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9429B1 - 쿨링 타워의 탑롤 커버 텐셔너 및 이를 이용한 탑롤 커버의 텐션 인가 방법 - Google Patents

쿨링 타워의 탑롤 커버 텐셔너 및 이를 이용한 탑롤 커버의 텐션 인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9429B1
KR101629429B1 KR1020140180903A KR20140180903A KR101629429B1 KR 101629429 B1 KR101629429 B1 KR 101629429B1 KR 1020140180903 A KR1020140180903 A KR 1020140180903A KR 20140180903 A KR20140180903 A KR 20140180903A KR 101629429 B1 KR101629429 B1 KR 101629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roll
cover
roll cover
members
cooling t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0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80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4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용융도금공정에서 쿨링 타워의 탑롤의 표면에 씌우는 탑롤 커버에 텐션을 인가하기 위한 쿨링 타워의 탑롤 커버 텐셔너에 있어서, 상기 탑롤과 탑롤 커버에 각각 결속되는 제1 및 제2결속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결속부재 사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스프링과, 상기 제1 및 제2결속부재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결속부재를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및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쿨링 타워의 탑롤 커버 텐셔너 및 이를 이용한 탑롤 커버 텐션 인가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쿨링 타워의 탑롤 커버 텐셔너 및 이를 이용한 탑롤 커버의 텐션 인가 방법 {TOP ROLL COVER TENSIONER FOR COOLING TOWER AND TENSION APPLYING MEHTOD TO TOP ROLL COV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속용융도금공정에서 쿨링 타워의 탑롤의 표면을 덮는 커버에 텐션을 인가하기 위한 쿨링 타워의 탑롤 커버 텐셔너 및 이를 이용한 탑롤 커버의 텐션 인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속용융도금공정은 용융금속이 담긴 포트에 스트립을 연속적으로 통과시키면서 그 표면에 금속을 도금하는 공정을 말하며, 도 1은 연속용융도금설비, 구체적으로 연속용융아연도금설비의 쿨링 타워 부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따르면, 소둔로에서 소둔 과정을 거친 스트립(S)이 용융아연이 담긴 아연 포트(10, Zinc Pot)에서 아연도금된 후 유도 가열로(20, GA Furnace)에서 가열 및 합금화 과정을 거친다. 그 후 아연도금강판은 유도 가열로(20) 상측에 배치된 쿨링 타워(30)를 지나면서 주변 공기나 수분에 의해 냉각되며, 쿨링 타워(30)의 상부에 위치한 탑롤(40, Top Roll)을 지난 뒤 후속 공정으로 이송된다.
고온의 스트립(S)이 탑롤(40)을 지나가는 과정에서 탑롤(40)이 가열되게 되고, 이에 따라 탑롤(40)의 표면에 아연 분말이 부착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아연분말이 계속 쌓여 커져서 결국은 스트립(S)에 찍힘 결함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결함 발생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탑롤(40)에 탑롤 커버를 씌워 사용하고 있으며, 탑롤 커버로 일반적으로 부직포가 사용되고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쿨링 타워의 탑롤 커버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탑롤 커버(50)를 탑롤(40)에 씌운 후, 소둔 철사(60)를 사용하여 탑롤 커버(50)에 텐션을 인가하여 탑롤(40)에 고정시킨다. 탑롤 커버(50)의 가장자리에는 소둔 철사(60)와의 연결을 위한 걸림홀(55)이 형성되고, 탑롤(40)의 양 사이드에는 연결링(45)이 설치된다. 소둔 철사(60)의 양단은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탑롤 커버(50)의 걸림홀(55)과 탑롤(40)의 연결링(45)에 걸려 결속된다.
복수개의 소둔 철사(60)는 탑롤(4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배치되며, 각 소둔 철사(60)는 탑롤 커버(50)의 텐션을 유지하도록 복수회 꼬여서 설치된다.
