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075B1 - 통신 단말,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075B1
KR100796075B1 KR1020050036357A KR20050036357A KR100796075B1 KR 100796075 B1 KR100796075 B1 KR 100796075B1 KR 1020050036357 A KR1020050036357 A KR 1020050036357A KR 20050036357 A KR20050036357 A KR 20050036357A KR 100796075 B1 KR100796075 B1 KR 100796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external device
modem
communication terminal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6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7661A (ko
Inventor
쇼우지 요시다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7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32B37/0053Constructional details of laminating machines comprising roller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시스템은 모뎀 드라이버의 취득에 의해 통신 기능을 갖는 퍼스널 컴퓨터(PC)와, 퍼스널 컴퓨터와 통신 가능한 휴대 통신 단말을 갖는다. 휴대 통신 단말은, 퍼스널 컴퓨터에 접속되는 USB 인터페이스부와, 모뎀 드라이버가 보존되는 서버의 어드레스가 기억되는 RAM과, 무선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서버로부터 모뎀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고, USB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다운로드된 모뎀 드라이버를 퍼스널 컴퓨터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갖는다.

Description

통신 단말,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을 채용한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방식을 나타내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 2 방식을 나타내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USB 모드를 「스토리지」모드 또는 「모뎀」 모드로 사용자가 식별하는 경우의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디스플레이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4의 ROM에 보존되는 프로그램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 측의 USB 모드의 전환 처리를 나타내는 순차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통신 시스템 10 : 휴대 통신 단말
11 : 제어부 12 : 입력부
13 : 디스플레이 14 : 무선 통신부
15 : ROM 16 : SRMA
17 : 인터페이스(I/F)부 18 : 버스
20 : 퍼스널 컴퓨터(PC) 30 : 기지국
40 : 무선 통신망(네트워크) 50 : 서버 장치
본 출원은 이하 전 범위에서 참고로 인용되는, 2004년 4월 3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04-136492 호에 근거하여 우선권 주장하여 출원된 것이다.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기기와 접속 가능한 셀룰러 폰 등의 통신 단말,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기기에, 예를 들면 쌍 방향 통신 가능한 인터페이스인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에 의해 통신 모뎀으로서 사용 가능한 통신 단말,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폰 등의 휴대 통신 단말에 있어서, USB 포트에 의해 휴대 통신 단말과 퍼스널 컴퓨터(PC)와 접속하여, 휴대 통신 단말을 통신용 모뎀으로서 가능하도록 제어한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3-298762 호 공보 참조).
이 기능을 퍼스널 컴퓨터에 제공하여, 휴대 통신 단말을 통신 모뎀으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퍼스널 컴퓨터 측에 모뎀 드라이버를 먼저 인스톨할 필요가 있다.
모뎀 드라이버는, 다음의 제 1, 제 2, 및 제 3 방법 중 어느 하나로 퍼스널 컴퓨터에 제공된다.
제 1 방법에 의하면, 모뎀 드라이버가, 휴대 통신 단말로 패키지화된 CD-ROM 등의 기록 매체를 통해 제공된다.
제 2 방법에 의하면, 휴대 통신 단말와는 상이한 다른 통신 수단, 예를 들면 고정 전화 회선을 이용한 다이얼 업 등에 의해 인터넷 접속할 수 있는 퍼스널 컴퓨터로, 서버로부터 모뎀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여 입수한다.
제 3 방법에 의하면, 휴대 통신 단말이 퍼스널 컴퓨터에 접속되면 자동적으로 인터넷 상의 FTP 서버에 액세스하여, 드라이버 버전 정보를 취득한다. 메모리에 드라이버 프로그램의 압축 화일이 기억되면, 이 화일의 드라이버 버전 정보를 판독하고, FTP 서버로부터 취득한 드라이버 버전 정보와 비교하여, 2개의 보다 새로운 버전을, 퍼스널 컴퓨터 측의 메모리에 자동적으로 인스톨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3-298762 호 공보가 관련 기술로서 참조된다.
그러나, 상기 각 방법에서는 이하와 같은 단점이 있다.
제 1 방법과 같이, CD-ROM 등의 기록 매체를 패키지 판매하는 경우, 기록 매체를 패키지화하는데 비용이 필요하고, 또한, 사용자가 모뎀 드라이버를 최신 버전으로 갱신할 수 없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
제 2 방법과 같이, 인터넷 액세스하는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웹을 통해 모뎀 드라이버를 취득하는 경우, 퍼스널 컴퓨터가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니면 모뎀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제 3 방법의 경우, 휴대 통신 단말을 퍼스널 컴퓨터에 접속하는 경우 반드시 드라이버 버전을 확인하기 위해 인터넷 액세스가 요구된다.
