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3413B1 - 멀티형 스팀청소기 - Google Patents

멀티형 스팀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3413B1
KR100793413B1 KR1020060065772A KR20060065772A KR100793413B1 KR 100793413 B1 KR100793413 B1 KR 100793413B1 KR 1020060065772 A KR1020060065772 A KR 1020060065772A KR 20060065772 A KR20060065772 A KR 20060065772A KR 100793413 B1 KR100793413 B1 KR 100793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accessory
fixing
nozzle member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희
Original Assignee
한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희 filed Critical 한경희
Priority to KR1020060065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3413B1/ko
Priority to CNB2007101374736A priority patent/CN100493433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6Floor-scrubbing machines, hand-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벨크로착탈돌기가 바닥판에 일체로 형성된 액세서리가 구성된 멀티형 스팀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멀티형 스팀청소기{multi-type steam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진공청소기를 정면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멀티형 진공청소기를 배면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벨크로패드용 액세서리를 평면에서 본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벨크로패드용 액세서리를 저면에서 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판의 벨크로착탈돌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벨크로패드용 액세서리의 사용 상태를 설명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노즐부재를 평면에서 본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스팀노즐부재를 평면에서 본 결합 사시도.
도 11은 스팀노즐부재 중에서 노즐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스팀노즐부재의 분사 작동에 관한 주요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 내지 도 15는 작동레버의 잠금, 풀림, 연속분사잠금을 도시한 측단면 도.
도 16은 종래의 멀티형 스팀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멀티형 스팀청소기의 노즐에 액세서리가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액세서리 110 : 덮개
120 : 벨크로착탈돌기 130 : 바닥판
131 : 스팀유입구 132 : 스팀분배통로
133 : 통로커버 134 : 스팀분출구
140 : 접속파이프 141 : 접속파이프스팀출구
143a,143b : 제1고정위치스토퍼 150 : 힌지부재
151 : 힌지부(힌지통) 152 : 절취홈
153 : 힌지커버 154a : 제1가이드홈
154b : 제2가이드홈 160 : 위치결정부재
161 : 고정돌기 163 : 탄성부(C형 링)
165 : 고정홈(제1고정위치) 166 : 끝단부(제2고정위치)
167 : 지지브래킷 169 : 제2고정위치스토퍼
200 : 연장관 300 : 스팀노즐부재
310 : 핸들케이싱 311,315 : 밀림방지턱
312 : 장공 313 : 레버힌지지지브래킷
314 : 회전방지턱 316 : 걸림턱
320 : 노즐부 330 : 제트파이프
330a : 제트부 331,351 : 돌출테
333,353 : 돌출띠 340 : 밸브
341 : 가동샤프트 343 : 밸브시트
345 : 개폐판 347 : 스프링
347a,347b : 로어시트,어퍼시트 350 : 제트커플링
350a : 중공관 350b : 분기관
370 : 레버 371 : 암
372 : 선단측 373 : 레버힌지
375 : 누름부 377 : 돌출편
377a : 걸림돌기 390 : 레버록
391 : 슬라이더 392 : 날개편
393 : 록킹편 394 : 걸림홈
395 : 탄성편 396 : 걸림턱
400 : 착탈부재 410 : 푸쉬버튼
411 : 가이드돌기 412 : 스프링
414 : 스프링로어시트 415 : 푸쉬버튼체결공
416 : 가이드홈 500 : 본체
600 : 호스 W : 와셔
N : 너트 O1∼O3 : 오링
특허문헌 : 국제공개번호 WO 2004/073478
본 발명은 다수의 벨크로착탈돌기가 바닥판에 일체로 형성된 액세서리가 구성된 멀티형 스팀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멀티형 스팀청소기(보다 상세하게는 멀티형 스팀진공청소기)로서, 예컨대 특허문헌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멀티형 스팀청소기(1)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팀발생보일러 등이 탑재된 본체(2)와 그 끝단에 배치되는 액세서리(4)로 스팀을 공급하는 노즐(3)로 구성하여 있다. 액세서리(4)는 바닥판 중심에 스팀분출구가 형성되고, 그 주위의 가장자리에 용도에 따라 라지 브러쉬, 스몰 브러쉬, 노즐/원형솔 브러쉬(주로 창틀, 문틀 등 코너에 사용)가 심어져 있다.