연속용융도금설비가 가공되면서 탑롤(40)의 주위 온도는 300℃를 넘는 고온에 이르게 되고, 이는 소둔 철사(60)의 텐션(장력)을 점차 약화시키게 된다. 그리고 스트립(S)의 이송에 가속 및 감속이 발생함에 따라, 스트립(S)과 탑롤 커버(50) 간의 마찰에 의해 탑롤 커버(50)와 탑롤(40) 사이에 이격 및 뒤틀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소둔 철사(60)의 텐션 약화는 이러한 뒤틀림 현상을 심화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탑롤 커버(50)와 탑롤(40) 사이의 뒤틀림이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탑롤 커버(50)에 변형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탑롤 커버(50)의 변형이 스트립(S)으로 전사되면서 스트립(S)에 곱쇠, 픽업 마크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연속용융도금설비의 가동 중에 탑롤 커버(50)의 교체를 위해 설비 가동을 중지하는 것은 큰 손실을 발생시키므로, 수리주기까지 품질결함을 감수하고 가동할 수 밖에 없어 불량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탑롤 커버(50)와 탑롤(40)의 뒤틀림을 최소화시켜 탑롤 커버(50)의 변형에 따른 불량 발생을 감소시키고 탑롤 커버(50)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서는 탑롤 커버(50)에 인가되는 텐션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기술이 중요하다 할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96925호 (2008.01.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탑롤 커버에 인가되는 텐션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고 설치가 간편한 탑롤 커버 텐셔너를 제공하여 탑롤 커버와 탑롤의 뒤틀림에 의한 탑롤 커버의 변형을 감소시켜 불량을 저감하고, 탑롤 커버의 교체로 인한 시간적, 경제적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연속용융도금공정에서 쿨링 타워의 탑롤의 표면에 씌우는 탑롤 커버에 텐션을 인가하기 위한 쿨링 타워의 탑롤 커버 텐셔너에 있어서, 상기 탑롤과 탑롤 커버에 각각 결속되는 제1 및 제2결속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결속부재 사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스프링과, 상기 제1 및 제2결속부재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결속부재를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및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쿨링 타워의 탑롤 커버 텐셔너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탑롤 커버 텐셔너에 따르면, 제1 및 제2결속부재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탑롤에 설치된 연결링 또는 상기 탑롤 커버의 걸림홀에 걸리는 걸림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걸림구는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탑롤 커버 텐셔너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은 복수의 개수로서 상기 제1 및 제2결속부재 사이를 병렬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탑롤 커버 텐셔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에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단부를 지지하는 측벽이 구비된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의 사이에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 사이의 상대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봉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봉에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 사이의 상대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 너트가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탑롤 커버 텐셔너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에는 상기 브라켓에 관통 설치되는 텐션조정나사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텐션조정나사에는 텐션조정너트가 나사 체결되어 미세 텐션을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에 상기 액추에이터를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액추에이터를 가동시켜 상기 제1 및 제2결속부재를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스프링을 인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결속부재를 상기 탑롤과 탑롤 커버에 각각 결속시키는 단계와, 상기 액추에이터를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탑롤 커버의 텐션 인가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스프링을 병렬 연결한 구조의 탑롤 커버 텐셔너를 통해 고온에서 장시간 사용에도 탑롤 커버에 인가되는 텐션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탑롤 커버 텐셔너의 설치시에 유압잭과 같은 액추에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텐션조정나사 및 너트를 이용하여 탑롤 커버 텐셔너의 설치 후 미세 텐션의 조정이 가능할 뿐 아니라 장시간 사용 후에도 스프링 텐션을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연속용융도금설비의 쿨링 타워 부위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쿨링 타워의 탑롤 커버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롤 커버 텐셔너를 이용한 탑롤 커버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롤 커버 텐셔너를 일측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롤 커버 텐셔너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롤 커버 텐셔너의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쿨링 타워의 탑롤 커버 텐셔너 및 이를 이용한 탑롤 커버의 텐션 인가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롤 커버 텐셔너를 이용한 탑롤 커버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탑롤 커버 텐셔너(100)는 도 3과 같이 탑롤 커버(50)와 탑롤(40)에 각각 결속되어 탑롤 커버(50)에 텐션을 인가하기 위한 장치이다. 탑롤 커버 텐셔너(100)의 일단은 탑롤 커버(50)의 걸림홀(55)에 결속되고, 타단은 탑롤(40)에 설치된 연결링(45)에 결속되어 있다.
탑롤 커버 텐셔너(100)는 탑롤(4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복수로 배열되어 탑롤 커버(50)의 가장자리를 탑롤(40)의 중심 방향으로 당겨 탑롤 커버(50)에 텐션을 인가한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롤 커버 텐셔너를 일측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롤 커버 텐셔너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롤 커버 텐셔너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탑롤 커버 텐셔너(100)는 제1 및 제2결속부재(110,120), 스프링(130), 제1 및 제2지지부재(140,15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결속부재(110,120)는 탑롤(40)과 탑롤 커버(50)에 각각 결속되는 구성으로서, 제1 및 제2결속부재(110,120)는 브라켓(111,121)과 그에 설치된 걸림구(112,12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걸림구(112,122)는 브라켓(111,121)으로부터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그 단부는 고리 형태로 형성된다.
