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803B1 -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4803B1
KR100794803B1 KR1020070028481A KR20070028481A KR100794803B1 KR 100794803 B1 KR100794803 B1 KR 100794803B1 KR 1020070028481 A KR1020070028481 A KR 1020070028481A KR 20070028481 A KR20070028481 A KR 20070028481A KR 100794803 B1 KR100794803 B1 KR 100794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kju
case
refrigeration
stirring devic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0013A (ko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이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철 filed Critical 이상철
Priority to KR1020070028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4803B1/ko
Publication of KR20070050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0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8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ethods for altering the composition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G3/02 - C12G3/0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면에 냉장장치가 장착되고, 문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내측에 교반장치가 설치되며, 상부에 압력유지밸브가 설치되는 탁주가 저장된 보관통과; 상기 보관통에 통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가스조절통과; 상기 보관통과 통하며 케이스의 외측에 설치된 드레인밸브;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생산자는 완성된 형태로 밀봉 포장된 탁주제품을 용이하게 유통할 수 있으며, 더불어 탁주 특유의 맛과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고, 유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상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어 이제까지는 적용하기 어려웠던 생산자 책임 원칙이 적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탁주, 탁주 제성장치, 교반장치, 압력유지밸브

Description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movable supply apparatus of coarse liqu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압력유지밸브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압력유지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
210 : 케이스 111 : 냉장장치
132 : 교반장치 133,133' : 압력유지밸브
160 : 드레인밸브 220 : 보관통
211 : 밀폐뚜껑 230 : 가스조절통
240 : 동력전달장치 250 : 고정부재
260 : 연결관
본 발명은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의 기호에 맞도록 알콜도수를 조절하여 즉석에서 신선한 탁주를 제공할 수 있고, 더불어 냉장 혼합 압력 보관이 가능한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통탁주(막걸리)는, 백미(白米)를 세미(洗米)한 후 물빼기를 하고 증자(蒸煮), 냉각시킨 다음 여기에 누룩을 넣고(누룩을 넣을 때 엿기름, 밀가루 등을 첨가하기도 한다) 혼합(이를 1단 사입 또는 1단 담금이라 한다) 숙성시켜 밑술을 만든다.
여기에 누룩과 고두밥을 다시 혼합(이를 2단 사입 또는 2단 담금이라 한다), 약 3~5일간 숙성시키고 주박(酒粕:지게미)을 채로 걸러 제거한 후 액상물만 취하여 알콜함량이 높은 발효원주를 제조한 다음 적정한 양의 물을 혼합하여 희석시켜서 탁주를 제조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희석시킨 탁주의 알콜함량은 6~7% 정도가 되며, 현재 시판되고 있는 탁주의 알콜함량은 대부분 6~7% 정도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는 종래의 탁주는, 대량생산의 목적에 부합되도록 알콜함량이 정해져 있으므로, 다양한 개인의 기호를 충족시켜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개인의 기호에 따라 알콜함량이 높은 탁주를 선호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알콜함량이 아주 낮은 탁주를 선호하는 사람이 있기 때문이다.
살균을 하지 않은 탁주는 효모의 활동에 의해 지속적으로 발효가 진행된다. 특히 이러한 발효는 알콜농도가 10% 이하의 낮은 상태에서는 알콜발효와 무관한 잡균의 활동으로 인하여 쉽게 변질된다.
