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0096B1 - 실내외 벽면 마감용 미장패널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실내외 벽면 마감용 미장패널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0096B1
KR100940096B1 KR1020090006203A KR20090006203A KR100940096B1 KR 100940096 B1 KR100940096 B1 KR 100940096B1 KR 1020090006203 A KR1020090006203 A KR 1020090006203A KR 20090006203 A KR20090006203 A KR 20090006203A KR 100940096 B1 KR100940096 B1 KR 100940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ering
panel
interior
fastener
pa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6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로
정재천
오병춘
Original Assignee
나라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라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라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6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00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sealing elements between coverings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외 벽면 마감용 미장패널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일단이 실내외 벽면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체결대(43)를 매개로 고정되는 몸체(41)와, 몸체(41)의 타단이 둘 이상으로 분기되어 상호 대향하게 굽은 걸림턱(42, 42')을 구비한 다수의 파스너(40); 및 상하 또는 좌우 둘레면 중 선택된 한 곳 이상에, 걸림턱(42, 42')이 삽입돼 맞물리는 걸림홈(13)과, 몸체(41)를 수용하도록 절개된 안착홈(12)이 형성되고, 파스너(40)를 따라 상하좌우로 이웃하는 다른 미장패널(10)과 간극없이 접합하며 배치 고정되는 다수의 미장패널(10);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실내외 벽면 마감용 미장패널 설치구조{A structure for Panel construction using the beauty culture}
본 발명은 실내외 벽면 마감용 미장패널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철근콘크리트 구조 또는 철근 구조를 기초로 건설되는 건축물은 철근 구조물이 노출되는 실내외 벽면의 마감 및 미장을 위해 미장패널을 활용한다.
미장패널(10; 도 1 참조)은 콘크리트, 천연 석재, 유리 및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되고, 시멘트 몰탈 또는 합성 접착제 등과 같은 화학적 고정수단이나, 앵커(20) 또는 프레임 등과 같은 물리적 고정수단을 매개로 건축물의 실내외 벽면에 견고히 고정된다.
여기서, 화학적 고정수단은 시간이 지날수록 고정수단 자체의 부식 및 변성에 의해 미장패널(10)과 실내외 벽면 간 부착력이 저하된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미장패널(10) 사이로 화학적 고정수단이 누출되면서 깔끔한 외관을 표현하는데 제한될 수 있었다. 따라서, 건축물의 실내외 벽면 마감 및 미장을 위해서 현실적으로 앵커(20) 또는 프레임 등과 같은 기계적 고정수단이 주로 선택되었다.
상기 기계적 고정수단으로는 도 2(미장패널의 종래 설치구조를 도시한 사시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커(20) 또는 링커(30) 등이 제시될 수 있다.
앵커(20)는 미장패널(10)을 관통하면서 말단이 실내외 벽면과 맞물리는 것으로, 미장패널(10)은 자체를 관통한 앵커(20)에 의해 실내외 벽면에 단단히 고정된다. 하지만, 이러한 고정방식은 앵커(20)가 미장패널(10)을 관통하는 것이므로, 앵커(20)가 미장패널(10)의 전면으로 드러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미장패널(10) 제작시 미장패널(10)의 배면에 앵커(미도시함)가 일체로 돌출되도록 제작해서, 앵커가 미장패널(10)의 전면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였다. 그러나, 콘크리트 재질의 미장패널과 철재 앵커를 일체로 제작하는데는 작업상의 곤란함이 있고, 이를 위한 설비투자 또한 적지 않으므로, 현실적으로 미장패널과 앵커를 일체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후, 미장패널(10)의 측면에 브래킷과 같은 체결대(미도시함)를 고정하고, 상기 체결대에 앵커를 끼워서, 이들을 매개로 미장패널(10)을 실내외 벽면에 고정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고정방식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체결대에 의해 이웃하는 미장패널(10) 간에 틈을 발생시키고, 설치하는 과정에서 미장패널(10) 자체가 간섭을 주면서 작업을 방해하므로, 바람직한 미장패널(10) 설치방식은 아니었다.