드라이버 버전의 갱신은 그다지 빈번하게 행해지는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통신 링크를 확립하는 것은 불편하고 시간적으로 낭비적인 것이라고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휴대 통신 단말의 브라우저는 링크가 확립될 때마다 활성화된다. 따라서, 갱신된 드라이버 버전이 입수 불가능하더라도, 링크가 확립될 때마다 사용자가 다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활성화된 브라우저를 닫아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외부 기기가 인터넷 액세스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여분의 비용을 들이지 않고 최신 드라이버를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는 통신 단말,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통신 단말은, 외부 기기에 접속되는 외부 인터페이스와, 모뎀 드라이버가 보존되는 서버의 어드레스가 기억되는 기억부와, 통신망을 거쳐서 서버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외부 기기가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접속될 때,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모뎀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는 동시에,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다운로드된 모뎀 드라이버를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갖는다.
상기 통신 단말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와 상기 외부 기기가 USB(Universal Serial Bus)에 의해 접속될 때, 상기 모뎀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한다.
상기 통신 단말은, 통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뎀 드라이버를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것을 종료하면, 상기 통지부가 송신의 종료를 통지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통신 단말에서, 상기 제어부는, 모뎀 드라이버를 외부 기기에 송신한 후, 통신 단말을 상기 외부 기기에 의해 동작될 모뎀으로서 제어한다.
상기 통신 단말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에 의해 상기 모뎀 드라이버를 이용한 액세스 요구가 이루어지는 경우, 통신 단말을 상기 외부 기기에 의해 동작될 모뎀으로서 제어한다.
상기 통신 단말은, 통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뎀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기 전에 상기 무선 통신부의 통신 속도를 확인하여, 통신 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상기 통신 속도가 느린 사실을 상기 통지부에 의해 통지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은, 모뎀 드라이버의 취득에 의해 통신 기능을 갖는 외부 기기와, 상기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 단말을 구비하며, 상기 통신 단말은, 외부 기기에 접속되는 외부 인터페이스와, 모뎀 드라이버가 보존되는 서버의 어드레스가 기억되는 기억부와, 통신망을 거쳐서 서버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외부 기기가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접속될 때,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서버로부터 모뎀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는 동시에,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다운로드된 모뎀 드라이버를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모뎀 드라이버를 저장하는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 단말을 구비하며, 상기 통신 단말은, 외부 기기에 접속되는 외부 인터페이스와, 상기 서버의 어드레스가 기억되는 기억부와, 통신망을 거쳐서 서버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외부 기기가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접속될 때,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서버로부터 모뎀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는 동시에,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다운로드된 모뎀 드라이버를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외부 기기와 접속되어 통신 가능하고, 통신망을 거쳐서 서버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 단말의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단말이 모뎀 드라이버를 취득함으로써 통신 기능을 취득하는 외부 기기에 접속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단말이 외부 기기에 접속된 경우, 통신망을 통해서 모뎀 드라이버가 보존되는 서버로부터 모뎀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는 단계와, 상기 다운로드된 모뎀 드라이버를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통산 단말에서, 상기 통신 단말은 셀룰러 폰이다.
상기 통신 단말에서, 상기 셀룰러 폰은 CDMA 2000에 따른다.
상기 통신 단말,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에 따르면, 인터넷 액세스가 불가능하더라도, 여분의 비용을 들이지 않고 최신 드라이버가 용이하게 취득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을 채용한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통신 시스템(1)은, 예를 들면 셀룰러 폰으로 이루어지는 휴대 통신 단말(10), USB를 통해 휴대 통신 단말(10)과 접속할 수 있고, 모뎀 드라이버를 취득함으로써 통신 기능을 획득할 수 있는 퍼스널 컴퓨터(PC)(20), 기지국(30), 무선 통신망(네트워크)(40), 및 모뎀 드라이버를 저장하고 네트워크(40) 상에 위치하는 서버(50)를 갖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10)은, 웹 등의 네트워크(40)를 액세스하고, USB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20)에 플러그 인(plug-in)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휴대 통신 단말(10) 측의 USB 드라이버는 스토리지 기능 및 모뎀 기능을 지원하고, 또한 USB 드라이버의 전환 기능을 갖는다.
즉, 휴대 통신 단말(10)은, 네트워크 통신을 행하여, 자신도 퍼스널 컴퓨터(20)와 접속될 때 모뎀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휴대 단말이다.