또한, 효모의 활동에 의해 가스가 생성되므로, 병포장을 할 경우 폭발에 따른 분출의 위험성이 있어 아예 효모의 활동을 막기위해 살균처리를 한 후 병포장을 하게 되나 이럴 경우 탁주의 맛이 저하되고, 탁주의 특성상 마시기 전에 흔들어 혼합시킨 후 개봉할때 내용물이 흘러나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냉장 혼합에 해당하는 종래기술로는 육수통, 슬러쉬기계 등이 있으나, 이러한 기계들은 밀봉되어 있지 않아 외부 잡균의 침입으로 인한 변질의 위험이 높으며, 통의 구조상 탈착이 어렵기 때문에 세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더불어 탁주의 맛을 유지하는데 있어 중요한 밀봉 압력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자가 완성된 형태로 포장하여 출하한 제품을 용이하게 유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탁주 특유의 맛과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제까지는 적용하기 어려웠던 생산자 책임원칙이 적용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렵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는,
외측에 냉장장치가 장착되고, 뚜껑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내측에 교반장치가 설치되며, 상부에 압력유지밸브가 설치되는 탁주가 저장된 보관통과; 상기 보관통에 통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가스조절통과; 상기 보관통과 통하며 케이스의 외측에 설치된 드레인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의 정면에는 상기 보관통을 선택적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문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냉장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교반장치의 축 상부에는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드레인밸브는 상기 케이스의 문 외측에 설치되고 연결관을 통해 보관통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는 교반장치의 축 상부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제1기어부와, 상기 교반장치의 축 상부에 고정되고 제1기어부와 착탈가능하게 치합되는 제2기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냉장장치와 교반장치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차량용 시거잭에 연결되는 플러그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반장치는 외부에 설치된 모터로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축과, 상기 축의 외측면부터 하단부까지 형성된 임펠러로 구성되며, 상기 모터와 축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가 상하로 적층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는, 내측에 교반장치가 설치되며, 외측에 상기 교반장치를 구동하는 핸들이 설치되고, 상부에 압력유지밸브가 설치되며, 냉매재가 충입된 이중벽 구조로 된 보관통과; 상기 보관통의 외측에 형성되며 손잡이가 마련된 단열본체와; 상기 보관통에 통하도록 형성된 드레인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유지밸브는 하부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통로가 형성되며, 상부에 다수의 기둥으로 지지되는 상면부로 구성되어 기둥들 사이에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통로를 개폐시키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와 상면부의 저부에 개재되는 스프링과, 상기 상면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는 조절나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압력유지밸브는 몸체와 덮개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는 하부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통로가 형성되며 상부에 덮개가 힌지결합되는 한편, 상기 덮개 내측에는 상기 통로에 대응하는 자석판이 설치되며, 상기 몸체와 힌지결합되는 일측에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순서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10)와, 상기 케이스(210) 내에 설치되며 내측에는 교반장치(132)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압력유지밸브(133,133')가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210) 내에 설치되는 보관통(220)과, 상기 보관통(220)에 통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210) 내에 설치되는 가스조절통(230)과, 상기 보관통(220)과 통하며 케이스(210)의 외측에 설치된 드레인밸브(16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10)는 내측에 보관통(220)이 설치되는 것으로, 저면에는 신선도를 유지하며 청량감을 줄 수 있도록 보관통(220)을 저온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냉장장치(111)가 설치되며, 상기 냉장장치(111)는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10)의 정면에는 보관통(220)을 수납하기 위한 문(211)이 설치되며, 상기 문(211)의 하단부는 케이스(210)의 입구 하단부에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힌지 고정되고, 상단부는 결합수단을 통해 상기 케이스(210)의 입구 상단 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보관통(220)은 발효원주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탄산가스의 용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내압구조로 된 밀폐뚜껑(221)이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발효원주의 비중 차이로 인한 침전을 방지하기 위해 교반장치(132)가 내측에 설치되고, 상부에는 내측의 가스압력을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압력유지밸브(133)(133')가 설치된다.