라지 브러쉬는 찌든 때를 제거할 때 사용하지만, 마루, 장판, 타일 등의 바닥을 닦을 땐, 라지 브러쉬에 설치된 클립 또는 집게로 타월을 집어 사용한다. 또한 유리창, 방충망, 벽타일, 천쇼파 등을 닦을 땐, 스몰 브러쉬에 스몰 타월을 씌 우거나, 일반 타월인 경우 밴드로 묶어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바닥면이나 벽면 등을 청소할 땐 타월을 집거나 씌워서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밀고 당길 때 타월이 빠질 수 있다.
또한, 바닥면 닦을 때와 벽면 닦을 때 브러쉬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것은 라지 브러쉬로 사용할 수 없는 협소한 장소에 스몰 브러쉬를 사용한다는 측면도 있다. 그러나, 연결통(13)에 접속되는 브러쉬(14) 접속파이프가 바닥면에 대해 거의 45도 기울어져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면은 닦기 쉬운 경사지만, 벽면은 매우 불편한 경사 구조이다. 따라서, 스몰 브러쉬는 벽면에 닦기 쉽도록 접속파이프가 거의 벽면에 가깝게 위치한 경사진 것으로 별도 사용하고 있다.
한편, 노즐(3)은 손잡이(8)가 있는 바디(7)와, 이 바디(7)의 접속수단(10)에 형성된 스팀공급제트부(10b)와, 수동작동부재(11)로 구성하여 있다. 부호 12는 진공을 위한 모터 스위치이다.
이 수동작동부재(11)는 방아쇠 형태로서, 연속 분사를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계속 손가락으로 당기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수의 벨크로착탈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바닥판을 사용하여 패드의 탈부착을 편리하게 할 뿐 아니라 청소시 안정적으로 패드의 부착을 유지시킬 수 있는 멀티형 스팀청소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멀티형 스팀청소기는 증기발생보일러를 탑재한 본체와, 스팀노즐부재, 상기 본체와 상기 스팀노즐부재의 일단에 접속하는 호스부와, 상기 스팀노즐부재의 타단에 착탈되는 액세서리를 포함하되,
상기 액세서리는 바닥판과, 이 바닥판을 덮는 덮개로 구성되고; 상기 덮개는 상기 스팀노즐부재의 타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스팀노즐부재와 접속되는 스팀분출구와, 이 스팀분출구의 주변에 다수의 벨크로 착탈돌기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멀티형 스팀청소기는 증기발생보일러를 탑재한 본체와, 스팀노즐부재, 상기 본체와 상기 스팀노즐부재의 일단에 접속하는 호스부와, 상기 스팀노즐부재의 타단에 착탈되는 액세서리를 포함하되,
상기 액세서리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을 덮는 덮개와, 상단은 상기 스팀노즐부재의 타단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하단은 상기 덮개에 결합되는 접속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접속파이프에 접속되는 스팀분출구와, 이 스팀분출구의 주변에 다수의 벨크로착탈돌기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 구성들에 의하면, 패드의 벨크로에 착탈되는 벨크로착탈돌기가 바닥판에 일체로 성형하여 있기 때문에, 패드의 탈부착이 대단히 편리하고, 패드의 이탈을 실질적으로 방지하여 청소가 용이하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접속파이프의 하측과 상기 덮개는 힌지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힌지부재에는 상기 접속파이프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위치결정부재는 상기 접속파이프를, 상기 바닥판의 평면에 수직한 위치에 고정하는 제1고정위치와, 상기 바닥판의 평면에 가깝게 기울어진 위치에 고정하는 제2고정위치에 결정하도록 하면, 하나의 액세서리로 바닥면과 벽면을 청소할 뿐 아니라 비사용 시 세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접속파이프의 외주면에서 양측에 연장 형성된 힌지부; 상기 덮개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부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홈과; 상기 제1가이드홈에 대응되는 제2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를 커버링하는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위치결정부재는 고정돌기; 상기 고정돌기를 상기 제2가이드홈을 향해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 상기 제2가이드홈에 형성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걸리면 상기 제1고정위치에 설정되고,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의 끝단에 걸리면 상기 제2고정위치에 설정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힌지통으로 구성되고, 상기 힌지통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배치되는 절취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고정돌기를 고정한 채 상기 힌지통 내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수납된 스냅링으로 구성되면, 콤팩트한 힌지부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진공청소기를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멀티형 진공청소기를 배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멀티형 진공청소기는 증기발생보일러(미도시)를 탑재한 본체(500)와, 스팀노즐부재(300), 상기 본체(500)와 상기 스팀노즐부재(300)의 일단에 접속하는 호스(600)와, 상기 스팀노즐부재(300)의 타단에 착탈되는 액세서리(100)로 구성하여 있다.
