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5241A - 천장판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천장판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5241A
KR20070075241A KR1020060066955A KR20060066955A KR20070075241A KR 20070075241 A KR20070075241 A KR 20070075241A KR 1020060066955 A KR1020060066955 A KR 1020060066955A KR 20060066955 A KR20060066955 A KR 20060066955A KR 20070075241 A KR20070075241 A KR 20070075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plate
plate
ceiling
support
attachmen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6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주
Original Assignee
김성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주 filed Critical 김성주
Publication of KR20070075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52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3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connection means at the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04B9/245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by means of screws, bolts or clamping strips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edge details of the ceiling; e.g. securing to an adjacent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판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천장판 설치구조는 천장 슬래브의 하면에 앵커를 이용하여 경간행거를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하고, 이 경간행거의 하부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기다란 복수개의 경간을 고정하고, 이 경간의 하면에 경간과 직교하는 천장판 부착대를 고정 결합하여 이 천장판 부착대에 천장판을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욕실 천장 슬래브의 내부 및 그 상측에는 각종 배관과 전선 등이 매설 또는 설치되어 있고 방수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천장 슬래브에 경간행거를 고정하기 위하여 앵커를 타입하는 과정에서 각종 배관과 전선 등에 손상을 주고 방수층을 파괴하게 되며, 또한 천장판는 그 가장자리만이 지지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바 천장판의 폭이 30cm정도일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천장판의 폭이 30cm이상으로 넓은 경우에는 그 중간부가 밑으로 처지게 되는 하자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벽체에 고정되는 지지부재에 천장판 부착부재를 연결하고, 이 천장판 부착부재에 천장판을 부착함으로써 천장 슬래브에 매설된 각종 배관과 전선 등을 손상시키거나 방수층을 파괴시키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천장판 처짐방지수단에 의하여 천장판의 폭이 넓을 경우에도 그 중간부가 밑으로 처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미관을 해치는 일이 없게 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장판 설치구조{Ceiling Installing Structure}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천장판 설치구조의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설치 상태 평면도,
도 2는 설치 상태 종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3은 설치상태 확대 단면도,
도 4는 설치상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분해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천장판 설치구조의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6은 설치상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분해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천장판 처짐방지수단의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8은 분해 사시도,
도 9는 설치상태 종단 측면도 및 종단 정면도,
도 10은 천장판 처짐방지수단의 제2 실시예를 보인 설치상태 종단 측면도 및 종단 정면도,
도 11은 천장판 처짐방지수단의 제3 실시예를 보인 설치상태 종단 측면도 및 종단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지지부재 200 : 천장판 부착부재
300 : 연결부재 400 : 천장판
500,700 :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부재 610 : 몰딩결합부재
620 : 마감몰딩 810,850,880 : 자석삽입홈
820,860,890 : 영구자석편 840,870 : 자성체띠
본 발명은 천장판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욕실 천장에 적합한 천장판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건물 실내의 천장에 천장판을 설치함에 있어서는 천장 슬래브의 하면에 앵커를 이용하여 경간행거를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하고, 이 경간행거의 하부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기다란 복수개의 경간을 고정하고, 이 경간의 하면에 경간과 직교하는 천장판 부착대를 고정 결합하여 이 천장판 부착대에 천장판을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욕실 천장 슬래브의 내부 및 그 상측에는 각종 배관과 전 선 등이 매설 또는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천장 슬래브에 경간행거를 고정하기 위하여 앵커를 타입하는 과정에서 각종 배관과 전선 등에 손상을 주게 될 염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천장 슬래브에 설치된 방수층이 파괴되면서 방수기능을 상실하게 되어 누수와 누전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천장판의 중간부에 택(tack) 또는 피스를 박을 경우 미관을 해치게 되므로 천장판의 가장자리만이 지지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바 천장판의 폭이 30cm정도일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천장판의 폭이 30cm이상으로 넓은 경우에는 그 중간부가 밑으로 처지게 되는 하자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욕실 천장 슬래브에 매설 또는 설치된 각종 배관과 전선 등에 손상을 주지 않고 방수층을 파괴하지 않으면서도 천장판을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시공이 간편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천장판 설치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장판의 폭이 넓을 경우에도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그 중간부가 밑으로 처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천장판 설치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내의 네 벽체중 전후벽체에 좌우로 가로질러 마주보고 고정 설치되는 전후측 지지부재와; 상기 전후측의 지지부재에 선,후단이 지지되는 복수개의 천장판 부착부재와;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의 양 단을 상기 전후측 지지부재에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네 벽체중 좌우벽체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길이와 전후벽체 사이의 간격을 