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299B1 -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 - Google Patents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4299B1
KR100794299B1 KR1020070017694A KR20070017694A KR100794299B1 KR 100794299 B1 KR100794299 B1 KR 100794299B1 KR 1020070017694 A KR1020070017694 A KR 1020070017694A KR 20070017694 A KR20070017694 A KR 20070017694A KR 100794299 B1 KR100794299 B1 KR 100794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diffusion
pcb
accessories
acry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7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재
Original Assignee
박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재 filed Critical 박용재
Priority to KR1020070017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42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15Illuminated or sound-producing jewell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는, 외측 테두리를 구비하면서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프론트커버와; 상기 프론트커버와 결합되며, 상부 및 하부 중앙에 연결고리홀과 스위치홀이 각각 관통된 백커버와; 상기 백커버 내측에 위치되며, 배터리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PCB와; 상기 PCB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며, PCB를 통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빛을 발광하는 LED와; 상기 LED가 내삽된 상태로 PCB 상단에 설치되며, LED로부터 발광된 빛을 전체적으로 확산시키는 확산아크릴과; 상기 확산아크릴 상단 원주면 둘레에 형성되며, 확산아크릴 형태 그대로 확산된 빛을 외부로 발출시키는 렌즈부와; 상기 확산아크릴 중앙에 관통 설치되어 착용자로부터 착용중량이 느껴지도록 하는 무게추와; 상기 렌즈부 및 무게추 상단에 설치되어 외부충격으로부터 렌즈부 및 확산아크릴을 보호하면서 전원 오프(off)시 내부 하단에 인쇄된 기본 도안이 외부로 표현되도록 하는 마감판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 오프(off)시엔 마감판재인 블랙아크릴의 내부 하단에 인쇄된 기본 도안이 표현되고, 전원 온(on)시엔 LED 발광에 따른 빛의 모양이 투과되는 확산아크릴의 모양 형태 즉, 다양한 형상이나 문자, 도안, 도형 등으로 표현되도록 하는 등 개인의 개성과 취양에 따른 장신구 전체의 심미감과 함께 감성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악세사리용 장신구, 확산 발광, 확산아크릴, 렌즈부, 무게추, 다양한 형상이나 문자, 도안, 도형, 작동스위치, 온(on)/오프(off) 스위치, 진동센서 스위치, 광센서 스위치, 투명아크릴, 편심, 동심

Description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A trinkets for accessories with diffusion luminnous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악세사리용 장신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악세사리용 장신구의 반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악세사리용 장신구 중 확산아크릴의 절개 사시도 및 세부 상세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악세사리용 장신구 중 마감판재의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악세사리용 장신구의 발광 상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악세사리용 장신구의 반단면도 및 발광 상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악세사리용 장신구의 반단면도 및 발광 상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인 악세사리용 장신구의 반단면도 및 발광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a, 1b, 1c, 1d. 악세사리용 장신구
10. 프론트커버 11. 걸림턱
11a. 백커버 결합홈 12. 백커버
13. 연결고리홀 14. 스위치홀
15. 배터리 16. PCB 회동돌기
16a. 백커버 결합돌기 17. 배터리커버
20. PCB 21. 회동돌기홈
22. LED 25. 작동스위치
30. 확산아크릴 32. 렌즈부
34. LED 수용홈 37. 무게추
40. 마감판재 42. 도안
45. 덮개판재 50. 투명아크릴
본 발명은 악세사리용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전력에서 고휘도의 빛을 낼 수 있는 특성의 LED 주위에 다양한 형상이나 문자, 도안, 도형 등으로 성형된 확산아크릴(일명, 유백색 아크릴)을 조합함과 동시에 상기 확산아크릴 상단에 기본 도안이 인쇄된 블랙아크릴을 적용함으로써, 전원 오프(off)시엔 블랙아크릴에 인쇄된 기본 도안이 표현되고, 전원 온(on)시엔 LED 발광에 따른 빛의 모양이 투과되는 확산아크릴의 모양 형태로 표현되도록 하는 등 개인의 개성과 취 양에 따른 장신구 전체의 심미감과 함께 감성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한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악세사리용 장신구의 발광방식은 2개 이상의 LED에 PCB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베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공급된 전원을 통해 LED 발광에 따른 빛이 투명아크릴이나 유리로부터 발출되면서 상기 악세사리용 장신구의 발광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기존 LED를 이용한 악세사리용 장신구의 발광방식의 경우 2개 이상의 LED를 이격시켜 점등할 시 위치에 따라 LED 개체별 빛의 모양이 일정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다양한 형상이나 문자, 도안, 도형 등으로 악세사리용 장신구의 발광 형태를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이로 인해 개인의 개성과 취양에 따른 장신구 전체의 심미감과 함께 감성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저전력에서 고휘도의 빛을 낼 수 있는 특성의 LED 주위에 다양한 형상이나 문자, 도안, 도형 등으로 성형된 확산아크릴을 조합함과 동시에 상기 확산아크릴 상단에 기본 도안이 인쇄된 블랙아크릴을 적용함으로써, 전원 오프(off)시엔 블랙아크릴에 인쇄된 기본 도안이 표현되고, 전원 온(on)시엔 LED 발광에 따른 빛의 모양이 투과되는 확산아크릴의 모양 형태로 표현되도록 하는 등 개인의 개성과 취양에 따른 장신구 전체의 심미감과 함께 감성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LED에 전원을 공급 차단하는 온(on)/오프(off) 스위치나, LED의 선택적 점멸 또는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규칙적/불규칙적으로 LED를 온(on)/오프(off)시키는 진동센서 스위치나,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외부 조도에 의해 LED를 