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261B1 - 천장판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천장판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4261B1
KR100794261B1 KR1020060066956A KR20060066956A KR100794261B1 KR 100794261 B1 KR100794261 B1 KR 100794261B1 KR 1020060066956 A KR1020060066956 A KR 1020060066956A KR 20060066956 A KR20060066956 A KR 20060066956A KR 100794261 B1 KR100794261 B1 KR 100794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plate
plate
ceiling
rear end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6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5242A (ko
Inventor
김성주
Original Assignee
김성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주 filed Critical 김성주
Publication of KR20070075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5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3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connection means at the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04B9/245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by means of screws, bolts or clamping strips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edge details of the ceiling; e.g. securing to an adjacent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판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천장판 설치구조는 천장 슬래브의 하면에 앵커를 이용하여 경간행거를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하고, 이 경간행거의 하부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기다란 복수개의 경간을 고정하고, 이 경간의 하면에 경간과 직교하는 천장판 부착대를 고정 결합하여 이 천장판 부착대에 천장판을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욕실 천장 슬래브의 내부 및 그 상측에는 각종 배관과 전선 등이 매설 또는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천장 슬래브에 경간행거를 고정하기 위하여 앵커를 타입하는 과정에서 각종 배관과 전선 등에 손상을 주고, 방수층을 파괴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벽체에 고정되는 지지부재에 천장판 부착부재를 연결하고, 이 천장판 부착부재에 천장판을 부착함으로써 천장 슬래브에 매설된 각종 배관이나 전선 등을 손상시키거나 방수층을 파괴하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천장판 부착부재를 지지부재에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최선단 및 최후단 천장판을 지지하는 천장판 최선단 지지편과 천장판 최후단 지지편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사용되는 부품수를 최소화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천장판을 설치할 수 있어 시공비용이 절감되고 시공능률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장판 설치구조{Ceiling Installing Structure}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천장판 설치구조의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설치 상태 평면도,
도 2는 설치 상태 종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3은 설치 상태 확대 단면도,
도 4는 전체 분해 사시도,
도 5는 전벽체측 설치 상태 사시도,
도 6은 후벽체측 설치 상태 사시도,
도 7은 전벽체측 분해 사시도,
도 8은 후벽체측 분해 사시도,
도 9는 후벽체측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0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천장판 설치구조의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0은 설치 상태 종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11은 설치 상태 확대 단면도,
도 12는 전체 분해 사시도,
도 13은 전벽체측 설치 상태 사시도,
도 14는 후벽체측 설치 상태 사시도,
도 15는 전벽체측 분해 사시도,
도 16은 후벽체측 분해 사시도이며,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천장판 설치 구조의 제3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7은 후단 연결부재와 천장판 최후단 지지편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후단 연결부재와 천장판 최후단 지지편의 설치 상태 단면도이며,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천장판 설치 구조의 제4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9는 후단 연결부재와 천장판 최후단 지지편의 사시도이고,
도 20은 후단 연결부재와 천장판 최후단 지지편의 설치 상태 단면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천장판 설치 구조의 제5 실시예를 보인 후단 연결부재와 천장판 최후단 지지편의 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천장판 설치 구조의 제6 실시예를 보인 전체 분해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천장판 설치구조의 제7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120 : 선후단 지지부재 200 : 천장판 부착부재
310,320 : 선후단 연결부재 400 : 천장판
510,520 :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편
710,720 : 선후단 연결부재 810,820 :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편
본 발명은 천장판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욕실 천장에 적합한 천장판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건물 실내의 천장에 천장판을 설치함에 있어서는 천장 슬래브의 하면에 앵커를 이용하여 경간행거를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하고, 이 경간행거의 하부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기다란 복수개의 경간을 고정하고, 이 경간의 하면에 경간과 직교하는 천장판 부착대를 고정 결합하여 이 천장판 부착대에 천장판을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욕실 천장 슬래브의 내부 및 그 상측에는 각종 배관과 전선 등이 매설 또는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천장 슬래브에 경간행거를 고정하기 위하여 앵커를 타입하는 과정에서 각종 배관과 전선 등에 손상을 주게 될 염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천장 슬래브에 설치된 방수층이 파되되어 방수기능을 상실하게 됨에 따라 누수와 누전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욕실 천장 슬래브에 매설 또는 설치된 