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0511B1 - 천정판 시공장치 - Google Patents

천정판 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0511B1
KR100340511B1 KR1019990031482A KR19990031482A KR100340511B1 KR 100340511 B1 KR100340511 B1 KR 100340511B1 KR 1019990031482 A KR1019990031482 A KR 1019990031482A KR 19990031482 A KR19990031482 A KR 19990031482A KR 100340511 B1 KR100340511 B1 KR 100340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are pipe
bar
ceiling plate
pipe bar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3623A (ko
Inventor
오태득
김성주
Original Assignee
김상식
(주)금성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식, (주)금성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김상식
Priority to KR1019990031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0511B1/ko
Publication of KR19990073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3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5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edge details of the ceiling; e.g. securing to an adjacent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6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he members lying in different pl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04B9/247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by means of sliding or pivoting locking elements,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콘크리이트 건축물의 천정판을 시공하기위한 천정판의 시공장치에 관한것으로, 종래 콘트리이트로 구축되는 건축물의 슬라브 저면에 구멍을 뚫어 행거볼트를 박은다음 캐링찬넬과 엠바를 클립으로 행거볼트에 연결하여 천정판을 시공하였던것 보다는 시공이 매우 간편하고 견고하게 시공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캐린찬넬 대신에 사각파이프를 사용하여 상기 사각파이프의 양단에 압침이 형성된 체결볼트를 유동되게 장착하여 상기 체결볼트의 압침이 벽면을 파고들어 사각파이프를 슬라브저부에 설치하는 바설치수단과, 상기 사각파이프의 저면에 다수의 천정판을 연결할 때 이 연결부를 들어주는 천정판행거에 받침턱을 형서하여 상기 사각파이프에 안정되게 끼우기위한 행거의안정수단과, 천정판의 시공면적이 넓어 시공되는 사각파이프의 중간이 늘어지지 않도록 다른 사각파이프를 십자방향으로 체결하기위한 십자연결클립으로 되는 십자엮음연결수단과, 상기 사각파이프의 양단에 천정판을 연결하기위한 마무리연결클립으로되는 마무리연결수단을 포함하여서 되는 것으로 천정판 시공이 간편함과 견고하도록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Description

천정판 시공장치{The operation apparatus of the boarded ceiling for the building.}
본 발명은 콘크리이트로 구축되는 건축물의 천정판을 시공하기위한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브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로는 슬라브의 저면에 볼트를 삽착하기위한 다수의 구멍을 굴설하여 구멍마다 쐐기못으로 행거를연결하며,상기 행거에 캐링찬넬을 걸은다음 캐링찬넬의 저부에 엠바를 클립으로 연결하여 엠바의 저부에 다수의 천정판을 시공하는 경량철골들이 널리 알려져 있으나, 이는 슬라브저부에 행거를 연결하기위한 구멍을 뚫어야하는 불편함 때문에 시공작업 시간이 오래걸리며, 상기 캐링찬넬과 엠바를얇은 철판으로 형성한 것이므로 시공상태가 견고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편하게 시공이되고 시공상태가 견견고한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맞추어 기재된 목적을 제공하는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는 슬라부 저부측 벽면에 사각파이프바를 설치하는 바설치수단과, 사각파이프바에 끼워 천정판을 들어주는 천정판행거에 받침턱을 형성하여 사각파이프바에 안정되게 끼워지는 행거안정수단과, 상기 사각파이프바의 중강이 늘어짐을 방지하기위하여 사각파이프바위에 다른사각파이프바를 십자형으로 설치하기위한 십자엮음연결수단과, 상기 사각파이프바의 양단에 천정판과 돌림테를 연결하기위한 마무리연결클립으로되는 마무리연결수단으로 되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1 - 본 발 명장치의 분해사시도.
도2 - 본 발명장치중 사각파이프바의 양단을 벽면에 체결하는 바설치수단을
보인 단면도.
도3 - 본 발명장치중 천정판행거의 배면도.
도4 - 본 발명창치중 도3의 천정판을 걸은상태의 단면도.
도5 - 본 발명장치중 마무리클립을 사각파이프바에 끼운상태를보인 배면도.
도6 - 본 발명장치중 사각파이프를 십자형으로 엮은 상태를 보인 십자엮음
클립의 사시도.