상기 밀폐뚜껑(221)은 상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교반장치(132)의 축(132a)이 끼움 결합되며, 그 상부에 모터(132b)의 축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소정의 결합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뚜껑(221)의 외주연에 환턱이 형성됨으로써 압력유지밸브를 통해 분출된 발효원주 찌꺼기가 외주연으로 흘러내려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압력유지밸브(133)는 도 2a과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관통(220)의 밀폐뚜껑(221)에 결합되고 내측에 통로(133b)가 형성되는 나사부(133a)와, 상부에 상면부(133d)를 지지하는 다수의 기둥(133c)들 사이에 개구부(133e)가 형성된 몸체(133f)와, 상기 통로(133b)를 개폐시키는 디스크(133g)와, 상기 디스크(133g)를 탄성적으로 지지해주는 스프링(133h)과, 상기 상면부(133d)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133h)의 장력을 조절하는 조절나사(133i)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관통(220) 내의 압력이 상승하면 상기 통로(133b)를 통해 가스가 유입되어 상기 디스크(133g)를 들어올려 개방함으로써 외부로 분출될 수 있고, 보관통(220)의 압력이 정해진 압력에 도달하면 상기 스프링(133h)의 탄성력에 의해 디스크(133g)가 닫히게 되는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압력유지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의 압력유지밸브(133')는 하부에 상기 보관통(220)의 밀폐뚜껑(221)에 결합되도록 나사부(133a')가 형성되고 내측에 통로(133b')가 형성되는 몸체(133f')와, 상기 몸체(133f')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는 덮개(133c')와, 상기 덮개(133c') 내측에 상기 통로(133b')에 대응하게 몸체(133e')에 설치되는 자석판(133j)과, 상기 덮개(133c')의 힌지부 일측에 형성되는 스토퍼(133k)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보관통(220) 내의 압력이 상승하면 상기 통로(133b')를 통해 가스가 유입되어 상기 자석판(133i) 및 덮개(133c')를 들어올려 개방(이때, 상기 덮개(133c')의 개방각도는 상기 스토퍼(133h')에 의해 제한된다.)함으로써 외부로 분출될 수 있고, 보관통(220)의 압력이 낮아지면 상기 자석판(133i)의 자력과 덮개(133c')의 무게에 의해 덮개(133c')가 닫히면서 통로(133b')가 폐쇄되는 것이다.
전술한 압력유지밸브(133,133')는 후술될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아래에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또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교반장치(132)는 외부에 설치된 모터(132b)로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축(132a)과, 상기 축(132a)의 외측면부터 하단부까지 형성되는 임펠러(132c)로 구성되어 침전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이므로 회전속도는 빠르지 않아도 좋다.
여기서, 상기 교반장치(132)의 축(132a) 상부에는 모터(132b)의 회전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보다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는 동력전달장치(240)가 설치된다.
상기 동력전달장치(240)는 모터(132b)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제1기어부(241)와, 상기 교반장치(132)의 축(132a)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기어부(241)와 착탈가능하게 치합되는 제2기어부(242)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기어부(241)(242)의 치합을 통해 상기 모터(132b)의 회전력을 교반장치(132)의 축(132a)에 전달함으로써 안전된 회전력 및 결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상기 보관통(220)을 보다 용이하고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밸브(160)는 상기 케이스(210)의 문(211) 외측에 설치되고 연결관(260)을 통해 보관통(220)과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기 연결관(260)은 사방으로 유동이 가능한 주름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드레인밸브(160)와 보관통(220)의 배출구가 동일한 수평선에 위치하지 않더라고 상기 연결관(260)을 통해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는 상기 케이스(210)를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대(270)가 다수개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270)는 상기 케이스(210)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보관통(220)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대(271)와, 상기 케이스(210)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보관통(220)의 외주면을 지지하게 되는 제2지지대(27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관통(220)이 밀착 지지되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대(271)(272) 의 표면에는 완충력을 가지는 완충부재(273)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부재(273)를 통해 상기 보관통(22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어 파손 및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재(273)로는 고무패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210)의 상면에는 교반장치(132)의 상단부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25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재(250)는 상부면에 손잡이부(251)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251)의 하부에는 상기 케이스(210)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지지편(252)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252)의 하부에는 상기 케이스(210)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향 개방되게 홈(253a)을 갖는 결합편(253)이 형성되어 상기 홈(253a)을 통해 상기 교반장치(132)의 상단부를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끼움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교반장치(132)가 관통되는 보관통(220)의 상부에는 상기 교반장치(132)의 회전시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베어링(280)이 결합되며, 상기 베어링(280)은 내측면을 통해 상기 교반장치(132)가 삽입 고정되고 외측면을 통해 보관통(220)의 상부 내주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280)의 상하면에는 보관통(220)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링(281)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밀봉링(281)은 공지된 O-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통해 상기 교반장치(132)와 보관통(220) 사이의 틈새로 탁주가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모터(132b)의 회전축에는 모터(132b)의 회전력을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기(290)가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는 보관통(220)에 탄산가스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게 되는 조절밸브를 갖는 가스조절통(230)이 설치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200)는 주점이나 이동식 차량에 설치되는 것으로, 적정한 알콜함량으로 제조된 탁주를 상기 보관통(220)에 저장한 후 상기 가스조절통(230)을 통해 탄산가스가 주입됨으로써 시원하고 상쾌한 맛을 유지하는 탁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2개의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200)를 상하로 적층되게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부에 위치하는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200)의 보관통(220)에 저장된 탁주를 모두 소진할 경우 상부에 위치하는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200)와 하부에 위치하는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200)의 위치를 상하로 변경시킴으로써 신속하게 탁주를 재공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하로 위치하는 2개의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200)는 그들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의 냉장장치(111)를 통해 냉장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하로 위치하는 상기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200)는 공지된 연결수단(미도시)을 통해 상기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200)의 교반장치(132) 축(132a)과, 상기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200)의 교반장치(미도시)의 축(미도시)을 연동되게 연결하여 하나의 모터(132b)을 통해 동시에 교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장장치(111)와 교반장치(132)에는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도록 차량용 시거잭(미도시)에 연결되는 플러그(미도시)가 설치되며, 상기 플러그를 통해 야외에서도 탁주의 신선도 유지시킬 수 있다.