액세서리(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130)과, 상기 바닥판(130)을 덮는 덮개(110)로 구성하여 있다. 또한, 덮개(110)에는 스팀노즐부재(300)의 타단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파이프(14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접속파이프(140) 대신에 덮개(110)에 스팀노즐부재(300)를 직접 착탈시켜도 무방함은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 바닥판(130)에는 스팀분출구(134)와, 이 스팀분출구(134)의 주변에 다수의 벨크로착탈돌기(1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스팀분출구(134)는 스팀분배통로(132)를 커버하는 통로커버(133)에 다수 형성되어 있다. 스팀분배통로(132)에는 스팀유입구(131)가 형성되어 있다.
벨크로착탈돌기(120) 각각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면(120a)에서 보면 평탄면이면서 눈사람 형태에 가까게 형성되고, 타면(120b)에서 보면 다이아본드와 같은 입체면으로 구성하여 있다. 또한 벨크로착탈돌기(120) 각각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눈사람 형태(이중 화살촉 형상)은 숲과 같이 생긴 패드의 벨크로(일명 찍찍이) 내로 잘 파고 들어가게 하지만, 일단 파고 들어가면 그 부착력이 매우 강해서 어른이 잡아당겨야 떨어질 정도로 하게 만든다. 또한, 입체면은 일단 파고 들어가면 벨크로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부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지그재그 형태는 부착력이 패드 전체에 골고루 분포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벨크로착탈돌기(120)의 구성에 의하여, 패드와 탈부착이 편리하면서 부착력이 매우 강해서 청소시 잘 벗겨지지 않아 청소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접속파이프(140)는 하측이 덮개(110)에 설치되고 상측이 스팀노즐부재(300)의 타단에 착탈부재(400)에 의해 착탈된다. 접속파이프(140)의 하단에는 접속파이프스팀출구(14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속파이프스팀출구(141)는 후술된 스팀노즐부재(300)의 제트부(330a)와 스팀유입구(131) 사이에 접속된다.
착탈부재(400)는 도 3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파이프(140)에 형성된 풀림버튼체결공(145)과, 풀림버튼체결공(145)에 출입되는 푸쉬버튼(410)과, 푸쉬버튼(410)를 표면쪽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412)으로 구성하여 있다. 또한, 스프링(412)은 제트파이프(330)에 형성된 스프링로어시트(414)와 푸쉬버튼(410) 사이에 개재되는 것이, 스프링(412)의 안정적 지지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푸쉬버튼(410)의 정확한 가이드를 위해, 푸쉬버튼(410)에는 가이드돌기(411)를, 제트파이프(330)에는 가이드홈(41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돌기(411)는 핸들케이싱(310)의 관통공(415) 주위에 걸려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착탈부재(400)에 의해, 접속파이프(140)를 스팀노즐부재(300)에 끼우 면, 푸쉬버튼(410)이 풀림버튼체결공(145)에 삽입된다. 그러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된다. 같은 방식으로 착탈되는 연장관(200)은 바닥을 청소할 때 중간에 끼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에 따라 제1연장관(210)과 제2연장관(230)을 끼워 사용할 수 있다. 연장관(200)을 빼내고 스팀노즐부재(300)와 액세서리(100)를 결합하면, 핸드 그립용 스팀청소기가 되어 벽면이나 구석진 곳을 청소할 때 좋다.
이와 같이, 액세서리(100)의 바닥에 벨크로착탈돌기(12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타월을 집게에 집거나, 뒤집어 씌워 일반밴드로 묶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집게나 씌우는 것보다 패드의 벨크로와 벨크로착탈돌기 간의 부착력이 매우 월등하여 패드의 벗겨질 우려가 없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속파이프(140)의 하측과 상기 덮개(110)는 힌지부재(150)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힌지부재(150)는 접속파이프(140)에 형성된 힌지부(151)와, 힌지부(151)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홈(154a)과, 제1가이드홈(154a)에 대응되는 제2가이드홈(154b)이 형성되는 커버(153)로 구성되어 있다. 힌지부(140)는 접속파이프(140)의 외주면에서 직교되게 연장 형성되고, 제1가이드홈(154a)은 덮개(110)의 양측에 형성되어 힌지부(151)의 일면을 가이드하고, 커버(153)는 상기 힌지부(151)를 선회 가능하게 상기 덮개(110)에 결합되어 있다.