온(on)/오프(off)시키는 광센서 스위치를 적용함으로써, 진동센서에 의해 감지된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LED의 발광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외부 조도에 따라 LED의 발광이 이루어져 확산아크릴의 모양 형태로 표현되도록 하는 등 개인의 개성과 취양에 따른 감성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는, 외측 테두리를 구비하면서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프론트커버와; 상기 프론트커버와 결합되며, 상부 및 하부 중앙에 연결고리홀과 스위치홀이 각각 관통된 백커버와; 상기 백커버 내측에 위치되며, 배터리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PCB와; 상기 PCB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며, PCB를 통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빛을 발광하는 LED와; 상기 LED가 내삽된 상태로 PCB 상단에 설치되며, LED로부터 발광된 빛을 전체적으로 확산시키는 확산아크릴과; 상기 확산아크릴 상단 원주면 둘레에 형성되며, 확산아크릴 형태 그대로 확산된 빛을 외부로 발출시키는 렌즈부와; 상기 확산아크릴 중앙에 관통 설치되어 착용자로부터 착용중량이 느껴지도록 하는 무게추와; 상기 렌즈부 및 무게추 상단에 설치되어 외부충격으로부터 렌즈부 및 확산아크릴을 보호하면서 전원 오프(off)시 내부 하단에 인쇄된 기본 도안이 외부로 표현되도록 하는 마감판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는, 전면(前面)이 개방되며, 상부 및 배면(背面) 하단 중앙에 연결고리홀과 스위치홀이 각각 관통된 백커버와; 상기 백커버 내측에 위치되며, 배터리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PCB와; 상기 PCB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며, PCB를 통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빛을 발광하는 LED와; 상기 LED가 내삽된 상태로 PCB 상단에 설치되며, LED로부터 발광된 빛을 전체적으로 확산시키는 확산아크릴과; 상기 확산아크릴 상단 원주면 둘레에 형성되며, 확산아크릴 형태 그대로 확산된 빛을 외부로 발출시키는 렌즈부와; 상기 확산아크릴 중앙에 관통 설치되어 착용자로부터 착용중량이 느껴지도록 하는 무게추와; 상기 백커버와 결합되며, 전원 오프(off)시 내부 하단에 인쇄된 기본 도안이 외부로 표현되도록 하는 마감판재와; 상기 마감판재의 전면(前面)에 결착되어 외부충격으로부터 마감판재를 보호하는 덮개판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의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는, 배면(背面)이 개방되면서 내측 테두리에 슬롯형태의 백커버 결합홈이 형성된 프론트커버와; 상기 프론트커버 내측에 위치되며, 배터리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PCB와; 상기 PCB 배면에 전기적 연결을 이루며, PCB를 통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빛을 발광하는 LED와; 상기 LED 하방(下方)에 대응 위치되며, LED로부터 발광된 빛을 방사상으로 확산시키는 확산아크릴과; 상기 확산아크릴과 대응되면서 프론트커버의 테두리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프론트커버의 상측에 근접되게 편심 위 치되며, 확산아크릴을 통해 발출된 LED 빛에 의해 프론트커버의 외측 둘레로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투명아크릴과; 상기 프론트커버 내에 삽입 회동되어 백커버 결합홈에 결착되며, 상부 및 하부 중앙에 연결고리홀과 스위치홀이 각각 관통된 백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의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는, 배면(背面)이 개방되면서 내측 테두리에 슬롯형태의 백커버 결합홈이 형성된 프론트커버와; 상기 프론트커버 내측에 위치되며, 배터리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PCB와; 상기 PCB 배면에 전기적 연결을 이루며, PCB를 통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빛을 발광하는 LED와; 상기 LED와 대응되면서 프론트커버의 배면에 동심상태로 위치되며, LED로부터 발광된 빛을 프론트커버의 배면 전체로 확산시켜 이를 통해 간접조명에 따른 상기 프론트커버의 외측 윤각이 형성되도록 하는 확산아크릴과; 상기 프론트커버 내에 삽입 회동되어 백커버 결합홈에 결착되며, 배면 중앙에 배터리커버가 구비되면서 상부 및 하부 중앙에 연결고리홀과 스위치홀이 각각 관통된 백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이하, 악세사리용 장신구라 함.)를 도면과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악세사리용 장신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악세사리용 장신구의 반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악세사리용 장신구 중 확산아크릴의 절개 사시도 및 세부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악세사리용 장신구 중 마감판재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악세사리용 장신구의 발광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악세사리용 장신구(1a)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테두리를 구비하면서 전,후면이 개방된 프론트커버(10)와; 상기 프론트커버(10)와 결합되며, 상부 및 하부 중앙에 연결고리홀(13)과 스위치홀(14)이 각각 관통된 백커버(12)와; 상기 백커버(12) 내측에 위치되며, 배터리(15)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PCB(20)와; 상기 PCB(20)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며, PCB(20)를 통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빛을 발광하는 LED(22)와; 상기 LED(22)가 내삽된 상태로 PCB(20) 상단에 설치되며, LED(22)로부터 발광된 빛을 전체적으로 확산시키는 확산아크릴(30)과; 상기 확산아크릴(30) 상단 원주면 둘레에 형성되며, 확산아크릴(30) 형태 그대로 확산된 빛을 외부로 발출시키는 렌즈부(32)와; 상기 확산아크릴(30) 중앙에 관통 설치되어 착용자로부터 착용중량이 느껴지도록 하는 무게추(37)와; 상기 렌즈부(32) 및 무게추(37) 상단에 설치되어 외부충격으로부터 렌즈부(32) 및 확산아크릴(30)을 보호하면서 전원 오프(off)시 내부 하단에 인쇄된 기본 도안(42)이 외부로 표현되도록 하는 마감판재(40)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악세사리용 장신구(1a)의 구성요소 중 상기 프론트커버(10)의 경우 외부 작용에 의한 오염 및 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나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전체 형상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커버(12)와 결합되면서 LED(22)와 연결된 PCB(20) 및 렌즈부(32)가 형성된 확산 아크릴(30), 무게추(37), 마감판재(40) 등이 내장될 수 있도록 전,후면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론트커버(10)의 전면(前面) 둘레에는 마감판재(40)가 전방(前方)으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걸림턱(11) 즉, 외측 