또한, 휴대 통신 단말(10)은, 그 자체로도 셀룰러 폰 서비스 제공자 등이 제공하는 독자의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도 있다.
통신 시스템(1)에 있어서, 휴대 통신 단말(10)은, 웹 등의 네트워크(40)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20)에 사용된 모뎀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여 휴대 통신 단말(10)의 메모리에 모뎀 드라이버를 보존한다. 이후, 퍼스널 컴퓨터(20)는 메모리를 외부 메모리로서 식별하고, 메모리에 보존된 모뎀 드라이버를 인스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CD 등의 기록 매체를 이용하지 않고 퍼스널 컴퓨터(20) 측의 모뎀 드라이버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통신 시스템(1)은, 이하의 2개의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제 1 방식에 있어서는 도 2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제 2 방식에 있어서는 도 3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방식)
휴대 통신 단말(MT)(10)과 퍼스널 컴퓨터(PC)(20)이 USB 접속을 이용하여 서로 접속이 이루어지면, 도 2의 단계 ST1에서, 퍼스널 컴퓨터(PC)(20)는 휴대 통신 단말(MT)(10) 측의 메모리(데이터 폴더)를 제거 가능한 메모리로서 식별한다.
단계 ST2에서, 초기(디폴트) 상태에서는, 휴대 통신 단말(10)은 퍼스널 컴퓨터(20)에 의해 제거 가능한 메모리로서 식별되지만, 사용자는 휴대 통신 단말(10)을 제거 가능한 메모리로서 이용할지, 모뎀으로서 이용할지를 지정한다(지정할 수 있다).
휴대 통신 단말(10)이 모뎀으로서 이용되도록 지정되어 있으면, 단계 ST3로 프로그램 제어가 진행된다. 휴대 통신 단말(10)이 제거 가능한 메모리로서 이용되도록 지정되면, 제어가 종료한다.
단계 ST3에서, 휴대 통신 단말(10)이 독립적으로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웹(인터넷 상의 서버 장치(50))을 통해 모뎀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고, 획득된 모뎀 드라이버를 메모리(데이터 폴더)에 저장한다.
단계 ST4에서, 퍼스널 컴퓨터(PC)(20)는 휴대 통신 단말(MT)(10)의 메모리(데이터 폴더)로부터 모뎀 드라이버를 입수하여, 인스톨한다.
단계 ST5에서, 모뎀 드라이버의 인스톨 완료 후, 퍼스널 컴퓨터(20)는 USB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휴대 통신 단말(10)을 모뎀으로서 식별하여, 사용자는 휴대 통신 단말(MT)(10)를 모뎀으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정한다.
단계 ST6에서, 퍼스널 컴퓨터(PC)(20)는 휴대 통신 단말(MT)(10)을 통신 모뎀으로서 인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방식에 따르면, 사용자가 휴대 통신 단말(10)을 USB 모드가 되도록 수동으로 설정한다.
제 2 방식에 따르면, 자동적으로 USB 모드를 설정한다.
(제 2 방식)
휴대 통신 단말(MT)(10)과 퍼스널 컴퓨터(PC)(20)가 USB를 통해 서로 접속이 이루어지면, 도 3의 단계 ST11에 있어서, 퍼스널 컴퓨터(20)는 휴대 통신 단말(MT)(10) 측의 메모리(데이터 폴더)를 제거 가능한 메모리로서 식별한다.
단계 ST12에서, 휴대 통신 단말(MT)(10)이 독립적으로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웹(인터넷 상의 서버 장치(50))을 통해 모뎀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고, 휴대 통신 단말(MT)(10) 내의 메모리(데이터 폴더)에 저장한다.
단계 ST13에서, 휴대 통신 단말(10)은, 모뎀 드라이버를 웹 등을 통해 다운로드하여 휴대 전화 단말 장치(MT)(10) 내의 메모리에 저장할 때에, 이 메모리에 드라이버가 갱신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설정한다(플래그 온).
단계 ST14에서, 퍼스널 컴퓨터(PC)(20)는, 휴대 통신 단말(MT)(10)의 메모리로부터 모뎀 드라이버를 입수하여, 인스톨한다.
단계 ST15에서, 퍼스널 컴퓨터(20)로의 드라이버 인스톨이 완료한 시점에서, 드라이버 갱신 플래그의 상태를 「갱신 없음」으로 되돌린다(플래그 오프).