도7 - 본 발명중 사각파이프바와 이에 따른 천정판행거 및 압침볼트가이드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8 - 본 발명중 바설치수단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9 - 도8의 사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10 - 본 발명장치의 다른실시예의 사시도.
도11 - 도10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12 - 본 발명장치중 마감클립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13 - 도12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각파이프바. 20 - 가이드. 21 - 가이드홀.
30 - 체결볼트. 31 - 안내홈. 32 - 다침.
33 - 너트. 40 - 천정판행거. 43,43' - 받침턱.
50 - 마무리클립. 53,53' - 절곡다리. 54,54' - 절곡편.
60 - 십자연결클립. 63 - 전방측편. 66 - 후방측편.
도1은 본발명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장치중 바설치수단을 보인 단면도, 도3은 천정판행거의 배면도, 도4는 도3의 사용상태의 단면도, 도5는 마무리클립의 배면도, 도6은 사각파이프바를 십자형으로 엮은 상태를 보인 십자엮음클립의 사시도, 도7은 사각파이프바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8은 바설치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9는 도8의 사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10은 본발명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11은 도10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12는 돌림테클립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13은 도12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보면, 부호 1은 사각파이프바를 나타낸 거으로, 상기 사각파이프바(10)는 그 양단에 가이드(20)를 삽착하는데 상기 가이드(20)는 어느정도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로 형성하여서 된것으로 천공된 가이드홀(21)에 안내돌기(22)를 형성하여서 된것이며, 상기 가이드홀(21)에는 체결볼트(30)를 끼우는데 상기 체결볼트(30)는 나선부에는 안내홈(31)과 두부에는 다침(32)을 형성하여서 되는 것으로, 너트(33)를 나사끼움한 상태로 가이드홀(21)의 안내돌기(22)에 안내홈(31)이 안내되도록 끼워 넣어 너트(33)의 조작으로 체결볼트(30)가 돌지않고 출몰되는 바설치수단을 구성하여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파이프바(10)를 슬라브 저부의 양측 벽에 향하도록하여 너트(33)를 돌려 체결볼트(30)의 출몰되는 길이를 조정하여 다침(32)을 벽에 박히도록하므로서 사각파이프바(10)를 설치하게되는 것이다.
상기 사각파이프바(10)의 중간 중간에는 천정판행거(40)를 끼워넣어 다수의 천정판(101)을 밑으로 쳐짐이 없이 시공하도록한 것인데, 상기 천정판행거(40)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는 것으로 도1 및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파이프바(10)를 덮어 씌우는 요입부(41)와 이 요입부(41) 하방측 좌우에 걸이편(42)(42')과 받침턱 (43)(43')을 형성하여서 되는 것으로, 사각파이프바(10)의 외경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받침턱(43)(43')으로 하여금 사각파이프바(1)의 밑면을 받히도록하는 행거안정수단을 구성하여 사각파이프바(10)에 안정되게 끼워지도록한 것이고, 상기 걸이편(42)(42')은 도4에서 보는 바와같이 천정판(101)과 천정판(101')을 맞물림이음하는 끝단(102)(102')사이에 끼워넣어 천정판 (101) (101')의 이음부가 밑으로 쳐지지 않고 사각파이프바(10)의 저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시공되도록한 것이다.
