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510B1 -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그룹 단축번호 다이얼링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그룹 단축번호 다이얼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4510B1
KR100794510B1 KR1020040101811A KR20040101811A KR100794510B1 KR 100794510 B1 KR100794510 B1 KR 100794510B1 KR 1020040101811 A KR1020040101811 A KR 1020040101811A KR 20040101811 A KR20040101811 A KR 20040101811A KR 100794510 B1 KR100794510 B1 KR 100794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key
counterpart
phone
nu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1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2835A (ko
Inventor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1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4510B1/ko
Priority to CNA2005100830272A priority patent/CN1787564A/zh
Publication of KR20060062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2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2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only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by keyboard or d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7Scrolling on a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8Methods of retrieving data by matching character st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4Additional connect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access to frequently-wanted subscribers, e.g. abbreviated di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3Predictive input, predictive dialling by comparing the dialled sequence with the content of a telephone direct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그룹 단축번호 다이얼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단축번호 다이얼링 방법은 단축번호의 개수가 증가하면 사용자는 모든 단축번호를 기억하는데 어려움을 겪음으로 인해 단축번호로써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대기 상태에서 키 눌림을 판단하여 소정 시간 이상의 긴 눌림이 있으면 눌린 키의 번호에 해당하는 그룹을 전화번호부에서 검색하고 그룹에 속한 상대방의 전화번호 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와; 읽어들인 상대방의 전화번호 정보 중 대표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그룹에 속한 상대방 수가 다수인지를 판단하고 하나이면 상대방의 대표 전화번호로 전화 연결하는 단계와; 그룹에 속한 상대방 수가 다수이면 상대방의 전화번호 정보 중 대표 전화번호를 리스트로 작성하여 화면에 출력하고 키 눌림의 지속을 판단하여 소정 시간 간격마다 선택 커서를 아래로 스크롤하는 단계와; 선택 커서를 스크롤하면서 키 떼임을 판단하고 키 눌림이 해제되면 선택 커서로 선택된 상대방의 대표 전화번호로 전화 연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사용자는 그룹 단축번호를 이용하여 그룹에 속한 상대방에 전화 연결을 시도하고, 다수의 단축번호 대신 그룹 단축번호를 사용하여 단축번호 개수를 그룹 단축번호 개수 수준으로 줄이고, 다수의 단축번호를 암기하지 않고 그룹 단축번호를 이용하여 전화 연결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그룹 단축번호 다이얼링 방법{METHOD FOR DIALING GROUP SHORT DIAL NUMB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종래 그룹 검색 화면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종래 단축번호 관리 화면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그룹 단축번호 다이얼링 방법의 동작 흐름도.
도 5는 도 4의 그룹 단축번호 다이얼링 방법의 전화번호 표시 화면을 보인 예시도.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그룹 단축번호 다이얼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번호 그룹에 그룹 단축번호를 설정하고 그룹 단축번호를 사용하여 다이얼링할 수 있게 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그룹 단축번호 다이얼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전화번호를 묶어 그룹으로 관리하고 전화번호 검색에서 그룹을 선택하여 그룹에 속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출력하고, 전화번호에 단축번호 를 설정하여 단축번호 입력으로 해당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한다.
사용자는 전화번호부에서 그룹을 선택하고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등록하고, 전화번호 그룹 검색에서 그룹을 선택하여 그룹에 속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확인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전화번호 그룹 검색에서 상대방의 전화번호 정보 중 그룹 정보를 확인하고 선택된 그룹에 속한 상대방을 검색하여 상대방 리스트를 출력하고 상대방 전화번호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단축번호 관리에서 단축번호에 전화번호를 등록할 때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를 단축번호로 등록하여 사용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도 2에 도시된 단축번호 관리에서 선택된 전화번호를 단축번호로 등록하고 대기 화면에서 단축번호의 눌림을 판단하여 눌리면 해당 단축번호의 전화번호로 전화 연결을 시도한다. 즉, 단축번호 다이얼링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눌린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전화 연결을 시도한다.
