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2800A - 휴대폰내 이미지 등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내 이미지 등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2800A
KR20060012800A KR1020040061445A KR20040061445A KR20060012800A KR 20060012800 A KR20060012800 A KR 20060012800A KR 1020040061445 A KR1020040061445 A KR 1020040061445A KR 20040061445 A KR20040061445 A KR 20040061445A KR 20060012800 A KR20060012800 A KR 20060012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obile phone
partial region
phone
pi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1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1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2800A/ko
Publication of KR20060012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28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57Management thereof, e.g. manual editing of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발명은 휴대폰을 포함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폰내에 저장된 이미지(image)내의 일부 영역만을 저장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등록할 이미지(image)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image)중 일부영역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일부영역의 이미지(image)만을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만을 등록할 수 있어 휴대폰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폰, 사진, 저장, 일부, 등록

Description

휴대폰내 이미지 등록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storing a part of image in mobile-phone}
도1은 본발명에도 적용되는 일반적인 휴대폰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휴대폰을 이용한 종래 이미지 등록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3은 휴대폰을 이용한 본발명의 이미지 등록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4는 본발명에 의해 등록되는 이미지를 예를들어 도시한 도면.
도5는 본발명의 휴대폰내의 기능별 블록도이다.
- 도면내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 : 통신회로부 2 : 안테나
3 : 다이플렉서 4 : 수신부
5 : 송신부 6 : 논리회로부
7 : 마이커(MC) 8 : 스피커(SP)
10 : 휴대폰 케이싱 31 : 표시부
32 : 표시제어부 33 : 키패드
34 : 통화제어부 35 : 저장부
100 : 전체이미지(image) 101 : 일부이미지(image)
본발명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을 이용한 이미지(image)등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기지국등을 이용한 무선망시스템을 통해 무선으로 통신신호를 교환함으로서 특정인과 통화할 수 있는 장치로, 현재 상기 휴대폰내에는 일반적인 통화기능 외에도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는 실정이며, 이러한 기능에는 카메라기능으로 사진을 촬영하거나 쵤영된 사진속의 인물을 휴대폰내의 전화번호부등에 등록하는 기능도 보편화 되고 있다.
도1은 일반적인 휴대폰을 도시한 것으로, 이하 도1의 휴대폰을 이용한 종래 이미지(image) 등록방법을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관련하여, 본발명에서 사용된 "이미지(image)"란 일종의 정지영상을 의미하며, 가장 일반적인 이미지(image)로서 사진을 예로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image)를 등록한다 함"은 이미지를 휴대폰내 메모리(도5, 35)등에 저장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저장의 목적은 다양한 이유가 존재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나, 본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반적인 저장기능으로서 휴대폰내 전화번호부 메모리기능에 연동되어 상기 이미지를 등록(저장)하는 방법을 예로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1, 도2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폰내 전화번호부 저장을 위해, 키패드(33)를 활용하여 전화번호부 메모리기능을 선택하고, 특정 인물에 대한 사진을 해 당 전화번호내에 함께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S10), 휴대폰내 시스템은 사진등록을 위해 직접촬영을 할 것인지(이는 사진촬영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에 한한다), 또는 메모리등에 저장된 사진을 활용할 것인지를 선택하게 하고(S20), 사용자가 선택한 사진 취득 방법에 따라, 취득된 사진을 표시부(31)에 표시한 후, 사용자의 등록실행 요구에 따라 특정영역에 사진 등록을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진을 포함한 이미지는 반드시 특정 인물만을 중심으로 하여 구비되는 것은 아니므로, 사용자가 등록을 원하는 부분은 사진내의 일부영역임에 불구하고 전체 사진을 등록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발명은 상기의 실정을 감안하여 창작된 것으로, 휴대폰내에 특정 이미지(image)를 등록(저장)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내의 일부영역만을 선택적으로 등록가능하도록 하는 이미지 등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위한 본발명에 의한 휴대폰내 이미지 등록방법은, 등록할 이미지(image)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image)중 일부영역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일부영역의 이미지(image)만을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발명에 의한 휴대폰내 이미지 등록장치는, 이미지(image)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저장된 이미지(image)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이 미지(image)내의 일부영역을 선택하고, 선택된 일부영역 이미지(image)를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표시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내 이미지 등록방법 및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발명을 파악하여야 됨을 밝혀두고자 한다.
관련하여, 본발명에서 "휴대폰"이라 함은, 통화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PDA폰, 카메라폰 등)를 총칭하여 사용한 의미이며, 또한, 본발명의 기술사상은 휴대폰에 국한되지 않고, 이미지등을 저장하는 기능이 있는 유선전화기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함은 이하 본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자명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발명에서 사용된 "이미지(image)"로서 사진을 예로들어 설명하고자 하며, 또한, 상기 "이미지(image)를 등록"하는 목적으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휴대폰내 전화번호부에 상기 이미지를 등록(저장)하는 방법을 예로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사진 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이미지를 다양한 목적에 따라, 휴대폰내에 등록 또는 저장시키는 방법등에 적용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3은 본발명에 따른 휴대폰내 이미지 등록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4는 등록되는 특정 이미지를 예를들어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가 휴대폰내 전화번호부 저장을 위해, 키패드(33)를 활용하여 전화번호부 메모리기능을 선택하고, 특정 인물에 대한 사진을 해당 전화번호내에 함께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S10), 휴대폰내 시스템은 사진등록을 위해 직접촬영을 할 것인지(이는 사진촬영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에 한한다), 또는 메모리등에 저장된 사진을 활용할 것인지를 선택하게 한다(S20).
사용자가 메모리(도5, 35)등에 미리 저장된 사진을 활용하여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사진을 표시부(31)에 표시하게 되는 바, 도4에서는 표시부(31)에 표시되는 사진(100)을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31)에 표시된 사진(100)내의 일부영역(101)에 대해서만 사진등록을 원하는 경우, 키패드(33)등을 조작하여 해당 영역(101)을 선택하고(S30), 상기 선택된 특정영역(101)만을 해당 전화번호와 연동된 등록될 사진으로 지정하여(S40), 사진 등록을 완료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쵤영을 통해 새로이 등록할 사진을 취득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사진)대로 전화번호부에 등록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촬영된 사진을 표시부(31)에 표시한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이중 일부영역만을 선택하여 등록하는 것도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관련하여, 이미지내의 일부영역을 선택하는 방법은 기존의 다양한 편집 프로그램을 응용하여 활용하되, 사용자가 등록을 원하는 일부영역만을 선택하는 도구로 는, 휴대폰외부에 구비된 사용자 조작가능한 버튼등이 포함된 키패드(33)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표시부(31)의 표면에 직접 등록을 원하는 영역을 선택하는 터치펜(미도시)등을 활용 할 수도 있다.
도5는 본발명의 휴대폰내의 기능별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발명에 따른 휴대폰은, 통신회로부(1)와 통신회로부(1)에 접속되어 있는 통화제어부(34)와, 통화제어부(34)에 접속된 표시제어부(32)와 표시부(31)를 가지고 있다. 또한 표시제어부(32) 및 통화제어부(34)에는 키패드(33)가 각각 접속되어 있으며, 이 키패드(33)에는 통화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은 물론,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만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의 조합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휴대폰내에는 본발명과 관련된 다양한 이미지를 저장가능한 메모리(35)가 구비되며, 메모리(35)는 표시제어부(32) 및 표시부(31)에 연결되어, 표시제어부(32)의 제어에 따라, 특정 이미지를 표시부(31)에 표시하거나, 표시부(31)에 표시된 이미지를 다시 저장하게 된다.
또한, 통신회로부(1)는 일반적으로 안테나(2)와, 안테나(2)에 다이플렉서(3)를 경유하여 각각 접속된 송신부(5) 및 수신부(4)를 가지고 있으며, 송신부(5) 및 수신부(4)에는 각각 마이커(7) 및 스피커(8)가 접속되어 있고, 송신부(5) 및 수신부(4)에는 논리회로부(6)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휴대폰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폰내의 통신회로부(1)와 통화제어부(34) 및 표시제어부(32)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싱(10)을 가지고 있다.
관련하여, 상기 구성을 가지는 휴대폰내에서 본발명의 이미지 등록을 위한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메모리(35)내에 저장된 특정 이미지(예를들어 도4, 100)를 표시부(31)에 표시한 후, 표시제어부(32)는 사용자로부터 표시된 전체이미지(100)중 등록을 원하는 일부영역 이미지(101)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결과에 따라, 메모리(35) 및 표시부(31)를 제어하여, 결국 사용자가 원하는 일부영역 이미지(101)만을 메모리내 특정영역(예를들어, 전화번호 저장영역)에 저장하게 된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본발명은 휴대폰내 이미지(image)를 자유롭게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만을 등록할 수 있어 휴대폰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등록할 이미지(image)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image)중 일부영역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일부영역의 이미지(image)만을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내 이미지 등록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등록은 휴대폰내 전화번호부 저장을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내 이미지 등록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할 이미지는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를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내 이미지 등록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할 이미지는 직접촬영을 통해 취득한 이미지를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내 이미지 등록방법.
  5. 이미지(image)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저장된 이미지(image)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이미지(image)내의 일부영역을 선택하고, 선택된 일부영역 이미지(image)를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표시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내 이미지 등록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표시제어부를 통해 일부영역 이미지를 선택가능 하게 하는 사용자 조작가능한 버튼이 구비된 키패드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내 이미지 등록장치.
KR1020040061445A 2004-08-04 2004-08-04 휴대폰내 이미지 등록 방법 및 장치 KR200600128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1445A KR20060012800A (ko) 2004-08-04 2004-08-04 휴대폰내 이미지 등록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1445A KR20060012800A (ko) 2004-08-04 2004-08-04 휴대폰내 이미지 등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800A true KR20060012800A (ko) 2006-02-09