한편, 실내외 벽면을 마감 및 미장하는 다수의 미장패널(10)은 서로 이웃하는 미장패널(10) 간의 긴밀한 연결을 통해, 실내외 벽면과의 고정성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미장패널(10)의 둘레면에 패널 타입의 링커(30)를 서로 이웃하는 미장패널(10)에 각각 연결되도록 고정시켜서, 좌우 또는 상하로 배 치된 미장패널(10) 간의 결속을 도모하였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 미장패널(10) 간 결속방식은 링커(30)의 긴밀한 고정을 위해 볼트 또는 핀과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31)을 매개로 미장패널(10)의 둘레면에 고정되므로, 작업자는 링커(30) 고정을 위해 고정수단(31)을 일일이 설치하는 수고를 감수해야 했고, 결국 미장패널(10)을 설치하는 작업기간이 연장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비교적 얇은 폭을 갖는 미장패널(10)의 둘레면에 고정수단(31)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부주의 또는 작업 미숙으로 미장패널(10)이 파손될 수도 있으므로, 종래 미장패널(10) 간 결속방식은 작업효율은 물론 경제적으로도 불리한 방식이었다.
미설명 인출번호 "11"은 "맞물림홈"을 인출한 것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링커(30)가 맞물리면서, 이웃하는 미장패널(10) 간의 간극을 최소화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내외 벽면에 미장패널을 손쉽고 간편하면서도 이웃하는 미장패널 간의 긴밀한 결속을 도모할 수 있는 실내외 벽면 마감용 미장패널 설치구조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내외 벽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 배치되는 브래킷과, 실내외 벽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일단이 브래킷에 고정되고 타단이 둘 이상으로 분기되어 상호 대향하게 굽어진 걸림턱이 형성된 몸체를 구비한 다수의 파스너; 상하 또는 좌우 둘레면 중 선택된 한 곳 이상에 몸체의 타단을 수용하도록 절개 형성된 안착홈을 갖추고, 파스너를 따라 상하좌우로 이웃하는 다른 미장패널과 간극없이 접합해 배치 고정되며, 걸림턱이 삽입돼 맞물리도록 안착홈의 일지점이 절개 형성된 걸림홈을 갖춘 다수의 미장패널; 및 미장패널과 실내외 벽면 사이에 다수 개가 나란히 배치 고정되고, 브래킷과 연결되는 막대 형상의 고정대;로 된 실내외 벽면 마감용 미장패널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는 고정대의 수직방향으로 일렬 배치되고;
일렬 배치된 파스너들을 따라 파스너의 각 몸체에 순차로 엮여 고정되며, 탄성 및 가요성을 갖는 막대 형상의 지지보를 더 포함하는 실내외 벽면 마감용 미장패널 설치구조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파스너를 이용해 상하 좌우에 위치한 다른 미장패널과 긴밀히 결속되면서 실내외 벽면과도 단단히 고정되므로 미장패널의 견고한 설치가 가능하고, 작업자는 볼트 또는 핀과 같은 각종 고정수단을 미장패널에 직접 적용하지 않고 미장패널을 끼워 맞추기만 하면 되므로, 미장패널의 설치기간을 단축할 수 있 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장패널 설치구조에 적용되는 파스너의 제1실시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파스너를 이용해 미장패널이 설치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장패널 설치구조는 상하 좌우로 이웃하는 미장패널(10', 10")을 파스너(40)를 매개로 연결하는 동시에, 실내외 벽면에 고정한다.
이를 위한 파스너(40)는 일단이 실내외 벽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미장패널(10', 10")에 맞물리는 막대 형상의 몸체(41)와, 'ㄱ' 형상을 이루면서 절곡된 중심을 기준으로 일단은 실내외 벽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몸체(41)의 일단과 연결되는 브래킷(43)으로 구성된다.
브래킷(4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외 벽면과 직접 고정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브래킷(43)의 일단은 실내외 벽면에 끼워지는 볼트 또는 핀 등이 관통하도록 상하방향으로 길게 절개 형성된 제1관통구멍(43a)이 형성되고, 타단은 몸체(41)의 일단을 관통한 고정핀(44)이 관통하도록 절개 형성된 제2관통구멍(43b)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관통구멍(43a)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서, 실내외 벽면에 고정되는 브래킷(43)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몸체(41)의 일단은 브래킷(43)의 타단과 연결된다. 이를 위해 브래킷(43)의 타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관통구멍(43b)이 형성되고, 몸 체(41)의 일단에는 제2관통구멍(43b)에 상응하는 제1체결구멍(41a)이 형성된다. 이때, 제1체결구멍(41a)과 제2관통구멍(43b)은 고정핀(44)이 관통하고, 결국 고정핀(44)에 의해 브래킷(43)과 몸체(41)는 상호 체결된다.