사용자는 단축번호 관리에서 상대방 전화번호 정보의 여러 전화번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제1단축번호로 등록하고 다른 하나를 선택하여 제2단축번호로 등록하여 상대방에 대해 여러 단축번호를 등록하여 사용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하나의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단축번호를 등록하여 상대방의 여러 전화번호를 각각의 단축번호로 등록하여 눌린 단축번호의 전화번호로 전화 연결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단축번호 다이얼링 방법은 단축번호의 개수가 증가하면 사용자는 모든 단축번호를 기억하는데 어려움을 겪음으로 인 해 단축번호로써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축번호에 하나의 전화번호만을 등록 가능하므로 등록 가능한 전화번호 개수는 단축번호의 총 개수로 제한되고 사용자는 단축번호로 등록한 전화번호 개수만큼 단축번호를 기억해서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전화번호부의 그룹에 그룹 단축번호를 등록하여 그룹 단축번호의 눌림에 의해 그룹에 속한 상대방 리스트를 출력하고 상대방 리스트에서 선택된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전화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그룹 단축번호 다이얼링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기 상태에서 키 눌림을 판단하여 소정 시간 이상의 긴 눌림이 있으면 눌린 키의 번호에 해당하는 그룹을 전화번호부에서 검색하고 그룹에 속한 상대방의 전화번호 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와; 읽어들인 상대방의 전화번호 정보 중 대표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그룹에 속한 상대방 수가 다수인지를 판단하고 하나이면 상대방의 대표 전화번호로 전화 연결하는 단계와; 그룹에 속한 상대방 수가 다수이면 상대방의 전화번호 정보 중 대표 전화번호를 리스트로 작성하여 화면에 출력하고 키 눌림의 지속을 판단하여 소정 시간 간격마다 선택 커서를 아래로 스크롤하는 단계와; 선택 커서를 스크롤하면서 키 떼임을 판단하고 키 눌림이 해제되면 선택 커서로 선택된 상대방의 대표 전화번호로 전화 연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의 그룹에 그룹 단축번호를 등록하는 그룹 단축번호 등록부(31)와; 전화번호를 그룹으로 관리하고 그룹 단축번호를 그룹에 등록하여 관리하는 전화번호 관리부(32)와; 대기 화면에서 키패드의 키 눌림을 체크하여 긴 키눌림이 있으면 입력된 번호를 그룹 단축번호로 판단하여 입력하는 그룹 단축번호 입력부(33)와; 전화번호부에서 입력된 그룹 단축번호로 등록된 그룹을 판단하고 그룹에 속한 상대방의 리스트를 작성하여 그룹 전화번호를 구성하는 그룹 전화번호 구성부(34)와; 그룹에 속한 상대방을 리스트로 출력하고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전화번호 표시부(35)와; 키 눌림의 지속 여부를 체크하여 키 눌림 동안 선택 커서 이동을 명령하고 키 눌림이 해제되면 전화 연결을 명령하는 키 눌림 판단부(36)와; 키 눌림의 해제시 전화번호 표시부(35)에서 선택된 전화번호로 전화 연결을 시도하는 전화 연결부(37)로 구성된다.
그룹 단축번호 등록부(31)는 전화번호의 그룹에 그룹 단축번호를 등록하고, 전화번호 관리부(32)는 전화번호를 그룹으로 관리하고 그룹 단축번호를 그룹에 등록하여 관리한다. 전화번호 관리부(32)는 그룹명을 편집하여 그룹의 이름을 변경하지만 그룹 단축번호를 그대로 유지하여 관리한다.
그룹 단축번호 입력부(33)는 대기 화면에서 키패드의 키 눌림을 체크하여 긴 키 눌림이 있으면 입력된 번호를 그룹 단축번호로 판단하여 입력한다. 그룹 단축번 호 입력부(33)는 키 눌림의 시간 경과를 체크하여 소정 시간 이상 키 눌림이 지속되면 입력된 키가 숫자키임을 판단하고 숫자키로 입력된 번호를 그룹 단축번호로 판단하여 입력한다.
그룹 전화번호 구성부(34)는 전화번호부에서 입력된 그룹 단축번호로 등록된 그룹을 판단하고 그룹에 속한 상대방의 리스트를 작성하여 그룹 전화번호를 구성한다. 그룹 전화번호 구성부(34)는 그룹에 속한 상대방의 전화번호 정보 중 대표 전화번호를 수집하여 그룹 전화번호를 구성한다.
전화번호 표시부(35)는 그룹에 속한 상대방을 리스트로 출력하고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표시한다.
