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462B1 - 다용도 발광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다용도 발광 액세서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93462B1 KR101593462B1 KR1020140115167A KR20140115167A KR101593462B1 KR 101593462 B1 KR101593462 B1 KR 101593462B1 KR 1020140115167 A KR1020140115167 A KR 1020140115167A KR 20140115167 A KR20140115167 A KR 20140115167A KR 101593462 B1 KR101593462 B1 KR 1015934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emitting
- casing
- light
- module
- hoo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15—Illuminated or sound-producing jewellery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053—Finger-rings having special func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다용도 발광 액세서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발광 액세서리는, 모듈 바디와, 교체 가능한 건전지가 수납되도록 모듈 바디의 일측에 마련되는 건전지 수납부와, 건전지로부터의 전원 공급에 의해 발광되는 발광 램프를 구비하는 발광 모듈; 케이싱 용기와, 케이싱 용기 내에 마련되어 발광 모듈의 발광 램프에서 케이싱 용기로 향하는 빛을 확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빛 확산재와, 케이싱 용기의 개구를 덮는 케이싱 뚜껑을 구비하며, 발광 모듈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발광 모듈로부터의 빛을 확산시키는 빛 확산 케이싱; 및 발광 모듈과 빛 확산 케이싱 중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신체의 일부에 착용되는 착탈식 착용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용도 발광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쉽게 조립 또는 조립 해제할 수 있어 제조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품 단가를 감소시켜 대량 생산을 이끌어낼 수 있는 다용도 발광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발광봉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예컨대, 야간에 차량을 검문 검색할 때, 음식점에서 고객의 주차를 안내할 때, 공사 현장에서 야간작업을 지시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발광봉은 전술한 용도 외에 야간 운동경기장이나 콘서트장에서 응원할 때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근자에 들어 문화산업이 점점 더 발전됨에 따라 응원용으로 사용되는 발광봉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발광봉은 봉 형상으로 된 막대형 하우징 내에 건전지로부터의 전원을 공급받는 발광 램프를 장착한 후, 막대형 하우징의 일측에 손잡이를 결합시킨 다음, 손잡이에 발광 램프의 온/오프(ON/OFF)를 위한 온/오프 스위치를 장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0-0012663호 등에 개시된 것처럼 현재까지는 운동경기장이나 콘서트장에서 응원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 봉 형상으로 된 막대형 타입의 발광봉에 국한되어 있었기 때문에 응원이 다소 획일적일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자신들만의 독특한 개성을 표출하면서 다양한 퍼포먼스를 추구하는 응원문화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봉의 형태를 떠난 다양한 형태의 발광 액세서리가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제안되거나 개발 예정에 있는 발광 액세서리의 경우,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그 조립구조가 상당히 복잡한데, 이러한 이유로 인해 조립 공수가 증가하여 제품 단가를 상승시키게 되거나 생산성이 감소됨으로써 실질적인 제품 출시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발광 액세서리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손쉽게 조립 또는 조립 해제할 수 있어 제조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품 단가를 감소시켜 대량 생산을 이끌어낼 수 있는 다용도 발광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모듈 바디와, 교체 가능한 건전지가 수납되도록 상기 모듈 바디의 일측에 마련되는 건전지 수납부와, 상기 건전지로부터의 전원 공급에 의해 발광되는 발광 램프를 구비하는 발광 모듈; 케이싱 용기와, 상기 케이싱 용기 내에 마련되어 상기 발광 모듈의 발광 램프에서 상기 케이싱 용기로 향하는 빛을 확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빛 확산재와, 상기 케이싱 용기의 개구를 덮는 케이싱 뚜껑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 모듈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발광 모듈로부터의 빛을 확산시키는 빛 확산 케이싱; 및 상기 발광 모듈과 상기 빛 확산 케이싱 중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신체의 일부에 착용되는 착탈식 착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발광 액세서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모듈 바디에는 상기 건전지 수납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 용기에는 상기 걸림턱들에 대응되게 걸리는 다수의 걸림후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싱 용기에는 상기 걸림후크들이 상기 걸림턱들에 걸림 결합된 때 상기 걸림후크들이 걸림 해제되는 방향으로 임으로 이동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다수의 탄성 스토퍼 후크가 마련되고, 상기 모듈 바디에는 상기 탄성 스토퍼 후크를 지지하는 후크벽체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모듈 바디에는 상기 탄성 스토퍼 후크의 개수만큼 마련되되 상기 탄성 스토퍼 후크를 해제 동작시키기 위한 공구가 삽입되는 다수의 공구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 