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542B1 - 패드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패드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1542B1
KR101131542B1 KR1020100015635A KR20100015635A KR101131542B1 KR 101131542 B1 KR101131542 B1 KR 101131542B1 KR 1020100015635 A KR1020100015635 A KR 1020100015635A KR 20100015635 A KR20100015635 A KR 20100015635A KR 101131542 B1 KR101131542 B1 KR 101131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tray
plate
locking
bending de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6277A (ko
Inventor
한경희
Original Assignee
한경희
주식회사 한경희생활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희, 주식회사 한경희생활과학 filed Critical 한경희
Priority to KR1020100015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542B1/ko
Priority to CN201110040487.2A priority patent/CN102342806B/zh
Publication of KR20110096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6Floor-scrubbing machines, hand-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34Machines for treating carpets in position by liquid, foam, or vapour, e.g. by steam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드가 부착될 패드부착돌기물이 형성되는 트레이판에 휨변형방지부재가 설치된 패드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패드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pad tray and base assembly for floor cleaner}
본 발명은 패드가 부착될 패드부착돌기물이 형성되는 트레이판에 휨변형방지부재가 설치된 패드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위퍼로는, 예컨대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20-0317923)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공보에 따른 스위퍼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3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브러시(20)와, 하우징(10)의 후방측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수납용기(40)와, 하우징(10)의 상부 일측면 상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그 전방 하부측에 소정 크기의 흡입구(11)가 형성되고, 흡입구(11)에 회전 브러시(20)가 배치된다. 하우징(10)의 후방 일측에 결합홈(12)이 형성되고, 하우징(10)의 상부 일측에는 손잡이부재(미도시)가 끼워지는 회동편(13)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 브러시(20)는 하우징(10)의 흡입구(11) 측에 배치되고, 그 일부분이 바닥표면과 맞닿도록 흡입구(1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또한, 회전 브러시(20)는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된 구동모터(30)의 회전 구동력을 벨트, 체인 등과 같은 간접전동기구(32)를 통해 전달받도록 구성된다. 한편, 구동모터(30)의 작동은 하우징(10)의 상부 일측면 상에 구비된 작동스위치(31)의 온ㆍ오프 신호에 의해 이루어진다.
수납용기(40)는 하우징(10)의 후방 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바람직하게는 수납용기(40)의 전방 일측에는 누름 버튼(41)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로 벌어지는 후크(42)가 형성되고, 이 후크(42)가 하우징(10)의 후방 일측면 상에 형성된 결합홈(12)에 결합 및 해제됨으로써 수납용기(40)가 하우징(10)의 후방 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하우징(10) 및 수납용기(40) 사이의 상호 결합되는 부분에는 소정의 가이드 홈(15) 및 가이드 돌기(43)가 선택적으로 형성되고, 하우징(10) 및 수납용기(40)의 하부면 상에는 적정수의 바퀴들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0) 및 수납용기(40)의 상호 결합되는 하부면에는 소정 각도의 경사면(14, 44)이 각각 구비되어, 회전 브러시(20)에 의해 집진되는 바닥 표면상의 이물질은 이탈됨이 없이 바로 수납용기(40) 내로 완전히 수거된다.
이러한 종래 스위퍼의 하우징(10)과 수납용기(40)의 구성에 의하면, 회전 브러시(20)가 이물질 쓸어담을 때 경사면(14)을 타고 올라가 수납용기(40)에 수납되는 것도 있지만, 회전 브러시(20)의 회전력에 의해 이물질이 원심력에 의해 역류되어 흡입구(11) 쪽으로 다시 나올 수 있다.
또한, 회전 브러시(20)에 묻은 이물질이 떨어지지 않을 경우 빗자루로서의 기능이 떨어지고 지저분하다.
한편, 종래 스팀 겸용 스위퍼로서 예컨대 한국특허등록공보(10-0402692)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종래 스팀 겸용 스위퍼는 증기를 발생하기 위해 물이 저장되어 스팀으로 가열되는 탱크(10)가 내장되어있고, 바퀴(20)가 설치되어 이동되는 본체(30)와, 본체(30)의 전방으로는 바닥의 오물을 쓸어담는 흡입브러쉬(40)로 이루어지되, 본체(30)의 저면으로는 걸레(50)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흡입브러쉬(40)는 횡방향으로 형성된 축지지부(4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본체(30)와 결합되어 있으며, 축지지부(42)의 일측은 바퀴(20)와 벨트(60)로 결합되어 서로 연동되어 회전한다. 발생된 스팀은 스팀분출공(12)으로 분출되어 본체(30)에 장착된 걸레(50)를 적시게 된다.