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악세사리용 장신구(1a)의 구성요소 중 상기 백커버(12)의 경우 전술한 프론트커버(10)와 마찬가지로 외부 작용에 의한 오염 및 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나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백커버(12)의 외주면 상부 및 하부 중앙에는 착용자의 목이나 손목, 발목, 귀 등에 장신구를 착용할 수 있도록 연결줄용 연결고리(미도시)가 체결되는 연결고리홀(13)과 상기 LED(22)에 전원을 공급 차단하기 위한 작동스위치(25)가 PCB(20)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상태로 설치되는 스위치홀(14)이 각각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백커버(12) 하부 중앙의 스위치홀(14)에 설치되는 작동스위치(25)의 경우 착용자의 온(on)/오프(off) 조작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인 PCB(20)를 거쳐 LED(22)에 전원을 계속적으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온(on)/오프(off) 스위치를 적용하거나, 또는 상기 LED(22)의 선택적 점멸이나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규칙적/불규칙적으로 LED(22)를 온(on)/오프(off)시키는 진동센서 스위치를 적용하거나, 또는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외부 조도 즉, 낮이나 밤에 따라 LED(22)를 온(on)/오프(off)시키는 광센서 스위치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악세사리용 장신구(1a)의 구성요소 중 상기 확산아크릴(30)의 경우 LED(22)로부터 발광된 빛을 전체적으로 확산시켜 색상 및 밝기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반투명 제품인 일명 유백색 아크릴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이 무게추(37)와 동일높이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무게추(37)가 확산아크릴(30) 중앙에 삽입 및 안착될 수 있도록 그 내부가 중공의 원형 넥(neck) 형태를 이루는 원형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 확산아크릴(30)의 형상은 도 3과 같은 형상 즉, 원형체 이외에 상기 LED(22) 발광에 따른 확산아크릴(30)의 발광형상 표현이 자유로움과 아울러 개인의 개성과 취양에 따른 장신구 전체의 심미감과 함께 감성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이나 문자, 도안, 도형으로 성형하여 적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상기 확산아크릴(30) 상단 원주면 둘레에는 확산아크릴(30) 형태 그대로 확산된 LED(22) 발광 빛을 외부로 발출시킬 수 있도록 렌즈부(32)가 형성되되, 상기 렌즈부(32)의 경우 LED(22)로부터 발광된 빛이 확산아크릴(30) 형태 그대로 확산 발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오목렌즈나 볼록렌즈, 또는 평면형태, 다양한 형상이나 문자, 도안, 도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확산아크릴(30)의 하단 둘레에는 LED(22)로부터 발광된 빛이 확산아크릴(30) 상단 원주면 둘레에 형성된 렌즈부(32) 측으로 원활하게 확산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과 함께 상기 LED(22)를 확산아크릴(30)의 하단 내측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반원형상의 LED 수용홈(3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LED 수용홈(34)에 수용되는 LED(22)의 경우 보통 4~6개가 등간격으로 설치되되, 바람직하게는 5개의 LED(22)가 등간격으로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악세사리용 장신구(1a)의 구성요소 중 상기 무게추(37)의 경우 본 발명의 장신구를 착용자가 신체 일부에 착용할 때 착용자가 장신구의 착용중량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요소로서, 상기 확산아크릴(30) 중앙에 형성된 넥(neck) 형태의 내부에 삽입 및 안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전체 형상이 상단 보다 하단의 직경이 작은 넥(neck) 형태의 원통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중량을 위해 금속재질 또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악세사리용 장신구(1a)의 구성요소 중 상기 마감판재(40)의 경우 외부충격으로부터 렌즈부(32) 및 확산아크릴(30)을 보호하면서 전원 오프(off)시 내부 하단에 인쇄된 기본 도안(42)이 외부로 표현되도록 렌즈부(32) 및 무게추(37) 상단에 설치되는 요소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이 원판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전원 오프(off)시 자체 도안(42)이 외부로 표현될 수 있도록 마감판재(40) 내부 하단에는 기본 도안(42)이 인쇄되어 있으며, 이 때 상기 마감판재(40)로서 내부 하단에 기본 도안(42)이 인쇄된 상태의 블랙아크릴이나, 유리, 필름, 플라스틱 등을 적용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악세사리용 장신구(1a)의 경우 반지, 목걸이, 팔찌, 발찌, 귀걸이, 헤어핀 및 밴드 등 신체 각 부위에 부착할 수 있는 악세사리 및 옷이나 어깨끈, 단추, 허리밸트, 스포츠용품, 안경테, 모바일기기의 악세사리에 적용할 수 있으며, 착용자가 악세사리용 장신구(1a) 중 백커버(12)의 외주면 하부에 설치된 작동스위치(25) 즉, 온(on)/오프(off) 스위치를 온(on)시키게 되면 배터리(15)로부터 전기적으로 연결된 PCB(20)를 통해 LED(22) 측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LED(22)의 발광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발광되는 LED(22) 빛은 확산아크릴(30) 내부 조사 확산되어 확산되어 상기 확산아크릴(30) 상단 원주면 둘레에 형성된 렌즈부(32)를 통해 상기 확산아크릴(30) 형태 그대로 외부에 발출되는 등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턱(11)이 형성된 프론트커버(10) 전면(前面)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상기 확산아크릴(30) 상단 원주면 둘레에 형성된 렌즈부(32)의 폭만큼 중공 원형 즉, 상기 확산아크릴(30)의 형태 그대로 발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작동스위치(25)의 오프(off)시에는 전원 차단에 따른 LED(22)의 발광이 종료됨과 아울러, 마감판재(40)의 내부 하단에 인쇄된 기본 도안(42)이 외부로 표현되게 되는 등 상기 작동스위치(25)의 온(on)/오프(off) 작용에 따라 각기 외부로 표현되는 악세사리용 장신구(1a)의 심미감이 자유로움과 아울러 개인의 개성과 취양에 따라 감성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특징적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악세사리용 장신구의 반단면도 및 발광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악세사리용 장신구(1b)에 있어,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악세사리용 장신구(1a)와 동일 