복수개로 나눈 폭을 가지는 복수개의 허니컴형 천장판과;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천장판 중 전후벽체측에 위치하는 천장판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지지하는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수단 및; 상기 천장판들 중 서로 인접하는 천장판의 선단부와 후단부의 연결부를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에 고정하는 천장판 연결부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천장판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내의 네 벽체중 전후벽체에 좌우로 가로질러 마주보고 고정 설치되는 전후측 지지부재와; 상기 전후측의 지지부재에 선,후단이 지지되는 복수개의 천장판 부착부재와;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의 양단을 상기 전후측 지지부재에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네 벽체중 좌우벽체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길이와 전후벽체 사이의 간격을 복수개로 나눈 폭을 가지는 복수개의 허니컴형 천장판과;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천장판 중 전후벽체측에 위치하는 천장판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지지하는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수단 및; 상기 천장판들 중 서로 인접하는 천장판의 선단부와 후단부의 연결부를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에 고정하는 천장판 연결부 고정수단 및;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와 천장판 사이에 설치되어 천장판의 중간부가 밑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천장판 처짐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천장판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천장판 설치구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천장판 설치구조의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설치 상태 평면도, 도 2는 설치 상태 종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3은 설치상태 확대 단면도, 도 4는 설치상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천장판 설치구조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의 네 벽체중 전후벽체(1,2)에 좌우로 가로질러 마주보고 고정 설치되는 전후측 지지부재(100)와; 상기 전후측의 지지부재(100)에 선,후단이 지지되는 복수개의 천장판 부착부재(200)와;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양단을 상기 전후측 지지부재(100)에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네 벽체중 좌우벽체(3,4)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길이와 전후벽체(1,2) 사이의 간격을 복수개로 나눈 폭을 가지는 복수개의 허니컴형 천장판(400)과;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에 결합되어 상기 천장판(400) 중 전후벽체(1,2)측에 위치하는 천장판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지지하는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수단과; 상기 천장판(400)들 중 서로 인접하는 천장판의 선단부와 후단부의 연결부를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에 고정하는 천장판 연결부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후측 지지부재(100)는 PVC 등의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것으로, 각각 상기 전후벽체(1,2)에 고정되는 수직고정부(110)와, 상기 수직고정부(110)의 대략 중간부에서 내측을 향해 수평 절곡된 수평지지부(120)를 가지는 대략 "ㅏ"자 및 "ㅓ"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후측 지지부재(100)는 그 수직고정부(110)를 전후벽체(1,2)에 대고 태커(tacker)에 의하여 택(tack)(T1)을 박는 것에 의해 전후벽체(1,2)에 고정된다.
여기서 전후측 지지부재(100)를 전후벽체(1,2)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택을 사용하지 않고 피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전후측 지지부재(100)가 PVC 등의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 시공할 경우 택(T1) 또는 피스를 박는 과정에서 수직고정부(110)가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직고정부(110)의 상반부와 수평지지부(120)에 아연도 철판 등의 금속제 보강편(130)을 덧씌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개의 천장판 부착부재(200)는 아연도 철판 등의 자성체인 철판을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하면판(210)과, 이 하면판(210)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수직 절곡되는 수직판(220) 및 이 수직판(220)의 상단에서 안쪽으로 수평 절곡되는 한 쌍의 상면판(230)과, 이 상면판(230)에서 하방으로 수직 절곡되는 보강절곡편(240)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면판(210)과 수직판(220)에는 보강을 위하여 안쪽으로 볼록하고 바깥쪽으로 오목한 엠보싱부(211,221)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선단과 후단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전후측 지지부재(100)에 고정되는 선후단 연결부재(300)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300)는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하면판(210), 수직판(220) 및 상면판(23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대략 사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되며, 각각 일단면(310)에는 상기 지지부재(100)의 수평부(120)가 끼워지 는 연결홈(3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00)의 양측면(320)에는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수직판(220)에 형성된 엠보싱부(221)에 대응하는 안내홈(321)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300)는 단순히 사각기둥 모양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무게를 줄이고 소요 재료를 절감하기 위하여 살빼기홈(33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장판(400)은 합성수지에 의해 연속적으로 압출성형하여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하니컴형 경량판재로서, 상, 하판(401,402)이 복수개의 연결편(403)으로 연결한 것이며, 선단에는 그 중단부에 위치하는 얇은 두께의 삽입편(404)과, 이 삽입편(404)의 상하부에 위치하는 상하측 걸림턱(405,406)이 전장에 걸쳐서 형성되고, 후단에는 상기 상측 걸림턱(405)위에 걸쳐지는 상측 걸림편(407)과 상기 하측 걸림턱(406)이 걸쳐지는 하측 걸림편(408)과 이들 상하측 걸림편(407,408)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삽입편(404)이 삽입되는 삽입홈(409)이 형성된다.
상기 전벽체(1)측에 위치하는 천장판(400)의 선단부는 삽입편(404)과 상하측 걸림턱(405,406)이 형성되어 있어 두께가 얇으므로 두께보상부재(420)를 씌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보상부재(420)는 상기 상하측 걸림턱(405,406)에 대응하는 상하측 수평부(421,422)와, 상기 상하측 수평부(421,422)를 연결하는 수직부(423) 및 상기 상하측 수평부(421,422)에서 돌출되어 그 사이로 상기 삽입편(404)이 삽입되는 돌기(424,425)로 구성된다.
