤러(C1)를 상부롤(A)의 표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상부롤(A)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물질 제거장치는 베어링 연결대 상부의 하측면에 제공된 제거기 연결대(C11)를 갖고, 제거기 연결대(C11)의 단부에는 이물질 제거기(C5)가 고정핀(C5-4)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이물질 제거기(C5)는 한 쌍의 고정대(C5-2)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볼트(C5-3)에 의해서 고정된 이물질 제거칼날(C5-1)을 갖는다. 이물질 제거기(C5)와 제거기 연결대(C11) 사이에는 스프링(C6)이 설치된다.
또한, 베어링 연결대 상부의 상측면에는 이동블록(D1) 상에 수직방향으로 고정설치된 지지대(C10)의 상측에 핀으로 고정연결된 롤러압하량 조절대(C4)가 제공된다. 롤러압하량 조절대(C4)에는 길이신축이 가능한 실린더(C4-2)와 실린더(C4-2)의 길이신축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스프링(C4-1)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에는 상부롤(A)과 이동대차(E1) 사이에서 레일(E7)에 인접하게 설치된 마그네트 터치바(B4)가 제공된다. 마그네트 터치바(B4)는 수동소자(B2, B3)의 구간의 갯수에 대응하는 갯수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동대차(E1)의 측면에는 마그네트 감지센서(E8)와 근접센서(E9)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가 조작판넬에서 모드선택 스위치(F3)를 조작하여 자동모드를 선택하고 작동개시버튼(F2)을 누르면, 발광소자(B1)에서 빛을 발광시키고, 수광소자(B2, B3)는 상부롤(A)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감지한다. 수광소자(B2, B3)에 의해서 감지된 빛의 강도에 대한 데이터는 중앙처리장치(CPU)에 제공된다. 중앙처리장치에서는 수광소자(B2, B3)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통해서 상부롤(A)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의 부착위치를 확인한다. 즉, 상부롤(A)의 표면에서 이물질을 검출한 수광소자(B2, B3)에 대응하는 조작판넬 상의 지시등(F1)에 전원이 공급되어 램프를 점등시킨다.
중앙처리장치는 레일(E7)의 측면에 설치된 마그네트 터치바(B4)에 전원을 공급하고, 이를 마그네트 감지센서(E8)가 감지하여 마그네트 터치바(B4)의 위치를 파악한다.
그리고, 제1구동모터(E6)를 정방향으로 가동시켜 이동대차(E1)를 우측으로 진행시킨다. 즉, 제1구동모터(E6)의 가동에 의해 제1스크류(E3)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대차(E1)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대차(E1)가 이동하는 동안 제2구동모터(D4)가 작동된다. 그리고, 제2구동모터(D4)의 작동에 의해서 제2스크류(D3)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블록(D1)은 상부롤(A)을 향하여 전진하게 된다. 한편, 이동블록(D1)이 이동하는 동안 제3구동모터(C7)가 작동함으로써 샌드페이퍼롤러(C1)가 회전하게 된다. 이동블록(D1)의 이동결과, 회전하는 샌드페이퍼롤러(C1)가 상부롤(A)의 표면에 밀착되어 상부롤(A)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 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된 바와 같은 샌드페이퍼롤러(C1)의 회전에 의해서 상부롤(A)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되지 못한 이물질은 이물질 제거기(C5)의 이물질 제거칼날(C5-1)에 의해 제거된다. 즉, 이물질 제거칼날(C5-1)은 상부롤 표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 예를 들어 15°의 각도로 밀착되어 이물질을 제거한다.
한편, 이동블록(D1)의 전방부가 전진제한센서(D6)에 의해 감지되면 제2구동모터(D4)의 작동이 중지되어 이동블록(D1)의 전방이동이 중지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이동대차(E1)가 우측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부롤(A)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은 샌드페이퍼롤러(C1) 및/또는 이물질 제거칼날(C5-1)에 의해서 제거되고, 이러한 이동대차(E1)의 우측이동은 마그네트 근접센서(E9)가 이물질의 부착위치에 대응하는 마그네트 터치바(B4)를 감지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즉, 마그네트 근접센서(E9)까 마그네트 터치바(B4)를 감지하면, 제1구동모터(E6)의 작동은 중지되고 제2구동모터(D4)는 역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이동대차(E1)가 정지된 상태에서 이동블록(D1)이 후진하여 샌드페이퍼롤러(C1)와 이물질 제거칼날(C5-1)은 상부롤(A)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러한 이동블록(D1)의 후진이동은 이동블록의 후방부가 후진제한센서(D7)에 의해 감지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3구동모터(C7)의 가동이 중지되어 샌드페이퍼롤러(C1)의 회전을 중지시킨다.