각종 배관과 전선 등에 손상을 주지 않고 방수층을 파괴하지 않으면서도 천장판을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시공이 간편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천장판 설치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내의 네 벽체 중 전후벽체에 좌우로 가로질러 마주보고 고정 설치되는 선후단 지지부재와; 상기 선후단 지지부재에 선, 후단이 지지되는 복수개의 천장판 부착부재와;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의 양단을 상기 선후단 지지부재에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내 벽체중 좌우벽체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길이와 전후벽체 사이의 간격을 복수개로 나눈 폭을 가지는 복수개의 천장판과; 상기 선단 연결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천장판 중 전벽체측에 위치하는 최선단 천장판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천장판 최선단 지지수단과; 상기 후단 연결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천장판 중 후벽체측에 위치하는 최후단 천장판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천장판 최후단 지지수단과; 상기 천장판 중 서로 인접하는 천장판의 선단부와 후단부의 연결부를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에 고정하는 천장판 연결부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천장판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천장판 설치구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천장판 설치구조의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설치 상태 평면도, 도 2는 설치 상태 종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3 은 설치 상태 확대 단면도, 도 4는 전체 분해 사시도, 도 5는 전벽체측 설치 상태 사시도, 도 6은 후벽체측 설치 상태 사시도, 도 7은 전벽체측 분해 사시도, 도 8은 후벽체측 분해 사시도, 도 9는 후벽체측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천장판 설치구조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의 네 벽체 중 전후벽체(1,2)에 좌우로 가로질러 마주보고 고정 설치되는 선후단 지지부재(110,120)와; 상기 선후단 지지부재(110,120)에 선, 후단이 지지되는 복수개의 천장판 부착부재(200)와;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양단을 상기 선후단 지지부재(110,120)에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내 벽체중 좌우벽체(3,4)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길이와 전후벽체(1,2) 사이의 간격을 복수개로 나눈 폭을 가지는 복수개의 허니컴형 천장판(400)과; 상기 연결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천장판(400) 중 전벽체(1)측에 위치하는 최선단 천장판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천장판 최선단 지지수단과; 상기 연결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천장판(400) 중 후벽체(2)측에 위치하는 최후단 천장판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천장판 최후단 지지수단과; 상기 천장판(400) 중 서로 인접하는 천장판의 선단부와 후단부의 연결부를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에 고정하는 천장판 연결부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선후단 지지부재(110,120)는 PVC 등의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것으로, 각각 상기 전후벽체(1,2)에 고정되는 수직고정부(111,121)와, 상기 수직고정부(111,121)의 대략 중간부에서 내측을 향해 수평 절곡된 수평지지부(112,122)를 가지는 대략 "ㅏ"자형 및 "ㅓ"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선후단 지지부재(110,120)는 그 수직고정부(111,121)를 전후벽체(1,2)에 대고 태커(tacker)에 의하여 택(tack)(T1)을 박는 것에 의해 전후벽체(1,2)에 고정된다.
상기 선후단 지지부재(110,120)의 수평지지부(112,122)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선후단 연결부재(310,320)의 연결홈(312,3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평지지부(112,122)와 선후단 연결부재(310,320) 간의 상대적인 좌우방향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요철형 돌기(113,123)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천장판 부착부재(200)는 아연도 강판 등의 자성체인 강판을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하면판(210)과, 이 하면판(210)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수직 절곡되는 수직판(220)과, 이 수직판(220)의 상단에서 안쪽으로 수평 절곡되는 상편판(230)과, 이 상면판(230)에서 하방으로 수직 절곡되는 보강절곡편(240)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면판(210)과 수직판(220)에는 보강을 위하여 안쪽으로 볼록하고 바깥쪽으로 오목한 엠보싱부(211,221)가 형성된다.
상기 선후단 연결수단은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선단과 후단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선후단 지지부재(110,120)에 고정되는 선후단 연결부재(310,320)로 구성된다.
상기 선후단 연결부재(310,320)는 합성수지로 성형되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하면판(210), 수직판(200) 및 상면판(23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대략 사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되며, 각각 전면(311)과 후면(321)에는 지지부재(110,120)의 수평지지부(112,122)가 끼워지는 연결홈(312,3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선후단 연결부재(310,320)의 양측면(313,323)에는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수직판(220)에 형성된 엠보싱부(221)에 대응하여 안내홈(314,324)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선후단 연결부재(310,320)는 단순히 사각기둥 모양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무게를 줄이고 소요 재료를 절감하기 위하여 상하측에 살빼기홈(315,32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장판(400)은 합성수지에 의해 연속적으로 압출성형되어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상하판(401,402)이 복수개의 연결편(403)에 의해 연결되어 허니컴형으로 형성되며, 선단에는 그 중단부에 위치하는 얇은 두께의 삽입편(404)과, 이 삽입편(404)의 상하부에 위치하는 상하측 걸림턱(405,406)이 전장에 걸쳐서 형성되고, 후단에는 인접하는 천장판의 상측 걸림턱(405)에 걸쳐지는 상측 걸림편(407)과 하측 걸림턱(406)에 걸쳐지는 하측 걸림편(408)과 이들 상하측 걸림편(407,408) 사이에 위치하여 삽입편(404)이 삽입되는 삽입홈(409)이 형성된다.
