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787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섀시 및 이를 구비하는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섀시 및 이를 구비하는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5787B1
KR100795787B1 KR1020050117884A KR20050117884A KR100795787B1 KR 100795787 B1 KR100795787 B1 KR 100795787B1 KR 1020050117884 A KR1020050117884 A KR 1020050117884A KR 20050117884 A KR20050117884 A KR 20050117884A KR 100795787 B1 KR100795787 B1 KR 100795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plasma display
display panel
region
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9250A (ko
Inventor
신동혁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7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5787B1/ko
Publication of KR20070059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9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62Circuit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의 내충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체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회로기판을 지지하는 섀시에 있어서, 상기 섀시는 적어도 가장자리 부근의 외곽부인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섀시의 나머지 내곽부인 제2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 보다 충격에 대한 흡수력이 우수한 플라스틱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 보다 인장 강도와 압축 강도가 우수한 플라스틱제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섀시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섀시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Chassis for plasma display panel and a plasma display module compris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부분별로 상이한 물리적 특성을 지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섀시의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0 : 구동회로기판
50 : 섀시 50a : 섀시 외곽부
50b : 섀시 내곽부 50c : 벽걸이용 브라켓 결합부
55 : 벽걸이용 브라켓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플라 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라스틱 섀시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은 가스 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박형화가 가능하며 넓은 시야각을 갖는 고화질의 대화면을 구현할 수 있어서 최근 대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 각광받고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의 경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회로기판 등을 지지하기 위하여 섀시가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섀시는 고중량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고 작동 중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섀시의 전방면은 양면 접착수단에 의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부착되고, 섀시의 후방면은 구동회로기판등이 결합된다. 패널과 회로기판이 결합된 섀시의 전방에는 필터 및 전면 케이스가 결합되고, 섀시의 후방에서는 전면 케이스와 합치되는 후면 케이스가 섀시와 결합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가 완성된다.
따라서, 섀시의 외곽부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가장 먼저 전달되는 곳으로 내충격성이 큰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섀시의 내곽부는 충격보다는 섀시가 휘어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인장강도나 압축강도가 높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섀시 내곽부 중 후면 케이스를 통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의 무게를 지탱하는 벽걸이용 브라켓이 설치되는 부분에는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고강도의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의 플라스틱 섀시는 한 가지 종류의 재료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섀시의 부분별로 필요한 물리적 특성을 갖추지 못하였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강도를 보완이 필요한 곳에 보강재를 결합시키는 방식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섀시의 부분별로 각각 서로 다른 물리적 특성을 가진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섀시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여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체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회로기판을 지지하는 섀시에 있어서, 상기 섀시의 적어도 두 개의 영역은 서로 다른 물리적 특성을 가진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섀시의 두 개의 영역 중 제1 영역은 상기 섀시의 가장자리 부근의 외곽부이며, 제2 영역은 상기 외곽부를 제외한 섀시의 나머지 내곽부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섀시의 내곽부에 상기 외곽부 및 내곽부와는 서로 다른 물리적 특성을 가진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제 3영역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외곽부는 외부 충격에 대한 흡수력이 우수한 플라스틱 소재로서, 고충격 폴리스틸렌(High impact polystylen : HIPS)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곽부는 인장 강도 및 압축 강도가 우수한 플라스틱 소재로서, 열경화성 플라스틱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3영역은 무거운 물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고강도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가스 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섀시; 상기 섀시에 결합되며,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방 패널(11)과 후방 패널(12)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섀시(20) 사이에는 열전도성 시트(15)를 개재되어 있으며, 열전도성 시트(15)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양면 테이프(16)와 같은 접착수단이 배치되어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섀시(20)는 이들의 결합 방향으로 가압하여 접착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섀시(20)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접착되는 면과 반대되는 면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는 복수개의 구동회로기판(40)등이 배치된다. 회로기판(40)들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 20)와 같은 신호전달수단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섀시(50)는 고중량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지지하고 작동 중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열전도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을 재료로 하면 섀시(50)의 무게가 무거워지고 복잡한 형상으로 만들기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섀시(50)의 재질을 플라스틱으로 하였다.
도 2는 부분별로 상이한 물리적 특성을 지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섀시의 개념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섀시(50)는 크게 세 개의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다. 각 영역은 서로 다른 물리적 특성을 가진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다.
섀시의 외곽부(50a)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있었을 때 충격이 가장 먼저 전달되는 곳이기 때문에 충격 흡수력이 좋은 플라스틱 소재여야 한다. 섀시 외곽부(50a)에 대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고충격 폴리스틸렌(High impact polystylen : HIPS)을 사용할 수 있다. 고충격 폴리스틸렌 재질은 충격 흡수가 좋고 충격 저항이 좋은 특성이 있다.
섀시의 외곽부(50a)를 제외한 나머지 내곽부(50b)는 충격보다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섀시 내곽부(50b)는 인장 강도 및 압축 강도가 좋은 플라스틱 소재여야 한다. 섀시 내곽부(50b)에 대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열경화성 플라스틱이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서 나일론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벽걸이용 브라켓(55)은 섀시 내곽부(50b)의 일부 영역에 결합되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의 무게를 지탱한다. 후방 케이스(미도시)의 구멍을 관통하여 브라켓(55)의 탭(미도시)에 스크류(미도시)가 체결되면 섀시(50)와 후방 케이스가 결합된다. 따라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에 걸게 되면 스크류와 벽걸이용 브라켓(55)의 결합 부분과 벽걸이용 브라켓(55)과 섀시(50)의 결합부분은 심한 응력을 받게 되므로 섀시(50) 중 벽걸이용 브라켓(55)이 결합되는 영역(50c)에는 고중량을 지탱하기 위하여 에폭시와 같은 고강도의 플라스틱으로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섀시(50)를 제작한다.
