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2479B1 - 고탁도 수질 여과용 이중구조식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고탁도 수질 여과용 이중구조식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2479B1
KR100792479B1 KR1020070046954A KR20070046954A KR100792479B1 KR 100792479 B1 KR100792479 B1 KR 100792479B1 KR 1020070046954 A KR1020070046954 A KR 1020070046954A KR 20070046954 A KR20070046954 A KR 20070046954A KR 100792479 B1 KR100792479 B1 KR 100792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head
filtration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Priority to KR1020070046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2479B1/ko
Priority to CN2007101436639A priority patent/CN101306272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2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2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탁도 수질 여과용 이중구조식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주연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 및 유출부가 구비되고 일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것으로 한쌍의 오링이 마련된 캡으로 이루어진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케이스의 내부에 끼움,고정되어 유입되는 유체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여과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여과망이 각각 구비된 외측 여과부에 내측 여과부를 삽입하여 이중으로 용수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과체, 외측 여과부, 내측 여과부, 수밀링

Description

고탁도 수질 여과용 이중구조식 여과장치{HIGH TURBID WATER FILTER APPARATUS WITH MULTI LAY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탁도 수질 여과용 이중구조식 여과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탁도 수질 여과용 이중구조식 여과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탁도 수질 여과용 이중구조식 여과장치에 있어, 외측 여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탁도 수질 여과용 이중구조식 여과장치에 있어, 용기에 캡이 착탈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여과장치 1 : 여과체
2 : 외측 여과부 21 : 받침부
211 : 삽입공 212 : 걸림홈
213 : 홈 22 : 기둥바
23 : 여과망 24 : 헤드
241 : 손잡이 3 : 내측여과부
31 : 걸림부 32 : 연장바
33 : 여과망 34 : 머리부
341 : 지지돌기 4 : 수밀링
5 : 필터 케이스 51 : 캡
511 : 홈부 512 : 오링
513 : 손잡이 52 : 용기
521 : 개구부 522 : 유입부
223 : 유출부
본 발명은 고탁도 수질 여과용 이중구조식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과망이 각각 구비된 외측 여과부에 내측 여과부를 삽입하여 이중으로 용수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고탁도 수질 여과용 이중구조식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과부재는 정수 필터용 케이스에 삽입되어 그 케이스로 유입되는 용수의 이물질(흙, 점토 등)을 걸러주게 된다.
이러한 여과부재는 용수가 유입되도록 관구조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다수개 의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부와 그 몸체부의 개구부에 고정되어 용수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다공망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여과부재의 개구부에 고정되어 다공망이 단일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용수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여과부재에 파지부가 형성되지 않아 몸체에 삽입된 여과부재를 세척 및 교환하기 위해 그 몸체부에서 분리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과망이 각각 구비된 외측 여과부에 내측 여과부를 삽입하여 이중으로 용수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고탁도 수질 여과용 이중구조식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외측 여과부에 손잡이를 더 형성시켜 필터케이스에서 여과체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고탁도 수질 여과용 이중구조식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외주연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 및 유출부가 구비되고 일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것으로 한쌍의 오링이 마련된 캡으로 이루어진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케이스의 내부에 끼움,고정되어 유입되는 유체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여과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여과체는 중앙에 삽입공이 구비되며, 저면부에는 걸림홈이 구비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상면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기둥바와 상기 기둥바의 내측에 구비되는 여과망과 상기 기둥바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기둥바를 상호 연결하는 헤드로 이루어진 외측 여과부와 상기 걸림홈에 안착되고, 중앙에 통수공이 구비된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상면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연장바와 상기 연장바의 내측에 구비되는 여과망과 각각의 상기 연장바를 상호 연결하도록 그 연장바의 상부에 구비되는 머리부로 구성되어 상기 외측 여과부의 내부에 삽입,고정되는 내측 여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의 상면부에는 손잡이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머리부의 상면부에는 지지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의 외경에는 환형의 홈이 형성되고, 그 홈에는 수밀링이 더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탁도 수질 여과용 이중구조식 여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탁도 수질 여과용 이중구조식 여과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탁도 수질 여과용 이중구조식 여과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탁도 수질 여과용 이중구조식 여과장치에 있어, 외측 여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탁도 수질 여과용 이중구조식 여과장치에 있어, 용기에 캡이 착탈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고탁도 수질 여과용 이중구조식 여과장치(1)(이하 여과장치)는 외주연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522) 및 유출부(523)가 구비되고 일단에는 개구부(521)가 형성된 용기(52)와 상기 개구부(521)를 개폐하는 것으로 한쌍의 오링(512)이 마련된 캡(51)으로 이루어진 필터 케이스(5)와 상기 필터 케이스(5)의 내부에 끼움,고정되어 유입되는 유체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여과체(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용기(52)의 개구부에는 캡(51)이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그 개구부(521)를 개폐시키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90°회전시켜 분리시키게 되고,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체결시키게 된다. 이때 캡(51)에는 손잡이(513)가 구비시켜 사용자가 용이하게 캡(51)을 용기(52)에 분리 또는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캡(51)의 일측에는 한쌍의 홈부(511)를 형성시키고 그 홈부(511)에 오링(512)이 체결시켜 여과장치(10)의 수밀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여과체(1)는 필터 케이스(5)의 내부에 장,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유입부(522)로 유입되는 용수의 각종 이물질(흙, 점토)을 걸러주게 되고, 이중 망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용수의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걸러주게 된다.
