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245B1 - 스팀청소기 - Google Patents

스팀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245B1
KR101253245B1 KR1020100086908A KR20100086908A KR101253245B1 KR 101253245 B1 KR101253245 B1 KR 101253245B1 KR 1020100086908 A KR1020100086908 A KR 1020100086908A KR 20100086908 A KR20100086908 A KR 20100086908A KR 101253245 B1 KR101253245 B1 KR 101253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achable
tray frame
base assembly
steam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4166A (ko
Inventor
한경희
Original Assignee
한경희
주식회사 한경희생활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희, 주식회사 한경희생활과학 filed Critical 한경희
Priority to KR1020100086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245B1/ko
Priority to CN2011101726483A priority patent/CN102379663A/zh
Publication of KR20120024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4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6Floor-scrubbing machines, hand-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실 등과 같이 타일과 같은 경질재료의 바닥을 스팀과 함께 찌든 때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스팀청소기용 트레이 및 베이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팀청소기{steam cleaner}
본 발명은 화장실 등과 같이 타일과 같은 경질재료의 바닥을 스팀과 함께 찌든 때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스팀청소기용 트레이 및 베이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후좌우로 선회 가능한 스팀청소기용 힌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전후 선회는 사용자가 밀대 어셈블리를 약간 눕힌 상태로 밀고 당길 때 편리한 구조이며, 좌우 선회는 패드가 있는 베이스 어셈블리가 모서리나 다른 물건(예컨대 식탁 다리 등)에 부딪쳤을 때 틀어지는 것을 어느 정도 허용하는 구조이다.
또한, 스팀청소기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밀대 어셈블리를 수직 또는 거의 수직한 상태로 세운 후 고정부재로 전후로 선회되지 못하게 록킹한다.
물론, 전후 선회 고정은 베이스 어셈블리와의 착탈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고정부재는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때 일일이 고정을 해제하거나 록킹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스팀청소기를 사용할 때에는 고정부재가 해제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직선 방향으로 밀고 당길 때 좌우로 틀어지려는 성질이 있어 사용자가 불편해 할 수 있다.
또한, 좌우 선회는 좌우선회중심축에 의해서만 행해지기 때문에, 도 11과 같이 베이스 어셈블리(100)가 밀대 어셈블리(300)에 대해 θ만큼 틀어진 경우 다시 뒤로 당겨도 그대로 θ만큼 틀어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밀대 어셈블리(300)를 틀거나 베이스 어셈블리(100)를 틀어서 서로 일직선상으로 맞추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종래의 스팀청소기는 바닥을 청소할 때 마루 바닥이나 카펫(카펫을 스팀 청소할 때에는 패드부착돌기물(일명 찍찍이)이 카펫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트레이는 있지만) 등을 주로 청소하는데, 타일과 같은 경질재료의 바닥은 패드로만 닦기 때문에 솔과 같은 역할을 하지 못해 찢은 때를 깨끗하게 제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타일 등과 같은 경질의 바닥을 깨끗하게 청소 가능한 스팀청소기용 트레이 및 베이스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스팀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는,
스팀분출구가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하부케이스의 밑면에 배치되는 트레이프레임; 상기 트레이프레임에 관통 형성되는 스팀분출관통공; 상기 트레이프레임의 밑면에 설치되는 브러쉬; 상기 트레이프레임을 상기 본체에 착탈시키는 착탈부재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타일과 같은 경질의 바닥에 있는 찌든 때를 스팀과 함께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스팀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는,
상기 착탈부재는 상기 트레이프레임의 전방에 형성되는 전방착탈편과, 상기 트레이프레임의 후방과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의 후방에 형성되는 후방착탈편으로 구성되되,
상기 전방착탈편은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면을 눌러 잡아주고, 상기 후방착탈편은 상기 트레이프레임에서 위로 돌출 형성되는 후방착탈걸림돌편과, 상기 후방착탈걸림돌편이 걸리도록 상기 상부케이스의 후방측에 형성되는 후방착탈걸림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트레이를 본체에 착용할 때 기구학적 메커니즘으로 볼 때 사용자가 편리하며 착용한 후에는 외부적으로 물리적인 힘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탈거되지 않는 구조로서 매우 안정적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스팀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는,
상기 트레이프레임에는 누름판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트레이를 본체에서 탈거할 때 대단히 편리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스팀청소기용 트레이는,