바디의 일측에는 상기 발광 램프의 온/오프(on/off) 동작을 위한 온/오프 스위치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 램프는 상기 온/오프 스위치가 형성된 면의 반대측 상기 모듈 바디의 외벽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더미 돌출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건전지 및 상기 온/오프 스위치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도선는 상기 발광 램프가 상기 더미 돌출부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상기 발광 램프를 전기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 용기에는 상기 연결도선의 일부와 상기 발광 램프가 출입되는 램프 출입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싱 용기와 상기 케이싱 뚜껑 중 어느 하나에는 후크부재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후크부재가 결합되는 후크부재 걸림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빛 확산재는 상기 케이싱 용기 내에 배치되거나 상기 케이싱 용기 내의 벽면에 도포되는 제1 빛 확산재와, 상기 제1 빛 확산재와 별도로 마련되는 제2 빛 확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착용부재는 반지형 착탈식 착용부재, 팔찌형 착탈식 착용부재 또는 목걸이형 착탈식 착용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반지형 착탈식 착용부재와 상기 팔찌형 착탈식 착용부재는 물림 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발광 모듈의 물림 수용부에 착탈 가능하게 물림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목걸이형 착탈식 착용부재는 상기 빛 확산 케이싱의 목걸이 후크고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쉽게 조립 또는 조립 해제할 수 있어 제조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품 단가를 감소시켜 대량 생산을 이끌어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발광 액세서리가 반지형으로 사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발광 액세서리가 팔찌형으로 사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발광 액세서리가 목걸이형으로 사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빛 확산 케이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케이싱 용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발광 모듈과 빛 확산 케이싱 간의 배치 상태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각각 발광 모듈과 빛 확산 케이싱 간의 조립도로서 걸림후크가 걸림턱에 걸리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각각 발광 모듈과 빛 확산 케이싱 간의 조립도로서 탄성 스토퍼 후크가 후크벽체에 지지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발광 액세서리가 팔찌형으로 사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발광 액세서리가 목걸이형으로 사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빛 확산 케이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케이싱 용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발광 모듈과 빛 확산 케이싱 간의 배치 상태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각각 발광 모듈과 빛 확산 케이싱 간의 조립도로서 걸림후크가 걸림턱에 걸리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각각 발광 모듈과 빛 확산 케이싱 간의 조립도로서 탄성 스토퍼 후크가 후크벽체에 지지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발광 액세서리가 반지형으로 사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부분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발광 액세서리가 팔찌형으로 사용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발광 액세서리가 목걸이형으로 사용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배면 사시도, 도 8은 빛 확산 케이싱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케이싱 용기의 배면 사시도, 도 10은 발광 모듈과 빛 확산 케이싱 간의 배치 상태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3은 각각 발광 모듈과 빛 확산 케이싱 간의 조립도로서 걸림후크가 걸림턱에 걸리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그리고 도 14 내지 도 16은 각각 발광 모듈과 빛 확산 케이싱 간의 조립도로서 탄성 스토퍼 후크가 후크벽체에 지지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발광 액세서리는 손쉽게 조립 또는 조립 해제할 수 있어 제조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품 단가를 감소시켜 대량 생산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크게 3 파트(part), 즉 발광 모듈(110), 빛 확산 케이싱(140), 그리고 착탈식 착용부재(170a~170c)를 포함한다.
특히, 발광 모듈(110)과 빛 확산 케이싱(140)은 유닛(unit) 단위로 개별 제작된 이후에 상호간 손쉽게 착탈 결합될 수 있다(도 11 내지 도 16 참조)될 수 있다.
이처럼 발광 모듈(110)과 빛 확산 케이싱(140)이 유닛(unit) 단위로 제작된 후, 조립 회사에서 한 번에 조립됨으로써, 제조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제로, 빛 확산 케이싱(140)의 경우, 이미 조립된 상태에서 제공을 받으면 되기 때문에 조리 회사에서는 빛 확산 케이싱(140)의 조립에 따른 더 이상의 작업 공수를 들이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제조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각 구성들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우선 발광 모듈(110)은 모듈 바디(111)와, 교체 가능한 건전지(B)가 수납되도록 모듈 바디(111)의 일측에 마련되는 건전지 수납부(113)와, 건전지(B)로부터의 전원 공급에 의해 발광되는 발광 램프(115)를 포함한다.