상기 전벽체(1)측에 위치하는 최선단 천장판(400)의 선단부는 삽입편(404)과 상하측 걸림턱(405,406)이 형성되어 있어 두께가 얇으므로 두께보상부재(420)를 씌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보상부재(420)는 상기 상하측 걸림턱(405,406)에 대응하는 상하측 수평부(421,422)와, 상기 상하측 수평부(421,422)를 연결하는 수직부(423) 및 상기 상하측 수평부(421,422)에서 돌출되어 그 사이로 상기 삽입편(404)이 삽입되는 돌 기(424,42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후벽체(2)측에 위치하는 최후단 천장판(400)의 후단부에는 삽입홈(409) 또는 천장판(400)을 적절한 폭으로 절단하였을 경우에는 그 상하판(401,402)에 의해 형성되는 홈부분을 막기 위한 막음캡(430)을 씌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막음캡(430)은 상하측 수평부(431,432)와, 상기 상하측 수평부(431,432)를 연결하는 수직부(433) 및, 상기 상하측 수평부(431,432) 사이에 형성되는 천장판 삽입홈(434)으로 구성된다.
상기 천장판 최선단 지지수단은 상기 선단 연결부재(310)의 전면(311)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천장판(400) 중 전벽체(1)측에 위치하는 최선단 천장판(400)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천장판 최선단 지지편(510)으로 구성되며, 상기 천장판 최후단 지지수단은 상기 후단 연결부재(320)의 후면(321)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천장판(400) 중 후벽체(2)측에 위치하는 최후단 천장판(400)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천장판 최후단 지지편(5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천장판 최선단 지지편(510)은 선단 연결부재(310)의 전면(31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511)와 이 수직부(51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최선단 천장판(400)의 선단부가 걸쳐지는 수평부(512)로 구성되고, 천장판 최후단 지지편(520)은 후단 연결부재(320)의 후면(32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521)와 이 수직부(521)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최후단 천장판(400)의 후단부가 걸쳐지는 수평부(522) 및, 상기 수직부(521)에 설치되어 최후단 천장판(400)의 후단부를 전 방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523)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523)는 도시예와 같이 판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코일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523)는 리벳이나 스크루에 의하여 수직부(521)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전벽체(1)측에 위치하는 천장판(400)의 선단부와 타일(5) 사이와 후벽체(2)측에 위치하는 천장판(400)의 후단부와 타일(6) 사이의 틈새가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벽체(1)측에 위치하는 천장판(400)의 선단부와 타일(5) 사이와 후벽체(2)측에 위치하는 천장판(400)의 후단부와 타일(6) 사이에 실리콘 실링제(600)를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장판 연결부 고정수단은 천장판(400)의 후단부에 형성된 상측 결합편(407)을 천장판 부착부재(200)에 고정하기 위한 택(T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천장판 연결부 고정수단으로서는 등록특허 제0134744호에서와 같은 천장판 중간클립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7"은 환기구이고, "8"은 점검구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천장판 설치구조의 설치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지지부재(110,120)의 수직고정부(111,121)를 전후벽체(1,2)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태커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택(T1)을 박아 고정한다.
이때 합성수지제 지지부재(110,120)의 수직고정부(111,121)에 택(T1)을 박는 과정에서 특히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는 수직고정부(111,121)가 깨질 염려가 있는 바, 수직고정부(111,121)의 상반부와 수평지지부(112,122)에 금속제 보강편(113,123)을 덧씌운 상태에서 택(T1)을 박음으로써 수직고정부(111,112)가 깨지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후벽체(1,2)에 고정된 선후단 지지부재(110,120)의 수평지지부(112,122) 사이의 간격보다 짧게 절단된 복수개의 천장판 부착부재(200)를 준비하고, 이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양단에 선후단 연결부재(310,320)를 끼운다.
이때 선후단 연결부재(310,320)의 선단부와 후단부는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양단에 삽입하여 천장판 부착부재(200)와 선후단 연결부재(310,320)를 포함한 전체 길이가 선후단 지지부재(110,120)의 수평지지부(112,122) 사이의 간격보다 짧게 되도록 한 상태에서 선후단 연결부재(310,320)를 조금씩 인출해 내면서 선후단 연결부재(310,320)의 연결홈(312,322)에 수평지지부(112,122)가 끼워지도록 한다. 선후단 연결부재(310,320)의 연결홈(312,322)에 지지부재(100)의 수평지지부(112,122)가 완전히 삽입되면, 천장판 부착부재(200)와 선후단 연결부재(310,320)를 포함한 전체 길이가 수직고정부(111,121) 사이의 간격과 일치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선후단 연결부재(310,320)와 천장판 부착부재(200)에 택(T2)을 박아 선후단 연결부재(310,320)가 천장판 부착부재(200)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선후단 지지부재(110,120)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천장판 부착부재(200)를 설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천장판 부착부재(2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10,120)를 천장 슬래브에 설치하지 않고, 전후벽체(1,2)에 고정하는 것이 므로 천장 슬래브에 매설된 각종 배관이나 전선 등을 손상시키거나 방수층을 파괴하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선후단 연결부재(310,320)는 천장판 부착부재(200)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므로 시공오차에 의하여 전후벽체(1,2)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을 경우에도 지지부재(110,120)에 대한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연결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좌우벽체(3,4)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천장판을 준비하고, 전후벽체(1,2) 사이의 간격이 천장판 폭의 정수배가 아닌 경우에는 하나의 천장판, 즉 최후단에 설치될 천장판은 적절한 폭으로 절단하여 준비한다.