키 눌림 판단부(36)는 키 눌림의 지속 여부를 체크하고 키 눌림 동안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전화번호 표시부(35)에 선택 커서 이동을 명령하고 키 눌림이 해제되면 전화 연결부(37)에 전화 연결을 명령한다. 전화번호 표시부(35)는 선택 커서를 스크롤하여 그룹 전화번호 중 하나의 전화번호를 선택 표시한다.
전화 연결부(37)는 키 눌림의 해제시 전화번호 표시부(35)에서 선택된 전화번호로 전화 연결을 시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그룹 단축번호 다이얼링 방법의 동작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상태에서 키 눌림을 판단하여 소정 시간 이상의 긴 눌림이 있으면 눌린 키의 번호에 해당하는 그룹을 전화번호부에서 검색하고 그룹에 속한 상대방의 전화번호 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와; 읽어들인 상대방의 전화번호 정보 중 대표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그룹에 속한 상대 방 수가 다수인지를 판단하고 하나이면 상대방의 대표 전화번호로 전화 연결하는 단계와; 그룹에 속한 상대방 수가 다수이면 상대방의 전화번호 정보 중 대표 전화번호를 리스트로 작성하여 화면에 출력하고 키 눌림의 지속을 판단하여 소정 시간 간격마다 선택 커서를 아래로 스크롤하는 단계와; 선택 커서를 스크롤하면서 키 떼임을 판단하고 키 눌림이 해제되면 선택 커서로 선택된 상대방의 대표 전화번호로 전화 연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전화번호부의 그룹에 그룹 단축번호를 등록하고 그룹 단축번호를 사용하여 다이얼링한다고 가정하자.
이동 통신 단말기는 대기 상태에서 키 눌림을 판단하여 소정 시간 이상의 긴 눌림이 있으면 눌린 키의 번호에 해당하는 그룹을 전화번호부에서 검색하고 그룹에 속한 상대방의 전화번호 정보를 읽어들인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읽어들인 상대방의 전화번호 정보 중 대표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그룹에 속한 상대방 수가 다수인지를 판단하고 하나이면 상대방의 대표 전화번호로 전화 연결한다.
그룹에 속한 상대방 수가 다수이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대방의 전화번호 정보 중 대표 전화번호를 리스트로 작성하여 화면에 출력하고 키 눌림의 지속을 판단하여 소정 시간 간격마다 선택 커서를 아래로 스크롤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선택 커서를 스크롤하면서 키 떼임을 판단하고 키 눌림이 해제되면 선택 커서로 선택된 상대방의 대표 전화번호로 전화 연결한다.
다른 실시 예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그룹 단축번호의 입력에 의해 그룹에 속 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출력하고, 사용자는 그룹 단축번호를 입력한 다음 키 눌림을 해제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그룹에 속한 상대방 전화번호와 숫자를 대응하여 표시하고 사용자의 숫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해당 상대방 전화번호로 전화 연결을 시도한다.
도 5는 도 4의 그룹 단축번호 다이얼링 방법의 전화번호 표시 화면을 보인 예시도이다.
그룹 단축번호 관리 화면은 그룹 단축번호에 선택 입력된 전화번호부의 그룹을 표시할 때 그룹 단축번호에 등록된 그룹을 그룹 단축번호 순서대로 나열하여 표시한다.
대기 화면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그룹 단축번호를 표시하고 키의 긴 눌림 후에 전화번호 표시 화면으로 전환한다. 전화번호 표시 화면은 그룹 단축번호에 등록된 그룹을 표시하고 그룹에 속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리스트로 출력한다.
키의 눌림이 지속되면 전화번호 표시 화면은 소정 시간 간격으로 선택 커서를 스크롤하여 선택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다르게 표시한다.