모듈 바디(111)는 건전지(B)와 발광 램프(115)를 지지하는 사출 구조물로서, 건전지(B)와 발광 램프(115)를 효율적으로 지지하는 구조 외에, 빛 확산 케이싱(140)과의 착탈 구조와 착탈식 착용부재(170a~170b)와의 효율적인 결합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모듈 바디(111)의 배면, 즉 빛 확산 케이싱(140)이 결합되는 모듈 바디(111)의 반대면에 건전지 수납부(113)가 마련되며, 건전지 수납부(113)의 개구에 수납 커버(117)가 마련된다.
수납 커버(117)는 건전지 수납부(113)의 개구 영역에서 그 일단부가 모듈 바디(1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수납 커버(117)의 타단부는 모듈 바디(111)의 건전지 수납부(113) 영역에 결합되는 탄성 로커(119)에 의해 로킹 또는 로킹 해제될 수 있다.
탄성 로커(119)는 판 스프링의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수납 커버(117)를 가압하면 탄성 로커(119)가 뒤로 약간 밀리다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수납 커버(117)의 타단부를 로킹한다. 반대로, 탄성 로커(119)를 뒤로 제치면 로킹되었던 수납 커버(117)의 타단부가 로킹 해제될 수 있다.
건전지 수납부(113) 내의 바닥에는 건전지(B)와 접지되는 단자가 마련되는데, 이 단자는 건전지 수납부(113) 내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탄성 로커(119)를 뒤로 제치면 건전지(B)에 의해 탄성적으로 압축되었던 단자가 원상태로 회복되면서 건전지(B)를 가압함에 따라 건전지(B)가 건전지 수납부(113)에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건전지(B)는 원형의 수은전지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것이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탄성 로커(119)가 위치되는 모듈 바디(111)의 일측 벽면에는 건전지(B)에서 발광 램프(115)로 향하는 전원의 공급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온/오프 스위치(121)가 마련된다. 온/오프 스위치(121)는 택트형으로 적용됨으로써, 온(on) 또는 오프(off) 방향으로 움직일 때, 강한 소리를 발생시켜 동작이 되었음을 외부로 알려줄 수 있다.
발광 램프(115)는 온/오프 스위치(121)의 온(on) 동작 시 건전지(B)로부터의 전원 공급에 의해 발광되는 램프이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발광 램프(115)는 LED 램프이다. LED 램프는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하여 만든 조명기구이다.
LED 램프의 가장 큰 특징은 형광물질을 사용하는 형광등보다 전력소비량이 적다는 점이다. 또한 LED 램프는 납이나 수은 같은 중금속을 사용하지 않아 환경을 파괴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LED 램프는 기존의 형광등보다 에너지 효율이 높을 뿐 아니라 수명이 매우 길고 오염물질도 방출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LED 램프를 발광 램프(115)로 적용함으로써, 저전력으로도 빛의 발광 또는 확산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야간 운동경기장이나 콘서트장처럼 어두운 곳에서 빛을 발광시키면서 응원하는 데에 효율적이다.
이러한 발광 램프(115)는 건전지 수납부(113) 내에서 건전지(B)와 접지되는 단자, 그리고 온/오프 스위치(121)와 연결되는 단자와 다수의 연결도선(116, 도 10 참조)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발광 램프(115)는 온/오프 스위치(121)가 형성된 면의 반대측 모듈 바디(111)의 외벽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더미 돌출부(123) 영역에 배치되는데, 이때, 연결도선(116)에 의해 발광 램프(115)는 더미 돌출부(123)와는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취한다. 이는 발광 모듈(110)이 빛 확산 케이싱(140)과 결합될 때, 발광 모듈(110)의 발광 램프(115)가 빛 확산 케이싱(140)의 케이싱 용기(141) 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빛 확산 케이싱(140)은 발광 모듈(11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발광 모듈(110)로부터의 빛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빛 확산 케이싱(140)은 주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용기(141)와, 케이싱 용기(141) 내에 마련되어 발광 모듈(110)의 발광 램프(115)에서 케이싱 용기(141)로 향하는 빛을 확산시키는 빛 확산재(143,145)와, 케이싱 용기(141)의 개구를 덮는 케이싱 뚜껑(147)을 포함한다.