구조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적용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악세사리용 장신구(1b)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前面)이 개방되며, 상부 및 배면(背面) 하단 중앙에 연 결고리홀(13)과 스위치홀(14)이 각각 관통된 백커버(12)와; 상기 백커버(12) 내측에 위치되며, 배터리(15)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PCB(20)와; 상기 PCB(20)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며, PCB(20)를 통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빛을 발광하는 LED(22)와; 상기 LED(22)가 내삽된 상태로 PCB(20) 상단에 설치되며, LED(22)로부터 발광된 빛을 전체적으로 확산시키는 확산아크릴(30)과; 상기 확산아크릴(30) 상단 원주면 둘레에 형성되며, 확산아크릴(30) 형태 그대로 확산된 빛을 외부로 발출시키는 렌즈부(32)와; 상기 확산아크릴(30) 중앙에 관통 설치되어 착용자로부터 착용중량이 느껴지도록 하는 무게추(37)와; 상기 백커버(12)와 결합되며, 전원 오프(off)시 내부 하단에 인쇄된 기본 도안(42)이 외부로 표현되도록 하는 마감판재(40)와; 상기 마감판재(40)의 전면(前面)에 결착되어 외부충격으로부터 마감판재(40)를 보호하는 덮개판재(45)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악세사리용 장신구(1b)의 구성요소 중 상기 백커버(12)의 경우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악세사리용 장신구(1a) 중 백커버(12)와 마찬가지로 외부 작용에 의한 오염 및 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나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백커버(12)의 외주면 상부 및 배면(背面) 하단 중앙에는 착용자의 목이나 손목, 발목, 귀 등에 장신구를 착용할 수 있도록 연결줄용 연결고리가 체결되는 연결고리홀(13)과 상기 LED(22)에 전원을 공급 차단하기 위한 작동스위치(25)가 PCB(20)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상태로 설치되는 스위치홀(14)이 각각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백커버(12) 배면(背面) 하단 중앙의 스위치홀(14)에 설치되는 작동스위치(25)의 경우 역시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악세사리용 장신구(1a)에 적용되는 작동스위치(25)와 마찬가지로 온(on)/오프(off) 스위치나 진동센서 스위치 또는 광센서 스위치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악세사리용 장신구(1b)의 구성요소 중 상기 확산아크릴(30)의 경우 LED(22)로부터 발광된 빛을 전체적으로 확산시켜 색상 및 밝기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반투명 제품인 일명 유백색 아크릴로서, 전체 형상이 무게추(37)와 동일높이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무게추(37)가 확산아크릴(30) 중앙에 삽입 및 안착될 수 있도록 그 내부가 아크릴 전면(前面)으로부터 아크릴 후면(後面)으로 점차 확대되어 원추형상의 단면을 형성하는 중공 형태를 이루면서 전체 크기가 PCB(20)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때 상기 확산아크릴(30)의 형상은 도 3과 같은 형상 즉, 원형체 이외에 상기 LED(22) 발광에 따른 확산아크릴(30)의 발광형상 표현이 자유로움과 아울러 개인의 개성과 취양에 따른 장신구 전체의 심미감과 함께 감성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이나 문자, 도안, 도형으로 성형하여 적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상기 확산아크릴(30) 상단 즉, 전면(前面) 원주면 둘레에는 확산아크릴(30) 형태 그대로 확산된 LED(22) 발광 빛을 외부로 발출시킬 수 있도록 렌즈부(32)가 형성되되, 상기 렌즈부(32)의 경우 무게추(37)의 삽입을 위해 내,외부의 단면이 전면(前面)으로부터 후면(後面)으로 점차 확대되는 원추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확산아크릴(30)의 후면(後面)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됨과 아울러, LED(22)로부터 발광된 빛이 확산아크릴(30) 형태 그대로 확산 발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오목렌즈나 볼록렌즈, 또는 평면형태, 다양한 형상이나 문자, 도안, 도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확산아크릴(30)의 하단에는 LED(22)로부터 발광된 빛이 확산아크릴(30)의 렌즈부(32) 측으로 원활하게 확산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과 함께 상기 LED(22)를 확산아크릴(30)의 하단 내측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반원형상의 LED 수용홈(3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LED 수용홈(34)에 수용되는 LED(22)의 경우 보통 4~6개가 등간격으로 설치되되, 바람직하게는 5개의 LED(22)가 등간격으로 설치되게 되며, 상기와 같은 구조로 확산아크릴(30)을 형성할 경우 전원 온(on)시 LED(22) 발광에 따른 빛이 확산아크릴(30)의 후면(後面)에 비해 폭이 좁은 전면(前面)의 렌즈부(32)를 통해 외부로 상기 렌즈부(32)의 크기 및 형상 그대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악세사리용 장신구(1b)의 구성요소 중 상기 무게추(37) 및 마감판재(40)의 경우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악세사리용 장신구(1a)의 무게추(37) 및 마감판재(40)와 동일 재질 및 동일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악세사리용 장신구(1b)의 구성요소 중 상기 덮개판재(45)의 경우 전체 형상이 마감판재(40)를 감쌀 수 있도록 캡 형태로 형성됨과 동시에 전원 온(on)/오프(off)시 LED(22) 발광에 의한 확산아크릴(30)의 발광 모양과 마감판재(40) 내부 하단에 인쇄된 기본 도안(42)이 외부로 원활하게 표현되도록 투명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덮개부재 상단에는 백커버(12) 상 부에 형성된 연결고리홀(13)과 대응되도록 "U"자 형태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백커버(12) 상부의 연결고리홀(13)과 연결줄용 연결고리(미도시) 간의 결합을 간섭하지 않고 상기 덮개판재(45)의 상단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상기 연결고리홀(13)과 연결줄용 연결고리 간의 원활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아울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악세사리용 장신구(1b)의 발광과정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악세사리용 장신구(1a)와 동일 과정으로 발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발광과정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악세사리용 장신구의 반단면도 및 발광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악세사리용 장신구(1c) 역시 전술한 제 1, 2 실시예의 악세사리용 장신구(1a,1b)와 동일 구조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적용하기로 한다.