전벽체(1)에 위치하는 천장판(400)의 선단부에 두께보상부재(420)를 끼워 그 선단부의 두께가 다른 부분의 두께와 일치되도록 한다. 두께보상부재(420)는 그 상하측 수평부(421,422)가 천장판(400)의 선단부에 형성된 상하측 걸림턱(405,406)에 대응되고, 돌기(424,425) 사이에는 천장판(400)의 선단부에 형성된 삽입편(404)이 삽입된다.
최선단 천장판(400)의 선단부를 선단 연결부재(310)에 일체로 형성된 천장판 최선단 지지편(510)에 삽입하여 지지하고, 이 최선단 천장판(400)의 후단부는 그 상측 걸림편(407)과 천장판 부착부재(200)에 천장판 연결부 고정수단인 택(T3)을 박음으로써 최선단 천장판(4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택(T3)을 박는 대신 등록특허 제0134744호에서와 같은 천장판 중간클립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 최선단 천장판(400)의 후단부에 형성된 삽입홈(409)에 두 번째 천장판(400)의 선단에 형성된 삽입편(404)을 끼움과 아울러 최선단 천장판(400)의 상하측 걸림턱(405,406)에 두 번째 천장판(400)의 후단부에 형성된 걸림편(407)과 천장판 부착부재(200)에 택(T3)을 박음으로써 두 번째 천장판(4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최선단 천장판(400)의 후단부와 두 번째 천장판(400)의 선단부는 삽입편(404)이 삽입홈(409)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하측 걸림편(407,408)이 상하측 걸림턱(405,406)에 걸리는 상태로 되므로 최선단 천장판(400)의 후단부와 두 번째 천장판(400)의 선단부 사이에는 틈새가 벌어지는 일이 없이 연결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후벽체(2)측에 위치하는 최후단 천장판(400)을 제외한 천장판들의 설치가 완료되면, 최후단 천장판(400)의 후단부를 천장판 최후단 지지편(520)에 후방으로 힘을 가하면서 삽입하여 최후단 천장판(400)의 후단부가 천장판 최후단 지지편(520)의 수직부(523)에 설치된 탄성부재(523)를 압축시키면서 삽입되어 그 최후단 천장판(400)의 선단부의 삽입편(404) 선단이 그 직전에 설치된 천장판(400)의 후단부의 하측 걸림편(408)보다 후방에 위치하게 되면, 최후단 천장판(400)의 선단부를 상방으로 밀어 올려 그 선단의 삽입편(404)이 그 직전에 설치된 천장판(400)의 후단부의 삽입홈(409)에 일치하도록 한 다음, 최후단 천장판(400)에 후방으로 가했던 힘을 제거하면 압축되었던 탄성부재(523)가 탄성복원되면서 최후단 천장판(400)을 전방으로 밀게 되어 최후단 천장판(400)의 삽입편(404)이 그 직전에 설치된 천장판(400)의 후단부에 형성된 삽입홈(409)에 삽입되면서 최후단 천장판(400)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최후단 천장판(400)은 후단부에 상하측 걸림편(407,408)과 삽입홈(409)이 형성되어 있어 이 부분이 상기 탄성부재(523)에 접촉하게 될 경우 탄성부재(523)가 효과적으로 압축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하측 걸림편(407,408)과 삽입홈(409)이 노출되지 않도록 이 부분에 막음캡(430)을 씌워 막음캡(430)이 탄성부재(523)와 접촉하면서 탄성부재(523)가 효과적으로 압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최후단 천장판(400)이 시공현장의 조건에 따라 적절한 폭으로 절단하였을 경우에는 상하판(401,402)에 의한 홈이 생기게 되는 바, 이 경우에도 탄성부재(523)를 효과적으로 압축시킬 수 없게 되므로 이 부분에도 막음캡(430)을 씌운다.
최종적으로 전벽체(1)측에 위치하는 천장판(400)의 선단부와 타일(5) 사이와 후벽체(2)측에 위치하는 천장판(400)의 후단부와 타일(6) 사이에 실리콘 실링제(600)를 채워 전벽체(1)측에 위치하는 천장판(400)의 선단부와 타일(5) 사이와 후벽체(2)측에 위치하는 천장판(400)의 후단부와 타일(6) 사이의 틈새가 노출되지 않아 미관을 해치는 일이 없도록 한다.