단계 ST16에서, 휴대 통신 단말(MT)(10)이 퍼스널 컴퓨터(PC)(20)와의 USB 접속을 검출한 경우, 드라이버 갱신 플래그의 상태가 검출된다. 단계 ST17에서 드라이버가 갱신되어 있으면, 단계 ST18에서 휴대 통신 단말(MT)(10)은 제거 가능한 메모리로서 퍼스널 컴퓨터(PC)(20)와 접속된다. 드라이버가 갱신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ST19에서 휴대 통신 단말(MT)(10)은 모뎀으로서 퍼스널 컴퓨터(20)와 접속한다.
이하,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여, 자신도 퍼스널 컴퓨터(20)와 USB를 통해 접속하여 모뎀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휴대 통신 단말(10)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10)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이다.
휴대 통신 단말(10)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1), 입력부(12), 디스플레이(13), 무선 통신부(14), ROM(15), SRAM(16), 및 USB 인터페이스(I/F)부(17)를 포함한다. 입력부(12)는 사용자가 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고 웹에 독립적으로 액세스하기 위해서 휴대 통신 단말(120)을 조작하도록 작동된다. 또한, 입력부(12)는 USB 모드를 변경하거나, 인터넷을 경유하여 모뎀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도록 작동된다. 디스플레이(13)는 사용자에게 현재의 설정이나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13)는 또한 통지 수단으로서 디스플레이한다. 무선 통신부(14)는 인터넷에 액세스하여 모뎀 드라이버를 입수하고, 「모뎀」 모드가 USB 모드로서 설정된 경우에, 네트워크(40)에 액세스한다. ROM(15)은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SRAM(16)은 USB 모드의 설정을 저장한다. USB 인터페이스(I/F)부(17)는 PC(20)에 접속된다. 모뎀 드라이버를 저장하는 서버(50)의 어드레스는 또한 SRAM(16)에 저장된다. 또한, 휴대 통신 단말(10)은 제어부(11)에 의해 제어되어 통신용으로 사용되는 마이크로폰과 스피커(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스피커는 통지 수단의 일 실시예로서 간주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각 구성요소는 외부 버스(18)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11)는, ROM(15)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시스템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각 부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는, 휴대 통신 단말(10)에 의해 수행된 디스플레이나 음성이나 통신을 제어하고, ROM(15) 및 SRAM(16)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각 부를 구동한다.
제어부(11)는, USB 인터페이스부(17)와 외부 기기인 퍼스널 컴퓨터(20)의 USB 접속을 판단하면, SRAM(16)에 기억되는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부(14)를 통해서 서버(50)와의 통신을 개시함과 동시에 모뎀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한다.
또한, 제어부(11)는, USB 인터페이스부(17)로의 외부 기기인 퍼스널 컴퓨터(20)의 접속이 USB를 통한 접속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들이 USB 접속되어 있으면, 모뎀 드라이버의 다운로드를 실행하도록 무선 통신부(l4) 등을 제어한다.
제어부(11)는, 모뎀 드라이버를 인터페이스부(17)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20) 측으로 송신하는 것을 종료한 후, 통지 수단으로서의 디스플레이(13) 상에 송신 완료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통지한다.
또, 도 4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예를 들면 휴대 통신 단말(10)이 셀룰러 폰인 경우에는, 스피커 등을 포함하는 방음부를 갖고 있다. 따라서, 통지부로서는 이 방음부를 이용하여 모뎀 드라이버의 퍼스널 컴퓨터(20)로의 송신을 완료한 것을 방음하여 통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휴대 통신 단말(10)이, 송신 완료의 통지 후에 모뎀으로서의 사용이 지시되면, 제어부(11)는, 퍼스널 컴퓨터(20)가 통신의 마스터로 되도록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11)는, 퍼스널 컴퓨터(20)로부터 모뎀 드라이버를 이용한 액세스 요구가 이루어질 때 퍼스널 컴퓨터(20)가 통신 마스터로 되도록 설정 제어한다.
현재, 통신 방식으로서, 복수 방식을 구비하는 것이 다수 등장하고 있다. 이 경우, 양자 사이에서 통신 속도가 압도적으로 상이한 것도 많이 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CDMA2000 방식과 EVDO 방식 등이 있을 수 있다. 전자는 144kbps 정도, 후자는 2Mbps 정도의 능력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경우, 본 실시예에 의하면, 모뎀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USB 접속을 검출하여, 서버(50)에 액세스를 개시할 때에, 모뎀 드라이버에 포함된 데이터량에 의존하는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1)는, 주변의 네트워크 상태를 재확인하여, 보다 고속의 통신 방식인 EVDO 방식에 의한 통신을 행할 수 있는 상황 하에서는 즉시 통신을 개시해도 된다. 그러나, EVDO 방식에 의한 통신을 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제어부(11)에 의해 통신을 개시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확인시키도록, LCD 등의 디스플레이(13)에 「다운로드에 걸리는 시간이 길게 되어 버린다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또는 사용자가 퍼스널 컴퓨터(20)의 디스플레이 화면만을 보고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착신음을 방음하는 스피커로부터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메시지의 디스플레이 및 경고음의 방음을 동시에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20) 측의 능력을 확인한 후에, 모뎀 드라이버의 다운로드를 개시시키더라도 좋다.