그런데, 카펫을 청소할 때는 걸레(50)를 부착하는 돌기물이 카펫의 털에 걸려 손상을 주기 때문에, 바닥 청소만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돌기물이 형성된 탈부착 트레이가 종래에 제안되어 있지만, 탈부착 트레이는 본체에 붙어있지 않아 그냥 두는 경우 플라스틱 자체의 휨 변형이 생기고, 이로 인해 본체에 잘 맞지 않아 부착되지 않거나 부착되더라도 괜찮이 힘들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판과 하판을 조립하거나, 아니면 돌기물은 성형하지 않고(왜냐하면 경질 플라스틱으로는 돌기물이 형성되지 않거나, 돌기물이 형성되더라도 정밀하지 않아 그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함) 탈부착 트레이 전체를 경질 플라스틱으로 얇게 사출하고 그 탈부착 트레이의 바닥에 직물인 벨크로를 붙인다.
그러나, 상판과 하판의 조립은 두께 자체가 매우 두꺼워져서 청소시 구석구석 닦기 어렵고 부품이 많이 소요되면서 무게도 많이 차지하여 청소가 힘들다.
한편 벨크로를 트레이의 바닥에 붙이는 것은 반복적인 사용 또는 외부 환경에 의해 접착제의 기능 상실로 벨크로가 바닥에서 쉽게 떨어지기 쉽기 때문에 그 수명이 매우 짧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제20-0317923호 한국특허등록공보제10-040269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탈부착에 따른 단품으로서 패드부착돌기물의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전체적인 휨 변형을 방지한 패드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패드 트레이는,
패드가 부착될 패드부착돌기물과 스팀이 상기 패드로 인출되는 스팀인출공이 형성되는 트레이판; 상기 트레이판에 형성되는 휨변형방지부재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트레이판가 휘어져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본체에 부착되는 위치가 정확히 맞아 탈부착이 매우 용이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패드 트레이는,
상기 휨변형방지부재는 상기 트레이판의 선단측에 설치되는 휨변형방지바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좌우 길이가 길고 설치가 용이한 부분을 휨변형방지부재로 커버함으로써 전체적인 휨 변형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패드 트레이는,
상기 휨변형방지바는 상부 플랜지, 하부 플랜지,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의 일단을 연결하는 웨브,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의 타단에서 아래와 위로 돌출하는 상부 돌기와 하부 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트레이판의 선단측 상하면에는 상기 상부 돌기와 하부 돌기가 걸리는 상부 걸림턱과 하부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힘변형방지바가 트레이판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패드 트레이는,
상기 휨변형방지바는 상기 트레이판의 선단측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부 걸림턱과 하부 걸림턱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끼워지고, 상기 휨변형방지바를 상기 트레이판에 록킹되어 역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지하는 록킹부를 더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휨변형방지바의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설치한 후 록킹이 매우 확실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패드 트레이는,
상기 록킹부는 상기 휨변형방지바에서 외팔보 형태로 비스듬히 누워있는 록킹핀과, 상기 트레이판의 선단측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록킹핀의 자유단이 걸리는 록킹걸림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슬라이딩 설치의 완료와 함께 역슬라이딩 방지도 동시에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패드 트레이는,
상기 휨변형방지부재는 상기 트레이판에 인서트 사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별도의 설치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아 간단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기재된 패드 트레이는,
상기 트레이판은 상기 패드부착돌기물이 형성되는 패드부착돌기판과, 상기 패드부착돌기판을 지지하여 보강하도록 인서트한 채 상기 스팀인출공이 형성되게 사출한 보강트레판을 포함하되, 상기 패드부착돌기판은 연질 플라스틱판이고, 상기 보강트레이판은 경질 플라스틱판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패드부착돌기물의 본래의 기능을 그대로 살리면서 패드부착돌기판의 휨변형을 보강트레이판이 재차 잡아줘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기재된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는,
상부케이스와, 흡입구와 스팀분사공이 형성된 하부케이스로 구성되는 본체; 패드가 부착될 패드부착돌기물과 스팀이 상기 패드에 인출되는 스팀인출공이 형성되는 패드 트레이; 상기 패드 트레이를 상기 하부케이스의 밑면에 탈착시키는 탈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패드 트레이에는 휨변형방지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기재된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는,
상기 휨변형방지부재는 상기 패드 트레이의 선단측에 설치되는 휨변형방지바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10에 기재된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는,
상기 휨변형방지부재는 상기 패드 트레이에 인서트 사출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청구항 11에 기재된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는,
상기 패드 트레이는 상기 패드부착돌기물이 형성되는 패드부착돌기판과, 상기 패드부착돌기판을 지지하도록 인서트한 채 상기 스팀인출공이 형성되게 사출한 보강트레이판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착돌기판은 연질 플라스틱판이고, 상기 보강트레이판은 경질 플라스틱판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12에 기재된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는,
상기 탈착부재는 상기 패드 트레이에 돌출 형성되어 측면에 록킹홈이 형성되는 제1탈착부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밑면에 형성되는 홈에 장착되어 상기 록킹홈에 록킹되는 제2탈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탈착부는 상기 홈에 수용되어 상기 록킹홈에 록킹되는 탄성록킹부와, 상기 하부케이스에 체결되어 상기 탄성록킹부가 동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드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패드 트레이에 휨변형방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본체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도 휨변형이 방지되어 본체에 잘 맞아 부착이 매우 쉽다.