첨부된 도 5는 전술된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300)는, 내측에 교반장치(132)가 설치되며 외측에 상기 교반장치(132)를 구동하는 핸들(311)이 설치되고 상부에 압력유지밸브(133,133')가 설치되며 냉매재(312)가 충입된 이중벽 구조로 된 보관통(310)과, 상기 보관통(310)의 외측에 형성되며 손잡이(321)가 마련된 단열본체(320)와, 상기 보관통(310)에 통하도록 형성된 드레인밸브(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관통(310) 및 압력유지밸브(133,133')는 전술한 보관통(220), 교반장치(132) 및 압력유지밸브(133,133')와 그 구조가 동일한 구성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교반장치(132)는 상기 보관통(310) 내측에 설치되는 축(321a)과, 상기 축(321a)의 외측면부터 하단부까지 형성된 임펠러(321c)로 구성되며, 상기 축(132a)의 상면에는 상기 손잡이(321)의 하단이 나사 결합된다.
상기 냉매재(312)는 통상 물을 사용하게 되며, 보관통(310)을 냉동시켜 냉매재(312)가 동결되도록 하여 일정 시간동안 보관통(310) 내부를 냉장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본 실시예는 상기 보관통(310)에 완성된 탁주를 담아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여 전원공급이 없는 야외에서 냉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식음자가 직접 상기 보관통(310)에 설치된 핸들(311)을 돌리면서 탁주를 교반시킴으로써 탁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 6은 전술된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는 외측에 냉장장치(111)가 설치되고 내측에 교반장치(132)가 설치된 보관통(410)과, 상기 냉장장치(111)와 교반장치(13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차량용 시거잭(미도시)에 연결되는 플러그(420)와, 상기 보관통(410)의 일측에 형성된 드레인밸브(160)를 포함한다.