한편, 제1체결구멍(41a) 또는 제2관통구멍(43b) 중 하나 이상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개 형성되어서, 브래킷(43)과 몸체(41)의 체결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즉, 몸체(41)의 타단에 연결되는 미장패널(10', 10")과 실내외 벽면 간의 이격 거리를 작업자가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실내외 벽면의 굴곡에 상관없이 작업자는 미장패널(10', 10")을 항시 평평하게 배치 및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모습에서는 몸체(41)의 타단에 제2체결구멍(41b)이 형성된다. 제2체결구멍(41b)은 별도의 핀 또는 볼트 등이 관통하고, 상기 핀 또는 볼트 등은 미장패널(10', 10")의 둘레면에 끼워지면서 미장패널(10', 10")과 연결된다. 결국, 미장패널(10', 10")은 브래킷(43)과 몸체(41)를 매개로 실내외 벽면에 고정됨은 물론,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개 형성된 제1,2관통구멍(43a, 43b) 및 제1체결구멍(41a)에 의해 실내외 벽면의 굴곡에 상관없이 미장패널(10', 10")의 설치 위치를 작업자가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미장패널(10', 10")은 이웃하는 다른 미장패널(10', 10")과의 긴밀한 접합을 위해, 파스너(40)의 몸체(41)와 맞물리는 둘레면에는 안착홈(12)에 형성된다. 즉, 몸체(41)가 안착홈(12)에 맞물려 삽입되면서, 몸체(41)의 두께로 인해 이웃하는 미장패널(10', 10")이 서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장패널 설치구조에 적용되는 파스너의 제2실시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파스너를 이용해 미장패널이 설치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실시모습의 파스너(40')에 구성된 브래킷(43) 및 몸체(41)는 앞서 설명한 파스너(40)의 브래킷(43) 및 몸체(41)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스너(40')는 몸체(41)의 타단에 돌출 형성되어서 미장패널(10', 10")과 맞물리는 걸림턱(42, 42')을 구비한다.
상기 걸림턱(42, 42')은 몸체(41)의 타단이 둘 이상으로 분기되어 상호 대향하게 굽어진 것으로, 이렇게 형성된 걸림턱(42, 42')은 일렬로 배치된 미장패널(10', 10")의 둘레면과 맞물려서 미장패널(10', 10")이 실내외 벽면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잡는다. 이를 위해 미장패널(10', 10")의 둘레면에는 걸림턱(42, 42')이 삽입돼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걸림홈(13)이 형성된다. 또한, 두께를 갖는 걸림턱(42, 42') 및 몸체(41)가 서로 이웃하는 미장패널(10', 10")을 이격시키지 않도록 상기 걸림턱(42, 42') 및 몸체(41)가 삽입되기 위해 일정깊이로 절개 형성된 안착홈(12')이 더 형성된다. 물론, 걸림턱(42, 42')과 몸체(41)는 일체로 연결될 것이므로, 걸림턱(42, 42')과 몸체(41)가 각각 맞물리는 걸림홈(13)과 안착홈(12')은 서로 연통해야 할 것이다.
미장패널(10', 10")의 걸림홈(13)과 안착홈(12')은 미장패널(10', 10")의 각 둘레면 마다 두 개씩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선택된 둘레면 에만 하나 이상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파스너(40)는 콘크리트 또는 천역석 등과 같은 석재로 된 미장패널(10', 10")을 지지 및 고정하므로, 그 하중을 버틸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파스너(40)는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대(43)는 실내외 벽면 또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별도의 고정대(50; 도 8 참조)에 몸체(41)를 연결 및 고정하는 것으로, 실내외 벽면 또는 고정대(50) 등에 연결 및 고정되기 위한 구조는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파스너(40)를 매개로 고정되는 다수 개의 미장패널(10', 10")은 이웃하는 미장패널(10', 10") 간에 간극없는 긴밀한 연결을 이룰 수 있고, 실내외 벽면에 견고히 고정된 파스너(40)에 안착 고정되므로, 작업자가 파스너(40)를 관통하는 별도의 앵커(20; 도 2 참조) 또는 이웃하는 미장패널(10', 10")을 연결하는 링커(30)를 일일이 끼우지 않아도 미장패널(10', 10") 간에 견고한 결속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몸체(41) 및 걸림턱(42, 42')과 맞물리는 안착홈(12) 및 걸림홈(13)은 상호 간의 마찰을 극대화하면서 완충효과를 줄 수 있는 고무재질의 패드(미도시함)를 삽입해서, 미장패널(10', 10")과 파스너(40) 간의 이탈과 충격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미장패널 설치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 시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장패널 설치구조는 미장패널(10', 10")의 고정을 위한 고정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대(50)는 미장패널(10', 10")을 실내외 벽면과 일체로 고정하기 위해 보강 설치되는 막대 형상의 자재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렬로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나, 상하좌우로 직교하는 망 형태를 이룰 수도 있을 것이다.
