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9025B1 - 발광 밴드 - Google Patents

발광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9025B1
KR100859025B1 KR1020060033369A KR20060033369A KR100859025B1 KR 100859025 B1 KR100859025 B1 KR 100859025B1 KR 1020060033369 A KR1020060033369 A KR 1020060033369A KR 20060033369 A KR20060033369 A KR 20060033369A KR 100859025 B1 KR100859025 B1 KR 100859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band
transparent window
light
emitting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0629A (ko
Inventor
최동일
김미진
Original Assignee
김미진
최동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진, 최동일 filed Critical 김미진
Priority to KR1020060033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9025B1/ko
Publication of KR20060040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0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2Link constructions
    • A44C5/04Link constructions extensi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0/00Wristbands or headbands, e.g. for absorbing swea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4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fastening to a wrist-watch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응원이나 레크레이션을 할 경우, 인라인스케이트 등과 같은 레저 활동을 할 경우, 또는 어린이 야간 보행시 등에 인체의 일측에 착용한 상태로 밴드가 발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응원 효과나 레크레이션의 흥미를 증대시키고, 특히 레저 활동이나 야간 보행시 식별력을 증대시켜 충돌에 의한 안전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발광 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밴드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수납부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투명창이 구비되는 밴드 몸체; 상기 밴드 몸체의 적어도 일측 말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투명창의 끝단 절단면을 통하여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프로그래밍 가능하고, 그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점멸을 제어하는 발광 제어부와, 그 컨트롤러의 제어하에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 상기 컨트롤러내에 구비되고 수동으로 상기 발광 제어부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부, 또는 진동이나 조도를 검출하여 자동으로 상기 발광 제어부를 작동시키는 센서로 이루어진 작동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창에는 글자 또는 그림이 새겨져 있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의해 투명창의 단면에 조사되는 빛에 의해 투명창에 새겨진 글자 또는 그림이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최소한의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밴드 전체가 발광되 도록 구성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함과 동시에, 밴드의 일측에 구비된 투명창에 새겨진 특정 슬로건 등이 발광되어 주위 환기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원터치 방식으로 착용 가능하고, 나아가 휴대폰, 가방, 벨트, 멜빵, 팔치 등에 간단한 조작에 의해 연결 내지 내장시켜 액세서리로 이용할 수 있다.
발광, 밴드, 발광다이오드, LED, 응원

Description

발광 밴드{LUMINOUS BAND}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밴드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밴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밴드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하는 착용 상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밴드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밴드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6 내지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밴드가 발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밴드 몸체 14: 투명창
20: 발광 다이오드 30: PCB 기판
40: 전지 50a, 50b: 판 스프링
60a, 60b: 고리형 연결 부재
본 발명은 발광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응원이나 레크레이션을 할 경우, 인라인스케이트 등과 같은 레저 활동을 할 경우, 또는 어린이 야간 보행시 등에 인체의 일측에 착용한 상태로 밴드가 발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응원 효과나 레크레이션의 흥미를 증대시키고, 특히 레저 활동이나 야간 보행시 식별력을 증대시켜 충돌에 의한 안전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발광 밴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월드컵 등을 계기로 응원 문화가 정착되고 있고, 그러한 응원시에 응원 용품(예컨대, 머리띠, 손수건, 티 등)을 이용하여 응원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어 왔다. 마찬가지로, 레크레이션 및 레저 활동시에도 참여자의 공동체 의식을 고양하고 나아가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물품들(예컨대, 모자, 티 등)이 소개되고 있다. 