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3583B1 - 멀티 탭 단자대 - Google Patents

멀티 탭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3583B1
KR100793583B1 KR1020060110085A KR20060110085A KR100793583B1 KR 100793583 B1 KR100793583 B1 KR 100793583B1 KR 1020060110085 A KR1020060110085 A KR 1020060110085A KR 20060110085 A KR20060110085 A KR 20060110085A KR 100793583 B1 KR100793583 B1 KR 100793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terminal
coil
signal
co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0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렬
Original Assignee
김종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렬 filed Critical 김종렬
Priority to KR1020060110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35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91Terminal block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lugs or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01R24/7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with additional earth or shield conta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 H04N7/102Circuits therefor, e.g. noise reducers, equalisers,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에 매입되어 텔레비전 안테나 신호와 FM 방송의 안테나 신호를 출력하는 멀티 탭 단자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에서 동축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안테나 신호를 신호 분리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를 통해 2개로 분리하고, 분리한 하나의 안테나 신호는 텔레비전 안테나 단자로 출력한다. 그리고 분리한 다른 하나의 안테나 신호는 정합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를 통해 2개로 분리하면서 외부의 FM 방송 수신기기의 FM 안테나 단자와 임피던스를 정합시킨 후 2개의 FM 안테나 삽입단자로 출력한다.
안테나, 텔레비전, FM 방송, 정합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 신호 분리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 FM 안테나

Description

멀티 탭 단자대{MULTI-TAP TERMINAL BOX}
도 1은 본 발명의 멀티 탭 단자대의 구성을 보인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멀티 탭 단자대에서 안테나 신호 분리기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멀티 탭 단자대에서 안테나 신호 분리기의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단자대에 텔레비전 안테나의 연결단자 및 FM(Frequency Modulation) 안테나의 연결단자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멀티 탭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수상기는 공중파를 수신하여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있다.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실내 안테나를 사용할 경우에 수신되는 텔레비전 방송신호의 세기가 약하여 많은 잡음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수신할 경우에 통상적으로 실외 안테나를 많 이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유선방송이 활성화되면서 동축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많이 시청하고 있다.
상기 유선방송이 전송되는 동축케이블을 텔레비전 수상기의 안테나 단자에 직접 연결할 경우에 동축케이블이 실내에 노출되어 외관을 해치게 된다. 그러므로 건축물을 건설할 경우에 벽면에 텔레비전 안테나 단자를 구비하고 있는 단자대를 매입하여 텔레비전 수상기의 안테나 단자를 연결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대는 동축케이블을 사용하여 건축물의 옥상 등으로 연장하고, 그 연장한 동축케이블의 단부에 상기 유선방송이 전송되는 동축케이블을 연결하여 텔레비전 수상기로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많은 가정에서 FM 라디오 등과 같은 FM 방송 수신기기를 구비하고, FM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청취하고 있다. 상기 FM 방송 수신기기는 통상적으로 실내 안테나를 부착하여 FM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있다.
그러나 건축물을 건설하면서 철근 및 콘크리트 등의 자재를 많이 사용하고, 이로 인하여 실내에서 수신하는 FM 방송신호의 수신 세기가 매우 약하여 사용자가 깨끗한 음질의 FM 방송신호를 청취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그러므로 많은 청취자들이 FM 방송 수신기기의 안테나 단자를 상기 단자대의 텔레비전 안테나 단자에 연결하여 FM 방송신호를 수신 및 청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동축케이블은 임피던스가 75Ω이고, FM 방송 수신기기의 안테나 단자는 300Ω으로서 단자대의 텔레비전 안테나 단자와 FM 방송 수신기기의 안테나 단자가 상호간에 임피던스가 정확하게 정합되지 않고, 이로 인하여 FM 방송 수신기기의 안테나 단자를 단자대의 텔레비전 안테나 단자에 연결하여도 깨끗한 음질의 FM 방송신호를 청취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벽면에 매입되어 텔레비전 안테나 신호와 FM 방송의 안테나 신호를 출력하는 멀티 탭 단자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FM 방송을 청취하기 위한 안테나 신호를 FM 방송 수신기기의 임피던스인 300Ω으로 출력하여 임피던스를 정합시킬 수 있는 멀티 탭 단자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의 멀티 탭 단자대는, 외부에서 75Ω의 임피던스를 가지는 동축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안테나 신호를 분리하고, 분리한 하나의 안테나 신호는 텔레비전 안테나 단자로 출력하여 텔레비전 수상기로 전달하며, 분리한 다른 하나의 안테나 신호는 다시 분리하고, 외부의 FM 방송 수신기기의 FM 안테나 단자와 임피던스를 정합시킨 후 2개의 FM 안테나선 삽입단자로 출력한다.
