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3343B1 - 이미지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번호 저장방법 및이를 이용한 통화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번호 저장방법 및이를 이용한 통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3343B1
KR100553343B1 KR20030055483A KR20030055483A KR100553343B1 KR 100553343 B1 KR100553343 B1 KR 100553343B1 KR 20030055483 A KR20030055483 A KR 20030055483A KR 20030055483 A KR20030055483 A KR 20030055483A KR 100553343 B1 KR100553343 B1 KR 100553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erminal
stored
mobile communic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55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7921A (ko
Inventor
김현호
김상용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20030055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3343B1/ko
Publication of KR20050017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7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34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단축번호 저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단축번호로 수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등록할 시 상기 전화번호와 함께 매칭 되는 사용자의 이미지를 함께 저장하여 단축번호로 등록함으로써 포토 폰 메뉴를 이용한 단축번호 검색 시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와 대응되는 키 버튼을 선택하여 용이하게 수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전화번호부 등의 각종 기능들이 실현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와 다른 단말기로부터 전송 받은 이미지가 저장된 이미지 저장부와, 키 입력부와 표시부로 구성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번호를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메뉴 키가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각종 기능이 표시부에 제공되는 단계와, 상기 표시부에 제공된 메뉴 중 포토 폰 메뉴를 선택하여 상기 단말기에 단축번호로 등록하고자 하는 수신측 단말기 사용자의 이미지가 상기 이미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저장 확인단계에서, 상기 등록하고자 하는 수신측 단말기 사용자의 저장된 이미지가 있을 경우, 상기 이미지와 대응되는 단말기의 키 버튼을 눌러 이미지를 선택한 다음 상기 이미지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전화번호 및 이름을 입력하여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번호를 단축번호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저장 확인단계 에서, 상기 등록하고자 하는 수신측 단말기 사용자의 저장된 이미지가 없을 경우, 상기 단말기에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이미지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획득한 이미지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전화번호 및 이름을 입력하여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번호를 단축번호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동통신단말기, 포토 폰, 카메라, 단축번호

Description

이미지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번호 저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통화방법{Storage method of abbreviated number of mobile communicator using image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it}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키 입력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이용하여 단축번호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키 버튼 누름에 따른 이미지 선택 및 단축번호 설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키 입력부 22 : 제어부
24 : 표시부 26 : 이미지 저장부
28 : 메모리부
본 발명은 이미지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번호 저장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거나 다른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전화번호가 등록 저장된 사용자별 이미지를 다운받아 상기 사용자별 전화번호와 매칭 시켜 단축번호로 저장함으로써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단시간에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번호 저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제공되는 단축번호 기능의 경우 전화번호부 등록이나 편집화면 메뉴에서 직접 등록하고자하는 수신측 사용자의 이름과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제어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단축번호가 설정되었다. 그리하여, 상기 단말기 사용자는 메시지를 전송하고자하는 수신측 사용자가 단축번호 몇 번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암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인간이 기억할 수 있는 항목의 개수는 심리학에서는 밀러(miller)의 매직넘버 5에서 9로 알려져 있는바, 이런 근거로 볼 때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단말기에서 수신측 사용자의 단축번호를 외워 사용할 수 있는 숫자는 9개를 넘지 못함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 메뉴에서 전화번호 검색과정을 거쳐야만 했다.