상기 설명한 섀시(50)의 각 부분은 서로 다른 물리적 특성을 가진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으므로 사출성형등의 방법으로 각 부분을 독립적으로 제작한 후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로서, 상이한 물리적 특성을 지닌 각 플라스틱 섀시부를 가열한 후, 각 섀시부를 맞대고 프레스로 압착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섀시의 외곽부(50a)와 내곽부(50b), 벽결이용 브라켓(55)이 결합하는 부위는 모두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접합부위에 각 플라스틱 소재의 녹는점 부근의 열을 가한 후 서로 결합하는 방향으로 소정 시간 압착시킴으로써 각 부위가 서로 녹아 붙어서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외곽부(50a)를 다시 4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별도로 제작한 후 내곽부(50b)와 부착시킬 수도 있고, 외곽부(50a)를 1개의 부분으로 제작한 후 내곽부(50b)와 부착시키는 방법도 가능할 것이다.
이외에도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중 노즐을 구비한 다중 사출성형법 을 이용하여 각 노즐로 상이한 물리적 특성을 가진 각각의 플라스틱 소재를 금형에 주입하여 하나의 섀시(50)를 제조할 수도 있을 것이다.
결합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섀시의 외곽부(50a)와 내곽부(50b), 벽결이용 브라켓(55)이 결합하는 부위(50c)간 서로 결합하는 면에 서로 끼워 맞출 수 있도록 후크(hook)를 형성한다. 이 때, 후크 결합이 단단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서로 끼워지는 각 후크가 쉽게 삽입되지 않도록 후크 크기를 설계한 후, 끼워 맞출 때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억지 끼워 맞춤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압시 억지 끼워 맞춤이 용이하도록 후크 결합부위에 가열을 해 놓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부분별로 상이한 물리적 특성을 지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섀시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이 나타내는 기능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섀시의 외곽부(50a)의 플라스틱 소재는 충격 흡수가 좋은 플라스틱이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대한 저항성이 좋으며, 섀시의 내곽부(50b)는 인장 강도 및 압축 강도가 우수한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으므로 섀시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섀시의 내곽부(50b)의 일부분에 위치한 벽걸이용 브라켓(55)이 결합되는 부분(50c)은 고강도의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므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의 무게를 지탱하는 벽걸이용 브라켓(55)이 결합되는 부위에 응력 파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섀시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에 의하면, 섀시의 외곽부와 내곽부 및 벽걸이용 브라켓이 결합되는 부위가 모두 상이한 물리적 특성을 가진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다.
따라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의 내충격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섀시를 보강하기 위한 별도의 보강부재가 필요없어 재료비 절감 및 섀시 공간 확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기체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회로기판을 지지하는 섀시에 있어서,
    상기 섀시는 적어도 가장자리 부근의 외곽부인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섀시의 나머지 내곽부인 제2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 보다 충격에 대한 흡수력이 더 큰 플라스틱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 보다 인장 강도와 압축 강도가 더 큰 플라스틱제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섀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구동회로기판들이 결합되는 섀시의 영역을 적어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섀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의 제2 영역에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섀시의 무게를 지탱하는 벽걸이용 브라켓이 결합하는 제3 영역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3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 보다 무거운 물체를 지지할 수 있는 강도가 더 큰 플라스틱제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섀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고충격 폴리스틸렌(High impact polystylen : HIPS)을 포함하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섀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열경화성 플라스틱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섀시.
  9. 가스 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제1 항, 제2 항, 제3 항, 제6항 또는 제8 항 중 어느 한 항의 섀시;
    상기 섀시에 결합되며,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50117884A 2005-12-06 2005-12-0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섀시 및 이를 구비하는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100795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884A KR100795787B1 (ko) 2005-12-06 2005-12-0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섀시 및 이를 구비하는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884A KR100795787B1 (ko) 2005-12-06 2005-12-0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섀시 및 이를 구비하는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250A KR20070059250A (ko) 2007-06-12
KR100795787B1 true KR100795787B1 (ko) 2008-01-21

Family

ID=38355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884A KR100795787B1 (ko) 2005-12-06 2005-12-0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섀시 및 이를 구비하는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57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4942A (ja) * 2000-05-16 2001-11-22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組付構造
KR20040024411A (ko) * 2002-09-14 2004-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dp 모듈
KR20050110199A (ko) * 2004-05-18 2005-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4942A (ja) * 2000-05-16 2001-11-22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組付構造
KR20040024411A (ko) * 2002-09-14 2004-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dp 모듈
KR20050110199A (ko) * 2004-05-18 2005-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250A (ko) 2007-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578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US7391616B2 (en) Plasma display device
JP4160566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
US7492578B2 (en) Plasma display panel
JP2006065300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5928111B2 (ja) 表示装置
CN1979600A (zh) 等离子体显示装置
KR2005002403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4177368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支持用のテンション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20070127198A1 (en) Plasma display module
KR10079578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섀시 및 이를 구비하는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10083645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03646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08675B1 (ko) 섀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83763B1 (ko) 섀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9683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용 샤시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모듈
KR10063720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5910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8243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96834B1 (ko) 곡면 샤시 베이스를 가지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KR2006012497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8186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83698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KR20060087722A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646544B1 (ko) 샤시 베이스 및 이를 적용한 플라즈마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