케이싱 용기(141)는 일정한 그릇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싱 용기(141)의 사이즈는 발광 모듈(110)의 최대 사이즈보다 크다. 따라서 전면에서 볼 때는 케이싱 용기(141)에 가려서 발광 모듈(110)이 잘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케이싱 용기(141)는 빛 확산을 위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싱 용기(141)에는 연결도선(116)의 일부와 발광 램프(115)가 출입되는 램프 출입공(141a)이 형성된다. 램프 출입공(141a)은 발광 램프(115)보다는 좀 더 큰 사이즈로 관통된다.
빛 확산재(143,145)는 케이싱 용기(141) 내에 배치되는 시트 형태의 제1 빛 확산재(143)와, 제1 빛 확산재(143)와 별도로 마련되는 시트 형상의 제2 빛 확산재(145)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빛 확산재(143,145)들은 표면에 다수의 난반사 패턴을 가지고 있어서 발광 램프(115)로부터의 빛이 제1 및 제2 빛 확산재(143,145)들로 향할 경우, 난반사 패턴들에 의해 빛이 여러 방향으로 분산, 확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럴 경우, 한 방향으로 빛이 집중하는 것에 비해 넓은 영역으로 빛이 분산, 확산될 수 있기 때문에 어두운 콘서트장에서 빛에 의한 응원 연출을 화려하게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빛 확산재(143)를 시트 타입으로 적용하고 있는데, 시트 타입 대신에 별도의 빛 확산 물질을 케이싱 용기(141) 내의 벽면 모두에 도포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케이싱 용기(141) 내의 벽면 모두에 도포되는 물질이 제1 빛 확산재(143)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사항 모두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다 하여야 할 것이다.
제1 빛 확산재(143)에는 케이싱 용기(141)의 램프 출입공(141a)을 가리지 않도록 케이싱 용기(141)의 램프 출입공(141a)에 대응되는 사이즈로 된 절취부(143a)가 형성된다.
케이싱 뚜껑(147)은 제1 및 제2 빛 확산재(143,145)가 망실되지 않게 케이싱 용기(141)의 개구를 덮는다.
케이싱 뚜껑(147)이 케이싱 용기(141)에 대해 착탈될 수 있도록 케이싱 용기(141)와 케이싱 뚜껑(147) 중 어느 하나에는 후크부재(148)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후크부재(148)가 결합되는 후크부재 걸림부(149)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케이싱 뚜껑(147)에 후크부재(148)가, 그리고 케이싱 용기(141)에 후크부재 걸림부(149)가 마련되나 반대의 경우도 충분히 가능하며, 이러한 사항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이상 구체적으로 알아본 발광 모듈(110)과 빛 확산 케이싱(140)은 반복 설명한 것처럼 유닛(unit) 단위로 제작된 후에 손쉽게 착탈 결합된다. 이를 위해, 발광 모듈(110)과 빛 확산 케이싱(140)에는 다음의 구조가 적용된다.
즉 발광 모듈(110)과 빛 확산 케이싱(140)이 손쉽게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될 수 있도록 모듈 바디(111)에는 건전지 수납부(113)의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림턱(112)이 형성되고, 케이싱 용기(141)에는 걸림턱(112)들에 대응되게 걸리는 다수의 걸림후크(142)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11 내지 도 13처럼 발광 모듈(110)과 빛 확산 케이싱(140)을 맞대어 두고 발광 모듈(110)을 빛 확산 케이싱(140)의 일측으로 가압하면 다수의 걸림후크(142)가 그에 대응되는 걸림턱(112)들에 걸리면서 발광 모듈(110)과 빛 확산 케이싱(140)이 손쉽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이 상태에서 발광 모듈(110)을 전술한 역순으로 가압하면 발광 모듈(110)과 빛 확산 케이싱(140)의 결합 상태가 손쉽게 해제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들의 결합상태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는 탄성 스토퍼 후크(146)와 후크벽체(114)가 담당한다.