도 10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천장판 설치구조의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0은 설치 상태 종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11은 설치 상태 확대 단면도, 도 12는 전체 분해 사시도, 도 13은 전벽체측 설치 상태 사시도, 도 14는 후벽체측 설치 상태 사시도, 도 15는 전벽체측 분해 사시도, 도 16은 후벽체측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후벽체(1,2)와 천장판(400) 사이의 틈새가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선단 천장판(400)의 선단부와 최후단 천장판(400)의 후단부에 각각 합성수지제 몰딩결합부재(610)와 이에 결합되는 마감몰딩(620)이 더 구비한 것이며, 여타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몰딩결합부재(610)는 타일(5,6)의 상단면에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천장판 최선단 지지편(510) 및 천장판 최후단 지지편(520)의 하면에 밀착되는 상단 수평부(611)와, 이 상단 수평부(61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단 수평부(611)와의 사이에 마감몰딩 결합홈(613)이 형성되는 하단 수평부(612) 및, 상기 상단 수평부(611)와 하단 수평부(612)를 연결하는 연결부(614)로 구성된다.
상기 마감몰딩(620)은 상기 몰딩결합부재(610)의 하단 수평부(612)에 대응하는 하면부(621)와, 상기 마감몰딩 결합홈(613)에 삽입되는 결합편(622)과, 하면부(621)와 결합편(622)을 연결하는 연결부(623) 및, 상기 하면부(621)에서 만곡 연장되어 그 선단이 천장판(400)의 하면에 밀착되는 만곡부(624)로 구성된다.
상기 몰딩결합부재(610)의 상단 수평부(611)의 하면에는 요철부(615)가 형성되고, 상기 하단 수평부(612)의 자유단부에는 후크형 돌기(616)가 형성되며, 상기 마감몰딩(620)의 결합편(622)의 하면에는 상기 상단 수평부(611)의 요철부(615)에 대응하는 요철부(625)가 형성되어 몰딩결합부재(610)의 마감몰딩 결합홈(613)에 마감몰딩(620)의 결합편(622)을 삽입하여 몰딩결합부재(610)에 마감몰딩(620)을 결합하였을 때 마감몰딩(620)이 몰딩결합부재(610)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일이 없도록 함과 아울러 보수를 위하여 마감몰딩(620)을 분리할 경우에는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몰딩결합부재(610)와 마감몰딩(620)은 모든 천장판(400)의 좌우측단부에도 결합되어 천장판(400)의 좌우측단부와 좌우벽체(3,4) 사이의 틈새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의한 천장판 설치구조의 설치 과정에서 선후단 지지부재(110,120)와 천장판 부착부재(200)와 선후단 연결부재(310,320)와 천장판(400) 등의 설치 과정은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설치 과정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최종적으로 상기 몰딩결합부재(610)의 상단 수평부(611)의 상하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그 상단 수평부(611)를 상기 천장판 최선단 지지편(510)과 천장판 최후단 지지편(520)의 수평부(512,522)와 타일(5,6) 상단 사이에 삽입하여 고정하고, 마감몰딩 결합홈(613)에 마감몰딩(620)의 결합편(622)을 삽입하여 몰딩결합부재(610)의 상단 수평부(611)의 하면에 형성된 요철부(615)와 마감몰딩(620)의 결합편(622)의 상면에 형성된 요철부(625)가 대응되고, 몰딩결합부재(610)의 하단 수평부(612)에 형성된 후크형 돌기(616)가 마감몰딩(620)의 결합편(622) 하면에 밀착됨과 아울러 마감몰딩(620)의 하면부(621)가 전후벽체(1,2)[도시예에서는 타일(5,6)]에 밀착되고, 만곡부(624)의 선단이 천장판(400)의 하면에 밀착되어 천장판(400)과 벽체(1,2)[도시예에서는 타일(5,6)면] 사이에 미관을 해치는 틈새가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몰딩결합부재(610)와 마감몰딩(620)은 최선단 천장판(400)의 선단부와 최후단 천장판(400)의 후단부 외에도 모든 천장판(400)의 좌우측단부에도 설치함으로써 천장판(400)의 좌우측단부와 좌우벽체(3,4) 사이의 틈새가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몰딩결합부재(610)와 마감몰딩(620)은 상단 수평부(611)의 하면과 결합편(622)의 상면에 요철부(615,625)를 형성하였으므로 몰딩결합부재(610)와 마감몰딩(620)이 임으로 분리되는 일이 없게 되며, 보수 등을 위하여 분리할 경우에는 마감몰딩(620)의 만곡부(624)를 밑으로 당기면 결합편(622)이 밑으로 처지게 되면서 마감몰딩(620)의 요철부(625)가 몰딩결합부재(610)의 요철부(615)로부터 이격되면서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마감몰딩(620)이 분리되면 상술한 설치시와 역순으로 천장판(400)을 분해할 수 있으며, 필요할 경우 천장판 부착부재(200)와 천장판 최선단 지지수단이 일체로 형성된 선후단 연결부재(310,320)와 지지부재(110,120)도 분해하여 보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몰딩결합부재(610)와 마감몰딩(620)을 사용하여 천장판의 가장자리와 네 벽체(1,2,3,4) 사이의 틈새를 마감처리하였으나, 이러한 몰딩결합부재(610)와 마감몰딩(62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최선단 천장판(400)의 선단부와 최후단 천장판(400)의 후단부가 직접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클립(50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천장판(400)의 하면과 네 벽면에 접착제로 접착되는 통상적인 모서리 마감몰딩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천장판 설치 구조의 제3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7은 후단 연결부재와 천장판 최후단 지지편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후단 연결부재와 천장판 최후단 지지편의 설치 상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천장판 최후단 지지편(520)을 제외한 여타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천장판 최후단 지지편(520)은 후단 연결부재(320)의 후면(32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521)와, 이 수직부(521)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최후 천장판(400)의 후단부가 걸쳐지는 수평부(522) 및, 상기 수직부(521)에 설치되어 최후단 천장판(400)의 후단부를 전방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523)로 구성됨은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며, 수직부(521)에 대한 탄성부재(523)의 설치 구조를 달리하는 것이다.