상기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수단은 천장판(400) 중 전벽체(1)측에 위치하는 최선단의 천장판(400)의 선단부와 후벽체(2)측에 위치하는 최후단의 천장판(400)의 후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에 타입되는 택으로 구성할 있으나, 이 경우 통상적인 택은 습기에 의해 쉽게 녹이 슬기 때문에 욕실에 설치되는 경우 실질적으로는 그 적용이 곤란하므로 아연도 철판 등과 같이 습기에 노출되었을 때 쉽게 녹슬지 않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수단은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양측 수직판(220)에 대응하는 양측 수직판(510)과, 이 양측 수직판(510)의 하단을 연결하는 수평판(520)과, 상기 수직판(510)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상면판(230)과 보강절곡편(240)에 고정되는 복수개(도시예에서는 4개)의 고정편(530)과, 상기 수평판(520)의 선단에서 하향 및 후향 절곡되어 상기 최선후단 천장판(400)의 선후단부를 지지하는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편(540)을 가지는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클립(50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편(530)은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상면판(220)에 대응하는 수평부(531)와, 이 수평부(531)에서 하향 절곡되어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보강절곡편(240)에 대응하는 수직부(532) 및, 이 수직부(532)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보강절곡편(240)을 감싸는 수평절곡부(533)로 구성된다.
이러한 고정편(530)은 제조시에는 수직부(510)의 상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상태로 제조하고, 현장에서 수평부(531)와 수직부(532) 및 수평절곡부(533)로 절곡하여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클립(500)을 천장판 부착부재(200)에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직판(510)과 수평부(531) 사이와, 수평부(531)와 수직부(532) 사이 및, 수직부(532)와 수평절곡부(533)의 사이에는 각각 노치(534)를 형성하여 현장에서의 절곡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편(540)은 상기 수평판(520)에서 하향 절곡된 수직부(541)와, 이 수직부(541)에서 수평 절곡되는 수평부(542)로 구성된다.
이러한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편(540)은 제조시에는 수직부(541)와 수평부(542)가 펼쳐진 상태로 제조하고, 현장에서 수직부(541)와 수평부(542)로 절곡하여 천장판(400)의 최선후단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직부(541)와 수평부(542)의 사이에는 각각 노치(543)와 구멍(544)을 형성하여 현장에서의 절곡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양측 수직판(510)에는 상기 지지부재(100)의 수평부(12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절취홈(51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벽체(1)측에 위치하는 천장판(400)의 선단부와 후벽체(2)측에 위치하는 천장판(400)의 후단부는 각각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클립(500)의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편(540)에 직접 지지할 수도 있으나, 전후벽체(1,2)와 천장판(400) 사이의 틈새가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벽체(1)측에 위치하는 천장판(400)의 선단부와 후벽체(2)측에 위치하는 천장판(400)의 후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합성수지제 몰딩결합부재(610)와 이에 결합되는 합성수지제 마감몰딩(62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몰딩결합부재(610)는 수직부(611)와 이 수직부(611)의 상, 중, 하단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 상단 수평부(612), 중단 수평부(613) 및 하단 수평부(614)에 의하여 형성되어 상기 천장판(400)의 최선단부와 최후단부가 삽입되는 천장판 삽입홈(615)과, 마감몰딩(620)이 결합되는 마감몰딩 결합홈(616)으로 구성된다.
상기 마감몰딩(620)은 상기 몰딩결합부재(610)의 하단 수평부(614)에 대응하는 하면부(621)와, 상기 마감몰딩 결합홈(616)에 삽입되는 결합편(622)과, 하면부(621)와 결합편(622)을 연결하는 연결부(623) 및, 상기 하면부(621)에서 만곡 연장되어 그 선단이 천장판(400)의 하면에 밀착되는 만곡부(624)로 구성된다.
상기 몰딩결합부재(610)의 중단 수평부(613)의 하면에는 요철부(617)가 형성되고, 상기 하단 수평부(614)의 자유단부에는 후크형 돌기(618)가 형성되며, 상기 마감몰딩(620)의 결합편(622)의 하면에는 상기 중단 수평부(613)의 요철부(617)에 대응하는 요철부(625)가 형성되어 몰딩결합부재(610)의 마감몰딩 결합홈(616)에 마감몰딩(620)의 결합편(622)을 삽입하여 몰딩결합부재(610)에 마감몰딩(620)을 결합하였을 때 마감몰딩(620)이 몰딩결합부재(610)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일이 없도록 함과 아울러 보수를 위하여 마감몰딩(620)을 분리할 경우에는 쉽게 분리할 수 있도 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천장판 최선수단 지지클립(500)의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편(540)은 몰딩결합부재(610)의 하단 수평부(614)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몰딩결합부재(610)와 마감몰딩(620)은 모든 천장판(400)의 좌우측단부에도 결합되어 천장판(400)의 좌우측단부와 좌우벽체(3,4) 사이의 틈새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장판 연결부 고정수단은 천장판(400)의 후단부에 형성된 상측 걸림편(407)을 천장판 부착부재(200)에 고정하기 위한 택(T3)으로 구성된다.
상기 택(T3)은 피스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천장판 연결부 고정수단으로서는 등록특허 제0134744호에서와 같은 천장판 중간클립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서 "7"은 환기구이고, "8"은 점검구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천장판 설치구조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지지부재(100)의 수직고정부(110)를 전후벽체(1,2)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태커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택(T1)을 박아 고정한다.