상기한 여과체(1)의 구성은 용기(52)의 내경에 지지되게 삽입고정되는 외측 여과부(2)와 그 외측 여과부(2)의 내부에 삽입,고정되는 내측 여과부(3)로 구성된다.
여기서, 외측 여과부(2)는 중앙에 삽입공(211)이 구비되며, 저면부에는 걸림홈(212)이 구비된 받침부(21)와 상기 받침부(21)의 상면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기둥바(22)와 상기 기둥바(22)의 내측에 구비되는 여과망(23)과 상기 기둥바(22)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기둥바(22)를 상호 연결하는 헤드(24)로 구성된다.
또한, 외측 여과부(2)의 헤드(24)에는 손잡이(241)가 더 형성되어 있다. 즉 몸체(200)에 삽입,고정된 여과체(1)를 세척 및 다른 여과체(1)로 교환하기 위해 사용자는 손잡이(241)를 손가락으로 가압하여 파지한 후 잡아당겨 손쉽게 용기(52)에서 여과체(1)를 뽑아 분리시키게 되고, 분리된 여과체(1)는 세척용 솔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세척한 후 재차 용기(52)에 삽입,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받침부(21)의 외경에는 환형의 홈(213)이 형성되고, 그 홈(213)에는 수밀링(4)이 더 체결된다. 즉 용기(52)에 삽입된 여과체(1)가 받침부(21)에 체결된 수밀링(4)에 의해 용기(52)의 내경에 견고히 지지고정되어 용수를 여과하는 과정에 서 여과체(1)가 몸체부(200)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내측 여과부(3)는 상기 걸림홈(212)에 안착되고, 중앙에 통수공(311)이 구비된 걸림부(31)와 상기 걸림부(31)의 상면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연장바(32)와 상기 연장바(32)의 내측에 구비되는 여과망(33)과 각각의 상기 연장바를(32) 상호 연결하도록 그 연장바(32)의 상부에 구비되는 머리부(34)로 구성된다.
또한, 머리부(34)의 상면부에는 지지돌기(341)가 더 형성된다. 즉 여과부(1)를 몸체(200)에서 분리하여 세척하는 과정에서 내측 여과부(3)의 통수공(311)에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삽입하여 외측 여과부(2)에서 내측 여과부(3)를 분리한 후 세척하게 되는데, 헤드(24)의 저면부와 머리부(34)의 상면부가 물로 인해 표면장력이 발생하여 상호 분리가 어려워짐으로 이를 방지하고자 머리부(34)의 상면부에 지지돌기(341)를 형성시켜 헤드(24)와 머리부(34)와의 표면장력를 최소화시켜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여기서, 외측 여과부(2)와 내측 여과부(3)의 내부에 구비되는 여과망(23,33)은 인서트 사출방식에 의해 외측 여과부(2) 및 내측 여과부(3)와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측 여과부와 내측 여과부의 금형에 여과망을 넣은 후 성형하여 일체로 형성시킨다.
이때, 여과망(23,33)은 외측 여과부(2) 및 내측 여과부(3)에 일체로 인서트 방식으로 사출성형되기 위해 금속재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둥바(22)와 연장바(32)는 4개가 한조를 이루며 외측 여과부(2)와 내측 여과부(3)에 구비되는 것이 바림직하며, 외측 여과부(2)와 내측 여과부(3)의 형 상과 크기에 따가 그 수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고탁도 수질 여과용 이중구조식 여과장치는 여과망이 각각 구비된 외측 여과부에 내측 여과부를 삽입하여 이중으로 용수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측 여과부에 손잡이를 더 형성시켜 필터케이스에서 여과체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필터 케이스와 그 필터 케이스의 내부에 끼움,고정되어 유입되는 유체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여과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여과체는 중앙에 삽입공이 구비되며, 저면부에는 걸림홈이 구비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상면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기둥바와 상기 기둥바의 내측에 구비되는 여과망과 상기 기둥바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기둥바를 상호 연결하는 헤드로 이루어진 외측 여과부; 및
    상기 걸림홈에 안착되고, 중앙에 통수공이 구비된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상면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연장바와 상기 연장바의 내측에 구비되는 여과망과 각각의 상기 연장바를 상호 연결하도록 그 연장바의 상부에 구비되는 머리부로 구성되어 상기 외측 여과부의 내부에 삽입,고정되는 내측 여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상면부에는 손잡이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의 용수 여과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의 상면부에는 지지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의 용수 여과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외경에는 환형의 홈이 형성되고, 그 홈에는 수밀링이 더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의 용수 여과체.