제1결속부재(110)의 걸림구(112)는 탑롤(40)에 설치된 연결링(45)에 걸려 고정되고, 제2결속부재(120)의 걸림구(122)는 탑롤 커버(50)의 걸림홀(55)에 걸려 고정된다. 본 실시예는 제1결속부재(110)의 걸림구(112)가 1개, 제2결속부재(120)의 걸림구(122)가 2개의 개수를 가진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스프링(130)은 제1 및 제2결속부재(110,120) 사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및 제2결속부재(110,12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탄성 변형을 통해 압축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스프링(130)은 복수의 개수로서 제1 및 제2결속부재(110,120) 사이를 병렬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2개의 스프링(130)이 적용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제1 및 제2지지부재(140,150)는 제1 및 제2결속부재(110,120)에 각각 연결되며, 제1 및 제2결속부재(110,120)의 이동을 위한 액추에이터(160)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액추에이터(160)는 길이가 신장되어 제1 및 제2지지부재(140,150)를 가압하여 그에 연결된 제1 및 제2결속부재(110,120)를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액추에이터(160)로서 유압 잭을 사용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액추에이터(16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길이 신장을 통해 제1 및 제2지지부재(140,150)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 가능하다 할 것이다.
제1 및 제2지지부재(140,150)에는 액추에이터(160)를 수용하기 위한 액추에이터 수용홈(141,151)이 형성된다. 각 액추에이터 수용홈(141,151)은 서로 함께 액추에이터(160)를 수용하며, 각 액추에이터 수용홈(141,151)에는 액추에이터(160)의 단부를 지지하는 측벽이 구비된다. 액추에이터(160)의 동작에 따라 액추에이터(160)의 길이가 신장되는 경우 액추에이터(160)가 각 수용홈(141,151)의 측벽을 가압하여 힘이 전달되게 된다.
제1 및 제2지지부재(140,150)는 제1 및 제2결속부재(110,120)의 브라켓(111,121)을 각각 지지하거나 이들에 체결되며, 제1 및 제2지지부재(140)는 액추에이터(160)의 힘을 제1 및 제2결속부재(110,120)에 전달하여 제1 및 제2결속부재(110,120)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제1 및 제2지지부재(140,150)의 사이에는 제1 및 제2지지부재(140,150)의 상대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봉(191)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액추에이터 수용홈(141,151)을 중심으로 한 쌍의 가이드봉(191)이 설치된다.
가이드봉(191)는 제1 및 제2지지부재(140,150)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어 고정되며, 제1 및 제2지지부재(140,150) 중 다른 하나는 가이드봉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지지부재(140)에 가이드봉(191)이 체결되고, 제2지지부재(150)가 가이드봉(19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이드봉(191)은 제2지지부재(150)에 형성된 관통홀(15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이드봉(191)과 관통홀(153) 사이에는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한 부쉬(195)가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봉(191)의 양단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한쪽 나사부에는 가이드봉(191)을 제1지재부재(140)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 너트(192,193)가 체결되고, 다른 쪽 나사부에는 제1 및 제2지지부재(140,150) 사이의 상대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 너트(194)가 체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지지부재(140,150)의 상대 이동시 제2지지부재(150)가 스토퍼 너트(194)에 걸려 그 이동이 제한되게 된다.
스프링(130)과 브라켓(111,121) 사이에는 텐션조정나사(171,172)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텐션조정나사(171,172)는 스프링(130)에 연결되며, 브라켓(111,121)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텐션조정나사(171,172)에는 텐션조정너트(181,182)가 브라켓(111,121)의 반대 측에서 나사 체결되며, 텐션조정너트(171,172)를 조이거나 풀어 스프링(130)에 인가되는 텐션을 미세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결속부재(110,120) 중 걸림구(112,122) 중 적어도 하나는 브라켓(111,1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2결속부재(120)의 걸림구(122)가 브라켓(1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도 7에 따르면, 걸림구(122)가 체결된 연결볼(123)이 브라켓(121)의 구면 형태의 장착홈(125)에 결합되고, 체결링(124)이 연결볼(123)을 덮도록 브라켓(121)에 체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걸림구(122)가 볼 조인트 방식으로 브라켓(121)에 연결되게 되며, 이러한 구조는 브라켓(121)에 복수의 걸림구(122)가 적용된 구조에 있어서 작업자가 각 걸림구(122)를 결속할 때 걸림구(122)의 자세 조정에 유리하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된 구조의 탑롤 커버 텐셔너(100)를 이용하여 탑롤 커버(50)에 텐션을 인가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 및 제2지지부재(140,150)에 액추에이터(160)를 결합시킨다. 다시 말해 액추에이터(160)의 양단이 액추에이터 수용홈(141,151)의 측벽을 지지하도록 액추에이터(160)를 액추에이터 수용홈(141,151) 내에 설치한다.