나아가, 특히 어린이 등이 야간 보행할 경우, 상대적으로 식별력이 떨어져 교통 사고 등과 같은 안전 사고를 당할 우려가 있는 바, 특히 야간 또는 심야에 주변 환경과의 식별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어린이 보행 안전 용품(야광 옷, 야광 가방)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응원 용품 및 레저 용품은 특히 야간 및 밤에는 제대로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고, 또한 어린이 보행 안전 용품은 완전히 빛이 차단된 장소에서는 발광되지 않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실용신안등록 20-346776(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은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야간 및 심야에도 발광할 수 있는 밴드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밴드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시키는 구조로 이루 어져, 발광 다이오드 개수의 증대에 기인한 제조 단가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발광 다이오드를 발광시켜 단순히 식별력을 증대시키는 용도로만 사용되어져, 특히 응원 및 레저 활동시에 그 응용에 많은 한계를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소수의 발광 다이오드만으로도 밴드 전체를 발광시킬 수 있고, 밴드 전체에 걸쳐 특정 슬로건을 외부로 선명하게 발광시켜 주위 환기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발광 밴드가 요구되어져 왔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소한의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밴드 전체가 발광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밴드의 일측에 구비된 투명창에 새겨진 특정 슬로건 등이 발광되어 주위 환기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원터치 방식으로 착용 가능하고, 나아가 휴대폰, 가방, 벨트, 멜빵, 팔치, 손목시계 벨트 등에도 간단한 조작에 의해 체결 내지 내장시킬 수 있는 발광 밴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밴드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밴드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수납부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투명창이 구비되는 밴드 몸체; 상기 밴드 몸체의 적어도 일측 말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투명창의 끝단 절단면을 통하여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프로그래밍 가능하고, 그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점멸을 제어하는 발광 제어부와, 그 컨트롤러의 제어하에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 상기 컨트롤러내에 구비되고 수동으로 상기 발광 제어부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부, 또는 진동이나 조도를 검출하여 자동으로 상기 발광 제어부를 작동시키는 센서로 이루어진 작동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창에는 글자 또는 그림이 새겨져 있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의해 투명창의 단면에 조사되는 빛에 의해 투명창에 새겨진 글자 또는 그림이 발광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밴드 몸체의 수납부에는 밴드 모양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판 스프링이 삽입되고, 그 판 스프링은 너비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밴드 몸체에는 고리형 연결 부재가 더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발광 밴드는 사용자가 손목, 발 또는 팔에 착용하거나 가방, 벨트, 멜빵, 핸드폰, 손목 시계 벨트 등에 연결 내지 내장시켜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밴드를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팔목에 착용하는 손목 밴드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밴드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밴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밴드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하는 착용 상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밴드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밴드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 밴드(10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밴드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수납부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투명창(14)이 구비되는 밴드 몸체(10), 상기 밴드 몸체(10)의 적어도 일측 말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투명창(14)의 끝단 절단면을 통하여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20), 프로그래밍 가능하고, 그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20)의 점멸을 제어하는 발광 제어부(PCB 기판(30)에 구비됨), 그 컨트롤러의 제어하에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2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40), 상기 컨트롤러내에 구비되고 수동으로 상기 발광 제어부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부(PCB 기판(30)의 일측면에 구비됨), 또는 진동이나 조도를 검출하여 자동으로 상기 발광 제어부를 작동시키는 센서(도시되지 않음)로 이루어진 작동 제어부로 구성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밴드 몸체(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밴드 모양으로 이루어진 직물천(12) 위에 투명창(14)을 배치시킨 다음, 그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된 재봉선(13)에 의해 그 내부에 수납부를 형성한다. 부재번호 19는 밴드 몸체(10)의 수납구이다. 상기 투명창(14)은 투광성 소재이며, 소정의 유연성을 구비 한 재질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PVC, 아크릴, PC로 제조한다. 상기 투명창(14)에는 글자 또는 그림이 새겨진다. 이 경우, 레이저 가공 또는 CNC 가공으로 투명창(14)에 인쇄 또는 각인할 수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밴드 몸체(10)의 적어도 일측 말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20)가 구비된다. 발광 다이오드(20)는 투명창(14)의 끝단 절단면을 향해 빛을 조사시키고, 그 결과 발광 다이오드 광원의 특성상 빛이 끝단 절단면을 통하여 직진으로 투과하여 투명창(14)에 새겨진 글자 또는 그림을 간접적으로 외부로 발광시킨다. 