상기 천장판 최후단 지지편(520)의 수직부(521) 후면에는 너트삽입홈(524)이 형성되어 이 너트삽입홈(524)에 너트(527)를 삽입한 다음 수직부(521)와 탄성부재(523)를 관통하는 스크루(528)를 너트(527)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탄성부재(523)를 수직부(521)에 고정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너트삽입홈(524)과 너트(527)는 스크루(528)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너트(527)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형이 아닌 형상, 예컨대 육각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의한 천장판 설치구조는 천장판 최후단 지지편(520)에 대한 탄 성부재(523)의 결합구조를 달리하는 것일 뿐 그 설치 과정은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치 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천장판 설치 구조의 제4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또한 상기 천장판 최후단 지지편(520)의 수직부(521)는 우벽체(4)에 밀착될 수 있도록 돌출된 형태로 형성한 것이며, 여타 구성은 상술한 제3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천장판 설치 구조의 제5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본 변형예에서는 수직부(521)의 후면에 너트삽입홈(524)를 가지는 너트삽입보스(525)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너트삽입보스(525)의 양측에 보강리브(526)를 형성한 것이며, 여타 구성은 상술한 제4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천장판 설치 구조의 제6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후단 지지부재(110,120)을 각각 하나의 수직고정부(111,121)에 상하 두 개의 수평지지부(112,122)로 구성하고, 상기 선후단 연결부재(310,320)에는 상기 두 개의 수평지지부(112,122)에 대응하여 각각 상하 두 개의 연결홈(312,322)를 형성한 것이며, 여타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천장판 설치구조의 제7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연결수단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천장판 부착 부재(200)의 선단과 후단에 삽입되며,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수직판(220)의 안쪽에 위치하는 양측 수직판(711,721)과, 이 수직판(711,721)의 하단을 연결하는 수평판(712,722)과, 상기 수직판(711,721)의 선단부에 절취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100)의 수평지지부(120)가 삽입되는 연결홈(713,723)을 가지는 선후단 연결부재(710,720)로 구성된다.
상기 양측 수직판(711,721)에는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수직판(220)에 형성된 엠보싱부(221)에 대응하여 안쪽이 오목하고 바깥쪽이 볼록한 엠보싱부(714,724)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측 수직판(711,721)의 선,후단부측에는 선후단 연결부재(710,720)가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안쪽으로 완전히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수직판(220)의 단부에 걸리는 스토퍼편(715,725)이 바깥쪽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선후단 연결부재(310,320)를 천장판 부착부재(200)에 삽입하였을 때 수평판(712,722)이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하면판(210)에 밀착되고, 엠보싱부(714,724)의 바깥쪽 돌출부가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수직판(220)에 형성된 엠보싱부(221)의 안쪽 돌출부 위에 걸쳐지는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천장판 최선단 지지수단 및 천장판 최후단 지지수단은, 상기 수평판(712,722)의 선단부에서 수직 및 수평으로 절곡되어 최선단 천장판(400)의 선단부와 최후단 천장판(400)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천장판 최후단 지지편(810,8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천장판 최선단 지지편(810)과 천장판 최후단 지지편(820)은 상기 수평판(712,722)에서 하향 절곡된 수직부(811,821)와, 이 수직부(811,821)에서 수평 절곡되는 수평부(812,822)로 구성된다.