상부케이스와 스팀분출구가 형성된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진 본체에 착탈되는 스팀청소기용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밑면에 배치되는 트레이프레임; 상기 트레이프레임에 관통 형성되는 스팀분출관통공; 상기 트레이프레임의 밑면에 형성되는 브러쉬; 상기 트레이프레임의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의 전방이 끼워져 상면을 눌러 잡아주는 전방착탈편; 상기 트레이프레임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케이스를 아래로 눌려 잡아주는 후방착탈걸림돌편을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브러쉬가 형성된 트레이를 스팀청소기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화장실 등과 같이 바닥을 타일로 설치한 곳의 찌든 때를 스팀과 함께 깨끗이 문질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전방에 전방착탈편이 후방에 후방착탈편이 형성되어 끼울 때 또는 탈거 할 때 이중 메커니즘(전방은 예각 방향으로 빼내고 후방은 위쪽 방향으로 빼내는 구조)으로 인해 편리하면서 사용중에 트레이가 이탈될 우려가 전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힌지 어셈블리에서 시트 커버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스프링과 록킹편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좌우선회중심축부재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편심부재가 록킹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와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편심부재가 우측으로 선회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와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편심부재가 좌측으로 선회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와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도 1에서 브러쉬 트레이를 분리 도시한 상면 및 저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틀어진 베이스 어셈블리가 뒤로 당기면 직진 방향으로 자동 조정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11은 종래 틀어진 베이스 어셈블리가 뒤로 당겨도 그대로 틀어진 상태로 있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힌지 어셈블리에서 시트 커버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스프링과 록킹편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좌우선회중심축부재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편심부재가 록킹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와 단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편심부재가 우측으로 선회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와 단면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편심부재가 좌측으로 선회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와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1에서 브러쉬 트레이를 분리 도시한 상면 및 저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서 틀어진 베이스 어셈블리가 뒤로 당기면 직진 방향으로 자동 조정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는 베이스 어셈블리(100), 밀대 어셈블리(300), 베이스 어셈블리(100)와 밀대 어셈블리(300)를 연결하는 힌지 어셈블리(500)를 포함한다.
베이스 어셈블리(100)는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로 이루어진 본체, 하부케이스(120)의 바닥판(121)에 형성되는 스팀분출구(130), 스팀분출구(130)의 전후 바닥판(121) 밑면에 성형되는 패드부착돌기물(140)를 포함한다.
밀대 어셈블리(300)는 스팀분출구(130)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부재(미도시)를 탑재한 하우징(310)과, 하우징(310)의 상단에 설치되는 손잡이봉(미도시)을 포함한다.
힌지 어셈블리(500)는 크게 베이스 어셈블리(100)에 설치되는 제1부재(510)와, 밀대 어셈블리(300)에 설치되는 제2부재(530)와, 제1부재(510)와 제2부재(530)를 연결하는 좌우선회중심축부재(550)와, 좌우선회중심축부재(550)에 대해 편심되게 병렬로 설치되는 편심부재(570)를 포함한다.
제1부재(510)는 제1관(511), 제1관(511)의 하측 좌우측에 돌출 형성되는 전후선회중심축(513), 제1관(511)의 상단 전후에 위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1암(515)으로 구성하여 있다.
전후선회중심축(513)는 X축을 중심으로 전후로 선회시키는 지지중심축으로서,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가 결합될 때 지지되게 된다.
즉 전후선회중심축(513)은 베이스 어셈블리(100)의 내부에 탑재되게 된다. 물론, 베이스 어셈블리(100)와 제1관(511)에는 기존과 마찬가지로 세워서 보관할 때 서로 록킹시켜 후방쪽으로 선회되지 않게 한다.(사용시 약간의 힘을 후방쪽으로 가하면 록킹이 해제된다.)
전후선회중심축(513)은 제1관(511)에 일체로 사출 성형하거나 별도의 부품을 체결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제2부재(530)는 제2관(531), 제2관(531)의 하단 전후에 아래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2암(535)으로 구성하여 있다.
제2암(535)은 제1암(515)의 바깥쪽에 위치하여 서로 겹치게 끼워지고, 서로 좌우선회중심축부재(550)에 의해 Y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한다.
좌우선회중심축부재(550)는 좌우선회중심축(551), 좌우선회중심축(551)의 후단에 형성되는 플랜지(553), 좌우선회중심축(551)의 전단에 체결되는 스크루(555)로 구성된다.