그 다음,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악세사리용 장신구(1c)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背面)이 개방되면서 내측 테두리에 슬롯형태의 백커버 결합홈(11a)이 형성된 프론트커버(10)와; 상기 프론트커버(10) 내측에 위치되며, 배터리(15)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PCB(20)와; 상기 PCB(20) 배면에 전기적 연결을 이루며, PCB(20)를 통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빛을 발광하는 LED(22)와; 상기 LED(22) 하방(下方)에 대응 위치되며, LED(22)로부터 발광된 빛을 방사상으로 확산시키는 확산아크릴(30)과; 상기 확산아크릴(30)과 대응되면서 프론트커버(10)의 테 두리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프론트커버(10)의 상측에 근접되게 편심 위치되며, 확산아크릴(30)을 통해 발출된 LED(22) 빛에 의해 프론트커버(10)의 외측 둘레로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투명아크릴(50)과; 상기 프론트커버(10) 내에 삽입 회동되어 백커버 결합홈(11a)에 결착되며, 배면 중앙에 배터리커버(17)가 구비되면서 상부 및 하부 중앙에 연결고리홀(13)과 스위치홀(미도시)이 각각 관통된 백커버(12)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악세사리용 장신구(1c)의 구성요소 중 상기 프론트커버(10)의 경우 외부 작용에 의한 오염 및 부식에 강한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전면(前面)은 밀폐되고 배면(背面)이 개방된 원통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론트커버(10) 내측 테두리에는 백커버(12)의 삽입 회동시 상기 백커버(12) 하단에 형성된 백커버 결합돌기(16a) 즉, PCB(20) 외측 테두리와 대응되는 PCB 회동돌기(16) 하단 외측으로 돌출된 백커버 결합돌기(16a)가 대응 체결되어 프론트커버(10)와 백커버(12) 간에 결합되도록 하는 슬롯형태의 백커버 결합홈(11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악세사리용 장신구(1c)의 구성요소 중 상기 백커버(12)의 경우 전술한 프론트커버(10)와 마찬가지로 외부 작용에 의한 오염 및 부식에 강한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백커버(12)의 배면 중앙에는 PCB(20)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배터리(15)의 교체를 백커버(12)의 분리 없이 원활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터리커버(17)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백커버(12)의 상부 및 하부 중앙에는 착용자의 목이나 손 목, 발목, 귀 등에 장신구를 착용할 수 있도록 연결줄용 연결고리가 체결되는 연결고리홀(13)과 상기 LED(22)에 전원을 공급 차단하기 위한 작동스위치(25)가 PCB(20)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상태로 설치되는 스위치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치홀에 설치되는 작동스위치(25)의 경우 역시 전술한 제 1, 2 실시예의 악세사리용 장신구(1a,1b)에 적용되는 작동스위치(25)와 마찬가지로 온(on)/오프(off) 스위치나 진동센서 스위치 또는 광센서 스위치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백커버(12)의 하단에는 프론트커버(10) 내에 위치된 PCB(20) 테두리와 대응되면서 백커버(12)의 삽입 회동시 PCB(20)의 회전과 함께 상기 프론트커버(10) 내측 테두리에 형성된 백커버 결합홈(11a)에 대응 결착될 수 있도록 "L"자 형태의 PCB 회동돌기(16)와 백커버 결합돌기(16a)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 프론트커버(10) 내측 테두리에 형성된 백커버 결합홈(11a)과 대응 결합되는 상기 백커버 결합돌기(16a)의 경우 PCB(20)의 외측 테두리와 대응되는 PCB 회동돌기(16)의 하단 외측으로 돌출된 일체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상기 백커버(12) 하단의 PCB 회동돌기(16)와 대응되는 상기 PCB(20) 외측 테두리에는 프론트커버(10) 내부로 백커버(12)의 삽입시 PCB(20) 외측 테두리 측으로 상기 백커버(12) 하단에 형성된 PCB 회동돌기(16)의 대응 안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원호형태의 회동돌기홈(2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악세사리용 장신구(1c)의 구성요소 중 상기 확산아크릴(30)의 경우 LED(22)의 하방(下方)에 대응 위치됨과 아울러, 상기 LED(22)로부터 발광된 빛을 투명아크릴(50) 즉, 상기 확산아크릴(30)을 내삽하고 있는 투명아크릴(50) 측에 방사상으로 확산시켜 색상 및 밝기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반투명 제품인 일명 유백색 아크릴로서, 전체 형상이 부채꼴 형태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상측에 LED(22)를 수용하기 위한 LED 수용홈(34)이 반원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악세사리용 장신구(1c)의 구성요소 중 상기 투명아크릴(50)의 경우 전체 형상이 프론트커버(10) 보다 큰 직경의 원판 형태로 형성됨과 동시에 부채꼴 형상의 확산아크릴(30)과 대응되면서 PCB(20) 배면에 연결된 LED(22)를 포함하여 상기 확산아크릴(30)을 내삽하도록 내부가 중공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상기 프론트커버(10)의 테두리 외측으로 투명아크릴(50)이 돌출되면서 프론트커버(10)의 배면 즉, 상기 프론트커버(10) 상측으로 근접됨과 동시에 하측으로 도출되도록 편심 위치되어 전원 공급에 따른 LED(22)의 발광시 상기 LED(22)와 대응되는 부채꼴 형태의 확산아크릴(30)에 의해 빛이 확산됨과 동시에 상기 확산아크릴(30)을 내삽하고 있는 투명아크릴(50) 전체에 방사상으로 발출시켜 상기 방사상으로 확산 발출된 LED(22) 빛에 