연질의 돌기물을 갖는 패드부착돌기판을 인서트하여 경질의 보강트레이판으로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탈부착에 따른 단품으로서 패드부착돌기물의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전체적인 휨 변형을 재차 방지한다.
또한, 탈착부재는 패드 트레이에 돌출 형성되어 측면에 록킹홈이 형성되는 제1탈착부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밑면에 형성되는 홈에 장착되어 상기 록킹홈에 록킹되는 제2탈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탈착부는 상기 홈에 수용되어 상기 록킹홈에 록킹되는 탄성록킹부와, 상기 하부케이스에 체결되어 상기 탄성록킹부가 동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함으로써, 조립/분해가 쉽고 탄성록킹부의 기능을 확실히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 겸용 스위퍼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패드 트레이를 제거한 스팀 겸용 스위퍼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저면도.
도 4는 도 1의 결합 단면도.
도 5a는 하부케이스의 상면 사시도.
도 5b는 도 5a에 회전 브러시와, 이 회전 브러시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재를 장착한 상태의 상면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상부 케이스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모터와 모터지지프레임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집진통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집진통이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패드 트레이를 도시한 저면 및 상면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패드 트레이를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3은 패드 트레이와 하부 케이스의 탈착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 및 도 15는 패드 트레이의 선단측에 휨변형방지부재를 설치한 저면 및 상면 사시도.
도 16은 본 실시예의 휨변형방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a 및 도 17b는 도 14의 a-a 및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18은 종래 스위퍼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결합 측단면도.
도 20은 종래 다른 스팀 겸용 스위퍼를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저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 겸용 스위퍼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패드 트레이를 제거한 스팀 겸용 스위퍼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팀 겸용 스위퍼는 크게 베이스 어셈블리(100)와, 이 베이스 어셈블리에 설치되는 밀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밀대 어셈블리는 베이스 어셈블리(100)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넥 어셈블리(300)와, 넥 어셈블리(300)에 설치되는 손잡이 어셈블리(미도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어셈블리(100)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 장착되는 스위핑부재(140) 및 스팀발생부재(19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외형을 이루는 하부 케이스(120)와, 하부 케이스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13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110)에는 격벽(111)을 중심으로 전방측에 스위핑부재(140)가 장착되는 스위핑장착구획부(113)와, 후방측에 스팀발생부재(190)가 장착되는 스팀장착구획부(116)로 나뉘어진다.
격벽(111)은 하부 케이스(120)측 하부 격벽(111a)과, 상부 케이스(130)측 상부 격벽(111b)으로 나뉜다. 또한, 하부 격벽(111a)과 상부 격벽(111b) 사이에는 패킹(112)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20)측 스위핑장착구획부(113a)의 전방측에는 브러시부(150)가 배치되는 흡입구(121)가 형성되고, 흡입구(121)의 좌우측에는 브러시부(150)를 회전 가능하게 홀딩하는 홀더(152)가 장착되는 하측 브러시홀더지지대(123a)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120)측 스위핑장착구획부(113a)의 후방측에는 모터(160)가 안착되는 모터안착부(171)가 형성되고, 하부 케이스(120)측 스위핑장착구획부(113a)의 좌측 또는 우측에는 브러시부(150)의 풀리(164)와, 모터(160)의 풀리(162)에 걸치는 벨트(166)가 배치되는 통로(12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흡입구(121)와 모터안착부(171) 사이에는 집진통(200)이 안착되는 집진통안착홈(127)이 형성되어 있다.
집진통안착홈(127)은 계단형태의 바닥(127a)과, 이 바닥(127a)의 가장지리에서 위로 돌출한 전면(128), 좌우측면(127b) 및 배면(127c)로 이루어진다.
바닥(127a)은 전방측이 후방측에 비해 낮은 형태로 취하고 있다.
배면(127c)에는 후술되는 록커(25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27d)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집진통안착홈(127)의 전면(128)은 후술된 집진통(200)의 경사전면판(211)과 같은 경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면(128)은 1차 경사면(128), 경사전면판(211)은 2차 경사면(211)이 하나의 경사면을 이루어, 쓰레받기의 도입부 역할을 한다.
이때, 전면(128) 측 흡입구(121)에는 러버 파티션 플레이트(115)가 더 설치되어, 바닥을 긁거나 이물질이 뒤로 가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 케이스(120)측 스팀장착구획부(116a)에는 스팀토출구(129)가 형성되고, 맨 뒤쪽 중앙에는 뒷바퀴(118)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입구(121)의 약간 뒤쪽에 좌우 앞바퀴(117)가 하부케이스(120)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팀토출구(129)에서 나오는 스팀을 좌우 전체로 분산 토출시키도록 스팀토출커버(129a)가 하부케이스(120)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30)측 스위핑장착구획부(113b)에는 흡입구(121)와 집진통안착홈(127)에 대응되는 관통부(131)가 형성되고, 상부 케이스(130)측 스팀장착구획부(116b)에는 탱크 어셈블리(192)가 장착되는 탱크장착홈(13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부(131)의 배면판(132)과 상측 격벽(111b) 사이에는 후술된 모터마운팅부(170)가 수용되는 모터마운팅수용홈(135)과 PCB장착홈(137)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부(131)측 좌우에는 홀더(152)를 위에서 지지하는 상측 브러시홀더지지대(123b)가 형성되고, 상부 케이스(130)측 스위핑장착구획부(113b)의 좌측 또는 우측에는 하측 통로(125a)와 대응되는 상측 통로(125b)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120)와 상부 케이스(130)는 피스로 체결되며, 특히 하부 케이스(120)의 최전방측에는 걸림돌기(119a)가 형성되고 상부 케이스(130)의 최전방측에는 걸림돌기(119a)가 걸리는 걸림턱(119b)이 형성되어 밀폐력을 향상시킨다.