즉, 좌우선회중심축(551)을 제1암(515)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끼우면 플랜지(553)는 제1암(515)의 내측에 걸리게 되고, 제1암(515)과 제2암(535)을 삽입 관통한 좌우선회중심축(551)의 선단에 스크루(555)로 체결하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제1부재(510)와 제2부재(530) 사이로 스팀공급을 위한 튜브(150)가 방해되지 않고 통과하여 베이스 어셈블리(100)의 스팀분출구(130)에 연결되도록 배치 설치되어 있다. 즉, 제1부재(510)와 제2부재(530)의 내부에는 튜브(150)가 통과할 때 걸리는 구성(예컨대 좌우 또는/및 전후선회중심축, 편심부재 등)이 없도록 배치 설치되어 있다.
편심부재(570)는 좌우선회중심축(551)에서 위쪽으로 편심거리(e) 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 제1부재(510)와 제2부재(530)가 상하 일직선상에 있으면(도 5a 및 도 5b참조) 좌우선회를 록킹하고, 이 록킹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좌우선회의 록킹이 해제(도 6a 내지 도 7b 참조)되어 좌우선회를 허용하는 자동조정시스템이다.
편심부재(570)는 제1부재(510)에 형성되는 록킹홀(571)과, 록킹홀(571)과 연결되는 좌우선회허용홈(573)과, 제2부재(5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록킹편(575)과, 록킹편(575)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577)를 포함한다.
록킹편(575)의 전방측에는 플랜지(576)가 형성되어 더 이상 들어가지 않게 잡아주면서 후술되는 스프링(578)의 일측 시트 역할을 한다.
탄성부(577)는 스프링(578)과, 스프링(578)의 타측 시트 역할을 하는 시트 커버(579)로 구성한다.
또한, 좌우선회허용홈(573)은 록킹홀(571) 쪽으로 갈수록 아래로 경사(α)지게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편심부재(570)의 작용과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a 및 도 5b와 같이, 세워서 보관하거나 직진 방향으로 밀고 당길 때(제1부재와 제2부재가 상하 일직선상에 위치할 때)에는 록킹편(575)이 록킹홀(571)에 배치되어 좌우로 선회되는 것을 록킹하고 있다.
그러다가 사용중에 베이스 어셈블리(100)가 장애물을 만나 θ만큼 틀어지는 경우(도 10 참조) 도 6a 및 도 6b와 같이 우측으로 틀어지거나 도 7a 및 도 7b와 같이 좌측으로 틀어지게 된다.
즉 베이스 어셈블리(100)가 틀어지면 제1부재(510)도 틀어지면서 록킹편(575)을 좌우선회허용홈(573) 쪽으로 위치시킨다.
따라서, 고정부재의 고정 또는 해제라는 별도의 행위를 할 필요없이 편심부재(570)는 록킹상태를 자동적으로 해제하여 대단히 편리하다.
이 틀어진 상태에서 스팀청소기를 뒤로 당겨 장애물로부터 받은 반력이 제거되면, 경사진 좌우선회허용홈(573)에 위치한 록킹편(575)이 탄성과 경사방향에 의해 원래의 위치인 록킹홀(571)로 가려는 힘이 생겨 자동으로 록킹시킨다.
이 자동 록킹은 단순히 좌우선회를 록킹하는 것뿐만 아니라 베이스 어셈블리(100)가 바로 위치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베이스 어셈블리(100)나 밀대 어셈블리(300)를 틀 필요가 없다.
즉, 베이스 어셈블리(100)가 틀어진 상태에서 전후로 밀게 되면 잘 밀리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제자리로 틀은 후에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앤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일 같은 바닥을 닦을 때 문지를 수 있는 브러쉬(177)가 심어진 트레이(17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루 바닥 등을 스팀 청소할 때에는 트레이(170)를 탈거하다가, 때가 많이 묻은 단단히 콘크리트 바닥이나 타일 바닥 등을 스팀 청소하고 싶으며 트레이(170)를 베이스 어셈블리(100)에 착용시킨다.
즉 트레이(170)는 트레이판(170a)과 트레이판(170a)의 둘레에서 위쪽으로 약간 돌출된 테두리(170b)를 갖는 트레이프레임과, 트레이판(170a)에 형성되는 스팀분출관통공(172)과, 트레이판(170a)의 밑면에 형성되는 브러쉬(177)로 구성하여 있다.
스팀분출관통공(172)은 스팀분출구(130)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브러쉬(177)가 있는 트레이프레임은 패드부착돌기물(140)을 커버하기 때문에 단단한 바닥과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트레이(170)는 착탈부재에 의해 베이스 어셈블리(100)에 착탈된다.