이때 합성수지제 지지부재(100)의 수직고정부(110)에 택을 박는 과정에서 특히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는 수직고정부(110)가 깨질 염려가 있는 바, 수직고정부(110)의 상반부와 수평지지부(120)에 금속제 보강편(130)을 덧씌운 상태에서 택을 박음으로써 수직고정부(110)가 깨지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후벽체(1,2)에 고정된 전후측 지지부재(100)의 수평지지부(120) 사이의 간격보다 짧게 절단된 복수개의 천장판 부착부재(200)를 준비하고, 이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양단에 연결부재(300)를 끼운다.
이때 연결부재(300)의 선단부와 후단부는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양단에 삽입하여 천장판 부착부재(200)와 연결부재(300)를 포함한 전체 길이가 양측 지지부재(100)의 수평지지부(120) 사이의 간격보다 짧게 되도록 한 상태에서 연결부재(300)를 조금씩 인출하면서 연결부재(300)의 연결홈(311)에 수평지지부(120)가 끼워지도록 한다. 양측 연결부재(300)의 연결홈(311)에 지지부재(100)의 수평지지부(120)가 완전히 삽입되면, 천장판 부착부재(200)와 연결부재(300)를 포함한 전체 길이가 수직고정부(110) 사이의 간격과 일치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연결부재(300)와 천장판 부착부재(200)에 택(T2)을 박아 연결부재(300)가 천장판 부착부재(200)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양측 지지부재(100)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천장판 부착부재(200)를 설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천장판 부착부재(2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00)를 천장 슬래브에 설치하지 않고, 전후벽체(1,2)에 고정하는 것이므로 천장 슬래브에 매설된 각종 배관이나 전선 등을 손상시키거나 방수층을 파괴하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00)는 천장판 부착부재(200)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므로 시공오차에 의하여 전후벽체(1,2)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을 경우에도 지지부재(100)에 대한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연결을 정확하게 수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복수개의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양단부에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클립(500)을 결합한다.
이때 고정편(530)을 구성하는 수평부(531)와 수직부(532) 및 수평절곡부(533)가 펼쳐진 상태에서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클립(500)을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밑에서 끼워 올린 다음 고정편(530)을 구성하는 수평부(531)와 수직부(532) 및 수평절곡부(533)를 절곡하여 고정편(530)이 천장판 부착부재(200)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클립(500)은 그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편(540)이 각각 전후벽체(1,2)에 밀착되는 상태로 고정한다.
한편, 좌우벽체(3,4)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천장판(400)을 준비하고, 전후벽체(1,2) 사이의 간격이 천장판 폭의 정수배가 아닌 경우에는 하나의 천장판은 적절한 폭으로 절단하여 준비한다.
전벽체(1)측에 위치하는 최선단 천장판(400)의 선단부에는 두께보상부재(420)를 끼워 그 선단부의 두께가 다른 부분의 두께와 일치되도록 한다. 두께보상부재(420)는 그 상하측 수평부(421,422)가 천장판(400)의 선단부에 형성된 결합턱(405,406)에 대응되고, 돌기(424,425) 사이에는 천장판(400)의 선단부에 형성된 삽입편(404)이 삽입된다.
다음, 두께보상부재(420)가 결합된 천장판(400)의 선단부에 몰딩결합부재(610)를 결합한다. 몰딩결합부재(610)에는 그 천장판 삽입홈(615)에 천장판(400) 의 선단부, 즉 천장판(400)의 선단부에 결합된 두께보상부재(420)가 몰딩결합부재(610)의 천장판 삽입홈(615)에 삽입된다.
몰딩결합부재(610)가 결합된 천장판(400)의 선단부, 즉 몰딩결합부재(610)를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와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클립(500)의 하면에 밀착시키면서 상기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부(540)의 수직부(541)에 밀착시킨 다음 수평부(542)를 절곡하여 천장판의 최선단이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클립(50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선단부가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클립(500)에 지지된 천장판(400)은 그 후단부에 형성된 상측 걸림편(407)과 천장판 부착부재(200)에 천장판 연결부 고정수단인 택(T3)을 박음으로써 최선단 천장판(4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택(T3)을 박는 대신 등록특허 제0134744호에서와 같은 천장판 중간클립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 최선단측 천장판(400)의 후단부에 형성된 삽입홈(409)에 두 번째 천장판(400)의 선단에 형성된 삽입편(404)을 끼움과 아울러 최선단측 천장판(400)의 상하측 걸림턱(405,406)에 두 번째 천장판(400)의 걸림편(407,408)이 걸린 상태로 결합되도록 하고, 두 번째 천장판(400)의 후단부에 형성된 걸림편(407)과 천장판 부착부재(200)에 택(T3)을 박음으로써 두 번째 천장판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최선단 천장판(400)의 후단부와 두 번째 천장판(400)의 선단부는 삽입편(404)이 삽입홈(409)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하측 걸림편(407,408)이 상하측 걸림턱(405,406)에 걸리는 상태로 되므로 최선단 천장판(400)의 후단부와 두 번째 천장 판(400)의 선단부 사이에는 틈새가 벌어지는 일이 없이 연결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후벽체(2)측에 위치하는 천장판(400)을 제외한 모든 천장판의 설치가 완료되면, 최후단 천장판(400)의 선단부를 상술한 방법으로 그보다 먼저 설치된 천장판(400)의 후단부에 결합함과 아울러 수평상태로 밀어올리면 최후단부가 후벽체(2)측에 위치하는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클립(500)의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편(540)의 수직부(541)에 대응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부(540)의 수평부(542)를 절곡하여 천장판(400)의 최후단이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클립(50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모든 천장판(4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상기 최후단 천장판(400)의 후단부에는 상술한 최선단 천장판(400)의 선단부와 마찬가지로 몰딩결합부재(610)가 결합된 상태로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클립(500)에 지지되도록 한다.