스위핑부재(140)는 브러시부(150)와, 이 브러시부(150)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동력전달부재로 구성하여 있다.
브러시부(150)는 회전샤프트(151)와, 이 회전샤프트(151)에 설치되는 브러시(153)로 구성하여 있다.
회전샤프트(151)의 양쪽 회전축은 홀더(15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홀더(152)는 브러시홀더지지대(123a)(123b)에 안정적으로 홀딩되어 있다.
회전동력전달부재는 모터(160), 회전샤프트(151)의 일측에 형성된 풀리(162)와 모터(160)의 회전축에 설치된 풀리(164)에 걸치는 벨트(166)로 구성하여 있다.
벨트(166)는 치형이 있는 타이밍 벨트로 구성되고, 풀리(162)와 풀리(164)는 치형과 맞물리는 치형 풀리로 구현되는 것이 좋다.
모터(160)는 모터마운팅부(170)에 의해 하부케이스(120)에 체결 마운팅 된다.
즉, 모터마운팅부(170)는 모터(160)의 밑면이 안착되게 하부케이스(120)에 형성되는 모터안착부(171)와, 하부케이스(120)에 체결되어 모터(160)의 윗면을 감싸 지지하는 모터지지프레임(173)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체결이 쉬우면서 모터안착부(171)와 모터지지프레임(173)이 모터(160)를 감싸 소음을 차단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모터(160)가 벨트(166)에 의해 한쪽에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이 힘을 상쇄하는 지지구조를 취하여 모터(160)의 회전축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이것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체결프레임(176)의 좌측은 하나, 우측은 2개의 체결구조로부터 달성될 수 있다.
모터지지프레임(173)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열공(174a)이 형성된 모터몸체프레임(174)과, 모터몸체프레임(174)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접촉리브(175)와, 모터몸체프레임(174)에서 연장되는 모터체결프레임(176)을 포함한다.
접촉리브(175)는 모터(160)의 외주면과 선접촉을 하도록 원둘레를 따라 띠형상이고, 방열공(174a)은 접촉리브(175)와 접촉리브(175) 사이의 모터몸체프레임(174)에 형성되어 모터(160)에서 발생된 열을 방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지지프레임(173)의 양측에는 모터체결프레임(176)이 형성되어, 피스에 의해 하부케이스(120)에 체결 고정된다.
모터안착부(171)는 모터(160)의 밑면을 받치는 복수의 받침리브(17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터안착부(171)의 일측에는 모터(160)의 일측단(회전축 근처)을 받치는 모터일측받침대(171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받침리브(172)와 모터(160)의 밑면 사이에는 방열공(178a)이 형성된 방진패드(178)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모터안착부(171)와 받침리브(172) 사이에는 방진패드(178)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진패드(178)에도 방열공(178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진패드(178)의 일측에는 모터(160)의 일측단에 지지되는 지지캡(178b)이 형성되어, 모터일측받침대(171a)와 모터(160)의 일측단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진동에 의한 소음을 흡수하게 된다.
관통부(131)와 집진통안착홈(127)에 수용 안착되는 집진통(20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210)와, 이 케이스(210)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230)를 포함한다.
케이스(210)의 전면에는 쓸어담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유입구(21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케이스(210)는 전면판(211), 좌우측판(213), 뒤판(215) 및 밑판(217)으로 구성되어, 개방된 상부로 쌓인 이물질을 청소하는 배출구로 사용한다.
전면판(211)은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진 경사전면판(211)으로 이루어져, 쓸어담는 쓰레받기 역할을 한다.
물론, 유입구(212)은 경사전면판(211)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좌우측판(213)에는 가이드돌기(213a)가 형성되고, 관통부(131)의 좌우측판에는 가이드홈(13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밑판(217)은 전술한 계단형태의 바닥(127a)에 안착되는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따라서, 밑판(217)의 전방측(217a)은 후방측(217b)에 비해 아래로 더 내려오기 때문에, 유입구(212)의 높이만큼 줄어든 용량을 보상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230)는 케이스(210)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1커버(231)와, 제1커버(231)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2커버(233)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진통(200)이 관통부(131)에 수납되었을 때 도 4 및 도 9a와 같이, 제2커버(233)는 브러시(153)의 상부를 커버한다.