고정대(50)는 미장패널(10', 10")의 고정을 위해 실내외 벽면을 따라 다수 개가 나란히 고정 배치된다. 한편, 고정대(50)는 공지된 브래킷(미도시함)을 매개로 벽면에 일일이 고정될 것이다.
파스너(40')는 브래킷(43)을 매개로 실내외 벽면을 대신해 고정대(50)의 지정된 위치에 고정 배치된다.
본 실시예를 참조해 본 발명에 따른 설치구조에 대한 시공순서를 간단히 설명하면, 작업자는 미장패널(10', 10")을 설치할 실내외 벽면에 다수의 고정대(50)를 나란히 고정 배치한다. 이때, 고정대(50)들의 간격은 미장패널(10', 10")에 형성된 걸림홈(13)의 위치에 상응해야 할 것이다.
계속해서, 고정대(50)의 설치와 동시에, 또는 설치 후에는 파스너(40')를 고정대(50)에 설치한다. 이때, 상하로 배치되는 파스너(40')의 간격은 미장패널(10', 10")의 높이에 상응해야 할 것이다.
이렇게 파스너(40')가 고정되면, 상하로 위치한 파스너(40')에 맞춰 미장패널(10', 10")을 끼운다. 즉, 미장패널(10', 10")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걸림 홈(13)에 파스너(40')의 걸림턱(42, 42')이 각각 삽입돼 맞물리도록 하는 것이다.
결국, 걸림턱(42, 42')에 맞물린 미장패널(10', 10")은 자중에 의해 걸림턱(42, 42')과의 맞물림이 더욱 긴밀해지면서, 상하 좌우로 이웃하는 미장패널(10', 10") 간의 결속이 강화되고, 파스너(40')를 매개로 한 고정성이 향상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미장패널 설치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장패널 설치구조는 상하 좌우로 이웃하는 파스너(40') 간의 결속은 물론 미장패널(10', 10")이 가하는 하중을 분산하는 지지보(60)를 더 포함한다.
지지보(60)는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 및 탄성을 갖는 막대 형상을 이루고, 수평하게 배치된 파스너(40')의 몸체(41)와 엮인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지지보(60)는 수평위치에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파스너(40')의 몸체(41) 상하면에 교대로 엮이면서, 지지보(60)가 갖는 탄성으로 파스너(40')를 상하로 밀어내도록 하는 것이다. 즉, 지지보(60)는 파스너(40')를 상하로 밀면서 걸림턱(42, 42')과 걸림홈(13) 간의 결속을 견고히 하고, 걸림턱(42, 42')과 걸림홈(13) 간 결속에 필요한 힘을 이웃하는 걸림턱(42, 42')과 걸림홈(13)을 결속하는데 필요한 힘으로부터 제공받으므로, 미장패널(10', 10")의 고정을 위한 힘을 효과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지지보(60)의 설치는 별도의 체결수단을 요함 없이 파스너(40')를 따 라 가요성 재질의 지지보(60)를 교대로 엮어 끼우기만 하면 되므로, 설치에 필요한 작업시간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보(60)의 위치를 수평한 것으로 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지지보(60)는 하나의 고정대(50)를 따라 상하로 위치하는 파스너(40')에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보(60)는 수평 또는 수직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수평 및 수직하게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지지보(60)는 파스너(40')가 미장패널(10', 10")에 일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이웃하는 지지보(60)가 동일한 규칙으로 파스너(40')에 엮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미장패널(10', 10")은 전방으로 드러나는 전면이 탈색되거나, 습기의 출입, 특히 미장패널(10', 10")의 가장자리로 집중되는 습기의 출입으로 인해 미장패널(10', 10") 자체가 변색되는 문제를 해소하도록, 미장패널(10', 10")의 전면에 표면강화제를 도포하고, 폴리싱 처리를 통해 전면이 매끈해지도록 가공할 수 있다. 이러한 가공을 통해 미장패널(10', 10")의 탈색률을 낮출 수 있고, 결국 수명을 연장시켜서 깔끔한 외관과 이미지를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미장패널이 설치되는 다른 실시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장패널(10', 10")은 상하 이격공간에 패킹(70)이 배치되면 서 미장패널(10', 10")을 중심으로 하는 전후방의 통기를 최소화한다.