상기 사각파이프바(10)의 양얀단에는 마무리클립(50)을 끼워 천정판의 시공을 마무리짓는 작업을 하게 되는데 상기 마무리클립(50)은 얇은 철판으로 절고형성하여서 되는 것으로, 사각파이프바(10)의 외경에 씌우는 요입부(51)의 좌우에 절곡홈(52)을 형성한 절곡다리(53)(53')와 이 절곡다리(53)(53')의 후방측 좌우에 절곡편 (54)(54')을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상기 절곡다리(53)(53')는 절곡홈(52)을 기준으로 "ㄷ"자 상으로 절곡하는데 도2에서 보는 바와같이 천정판(101)의 끝단에 삽착되는 마감대(103)를 끼우는 삽착홈(104)과 돌림테(105)를 삽착하는 삽착홈(104')을 형성한 마감클립(106)을 감싼 상태로 상기 절곡다리(53)(53')를 절곡하여서 되는 마무리연결수단으로 시공을 마무리하는 것이며, 상기 절곡편(54)(54')은 사각파이프바(10)의 저면을 받치도록 절곡하여 사각파이프바(10)에 마무리클립(50)이 안정성 있게 끼워져 있도록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천정판의 시공면적이 넓어 길리가 긴 사각파이프바(10)를 시공할 때 길이가 긴 만큼 밑으로 쳐지게 되는것을 방지 하기위하여 사각파이프바 (10)위에 다른 사각파이프바(10')를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십자연결클립(60)으로 연결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십자연결클립(60)은 얇은 철판을 절곡하여서 되는 것으로 위의 사각파이프바(10')를 씌우는 요입부(61)의 아래측 좌우에 사각파이프바 (10)를 덮어 씌우는 요입부(62)(62')와 상기 요입부(62)(62')와 일체로된 길이가긴 전방측편(63)에는 2단으로 절곡할 수 있도록 장방형공(64)과 절곡홈(65)을 형성하였으며, 후방측편(66)에는 1단으로 절곡하게 되는 절곡홈(67)을 형성하여 도6에서 보는 바와같이 상기 사각파이프바(10)를 감싼형태로 전방측편(63)과 후방측편(66)을 절곡하여 사각파이프바(10)와 사각파이프바(11)를 십자상으로 묶어 고정하여 사각파이프바(10)의 중간이 밑으로 늘어짐을 방지하도록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7과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파이프바(10)를 설치하기위하여 사용되는 사각파이프바 (10)의 양단에 끼우는 가이드(20) 대신에 가이드(20')에 단순한 통공(21')을 천공하며, 체결볼트(30')는 끝단에 단침(31')을 형성하고 두부는 상기 사각파이프바(10)의 내경과 일치되는 사각두부(32')로 형성하여 너트(33')의 조작에 따라 사각두부(32')가 사각파이프바(10)의 내경에 따라 안내되어 체결볼트(30')가 돌지않고 출몰되도록하여 바설치수단으로 사용할 수 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파이프바(10)의 양주면을 절곡하여 안내레일(11)(11')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 도 있는것이며, 이런경우에는 천정판행거(40)의 요입부(41) 내주면에 레일돌기(44)를 형성하여 레일돌기(44)와 안내레일(11)(11')의 결착으로 천정판행거(40)의 삽착형태가 안정성이 있도록하며, 또 가이드(20)의 외주면에는 삽착홈(23)을 형성하여 삽착홈(23)을 상기 안내레일(11)(11')에 일치되게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바설치수단의 다른실시예로 도10에서 보는 바와같이 콘크리이트벽의 내면에 내장재(110)를 시공할 때에는 내장재(110)의 상단에 압출성형되는 섀시형의 바체결대(70)를 얹은 다음 상기 바체결대(70)에 사각파이프바(10)를 조립하여 이 사각파이프바(10)에 상술한 천정판을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바체결대 (70)는 상면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홈(71)과 저부에는 압뒤로 운두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삽착홈(72)으로되게 형성하여 콘크리이트 벽내면에 시공되는 내장재(110)의 상단에 사각파이프바(10)를 얹은다음 이 사각파이프바(10)의 양단을 상술한 바체결수단으로 내장재를 멱면에 완전히 고정시키고, 고정된 사각파이프바(10)와 내장재(110)의 상단을 삽착홈(72)으로 덮어 씌워 바체결대(70)를 설치하고, 이후 볼트(120)를 수직상태로하여 두부(121)를 삽입홈(71)에 밀어넣고 천정판을 시공하게 되는 다른 사각파이프바(10)에 통공(10')을 천공하여 상기 볼트(120)를 통공(10')에 관통시키고 너트를 체워 사각파이프바(10)를 설치하여 상술한 바와같이 다른 사각파이프바(10)에 천청판행거(40)와 마무리클립(50)을 연결하여 천정판을 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천정판의 시공을 마무리하는 