커버(230)는 힌지부재(218)(238)에 의해 케이스(2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커버(230)의 힌지축(238)은 케이스(210)의 힌지공(218)에 결합되어 선회 가능하다.
힌지축(238)은 제1커버(231)와 제2커버(233) 사이에 형성되고, 힌지공(218)은 유입구(212) 근처의 좌우측판(213)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힌지축(238)과 힌지공(218)의 위치로 인해, 도 9a의 닫힌 상태에서 도 9b와 같이 열린 상태로 되었을 때, 제1커버(231)은 케이스(210)의 상부를 개방하는 한편, 제2커버(233)는 경사전면판(211)에 접촉되어 유입구(212)을 막는 역할을 한다. 반대로, 제1커버(231)가 닫히면 제2커버(233)는 유입구(212) 측을 여는 시소 형태이다.
따라서, 케이스(210)와 제2커버(233)을 잡고 이물질을 뒤집어 비우더라도 유입구(212) 쪽으로 이물질이 새지않아 깔끔하다.
또한, 이물질이 상부를 통해 배출되어 비우기 때문에, 집진된 먼지가 유입구(212) 이외로는 새지 않아, 밑면으로 개폐하는 종래 집진통(쌓인 먼지가 틈새로 빠져 집진통안착홈에 쌓인다)에 비해 집진통안착홈(127)이 깔끔하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커버(233)의 밑면에는 아래로 돌출한 돌출턱(24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돌출턱(240)은 좌우방향으로 돌출된 리브 형태로 구현되어, 브러시부(150)의 회전에 따른 이물질이 다시 튀어나오는 것(역류 현상)을 막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돌출턱(240)에 부딪친 이물질은 유입구(212)로 다시 들어가거나, 유입구(212)와 브러시부(150) 사이로 떨어져 쓸어담는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커버(233) 밑면에는 돌출턱(240) 보다 전방에 위치한 추가 돌출턱(242)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추가 돌출턱(242)은 브러시(153)에 묻은 먼지를 터는 역할을 하여, 브러시(153)의 쓸어담는 효율을 더욱더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턱(240) 또는 추가 돌출턱(242)이 형성되는 경우, 이 돌출턱(240)(242) 들이 경사전면판(211)에 닿아 유입구(212) 측을 막는 기능을 대신하게 된다.
제2커버(230)에는 케이스(210)의 내부를 볼 수 있는 투명커버(235)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커버(235)는 제1커버(231)에서 아래로 돌출한 부분에 끼위지고, 그 측면에는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손잡이턱(23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케이스(210)에 대해 커버(230)를 록킹/해제하는 록커(25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록커(250)는 커버(230)에 형성되는 록킹돌기(251)와, 이 록킹돌기(251)를 록킹/해제하는 록킹해제부(253)로 구성되어 있다.
록킹해제부(253)는 작동편(254), 이 작동편(254)이 뒤판(215)의 힌지홈(미도시)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하는 힌지축(255), 힌지축(255)을 중심으로 작동편(254)의 위쪽에 형성되어 록킹돌기(215)가 걸리는 록킹턱(257), 작동편(254)의 아래측에 배치되는 스프링(259)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259)이 있는 쪽의 작동편(254)을 누르면, 록킹턱(257)이 선회하면서 록킹돌기(251)가 해제되고, 반대로 록킹돌기(251)가 밀고 들어오면 록킹턱(257)의 윗면을 밀면서 작동편(254)이 선회하다가 서로 맞물려 록킹되게 된다.
이러한 록커(250)가 뒤판(215)에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경우, 이 록커(25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31b)이 배면판(132)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스팀발생부재(190)는 히터(191)와, 이 히터(191)에 물이 접촉되어 증기가 발생하는 탱크(193), 이 탱크(193)로부터 발생된 스팀을 스팀토출구(129)에 접속되는 접속관(195)으로 구성된다. 탱크(193)에는 마개(194)에 의해 물을 주입할 수 있다.
격벽(111b)과 배면판(132) 사이의 공간에는 스팀발생부재(190)와 스위핑부재(140)를 구동 제어하는 PCB(180)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20)의 밑면에는 탈착부재(270)에 의해 탈착되는 패드 트레이(260)가 더 추가될 수 있다.
패드 트레이(260)는 카펫 등을 청소할 때는 분리하고, 스팀을 이용한 바닥 청소를 할 때는 결합해서 사용하는 용도이다.
패드 트레이(260)는 트레이판(261), 스팀토출구(129)와 서로 통하게 트레이판(261)에 형성되는 인출공(263), 인출공(263)을 중심으로 전, 후 또는 전후에 형성되는 패드부착돌기물(265)이 성형되어 있다.