도 5는, 휴대 통신 단말(10) 상에서 USB 모드를 「스토리지」 모드나 「모뎀」 모드로 사용자가 설정하는 경우의 디스플레이(13) 상의 표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3) 상에는, 통신 모드로서, 「데이터 전송 모드」와 「USB 모드」가 표시된다.
예를 들면, 도 5의 (c),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USB 모드」를 선택하여 입력 버튼을 누르면, 「USB 모드」로서 「스토리지」와 「모뎀」이 표시된다.
「모뎀」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도 5의 (c)의 화면 상의 입력 버튼을 작동함으로써, 모뎀 설정이 완료된다.
또한, 「스토리지」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도 5의 (d)의 화면 상의 입력 버튼을 작동함으로써, 모뎀 설정이 완료된다.
이러한 설정이 완료하면, 도 5의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제어부(11)는, 스크린에서, 입력부(12)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USB 모드를 SRAM(16)에 저장한다.
USB 인터페이스(I/F)부(17)를 통해, 휴대 통신 단말(10)이 퍼스널 컴퓨터(20)에 접속되면, 제어부(11)는 SRAM(16)에 보존되어 있는 USB 모드 설정을 판독하여, ROM(15)에 보존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USB 모드 설정이 「스토리지」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휴대 통신 단말(10)은 퍼스널 컴퓨터(20)에 의해 외부 메모리로서 식별된다.
한편, USB 모드 설정이 「모뎀」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휴대 통신 단말(l0)는 퍼스널 컴퓨터(20)에 의해 모뎀으로서 식별된다.
상기 동작을 실현하는, ROM(15)에 보존되는 프로그램이 도 6에 블럭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있어서, 사용자는 퍼스널 컴퓨터(20) 측의 모뎀 드라이버를 인터넷으로부터 다운로드하여 휴대 통신 단말(10)의 SRAM(16) 상에 저장하기 위해서 브라우저를 이용한다.
그것을 행하기 위해서는, 브라우저 모듈은, 퍼스널 컴퓨터(20) 측의 모뎀 드라이버가 유효 다운로드 화일임을 판정해야 한다.
도 6에 있어서, 제어부는, 다운로드된 화일을 DB에 저장한다. 보존된 화일은,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식별될 필요가 있고, 휴대 통신 단말(10) 상에서는 드라이버 화일로서 식별되더라도, 불명확한 파일로 취급되더라도 상관없다.
또, 휴대 통신 단말(10)에 대한 SRAM(16) 상의 USB 설정값은, 디폴트에서는 「스토리지」로 설정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20)에 휴대 통신 단말(10)을 접속하는 경우, 휴대 통신 단말(10)은 퍼스널 컴퓨터(20)에 의해 외부 메모리로서 식별된다.
사용자는 퍼스널 컴퓨터(20)를 이용하여, 휴대 통신 단말(10)의 SRAM(16) 상에 보존되어 있는 모뎀 드라이버를 인스톨한다.
모뎀 드라이버를 인스톨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파일 setup.exe를 실행하여 자동적으로 인스톨을 완료할 수도 있고, 또는 수동으로 소정의 장소에 드라이버를 보존할 수도 있다.
모뎀 드라이버의 인스톨 완료 후, 사용자는 UI 조작으로, 소정의 메뉴로부터, USB 모드를 「모뎀」으로 설정한다.
제어부는 DB를 경유하여 SRAM(16) 상의 USB 설정값을 「모뎀」으로서 설정한다.
USB 모드가 「모뎀」으로서 설정된 후, 휴대 통신 단말(10)이 퍼스널 컴퓨터(20)에 USB 인터페이스부(17)를 경유하여 접속되면, 휴대 통신 단말(10) 측의 USB 드라이버는 SRAM(16) 내의 USB 설정값을 검사하여, 퍼스널 컴퓨터(20)에 의해 모뎀으로서 식별되도록 포트를 자동적으로 변경한다.
도 7은, 휴대 통신 단말(10)에 의해 수행된 USB 모드의 전환 처리를 나타내는 순차도이다.