Family

ID=37122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1445A KR20060012800A (ko) 2004-08-04 2004-08-04 휴대폰내 이미지 등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280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5590B2 (en) Mobile terminal with ergonomic imaging functions
EP1571808A1 (en) A method of displaying speed dials on a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3145164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nswer extension function
CN107155060A (zh) 图像处理方法及装置
EP194264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riginating call by using image
KR20080092646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호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
US7295818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image capture and radio communication functions,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operation control program
US8019061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al registration method and dial registration program therefor
CN100518251C (zh) 便携式信息装置
KR20060056059A (ko) 앨범식 사진 저장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JP2006121449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WO2007072664A1 (ja) 携帯通信端末及びそれに用いる機能メニュー表示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US2003015883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capability of storing a photograph of face in address book together with name, mail address, and other information
KR20060012800A (ko) 휴대폰내 이미지 등록 방법 및 장치
JP2001045349A (ja) デジタルカメラ機能付き移動体通信装置及び制御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2003289350A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及びその機能設定方法
JP3927903B2 (ja) 携帯型情報端末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050028930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진을 이용한 전화번호 검색 방법
KR20060025679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대기화면 설정 방법
KR100628072B1 (ko) 사진을 편집하여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단말기
KR20060131033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색상 정보 제공 방법
KR10067810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표시방법
KR100553343B1 (ko) 이미지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번호 저장방법 및이를 이용한 통화방법
KR10056090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정보 표시 방법
KR20050082196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전화번호부에 사진을 입력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