작업으로 벽면과 천정판의 직각되는 구석에 모양을 내는 돌림테(105)를 부착하기위하여 도1 및 도2에서 보는 바와같은 마감클립(106)을 사용하게 되나, 이 경우에는 사각파이프바(10)를 설치한후 천정판(101)과 함께 돌림테(105)를 시공할 때 사용하게 되는 것이며, 예를 들면 도13에서 보는바와 같이 실내 공간을 나누어 칸막이벽(111)을 설치할경우에는 도12에 표현된 바와같은 마감클립(80)을 사용하게 되며, 상기 마감클립(80)은 평판(81)의 저부에 상기한 사각파이프바(10)를 끼우기위한 삽착부(82)와 이 삽착부(82)의 하방에 상기 칸막이벽(111)의 상단을 덮어씌우는 삽입부(83)를 형성하며, 상기 삽착부(82)의 좌우에는 돌림테(105)를 끼우는 테삽착부(84)(84')를 형성하여 천정판저면에 설치되는 칸막이벽(111)의 상단측 구석에 돌림테(105)를 기히 천정판 저면 구석에 설치된 다른 돌림테(105)와 일치되게 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사각파이프바(10)를 바체결수단으로 벽에 간편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종래 캐링찬넬을 설치하기위한 행거와 행거볼트를 슬라브저면에 설치하여야 하는 것보다는 그 작업과정이 매우 간편할 뿐만 아니라 캐링찬넬 저부에 클립으로 엠바를 설치하여 엠바의 저면에 천정판을 설치하는 것보다는 부붚ㅁ수가적어 설치비용이 절감되며, 얇은 철판으로 형성한 엠바보다는 사각파이프바(1)의 견고성이 우수하여 천정판시공 상태가 매우 견고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7)

  1. 안내돌기(22)를 구비한 가이드홀(21)을 천공시킨 가이드(20)를 사각파이프바 (10)의 양단측 내경에 삽착하고, 상기 가이드홀(21)에 안내홈(31)과 다침(32)을 형성한 체결볼트(30)를 끼워 너트(33)로 체결볼트(30)를 출몰되도록 하여서되는 바설치수단과,
    상기 사각파이프바(10)의 중간에 끼우기위한 요입부(41)와 천정판(101)(102)를 연결한 단부에 끼우는 걸이편(42)42')을 형성한 천정판행거(40)와,
    상기 사각파이프바(10)의 양단외경에 삽착하기위한 요입부(51)의 좌우에 형성한 절곡다리(53)(53')와 이 절곡다리(53)(53')의 후방측 좌우에 절곡편(54)(54')을 형성하여서되는 마무리클립(50)으로 마감클립(106)을 연결하여 상기 마감클립 (106)에 천정판(101)의 끝단과 돌림테(105)를 연결하여 천정판시공을 완료하게되는 천정판 시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정판행거(40)의 요입부(41)후방에 받침턱(43)(43')을 형성하여 사각파이프바(10)의 외경에 안정되게 삽착되도록한 행거안정수단을 구비하여서되는 천정판 시공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무리클립(50)의 요입부(51)후방측에 절곡편(54)(54')을 형성하여 사각파이프바(10)의 양단측 외경에 연결할때 상기 절곡편(54)(54')을 사각파이프바 (10)의 저면을 받치도록 절곡하여 안정되게 연결되도록한 마무리연결수단을 구비하여서되는 천정판 시공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각파이프바(10)위에 다른 사각파이프바(10')를 십자상으로 배열하여 연결하는 십자연결클립(60)을 요입부(61)(62)(62')와 길이가 길며 2단으로 절곡하기위한 장방형공(64)과 절곡홈(65)을 형성한 전방측편(66)과 1단으로 절곡하기위한 절곡홈(67)을 갖는 후방측편(66)형성한 십자엮음연결수단을 구비하여서되는 천정판 시공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각파이프바(10)의 양주면을 절곡하여 안내레일 (11)(11')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천정판행거(40)의 요입부(41)에 레일돌기(44)와 가이드(20)의 외주면에 삽착홈(23)을 형성한 바설치수단으로되는 천정판 시공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각파이프바(10)의 양단에 천공한 통공(10')에 볼트(120)를 연결하여 상기 볼트(120)의 두부(121)를 바체결대(70)의 삽입홈(71)에 끼우며, 상기 삽입홈
    (71)의 밑에 형성한 삽착홈(72)을 콘크리이트벽의 내면에 부설되는 내장재(110)의 상단에 삽착하여 사각파이프바(10)를 설치하는 바설치수단으로되는 천정판 시공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각파이프바(10)의 양단측 외경에 연결되는 마무리클립 (50)과 중간에 연결한 천정판행거(40)로 설치되는 다수의 천정판(101) 저면으로부터 실내바닥까지 설치되는 칸막이벽(111)의 상단에 연결하여 돌림테(105)를 시설하기위한 마감클립
    (80)을 사각파이프바(10)를 끼우기위한 삽착부(82)와 상기 삽착부(82)하방에 칸막이벽(111)상단에 연결하기위한 삽입부(83)와 상기 삽착부(82)의 좌우에 테삽착부
    (84)(84')를 형성하여서되는 천정판 시공장치.