최종적으로 상기 몰딩결합부재(610)의 마감몰딩 결합홈(616)에 마감몰딩(620)의 결합편(622)을 삽입하여 상기 몰딩결합부재(610)의 중단 수평부(613)의 하면에 형성된 요철부(617)와 마감몰딩(620)의 결합편(622)의 상면에 형성된 요철부(625)가 대응되고, 몰딩결합부재(610)의 하단 수평부(614)에 형성된 후크형 돌기(618)가 마감몰딩(620)의 결합편(622)의 하면에 밀착됨과 아울러 상기 마감몰딩(620)의 하면부(621)의 단부가 전후벽체(1,2)[도시예에서는 타일면(5,6)]에 밀착되고, 만곡부(624)의 선단이 천장판(400)의 하면에 밀착되어 천장판(400)과 벽체(1,2)[도시예에서는 타일면(5,6)] 사이의 틈새를 가림으로써 그 틈새가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몰딩결합부재(610)와 마감몰딩(620)은 최선단측 천장판(400)의 선단부와 최후단측 천장판(400)의 후단부외에도 모든 천장판(400)의 좌우측단부에도 설치함으로써 천장판(400)의 좌우측단부와 좌우벽체(3,4) 사이에 미관을 해치는 틈새가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몰딩결합부재(610)와 마감몰딩(620)은 중단 수평부(613)의 하면과 결합편(622)의 상면에 요철부(617,625)를 형성하였으므로 몰딩결합부재(610)와 마감몰딩(620)이 임의로 분리되는 일이 없게 되며, 보수 등을 위해서 분리할 경우에는 마감몰딩(620)의 만곡부(624)를 밑으로 당기면 결합편(622)이 밑으로 처지게 되면서 마감몰딩(620)의 요철부(625)가 몰딩결합부재(610)의 요철부(617)로부터 이격되면서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마감몰딩(620)이 분리되면 상술한 설치시와 역순으로 천장판(400)을 분해할 수 있으며, 필요할 경우 천장판 부착부재(200)와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클립(500)과 연결부재(300) 및 지지부재(100)도 분해하여 보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몰딩결합부재(610)와 마감몰딩(620)을 사용하여 천장판의 가장자리와 네 벽체(1,2,3,4) 사이의 틈새를 마감처리하였으나, 이러한 몰딩결합부재(610)와 마감몰딩(62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최선단 천장판(400)의 선단부와 최후단 천장판(400)의 후단부가 직접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클립(50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천장판(400)의 하면과 네 벽면에 접착제로 접착되는 통상적인 모서리 마감몰딩을 사용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천장판 설치구조의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이 다.
본 실시예에서는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수단이,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양측 수직판(220)에 대응하는 양측 수직판(710)과, 이 양측 수직판(710)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판(720)과, 상기 양측 수직판(710)의 선단에서 측방 및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최선후단 천장판(400)의 선후단부를 지지하는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편(730)을 가지는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클립(7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편(730)은 상기 수평판(720)에서 하향 절곡된 수직부(731)와, 이 수직부(731)에서 수평 절곡되는 수평부(732)로 구성된다.
이러한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편(730)은 제조시에는 수직부(731)와 수평부(732)가 펼쳐진 상태로 제조하고, 현장에서 수직부(731)와 수평부(732)로 절곡하여 천장판(400)의 최선후단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직부(731)와 수평부(732)의 사이에는 각각 노치(733)와 구멍(734)을 형성하여 현장에서의 절곡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양측 수직판(710)에는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수직판(220)에 형성된 엠보싱부(221)에 대응하여 안쪽으로 볼록하고 바깥쪽으로 오목한 엠보싱부(711)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 상기 양측 수직판(710)에는 상기 지지부재(100)의 수평부(12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절취홈(71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클립(700)을 천장판 부착부재(200)에 결합함에 있어서, 상부로부터 천장판 부착부재(200)에 씌워지고, 별도의 고정편 없이 엠보싱부(711)의 안쪽 볼록부가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엠보싱부(221)의 바깥쪽 오목부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클립(700)이 천장판 부착부재(200)에서 이탈되지 않게 되며,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클립(700)에 천장판(400)의 최선후단부를 지지함에 있어서 좌우 양측의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편(730,730)에 의해 지지하는 것이며, 여타 지지부재(100), 천장판 부착부재(200), 연결수단, 천장판(400), 몰딩결합부재(610)와 마감몰딩(620) 및 천장판 연결부 고정수단의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천장판(400)의 폭이 300mm 정도인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하더라도 그 폭방향 중간부가 밑으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나, 천장판(400)의 폭이 400mm 이상으로 넓은 경우에는 그 폭방향 중간부가 밑으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천장판의 중간부에 택을 박을 경우 택이 바깥으로 노출되어 천장판의 미관을 해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천장판의 처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천장판 처짐방지수단을 더 포함한다.