즉 케이싱 용기(141)에는 걸림후크(142)들이 걸림턱(112)들에 걸림 결합된 때 걸림후크(142)들이 걸림 해제되는 방향으로 임으로 이동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다수의 탄성 스토퍼 후크(146)가 마련되고, 모듈 바디(111)에는 탄성 스토퍼 후크(146)를 지지하는 후크벽체(114)가 마련된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발광 모듈(110)과 빛 확산 케이싱(140)을 맞대어 두고 발광 모듈(110)을 빛 확산 케이싱(140)의 일측으로 가압하면 다수의 걸림후크(142)가 그에 대응되는 걸림턱(112)들에 걸리게 되는데, 이와 동시에 도 14 내지 도 16처럼 탄성 스토퍼 후크(146)가 후크벽체(114)를 건너뛰어 그 위치에서 후크벽체(114)의 벽면에 지지되기 때문에 탄성 스토퍼 후크(146)를 젖히지 않는 이상 탄성 스토퍼 후크(146)는 후크벽체(114)에 지지되어 걸림후크(142)가 걸림턱(112)들로부터 임으로 걸림해제되지 않도록 스토핑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발광 모듈(110)과 빛 확산 케이싱(140)을 분리시키고자 할 때는 탄성 스토퍼 후크(146)를 젖혀 탄성 스토퍼 후크(146)가 후크벽체(114)의 벽면에 지지된 상태를 해제시키면 되는데 이는 모듈 바디(111)에 탄성 스토퍼 후크(146)의 개수만큼 마련되되 탄성 스토퍼 후크(146)를 해제 동작시키기 위한 공구가 삽입되는 다수의 공구삽입홀(111a)로 공구, 예컨대 핀을 집어넣어 탄성 스토퍼 후크(146)를 가압함으로써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착탈식 착용부재(170a~170c)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발광 액세서리를 신체의 일부에 착용하기 위해 발광 모듈(110)과 빛 확산 케이싱(140) 중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착탈식 착용부재(170a~170c)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3가지 타입(type)으로 적용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착탈식 착용부재(170a~170c)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반지형 착탈식 착용부재(170a),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팔찌형 착탈식 착용부재(170b),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목걸이형 착탈식 착용부재(170c)를 포함한다.
이때, 반지형 착탈식 착용부재(170a)와 팔찌형 착탈식 착용부재(170b)는 물림 결합부(171)를 구비하여 발광 모듈(110)의 물림 수용부(125)에 착탈 가능하게 물림 결합된다.
즉 도 3을 참조하여 반지형 착탈식 착용부재(170a)를 예로 들면 반지형 착탈식 착용부재(170a)의 양 단부에는 후크 형태의 물림 결합부(171)가 형성되는데, 이 물림 결합부(171)는 발광 모듈(110)의 모듈 바디(111)에 형성되는 물림 수용부(125)에 착탈 가능하게 물림 결합된다. 반지형 착탈식 착용부재(170a)는 약간 탄성이 있는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물림 결합부(171)의 양 단부를 벌기는 행위만으로 손쉽게 발광 모듈(110)의 물림 수용부(125)에 결합시킬 수 있다.
팔찌형 착탈식 착용부재(170b)는 반지형 착탈식 착용부재(170a)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물림 결합시키면 된다.