한편, 조작판넬의 모드선택 스위치(F3)를 1싸이클 모드로 선택한 후 작동개 시버튼(F2)를 누르면, 지시등(F1)의 점등여부와는 무관하게 구동모터(C7, D4, E6)가 작동되어 이동대차(E1)가 상부롤(A)의 전폭에 대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한 후 다시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부롤(A)의 표면에 대한 연마 및 이물질 제거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조작판넬의 모드선택 스위치(F3)를 수동모드로 선택한 후 작동개시버튼(F2)를 누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작동은 조작판넬에 제공된 기능버튼 각각의 조작에 의해서만 작동된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조작판넬의 좌우이동 선택버튼(F4)을 누른 후 우측이동버튼(F7)를 누르면 이동대차(E1)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우측이동버튼(F7)를 다시 누르면 이동대차(E1)는 중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좌측이동버튼(F5)을 누르면 이동대차(E1)는 좌측으로 이동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좌측이동버튼(F5)을 다시 누르면 이동대차(E1)는 중지하게 된다. 이때, 좌우이동 선택버튼(F4)을 다시 누르면 이동대차(E1)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모드가 해제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전후이동 선택버튼(F8)을 누르고 전진이동버튼(F9)을 누르면 이동블록(D1)은 그의 전방부가 전진제한센서(D6)에 의해 감지될 때까지 이동하게 된다. 한편, 이동블록(D1)이 전진이동하는 동안 전진이동버튼(F9)를 다시 누르는 경우에도 이동블록(D1)은 중지한다. 후진이동버튼(F10)의 조작에 의한 이동블록(D1)의 후진이동은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작업자가 조작판넬의 롤러기동버튼(F10)을 누르면 제3구동모터(C7)가 작동되어 샌드페이퍼롤러(C1)는 회전하고 롤러스톱버튼(F11)을 누르면 작동되고 있는 제3구동모터(C7)가 정지하여 샌드페이퍼롤러(C1)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상부롤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또한 상부롤 표면을 연마하여 도금강판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속아연도금설비에서 부상하는 아연가루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는 상부롤의 표면으로부터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표면결함이 없는 우수한 품질의 도금강판을 생산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Claims (5)

  1. 연속용융아연도금 공정에서 아연포트를 통과하여 냉각탑을 진행하고 있는 스트립의 진행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한 상부롤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검출하고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강도에 따라서 이물질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이물질 검출수단과,
    상기 상부롤의 표면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대차와,
    상기 이동대차 상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롤의 표면을 향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블록과,
    상기 이동대차가 상기 상부롤의 표면을 향하여 이동하면 상기 상부롤의 표면에 접촉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블록의 전방에 고정설치된 이물질 제거수단과,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으로부터 제거되지 못한 상부롤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칼날과,
    상기 이물질 검출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이물질 검출신호에 따라서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이 상기 상부롤 표면 상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대차와 이동블록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아연도금설비용 냉각탑 상부롤 상의 이물질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검출수단은 상기 상부롤의 표면에 대해 측방향으로 설치되어 상 부롤의 표면을 향해서 빛을 발광시키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롤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상기 발광소자의 빛을 감지하는 복수개의 수광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수광소자에 의해서 감지되는 빛의 강도에 따라서 이물질의 부착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아연도금설비용 냉각탑 상부롤 상의 이물질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장치는 상기 이동블록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샌드페이퍼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아연도금설비용 냉각탑 상부롤 상의 이물질 제거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소자의 갯수에 대응하는 갯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롤과 상기 이동대차 사이에 위치하는 자기센서와, 상기 자기센서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이동대차에 