패드부착돌기물(265)은 패드의 벨크로가 잘 탈ㆍ부착되도록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PP 또는 PC계열)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은 단품으로 사용(즉 본 실시예와 같이 탈부착해서 쓰는 경우)될 때 휨 변형으로 인해 하부케이스(120)의 밑면에 잘 부착이 되지 않게 된다. (기존 스팀청소기는 상부케이스에 체결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패드부착돌기물이 하부케이스에 연질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되더라도 상부 케이스가 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연질의 패드부착돌기물(265)이 형성된 제1트레이판인 패드부착돌기판(261a)을 열에 강한 연질 플라스틱으로 성형한 후, 이 패드부착돌기판(261a)을 금형에 인서트한 후 전자보다 열에 약하고 경질 플라스틱(PP 또는 PC계열에 유리섬유를 약간 포함시킨 것) 제2트레이판인 보강트레이판(261b)을 성형한 것이다. 도 12의 제2트레이판(261b)은 별도로 제작된 것이 아니라서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이다.
따라서, 패드 트레이(260)가 단품이지만, 보강트레이판(261b)이 패드부착돌기판(261a)의 가장자리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패드부착돌기판(261a)이 휘는 것을 잡아주게 되어, 분리한 상태에서도 편편한 상태를 잘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판(261)의 선단측에 휨변형방지부재(290)가 설치되어도 좋다.
휨변형방지부재(290)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휨변형방지바(290)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휨변형방지바(290)의 횡단면은 상부 플랜지(291), 하부 플랜지(292), 상부 플랜지(291)와 하부 플랜지(292)의 일단을 연결하는 웨브(293), 상부 플랜지(291)와 하부 플랜지(292)의 타단에서 아래와 위로 돌출하는 상부 돌기(294a)와 하부 돌기(295a)로 구성되어 있다.
트레이판(261)의 선단측 상하면에는 상부 돌기(294a)와 하부 돌기(295a)가 걸리는 상부 걸림턱(294b)과 하부 걸림턱(295b)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걸림턱(294b)은 레일홈(294)의 일측벽을 형성한다.
레일홈(294)은 일측(도 15에서는 우측)이 터진 홈을 통해 휨변형방지바(290)가 끼워져 좌측의 레일홈(294)에 걸릴 때까지 슬라이딩 되어 설치된다.
하부 걸림턱(295b)은 일측벽으로 구성되고 좌측 끝에는 휨변형방지바(290)가 걸려 더 이상이 끼워지지 않도록 스토퍼(294c)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좌측의 레일홈(294) 끝과 스토퍼(294c)는 상하 같은 선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휨변형방지바(290)가 슬라이딩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록킹부(296)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록킹부(296)는 록킹핀(296a)과 록킹걸림턱(296b)으로 구성되어 있다.
록킹핀(296a)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스듬히 경사진 외팔보 형태(또는 루버 형태)로서, 휨변형방지바(290)가 다 끼워진 후 록킹핀(296a)의 자유단이 탄성에 의해 록킹걸림턱(296b)에 걸리는 위치에 오게 되면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 자유단이 록킹걸림턱(296b)에 걸려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록킹걸림턱(296b)은 록킹걸림홈(297)의 일측벽을 이용하면 좋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휨변형방지바(290)가 트레이판(261)의 선단측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 이외에 인서트 사출하여 휨변형을 방지할 수도 있다.
즉, 봉이나 바와 같은 휨변형방지부재를 인서트한 채 사출하면, 위와 같은 휨변형방지바(290)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휨변형방지부재는 가볍고 얇은 대신에 강도가 큰 금속 또는 비철금속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휨변형방지부재를 설치하는 동시에, 패드부착돌기판(261a)과 보강트레이판(261b) 추가로 구현하면, 탈거 시 휨 변형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탈착부재(270)는 패드 트레이(260)에 형성되는 제1탈착부(271)와 하부케이스(120)에 설치되는 제2탈착부(275)로 이루어진다.
제1탈착부(271)는 패드 트레이(260)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돌기(272)의 측면에 형성된 탈착홈(273)으로 이루어진다.
제2탈착부(275)는 하부케이스(120)의 밑면에 형성되는 홈(276)에 수용되는 탄성록킹부(277)와, 이 탄성록킹부(277)을 지지하는 지지부(279)로 구성되어 있다.
탄성록킹부(277)는 홈(276)의 바닥에 놓이는 바닥판(277a)과, 이 바닥판(277a)에서 외팔보 형태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록킹편(277b)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닥판(277a)의 중심에는 장공(277a')이 형성되고, 이 장공(277a')은 홈(276)에 형성된 장공돌기(277a'')에 끼워져 위치를 결정하는 게 좋다.
지지부(279)는 바닥판(277a)을 눌러 지지하는 지지편(279a)과, 하부케이스(120)에 체결 고정되어 지지편(279a)을 지지하는 체결편(279b)으로 구성된다.
지지편(279a)이 중공 형상인 경우 탄성록킹편(277b)이 작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배치홈(279a')이 지지편(279a)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탈착부(271)와 제2탈착부(275)는 패드 트레이(260)와 하부케이스(120)의 뒤쪽에 있어서, 패드 트레이(260)와 하부케이스(120)의 앞쪽에는 제3탈착부(274)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탈착부(274)는 패드 트레이(260)의 상면에 형성되는 돌기(274a)와 이 돌기(274a)가 삽입되는 삽입홈(274b)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274a)와 삽입홈(274b)은 입체형 사다리꼴이 탈착이 용이한 형상으로 바람직하다.