KR1019990031482A 1999-07-31 1999-07-31 천정판 시공장치 KR100340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482A KR100340511B1 (ko) 1999-07-31 1999-07-31 천정판 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482A KR100340511B1 (ko) 1999-07-31 1999-07-31 천정판 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623A KR19990073623A (ko) 1999-10-05
KR100340511B1 true KR100340511B1 (ko) 2002-06-22

Family

ID=37480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482A KR100340511B1 (ko) 1999-07-31 1999-07-31 천정판 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051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004B1 (ko) 2006-01-12 2006-12-28 김성주 천장판 설치구조
KR100794261B1 (ko) 2006-01-12 2008-01-11 김성주 천장판 설치구조
KR101234675B1 (ko) 2011-06-30 2013-02-22 김성주 천정재 설치용 클립
KR101309741B1 (ko) 2011-06-17 2013-09-17 최안숙 천정재 설치용 클립
KR101489646B1 (ko) 2014-01-13 2015-02-12 주식회사 정도테크 클린룸 플로어 지지프레임의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078B1 (ko) * 2006-11-13 2008-07-04 김성주 천장판 부착부재 보강구조
KR100933342B1 (ko) * 2007-11-02 2009-12-22 김성주 천정재용 몰딩 설치구조
KR102321309B1 (ko) * 2019-04-15 2021-11-02 주식회사 포스코 천장연결철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004B1 (ko) 2006-01-12 2006-12-28 김성주 천장판 설치구조
KR100794261B1 (ko) 2006-01-12 2008-01-11 김성주 천장판 설치구조
KR101309741B1 (ko) 2011-06-17 2013-09-17 최안숙 천정재 설치용 클립
KR101234675B1 (ko) 2011-06-30 2013-02-22 김성주 천정재 설치용 클립
KR101489646B1 (ko) 2014-01-13 2015-02-12 주식회사 정도테크 클린룸 플로어 지지프레임의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623A (ko) 199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K279121B6 (sk) Stenový doskový diel
KR100340511B1 (ko) 천정판 시공장치
KR100794286B1 (ko) 조립식 파티션
SK20195A3 (en) Wall construction
JP2900115B2 (ja) 配線・配管床構造物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床支持材
KR20170065823A (ko) 커튼 박스
KR100842345B1 (ko) 슬래브 마감재용 천정재 구조
KR101323110B1 (ko) 샌드위치 패널
KR102374553B1 (ko) 천장 마감형 엘이디 조명장치
KR20080039184A (ko) 벽체 배수플레이트 설치 구조
JP2000008520A (ja) 高さ調整自在な幅木
KR0178093B1 (ko) 천정판넬의 설치방법 및 그 장치
KR100376097B1 (ko) 칸막이판용 상부 채널 지지체
KR100964345B1 (ko)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KR20080013610A (ko) 천장용 마감패널 고정시스템
KR102561615B1 (ko) 천장 스크린 루바
KR200191203Y1 (ko) 천정 구조물 지지체용 행거
KR200312055Y1 (ko) 내장 벽면 시공용 세로형 찬넬
KR200231033Y1 (ko) 조립식 천정판의 설치구조물
KR100373628B1 (ko) 고정바를 이용한 천정판넬의 시공구조
KR101825792B1 (ko) 건축용 마감장치
KR20220033692A (ko) 벽체배수판 수평유지구, 이를 이용한 벽체배수판 구조 및 그 시공방법
US7918052B2 (en) Drywall construction for supporting an installation element and method for fastening the installation element
KR200351243Y1 (ko) 비드 고정용 브라켓트
KR200346784Y1 (ko) 에이치바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