KR1020070046954A 2007-05-15 2007-05-15 고탁도 수질 여과용 이중구조식 여과장치 KR100792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954A KR100792479B1 (ko) 2007-05-15 2007-05-15 고탁도 수질 여과용 이중구조식 여과장치
CN2007101436639A CN101306272B (zh) 2007-05-15 2007-08-16 高浊度水过滤用双重结构式过滤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954A KR100792479B1 (ko) 2007-05-15 2007-05-15 고탁도 수질 여과용 이중구조식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2479B1 true KR100792479B1 (ko) 2008-01-10

Family

ID=39216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954A KR100792479B1 (ko) 2007-05-15 2007-05-15 고탁도 수질 여과용 이중구조식 여과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92479B1 (ko)
CN (1) CN101306272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866B1 (ko) 2007-07-09 2009-03-04 웅진쿠첸 주식회사 급수장치용 필터 조립체
KR101193732B1 (ko) 2010-12-20 2012-10-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여과면적이 확대된 수처리용 필터 구조체
KR20220114203A (ko) * 2021-02-08 2022-08-17 우정석 수전용 필터조립체 일체형 싱크대 수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69769C1 (ru) * 2011-08-15 2012-12-20 Павел Эдуардович Мельников Промывной фильтр и фильтру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него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299Y1 (ko) 2003-11-05 2004-02-18 이평호 정수용 침전필터
KR200402273Y1 (ko) 2005-09-07 2005-11-29 (주)레베산업 이중 필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9104A2 (en) * 2002-04-19 2003-10-30 Cuno Incorporated Encapsulated filter cartrid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299Y1 (ko) 2003-11-05 2004-02-18 이평호 정수용 침전필터
KR200402273Y1 (ko) 2005-09-07 2005-11-29 (주)레베산업 이중 필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866B1 (ko) 2007-07-09 2009-03-04 웅진쿠첸 주식회사 급수장치용 필터 조립체
KR101193732B1 (ko) 2010-12-20 2012-10-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여과면적이 확대된 수처리용 필터 구조체
KR20220114203A (ko) * 2021-02-08 2022-08-17 우정석 수전용 필터조립체 일체형 싱크대 수전
KR102450084B1 (ko) 2021-02-08 2022-09-30 우정석 수전용 필터조립체 일체형 싱크대 수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06272A (zh) 2008-11-19
CN101306272B (zh) 201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235254B2 (en) Membrane module protection
CN102869432B (zh) 流体流分配装置
KR20080085881A (ko) 중공사막 모듈
JP6607454B2 (ja) 浄水器
EP1264626A1 (en) Variable pore micro filter having simple and compact structure capable of side stream filtration and cross flow filtration
KR100792479B1 (ko) 고탁도 수질 여과용 이중구조식 여과장치
JP5765676B2 (ja) 浄化システム及びフィルタ
KR101912869B1 (ko) 정수기용 일체형 uf-세디먼트 필터
KR101741775B1 (ko) 역삼투막 시트의 어셈블리 및 이를 수용하는 역삼투막 필터
US9764288B2 (en) Membrane module protection
KR100732412B1 (ko)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및 세척기
CN105600969B (zh) 一种净水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935595B1 (ko) 다단 정수 필터
JP5949834B2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及びその洗浄方法
JP2008114192A (ja) 濾過装置
KR100888647B1 (ko) 정수기용 필터 장치
KR20040019464A (ko) 정수용 필터장치
KR20150055943A (ko) 필터 세척기능을 구비한 백 필터
KR200467091Y1 (ko) 수처리용 필터장치
KR200207768Y1 (ko) 수족관용 여과장치
KR20080002893U (ko) 3단 분리형 정수용 필터 장치
CN213528142U (zh) 一种ro滤芯
KR101551385B1 (ko) 설치가 용이한 수처리 여과장치
CN214436794U (zh) 用水过滤设备气、水反冲机构
JPH0576865A (ja) 浄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