상기 보관통(410), 냉장장치(111) 및 교반장치(132)는 전술한 보관통(220)과 그 구조가 동일한 구성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는 상기 플러그(420)를 차량의 시거잭(미도시)에 꽂아 전원을 공급받아 냉장장치(111)를 가동함으로써 탁주를 냉장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레져활동시에도 시원한 탁주를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를 통해 생산자는 완성된 형태로 밀봉 포장된 탁주제품을 용이하게 유통할 수 있으며, 더불어 탁주 특유의 맛과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고, 유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상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어 이제까지는 적용하기 어려웠던 생산자 책임 원칙이 적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저면에 냉장장치가 장착되고, 문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내측에 교반장치가 설치되며, 상부에 압력유지밸브가 설치되는 탁주가 저장된 보관통과;
    상기 보관통에 통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가스조절통과;
    상기 보관통과 통하며 케이스의 외측에 설치된 드레인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장치의 축 상부에는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는 교반장치의 축 상부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밸브는 상기 케이스의 문 외측에 설치되고 연결관을 통해 보관통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제1기어부와, 상기 교반장치의 축 상부에 고정되고 제1기어부와 착탈가능하게 치합되는 제2기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장치와 교반장치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차량용 시거잭에 연결되는 플러그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장치는 외부에 설치된 모터로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축과, 상기 축의 외측면부터 하단부까지 형성된 임펠러로 구성되며, 상기 모터와 축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
  7.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을 통해 구성되는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가 상하로 적층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
  8. 내측에 교반장치가 설치되며, 외측에 상기 교반장치를 구동하는 핸들이 설치되고, 상부에 압력유지밸브가 설치되며, 냉매재가 충입된 이중벽 구조로 된 보관통과;
    상기 보관통의 외측에 형성되며 손잡이가 마련된 단열본체와;
    상기 보관통에 통하도록 형성된 드레인밸브;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유지밸브는 하부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통로가 형성되며, 상부에 다수의 기둥으로 지지되는 상면부로 구성되어 기둥들 사이에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통로를 개폐시키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와 상면부의 저부에 개재되는 스프링과, 상기 상면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는 조절나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유지밸브는 몸체와 덮개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는 하부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통로가 형성되며 상부에 덮개가 힌지결합되는 한편, 상기 덮개 내측에는 상기 통로에 대응하는 자석판이 설치되며, 상기 몸체와 힌지결합되는 일측에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
KR1020070028481A 2007-03-23 2007-03-23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 KR100794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481A KR100794803B1 (ko) 2007-03-23 2007-03-23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481A KR100794803B1 (ko) 2007-03-23 2007-03-23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181A Division KR100755781B1 (ko) 2005-09-02 2006-04-12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013A KR20070050013A (ko) 2007-05-14
KR100794803B1 true KR100794803B1 (ko) 2008-01-17

Family

ID=38273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481A KR100794803B1 (ko) 2007-03-23 2007-03-23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48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856B1 (ko) * 2010-05-13 2012-07-27 정화숙 막걸리의 침전물 혼합장치와 그 공급통
KR102466116B1 (ko) * 2022-01-17 2022-11-11 주식회사 유앤홈 페인트 교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488B1 (ko) * 2007-07-23 2009-07-31 이상준 탁주 보관통 및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
KR101885894B1 (ko) * 2016-11-08 2018-08-07 이상철 탁주 냉각장치의 교반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856B1 (ko) * 2010-05-13 2012-07-27 정화숙 막걸리의 침전물 혼합장치와 그 공급통
KR102466116B1 (ko) * 2022-01-17 2022-11-11 주식회사 유앤홈 페인트 교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013A (ko) 2007-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8217B2 (en) Cooling stick for a blender and method of using same
US7963213B1 (en) Beverage making apparatus
KR100794803B1 (ko)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
KR100755781B1 (ko)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
KR100935462B1 (ko) 급속냉각장치를 구비한 탁주 제성장치
CN205501265U (zh) 家酿全自动酵素机
KR200450662Y1 (ko) 막걸리의 침전물 혼합 및 공급장치
US8011171B2 (en) Portable storage apparatus
KR100908488B1 (ko) 탁주 보관통 및 이동식 탁주 냉장 제성장치
KR101167856B1 (ko) 막걸리의 침전물 혼합장치와 그 공급통
EP2225165B1 (en) Bottle with cap which keeps the liquid contained in it effervescent and fresh even after partial consumption of the liquid
KR20100110053A (ko) 산소 및 탄산음료 제조기
KR200411194Y1 (ko) 이동식 탁주 제성기
CN105475968A (zh) 具有自动翻盖装置的保温酱油池
CN208593663U (zh) 一种智能型物料保鲜定量存储罐
CN201434558Y (zh) 冷冻酒的设备
CN201328703Y (zh) 多功能保温双孔单排茶水饮用机
KR20110119104A (ko) 생막걸리 탄산 자동 주입장치
KR200404937Y1 (ko) 이동식 탁주 제성기
CN205715952U (zh) 旋塞阀
KR20080106620A (ko) 막걸리 혼합장치
CN218337235U (zh) 一种洋桔梗种植用切花保鲜装置
KR101343033B1 (ko) 막걸리 냉각 장치
AU2022315366A1 (en) Refrigerator
KR200290483Y1 (ko) 자체 냉각기능을 가진 음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