즉, 착탈부재는 전방착탈편(171)과 후방착탈편(173)(174)으로 구성하여 있다.
전방착탈편(171)은 트레이프레임의 전방 좌우 측에 정확히는 테두리(170b)의 전방 좌우측에서 후방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부케이스(110)가 끼워졌을 때 상부케이스(110)의 정방측 상면을 눌러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후방착탈편(173)(174)은 트레이프레임의 후방 좌우 측에 정확히는 테두리(170b)의 후방 좌우측에서 위쪽으로 돌출한 후방착탈걸림편(173)과, 상부케이스(110)의 후방측에 형성되어 후방착탈걸림돌편(173)이 걸리는 후방착탈걸림턱편(174)으로 구성하여 있다.
후방착탈걸림돌편(173)은 탄성 변형이 가능하여 후방착탈걸림턱편(174)에 걸리때까지 뒤쪽으로 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후방착탈걸림돌편(173)은 상부케이스(110)가 위로 임의로 들리지 못하게 아래로 눌려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 착탈부재의 구성에 의해, 먼저 베이스 어셈블리(100)를 전방으로 향해 앞으로 약간 숙인 후 전방착탈편(171)에 끼운 후 바로 세우면 후방착탈걸림턱편(174)이 후방착탈걸림돌편(173)을 뒤로 약간 밀면서 내려오다가 걸리게 되어 결합이 완료된다.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트레이(170)를 탈거하려면, 누름판(175)을 발로 누른 후 밀대 어셈블리(300)를 들어올리면 전방착탈편(171)을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후방착탈걸림턱편(174)이 후방착탈걸림돌편(173)에서 벗어난 후 전방착탈편(171)에서 빼내면 탈거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트레이(170)는 전방에서 감싸 눌러주거, 후방에서는 위에서 눌러주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어 끼우기 편리하고, 끼운 후에는 외부적으로 물리적인 힘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탈거되지 않아(후방은 위쪽 방향으로 전방은 예각 방향으로 빼내야 하는 이중 구조이기 때문에 당길 때는 후방에서 밀 때는 전방에서 잡아주는 형태를 취해 사용중 쉽게 탈거되지 않음)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예와는 반대로 제1부재에 좌우선회중심축, 제2부재에 전후선회중심축을 둔 힌지 어셈블리에 편심부재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후 및 좌우로 선회 가능한 물품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100 : 베이스 어셈블리 110 : 상부케이스
120 : 하부케이스 121 : 바닥판
130 : 스팀분출구 140 :패드부착돌기물
150 :튜브 170 : 트레이
170a : 트레이판 170b : 테두리
171 : 전방착탈편 172 : 스팀분출관통공
173,174 : 후방착탈편 173 : 후방착탈걸림돌편
174 : 후방착탈걸림턱편 175 : 누름판
177 : 브러쉬
300 : 밀대 어셈블리 310 : 하우징
500 : 힌지 어셈블리 510 : 제1부재
511 : 제1관 513 : 전후선회중심축
515 : 제1암 530 : 제2부재
531 : 제2관 535 : 제2암
550 : 좌우선회중심축부재 551 : 좌우선회중심축
553 : 플랜지 555 : 스크루
570 : 편심부재 571 : 록킹홀
573 : 좌우선회허용홈 575 : 록킹편
576 : 플랜지 577 : 탄성부
578 : 스프링 579 : 시트 커버

Claims (4)

  1. 베이스 어셈블리, 밀대 어셈블리,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와 상기 밀대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스팀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는 스팀분출구가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하부케이스의 밑면에 배치되는 트레이프레임; 상기 트레이프레임에 관통 형성되는 스팀분출관통공; 상기 트레이프레임의 밑면에 설치되는 브러쉬; 상기 트레이프레임을 상기 본체에 착탈시키는 착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에 설치되는 제1부재와, 상기 밀대 어셈블리에 설치되는 제2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연결하는 좌우선회중심축부재와, 상기 좌우선회중심축부재에 대해 편심되게 병렬로 설치되는 편심부재를 포함하는 스팀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재는 상기 트레이프레임의 전방에 형성되는 전방착탈편과, 상기 트레이프레임의 후방과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의 후방에 형성되는 후방착탈편으로 구성되되,
    상기 전방착탈편은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면을 눌러 잡아주고,
    상기 후방착탈편은 상기 트레이프레임에서 위로 돌출 형성되는 후방착탈걸림돌편과, 상기 후방착탈걸림돌편이 걸리도록 상기 상부케이스의 후방측에 형성되는 후방착탈걸림턱으로 구성되는 스팀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프레임에는 누름판이 더 형성되는 스팀청소기.