이 힌지부재(150)의 구성에 의하여,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키(신장)에 따라 접속파이프(140)의 경사각도를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바닥 닦을 때 편리하다. 또한, 접속파이프(140)의 경사각도, 예컨대 비사용(보관) 중에는 도 6와 같이 바닥판의 평면에 대해 수직하게 세우거나(이하 '제1고정위치'라 한다), 벽면을 청소할 때는 도 7과 같이 바닥판의 평면에 거의 수평하게 두거나(이하 '제2고정위치'라 한다) 하면 사용목적에 따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위치들을 확실히 결정하기 위해서, 힌지부재(150)에 위치결정부재(16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위치결정부재(160)는 고정돌기(161)와, 고정돌기(161)를 제2가이드홈(154b)을 향해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163)와, 제2가이드홈(154b)에 형성되는 고정홈(165)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위치결정부재(160)에 의하여, 고정돌기(161)가 고정홈(165)에 걸리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사용 또는 보관위치인 제1고정위치에 확실히 설정된다. 이때, 접속파이프(140)에 형성된 제1고정위치돌기(143a)가 커버(153)의 제1고정위치스토퍼(143b)에 걸리도록 하면 좋다. 또한, 고정돌기(165)가 제2가이드홈(154b)의 끝단부(166)에 걸리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로 벽면 청소 위치인 제2고정위치에 확실히 설정된다. 이때에도 접속파이프(140)가 걸리는 제2고정위치스토퍼(169)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나의 액세서리(100)로 바닥청소와 벽면청소를 행할 수 있어, 부품수가 간단하고 착탈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청소가 대단히 편리하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부(151)는 접속파이프(140)의 외주면에서 연장된 힌지통(151)으로 구성되고, 이 힌지통(151)에는 고정돌기(161)가 배치되는 절취홈(152)을 형성하고, 이 힌지통(151) 내부에 탄성부(163)를 수납하여 구성 하여 있다. 이 수납된 탄성부(163)는 고정돌기(161)를 고정한 채 힌지통(151) 내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수납된 C형 스냅링(163)으로 구현하는 것이, 우수한 탄성과 수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치결정부재(160)가 힌지부재(150)의 힌지통(151)에 수용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콤팩트한 액세서리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통(151)의 양단은 덮개(110)의 지지브래킷(167)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지지브래킷(167)은 힌지통(151)의 자리를 잡아주는 역할도 하지만, 스냅링(163)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도 한다.
이하에서는 스팀노즐부재(300)의 구조와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노즐부재를 평면에서 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는 도 9의 스팀노즐부재를 평면에서 본 결합 사시도이고, 도 11은 스팀노즐부재 중 노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은 스팀노즐부재의 분사 작동에 관한 주요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 내지 도 15는 작동레버의 잠금, 풀림, 연속분사잠금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팀노즐부재(300)는 핸들케이싱(310)과, 핸들케이싱(310)에 수납된 노즐부(320)와, 상기 노즐부(320)에 장착된 밸브(340)와, 상기 밸브(340)를 작동하는 레버(370)와, 레버(370)를 록킹하여 자동 분사시키는 레버록(390)으로 구성하여 있다.
상기 레버(370)는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371)과, 이 암(371)의 선단측에 형성된 힌지축(373)과, 후단측에 형성된 누름부(375)와 돌출편 (377)으로 구성하여 있다. 암(371)의 선단면(372)은 밸브(340)의 가동샤프트(341)에 접촉해 있고, 선회축(373)은 핸들케이싱(310)의 레버힌지지지브래킷(313)에 결합되어 있다. 누름부(375)는 암(371)을 선회시키는 작동판으로서, 핸들케이싱(310)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누름부(375)를 누르면 선단면(372)이 가동샤프트(341)를 앞으로 밀게 되어 노즐부(320)가 개방되어 스팀을 분사하게 된다.