이는 미장패널(10', 10") 간의 직접적인 접촉시 미장패널(10', 10")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최소화해서, 공기에 포함된 수분에 의한 미장패널(10', 10")의 변성률을 낮추고, 미장패널(10', 10")이 서로 가하는 충격을 완충한다.
패킹(70)은 완충성질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이 적용될 수 있는데, 미장패널(10', 10") 간의 통기 및 완충을 위한 성질을 갖는 재질이라면,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계속해서, 미장패널(10', 10")의 배면에는 단열재(80)가 밀착 배치될 수 있다. 단열재(80)는 벽면에서 방출되는 한기 또는 열기 등이 미장패널(10', 10")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으로, 미장패널(10', 10")이 항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변형 또는 변성이 일어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단열재(80)는 단열성질이 우수한 합성수지 또는 토사(점토) 등이 될 수 있고, 미장패널(10', 10")의 배면에 밀착되어 미장패널(10', 1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장패널이 설치되는 또 다른 실시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미장패널(10', 10") 간의 긴밀하면서도 안정된 연결을 위해 분리대(90)가 미장패널(10', 10")의 일측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분리대(90)는 파스너의 몸체(41) 상하면을 감싸는 'ㄷ' 형상으로 절곡되면서 미장패널(10', 10")의 측면과 마주하게 접하고, 파스너의 걸림턱(42, 42')이 통하는 일지점은 걸림턱(42, 42')이 간섭없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절개되며, 양단은 미장패널(10', 10")의 배면과 밀착되도록 절곡된다. 이때, 미장패널(10', 10")과 분리대(90)는 별도의 접착제를 매개로 상호 접착될 수 있는데, 접착제로는 실리콘 재질의 접착제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미장패널(10', 10")의 배면에 단열재(80)가 보강될 수 있으므로, 분리대(90)의 양단은 각각 단열재(80)와 접착될 수도 있다.
참고로, 분리대(90)는 다양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나, 자체 산화 및 변성률이 낮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미장패널(10', 10")과 마주하는 벽면에는 단열재(80')가 보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미장패널(10', 10")의 배면에는 단열재(80)가 설치되지 않고, 벽면에만 단열재(80')가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건축물의 실내외 벽면에 미장패널을 설치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미장패널의 종래 설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장패널 설치구조에 적용되는 파스너의 제1실시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파스너를 이용해 미장패널이 설치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장패널 설치구조에 적용되는 파스너의 제2실시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파스너를 이용해 미장패널이 설치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구조로 설치된 미장패널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전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미장패널 설치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미장패널 설치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미장패널이 설치되는 다른 실시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장패널이 설치되는 또 다른 실시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Claims (7)

  1. 실내외 벽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 배치되는 브래킷(43)과, 실내외 벽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일단이 브래킷(43)에 고정되고 타단이 둘 이상으로 분기되어 상호 대향하게 굽어진 걸림턱(42, 42')이 형성된 몸체(41)를 구비한 다수의 파스너(40); 상하 또는 좌우 둘레면 중 선택된 한 곳 이상에 몸체(41)의 타단을 수용하도록 절개 형성된 안착홈(12)을 갖추고, 파스너(40)를 따라 상하좌우로 이웃하는 다른 미장패널(10)과 간극없이 접합해 배치 고정되며, 걸림턱(42, 42')이 삽입돼 맞물리도록 안착홈(12)의 일지점이 절개 형성된 걸림홈(13)을 갖춘 다수의 미장패널(10); 및 미장패널(10)과 실내외 벽면 사이에 다수 개가 나란히 배치 고정되고, 브래킷(43)과 연결되는 막대 형상의 고정대(50);로 된 실내외 벽면 마감용 미장패널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40)는 이웃하는 고정대(50)를 따라 수평하게 일렬 배치되고;
    일렬 배치된 파스너(40)들을 따라 파스너(40)의 각 몸체(41)에 순차적으로 상하로 엮여 고정되며, 탄성 및 가요성 재질로 된 막대 형상의 지지보(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벽면 마감용 미장패널 설치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43)은 중심부가 절곡된 'ㄱ' 형상을 이루고, 양단에는 각각 제1,2관통구멍(43a, 43b)이 형성되되, 상기 제1관통구멍(43a) 또는 제2관통구멍(43b)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은 이를 관통하는 핀이 브래킷(4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길게 절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벽면 마감용 미장패널 설치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41)의 일단은 제1체결구멍(41a)이 형성되되, 제1체결구멍(41a)을 관통하는 핀이 몸체(4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길게 절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벽면 마감용 미장패널 설치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장패널(10)의 전면은 표면강화제 도포 후 폴리싱 처리되고, 미장패널(10) 사이에는 패킹(70)이 배치되며, 미장패널(10)의 배면에는 단열재(80)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벽면 마감용 미장패널 설치구조.