  4. 삭제
KR1020100086908A 2010-09-06 2010-09-06 스팀청소기 KR101253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908A KR101253245B1 (ko) 2010-09-06 2010-09-06 스팀청소기
CN2011101726483A CN102379663A (zh) 2010-09-06 2011-06-24 蒸汽清洁器用盘以及底座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908A KR101253245B1 (ko) 2010-09-06 2010-09-06 스팀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4166A KR20120024166A (ko) 2012-03-14
KR101253245B1 true KR101253245B1 (ko) 2013-04-16

Family

ID=45819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908A KR101253245B1 (ko) 2010-09-06 2010-09-06 스팀청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53245B1 (ko)
CN (1) CN10237966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3201282B2 (en) 2012-03-09 2014-06-19 Bissell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N104771119B (zh) * 2015-04-17 2017-04-19 苏州诚河清洁设备有限公司 表面清洁设备
DE102017116673A1 (de) * 2017-07-24 2019-02-14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Reinigungseinrichtung mit einer motorisch angetriebenen Schwingplatt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8873A (ja) * 1996-03-11 1997-09-16 Tec Corp スチーム式掃除機
KR20020039578A (ko) * 2000-11-22 2002-05-27 정중교 청소용구
KR200413777Y1 (ko) * 2006-01-16 2006-04-13 한경희 스팀청소기용 트레이
KR20070077007A (ko) * 2006-01-19 2007-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걸레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33888A1 (de) * 1992-10-10 1994-04-14 Reinhard Dipl Ing Hoersc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inigung und/oder Pflege von Bodenbelägen aller Art
KR100507928B1 (ko) * 2003-07-24 2005-08-1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
CN201143183Y (zh) * 2008-01-03 2008-11-05 陈俊英 一种改进的扫地机
KR101023204B1 (ko) * 2008-06-26 2011-03-18 한경희 스팀진공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
CN201512164U (zh) * 2009-10-23 2010-06-23 谢礼杰 储物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8873A (ja) * 1996-03-11 1997-09-16 Tec Corp スチーム式掃除機
KR20020039578A (ko) * 2000-11-22 2002-05-27 정중교 청소용구
KR200413777Y1 (ko) * 2006-01-16 2006-04-13 한경희 스팀청소기용 트레이
KR20070077007A (ko) * 2006-01-19 2007-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걸레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79663A (zh) 2012-03-21
KR20120024166A (ko) 201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493B1 (ko) 스팀청소기용 힌지 어셈블리
US5218734A (en) Collapsible cleaning implement
FR2913325A1 (fr) Aspirateur et procede pour enlever des poils d'une surface qui en est chargee
EP1381301A1 (fr) Embout pour aspirateur
US20050095053A1 (en) Surface working apparatus
US20150089757A1 (en) Floor mop with removable base plate
KR19990044782A (ko) 절첩 가능한 청소 용구
US8607400B2 (en) Disposable liquid absorbing cleaning pad for a hand held cleaning implement having an elongated handle
KR101253245B1 (ko) 스팀청소기
US20150040945A1 (en) Floor cleaning tool having a mechanically operated pump
KR200469579Y1 (ko) 빗자루 타입의 밀대 걸레
US7246399B2 (en) Mop head retaining clamp
KR20080081626A (ko) 걸레 착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
WO2017050292A1 (zh) 抹布、水箱及其清洁装置
US20150082565A1 (en) Sliding scrub brush for a floor mop
KR101616888B1 (ko) 스프레이 청소기용 청소도구
CN216167278U (zh) 一种应用于清洁设备的滚刷拆装结构
KR200409294Y1 (ko) 당구대 청소구
KR200473432Y1 (ko) 대걸레용 밀대
KR101397864B1 (ko) 탈착이 용이한 롤 브러시 고정형 청소기
JP2003245228A (ja) 清掃具
US20180228334A1 (en) Drop down dust tray for floor sweeper
KR20130091409A (ko) 걸레를 갖는 진공청소기
JP2008055118A (ja) 柔軟軽量塵取り
KR200413783Y1 (ko) 스팀청소기용 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