사용자가 USB 모드를 전환한 후에 USB 접속을 설정한 경우, 또는 USB 접속한 상태에서 휴대 통신 단말(10)을 이용함으로써 USB 모드를 전환한 경우, USB 드라이버는 상위 애플리케이션 측으로부터 포트 전환 요구를 수취하고, 스토리지 기능에 대해 클로즈 요구(CLOSE)를 발행한다.
스토리지 서비스는 클로징 완료를 확인하고 나서, 그 클로징의 완료를 USB 드라이버에 통지한다.
USB 드라이버는, 그때까지 포트를 사용하고 있었던 스토리지 서비스로부터의 클로징 확인의 통지를 수취한 후(NOTIFY), 모뎀 기능에 대해 오픈 요구를 발행한다(OPEN).
모뎀 서비스는 오픈 성공을 확인하고 나서, USB 드라이버에 대해 그 성공을 통지한다(NOTIFY).
USB 드라이버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요구가 있었던 모뎀 기능의 오픈 확인 통지를 수취하면, USH 드라이버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그 수신의 취지를 콜 백(call back)으로 통지한다(Return).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입력부(12)를 이용하여 휴대 전화 단말 장치(10)의 USB 모드를 수동으로 전환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는 단순히 일 실시예이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 2 방식과 같이, 드라이버가 인터넷을 통해 갱신될 때 자동적으로 USB 모드를 스토리지 모드로 전환하여, 드라이버의 인스톨 실시 후에는 자동적으로 모뎀 모드로 전환하는 것과 같은 형태에 관해서도 본 발명이 연용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모뎀 드라이버의 취득에 의해 통신 기능을 갖는 퍼스널 컴퓨터(20)와, 퍼스널 컴퓨터(20)와 통신 가능한 휴대 통신 단말(10)을 갖는다. 휴대 통신 단말(10)은, 퍼스널 컴퓨터(20)가 접속되는 USB 인터페이스부(17)와, 모뎀 드라이버가 보존되는 서버(50)의 어드레스를 기억하는 RAM(16)과, 인터페이스부(17)로의 퍼스널 컴퓨터(20)의 USB 접속을 판단하며, 무선 통신부(14)를 제어하여 서버(50)와 통신하고, 또한 서버(50)로부터 모뎀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여, USB 인터페이스부(17)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20) 측에 전송하는 제어부(11)를 갖는다.
즉, 휴대 통신 단말(10)과 퍼스널 컴퓨터(20)는 USB 접속에 의해 플러그인할 수 있어, 휴대 통신 단말(10) 측의 메모리(데이터 폴더)를 제거 가능한 메모리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휴대 통신 단말(1O)은, 모뎀 드라이버는 웹으로부터 입수하여 소정의 메모리(데이터 폴더)에 자동 저장하는 기능을 갖고, 휴대 통신 단말(10)의 USB 드라이버가 스토리지 기능 및 모뎀 기능을 지원하여, USB 드라이버만이 스토리지 기능과 모뎀 기능을 서로 전환할 필요가 있어, 기록 매체를 패키지화하기 위한 여분의 비용 부담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록 매체가 휴대 통신 단말로 패키지화되지 않을 때 유효하다.
퍼스널 컴퓨터가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없는 환경에서도 최신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여 입수할 수 있다.
또한, 휴대 통신 단말(10)을 제거 가능한 메모리로서 또는 통신 모뎀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휴대 통신 단말(10)을 통신할 수 있는 곳에서는, 휴대 통신 단말(10)의 모뎀 기능이 효과적으로 동작한다. 휴대 통신 단말(10)을 통신할 수 없으면, 드라이버를 입수할 수 있더라도 모뎀 드라이버를 유효하다고 할 수 없기 때문에, 그 경우는 고려에 넣지 않더라도 전혀 문제없다.
또한, 다른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2가지 관점이 명백해진다.
(1) 다른 네트워크 접속 수단이 전혀 없는 사람이더라도, 모뎀 드라이버를 네트워크로부터 얻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모뎀 드라이버 이외의 장치의 드라이버만이 네트워크 상에서 입수할 수 있다.
이는 모뎀 드라이버가 없는 상태로 네트워크 접속할 수 없기 때문이다.
(2) CD-ROM을 실제로 사용할지 여부를 알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CD-ROM을 번들 소프트웨어로서 포함할 필요가 없어져, 비용적으로도 환경 배려적으로도 우수하다.