의해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커버(10)의 외측 테두리 둘레에 편심된 상태로 위치된 투명아크릴(50) 전체에서 발광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한 투명아크릴(50) 역시 LED(22) 및 확산아크릴(30)에 의한 발광형상 표현이 자유로움과 아울러 개인의 개성과 취양에 따른 장신구 전체의 심미감과 함께 감성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이나 문자, 도안, 도형으로 성형하여 적용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와 아울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악세사리용 장신구(1c)의 발광과정은 전술한 제 1, 2 실시예의 악세사리용 장신구(1a,1b)와 동일 과정으로 발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발광과정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인 악세사리용 장신구의 반단면도 및 발광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인 악세사리용 장신구(1d) 역시 전술한 제 3 실시예의 악세사리용 장신구(1c)와 동일 구조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적용하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인 악세사리용 장신구(1d)는,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背面)이 개방되면서 내측 테두리에 슬롯형태의 백커버 결합홈(11a)이 형성된 프론트커버(10)와; 상기 프론트커버(10) 내측에 위치되며, 배터리(15)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PCB(20)와; 상기 PCB(20) 배면에 전기적 연결을 이루며, PCB(20)를 통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빛을 발광하는 LED(22)와; 상기 LED(22)와 대응되면서 프론트커버(10)의 배면에 동심상태로 위치되며, LED(22)로부터 발광된 빛을 프론트커버(10)의 배면 전체로 확산시켜 이를 통해 간접조명에 따른 상기 프론트커버(10)의 외측 윤각이 형성되도록 하는 확산아크릴(30)과; 상기 프론트커버(10) 내에 삽입 회동되어 백커버 결합홈(11a)에 결착되며, 배면 중앙에 배터리커버(17)가 구비되면서 상부 및 하부 중앙에 연결고리홀(13)과 스위치홀(14)이 각각 관통된 백커버(12)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인 악세사리용 장신구(1d)의 구성요 소 중 상기 프론트커버(10) 및 백커버(12)의 경우 전술한 제 3 실시예의 악세사리용 장신구(1c) 중 상기 프론트커버(10) 및 백커버(12)와 동일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인 악세사리용 장신구(1d)의 구성요소 중 상기 확산아크릴(30)의 경우 각각 LED(22)와 대응되면서 프론트커버(10)의 배면에 동심상태로 위치되어 상기 LED(22)로부터 발광된 빛을 프론트커버(10)의 배면(背面) 전체로 확산시켜 이를 통해 간접조명에 따른 상기 프론트커버(10)의 외측 윤각이 형성되도록 하는 반투명 제품인 일명 유백색 아크릴로서, 전체 형상이 상기 프론트커버(10)와 동일 직경의 원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그 내부가 상기 확산아크릴(30)을 관통하여 프론트커버(10) 내측으로 백커버(12)의 삽입 및 회동작용이 원활하도록 크로바 형태의 중공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론트커버(10)의 배면(背面)에 동일 직경의 확산아크릴(30)이 동심상태로 위치된 상태에서 전원 공급에 따른 LED(22)의 발광시 상기 LED(22)와 대응되는 확산아크릴(30)을 통해 프론트커버(10)의 배면(背面) 전체로 빛을 확산시켜 이를 통해 전방(前方)에서 착용자를 주시할 때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접조명에 따른 프론트커버(10)의 외측 윤각이 발광에 의해 형성되게 되며, 상기한 확산아크릴(30) 역시 LED(22) 발광에 따른 발광형상 표현이 자유로움과 아울러 개인의 개성과 취양에 따른 장신구 전체의 심미감과 함께 감성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이나 문자, 도안, 도형으로 성형하여 적용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와 아울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인 악세사리용 장신구(1d)의 발광과정은 전술한 제 1, 2, 3 실시예의 악세사리용 장신구(1a,1b,1c)와 동일 과정으로 발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발광과정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장신구는, 저전력에서 고휘도의 빛을 낼 수 있는 특성의 LED 주위에 다양한 형상이나 문자, 도안, 도형 등으로 성형된 확산아크릴을 조합함과 동시에 상기 확산아크릴 상단에 기본 도안이 인쇄된 블랙아크릴을 적용함으로써, 전원 오프(off)시엔 블랙아크릴에 인쇄된 기본 도안이 표현되고, 전원 온(on)시엔 LED 발광에 따른 빛의 모양이 투과되는 확산아크릴의 모양 형태로 표현되도록 하는 등 LED 발광에 따른 확산아크릴의 발광형상 표현이 자유로움과 아울러 개인의 개성과 취양에 따른 장신구 전체의 심미감과 함께 감성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LED에 전원을 공급 차단하는 온(on)/오프(off) 스위치나, LED의 선택적 점멸 또는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규칙적/불규칙적으로 LED를 온(on)/오프(off)시키는 진동센서 스위치나,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외부 조도에 의 해 LED를 온(on)/오프(off)시키는 광센서 스위치를 적용함으로써, 진동센서에 의해 감지된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LED의 발광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외부 조도에 따라 LED의 발광이 이루어져 확산아크릴의 모양 형태로 표현되도록 하는 등 개인의 개성과 취양에 따른 감성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등의 효과 역시 있다.