도 8 및 도 9는 천장판 처짐방지수단의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천장판 처짐방지수단은, 도 8 및 도 9(도 2, 도 5, 도 7 참조)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천장판(400)의 상판(401) 폭방향 중간부에 길이방 향으로 형성된 자석삽입홈(810)과, 이 자석삽입홈(810)에 접착제(821)로 접착되는 복수개의 영구자석편(820)으로 구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영구자석편(810)이 자성체(예컨대, 아연도 철판)로 형성된 천장판 부착부재(200)에 자력으로 흡착되면서 천장판(400)의 폭방향 중간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복수개의 영구자석편(820)은 시공현장에서 접착제(821)로 접착하게 되는 데 접착제(821)가 경화되기 전에 영구자석편(820)이 임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이프(830)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구자석편(820)은 천장판 부착부재(200)와의 흡착력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그 길이를 적어도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폭과 같거나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천장판 처짐방지수단의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천장판 처짐방지수단은, 상기 천장판(400)의 연결편(403) 사이에서 상판(401)과 하판(402) 사이에 삽입되어 상판(401)의 하면에 밀착되는 자성체띠(840)와,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하면판(210)에 형성된 자석삽입홈(850) 및, 이 자석삽입홈(850)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영구자석편(860)으로 구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영구자석편(860)이 상판(401)을 사이에 두고 자성체띠(840)에 흡착됨과 아울러 자성체(예컨대, 아연도 철판)로 형성된 천장판 부착부재(200)에 흡착되어 천장판(400)의 폭방향 중간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천장판 처짐방지수단의 제3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천장판 처짐방지수단은, 상기 천장판(400)의 연결편(403) 사이에 상판(401)과 하방(402) 사이에 삽입되어 상판(401)의 하면에 밀착되는 자성체띠(870)와, 상기 천장판(400)의 상판(401) 폭방향 중간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자석삽입홈(880) 및, 상기 자석삽입홈(880)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영구자석편(890)으로 구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영구자석편(890)이 상판(401)을 사이에 두고 자성체띠(870)에 흡착됨과 아울러 자성체(예컨대 아연도 철판)로 형성된 천장판 부착부재(200)에 흡착되어 천장판(400)의 폭방향 중간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천장판 처짐방지수단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영구자석편(890)은 천장판(400)을 시공하기 전에 미리 시공 설계 치수에 따라 천장판(400)의 정해진 위치에 점착테이프로 부착해둔 상태에서 시공함으로써 보다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구자석편(890)은 천장판 부착부재(200)와의 흡착력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그 길이를 적어도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폭과 같거나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성체띠(870)는 단순히 띠모양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상판(401)의 하면에 밀착되는 몸체(871)와, 이 몸체(871)의 양측에서 하향 절곡되어 연결편(403)에 밀착되는 절곡부(872)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천장판 처짐방지수단은 천장판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천장판의 중간부가 밑으로 처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천장판 설치구조에 의하면 천장 슬래브에 앵커를 타입하지 않고 벽체에 지지부재를 고정하고, 이에 천장판 부착부재를 설치하여 이 천장판 부착부재에 천장판을 부착하는 것이므로 천장 슬래브에 매설된 각종 배관과 전선 등을 손상시키거나 방수층을 파괴시키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천장판 설치구조에 의하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천장판 처짐방지수단에 의하여 천장판의 폭이 넓을 경우에도 그 중간부가 밑으로 처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미관을 해치는 일이 없게 되는 것이다.

Claims (15)

  1. 실내의 네 벽체중 전후벽체(1,2)에 좌우로 가로질러 마주보고 고정 설치되는 전후측 지지부재(100)와;
    상기 전후측의 지지부재(100)에 선,후단이 지지되는 복수개의 천장판 부착부재(200)와;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양단을 상기 전후측 지지부재(100)에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네 벽체중 좌우벽체(3,4)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길이와 전후벽체(1,2) 사이의 간격을 복수개로 나눈 폭을 가지는 복수개의 허니컴형 천장판(400)과;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에 결합되어 상기 천장판(400) 중 전벽체(1)측에 위치하는 천장판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수단 및;