키 눌림이 해제되면 전화번호 표시 화면에서 전화 연결 화면으로 전환하고 선택된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전화 연결 중임을 표시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화번호부의 그룹에 그룹 단축번호를 등록하여 그룹 단축번호의 눌림에 의해 그룹에 속한 상대방 리스트를 출력하고 상대방 리스트에서 선택된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전화 연결함으로써 사용자 는 그룹 단축번호를 이용하여 그룹에 속한 상대방에 전화 연결을 시도하고, 다수의 단축번호 대신 그룹 단축번호를 사용하여 단축번호 개수를 그룹 단축번호 개수 수준으로 줄이고, 다수의 단축번호를 암기하지 않고 그룹 단축번호를 이용하여 전화 연결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대기 상태에서 키 눌림을 판단하여 소정 시간 이상의 긴 눌림이 있으면 눌린 키의 번호에 해당하는 그룹을 전화번호부에서 검색하고 그룹에 속한 상대방의 전화번호 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와;
    읽어들인 상대방의 전화번호 정보 중 대표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그룹에 속한 상대방 수가 다수인지를 판단하고 하나이면 상대방의 대표 전화번호로 전화 연결하는 단계와;
    그룹에 속한 상대방 수가 다수이면 상대방의 전화번호 정보 중 대표 전화번호를 리스트로 작성하여 화면에 출력하고 키 눌림의 지속을 판단하여 소정 시간 간격마다 선택 커서를 아래로 스크롤하는 단계와;
    선택 커서를 스크롤하면서 키 떼임을 판단하고 키 눌림이 해제되면 선택 커서로 선택된 상대방의 대표 전화번호로 전화 연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그룹 단축번호 다이얼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연결 단계는
    그룹 단축번호의 입력 후 키 눌림의 해제를 확인하는 단계와;
    그룹 단축번호의 입력에 의해 그룹에 속한 상대방의 전화번호와 숫자를 대응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숫자키 입력에 따른 숫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해당 상대방 전화번호로 전화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그룹 단축번호 다이얼링 방법.
KR1020040101811A 2004-12-06 2004-12-06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그룹 단축번호 다이얼링 방법 KR100794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811A KR100794510B1 (ko) 2004-12-06 2004-12-06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그룹 단축번호 다이얼링 방법
CNA2005100830272A CN1787564A (zh) 2004-12-06 2005-07-12 移动通信终端的组快捷号码拨号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811A KR100794510B1 (ko) 2004-12-06 2004-12-06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그룹 단축번호 다이얼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835A KR20060062835A (ko) 2006-06-12
KR100794510B1 true KR100794510B1 (ko) 2008-01-16

Family

ID=36784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1811A KR100794510B1 (ko) 2004-12-06 2004-12-06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그룹 단축번호 다이얼링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94510B1 (ko)
CN (1) CN178756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29631B (zh) * 2012-10-31 2016-09-28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滚动列表展现系统和方法
CN102982086B (zh) * 2012-10-31 2016-07-20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一种展现滚动列表的系统和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5893A (ko) * 2001-12-03 2003-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화단말기에서 그룹을 이용한 단축다이얼 방법
KR20040055204A (ko) * 2002-12-20 2004-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폰북 검색방법
KR20050088867A (ko) * 2004-03-03 2005-09-07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그룹별 단축키를 이용한 호 연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5893A (ko) * 2001-12-03 2003-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화단말기에서 그룹을 이용한 단축다이얼 방법
KR20040055204A (ko) * 2002-12-20 2004-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폰북 검색방법
KR20050088867A (ko) * 2004-03-03 2005-09-07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그룹별 단축키를 이용한 호 연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835A (ko) 2006-06-12
CN1787564A (zh) 200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55360A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최근통화목록 표시 방법
KR100480290B1 (ko) 휴대폰의 폰 북을 이용한 다이얼링 방법
KR10066411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핫키 실행 방법
WO2007062579A1 (fr) Procede de realisation d'une operation de numerotation rapide
KR10079451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그룹 단축번호 다이얼링 방법
KR1007999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번호 저장 방법
KR20010110034A (ko) 개인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정의 단축키 설정방법
KR10061351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그룹 관리방법
KR10095618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대기화면의 팝업창 동작 방법
US20080032683A1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expediently editing telephone number
KR100553343B1 (ko) 이미지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번호 저장방법 및이를 이용한 통화방법
KR100852522B1 (ko) 휴대용 단말의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KR10060878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검색방법
JP2000278385A (ja) 携帯電話端末とサービス機能短縮呼出方法
JP2001257762A (ja) 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で用いられる機能選択方法
JP3147362B2 (ja) 電子電話帳付き端末装置
KR101006596B1 (ko) 휴대단말기의 주소 관리 방법
KR10060564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번호 이동방법
KR10044759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폰북 처리 방법
KR100712843B1 (ko) 숫자 및 문자조합의 단축키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JP2001136266A (ja) 電話帳機能を有する情報端末
KR100585787B1 (ko) 단축버튼을 이용한 호출 방법
KR10106603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발신/수신 번호의 전화번호 등록방법
KR20000041330A (ko) 휴대폰 제어시스템
JPH06334725A (ja) 検索機能付き自動ダイヤル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