이 경우, 도6 내지 도9의 사진이미지와 같이 재봉선(13)을 통하여도 조사된 빛이 외부로 방사된다. 또한, PCB 기판(30)에는 발광 제어부가 구비되는데, 그 발광 제어부는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발광 다이오드의 점멸을 제어한다. 따라서, 간단한 프로그램 변경 등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20)의 점멸 순서, 발광 색상 등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PCB 기판(30)의 일측에는 전지 수납부(32)가 구비되고, 그 전지 수납부(32)에는 발광 다이오드(2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40)가 끼움 결합된다. 또한, PCB 기판(30)의 타측에는 수동으로 발광 제어부를 작동시킬 수 있는 스위치부(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는 스위치의 온 오프 작동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를 점멸시킬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진동이나 조도를 검출하여 자동으로 발광 제어부를 작동시킬 수 있는 센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 없이도 밴드에 소정의 진동이 가해질 경우 진동 감지 센서의 감지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가 발광될 수 있고, 나아가 광 센서에 의해 밤에만 발광 다이오드를 자동으로 발광되게 구성할 수 있다. 그 결과, 특히 야간 또는 심야 응원시에 손뼉을 칠 경우 별도의 스위치 조작 없이 자동으로 발광 다이오드가 점멸하게 되어, 스위치 조작의 번거러움을 해소함과 아울러 응원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2를 참조하면, 밴드 몸체(10)의 수납부에는 밴드 모양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판 스프링(50a, 50b)이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판 스프링(50a, 50b)은 너비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판 스프링(50a, 50b)의 하부 일측에 소정의 힘을 가할 경우, 판 스프링(50a, 50b)은 내측으로 감겨지게 된다. 따라서, 판 스프링(50a, 50b)이 구비된 발광 밴드(100)을 완전히 일자형으로 펼친 상태로 손목 위에 배치시킨 다음, 손목 상측으로부터 발광 밴드 하측면에 소정의 힘을 가하게 되면 태엽이 감기듯이 판 스프링(50a, 50b)이 손목을 감게 되어 원터치 방식으로 밴드를 손목에 착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밴드를 손목에 고정시키는 번거러움을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밴드 몸체(10)의 일측에는 수납구(19)를 감싸 밀폐시킬 수 있는 커버(16)가 구비된다. 커버(16)의 말단부 및 이에 대응하는 밴드 몸체(10)에는 상호 체결 가능한 체결부재(18a, 18b)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판 스프링(50a, 50b)을 끼움 결합하거나 또는 전지(40) 등을 교체한 다음, 상호 체결하여 수납구(19)를 폐쇄시킬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밴드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하는 착용 상태도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밴드를 손목에 착용함으로써 응원 용품, 레저 용품, 어린이 안전 용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밴드(200)는 그 밴드 몸체의 일측에 고리형 연결 부재(60a, 60b)를 구비한다. 고리형 연결 부재(60a, 60b)를 상호 체결시켜 발광 밴드(200)를 손목에 착용할 수 있고, 나아가 고리형 연결 부재(60a)를 핸드폰, 가방 등에 연결하여 발광 밴드를 액세서리로도 활용할 수 있다.
도6 내지 도9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밴드가 발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6 내지 도9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가 발광함에 따라 투명창에 새겨진 문자가 선명하게 외부로 노출되어 주위 시선을 유도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예컨대,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도면에 도시한 발광 밴드를 변형 내지 수정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고, 본 발명은 후술하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단지 제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최소한의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밴드 전체가 발광되도록 구성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함과 동시에, 밴드의 일측에 구비된 투명창에 새겨 진 특정 슬로건 등이 발광되어 주위 환기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원터치 방식으로 착용 가능하고, 나아가 휴대폰, 가방, 벨트, 멜빵, 팔치, 손목 시계 벨트 등에 간단한 조작에 의해 연결 내지 내장시켜 액세서리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3)

  1.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밴드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수납부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투명창이 구비되는 밴드 몸체;
    상기 밴드 몸체의 일측 말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투명창의 끝단 절단면을 통하여 빛을 조사하는 발광 다이오드,
    프로그래밍 가능하고, 그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점멸을 제어하는 발광 제어부와, 그 컨트롤러의 제어하에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
    상기 컨트롤러내에 구비되고 수동으로 상기 발광 제어부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부, 또는 진동이나 조도를 검출하여 자동으로 상기 발광 제어부를 작동시키는 센서로 이루어진 작동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창에는 글자 또는 그림이 새겨져 있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의해 투명창의 단면에 조사되는 빛에 의해 투명창에 새겨진 글자 또는 그림이 발광하고, 상기 밴드 몸체의 수납부에는 밴드 모양으로 이루어진 판 스프링이 삽입되고, 그 판 스프링은 너비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밴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몸체에는 고리형 연결 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밴드.