레버록(390)은 핸들케이싱(3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391)와, 슬라이더(391)의 선단에서 돌출 형성된 록킹편(39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록킹편(393)은 돌출편(377)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촉하여 작용한다. 이것은 상면접촉인 경우 연속분사, 하면접촉인 경우 분사금지 기능을 간단히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391)의 전후에는 작동력(풀림/자동분사/잠금)을 가하는 날개(392)가 형성되고, 이 날개(392)는 핸들케이싱(310)의 장공(312)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즉,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킹편(393)이 돌출편(377)의 상면에 위치하면, 암(371)의 선단면(372)이 가동샤프트(341)를 계속 밀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것은 연속 또는 자동 분사 상태로서 레버(370)를 계속 손가락으로 누르고 있을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도 13와 같이, 록킹편(393)이 돌출편(377)의 하면에 위치하면, 암(371)의 선단면(372)은 가동샤프트(341)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것은 분사 금지 상태로서 레버(370)를 누를 수 없는 상태이다. 이때, 록킹편(393)의 상면에는 걸림홈(394)이 형성되고, 돌출편(377)의 하면에는 걸림돌기(377a)를 형성하 는 것이 좋다. 이것은 걸림돌기(377a)가 걸림홈(394)에 걸려 있기 때문에, 레버잠금상태에서 누름부(375)를 가압하더라도 레버록(390)이 빠져 뒤로 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사금지 또는 자동분사를 위한 록킹 상태에서 임의로 뒤로 밀리는 것을 더욱 방지하기 위하여, 슬라이더(391)의 후단에는 탄성판(395)과 돌출턱(396)을 형성하고, 핸들케이싱(310)에는 돌출턱(396)이 걸리는 걸림턱(31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도 14은 레버록(390)이 해제된 상태로서, 수동 분사 상태이다. 즉, 록킹편(393)과 돌출편(377)이 서로 떨어진 상태로서,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레버(370)를 작동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의 돌출턱(396)과 걸림턱(316)은 레버록(390)이 임의적으로 앞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레버록(390)은 레버(370)를 록킹하여 노즐부(320)의 개방상태를 자동으로 유지하기 때문에, 스팀을 연속 분사(자동 분사)할 때 손가락으로 계속 누를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레버록(390)의 위치에 따라 레버(370)를 분사금지, 수동분사, 자동(연속)분사 3가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케이싱(310)은 좌우로 분할된 핸들케이싱(310a)(310b)으로서, 인체공학적으로 밀고 당기기 편리한 산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이 절곡된 핸들케이싱(310)의 선단에는 후술된 제트부(330a)가 노출된 채 배치되어 있다. 즉, 핸들케이싱(310)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파이프(140)와 동일 선상의 직선케이싱(301)과, 이 케이싱(301)의 일단에서 위쪽을 향한 제1절곡 케이싱(힘 분산 기능)(303)와, 제1절곡부(303)에서 아래쪽을 향한 제2절곡부(손잡이 기능)(305)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은 인체공학적으로 밀고 당기기 손쉬운 구조이다.
노즐부(320)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에 제트부(330a)가 형성된 제트파이프(330)와, 제트커플링(350)과, 제트커플링(350)에 설치된 밸브(340)로 구성하여 있다.
제트파이프(330)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케이싱(301)와 제1절곡케이싱(303)에 수납되는 절곡형이다. 이 절곡형 제트파이프(330)에는 제트커플링(350)이 제1절곡케이싱(303)에 수납된 채 접속되게 된다. 제트커플링(350)은 제트파이프(330)와 호스(600)를 서로 접속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제트파이프(330)와 제트커플링(350)을 분리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절곡형의 핸들케이싱(310)에로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2절곡케이싱(305)은 스팀유동호스가 지나가는 공간으로 할 수 있다. 호스(600)는 크게 본체(500)의 보일러와 제트파이프(330)을 접속하는 스팀유동호스와, 이를 감싸 보호하는 가요성 보호튜브로 구성할 수 있다.
제트커플링(350)은 선단이 제트파이프(330)에 접속되는 중공관(350a)과, 이 중공관(350a)에서 분기하여 호스(600)에 접속되는 분기관(350b)으로 구성하여 있다.
밸브(340)는 분기점(350b)보다 앞쪽의 중공관(350a) 내주면에 형성되는 밸브시트(343)와, 밸브시트(343)를 개폐하는 개폐판(345)과, 일단에 개폐판(345)이 설치되고 타단에 레버(370)의 가압력이 작용되는 가동샤프트(341)와, 가동샤프트 (341)를 레버(370) 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347)으로 구성하여 있다.