이에 반해, 목걸이형 착탈식 착용부재(170c)는 빛 확산 케이싱(140)의 목걸이 후크고리(151, 도 7 참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목걸이형 착탈식 착용부재(170c)를 사용할 때는 반지형 착탈식 착용부재(170a) 또는 팔찌형 착탈식 착용부재(170b)를 빼고 빛 확산 케이싱(140)의 목걸이 후크고리(151)에 목걸이형 착탈식 착용부재(170c) 즉, 목걸이줄을 매달아 사용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의 다용도 발광 액세서리에 따르면, 손쉽게 조립 또는 조립 해제할 수 있어 제조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품 단가를 감소시켜 대량 생산을 이끌어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B : 건전지 110 : 발광 모듈
111 : 모듈 바디 111a : 공구삽입홀
112 : 걸림턱 113 : 건전지 수납부
114 : 후크벽체 115 : 발광 램프
116 : 연결도선 117 : 수납 커버
119 : 탄성 로커 121 : 온/오프 스위치
123 : 더미 돌출부 125 : 물림 수용부
140 : 빛 확산 케이싱 141 : 케이싱 용기
141a : 램프 출입공 142 : 걸림후크
143,145 : 제1 및 제2 빛 확산재 146 : 탄성 스토퍼 후크
147 : 케이싱 뚜껑 148 : 후크부재
149 : 후크부재 걸림부 151 : 목걸이 후크고리
170a : 반지형 착탈식 착용부재 170b : 팔찌형 착탈식 착용부재
170c : 목걸이형 착탈식 착용부재
111 : 모듈 바디 111a : 공구삽입홀
112 : 걸림턱 113 : 건전지 수납부
114 : 후크벽체 115 : 발광 램프
116 : 연결도선 117 : 수납 커버
119 : 탄성 로커 121 : 온/오프 스위치
123 : 더미 돌출부 125 : 물림 수용부
140 : 빛 확산 케이싱 141 : 케이싱 용기
141a : 램프 출입공 142 : 걸림후크
143,145 : 제1 및 제2 빛 확산재 146 : 탄성 스토퍼 후크
147 : 케이싱 뚜껑 148 : 후크부재
149 : 후크부재 걸림부 151 : 목걸이 후크고리
170a : 반지형 착탈식 착용부재 170b : 팔찌형 착탈식 착용부재
170c : 목걸이형 착탈식 착용부재
Claims (5)
- 모듈 바디와, 교체 가능한 건전지가 수납되도록 상기 모듈 바디의 일측에 마련되는 건전지 수납부와, 상기 건전지로부터의 전원 공급에 의해 발광되는 발광 램프를 구비하는 발광 모듈;
케이싱 용기와, 상기 케이싱 용기 내에 마련되어 상기 발광 모듈의 발광 램프에서 상기 케이싱 용기로 향하는 빛을 확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빛 확산재와, 상기 케이싱 용기의 개구를 덮는 케이싱 뚜껑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 모듈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발광 모듈로부터의 빛을 확산시키는 빛 확산 케이싱; 및
상기 발광 모듈과 상기 빛 확산 케이싱 중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신체의 일부에 착용되는 착탈식 착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 바디에는 상기 건전지 수납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 용기에는 상기 걸림턱들에 대응되게 걸리는 다수의 걸림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 용기에는 상기 걸림후크들이 상기 걸림턱들에 걸림 결합된 때 상기 걸림후크들이 걸림 해제되는 방향으로 임으로 이동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다수의 탄성 스토퍼 후크가 마련되고, 상기 모듈 바디에는 상기 탄성 스토퍼 후크를 지지하는 후크벽체가 마련되며,
상기 모듈 바디에는 상기 탄성 스토퍼 후크의 개수만큼 마련되되 상기 탄성 스토퍼 후크를 해제 동작시키기 위한 공구가 삽입되는 다수의 공구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발광 액세서리.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바디의 일측에는 상기 발광 램프의 온/오프(on/off) 동작을 위한 온/오프 스위치가 마련되며,
상기 발광 램프는 상기 온/오프 스위치가 형성된 면의 반대측 상기 모듈 바디의 외벽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더미 돌출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건전지 및 상기 온/오프 스위치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도선는 상기 발광 램프가 상기 더미 돌출부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상기 발광 램프를 전기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발광 액세서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용기에는 상기 연결도선의 일부와 상기 발광 램프가 출입되는 램프 출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 용기와 상기 케이싱 뚜껑 중 어느 하나에는 후크부재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후크부재가 결합되는 후크부재 걸림부가 마련되며,
상기 빛 확산재는 상기 케이싱 용기 내에 배치되거나 상기 케이싱 용기 내의 벽면에 도포되는 제1 빛 확산재와, 상기 제1 빛 확산재와 별도로 마련되는 제2 빛 확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발광 액세서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착용부재는 반지형 착탈식 착용부재, 팔찌형 착탈식 착용부재 또는 목걸이형 착탈식 착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반지형 착탈식 착용부재와 상기 팔찌형 착탈식 착용부재는 물림 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발광 모듈의 물림 수용부에 착탈 가능하게 물림 결합되며,