KR1020060033369A 2006-04-12 2006-04-12 발광 밴드 KR100859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369A KR100859025B1 (ko) 2006-04-12 2006-04-12 발광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369A KR100859025B1 (ko) 2006-04-12 2006-04-12 발광 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629A KR20060040629A (ko) 2006-05-10
KR100859025B1 true KR100859025B1 (ko) 2008-09-18

Family

ID=37147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369A KR100859025B1 (ko) 2006-04-12 2006-04-12 발광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90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3539A (ko) 2015-08-24 2017-03-06 주식회사 네오팝 휴대용 이벤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이벤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288B1 (ko) * 2007-03-29 2008-03-1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 태그가 삽입된 보안카드를 이용한 작업자식별프린팅결속기의 동작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81756B1 (ko) * 2006-05-10 2007-12-04 허봉락 발광 밴드
KR101971099B1 (ko) * 2018-02-21 2019-04-23 주식회사 부보 재귀반사 구조를 이용한 발광 안전 밴드
KR102199400B1 (ko) * 2019-03-19 2021-01-06 주식회사 부보 재귀반사 구조를 이용한 발광 안전 밴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894Y1 (ko) * 2002-11-29 2003-02-19 이순남 램프기능을 갖는 철도 신호 전달용 밴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894Y1 (ko) * 2002-11-29 2003-02-19 이순남 램프기능을 갖는 철도 신호 전달용 밴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 20-030489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3539A (ko) 2015-08-24 2017-03-06 주식회사 네오팝 휴대용 이벤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이벤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629A (ko) 200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7477B2 (en) Article of clothing with washable light module
US5980060A (en) Portable object having a fastening band illuminated by a super thin light element
US7278758B2 (en) Motion-responsive illuminated garment
US6474830B1 (en) Multi-purpose illumination device adaptable for use as a button fastener
US20060215393A1 (en) Lighted hats
US20060107493A1 (en) Micro - Lock
KR100859025B1 (ko) 발광 밴드
US20090013448A1 (en) Accessory with Light Source
US20080198579A1 (en) Hat Light
WO2008119075A2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illuminating a collar
KR101035442B1 (ko) 플렉시블 led 기판이 장착된 안전의류
US20160088890A1 (en) Illuminated sweat band
US20140218904A1 (en) Clip on safety light device
WO2008090314A1 (en) Improved protective pads
KR100794299B1 (ko) 확산발광기능을 갖는 악세사리용 장신구
KR200461735Y1 (ko) 다기능의 길이조절대를 갖는 안전벨트
US20140192517A1 (en) Belt with light
KR200283119Y1 (ko) 발광다이오드 발광장치를 구비한 의류
JP3099779U (ja) 光るピンバッジ
KR101743368B1 (ko) 플래시 기능을 갖는 허리 벨트
US11879625B1 (en) Versatile arm-wearable illumination device with wireless control and glittering effect
JP3057778U (ja) 発光体装置、該装置を有する装身具および手袋
US20230260374A1 (en) Illuminated Safety Vest with Integrated LED Lights
KR200160363Y1 (ko) 허리띠용 버클
KR200261590Y1 (ko) 발광기능을 가지는 인-라인 스케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