밸브시트(343)는 그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된 스팀토출구로서 기능을 한다. 개폐판(345)은 밸브시트(343)에서 나온 가동샤프트(341)의 선단에 끼워진 후 와셔(W)와 너트(N)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가동샤프트(341)는 밸브시트(343)와 중공관(350a)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347)은 분기점보다 뒤쪽의 중공관(350a) 내벽에 설치된 로어시트(347a)와 가동샤프트(341)에 형성된 어퍼시트(347b)에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시트(343)를 로어시트로서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분사되는 스팀이 스프링으로 인해 방해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트파이프(330)에는 원주방향에 돌출테(331)가, 길이방향에 돌출띠(33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핸들케이싱(310)에는 도 9,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테(331)의 밀림(또는 흔들림)을 방지하는 밀림방지턱(311)과, 돌출띠(333)의 회전(헛도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턱(31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트커플링(350)에도 돌출테(351)와 돌출띠(35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트커플링(350)은 스팀분출이 시작되는 곳으로, 그 압력이 상대적으로 다른 곳보다 크다. 따라서, 돌출테(351)는 장착홈(315)에 끼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트부(330a)에 가장 가까운 돌출테(331)도 핸들케이싱(310)의 선단과 밀림방지턱(311) 사이에 끼어져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노즐부(320)의 안정적 고정을 통해 소음을 방지하고 분사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형 스팀청소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 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멀티형 스팀청소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스팀노즐부재의 타단에 착탈되는 액세서리의 바닥판에 스팀분출구와 이 스팀분출구의 주변에 다수의 벨크로착탈돌기가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집게에 집거나 브러쉬에 씌우는 것보다, 패드의 탈부착이 편리할 뿐 아니라, 바닥면을 닦을 때 부착된 패드가 이탈 또는 벗겨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이것은 집게나 씌우는 것보다 패드의 벨크로와 다수의 벨크로착탈돌기 간의 부착력이 매우 월등하기 때문이다).
둘째, 접속파이프의 하단과 덮개가 힌지부재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사용자의 키(신장)에 따라 접속파이프의 사용각도를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힘들이지 않고 바닥면의 청소가 가능하다.
셋째, 상기 힌지부재에는 상기 접속파이프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부재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접속파이프를 상기 바닥판의 평면에 수직한 위치에 고정(제1고정위치)하여 보관이나 일시 중지 용도로 사용하거나, 상기 바닥판의 평면에 가깝게 기울어진 위치에 고정(제2고정위치)하여 벽면 등을 닦을 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액세서리로 바닥면과 벽면을 교체함이 없이 청소할 수 있다.
넷째, 고정돌기가 배치되는 절취홈을 갖는 힌지통 내부에 탄성 변형 가능한 스냅링이 수납됨으로써, 힌지부의 콤팩트화로 인해 액세서리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다.

Claims (6)

  1. 증기발생보일러를 탑재한 본체와, 스팀노즐부재와, 상기 본체와 상기 스팀노즐부재의 일단에 접속하는 호스와, 액세서리와, 상기 스팀노즐부재와 상기 액세서리 사이에 접속되는 연장관을 포함하되,
    상기 연장관은 상기 스팀노즐부재와 상기 액세서리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액세서리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을 덮는 덮개와, 상단은 상기 스팀노즐부재 또는 상기 연장관의 타단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하단은 상기 덮개에 결합되는 접속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접속파이프에 접속되는 스팀분출구와, 이 스팀분출구의 주변에 다수의 벨크로부착착탈돌기가 일체로 성형되고,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스팀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파이프의 하측과 상기 덮개는 힌지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스팀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에는 상기 접속파이프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위치결정부재는 상기 접속파이프를, 상기 바닥판의 평면에 수직한 위치에 고정하는 제1고정위치와, 상기 바닥판의 평면에 가깝게 기울어진 위치에 고정하는 제2고정위치에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스팀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접속파이프의 외주면에서 양측에 연장 형성된 힌지부; 상기 덮개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부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홈과; 상기 제1가이드홈에 대응되는 제2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를 커버링하는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위치결정부재는 고정돌기; 상기 고정돌기를 상기 제2가이드홈을 향해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 상기 제2가이드홈에 형성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걸리면 상기 제1고정위치에 설정되고,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제2가이드홈의 끝단부에 걸리면 상기 제2고정위치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스팀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힌지통으로 구성되고,
    상기 힌지통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배치되는 절취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고정돌기를 고정한 채 상기 힌지통 내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수납된 스냅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스팀청소기.