이러한 패드 트레이(260)는 사용자가 서서 발로 누를 수 있는 발누름판(267)이 뒤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 누르만(267)은 발뿐 아니라 손으로 눌러 분리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저수식 스팀 겸용 스위퍼(본체에 스팀발생부재가 있는 겨우)뿐만 아니라 분사식(밀대 쪽에 스팀발생부재가 있는 경우) 또는 중력식 스팀 겸용 스위퍼(밀대 또는 본체에 스팀발생부재가 있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100 : 베이스 어셈블리 110 : 본체
111,111a,111b : 격벽 112 : 패킹
113,113a,113b : 스위핑장착구획부 115 : 러버 파티셔 플레이트
116,116a,116b : 스팀장착구획부 117 : 앞바퀴
118 : 뒷바퀴 119a : 걸림돌기
119b : 걸림턱 120 : 하부케이스
121 : 흡입구 123a,123b : 브러시홀더지지대
125a,125b : 통로 127 : 집진통안착홈
128 : 1차경사전면 129 : 스팀토출구
129a : 스팀분배커버 130 : 상부케이스
131 : 관통부 131a,131b : 가이드홈
132 : 배면판 133 : 탱크장착홈
135 : 모터마운팅수용홈 137 : PCB장착홈
140 : 스위핑부재 150 : 브러시부
151 : 회전샤프트 152 : 홀더
153 : 브러시 160 : 모터
162,164 : 풀리 166 : 타이밍벨트
170 : 모터마운팅부 171 : 모터안착부
171a : 모터일측받침대 172 : 받침리브
173 : 모터지지프레임 174 : 모터몸체프레임
174a : 방열공 175 : 접촉리브
176 : 모터체결프레임 178: 방진패드
178a : 방열공 178b : 지지캡
180 : PCB 190 : 스팀발생부재
191 : 히터 192 : 탱크어셈블리
193 : 탱크 194 : 마개
195 : 접속관 200 : 집진통
210 : 케이스 211 : 경사전면판
212 : 유입구 213 : 좌우측판
215 : 뒤판 217 : 밑판
218 : 힌지공 230 : 커버
231 : 제1커버 213a : 가이드돌기
233 : 제2커버 235 : 투명커버
238 : 힌지축 240 : 돌출턱
242 : 추가 돌출턱 250 : 록커
251 : 록킹돌기 253 : 록킹해제부
254 : 작동편 255 : 힌지축
257 : 록킹턱 259 : 스프링
260 : 패드 트레이 261 : 트레이판
261a : 패드부착돌기판 261b : 보강트레이판
263 : 인출공 265 : 패드부착돌기물
267 : 발누름판 270 : 탈착부재
271 : 제1탈착부 272 : 돌기
273 : 탈착홈 274 : 제3탈착부
274a : 돌기 274b : 삽입홈
275 : 제2탈착부 276 : 홈
277 : 탄성록킹부 277a : 바닥판
277b : 탄성록킹편 279 : 지지부
279a : 지지편 279a' : 배치홈
279b : 체결편 290 : 휨변형방지부재(휨변형방지바)
291,292 : 상하부 플랜지 293 : 웨브
294 : 레일홈 294a,295a : 상하부 돌기
294b,295b : 상하부 걸림턱 294c : 스토퍼
296 : 록킹부 296a : 록킹핀
296b : 록킹걸림턱 297 : 록킹걸림홈
300 : 넥 어셈블리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패드가 부착될 패드부착돌기물과 스팀이 상기 패드로 인출되는 스팀인출공이 형성되는 트레이판;
    상기 트레이판의 선단측에 설치되는 휨변형방지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휨변형방지바는 상부 플랜지, 하부 플랜지,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의 일단을 연결하는 웨브,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의 타단에서 아래와 위로 돌출하는 상부 돌기와 하부 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트레이판의 선단측 상하면에는 상기 상부 돌기와 하부 돌기가 걸리는 상부 걸림턱과 하부 걸림턱이 형성되는 패드 트레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휨변형방지바는 상기 트레이판의 선단측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부 걸림턱과 하부 걸림턱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끼워지고,
    상기 휨변형방지바를 상기 트레이판에 록킹되어 역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지하는 록킹부를 더 포함하는 패드 트레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휨변형방지바에서 외팔보 형태로 비스듬히 누워있는 록킹핀과, 상기 트레이판의 선단측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록킹핀의 자유단이 걸리는 록킹걸림턱으로 구성되는 패드 트레이.
  6. 삭제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판은 상기 패드부착돌기물이 형성되는 패드부착돌기판과, 상기 패드부착돌기판을 지지하도록 인서트한 채 상기 스팀인출공이 형성되게 사출한 보강트레이판을 포함하되,
    상기 패드부착돌기판은 연질 플라스틱판이고, 상기 보강트레이판은 경질 플라스틱판인 패드 트레이.