상기 동축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안테나 신호의 분리는 신호 분리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를 사용하여 분리한다.
그리고 상기 다른 하나의 안테나 신호의 분리 및 임피던스의 정합은 정합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를 사용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멀티 탭 단자대는, 텔레비전 안테나 신호를 출력하는 텔레비전 안테나 단자와, FM 방송의 안테나 신호를 출력하는 2개의 FM 안테나선 삽입단자와, 외부로부터 동축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안테나 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텔레비전 안테나 단자로 출력함과 아울러 외부의 FM 방송 수신기기의 FM 안테나 단자와 임피던스를 정합시켜 상기 2개의 FM 안테나선 삽입단자로 출력하는 안테나 신호 분리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2개의 FM 안테나 삽입단자에 안테나 연결선을 삽입하고, 삽입한 안테나 연결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테나 신호 분리기는, 외부에서 동축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안테나 신호를 2개로 분리하고, 분리한 하나의 안테나 신호를 상기 텔레비전 안테나 단자로 출력하는 신호 분리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와, 상기 신호 분리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에서 분리된 다른 하나의 안테나 신호를 2개로 분리하면서 외부의 FM 방송 수신기기의 FM 안테나 단자와 임피던스를 정합시켜 상기 2개의 FM 안테나선 삽입단자로 출력하는 정합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 분리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는, 하나의 페라이트 코어에 제 1 내지 제 4 코일이 권선되고, 상기 제 1 코일의 일측단자는 외부로부터 동축케이블을 통해 안테나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제 1 코일의 타측단자는 상기 텔레비전 안테나 단자에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제 3 코일을 통해 접지되며, 상기 제 2 코일 및 제 4 코일은 직렬 접속되어 상기 제 4 코일의 타측단자가 상기 정합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에 접속되며, 상기 제 2 코일 및 제 4 코일의 접속점에 접속되어 상기 신호 분리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는 임피던스 정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 분리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는, 하나의 페라이트 코어에 제 1 내지 제 4 코일이 권선되고, 상기 제 1 및 제 3 코일과, 제 2 및 제 4 코일이 각기 직렬 접속되어 제 1 및 제 3 코일의 접속점과 제 2 및 제 4 코일의 접속점이 상호간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코일에 외부로부터 동축케이블을 통해 안테나 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제 2 및 제 4 코일에서 안테나 신호가 분리되어 상기 텔레비전 안테나 단자 및 상기 정합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로 각기 출력되게 구성되며, 상기 직렬 접속된 제 2 및 제 4 코일에, 병렬로 접속되어 공진이 발생되게 하는 공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합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는, 페라이트 코어에 4개의 코일이 권선되어 안테나 신호를 분리하고, 분리한 안테나 신호를 외부의 FM 방송 수신기기의 FM 안테나 단자와 임피던스를 정합시켜 상기 2개의 FM 안테나선 삽입단자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 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멀티 탭 단자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여기서, 부호 100은 건축물의 벽면에 매입되는 본 발명의 멀티 탭 단자대이고, 부호 110은 상기 멀티 탭 단자대(100)를 벽면에 매입시킬 경우에 외관이 미려하게 보이도록 멀티 탭 단자대(100)의 주변부를 덮는 커버이다.
상기 멀티 탭 단자대(100)에는 텔레비전 안테나 단자(102)가 구비되고, 상기 텔레비전 안테나 단자(102)의 하부에는 2개의 FM 안테나선 삽입단자(104, 106)가 구비되며, 상기 2개의 FM 안테나선 삽입단자(104, 106)의 하부에는 2개의 FM 안테나선 삽입단자(104, 106)에 FM 안테나선을 삽입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누름 버튼(108)이 배치된다.
상기 텔레비전 안테나 단자(102)에는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셋 탑 박스 및 VCR(Video Cassette Recorder) 등과 같은 텔레비전 방송신호 수신기기의 안테나 단자가 동축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2개의 FM 안테나선 삽입단자(104, 106)에는 FM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FM 라디오 등의 FM 방송 수신기기의 FM 안테나 단자가 피더선 등과 같은 안테나 연결선을 통해 연결된다.