KR1020090006203A 2009-01-23 2009-01-23 실내외 벽면 마감용 미장패널 설치구조 KR100940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203A KR100940096B1 (ko) 2009-01-23 2009-01-23 실내외 벽면 마감용 미장패널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203A KR100940096B1 (ko) 2009-01-23 2009-01-23 실내외 벽면 마감용 미장패널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0096B1 true KR100940096B1 (ko) 2010-02-02

Family

ID=42082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203A KR100940096B1 (ko) 2009-01-23 2009-01-23 실내외 벽면 마감용 미장패널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00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52632A (zh) * 2018-10-31 2019-01-22 李强 集成墙面安装结构
KR20190038708A (ko) * 2017-09-29 2019-04-09 류대형 내진 성능을 갖춘 열교 차단형 단열 벽 패널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8785A (ja) * 1993-02-23 1994-09-06 Yasuo Futaki 板物建材の貼付け乾式工法
KR20060093365A (ko) * 2005-02-21 2006-08-25 김대일 건축물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438982Y1 (ko) * 2006-12-15 2008-03-14 (주)석철 건물의 내외장형 석재 고정 트러스 구조물
KR20080027318A (ko) * 2008-03-07 2008-03-26 이봉재 건물의 외벽면 시공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8785A (ja) * 1993-02-23 1994-09-06 Yasuo Futaki 板物建材の貼付け乾式工法
KR20060093365A (ko) * 2005-02-21 2006-08-25 김대일 건축물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438982Y1 (ko) * 2006-12-15 2008-03-14 (주)석철 건물의 내외장형 석재 고정 트러스 구조물
KR20080027318A (ko) * 2008-03-07 2008-03-26 이봉재 건물의 외벽면 시공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8708A (ko) * 2017-09-29 2019-04-09 류대형 내진 성능을 갖춘 열교 차단형 단열 벽 패널 구조체
KR102055042B1 (ko) * 2017-09-29 2019-12-12 류대형 내진 성능을 갖춘 열교 차단형 단열 벽 패널 구조체
CN109252632A (zh) * 2018-10-31 2019-01-22 李强 集成墙面安装结构
CN109252632B (zh) * 2018-10-31 2024-03-08 李强 集成墙面安装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0499B1 (ko) 벽체 마감장치
US8789339B2 (en) Method for making façades of buildings
ES2324808A1 (es) Mejoras introducidas en la patente de invencion n. p- 200500240 por suelo desmontable.
TW200528614A (en) Device for mounting an earthquake-resistant partition
WO2019128093A1 (zh) 地面铺设系统及方法
KR101251700B1 (ko) 채널형 클립이 적용되는 테크 자재의 결합 시스템
KR101216549B1 (ko) 단열재와 섬유시트가 결합된 복합단열패널 및 그 복합단열패널을 이용한 외단열 시공 방법
KR101463222B1 (ko) 건축용 외장패널 고정 구조체
JP5192347B2 (ja) 断熱パネル及び断熱パネルの接続構造
KR100940096B1 (ko) 실내외 벽면 마감용 미장패널 설치구조
ES2212203T3 (es) Sistema de montaje para paneles de revestimiento de fachada de edificios.
RU251402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навесных облицовочных панелей на фасадах зданий скрытым способом
US1732348A (en) Acoustical wall support
KR102262976B1 (ko) 건물 외벽의 복합패널 마감구조
RU240335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навесных облицовочных панелей из керамического гранита на фасадах зданий скрытым способом
JP5639500B2 (ja) 金属サンドイッチ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75241A (ko) 천장판 설치구조
RU2426847C2 (ru)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облицовки зданий и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способа
KR20140006220U (ko) 석재고정 브라켓 구조 및 석재 복합 패널
KR20130087789A (ko) 샌드위치 패널
EP2857609B1 (en) Method for making facades of buildings
RU6713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фасадных плит
CN215166847U (zh) 外墙系统
KR200412100Y1 (ko) 천장판 설치구조
CN210216837U (zh) 一种建筑装饰幕墙快速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