    상기 천장판(400)들 중 서로 인접하는 천장판의 선단부와 후단부의 연결부를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에 고정하는 천장판 연결부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천장판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측 지지부재(100)는 전후벽체(1,2)에 택(T1)으로 고정되는 수직고정부(110)와, 상기 수직고정부(110)에서 수평으로 돌출되는 수평지지부(120)로 구성되고,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는 하면판(210)과, 이 하면판(210)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수직 절곡되는 수직판(220)과, 이 수직판(220)의 상단에서 안쪽으로 수평 절곡되는 한 쌍의 상면판(230)과, 이 상면판(230)에서 하방으로 수직 절곡되는 보강절곡편(240)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양단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며, 각각 일단면(310)에는 상기 지지부재(100)의 수평부(120)가 끼워지는 연결홈(311)을 가지는 연결부재(3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판 설치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측 지지부재(100)에는 수직고정부(110)의 상반부와 수평지지부(120)를 감싸는 금속제 보강편(1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판 설치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수단은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양측 수직판(220)에 대응하는 양측 수직판(510)과, 이 양측 수직판(510)의 하단을 연결하는 수평판(520)과, 상기 수직판(510)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상면판(230)과 보강절곡편(240)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편(530)과, 상기 수평판(520)의 선단에서 하향 및 후향 절곡되어 상기 최선후단 천장판(400)의 선후단부를 지지하는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편(540)을 가지는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클립(5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판 지지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530)은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상면판(220)에 대응하는 수평부(531)와, 이 수평부(531)에서 하향 절곡되어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보강절곡편(240)에 대응하는 수직부(532) 및, 이 수직부(532)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보강절곡편(240)을 감싸는 수평절곡부(533)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부(510)의 상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상태로 제조되어, 현장에서 수평부(531)와 수직부(532) 및 수평절곡부(533)로 절곡하여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클립(500)이 천장판 부착부재(200)에 고정도록 구성되고,
    상기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편(540)은 상기 수평판(520)에서 하향 절곡된 수직부(541)와, 이 수직부(541)에서 수평 절곡되는 수평부(542)로 구성되며, 수직부(541)와 수평부(542)가 펼쳐진 상태로 제조되어, 현장에서 수직부(541)와 수평부(542)로 절곡되어 천장판(400)의 최선후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판 설치구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수단은,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양측 수직판(220)에 대응하는 양측 수직판(710)과, 이 양측 수직판(710)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판(720)과, 상기 양측 수직판(710)의 선단에서 측방 및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최선후단 천장판(400)의 선후단부를 지지하는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편(730) 및, 상기 수직판(710)에 형성되어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엠보싱부(221) 바깥쪽 오목부에 끼워지도록 안쪽으로 볼록하고 바깥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엠보싱부(711)를 가지는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클립(7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판 설치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편(730)은 상기 수평판(720)에서 하향 절곡된 수직부(731)와, 이 수직부(731)에서 수평 절곡되는 수평부(732)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부(731)와 수평부(732)가 펼쳐진 상태로 제조되어, 현장에서 수직부(731)와 수평부(732)로 절곡되어 천장판(400)의 최선후단을 지지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판 설치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벽체(1)측에 위치하는 천장판(400)의 선단부와 후벽체(2)측에 위치하는 천장판(400)의 후단부 및 각 천장판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합성수지제 몰딩결합부재(610)와, 이 몰딩결합부재(610)에 결합되어 천장판의 가장자리와 네 벽체 사이의 틈새를 가리는 합성수지제 마감몰딩(620)을 더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판 설치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결합부재(610)는 수직부(611)와 이 수직부(611)의 상, 중, 하단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 상단 수평부(612), 중단 수평부(613) 및 하단 수평부(614)에 의하여 형성되어 상기 천장판(400)의 최선단부와 최후단부가 삽입되는 천장판 삽입홈(615)과, 마감몰딩(620)이 결합되는 마감몰딩 결합홈(616)으로 구성되며, 상기 마감몰딩(620)은 상기 몰딩결합부재(610)의 하단 수평부(614) 에 대응하는 하면부(621)와, 상기 마감몰딩 결합홈(616)에 삽입되는 결합편(622)과, 하면부(621)와 결합편(622)을 연결하는 연결부(623) 및, 상기 하면부(621)에서 만곡 연장되어 그 선단이 천장판(400)의 하면에 밀착되는 만곡부(624)로 구성되고, 상기 중단 수평부(613)의 하면에는 요철부(617)가 형성되고, 상기 하단 수평부(614)의 자유단부에는 후크형 돌기(618)가 형성되며, 결합편(622)의 하면에는 상기 중단 수평부(613)의 요철부(617)에 대응하는 요철부(625)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판 설치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판(400)은 상, 하판(401,402)이 복수개의 연결편(403)으로 연결한 것이며, 선단에는 그 중단부에 위치하는 얇은 두께의 삽입편(404)과, 이 삽입편(404)의 상하부에 위치하는 상하측 걸림턱(405,406)이 전장에 걸쳐서 형성되고, 후단에는 상기 상측 걸림턱(405)위에 걸쳐지는 상측 걸림편(407)과 상기 하측 걸림턱(406)이 걸쳐지는 하측 걸림편(408)과 이들 상하측 걸림편(407,408)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삽입편(404)이 삽입되는 삽입홈(409)이 형성되고, 상기 천장판 연결부 고정수단은 천장판(400)의 후단부에 형성된 상측 걸림편(407)을 천장판 부착부재(200)에 고정하기 위한 택(T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판 설치구조.