한편, 상기 멀티 탭 단자대(100)의 후방에는 외부로부터 동축케이블을 통해 수신되는 안테나 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텔레비전 안테나 단자(102) 및 2개의 FM 안테나선 삽입단자(104, 106)로 전달하는 안테나 신호 분리기가 내장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멀티 탭 단자대에서 안테나 신호 분리기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여기서, 부호 200은 신호 분리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이다. 상기 신호 분리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200)는 페라이트 코어(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에 제 1 내지 제 4 코일(200-1∼200-4)이 권선된다. 상기 제 1 코일(200-1)의 일측단자는 외부로부터 동축케이블을 통해 안테나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자(202)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코일(200-1)의 타측단자는 상기 텔레비전 안테나 단자(102)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제 1 코일(200-1)의 타측단자는 제 3 코일(200-3)을 통해 접지된다. 상기 제 2 코일(200-2) 및 제 4 코일(200-4)은 직렬 접속되고, 제 2 코일(200-2) 및 제 4 코일(200-4)의 접속점에 임피던스를 정합하기 위한 접지 저항(204) 및 접지 콘덴서(206)가 접속되어 임피던스 정합부가 구성된다.
부호 208은 정합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이다. 상기 정합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208)는 페라이트 코어에 제 1 내지 제 4 코일(208-1∼208-4)이 권선된다. 상기 제 1 코일(208-1) 및 제 3 코일(208-3)의 일측단자는 상기 신호 분리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200)의 제 4 코일(200-4)에 공통 접속되고, 제 1 코일(208-1)의 타측단자는 상기 FM 안테나선 삽입단자(104)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 2 코일(208-2)은 양 단자가 접지되며, 제 4 코일(208-4)의 일측단자는 접지되고, 타측단자는 상기 FM 안테나선 삽입단자(106)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안테나 신호 분리기의 일 실시 예는 외부로부터 75Ω의 임피던스를 가지는 동축케이블을 통해 입력단자(202)로 안테나 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입력단자(202)로 입력된 안테나 신호는 신호 분리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200)의 제 1 코일(200-1)을 통해 텔레비전 안테나 단자(102)로 출력된다. 또한 상기 입력단자(202)로 입력된 안테나 신호는 신호 분리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200)의 제 1 코일(200-1)에서 제 4 코일(200-4)로 전달된다. 상기 제 4 코일(200-4)에는 임피던스를 정합하기 위한 접지 저항(204) 및 접지 콘덴서(206)로 구성된 임피던스 정합부가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코일(200-1)의 안테나 신호가 손실됨이 없이 제 4 코일(200-4)로 전달된다.
상기 제 4 코일(200-4)로 전달된 안테나 신호는 정합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208)를 통해 2개로 분리되어 2개의 FM 안테나선 삽입단자(104, 106)로 출력된다. 즉, 제 4 코일(200-4)로 전달된 안테나 신호는 정합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208)의 제 1 코일(208-1)을 통해 FM 안테나선 삽입단자(104)로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안테나 신호가 정합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208)의 제 1 코일(208-1)에서 제 4 코일(208-4)로 전달되어 FM 안테나선 삽입단자(106)로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정합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208)의 출력 임피던스는 300Ω으로서 2개의 FM 안테나선 삽입단자(104, 106)에 피더선 등과 같은 안테나 연결선을 통해 연결되는 FM 방송수신기의 안테나 단자와 임피던스가 일치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멀티 탭 단자대에서 안테나 신호 분리기의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여기서, 부호 300은 신호 분리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이다. 상기 신호 분리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300)는 페라이트 코어(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에 제 1 내지 제 4 코일(300-1∼300-4)이 권선된다. 상기 제 1 코일(300-1) 및 제 3 코일(300-3)은 직렬 연결되고, 제 1 코일(300-1)의 일측단자에 외부로부터 동축케이블을 통해 안테나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자(202)가 접속된다. 그리고 제 2 코일(300-2) 및 제 4 코일(300-4)이 직렬 접속되고, 그 제 2 코일(300-2) 및 제 4 코일(300-4)의 접속점과 상기 제 1 코일(300-1) 및 제 3 코일(300-3)의 접속점이 상호간에 접속됨과 아울러 그 접속점에 접지 콘덴서(302, 304)가 접속된다.