먼저, 상기 단말기 사용자는 키 입력을 통해 검색 메뉴(10)로 들어가 상기 단말기에 등록된 수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이름을 검색항목으로 선택(12)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수신측 사용자의 이름을 입력하는 단계를 거친 후, 확인버튼을 누름(15)으로써 상기 수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단축번호를 찾을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화번호 검색은 여러 번의 반복적인 키 조작이 필요하고, 특히 수신측 사용자의 이름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2회 또는 그 이상의 키 입력 절차를 거쳐야 함으로 번거롭고 시간 낭비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사용자 별 전화번호와 등록된 단축번호를 상기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를 통해 직접 촬영하거나 다른 단말기로부터 다운받은 사용자 별 이미지와 매칭 시켜 등록된 사용자별 등록번호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이미지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단축번호 저장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미지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번호 저장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전화번호부 등의 각종 기능들이 실현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와 다른 단말기로부터 전송 받은 이미지가 저장된 이미지 저장부와, 키 입력부와 표시부로 구성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번호를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메뉴 키가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각종 기능이 표시부에 제공되는 단계와, 상기 표시부에 제공된 기능 중 포토 폰 기능을 선택하여 상기 단말기에 단축번호로 등록하고자 하는 수신측 단말기 사용자의 이미지가 상기 이미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저장 확인단계에서, 상기 등록하고자 하는 수신측 단말기 사용자의 저장된 이미지가 있을 경우, 상기 이미지와 대응되는 단말기 키 버튼을 눌러 이미지를 선택한 다음 상기 이미지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전화번호 및 이름을 입력하여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번호를 단축번호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저장 확인단계에서, 상기 등록하고자 하는 수신측 단말기 사용자의 저장된 이미지가 없을 경우, 상기 단말기에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이미지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획득한 이미지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번호를 단축번호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이용하여 단축번호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그 내부 구성은 크게 제어부(22), 키 입력부(20), 표시부(24), 이미지 저장부(26), 메모리부(28)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이미지 저장부(26)와 메모리부(28)로부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읽어 이동통신단말기 전체 동작을 제어함은 물론이고, 특히 본 발명 이미지를 이용한 단축번호 설정 동작 제어도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부(28)에는 제어 프로그램 즉, 단말기 전체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이미지 저장부(26)에는 상기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이미지와 다른 단말기로부터 전송 받은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키 입력부(20)는 다이얼링하기 위한 숫자 키와, 송신 키 등과 같은 기능 키들을 구비하고 있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에 대응되는 키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어부(22)로 입력한다. 표시부(24)는 상기 제어부(22)의 제어 하에 상기 단말기 상태에 따른 메시지 또는 키 입력부(20)로부터 입력된 키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상기 메모리부(28) 및 이미지 저장부(26)로부터 리드한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키 입력부(20)를 통해 메뉴 키가 입력되면(S100) 상기 제어부(22)에 의해 메모리부(28)에 저장된 각종 기능들이 표시부(24)에 제공된다. 상기 표시부(24)에 제공된 메뉴 중에 상기 사용자는 하위 메뉴로 포토 폰 메뉴를 선택한다(S101). 상기 포토 폰 메뉴는 상기 이미지 저장부(26)로부터 등록하고자 하는 수신측 단말기 사용자의 이미지를 제공받아 상기 단말기 키 버튼에 대응하도록 표시부(24)에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는 포토 폰 메뉴에 의해 표시부(24)에 제공된 이미지 중에서 단축번호로 등록하고자 하는 수신측 단말기 사용자의 이미지가 상기 이미지 저장부(26)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S102)한 후, 저장된 이미지가 있을 경우, 상기 단말기 키 버튼을 눌러 상기 키 버튼에 쓰여진 숫자 키와 대응되는 이미지를 선택한다(S107).
이해를 돕기 위해 도 4는 상기 키 버튼 누름에 따른 이미지 선택 및 단축번호 설정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참고하여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토 폰 메뉴에 의해 제공되는 표시부(24)는 단축번호로 등록하고자하는 사용자들의 이미지를 단말기의 키 버튼과 대응시켜 한 화면에 9 ~ 12개의 이미지 창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출력된 이미지 중 등록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이미지를 단말기의 키 버튼에 대응하는 번호를 눌러 선택한다(S107).
상기 선택된 한 개의 이미지가 표시부(24)에 표시되면, 상기 사용자는 키 버튼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전화번호 및 이름을 입력(S108)한 다음,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번호에 함께 저장되어 단축번호로 설정된다(S109).
또한, 상기 이미지 저장 확인단계에서, 상기 등록하고자 하는 수신측 단말기 사용자의 저장된 이미지가 없을 경우, 상기 단말기는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직접 이미지를 촬영(S104)하거나, 유/무선 통신을 통해 다른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등록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는다(S105).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나 다른 단말기로부터 전송 받은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 저장부(26)에 저장되고(S106), 상기 제어부(22)에 의해 자동적으로 등록번호를 갖게된다.