예를 들면, 고속 통신 속도에 대응할 수 있는 EVDO 호환 단말 등의 단말에 모뎀으로서 사용하려고 하는 사람이 증가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는 이들 단말을 셀룰러 폰으로서 사용하는 사람이 많다고 생각되며, 모뎀 드라이버를 원하는 사람의 수가, 단말을 모뎀으로서 사용할 예정이 없는 사람의 수를 압도적으로 상회하지 않는 한, 각종 비용을 요하는 패키지화된 모뎀 드라이버에 대한 판매가 회피될 수도 있다.
또한, EVDO에 대해 제공되어 있는 통신비 정액제나, 다운로드 속도 등을 생각하면, 모뎀 드라이버를 네트워크 상에 갖게 하는 것은 유효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기기가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닌 경우이더라도 여분의 비용을 들이는 일없이 최신 드라이버를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외부 기기에 접속되는 외부 인터페이스와,
    상기 외부 기기에 통신 기능을 갖게 하기 위한 모뎀 드라이버가 보존되는 통신망상의 서버의 어드레스가 기억되는 기억부와,
    통신망을 통해 다른 통신 단말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무선 통신부와,
    상기 외부 기기가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접속될 때,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모뎀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다운로드된 모뎀 드라이버를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와 상기 외부 기기가 USB(Universal Serial Bus)에 의해 접속될 때, 상기 모뎀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3. 제 1 항에 있어서,
    통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뎀 드라이버를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것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지부가 송신의 종료를 통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드라이버를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한 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단말을 상기 외부 기기에 의해 동작될 모뎀으로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에 의해 상기 모뎀 드라이버를 이용한 액세스 요구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단말을 상기 외부 기기에 의해 동작될 모뎀으로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6. 제 1 항에 있어서,
    통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뎀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기 전에 상기 무선 통신부의 통신 속도를 조사하여, 상기 통신 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상기 통신 속도가 느린 사실을 상기 통지부에 의해 통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7. 모뎀 드라이버의 취득에 의해 통신 기능을 획득하는 외부 기기와,
    상기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 단말
    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외부 기기에 접속되는 외부 인터페이스와,
    상기 모뎀 드라이버가 보존되는 서버의 어드레스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통신망을 거쳐서 서버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외부 기기가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접속될 때,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서버로부터 모뎀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다운로드된 모뎀 드라이버를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8. 모뎀 드라이버를 저장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한 통신 단말
    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단말은,
    외부 기기에 접속되는 외부 인터페이스와,
    상기 서버의 어드레스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통신망을 거쳐서 상기 서버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외부 기기가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접속될 때,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의 통신을 행하여 상기 외부 기기에 통신 기능을 갖게 하기 위한 모뎀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고, 또한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다운로드된 모뎀 드라이버를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9. 외부 기기와 접속되어 통신 가능하고, 통신망을 거쳐서 서버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 단말의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단말이 모뎀 드라이버를 취득함으로써 통신 기능을 획득하는 외부 기기에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단말이 상기 외부 기기에 접속된 경우, 상기 모뎀 드라이버가 보존된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모뎀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는 단계와,
    상기 다운로드된 모뎀 드라이버를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은 셀룰러 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폰은 CDMA 2000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KR1020050036357A 2004-04-30 2005-04-29 통신 단말,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KR1007960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36492 2004-04-30
JP2004136492A JP4393918B2 (ja) 2004-04-30 2004-04-30 携帯通信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661A KR20060047661A (ko) 2006-05-18
KR100796075B1 true KR100796075B1 (ko) 2008-01-21

Family

ID=35239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6357A KR100796075B1 (ko) 2004-04-30 2005-04-29 통신 단말,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10937B2 (ko)
JP (1) JP4393918B2 (ko)
KR (1) KR100796075B1 (ko)
CN (1) CN10055980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3250A (ko) 2004-10-13 2006-05-19 조배수 호스트와 클라이언트 간의 플러그 엔 플레이 시스템 및방법
JP4687151B2 (ja) * 2005-03-09 2011-05-25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それを含む通信システム、その通信方法ならびに制御プログラム
US8060021B2 (en) * 2006-04-27 2011-11-15 Kyocera Corporation Portable radio terminal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N1867142B (zh) * 2006-06-16 2012-05-02 钟杨 移动终端设备获取计算机信息的方法和系统