이러한 천장판 최선단 지지편(810)과 천장판 최후단 지지편(820)은 제조시에는 수직부(811,821)와 수평부(812,822)가 펼쳐진 상태로 제조하고, 현장에서 절곡하여 수직부(811,821)와 수평부(812,822)로 절곡하여 천장판(400)의 최선후단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직부(811,821)와 수평부(812,822)의 사이에는 각각 노치(813,823)와 구멍(814,824)을 형성하여 현장에서의 절곡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타 지지부재(110,120), 천장판 부착부재(200), 천장판(400), 몰딩결합부재(610), 마감몰딩(620) 등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천장판 설치구조에 의하면 천장 슬래브에 앵커를 타입하지 않고 벽체에 지지부재를 고정하고, 이에 천장판 부착부재를 설치하여 이 천장판 부착부재에 천장판을 부착하는 것이므로 천장 슬래브에 매설된 각종 배관과 전선 등을 손상시키거나 방수층을 파괴하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천장판 설치구조에 의하면 사용되는 부품수를 최소화하면서 도 효과적으로 천장판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비용이 절감되고 시공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실내의 네 벽체 중 전후벽체(1,2)에 좌우로 가로질러 마주보고 고정 설치되는 선후단 지지부재(110,120)와;
    상기 선후단 지지부재(110,120)에 선, 후단이 지지되는 복수개의 천장판 부착부재(200)와;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양단을 상기 선후단 지지부재(110,120)에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내 벽체중 좌우벽체(3,4)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길이와 전후벽체(1,2) 사이의 간격을 복수개로 나눈 폭을 가지는 복수개의 천장판(400)과;
    상기 선단 연결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천장판(400) 중 전벽체(1)측에 위치하는 최선단 천장판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천장판 최선단 지지수단과;
    상기 후단 연결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천장판(400) 중 후벽체(2)측에 위치하는 최후단 천장판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천장판 최후단 지지수단과;
    상기 천장판(400) 중 서로 인접하는 천장판의 선단부와 후단부의 연결부를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에 고정하는 천장판 연결부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천장판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후단 지지부재(110,120)는 전후벽체(1,2)에 고정되는 수직고정부(111,121)와, 이 수직고정부(111,121)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지지부(112,122)로 구성되고,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는 하면판(210)과, 이 하면판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수직 절곡되는 수직판(220) 및 이 수직판의 상단에서 안쪽으로 수평 절곡되는 상면판(230)과, 이 상면판에서 하방으로 수직 절곡되는 보강절곡편(240)으로 구성되며,
    상기 선단 연결수단은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선단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며, 선단측이 상기 선단 지지부재(110)의 수평지지부에 연결되는 선단 연결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후단 연결수단은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후단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며, 후단측이 상기 후단 지지부재(120)의 수평지지부에 연결되는 후단 연결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천장판 최선단 지지수단은 상기 선단 연결부재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최선단 천장판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천장판 최선단 지지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천장판 최후단 지지수단은 상기 후단 연결부재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최후단 천장판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천장판 최후단 지지편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판 설치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연결수단은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선단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며, 전면(311)에 상기 지지부재(110)의 수평지지부(112)가 끼워지는 연결홈(312)이 형성된 선단 연결부재(310)로 구성되고,
    상기 후단 연결수단은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후단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며, 후면(321)에 상기 지지부재(120)의 수평지지부(122)가 끼워지는 연결홈(322)이 형성된 후단 연결부재(320)로 구성되고,
    상기 천장판 최선단 지지수단은 상기 선단 연결부재(310)의 전면(311) 하단에서 일체로 연장되는 수직부(511)와 이 수직부(511)의 하단에서 수평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천장판(400) 중 최선단 천장판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수평부(512)를 가지는 천장판 최선단 지지편(510)으로 구성되며,
    상기 천장판 최후단 지지수단은 상기 후단 연결부재(320)의 후면 하단에서 수직하방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수직부(521)와, 이 수직부(521)의 하단에서 수평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천장판(400) 중 최후단 천장판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수평부(522) 및, 상기 수평부(522)에 고정되어 최후단 천장판을 전방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523)를 가지는 천장판 최후단 지지편(5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판 설치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판 최후단 지지편(520)의 수직부(521) 후면에는 너트삽입홈(524)이 형성되어 이 너트삽입홈(524)에 너트(527)가 삽입되고, 상기 수직부(521)와 탄성부재(523)를 관통하는 스크루(528)가 너트(527)에 체결되어 탄성부재(523)가 수직부(521)에 고정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판 설치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연결수단은 금속판재로 형성되고,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선단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수직판(220)의 안쪽에 위치하는 양측 수직판(711)과, 이 수직판의 하단을 연결하는 수평판(712)과, 상기 수직판(711)의 선단부에 절취형성되어 상기 선단 지지부재(110)의 수평지지부(112)가 끼워지는 연결홈(713)을 가지는 선단 연결부재(710)로 구성되고,
    상기 후단 연결수단은 금속판재로 형성되고,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후단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수직판(220)의 안쪽에 위치하는 양측 수직판(721)과, 이 수직판의 하단을 연결하는 수평판(722)과, 상기 수직판(721)의 후단부에 절취형성되어 상기 후단 지지부재(200)의 수평지지부(122)가 끼워지는 연결홈(723)을 가지는 후단 연결부재(720)로 구성되고,
    상기 천장판 최선단 지지수단은 상기 선단 연결부재(710)의 수평판(712)의 선단에서 수직하방으로 절곡되는 수직부(811)와, 이 수직부에서 수평후방으로 절곡되는 수평부(812)로 구성되며,
    상기 천장판 최후단 지지수단은 상기 후단 연결부재(720)의 수평판(722)의 후단에서 수직하방으로 절곡되는 수직부(821)와, 이 수직부에서 수평전방으로 절곡되는 수평부(82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판 설치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수직판(711,721)에는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수직판(220)에 형성된 엠보싱부(221)에 대응하여 안쪽이 오목하고 바깥쪽이 볼록한 엠보싱부(714,724)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선후단 연결부 재(310,320)를 천장판 부착부재(200)에 삽입하였을 때 수평판(712,722)이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하면판(210)에 밀착되고, 엠보싱부(714,724)의 바깥쪽 돌출부가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수직판(220)에 형성된 엠보싱부(221)의 안쪽 돌출부 위에 걸쳐지는 상태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판 설치구조.