상기 이미지 저장부(26)에 저장된 이미지는 포토 폰 메뉴로 상기 단말기의 키 버튼과 대응되는 순번을 갖고 표시부(24)에 표시되며, 상기 이미지에 등록된 순번은 전화번호와 이름을 입력한 후, 단축번호로 제공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미지 저장부(26)에 저장되어 포토 폰 메뉴에서 단말기의 키 버튼과 대응하여 제공되는 이미지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단말기에 등록하고자 하는 수신측 단말기 사용자의 이미지를 키 버튼을 눌러 선택하여(S107), 선택된 이미지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전화번호 및 이름을 입력한 다음(S108), 상기 이미지가 등록된 번호에 함께 저장되어 단축번호로 설정된다(S109).
이때, 상기 사용자는 사용자 정의에 의해 단축번호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이미지의 획득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 포토 폰 메뉴의 표시부(24)에 키 버튼와 대응되는 단축번호를 갖는 전화번호와 이름이 표시된다. 뿐만 아니라 이메일 주소의 저장도 가능하며, 상기 단축번호를 갖고 단말기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전화번호와 이름은 상기 포토 폰 메뉴의 표시부에 9 ~ 12개의 화면으로 제공된다.
상기 표시부(24)에 제공된 다수 개의 창에서 선택하고자 하는 창과 대응하는 키의 버튼을 누르면 상기 표시부(24)에서 선택된 하나의 이미지만 표시부(24)에 표시되고, 상기 표시부(24)에 선택된 하나의 이미지 창에서 통화 버튼을 누르면 선택된 이미지 해당자와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표시부(24)에 제공되는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의 상/하 어느 일측면에 단축번호가 표시되어 키 버튼 누름에 의한 선택을 더욱 더 용이하게 한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전화번호부 등의 각종 기능들이 실현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28)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와 다른 단말기로부터 전송 받은 이미지가 저장된 이미지 저장부(26)와, 키 입력부(20)와 표시부(22)로 구성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미지 단축번호를 이용한 통화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키 입력부(20)로부터 포토 폰 메뉴 키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각각의 키 버튼에 대응하여 저장된 이미지를 키 버튼의 배열과 대응되도록 하여 상기 표시부(24)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 표시부(24)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중에 통화하고자 하는 수신측단말기 사용자의 이미지와 대응되는 키 버튼을 선택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선택된 이미지 하나만을 저장된 번호 및 이메일 주소와 함께 표시부(24)에 표시한다. 상기 사용자는 표시부(24)에 표시된 이미지와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통화버튼을 누르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되어 표시부(24)에 표시된 해당 수신측단말기로 통화연결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단말기에 단축번호를 설정할 시 이미지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단말기의 포토 폰 메뉴 기능에서 제공되는 이미지를 통해 한눈에 통화 연결하고자 하는 상대방을 찾을 수 있어, 여러 번의 키 버튼 누름에 의한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고, 시간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을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검색 메뉴에서 포토 폰 메뉴로 메시지를 전송하고자하는 사용자의 이미지를 찾아 대응되는 단말기 키 버튼을 누름으로써 자신이 지정한 이미지를 통해 단축번호에 할당된 상대방을 쉽게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에 등록된 이미지를 자신이 자주 연락하는 사람들의 앨범으로 관리함으로써, 단축번호 사용자의 카메라 폰을 이용한 재미와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5)

  1. 이동통신단말기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전화번호부를 포함한 해당 기능들이 실현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와 다른 단말기로부터 전송 받은 이미지가 저장되는 이미지 저장부와, 키 입력부와 표시부로 구성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번호를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의 메뉴 키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해당 기능들을 표시부에 출력시키는 단계;
    상기 표시부에 제공된 해당 기능 중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키 버튼의 배열과 대응되도록 이미지를 배열하는 포토 폰 메뉴 선택에 대응하여 단축번호로 등록하고자 하는 수신측 단말기 사용자의 이미지가 상기 이미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가 없을 경우에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 및 획득한 이미지를 저장하는 과정을 선택적으로 진행한 후, 상기 이미지 획득여부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와 이름을 단축번호로 설정하거나, 상기 이미지에 등록하고자 하는 수신측 단말기 사용자의 전화번호 및 이름을 입력하여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번호를 단축번호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번호 저장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전화번호, 이름이 저장된 단축번호에 상기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도 저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번호 저장방법.