Claims (16)

  1. 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에 있어서;
    외측 테두리를 구비하면서 전,후면이 개방된 프론트커버와;
    상기 프론트커버와 결합되며, 상부 및 하부 중앙에 연결고리홀과 스위치홀이 각각 관통된 백커버와;
    상기 백커버 내측에 위치되며, 배터리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PCB와;
    상기 PCB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며, PCB를 통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빛을 발광하는 LED와;
    상기 LED가 내삽된 상태로 PCB 상단에 설치되며, LED로부터 발광된 빛을 전체적으로 확산시키는 확산아크릴과;
    상기 확산아크릴 상단 원주면 둘레에 형성되며, 확산아크릴 형태 그대로 확산된 빛을 외부로 발출시키는 렌즈부와;
    상기 확산아크릴 중앙에 관통 설치되어 착용자로부터 착용중량이 느껴지도록 하는 무게추와;
    상기 렌즈부 및 무게추 상단에 설치되어 외부충격으로부터 렌즈부 및 확산아크릴을 보호하면서 전원 오프(off)시 내부 하단에 인쇄된 기본 도안이 외부로 표현되도록 하는 마감판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커버와 백커버는 오염 및 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 재질이나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스위치홀에는 PCB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면서 LED에 전원을 공급 차단하는 작동스위치가 설치되되, 상기 작동스위치는 착용자의 조작에 의해 LED에 전원을 계속적으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온(on)/오프(off) 스위치나, LED의 선택적 점멸 또는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규칙적/불규칙적으로 LED를 온(on)/오프(off)시키는 진동센서 스위치나,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외부 조도에 의해 LED를 온(on)/오프(off)시키는 광센서 스위치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아크릴은 무게추의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 원형의 넥(neck)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다양한 형상이나 문자, 도안, 도형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LED로부터 발광된 빛이 확산아크릴 형태 그대로 확산 발출될 수 있도록 오목렌즈나 볼록렌즈, 또는 평면, 다양한 형상이나 문자, 도안, 도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재는 내부 하단에 기본 도안이 인쇄된 상태의 블랙아크릴, 유리, 필름,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악세사리용 장신구는 반지, 목걸이, 팔찌, 발찌, 귀걸이, 헤어핀 및 밴드 등 신체 각 부위에 부착할 수 있는 악세사리 및 옷이나 어깨끈, 단추, 허리밸트, 스포츠용품, 안경테, 모바일기기의 악세사리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
  8. 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에 있어서;
    전면(前面)이 개방되며, 상부 및 배면(背面) 하단 중앙에 연결고리홀과 스위치홀이 각각 관통된 백커버와;
    상기 백커버 내측에 위치되며, 배터리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PCB와;
    상기 PCB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며, PCB를 통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빛을 발광하는 LED와;
    상기 LED가 내삽된 상태로 PCB 상단에 설치되며, LED로부터 발광된 빛을 전체적으로 확산시키는 확산아크릴과;
    상기 확산아크릴 상단 원주면 둘레에 형성되며, 확산아크릴 형태 그대로 확산된 빛을 외부로 발출시키는 렌즈부와;
    상기 확산아크릴 중앙에 관통 설치되어 착용자로부터 착용중량이 느껴지도록 하는 무게추와;
    상기 백커버와 결합되며, 전원 오프(off)시 내부 하단에 인쇄된 기본 도안이 외부로 표현되도록 하는 마감판재와;
    상기 마감판재의 전면(前面)에 결착되어 외부충격으로부터 마감판재를 보호하는 덮개판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아크릴은 무게추의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내부가 전면(前面)으로부터 후면(後面)으로 점차 확대되어 원추형상의 단면을 형성하는 중공 형태를 이루면서 전체 크기가 PCB에 비해 작게 형성되며, 다양한 형상이나 문자, 도안, 도형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재는 전원 온(on)/오프(off)시 LED 발광에 의한 확산아크릴의 발광 모양과 마감판재 내부 하단에 인쇄된 기본 도안이 외부로 원활하게 표현되도록 투명아크릴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부재 상단에는 백커버 상부에 형성된 연결고리홀과 대응되도록 "U"자 형태의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
  11. 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에 있어서;
    배면(背面)이 개방되면서 내측 테두리에 슬롯형태의 백커버 결합홈이 형성된 프론트커버와;
    상기 프론트커버 내측에 위치되며, 배터리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PCB와;
    상기 PCB 배면에 전기적 연결을 이루며, PCB를 통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빛을 발광하는 LED와;
    상기 LED 하방(下方)에 대응 위치되며, LED로부터 발광된 빛을 방사상으로 확산시키는 확산아크릴과;
    상기 확산아크릴과 대응되면서 프론트커버의 테두리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프론트커버의 상측에 근접되게 편심 위치되며, 확산아크릴을 통해 발출된 LED 빛에 의해 프론트커버의 외측 둘레로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투명아크릴과;