상기 직렬 접속된 제 2 코일(300-2) 및 제 4 코일(300-4)에는, 코일(306), 저항(308) 및 코일(310)이 직렬 접속된 공진부가 병렬로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코일(300-2) 및 코일(306)의 접속점이 상기 텔레비전 안테나 단자(102)에 접속된다. 상기 제 4 코일(300-4) 및 코일(310)의 접속점은 정합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312)를 통해 상기 FM 안테나선 삽입단자(104, 106)에 접속된다.
상기 정합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312)는 페라이트 코어에 제 1 내지 제 4 코일(312-1∼312-4)이 권선된다. 상기 제 1 코일(312-1) 및 제 3 코일(312-3)의 일측단자는 상기 제 4 코일(300-4) 및 코일(310)의 접속점이 접속되고, 제 1 코일(312-1)의 타측단자는 상기 FM 안테나선 삽입단자(104)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 2 코일(312-2)은 양 단자가 접지되며, 제 4 코일(312-4)의 일측단자는 접지되고, 타측단자는 상기 FM 안테나선 삽입단자(106)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안테나 신호 분리기의 다른 실시 예는 외부로부터 75Ω의 임피던스를 가지는 동축케이블을 통해 입력단자(202)로 안테나 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입력단자(202)로 입력된 안테나 신호는 신호 분리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200)의 제 1 코일(300-1) 및 제 3 코일(300-3)로 흐르면서 제 2 코일(300-2) 및 제 4 코일(300-4)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코일(300-2) 및 제 4 코일(300-4)에는 코일(306), 저항(308) 및 코일(310)이 직렬 접속된 공진부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 2 코일(300-2) 및 제 4 코일(300-4)로 전달된 안테나 신호는 코일(306), 저항(308) 및 코일(310)에서 공진된다.
여기서, 상기 공진부의 공진 주파수는 예를 들면, 5∼230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 코일(300-2) 및 제 4 코일(300-4)로 전달된 안테나 신호는 2개로 분리되고, 분리된 하나의 안테나 신호는 텔레비전 안테나 단자(102)로 출력되며, 분리된 다른 하나의 안테나 신호는 정합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312)를 통해 다시 2개로 분리되어 2개의 FM 안테나선 삽입단자(104, 106)로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정합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312)의 출력 임피던스는 300Ω으로서 2개의 FM 안테나선 삽입단자(104, 106)에 피더선 등과 같은 안테나 연결선을 통해 연결되는 FM 방송수신기의 안테나 단자와 임피던스가 일치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안테나 신호를 분리하여 텔레비전 수상기 및 FM 방송 수신기기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FM 방송 안테나 단자로 안테나 신호를 전달할 경우에 FM 방송 수신기기의 안테나 단자의 임피던스인 300Ω에 정합시켜 전달한다.
그러므로 멀티 탭 단자대를 통해 전달하는 FM 방송의 안테나 신호가 손실됨이 없고, 이로 인하여 FM 방송 수신기기가 높은 세기로 FM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깨끗한 음질의 FM 방송신호를 청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8)

  1. 텔레비전 안테나 신호를 출력하는 텔레비전 안테나 단자;
    FM 방송의 안테나 신호를 출력하는 2개의 FM 안테나선 삽입단자; 및
    외부로부터 동축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안테나 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텔레비전 안테나 단자로 출력함과 아울러 외부의 FM 방송 수신기기의 FM 안테나 단자와 임피던스를 정합시켜 상기 2개의 FM 안테나선 삽입단자로 출력하는 안테나 신호 분리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멀티 탭 단자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FM 안테나 삽입단자에 안테나 연결선을 삽입하고, 삽입한 안테나 연결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탭 단자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신호 분리기는;
    외부에서 동축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안테나 신호를 2개로 분리하고, 분리한 하나의 안테나 신호를 상기 텔레비전 안테나 단자로 출력하는 신호 분리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
    상기 신호 분리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에서 분리된 다른 하나의 안테나 신호를 2개로 분리하면서 외부의 FM 방송 수신기기의 FM 안테나 단자와 임피던스를 정합시켜 상기 2개의 FM 안테나선 삽입단자로 출력하는 정합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탭 단자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분리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는;
    하나의 페라이트 코어에 제 1 내지 제 4 코일이 권선되고, 상기 제 1 코일의 일측단자는 외부로부터 동축케이블을 통해 안테나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제 1 코일의 타측단자는 상기 텔레비전 안테나 단자에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제 3 코일을 통해 접지되며, 상기 제 2 코일 및 제 4 코일은 직렬 접속되어 상기 제 4 코일의 타측단자가 상기 정합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탭 단자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코일 및 제 4 코일의 접속점에 접속되어 상기 신호 분리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는 임피던스 정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탭 단자대.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분리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는;