US20080052368A1 (en) * 2006-08-28 2008-02-2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and method to shuffle and refill content
KR100773444B1 (ko) 2006-10-09 2007-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의 외부 연결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 장치 및방법
KR101266021B1 (ko) * 2006-10-13 2013-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장치및 방법
US8250245B2 (en) 2007-04-05 2012-08-21 Seiko Epson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ith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capable of operating in multiple operation modes when connected to a host device
JP5023848B2 (ja) * 2007-04-05 2012-09-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
US20100011404A1 (en) * 2008-07-14 2010-01-14 Sony Corporation Tv software upgrade using tv internet adapter
JP4909332B2 (ja) * 2008-10-07 2012-04-0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デバイス認識方法
JP4918112B2 (ja) * 2009-03-31 2012-04-1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11018176A (ja) * 2009-07-08 2011-01-27 Ntt Docomo Inc ドライバインストールシステム、移動機及びドライバインストール方法
TWI377812B (en) * 2009-11-19 2012-11-21 Inventec Appliances Corp Method of realizing automatic dial-up connection of computer to internet via automatic installation and apparatus thereof
CN101765237B (zh) * 2009-12-31 2013-02-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智能数据卡及智能数据卡的实现方法
CN102651920A (zh) * 2011-02-24 2012-08-2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移动通信终端的操作提示方法及移动通信终端
JP2013074329A (ja) * 2011-09-26 2013-04-22 Kddi Corp 携帯電子機器及び制御方法
CN107168737B (zh) * 2017-05-11 2021-08-06 珠海奔图电子有限公司 一种驱动程序安装方法和驱动安装设备
JP7031251B2 (ja) * 2017-11-27 2022-03-08 株式会社ノーリツ 遠隔監視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利用される中継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5328B1 (ko) 1995-12-21 1998-11-16 양승택 Cdma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이동국 터미널 어댑터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30087410A (ko) * 2002-05-09 2003-11-14 코리아에어레이드 형태안정성과 뭉침방지기능이 강화된 종이기저귀용 코어및 그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5472B1 (en) * 1999-05-13 2003-09-23 Skyworks Solu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a cellular telephone to a universal serial bus
JP2003032381A (ja) 2001-07-17 2003-01-31 Casio Comput Co Ltd 情報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3298762A (ja) 2002-03-29 2003-10-17 Kyocera Corp 移動通信端末
US7010624B1 (en) * 2002-04-01 2006-03-07 Adaptec, Inc. System and method of software/firmware uploading and upgrading for peripheral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5328B1 (ko) 1995-12-21 1998-11-16 양승택 Cdma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이동국 터미널 어댑터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30087410A (ko) * 2002-05-09 2003-11-14 코리아에어레이드 형태안정성과 뭉침방지기능이 강화된 종이기저귀용 코어및 그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49179A1 (en) 2005-11-10
JP4393918B2 (ja) 2010-01-06
JP2005318455A (ja) 2005-11-10
CN100559801C (zh) 2009-11-11
KR20060047661A (ko) 2006-05-18
US7710937B2 (en) 2010-05-04
CN1694464A (zh) 2005-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075B1 (ko) 통신 단말,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JP3908944B2 (ja) 携帯通信機器
TWI384776B (zh) 無線通訊裝置及無線通訊方法
JP2003032381A (ja) 情報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CA2397170A1 (en) Terminal device
CN101901157B (zh) 一种管理软件自启动安装的方法及系统
US774258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2359694A (ja) 携帯電話機及びそれを用いたデータ記憶システム
KR100640391B1 (ko) 인터넷을 이용한 휴대폰 배경화면 다운로드 시스템 및휴대폰의 배경화면 디스플레이방법
JP2006253848A (ja) 携帯端末、それを含む通信システム、その通信方法ならびに制御プログラム
KR20070094167A (ko) 이동 단말기에서 메모리를 이용한 멀티 운영 체제 구동장치 및 방법
JP4823239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該装置を有する無線通信システム
CN107635213B (zh) 控制个人信息传输的装置、方法、介质及系统
KR100711568B1 (ko) 구비된 대용량 보조 메모리에 대한 고속 데이터 전송 및멀티태스킹 구현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KR20020063444A (ko) 웹 브라우저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터넷 접속제어방법
KR20010095496A (ko) 이동통신 단말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업그레이드 방법
KR102765262B1 (ko) 차량 접속 장치의 핸즈프리 자동 재접속 방법
KR100600488B1 (ko) 응용 단말기 운용을 위한 무선 단말기의 드라이버 업그레이드 방법
KR10057589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확장 단말기
KR100629598B1 (ko) 메모리 카드와 인증 단문메세지를 이용한 업그레이드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574459B1 (ko) 무선 개인 영역 망 기술이 적용된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 방법
KR2005008093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용 응용 프로그램 운영 시스템
KR20230103307A (ko) 차량 접속 장치의 핸즈프리 자동 재접속 방법
KR20040098418A (ko) 컨텐츠 구동을 위한 wi-top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방법
KR10082706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업그레이드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5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4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