다음으로 액추에이터(160)를 가동시켜 액추에이터(160)의 길이를 신장시킨다. 본 실시예와 같이 액추에이터(160)로 유압 잭이 사용된 경우 액추에이터(160)에 유압을 인가하여 유압 잭의 실린더가 상대 이동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액추에이터(160)의 길이 신장에 따라 제1 및 제2지지부재(140,150)와 그에 연결된 제1 및 제2결속부재(110,12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게 되고, 제1 및 제2결속부재(110,120)에 연결된 스프링(130)이 인장 변형된다.
다음으로 제1 및 제2결속부재(110,120)를 탑롤(40)과 탑롤 커버(50)에 각각 결속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결속부재(110,120)의 걸림구(112,122)를 탑롤(40)의 연결링(45)과 탑롤 커버(50)의 걸림홀(55)에 걸어 결속시킨다. 그리고 액추에이터(160)의 압력을 제거하고, 제1 및 제2지지부재(140,150)로부터 액추에이터(160)를 분리시킨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탑롤 커버 텐셔너(100)를 모두 이와 같은 작업 방식으로 설치하여 탑롤 커버(50)에 텐션을 인가한다. 작업을 완료한 후 텐션조정너트(181,182)를 조이거나 풀어 미세 텐션을 조정할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에 따라 텐션이 감소하더라도 텐션조정너트(181,182)를 조여 텐션을 조정함으로써 탑롤 커버 텐셔너(10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쿨링 타워의 탑롤 커버 텐셔너 및 이를 이용한 탑롤 커버의 텐션 인가 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30: 쿨링 타워 40: 탑롤
45: 연결링 50: 탑롤 커버
55: 걸림홀 100: 탑롤 커버 텐셔너
110: 제1결속부재 120: 제2결속부재
111,121: 브라켓 112,122: 걸림구
130: 스프링 140: 제1지지부재
150: 제2지지부재 160: 액추에이터
171,172: 텐션조정나사 181,182: 텐션조정너트

Claims (9)

  1. 연속용융도금공정에서 쿨링 타워의 탑롤의 원기둥 형상의 두 밑면에 배치되어 상기 탑롤의 표면에 씌워진 탑롤 커버의 가장자리를 상기 탑롤의 원기둥 형상의 밑면의 중심 방향으로 당겨 텐션을 인가하기 위한 쿨링 타워의 탑롤 커버 텐셔너에 있어서,
    상기 탑롤의 원기둥 형상의 밑면에 결속되는 제1결속부재;
    상기 탑롤 커버의 가장자리에 결속되는 제2결속부재;
    상기 제1 및 제2결속부재 사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스프링; 및
    상기 제1 및 제2결속부재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결속부재를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및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쿨링 타워의 탑롤 커버 텐셔너.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결속부재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탑롤에 설치된 연결링 또는 상기 탑롤 커버의 걸림홀에 걸리는 걸림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타워의 탑롤 커버 텐셔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는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타워의 탑롤 커버 텐셔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복수의 개수로서 상기 제1 및 제2결속부재 사이를 병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타워의 탑롤 커버 텐셔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에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단부를 지지하는 측벽이 구비된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타워의 탑롤 커버 텐셔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 사이의 상대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타워의 탑롤 커버 텐셔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에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 사이의 상대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 너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타워의 탑롤 커버 텐셔너.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에 연결되며, 상기 브라켓에 관통 설치되는 텐션조정나사; 및
    상기 텐션조정나사에 나사 체결되는 텐션조정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타워의 탑롤 커버 텐셔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을 따르는 쿨링 타워의 탑롤 커버 텐셔너를 이용한 탑롤 커버의 텐션 인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쿨링 타워의 탑롤 커버 텐셔너의 제1 및 제2지지부재에 상기 액추에이터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액추에이터를 가동시켜 상기 쿨링 타워의 탑롤 커버 텐셔너의 제1 및 제2결속부재를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스프링을 인장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결속부재를 상기 탑롤과 탑롤 커버에 각각 결속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액추에이터를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탑롤 커버의 텐션 인가 방법.