    하나의 페라이트 코어에 제 1 내지 제 4 코일이 권선되고, 상기 제 1 및 제 3 코일과, 제 2 및 제 4 코일이 각기 직렬 접속되어 제 1 및 제 3 코일의 접속점과 제 2 및 제 4 코일의 접속점이 상호간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코일에 외부로부터 동축케이블을 통해 안테나 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제 2 및 제 4 코일에서 안테나 신호가 분리되어 상기 텔레비전 안테나 단자 및 상기 정합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로 각기 출력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탭 단자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접속된 제 2 및 제 4 코일에;
    병렬로 접속되어 공진이 발생되게 하는 공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탭 단자대.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용 페라이트 트랜스포머는;
    페라이트 코어에 4개의 코일이 권선되어 안테나 신호를 분리하고, 분리한 안테나 신호를 외부의 FM 방송 수신기기의 FM 안테나 단자와 임피던스를 정합시켜 상기 2개의 FM 안테나선 삽입단자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탭 단자대.
KR1020060110085A 2006-11-08 2006-11-08 멀티 탭 단자대 KR100793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085A KR100793583B1 (ko) 2006-11-08 2006-11-08 멀티 탭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085A KR100793583B1 (ko) 2006-11-08 2006-11-08 멀티 탭 단자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3583B1 true KR100793583B1 (ko) 2008-01-14

Family

ID=39217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0085A KR100793583B1 (ko) 2006-11-08 2006-11-08 멀티 탭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35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20786A (ja) * 1988-06-21 1989-12-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Fm・tvコンセント
JPH05174897A (ja) * 1991-12-24 1993-07-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アンテナ用コンセント
JP2001043238A (ja) * 1999-07-30 2001-02-16 Canon Inc 画像取得システム及び画像取得方法
JP2006135944A (ja) * 2004-10-01 2006-05-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v端子埋め込み型通信機器、および通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20786A (ja) * 1988-06-21 1989-12-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Fm・tvコンセント
JPH05174897A (ja) * 1991-12-24 1993-07-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アンテナ用コンセント
JP2001043238A (ja) * 1999-07-30 2001-02-16 Canon Inc 画像取得システム及び画像取得方法
JP2006135944A (ja) * 2004-10-01 2006-05-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v端子埋め込み型通信機器、および通信方法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88-20610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4323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13594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5-17489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320786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0242B2 (en) Earphone antenna
US8243958B2 (en) Receiver
US7907095B2 (en) Antenna device
JP4743240B2 (ja) 受信装置、中継ケーブル及び電源装置
WO2004080112A2 (ja) イヤーホーンアンテナ及びそれを備えた無線機
US6950077B1 (en) Antenna system for terrestrial broadcasting
JP2000515712A (ja) アンテナおよび切換可能な増幅器を有する無線受信サブシステム
CN102201632B (zh) 连接装置、天线装置和接收装置
US20140376724A1 (en) Headset loop antenna for audio devices
JP3938118B2 (ja) イヤホンアンテナ及びこのイヤホンアンテナを備えた携帯型無線機
JP2006338957A (ja) アンテナ兼用イヤホーンケーブルの構造
US20150146336A1 (en) Surge protector for a transmission line connector
KR101056414B1 (ko) 지상파 텔레비젼 방송수신을 위한 휴대용 수신기의 안테나 장치
JPH0237732B2 (ko)
KR100793583B1 (ko) 멀티 탭 단자대
US20060290578A1 (en) Digital receiving antenna device for a digital television
JP2008278230A (ja) イヤホン変換アダプタ
CN101286747A (zh) 接收装置、天线以及接合电缆
KR100498676B1 (ko) 고주파 방송 수신용 이어폰 안테나
JP5589496B2 (ja) 接続機器および受信装置
US8145122B2 (en) Power supply adapter and power supply system
JP5940008B2 (ja) Usbケーブル
JPS59210733A (ja) テレビジヨンチユ−ナ装置
JP2009152955A (ja) 放送信号結合装置
JPH10178595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