  6. 증기발생보일러를 탑재한 본체와, 스팀노즐부재와, 상기 본체와 상기 스팀노즐부재의 일단에 접속하는 호스부와, 액세서리와, 상기 스팀노즐부재와 상기 액세서리 사이에 접속되는 연장관을 포함하되,
    상기 액세서리는 바닥판과, 이 바닥판을 덮는 덮개로 구성되고,
    상기 덮개는 상기 스팀노즐부재 또는 상기 연장관의 타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스팀노즐부재와 접속되는 스팀분출구와, 이 스팀분출구의 주변에 다수의 벨크로착탈돌기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스팀청소기.
KR1020060065772A 2006-07-13 2006-07-13 멀티형 스팀청소기 KR100793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772A KR100793413B1 (ko) 2006-07-13 2006-07-13 멀티형 스팀청소기
CNB2007101374736A CN100493433C (zh) 2006-07-13 2007-07-13 多功能蒸汽吸尘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772A KR100793413B1 (ko) 2006-07-13 2006-07-13 멀티형 스팀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3413B1 true KR100793413B1 (ko) 2008-01-11

Family

ID=38911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772A KR100793413B1 (ko) 2006-07-13 2006-07-13 멀티형 스팀청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93413B1 (ko)
CN (1) CN10049343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542B1 (ko) * 2010-02-22 2012-04-04 한경희 패드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
CN105395142B (zh) * 2015-12-15 2017-04-05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蒸汽清洁设备的地刷和具有其的蒸汽清洁设备
CN109875465B (zh) * 2018-02-09 2021-11-02 松下家电(中国)有限公司 自动更换清洁布的清洁机器人及自动更换清洁布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458Y1 (ko) 2002-11-30 2003-03-11 한경희 스팀청소기의 걸레 부착구조
KR200392095Y1 (ko) 2005-02-22 2005-08-11 고정순 스팀 청소기
KR200413665Y1 (ko) 2006-01-12 2006-04-10 김변삼 스팀청소기의 베이스 어댑터 체결 구조
KR200413777Y1 (ko) 2006-01-16 2006-04-13 한경희 스팀청소기용 트레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458Y1 (ko) 2002-11-30 2003-03-11 한경희 스팀청소기의 걸레 부착구조
KR200392095Y1 (ko) 2005-02-22 2005-08-11 고정순 스팀 청소기
KR200413665Y1 (ko) 2006-01-12 2006-04-10 김변삼 스팀청소기의 베이스 어댑터 체결 구조
KR200413777Y1 (ko) 2006-01-16 2006-04-13 한경희 스팀청소기용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93433C (zh) 2009-06-03
CN101081155A (zh) 200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1401B2 (en) Cleaning apparatus
US20060233592A1 (en) All-in-one polish dispenser and wiper
US20120301208A1 (en) Cleaning system
CA1275767C (en) Cleaning wand
US8984702B2 (en) Multipurpose cleaning apparatus
KR100793413B1 (ko) 멀티형 스팀청소기
JP2003503132A (ja) 平滑面特に窓拭き用清掃器具
KR200437724Y1 (ko) 실리콘 건
KR200446525Y1 (ko) 기계식 비데
US5316401A (en) Scrubbing attachment for spray nozzles
US5086536A (en) Convertible vacuum cleaner
JP4726620B2 (ja) 清掃用具
KR100793414B1 (ko) 스팀노즐부재와 이를 사용한 멀티형 스팀청소기
KR100756003B1 (ko) 스팀노즐부재와 이를 사용한 멀티형 스팀청소기
US5819365A (en) Window washing accessory cleaning tool for use with water extraction cleaning machine
US4437203A (en) Cleaning head for wall washing machines
CN113017474B (zh) 配备有可拆卸清洁元件的清洁头
KR101253245B1 (ko) 스팀청소기
CN216907171U (zh) 一种三面u型牙刷
CN210095642U (zh) 清洁设备的附件刷、附件组件及清洁设备
JPH0248067Y2 (ko)
CN114424858A (zh) 一种三面u型牙刷
JPH11318775A (ja) 電気掃除機
JP4177290B2 (ja) 電気掃除機
KR970002808Y1 (ko) 다용도 소제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