  8. 삭제
  9. 상부케이스와, 흡입구와 스팀분사공이 형성된 하부케이스로 구성되는 본체;
    패드가 부착될 패드부착돌기물과 스팀이 상기 패드로 인출되는 스팀인출공이 형성되는 트레이판과, 상기 트레이판의 선단측에 설치되는 휨변형방지바로 이루어진 패드 트레이;
    상기 패드 트레이를 상기 하부케이스의 밑면에 탈착시키는 탈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휨변형방지바는 상부 플랜지, 하부 플랜지,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의 일단을 연결하는 웨브,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의 타단에서 아래와 위로 돌출하는 상부 돌기와 하부 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트레이판의 선단측 상하면에는 상기 상부 돌기와 하부 돌기가 걸리는 상부 걸림턱과 하부 걸림턱이 형성된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판은 상기 패드부착돌기물이 형성되는 패드부착돌기판과, 상기 패드부착돌기판을 지지하도록 인서트한 채 상기 스팀인출공이 형성되게 사출한 보강트레이판을 포함하되,
    상기 패드부착돌기판은 연질 플라스틱판이고, 상기 보강트레이판은 경질 플라스틱판인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
  12.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재는 상기 패드 트레이에 돌출 형성되어 측면에 록킹홈이 형성되는 제1탈착부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밑면에 형성되는 홈에 장착되어 상기 록킹홈에 록킹되는 제2탈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탈착부는 상기 홈에 수용되어 상기 록킹홈에 록킹되는 탄성록킹부와, 상기 하부케이스에 체결되어 상기 탄성록킹부가 동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
KR1020100015635A 2010-02-22 2010-02-22 패드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 KR101131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635A KR101131542B1 (ko) 2010-02-22 2010-02-22 패드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
CN201110040487.2A CN102342806B (zh) 2010-02-22 2011-02-18 盘垫及利用该盘垫的地板清洁器用底座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635A KR101131542B1 (ko) 2010-02-22 2010-02-22 패드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277A KR20110096277A (ko) 2011-08-30
KR101131542B1 true KR101131542B1 (ko) 2012-04-04

Family

ID=44931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635A KR101131542B1 (ko) 2010-02-22 2010-02-22 패드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31542B1 (ko)
CN (1) CN102342806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2612A (en) 1986-11-27 1989-09-05 Yoshichika Sugihara Frame
KR200179749Y1 (ko) 1999-11-22 2000-04-15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의 지지 및 가이드구조
KR20050061725A (ko) * 2003-12-18 2005-06-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업라이트 청소기의 바닥 커버 장치
KR20070077007A (ko) * 2006-01-19 2007-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걸레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0087A (ja) * 2000-10-31 2003-01-14 Suezo Iwata 電動床磨機用回転束子
CN2917533Y (zh) * 2006-05-31 2007-07-04 罗晟 带扫地功能的蒸汽拖把
KR100793413B1 (ko) * 2006-07-13 2008-01-11 한경희 멀티형 스팀청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2612A (en) 1986-11-27 1989-09-05 Yoshichika Sugihara Frame
KR200179749Y1 (ko) 1999-11-22 2000-04-15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의 지지 및 가이드구조
KR20050061725A (ko) * 2003-12-18 2005-06-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업라이트 청소기의 바닥 커버 장치
KR20070077007A (ko) * 2006-01-19 2007-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걸레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42806B (zh) 2014-05-21
KR20110096277A (ko) 2011-08-30
CN102342806A (zh) 201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25942A (ko) 바닥 청소기용 회전브러시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
KR100813539B1 (ko) 집진용기 및 이를 사용한 스팀진공청소기
GB2593570A (en) Vacuum cleaner
KR20180084055A (ko) 이중 회전 애지테이터를 구비한 표면 청소 헤드
EP2471427A2 (en) Dust collector comprising a handle unit and intended for a vacuum cleaner
US8572800B2 (en) Base assembly for sweeper
KR100889325B1 (ko) 스팀진공청소기
AU2003261467A1 (en) Turbine Brush
KR101064074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963381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BR112016010657B1 (pt) Máquina de lavar louça
KR20110125943A (ko) 스팀 겸용 스위퍼
CN111685653A (zh) 用于扫地机的水箱及具有其的扫地机
KR101126540B1 (ko) 스위퍼용 집진통
KR101131542B1 (ko) 패드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
KR101126541B1 (ko) 스위퍼
KR101053230B1 (ko) 스위퍼용 집진통
CN102648835A (zh) 扫地机用集尘桶
KR20110052169A (ko) 패드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
KR20110125941A (ko)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
KR20110052403A (ko)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
JP5002666B2 (ja) 電気掃除機
KR20080033048A (ko) 보조브러시유닛을 구비한 노즐조립체
CN211704441U (zh) 吸尘器的收纳站和吸尘装置组件
KR100734571B1 (ko) 스팀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