  11. 실내의 네 벽체중 전후벽체(1,2)에 좌우로 가로질러 마주보고 고정 설치되는 전후측 지지부재(100)와;
    상기 전후측의 지지부재(100)에 선,후단이 지지되는 복수개의 천장판 부착부재(200)와;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양단을 상기 전후측 지지부재(100)에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네 벽체중 좌우벽체(3,4)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길이와 전후벽체(1,2) 사이의 간격을 복수개로 나눈 폭을 가지는 복수개의 허니컴형 천장판(400)과;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에 결합되어 상기 천장판(400) 중 전후벽체(1,2)측에 위치하는 천장판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지지하는 천장판 최선후단 지지수단과;
    상기 천장판(400)들 중 서로 인접하는 천장판의 선단부와 후단부의 연결부를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에 고정하는 천장판 연결부 고정수단 및;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와 천장판(400) 사이에 설치되어 천장판의 중간부가 밑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천장판 처짐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천장판 설치구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판 처짐방지수단은 상기 천장판(400)의 상판(401) 폭방향 중간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자석삽입홈(810)과, 이 자석삽입홈(810)에 접착제로 접착되어 천장판 부착부재(200)에 흡착되는 영구자석편(820)으로 구성되어, 천장판(400)의 폭방향 중간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판 설치구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판 처짐방지수단은 상기 천장판(400)의 연결편(403) 사이에서 상판(401)과 하판(402) 사이에 삽입되어 상판(401)의 하면에 밀착되는 자성체띠(840)와, 상기 천장판 부착부재(200)의 하면판(210)에 형성된 자석삽입홈(850) 및, 이 자석삽입홈(850)에 삽입되어 상기 상판(401)을 사이에 두고 자성체띠(840)에 흡착됨과 아울러 자성체로 된 천장판 부착부재(200)에 흡착되는 영구자석편(860)으로 구성되어, 천장판(400)의 폭방향 중간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판 설치구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판 처짐방지수단은, 상기 천장판(400)의 연결편(403) 사이에 상판(401)과 하방(402) 사이에 삽입되어 상판(401)의 하면에 밀착되는 자성체띠(870)와, 상기 천장판(400)의 상판(401) 폭방향 중간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자석삽입홈(880) 및, 상기 자석삽입홈(880)에 삽입되어 상기 상판(401)을 사이에 두고 자성체띠(870)에 흡착됨과 아울러 자성체로 형성된 천장판 부착부재(200)에 흡착되는 영구자석편(890)으로 구성되어, 천장판(400)의 폭방향 중간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판 설치구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띠(870)는 상기 상판(401)의 하면에 밀착되는 몸체(871)와, 이 몸체(871)의 양측에서 하향 절곡되어 연결편(403)에 밀착되는 절곡부(87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판 설치구조.
KR1020060066955A 2006-01-12 2006-07-18 천장판 설치구조 KR200700752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426 2006-01-12
KR1020060003426 2006-01-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241A true KR20070075241A (ko) 2007-07-18

Family

ID=38500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6955A KR20070075241A (ko) 2006-01-12 2006-07-18 천장판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524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510B1 (ko) * 2010-04-16 2012-04-20 주식회사 한성케이 마감패널 자석 고정바
KR101154421B1 (ko) * 2009-07-22 2012-06-18 상명엔프라(주) 천정 패널 설치구
KR101719640B1 (ko) * 2016-03-04 2017-03-24 문운하 열수렴 배출유니트의 조립설치가 용이한 자가대류 열배출형 옥내용 수배전반 장치
KR102041747B1 (ko) * 2019-02-15 2019-11-06 문운하 옥내용 자가대류 수배전반 장치
KR102621874B1 (ko) * 2023-03-20 2024-01-09 자두건설(주) 무달대 천장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421B1 (ko) * 2009-07-22 2012-06-18 상명엔프라(주) 천정 패널 설치구
KR101137510B1 (ko) * 2010-04-16 2012-04-20 주식회사 한성케이 마감패널 자석 고정바
KR101719640B1 (ko) * 2016-03-04 2017-03-24 문운하 열수렴 배출유니트의 조립설치가 용이한 자가대류 열배출형 옥내용 수배전반 장치
KR102041747B1 (ko) * 2019-02-15 2019-11-06 문운하 옥내용 자가대류 수배전반 장치
KR102621874B1 (ko) * 2023-03-20 2024-01-09 자두건설(주) 무달대 천장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9773B2 (en) Magnetic flooring system and magnetic clip for use therewith
US20180135309A1 (en) Panel veneer systems
SK14332001A3 (sk) Klzná priečka podlahového systému
KR101251700B1 (ko) 채널형 클립이 적용되는 테크 자재의 결합 시스템
AU2015346135B2 (en) Ceiling system
US20080163574A1 (en) Fixing System for Finishing and Decorative Profiles
KR20070075241A (ko) 천장판 설치구조
KR200412100Y1 (ko) 천장판 설치구조
KR100794261B1 (ko) 천장판 설치구조
CA3098047A1 (en) Clip for cast stone wall system
JP5166467B2 (ja) 手摺りガラス取付装置
US4541215A (en) Snap-in ceiling system
KR20130087789A (ko) 샌드위치 패널
KR100662004B1 (ko) 천장판 설치구조
KR20090009020U (ko) 건축물의 내장용 장식판재 고정구
KR100940096B1 (ko) 실내외 벽면 마감용 미장패널 설치구조
KR101367849B1 (ko) 처짐 방지용 천장패널
CN219491567U (zh) 一种模块式装饰墙板
KR20090067642A (ko) 건축용 실내외장재 패널의 설치 시스템
KR20090123400A (ko) 건물 외장용 패널 조립체
KR102662471B1 (ko) 건축용 외장재 및 그 시공방법
KR100844078B1 (ko) 천장판 부착부재 보강구조
KR20150070794A (ko) 마감패널용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TW202325963A (zh) 建築用面材的安裝方法
CA2647624C (en) Fastener guide for si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