    상기 프론트커버 내에 삽입 회동되어 백커버 결합홈에 결착되며, 배면 중앙에 배터리커버가 구비되면서 상부 및 하부 중앙에 연결고리홀과 스위치홀이 각각 관통된 백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아크릴은 LED로부터 발광된 빛을 확산시킴과 동시에 상기 확산아크릴을 내삽하고 있는 투명아크릴 측에 방사상으로 발출시킬 수 있도록 상측에 LED를 수용하는 LED 수용홀을 구비하면서 전체적으로 부채꼴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
  13. 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에 있어서;
    배면(背面)이 개방되면서 내측 테두리에 슬롯형태의 백커버 결합홈이 형성된 프론트커버와;
    상기 프론트커버 내측에 위치되며, 배터리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PCB와;
    상기 PCB 배면에 전기적 연결을 이루며, PCB를 통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빛을 발광하는 LED와;
    상기 LED와 대응되면서 프론트커버의 배면에 동심상태로 위치되며, LED로부터 발광된 빛을 프론트커버의 배면(背面) 전체로 확산시켜 이를 통해 간접조명에 따른 상기 프론트커버의 외측 윤각이 형성되도록 하는 확산아크릴과;
    상기 프론트커버 내에 삽입 회동되어 백커버 결합홈에 결착되며, 배면 중앙에 배터리커버가 구비되면서 상부 및 하부 중앙에 연결고리홀과 스위치홀이 각각 관통된 백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아크릴은 프론트커버와 동일 직경으로 형성되면서 그 내부가 백커버의 삽입 및 회동이 원활하도록 크로바 형태의 중공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
  15. 제 11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 하단에는 프론트커버 내에 위치된 PCB 테두리와 대응되면서 백커버의 삽입 회동시 PCB의 회전과 함께 상기 프론트커버 내측 테두리에 형성된 백커버 결합홈에 대응 결착되도록 "L"자 형태의 PCB 회동돌기 및 상기 PCB 회동돌기 하단 외측으로 돌출된 백커버 결합돌기가 상호 일체화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PCB 외측 테두리에는 백커버 하단에 형성된 PCB 회동돌기가 대응 안착될 수 있도록 회동돌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
KR1020070017694A 2007-02-22 2007-02-22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 KR100794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694A KR100794299B1 (ko) 2007-02-22 2007-02-22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694A KR100794299B1 (ko) 2007-02-22 2007-02-22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4299B1 true KR100794299B1 (ko) 2008-01-14

Family

ID=39217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694A KR100794299B1 (ko) 2007-02-22 2007-02-22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429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128B1 (ko) 2012-10-12 2013-12-26 씨알 주식회사 펜던트
KR101593462B1 (ko) * 2014-09-01 2016-02-12 탐라엔씨(주) 다용도 발광 액세서리
KR20190119716A (ko) 2018-04-13 2019-10-23 이종보 이미지 확대 기능을 갖는 장신구
KR20200109575A (ko) * 2019-03-13 2020-09-23 임성규 비주얼 디지털 장신구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183Y1 (ko) * 2002-06-19 2002-11-04 김경현 발광기능을 갖춘 장신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183Y1 (ko) * 2002-06-19 2002-11-04 김경현 발광기능을 갖춘 장신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128B1 (ko) 2012-10-12 2013-12-26 씨알 주식회사 펜던트
KR101593462B1 (ko) * 2014-09-01 2016-02-12 탐라엔씨(주) 다용도 발광 액세서리
KR20190119716A (ko) 2018-04-13 2019-10-23 이종보 이미지 확대 기능을 갖는 장신구
KR20200109575A (ko) * 2019-03-13 2020-09-23 임성규 비주얼 디지털 장신구 장치
KR102243431B1 (ko) * 2019-03-13 2021-04-22 임성규 비주얼 디지털 장신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4075B1 (en) Illuminated ornamentation/amusement device
US9078495B2 (en) Apparatus comprising removable light source for decorative utility
KR0117313Y1 (ko) 조명장치를 갖는 보석장신구(Jewelrry)
WO2007046154A1 (ja) 発光服飾品及び発光服飾繊維並びにそれらを使用した発光服飾被服
KR100794299B1 (ko)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
JP3111608U (ja) 宝石箱
KR100859025B1 (ko) 발광 밴드
KR200484472Y1 (ko) 착탈 구조를 갖는 신발용 발광 장신구
US20190014872A1 (en) Jewelry Illumination System
KR200385518Y1 (ko) 발광 장신구
JP2017000423A (ja) 発光アクセサリー
KR20090120871A (ko) 엘이디 조명 장식을 한 발광 액세서리
US20060007676A1 (en) Flashlight
GB2276071A (en) Illuminated jewellery
JP3099779U (ja) 光るピンバッジ
KR200199785Y1 (ko) 발광식 장신구
KR200275980Y1 (ko) 액세서리용 장식구
CN220423317U (zh) 一种图案可切换的装饰品
KR200215563Y1 (ko) 투명몸체를 이용한 발광식 장신구
KR20200123406A (ko) 피부 조명 장치
KR20020022186A (ko) 투명몸체를 이용한 발광식 장신구
CN216363955U (zh) 一种首饰及一种首饰套件
KR200210906Y1 (ko) 장신구
KR102187413B1 (ko) 장식구 고정구
JP3096690U (ja) 発光型身飾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