KR1020140180903A 2014-12-16 2014-12-16 쿨링 타워의 탑롤 커버 텐셔너 및 이를 이용한 탑롤 커버의 텐션 인가 방법 KR101629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903A KR101629429B1 (ko) 2014-12-16 2014-12-16 쿨링 타워의 탑롤 커버 텐셔너 및 이를 이용한 탑롤 커버의 텐션 인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903A KR101629429B1 (ko) 2014-12-16 2014-12-16 쿨링 타워의 탑롤 커버 텐셔너 및 이를 이용한 탑롤 커버의 텐션 인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9429B1 true KR101629429B1 (ko) 2016-06-10

Family

ID=56190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0903A KR101629429B1 (ko) 2014-12-16 2014-12-16 쿨링 타워의 탑롤 커버 텐셔너 및 이를 이용한 탑롤 커버의 텐션 인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4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01303A (zh) * 2020-09-27 2021-02-02 甘肃酒钢集团宏兴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连续热镀锌生产线塔顶辊无缝包布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9643A (ja) * 1988-10-17 1990-04-23 Fuji Photo Film Co Ltd 引張コイルバネの組付方法及び装置
JPH0734619Y2 (ja) * 1990-02-27 1995-08-09 デルタ工業株式会社 シートのクッション構造
KR100796925B1 (ko) 2001-11-16 2008-01-22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아연도금설비용 냉각탑 상부롤 상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441963Y1 (ko) * 2007-04-17 2008-09-24 백은종 전통 북
JP2008261500A (ja) * 2007-04-13 2008-10-30 Muhr & Bender Kg ベルトテンション装置または巻掛け伝動装置に用いられる走行ロー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9643A (ja) * 1988-10-17 1990-04-23 Fuji Photo Film Co Ltd 引張コイルバネの組付方法及び装置
JPH0734619Y2 (ja) * 1990-02-27 1995-08-09 デルタ工業株式会社 シートのクッション構造
KR100796925B1 (ko) 2001-11-16 2008-01-22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아연도금설비용 냉각탑 상부롤 상의 이물질 제거장치
JP2008261500A (ja) * 2007-04-13 2008-10-30 Muhr & Bender Kg ベルトテンション装置または巻掛け伝動装置に用いられる走行ローラ
KR200441963Y1 (ko) * 2007-04-17 2008-09-24 백은종 전통 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01303A (zh) * 2020-09-27 2021-02-02 甘肃酒钢集团宏兴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连续热镀锌生产线塔顶辊无缝包布结构
CN112301303B (zh) * 2020-09-27 2022-06-03 甘肃酒钢集团宏兴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连续热镀锌生产线塔顶辊无缝包布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3277B2 (en) Mask support, mask assembly, and assembly comprising a mask support and a mask
KR101629429B1 (ko) 쿨링 타워의 탑롤 커버 텐셔너 및 이를 이용한 탑롤 커버의 텐션 인가 방법
US10587105B2 (en) Snow/ice removal device for overhead lines
IL179469A0 (e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mounting audio/video capturing equipment
WO2013084312A1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の取付方法
US20170264089A1 (en) Apparatus for relieving tension of electric cable
US10148076B2 (en) High volatage power line stringing traveler
US11148554B2 (en) Hanger for a suspended contact wire of a railway line and a power line comprising said hanger
KR101775986B1 (ko) 현수선 구조설비용 장력조절장치
US9751428B2 (en) Cantilever for supporting a catenary to supply energy to a vehicle
KR20120019684A (ko) 케이블을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윈치의 케이블 지지장치
US20180242438A1 (en) Ground roller assembly
US20140000986A1 (en) Device and method for fastening and aligning a guide rail
MX2019015426A (es) Aparato de procesamiento de cable.
JP2016155628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2228022A (ja) 摩耗発見具
CN107237444B (zh) 可调式竖向顶挂装置
US20170276333A1 (en) Apparatus for mounting a luminaire on a support
CN108054002A (zh) 一种导线张紧装置
CN219013804U (zh) 一种温热感应筛选摄像机的调节机构
CN205702347U (zh) 一种可控制喷带间隙的非晶薄带生产装置
KR20150053612A (ko) 엘이디 조명장치
US942143A (en) Catenary suspension system for the trolley-wires of electric railways.
JP6428238B2 (ja) トロリー線支持装置
JP3202730U (ja) 支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