KR1020060066956A 2006-01-12 2006-07-18 천장판 설치구조 KR1007942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03429 2006-01-12
KR1020060003429 2006-0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242A KR20070075242A (ko) 2007-07-18
KR100794261B1 true KR100794261B1 (ko) 2008-01-11

Family

ID=38500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6956A KR100794261B1 (ko) 2006-01-12 2006-07-18 천장판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42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04305A (zh) * 2016-05-23 2016-07-27 上海中建八局装饰有限责任公司 波浪形金属板吊顶系统及其安装方法
KR102139191B1 (ko) 2019-03-14 2020-07-30 광건티앤씨 주식회사 유동방지 및 내진설계구조가 적용된 천정패널 설치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421B1 (ko) * 2009-07-22 2012-06-18 상명엔프라(주) 천정 패널 설치구
KR20180042779A (ko) * 2016-10-18 2018-04-26 (주)무진기업 건물의 천정판 설치를 위한 무달대 지지구조
CN110056150A (zh) * 2019-05-23 2019-07-26 金螳螂精装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装配式墙板的挂装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9013A (ja) * 1994-03-28 1995-10-17 Meikin Go プラスチック製天井板固定枠の組み合わせ装置
KR0134744B1 (ko) * 1994-06-01 1998-04-24 김종명 조립식 천정시설재
KR19990009093U (ko) * 1997-08-13 1999-03-05 조을훈 건축용 흡음(吸音) 천정판
KR20000003120A (ko) * 1998-06-25 2000-01-15 김용배 건축내장용 천장재
KR100340511B1 (ko) 1999-07-31 2002-06-22 김상식 천정판 시공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9013A (ja) * 1994-03-28 1995-10-17 Meikin Go プラスチック製天井板固定枠の組み合わせ装置
KR0134744B1 (ko) * 1994-06-01 1998-04-24 김종명 조립식 천정시설재
KR19990009093U (ko) * 1997-08-13 1999-03-05 조을훈 건축용 흡음(吸音) 천정판
KR20000003120A (ko) * 1998-06-25 2000-01-15 김용배 건축내장용 천장재
KR100340511B1 (ko) 1999-07-31 2002-06-22 김상식 천정판 시공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04305A (zh) * 2016-05-23 2016-07-27 上海中建八局装饰有限责任公司 波浪形金属板吊顶系统及其安装方法
CN105804305B (zh) * 2016-05-23 2018-11-02 中建八局装饰工程有限公司 波浪形金属板吊顶系统及其安装方法
KR102139191B1 (ko) 2019-03-14 2020-07-30 광건티앤씨 주식회사 유동방지 및 내진설계구조가 적용된 천정패널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242A (ko) 200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44096A1 (en) Fastener guiude for siding
KR100794261B1 (ko) 천장판 설치구조
RU2504625C2 (ru) Потолок со скрытой подвесной системой со снимаемыми вниз панелями
US5575127A (en) Siding attachment system
US9297166B2 (en) Fixing system for cladding and a cladded structure
US6205732B1 (en) Surface mounted grid system
US7980038B2 (en) Fastener guide for siding
SK28599A3 (en) An improved cladding board mounting system
CA2597186A1 (en) Fastening member and external wall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NZ207173A (en) Wall panels with edge mounting clips and abutting resilient edges
KR20090117289A (ko) 채널형 클립이 적용되는 테크 자재의 결합 시스템
JP5368768B2 (ja) 外壁材取付金具及び外壁材取付構造
US7797906B2 (en) Non-penetrating elastomeric membrane anchoring system
KR20070075241A (ko) 천장판 설치구조
US6880306B2 (en) Bracket system for mounting fiberglass panel tiles
KR200412100Y1 (ko) 천장판 설치구조
CA3098047A1 (en) Clip for cast stone wall system
US4541215A (en) Snap-in ceiling system
KR100806188B1 (ko) 석재패널 고정장치 및 시공방법
KR100662004B1 (ko) 천장판 설치구조
KR200430379Y1 (ko) 건축용 단열패널 고정구
CA2716229A1 (en) Siding installation spacer and method of installing siding using a siding installation spacer
US20070107357A1 (en) Fastener guide for siding
KR100940096B1 (ko) 실내외 벽면 마감용 미장패널 설치구조
JPH06193204A (ja) 屋根瓦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