  3. 삭제
  4. 삭제
  5. 이동통신단말기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전화번호부를 포함한 해당 기능들이 실현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와 다른 단말기로부터 전송 받은 이미지가 저장되는 이미지 저장부와, 키 입력부와 표시부로 구성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미지 단축번호를 이용한 통화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제공된 해당 기능 중 포토 폰 메뉴 선택에 대응하여 단축번호로 등록하고자 하는 수신측 단말기 사용자의 획득되거나 전송 받은 이미지에 상기 등록하고자 하는 수신측 단말기 사용자의 전화번호 및 이름을 입력하여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번호를 단축번호로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포토 폰 메뉴 선택에 따라 상기 저장된 이미지를 키 버튼의 배열과 대응되도록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중에서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수신측 단말기가 선택되어지는 단계; 및
    상기 키 입력부의 통화버튼의 입력에 따라 상기 수신측 단말기로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단축번호를 이용한 통화방법.
KR20030055483A 2003-08-11 2003-08-11 이미지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번호 저장방법 및이를 이용한 통화방법 KR100553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55483A KR100553343B1 (ko) 2003-08-11 2003-08-11 이미지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번호 저장방법 및이를 이용한 통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55483A KR100553343B1 (ko) 2003-08-11 2003-08-11 이미지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번호 저장방법 및이를 이용한 통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921A KR20050017921A (ko) 2005-02-23
KR100553343B1 true KR100553343B1 (ko) 2006-02-20

Family

ID=37227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55483A KR100553343B1 (ko) 2003-08-11 2003-08-11 이미지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번호 저장방법 및이를 이용한 통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33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462B1 (ko) * 2011-12-20 2019-02-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단축번호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921A (ko) 200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3521B2 (en) Method of displaying speed dials on a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603312B1 (en)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s using searched telephone number in mobile terminal
US8249229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al registration method and dial registration program therefor
KR100553343B1 (ko) 이미지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번호 저장방법 및이를 이용한 통화방법
KR1007999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번호 저장 방법
JP3318927B2 (ja) 携帯電話機の動作方法及びその動作装置
JPS60254956A (ja) 短縮ダイヤル機能付電子電話機
KR100651480B1 (ko)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을 위한 데이터입력 방법
KR100628072B1 (ko) 사진을 편집하여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단말기
JPH11112634A (ja) 通信端末
KR10079451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그룹 단축번호 다이얼링 방법
KR10099572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폰북 검색방법
KR20060073887A (ko) 이동 통신 단말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 및 장치
KR101006596B1 (ko) 휴대단말기의 주소 관리 방법
JP3501600B2 (ja) 電話機におけるファンクション機能の設定方法
KR100701946B1 (ko)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전화번호 입력기능을 구비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설정방법
JPH09186759A (ja) 自動ダイヤル方法及び自動ダイヤル装置並びに電子手帳装置
JPH01155759A (ja) 文字入力方式
KR100712843B1 (ko) 숫자 및 문자조합의 단축키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JP5120160B2 (ja) 通信端末、電話システム及びそれらに用いる特定機能簡単操作方法
KR100557066B1 (ko) 최소의 기능키만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이얼 방법
KR10061779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일정처리 방법
KR100724409B1 (ko) 통신 단말의 단축 키 등록 방법과 상기 단축 키를 이용한통신 방법과 상기 단축 키를 저장하는 기억 장치
JPH0484547A (ja) 公衆電話機
KR20060012800A (ko) 휴대폰내 이미지 등록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