설치되는 감지센서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대차의 이동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대차는 상기 이물질 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되는 수광소자에 대응하는 자기센서의 위치가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서 감지될 때까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아연도금설비용 냉각탑 상부롤 상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010071292A 2001-11-16 2001-11-16 연속아연도금설비용 냉각탑 상부롤 상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796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292A KR100796925B1 (ko) 2001-11-16 2001-11-16 연속아연도금설비용 냉각탑 상부롤 상의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292A KR100796925B1 (ko) 2001-11-16 2001-11-16 연속아연도금설비용 냉각탑 상부롤 상의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904A KR20030039904A (ko) 2003-05-22
KR100796925B1 true KR100796925B1 (ko) 2008-01-22

Family

ID=29569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1292A KR100796925B1 (ko) 2001-11-16 2001-11-16 연속아연도금설비용 냉각탑 상부롤 상의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69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429B1 (ko) 2014-12-16 2016-06-10 주식회사 포스코 쿨링 타워의 탑롤 커버 텐셔너 및 이를 이용한 탑롤 커버의 텐션 인가 방법
KR102164294B1 (ko) * 2020-02-28 2020-10-12 임재열 서냉로 롤러용 크리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040B1 (ko) * 2002-07-19 2009-04-20 주식회사 포스코 수직 소둔로의 롤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
KR101008132B1 (ko) * 2003-08-04 2011-01-13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롤 이물 제거장치
KR101129970B1 (ko) * 2009-10-29 2012-03-26 현대제철 주식회사 차륜 용접 산화물 제거기
CN110340793A (zh) * 2019-07-02 2019-10-18 宝钢湛江钢铁有限公司 一种涂镀类生产线apc塔顶辊辊面清洁装置及其控制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8069A (ja) * 1991-04-02 1992-10-30 Nkk Corp ロ−ル自動研磨装置
JPH0726392A (ja) * 1993-07-13 1995-01-27 Sumitomo Metal Ind Ltd 縦型メッキ設備のコンダクタロール付着物除去装置
KR19990012559U (ko) * 1997-09-10 1999-04-06 이구택 철제롤용 이물자동제거장치
KR20010038629A (ko) * 1999-10-26 2001-05-15 이구택 압연라인의 디프렉트롤 이물질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8069A (ja) * 1991-04-02 1992-10-30 Nkk Corp ロ−ル自動研磨装置
JPH0726392A (ja) * 1993-07-13 1995-01-27 Sumitomo Metal Ind Ltd 縦型メッキ設備のコンダクタロール付着物除去装置
KR19990012559U (ko) * 1997-09-10 1999-04-06 이구택 철제롤용 이물자동제거장치
KR20010038629A (ko) * 1999-10-26 2001-05-15 이구택 압연라인의 디프렉트롤 이물질 제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429B1 (ko) 2014-12-16 2016-06-10 주식회사 포스코 쿨링 타워의 탑롤 커버 텐셔너 및 이를 이용한 탑롤 커버의 텐션 인가 방법
KR102164294B1 (ko) * 2020-02-28 2020-10-12 임재열 서냉로 롤러용 크리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904A (ko) 200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925B1 (ko) 연속아연도금설비용 냉각탑 상부롤 상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383883B1 (ko) 유리기판 절단방법 및 절단장치
KR101059157B1 (ko) 강판 결함 마킹 장치 및 방법
CN217799587U (zh) 一种风机中心轴焊接设备
KR19990012559U (ko) 철제롤용 이물자동제거장치
CN111843141A (zh) 一种切割分拣装置
KR100502850B1 (ko) 소둔로의 절단 스트립 복구장치
KR102001987B1 (ko) 슬래브 형상 측정장치
CN216066971U (zh) 一种粗磨机用石板输送设备
KR20120126451A (ko) 전기로의 용융물 높이측정장치
KR200180022Y1 (ko) 용강 정련설비 지금제거 장치
KR101354936B1 (ko) 열연스트립의 이물 혼입방지장치
KR100969794B1 (ko) 슬래브의 절단설 제거장치
KR100971976B1 (ko) 아연도금 강판 스트립의 표면조도 균일화 장치
KR101411863B1 (ko) 소재 형상 측정장치
CN208231088U (zh) 一种单层抽拉换料激光打标机
KR101570581B1 (ko) 오일 와이핑 장치
CN212350628U (zh) 一种铜辊研削装置
KR20020000342A (ko) 스카핑 주편의 측면핀 자동 제거장치
KR101411847B1 (ko) 연원료 이송장치
CN216938344U (zh) 一种新型激光限位支架
CN114101929B (zh) 一种铝基电路板激光切割设备
CN113277283B (zh) 一种用于机车零部件生产的循环式修平系统
CN213022812U (zh) 一种铝箔轧制过程中铝箔缺陷检测装置
KR20040024177A (ko) 코일 선단부 유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