상기 목걸이형 착탈식 착용부재는 상기 빛 확산 케이싱의 목걸이 후크고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발광 액세서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5167A KR101593462B1 (ko) | 2014-09-01 | 2014-09-01 | 다용도 발광 액세서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5167A KR101593462B1 (ko) | 2014-09-01 | 2014-09-01 | 다용도 발광 액세서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93462B1 true KR101593462B1 (ko) | 2016-02-12 |
Family
ID=55355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15167A KR101593462B1 (ko) | 2014-09-01 | 2014-09-01 | 다용도 발광 액세서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93462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0824B1 (ko) * | 2016-06-01 | 2018-05-25 | 탐라엔씨(주) | 다용도 발광 액세서리 |
CN114652059A (zh) * | 2022-03-15 | 2022-06-24 | 深圳市华乐珠宝首饰有限公司 | 一种环形卡扣及环形扣接胸针 |
KR102525756B1 (ko) * | 2022-11-10 | 2023-04-25 | 손재현 | 손가락 착용형 장신구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4299B1 (ko) * | 2007-02-22 | 2008-01-14 | 박용재 |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 |
JP4286528B2 (ja) * | 2002-12-13 | 2009-07-01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Led照明装置 |
KR20090120871A (ko) * | 2008-05-21 | 2009-11-25 | 배건우 | 엘이디 조명 장식을 한 발광 액세서리 |
KR20100012663U (ko) | 2009-06-12 | 2010-12-22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복수열 배치 구조 |
-
2014
- 2014-09-01 KR KR1020140115167A patent/KR10159346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286528B2 (ja) * | 2002-12-13 | 2009-07-01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Led照明装置 |
KR100794299B1 (ko) * | 2007-02-22 | 2008-01-14 | 박용재 |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 |
KR20090120871A (ko) * | 2008-05-21 | 2009-11-25 | 배건우 | 엘이디 조명 장식을 한 발광 액세서리 |
KR20100012663U (ko) | 2009-06-12 | 2010-12-22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복수열 배치 구조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0824B1 (ko) * | 2016-06-01 | 2018-05-25 | 탐라엔씨(주) | 다용도 발광 액세서리 |
CN114652059A (zh) * | 2022-03-15 | 2022-06-24 | 深圳市华乐珠宝首饰有限公司 | 一种环形卡扣及环形扣接胸针 |
CN114652059B (zh) * | 2022-03-15 | 2024-03-19 | 深圳市华乐珠宝首饰有限公司 | 一种环形卡扣及环形扣接胸针 |
KR102525756B1 (ko) * | 2022-11-10 | 2023-04-25 | 손재현 | 손가락 착용형 장신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18598B2 (en) | LED light fixture | |
US7152997B1 (en) | LED utility light with stand | |
CA2558222A1 (en) | Led light bulb with active ingredient emission | |
US8622576B2 (en) | Icicle-shaped bulb and string light having multiple of the same | |
KR101593462B1 (ko) | 다용도 발광 액세서리 | |
US11125418B2 (en) | Modular device with interchangeable torch lantern functionalities | |
KR101655740B1 (ko) | 엘이디 모듈과 케이스 일체형 엘이디 조명등 | |
WO2017019627A4 (en) | Method and assembly for replacing incandescent lights | |
US20090091921A1 (en) | Decorative object connectable to a connected object | |
USD507670S1 (en) | Rectangle multi-LED spider marker light for vehicle | |
US20110182061A1 (en) | Lantern with apertured top reflector | |
CN102022621A (zh) | 提灯装置 | |
CN205447504U (zh) | Led吸顶灯 | |
US20210341117A1 (en) | Multi-operational landscape lighting device | |
JP2010160979A (ja) | ランタン | |
KR100973755B1 (ko) | 엘이디 램프의 빛을 발산시키는 장치 | |
KR101860824B1 (ko) | 다용도 발광 액세서리 | |
KR200488121Y1 (ko) | 발광봉 | |
EP1424524A1 (en) | Decorative light | |
US6068389A (en) | Fixture for a light bulb holder on a light string to connect with a frame | |
KR102129248B1 (ko) | 변형 가능한 목걸이용 펜던트 | |
US7325942B2 (en) | Bulb assembly with a decorative cover | |
KR200284457Y1 (ko) | 걸이등 겸용 손전등 | |
KR200487681Y1 (ko) | 조립식 꽃모양 조명등 | |
KR20090000022U (ko) | 대상물과의 용이한 체결작업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램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